KR101564435B1 -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 - Google Patents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435B1
KR101564435B1 KR1020130019780A KR20130019780A KR101564435B1 KR 101564435 B1 KR101564435 B1 KR 101564435B1 KR 1020130019780 A KR1020130019780 A KR 1020130019780A KR 20130019780 A KR20130019780 A KR 20130019780A KR 101564435 B1 KR101564435 B1 KR 101564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block
pair
fitting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5951A (ko
Inventor
신성두
Original Assignee
신성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두 filed Critical 신성두
Priority to KR1020130019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435B1/ko
Publication of KR2014010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5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28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 E04B2/40Walls having cavities between, but not in, the elements; Walls of elements each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kept in distance by means of spacers, all parts being solid the walls being characterised by fillings in all cavities in order to form a wal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Corn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6Wall end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을 조립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측벽,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사이 간격이 균일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제1 끼움홈이 형성된 막대고정부, 상기 제1 끼움홈에 하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고정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은 비교적 간단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어서 시공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the formwork substitute Prefabricated blocks}
본 발명은 블록을 조립하여 벽체를 형성하는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물을 시공할 때에 거푸집으로 형틀을 만들고, 그 형틀 내부에 철근으로 배근공사를 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거푸집으로 형틀을 만들고 제거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건축폐기물을 양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61795호(2010.05.28)의 “거푸집형 블럭”이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거푸집형 블럭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단열재삽입공간(1)이 구비된 콘크리트구조를 가진 두 개의 측판(2);과 상기 측판(2)의 사이에 일정공간을 두고 복수 설치되어 복수의 콘크리트타설공간(3)과 함께 "V"자형의 철근수평삽입공간(4)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철근수직삽입공(6)이 천공된 콘크리트구조의 격판(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삽입공간(1)은 측판(2)의 내측면에 구획되되 콘크리트타설공간(3)과 연통되도록 구획된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가 필요 없고, 간단하게 철근 및 배관등을 삽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거푸집형 블럭은 지그재그로 적층하기 때문에 최외각의 블럭은 절단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거푸집형 블럭은 동일한 모양의 블럭으로 형성되어 있어 벽 이외에 다른 부분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거푸집을 대신할 수 있는 블록으로 조립하여 벽체를 조성할 수 있는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은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측벽,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사이 간격이 균일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제1 끼움홈이 형성된 막대고정부, 상기 제1 끼움홈에 하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고정막대를 포함한다.
상기 측벽은 인접한 다른 거푸집 대용 조립식 블록의 측벽과 서로 끼워지는 끼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끼움구조는 상기 측벽의 일단에서 상기 측벽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돌출되는 끼움부와 상기 측벽의 타단에서 상기 끼움부가 걸쳐지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막대는 인접한 거푸집 대용 조립식 블록의 고정막대와 서로 어긋난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막대고정부에는 상기 인접한 거푸집 대용 조립식 블록의 고정막대가 끼워지는 제2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벽의 끝단 중 어느 한 쪽의 끝단을 서로 밀폐하도록 연결하는 막음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을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측벽과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측벽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형태의 측벽으로 이루어진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만으로 벽체를 조성할 수 있어 시공이 단순하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건축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의 결합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의 결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은 측벽(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측벽(1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측벽(110)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인접한 다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과 서로 끼워져 결합할 수 있도록 끼움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끼움구조는 측벽(110)의 일단에서 측벽(11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끼움부(115)와, 측벽(110)의 타단에 끼움부(115)가 걸쳐질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턱(11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벽(110)의 일단과 타단은 측벽(100)의 상단과 하단, 또는 측벽(110)의 양 측단 예컨대, 측벽(110)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110)은 타설한 콘크리트와 일체화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은 지지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대(120)는 한 쌍의 측벽(110)의 사이 간격이 균일하도록 지지할 수 있고, 지지대(120)에는 가로방향으로 배근되는 수평철근이 배근될 수 있으며, 지지대(120)는 측벽(110)에 나란하게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지지대(120)는 수평철근을 평행하게 배근할 수 있다. 