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053B1 - 솔레노이드 - Google Patents

솔레노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053B1
KR102364053B1 KR1020217005313A KR20217005313A KR102364053B1 KR 102364053 B1 KR102364053 B1 KR 102364053B1 KR 1020217005313 A KR1020217005313 A KR 1020217005313A KR 20217005313 A KR20217005313 A KR 20217005313A KR 102364053 B1 KR102364053 B1 KR 102364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core
axial direction
solenoid
slid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067A (ko
Inventor
유타로 와타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21003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1Sliding valves
    • F16K31/0613Sliding valves with cylindrical sl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3External yoke surrounding the coil bobbin, e.g. made of bent magnetic she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5Yoke or polar piece between coil bobbin and armature having a gap, e.g. filled with nonmagnet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6Structural details of the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솔레노이드(100, 100a, 100b)는,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는 코일(20)과; 상기 코일의 내주면에 배치된 통형상의 슬라이딩 코어(60)와;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축방향(AD)으로 슬라이딩하는 기둥 형상의 플런저(30)와; 통부(12)와 저부(14)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요크(10, 10a, 10b)와; 상기 플런저의 선단면(32)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플런저를 자기흡인하는 자기흡인 코어(50)와; 상기 저부와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단부(62)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요크의 사이에서 자속을 주고받는 자속전달 부재(80)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기 기단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자기흡인 코어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상기 단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단부보다도 상기 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저부측이다.

Description

솔레노이드
본 출원은, 2018년 10월 2일에 출원된 일본출원번호 2018―187067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솔레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는 코일의 내측에 있어서, 스테이터 코어의 내주를 플런저가 슬라이딩하는 솔레노이드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솔레노이드에서는 스테이터 코어의 외주에 자성체의 링 코어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요크 등의 자기회로부품과 스테이터 코어를 링 코어를 통하여 자기 결합시키고, 자기회로부품과 스테이터 코어의 사이의 조립 간극에 기인하는 자력 저하를 억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특허 제4569371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솔레노이드에서는 비교적 큰 전류가 코일로 흘러서, 플런저가 자기흡인 코어에 매우 가까워진 상태에서 플런저의 자기흡인 코어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서의 자속 전달 면적이 감소하여, 솔레노이드의 추력(推力)이 저하할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가 자기흡인 코어에 매우 가까워진 상태에서, 솔레노이드의 추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되고 있다.
본 개시는, 이하의 형태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따르면, 솔레노이드가 제공된다. 이 솔레노이드는,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내주면에 배치된 통형상의 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기둥 형상의 플런저와;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통형상의 통부와; 상기 통부에 이어져서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기단면(基端面)과 대향하는 저부를 가지고, 상기 코일과 상기 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요크와; 상기 축방향에서 상기 플런저의 선단면(先端面)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코일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를 자기흡인하는 자기흡인 코어와; 그리고 상기 저부와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단부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요크의 사이에서 자속을 주고받는 자속전달 부재(flux delivery member)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기 기단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자기흡인 코어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상기 단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단부보다도 상기 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저부측이다.
이러한 형태의 솔레노이드에 따르면, 플런저의 기단면의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는, 플런저가 자기흡인 코어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코어의 단부의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와 같거나, 또는 단부보다도 축방향을 따라서 저부측이기 때문에 플런저의 스트로크량(축방향을 따르는 이동량)에 의하여 슬라이딩 코어와 플런저의 랩량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가 자기흡인 코어에 매우 가까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코어와 플런저의 사이에서의 자속 전달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솔레노이드의 추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여러 가지 형태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 솔레노이드의 제조방법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잇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그 도면은,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가 적용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솔레노이드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통전 상태의 솔레노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4는 제 2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제 3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의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A. 제 1 실시형태:
도 1에 도시한 제 1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는,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300)에 적용되고, 스풀 밸브(200)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기능한다.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300)는, 도시하지 않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유압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되고, 도시하지 않는 유압 회로에 배치되어 있다.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300)는, 중심축(AX)을 따라서 서로 나란히 배치된 스풀 밸브(200)와 솔레노이드(100)를 구비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비통전 상태의 솔레노이드(100) 및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300)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300)는, 노멀리 클로즈 타입이지만, 노멀리 오픈 타입이어도 좋다.
스풀 밸브(200)는, 후술하는 복수의 오일포트(214)의 연통 상태 및 개구 면적을 조정한다. 스풀 밸브(200)는, 슬리브(210)와, 스풀(220)과, 스프링(230)과, 조절 스크류(240)를 구비한다.