이때, 수평철근이 안착되는 지지대(120)의 면은 수평철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은 막대고정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막대고정부(145)는 한 쌍의 측벽(110)의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되고, 막대고정부(145)는 측벽(1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막대고정부(145)는 한 쌍의 측벽(110)의 사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막대고정부(145)는 제1 끼움홈(130)과 제2 끼움홈(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끼움홈(130)과 제2 끼움홈(140)은 막대고정부(145)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끼움홈(130)과 제2 끼움홈(140)의 둘 중 어느 한 제1,2 끼움홈(130,140)에는 하기에 설명될 고정막대(135)가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은 고정막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막대(135)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철근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막대(135)는 제1 끼움홈(130)과 제2 끼움홈(140)의 둘 중 어느 한 끼움홈(130,140)의 하부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막대(135)는 어느 하나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과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이 결합될 때, 서로 다른 끼움홈(130,140)에 끼워질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막대고정부(145)의 내부에는 예컨대, 어느 하나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의 고정막대(135)와, 이 막대고정부(145)에 끼워지는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의 고정막대(135)를 서로 연결하는 "8"자형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은 측벽(110)이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고, 측벽(110)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120)가 균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측벽(110)의 내측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 막대고정부(145)가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막대고정부(145)는 제1,2 끼움홈(130,140)을 포함하고, 둘 중의 어느 한 끼움홈(130,140), 예컨대, 제1 끼움홈(130)의 내부에 고정막대(135)가 하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끼워지면, 제1 끼움홈(130)의 옆에는 상하로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과 조립할 때 고정막대(135)가 어긋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끼움홈(1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은 기초콘크리트에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고, 형성된 구멍에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의 고정막대(135)를 결합한다.
그리고, 구멍에 설치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의 끼움부(115)가 다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의 걸림턱(116)에 걸쳐지도록 복수 개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을 형성할 구조물의 벽의 길이만큼 서로 결합한다.
한편, 예컨대, 기초콘크리트에 설치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에 고정막대(135)가 제1 끼움홈(130)에 끼워진 경우, 이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의 고정막대는 제2 끼움홈에 끼워져 고정막대(135)가 서로 어긋나도록 조립하여, 형성할 구조물의 벽의 높이만큼 서로 결합한다.
이처럼 적층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은 측벽(110)의 사이에 위치한 지지대(120)의 위에 수평철근을 올려 배근을 하고, 측벽(110)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은 비교적 간단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어서 시공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타설한 콘크리트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거푸집 제거에 따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건축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블록(200)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은 측벽(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측벽(2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측벽(210)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측벽(210)의 사이에는 막음벽(2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막음벽(211)은 개구부를 마감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한 쌍의 측벽(210)의 끝단 중 어느 한 쪽의 끝단을 서로 밀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측벽(210)은 인접한 다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과 서로 끼워져 결합할 수 있도록 끼움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끼움구조는 측벽(210)의 일단에서 측벽(21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끼움부(215)와, 측벽(210)의 타단에 끼움부(215)가 걸쳐질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턱(21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벽(210)의 일단과 타단은 측벽(200)의 상단과 하단, 또는 측벽(210)의 양 측단 예컨대, 측벽(210)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210)은 타설한 콘크리트와 일체화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은 지지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대(220)는 한 쌍의 측벽(210)의 사이 간격이 균일하도록 지지할 수 있고, 지지대(220)에는 가로방향으로 배근되는 수평철근이 배근될 수 있으며, 지지대(220)는 측벽(210)에 나란하게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지지대(220)는 수평철근을 평행하게 배근할 수 있다. 