슬리브(210)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진다. 슬리브(210)에는, 중심축(AX)을 따라서 관통하는 삽입구멍(212)과, 삽입구멍(212)과 연통하여 직경 방향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오일포트(214)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멍(212)에는 스풀(220)이 삽입되어 있다. 복수의 오일포트(214)는 중심축(AX)과 평행한 방향(이하, “축방향(AD: axial direction)”이라고도 부른다)을 따라서 서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일포트(214)에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는 오일펌프와 연통하여 유압의 공급을 받는 입력포트, 도시하지 않는 클러치 등과 연통하여 유압을 공급하는 출력포트, 작동유를 배출하는 드레인포트 등이 해당된다. 슬리브(210)의 솔레노이드(100)측의 단부에는 플랜지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16)는, 반경방향(radial direction) 외측을 향하여 직경이 확대되어 있고, 후술하는 솔레노이드(100)의 요크(10)와 서로 고정된다.
스풀(220)은 축방향(AD)을 따라서 복수의 대직경부(222)와 소직경부(224)가 나란히 배치된 대략 봉 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진다. 스풀(220)은 삽입구멍(212)의 내부에서 축방향(AD)을 따라서 슬라이딩하고, 대직경부(222)와 소직경부(224)의 축방향(AD)을 따르는 위치에 따라서 복수의 오일포트(214)의 연통 상태 및 개구 면적을 조정한다. 스풀(220)의 일단에는 솔레노이드(100)의 추력(推力)을 스풀(220)에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90)가 맞닿아서 배치되어 있다. 스풀(220)의 타단에는 스프링(230)이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230)은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고, 스풀(220)을 축방향(AD)으로 눌러서 솔레노이드(100)측으로 가압한다. 조절 스크류(240)는 스프링(230)과 맞닿아서 배치되고, 슬리브(210)에 대한 나사조임량이 조정됨으로써 스프링(230)의 스프링 하중을 조정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솔레노이드(100)는 도시하지 않는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하여 통전 제어되어, 스풀 밸브(200)를 구동한다. 솔레노이드(100)는, 요크(10), 코일(20), 플런저(30), 스테이터 코어(40) 및 자속전달 부재(flux delivery member)(80)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크(10)는 자성체의 금속에 의해 형성되고, 솔레노이드(100)의 외곽을 구성하고 있다. 요크(10)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코일(20), 플런저(30), 스테이터 코어(40) 및 자속전달 부재(80)를 수용한다. 요크(10)는 통부(12), 저부(14) 및 개구부(17)를 가진다. 통부(12)는 축방향(AD)을 따르는 대략 통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진다. 저부(14)는 통부(12)의 스풀 밸브(200)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서 축방향(AD)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부(14)는 축방향(AD)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축방향(AD)과 교차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저부(14)의 대략 중앙에는 요크(10)의 내측에서 축방향(AD)으로 오목한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6)는 후술하는 플런저(30)의 기단면(34)을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개구부(17)는 통부(12)의 스풀 밸브(200)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7)는 요크(10)의 내부에 솔레노이드(100)의 구성부품이 조립된 후, 스풀 밸브(200)의 플랜지부(216)와 코킹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크(10)는 프레스 성형에 의해 형성되지만, 주조 등의 임의의 성형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코일(20)은 요크(10)의 통부(12)의 내측에 배치된 수지제의 보빈(22)에 절연 피복이 실시된 도선이 감겨서 구성되어 있다. 코일(20)을 구성하는 도선의 단부는 접속단자(24)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단자(24)는 커넥터(26)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26)는 요크(10)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도시하지 않는 접속선을 통하여 솔레노이드(100)와 전자제어장치의 전기적인 접속을 실시한다. 코일(20)은 통전됨으로써 자력을 발생하고, 요크(10)의 통부(12) 및 저부(14)와; 자속전달 부재(80)와, 후술하는 스테이터 코어(40)의 슬라이딩 코어(60)와; 플런저(30)와, 후술하는 스테이터 코어(40)의 자기흡인 코어(50) 및 플랜지(54);를 지나는 루프 형상의 자속의 흐름(이하, “자기회로”라고도 부른다)을 형성시킨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상태에서는, 코일(20)로의 통전이 실행되지 않아서, 자기회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플런저(3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자성체의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30)는, 코일(20)의 내주면에 배치된 후술하는 슬라이딩 코어(60)의 내주면에서 축방향(AD)으로 슬라이딩한다. 플런저(30)의 스풀 밸브(200)측의 단면(이하, “선단면(32)”이라고도 부른다)에는 전술한 샤프트(90)가 맞닿아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런저(30)는, 스풀(220)에 전달되는 스프링(230)의 가압력에 의해 축방향(AD)을 따라서 요크(10)의 저부(14)측으로 가압된다. 선단면(32)과는 반대측의 단면(이하, “기단면(34)”이라고도 부른다)은 요크(10)의 저부(14)와 대향하고, 적어도 코일(20)로의 통전이 실행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오목부(16)에 수용된다. 플런저(30) 및 샤프트(90)에는 축방향(AD)으로 관통하는 도시하지 않는 호흡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호흡 구멍에는 유압 회로의 작동유가 유통된다.
스테이터 코어(40)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자성체의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터 코어(40)는 자기흡인 코어(50)와, 슬라이딩 코어(60)와, 자기 차단부(70)를 가진다.
자기흡인 코어(50)는 샤프트(90)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서 배치되어 있다. 자기흡인 코어(50)는 스테이터 코어(40) 중, 스풀 밸브(200)측의 일부를 구성하고, 코일(20)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플런저(30)를 자기흡인한다. 자기흡인 코어(50)에서, 플런저(30)의 선단면(32)과 대향하는 면에는 스토퍼(52)가 배치되어 있다. 스토퍼(52)는 비자성체에 의해 구성되어, 플런저(30)와 자기흡인 코어(50)가 직접 맞닿는 것을 억제하고, 자기흡인에 의해 자기흡인 코어(50)로부터 플런저(30)가 이격되지 않게 되는 것을 억제한다. 자기흡인 코어(50)에서, 스풀 밸브(200)측의 단면에는 플랜지(54)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54)는 요크(10)의 개구부(17)에서 코킹 고정되는 플랜지부(216)의 단면과 접촉하여 배치됨으로써 요크(10)에 대하여 고정된다.
슬라이딩 코어(60)는 스테이터 코어(40) 중 저부(14)측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슬라이딩 코어(60)는 대략 원통 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며, 코일(20)의 내주면 또한 플런저(3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슬라이딩 코어(60)는 반경방향에서 코일(20)과 플런저(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반경방향에서의 슬라이딩 코어(60)와 플런저(30)의 간극은 매우 작다. 슬라이딩 코어(60)는 플런저(30)의 축방향(AD)을 따르는 이동을 안내한다. 이에 따라, 플런저(30)는 슬라이딩 코어(60)의 내주면을 직접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딩 코어(60)에서, 자기흡인 코어(50)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이하, “단부(62)”라고도 부른다)는 저부(14)와 대향해 있다. 상기 단부(62)는 요크(1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단부(62)는 요크(10)의 저부(14)에 형성된 오목부(16)에 수용되어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단부(62)는 오목부(16)보다도 축방향(AD)을 따라서 자기흡인 코어(50)측에 배치되어 있다.
자기 차단부(70)는 축방향(AD)에서 자기흡인 코어(50)와 슬라이딩 코어(6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자기 차단부(70)는 자기흡인 코어(50)와 슬라이딩 코어(60)의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자속이 흐르는 것을 억제한다. 본 실시형태의 자기 차단부(70)는, 스테이터 코어(40)의 반경방향의 두께가 얇게 형성됨으로써 자기흡인 코어(50) 및 슬라이딩 코어(60)보다도 자기 저항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속전달 부재(80)는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속 전달 부재(80)는 축방향(AD)에서 보빈(22)과 요크(10)의 저부(14)의 사이에 위치해 있다. 자속전달 부재(80)는 자성체의 링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자속전달 부재(80)는 슬라이딩 코어(60) 및 요크(10)와의 사이에서 자속을 주고받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요크(10)의 저부(14)와의 사이에서의 자속을 주고받으며, 슬라이딩 코어(60)와의 사이에서 자속을 주고받는다. 또한, 자속전달 부재(80)는 요크(10)의 통부(12)와의 사이에서 자속을 주고받아도 좋다.