이때, 수평철근이 안착되는 지지대(220)의 면은 수평철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은 막대고정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막대고정부(245)는 한 쌍의 측벽(210)의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되고, 막대고정부(245)는 측벽(2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막대고정부(245)는 한 쌍의 측벽(210)의 사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막대고정부(245)는 제1 끼움홈(230)과 제2 끼움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끼움홈(230)과 제2 끼움홈(240)은 막대고정부(245)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끼움홈(230)과 제2 끼움홈(240)의 둘 중 어느 한 제1,2 끼움홈(230,240)에는 하기에 설명될 고정막대(235)가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은 고정막대(2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막대(235)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철근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막대(235)는 제1 끼움홈(230)과 제2 끼움홈(240)의 둘 중 어느 한 끼움홈(230,240)의 하부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막대(235)는 어느 하나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과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이 결합될 때, 서로 다른 끼움홈(230,240)에 끼워질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막대고정부(245)의 내부에는 예컨대, 어느 하나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의 고정막대(235)와, 이 막대고정부(245)에 끼워지는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의 고정막대(235)를 서로 연결하는 "8"자형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은 측벽(210)이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고, 측벽(210)의 끝단 중 어느 한 쪽의 끝단을 밀폐하도록 연결하는 막음벽(211)이 형성된다. 측벽(210)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220)가 균일한 위치에 설치되고, 한 쌍의 측벽(210)의 내측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 막대고정부(245)가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막대고정부(245)는 제1,2 끼움홈(230,240)을 포함하고, 둘 중의 어느 한 끼움홈(230,240), 예컨대, 제1 끼움홈(230)의 내부에 고정막대(235)가 하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끼워지면, 제1 끼움홈(230)의 옆에는 상하로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과 조립할 때 고정막대(235)가 어긋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끼움홈(2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재를 하되 제1 실시예의 마지막 부분 또는 개구부를 마감하는 부분에 끼워서 결합한다. 그리고, 측벽(210)의 사이에 위치한 지지대(220)의 위에 수평철근을 올려 배근을 하고, 측벽(210)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200)은 비교적 간단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어서 시공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타설한 콘크리트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거푸집 제거에 따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건축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제3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블록(300)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은 측벽(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측벽(3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측벽(310)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미리 설정된 각도, 예컨대,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절곡된 측벽(310)은 다른 실시예, 예컨대, 제1 실시예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과 제1 실시예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이 직각으로 형성되어야 할 때, 서로 연결하여 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측벽(310)은 인접한 다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과 서로 끼워져 결합할 수 있도록 끼움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끼움구조는 측벽(310)의 일단에서 측벽(31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끼움부(315)와, 측벽(310)의 타단에 끼움부(315)가 걸쳐질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턱(31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벽(310)의 일단과 타단은 측벽(300)의 상단과 하단, 또는 측벽(310)의 양 측단 예컨대, 측벽(310)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310)은 타설한 콘크리트와 일체화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은 지지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대(320)는 한 쌍의 측벽(310)의 사이 간격이 균일하도록 지지할 수 있고, 지지대(320)에는 가로방향으로 배근되는 수평철근이 배근될 수 있으며, 지지대(320)는 측벽(310)에 나란하게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지지대(320)는 수평철근을 평행하게 배근할 수 있다. 이때, 수평철근이 안착되는 지지대(320)의 면은 수평철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막대고정부(345)는 제1 끼움홈(330)과 제2 끼움홈(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끼움홈(330)과 제2 끼움홈(340)은 지지대(320)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끼움홈(330)과 제2 끼움홈(340)의 둘 중 어느 한 제1,2 끼움홈(330,340)에는 하기에 설명될 고정막대(335)가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은 고정막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막대(335)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철근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막대(335)는 제1 끼움홈(330)과 제2 끼움홈(340)의 둘 중 어느 한 끼움홈(330,340)의 하부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막대(335)는 어느 하나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과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이 결합될 때, 서로 다른 끼움홈(330,340)에 끼워질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지지대(320)의 내부에는 예컨대, 어느 하나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의 고정막대(335)와, 이 지지대(320)에 끼워지는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의 고정막대(335)를 서로 연결하는 "8"자형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은 예컨대, 직각의 형상으로 형성된 측벽(310)이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고, 측벽(310)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320)가 균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지지대(320)는 제1,2 끼움홈(330,340)을 포함하고, 둘 중의 어느 한 끼움홈(330,340), 예컨대, 제1 끼움홈(330)의 내부에 고정막대(335)가 하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끼워지면, 제1 끼움홈(330)의 옆에는 상하로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과 조립할 때 고정막대(335)가 어긋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끼움홈(3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재를 하되, 제1 실시예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과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이 각도를 갖도록 예컨대, 직각이 되도록 형성하여야 할 때,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과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 사이에 생기는 빈공간에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을 끼워서 조립한다. 그리고, 측벽(310)의 사이에 위치한 지지대(320)의 위에 수평철근을 올려 배근을 하고, 측벽(310)의 사이에 형성된 빈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300)은 비교적 간단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어서 시공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타설한 콘크리트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거푸집 제거에 따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건축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블록(400)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은 측벽(4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측벽(4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측벽(410)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벽체를 조성할 때 각 실을 구분하기 위해서 측벽(410)의 중앙 부분에서 측벽과 미리 설정된 각도 예컨대, 직각을 이루도록 한 쌍의 측벽연결부(411)가 이격되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측벽(410)은 인접한 다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과 서로 끼워져 결합할 수 있도록 끼움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끼움구조는 측벽(410)의 일단에서 측벽(41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끼움부(415)와, 측벽(410)의 타단에 끼움부(415)가 걸쳐질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턱(41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벽(410)의 일단과 타단은 측벽(400)의 상단과 하단, 또는 측벽(410)의 양 측단 예컨대, 측벽(410)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410)은 타설한 콘크리트와 일체화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은 지지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대(420)는 한 쌍의 측벽(410)의 사이 간격이 균일하도록 지지할 수 있고, 지지대(420)에는 가로방향으로 배근되는 수평철근이 배근될 수 있으며, 지지대(420)는 측벽(410)에 나란하게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지지대(420)는 수평철근을 평행하게 배근할 수 있다. 이때, 수평철근이 안착되는 지지대(420)의 면은 수평철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은 막대고정부(4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막대고정부(445)는 한 쌍의 측벽(410)의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되고, 막대고정부(445)는 측벽(4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막대고정부(445)는 한 쌍의 측벽(410)의 사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막대고정부(445)는 제1 끼움홈(430)과 제2 끼움홈(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끼움홈(430)과 제2 끼움홈(440)은 막대고정부(445)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끼움홈(430)과 제2 끼움홈(440)의 둘 중 어느 한 제1,2 끼움홈(430,440)에는 하기에 설명될 고정막대(435)가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은 고정막대(4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막대(435)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철근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막대(435)는 제1 끼움홈(430)과 제2 끼움홈(440)의 둘 중 어느 한 끼움홈(430,440)의 하부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막대(435)는 어느 하나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과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이 결합될 때, 서로 다른 끼움홈(430,440)에 끼워질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막대고정부(445)의 내부에는 예컨대, 어느 하나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의 고정막대(435)와, 이 막대고정부(445)에 끼워지는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의 고정막대(435)를 서로 연결하는 "8"자형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은 측벽(410)이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고, 어느 한 측벽(410)의 중앙 부분에는 미리 설정된 각도, 예컨대 직각을 이루도록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측벽연결부(411)가 형성된다.
측벽(410)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420)가 균일한 위치에 설치되고, 한 쌍의 측벽(410)의 내측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 막대고정부(445)가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막대고정부(445)는 제1,2 끼움홈(430,440)을 포함하고, 둘 중의 어느 한 끼움홈(430,440), 예컨대, 제1 끼움홈(430)의 내부에 고정막대(435)가 하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끼워지면, 제1 끼움홈(430)의 옆에는 상하로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과 조립할 때 고정막대(435)가 어긋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끼움홈(4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재를 하되, 제1 실시예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과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의 사이에 각 실을 구분 할 수 있도록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을 끼워서 조립한다. 그리고, 측벽(410)의 사이에 위치한 지지대(420)의 위에 수평철근을 올려 배근을 하고, 측벽(410)의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400)은 비교적 간단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어서 시공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타설한 콘크리트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거푸집 제거에 따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건축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블록(500)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은 측벽(5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측벽(510)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를 조성할 수 있다.
한편, 측벽(510)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층 바닥을 형성하기 위하여 측벽(5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지지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부는(511)는 인접한 다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의 지지부(511)
와 같이 바닥을 형성할 수 있는 합판거푸집 또는 스피드데크 등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측벽(510)은 인접한 다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과 서로 끼워져 결합할 수 있도록 끼움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끼움구조는 측벽(510)의 일단에서 측벽(51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끼움부(515)와, 측벽(510)의 타단에 끼움부(515)가 걸쳐질 수 있도록 돌출된 걸림턱(51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벽(510)의 일단과 타단은 측벽(500)의 상단과 하단, 또는 측벽(510)의 양 측단 예컨대, 측벽(510)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측벽(510)은 타설한 콘크리트와 일체화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은 지지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대(520)는 한 쌍의 측벽(510)의 사이 간격이 균일하도록 지지할 수 있고, 지지대(520)에는 가로방향으로 배근되는 수평철근이 배근될 수 있으며, 지지대(520)는 측벽(510)에 나란하게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지지대(520)는 수평철근을 평행하게 배근할 수 있다. 이때, 수평철근이 안착되는 지지대(520)의 면은 수평철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은 막대고정부(5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막대고정부(545)는 한 쌍의 측벽(510)의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되고, 막대고정부(545)는 측벽(510)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막대고정부(545)는 한 쌍의 측벽(510)의 사이에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막대고정부(545)는 제1 끼움홈(530)과 제2 끼움홈(5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끼움홈(530)과 제2 끼움홈(540)은 막대고정부(545)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끼움홈(530)과 제2 끼움홈(540)의 둘 중 어느 한 제1,2 끼움홈(530,540)에는 하기에 설명될 고정막대(535)가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은 고정막대(5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고정막대(535)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철근을 임의의 길이로 절단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막대(535)는 제1 끼움홈(530)과 제2 끼움홈(540)의 둘 중 어느 한 끼움홈(530,540)의 하부로 일부 돌출되는 형태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고정막대(535)는 어느 하나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과 상부 또는 하부에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이 결합될 때, 서로 다른 끼움홈(530,540)에 끼워질 수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막대고정부(545)의 내부에는 예컨대, 어느 하나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의 고정막대(535)와, 이 막대고정부(545)에 끼워지는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의 고정막대(535)를 서로 연결하는 "8"자형 고리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은 측벽(510)이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설치되고, 측벽(5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지지부(511)가 형성된다.
측벽(510)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520)가 균일한 위치에 설치되고, 한 쌍의 측벽(510)의 내측으로 상하로 길게 형성된 막대고정부(545)가 돌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막대고정부(545)는 제1,2 끼움홈(530,540)을 포함하고, 둘 중의 어느 한 끼움홈(530,540), 예컨대, 제1 끼움홈(530)의 내부에 고정막대(535)가 하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끼워지면, 제1 끼움홈(530)의 옆에는 상하로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과 조립할 때 고정막대(535)가 어긋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제2 끼움홈(5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재를 하되, 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실시예의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과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100)의 사이에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을 끼워서 조립한다. 그리고, 측벽(510)의 사이에 위치한 지지대(520)의 위에 수평철근을 올려 배근을 하고, 벽의 길이만큼 결합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의 지지대(511)의 위에 합판거푸집 또는 스피드데크 등을 올려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500)은 비교적 간단하게 벽체를 형성할 수 있어서 시공이 용이하고, 그에 따른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타설한 콘크리트와 일체화되기 때문에 거푸집 제거에 따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건축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200, 300, 400, 500 :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
110, 210, 310, 410, 510 : 측벽
115, 215, 315, 415, 515 : 끼움부
116, 216, 316, 416, 516 : 걸림턱
120, 220, 320,420, 520 : 지지대
130, 230, 330, 430, 530 : 제1 끼움홈
135, 235, 335, 435, 535 : 고정막대
140, 240, 340, 440, 450 : 제2 끼움홈
145, 245, 445, 545 : 막대고정부
211 : 막음벽 411 : 측벽연결부
511 : 지지부

Claims (8)

  1.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거푸집 대용 조립식 블록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측벽,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사이 간격이 균일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한 쌍의 측벽의 각각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하 방향으로 길게 제1 끼움홈이 형성된 복수 개의 막대고정부,
    상기 제1 끼움홈에 하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고정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은 인접한 다른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의 측벽과 서로 끼워지는 끼움구조를 가지며,
    상기 끼움구조는 상기 측벽의 일단에서 상기 측벽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돌출되는 끼움부와 상기 측벽의 타단에서 상기 끼움부가 걸쳐지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막대가 인접한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에 끼워진 고정막대와 서로 어긋난 위치에 일부 서로 겹쳐 끼워지도록 상기 막대고정부에 형성되는 제2 끼움홈과,
    상기 막대고정부에 끼워진 상기 고정막대들을 서로 연결하는 "8"자형 고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대용 조립식 블록.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측벽의 끝단 중 어느 한 쪽의 끝단을 서로 밀폐하도록 연결하는 막음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대용 조립식 블록.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을 상부에서 바라봤을 때 미리 설정된 각도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대용 조립식 블록.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측벽과 미리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한 쌍의 측벽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대용 조립식 블록.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대용 조립식 블록.
KR1020130019780A 2013-02-25 2013-02-25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 KR10156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780A KR101564435B1 (ko) 2013-02-25 2013-02-25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780A KR101564435B1 (ko) 2013-02-25 2013-02-25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951A KR20140105951A (ko) 2014-09-03
KR101564435B1 true KR101564435B1 (ko) 2015-10-29

Family

ID=5175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780A KR101564435B1 (ko) 2013-02-25 2013-02-25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573A (ko) 2021-08-09 2023-02-16 이일구 미분리형 거푸집 블록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573A (ko) 2021-08-09 2023-02-16 이일구 미분리형 거푸집 블록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5951A (ko) 2014-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858B1 (ko) 기초 일체형 pc 벽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439488B1 (ko) 슬래브 성형용 탈형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584070B1 (ko) 루프 철근 하단 매입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JP6252835B2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776774B1 (ko) 강재 덕트를 이용한 조립구조를 가지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교각 세그먼트의 제작방법
KR101422076B1 (ko) 플랫타이 및 이 플랫타이와 비금속제 거푸집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JP6418524B2 (ja) 断熱型枠を用いた基礎構造、施工方法及び耐圧版式グリッドポスト基礎の形成方法
KR101516743B1 (ko) 내외벽 연결 구조용 거푸집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20090106914A (ko) 이중 단열 거푸집
KR101552226B1 (ko) T형 데크플레이트의 중공폼 설치구조
KR101564435B1 (ko) 거푸집대용 조립식 블록
KR101541465B1 (ko) 장스팬 바닥판 시스템
KR100949785B1 (ko) 피씨 보 제작용 몰드
KR200465477Y1 (ko) 건축용 영구 거푸집
KR101588115B1 (ko) 트러스 데크를 활용한 프리패브 중공벽 및 그 제작방법
KR101909572B1 (ko)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측면 형성을 위한 접합측면용 거푸집 징치,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제작방법 및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연결방법
KR101870436B1 (ko) 보관 및 운반 효율성을 향상시킨 알폼용 거푸집의 조립식 패널 및 그 조립식 패널을 이용한 알폼용 거푸집 조립방법
KR101381660B1 (ko) 거푸집용 간격 유지구
JP6418523B2 (ja) 断熱型枠を用いた基礎構造及び耐圧版式土間基礎の形成方法
KR102479194B1 (ko) 트윈월 제작몰드 구조와, 이를 이용한 트윈월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지그재그 리브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트윈월
JPH08277589A (ja) コンクリート型枠
KR101708274B1 (ko) 중공슬래브용 일체형 중공부재 및 이를 이용한 중공 슬림 플로어와 중공 무량판 구조
KR102128816B1 (ko) Pcm 충전형 조립식 합성 바닥의 구조
KR101331449B1 (ko) 기초공사용 프리캐스팅 블록 및 이를 이용한 기초시공 방법
JP3210858U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型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