자속전달 부재(80)의 외주면과 요크(10)의 통부(12)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반경방향의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자속전달 부재(80)는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의 반경방향의 변위에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자속 전달 부재(80)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코어(60)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조립을 위한 미소한 간극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속 전달 부재(80)의 축방향(AD)을 따르는 길이는 보빈(22)과 요크(10)의 저부(14)의 사이의 축방향(AD)을 따르는 간극보다도 작다. 또한, 저부(14)와 대향하는 자속전달 부재(80)의 단면(86)은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보다도 축방향(AD)에서 저부(14)측에 위치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자속전달 부재(80)의 외부 가장자리부(82)는 보빈(22)과 대향하는 측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심축(AX)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자속전달 부재(80)의 단면 형상은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가장자리부(82)와 보빈(22)의 사이에는 가압 부재(84)가 배치되어 있다. 가압 부재(84)는 자속 전달 부재(80)를 요크(10)의 저부(14)로 압박한다. 이에 따라, 통전 상태와 비통전 상태의 양쪽의 상태에서 자속 전달 부재(80)와 저부(14)가 접촉하기 때문에 통전 개시 시의 자기흡인에 의해 자속 전달 부재(80)가 저부(14)에 맞닿는 음(音)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가압 부재(84)는 웨이브 와셔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접시 스프링이나 내유성이 우수한 고무 등, 자속전달 부재(80)를 가압 가능한 임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외부 가장자리부(82)의 오목부 및 가압 부재(84)는 생략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요크(10), 플런저(30), 스테이터 코어(40) 및 자속전달 부재(80)는 각각 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철에 한정되지 않고, 니켈이나 코발트 등, 임의의 자성체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도 3에서는, 도 2와 동일한 솔레노이드(100)의 주요부의 단면에 있어서, 통전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회로를 굵은 선의 화살표로 도시하고 있다. 자기회로는 상기와 같이, 요크(10)의 통부(12), 요크(10)의 저부(14), 자속전달 부재(80), 슬라이딩 코어(60), 플런저(30), 자기흡인 코어(50) 및 플랜지(54)를 지나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코일(20)로의 통전에 의하여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측으로 당겨진다. 이에 따라, 플런저(30)는 슬라이딩 코어(60)의 내주면에서 축방향(AD)을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백색 화살표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플런저(30)는 코일(20)로의 통전에 의하여 스프링(230)의 가압력에 대항해서 자기흡인 코어(50)측으로 스트로크한다. 코일(20)에 흐르는 전류가 클수록 자기 회로의 자속밀도가 증가하여, 플런저(30)의 스트로크량이 증가한다. “플런저(30)의 스트로크량”이란,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로부터 가장 멀어진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플런저(30)의 왕복 운동 중,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측으로 축방향(AD)을 따라서 이동하는 양을 의미한다.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로부터 가장 멀어진 상태는 비통전 상태에 상당한다. 한편,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는, 비교적 큰 전류가 흘러서 플런저(30)의 선단면(32)과 스토퍼(52)가 맞닿은 상태에 상당하고, 플런저(30)의 스트로크량이 최대로 되어 있다.
플런저(30)의 선단면(32)에 맞닿는 샤프트(90)는,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측으로 스트로크하면, 스풀(220)을 스프링(230)측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오일포트(214)의 연통 상태 및 개구 면적이 조정되어, 코일(20)에 흐르는 전류값에 비례한 유압이 출력된다.
도 3에서는, 비교적 큰 전류가 코일(20)로 흘러서,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플런저(30)의 기단면(34)은,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보다도 요크(10)의 저부(14)측에 위치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런저(30)의 기단면(34)은, 축방향(AD)의 길이(D1)만큼, 단부(62)보다도 저면(14)측으로 돌출해 있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코어(60)와 플런저(30)의 랩량은, 플런저(30)의 스트로크량에 불구하고 일정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딩 코어(60)와 플런저(30)의 랩량”이란, 슬라이딩 코어(60)와 플런저(30)가 반경방향에 대향해 있는 부분의, 축방향(AD)의 길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매우 가까워졌다고 해도, 슬라이딩 코어(60)와 플런저(30)의 랩량이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딩 코어(60)와 플런저(30)의 사이에서의 자속 전달 면적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매우 가까워진 상태에서도 충분한 자속전달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서, 솔레노이드(100)의 추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플런저(30)의 기단면(34)은, 자속 전달 부재(80)의 단면(86)보다도 저부(14)측에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자속전달 부재(80)와 플런저(30)의 랩량은, 플런저(30)의 스트로크량에 불구하고 일정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자속전달 부재(80)와 플런저(30)의 랩량이 변동하지 않기 때문에,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매우 가까워졌다고 해도, 자속전달 부재(80)에서의 자속밀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서, 솔레노이드(100)의 추력의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 1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에 따르면,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플런저(30)의 기단면(34)이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보다도 축방향(AD)을 따라서 저부(14)측에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30)의 스트로크량에 따라서 슬라이딩 코어(60)와 플런저(30)의 랩량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매우 가까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코어(60)와 플런저(30)의 사이에서의 자속전달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솔레노이드(100)의 추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플런저(30)의 기단면(34)이 자속전달 부재(80)의 단면(86)보다도 저부(14)측에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30)의 스트로크량에 따라서, 자속전달 부재(80)와 플런저(30)의 랩량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비교적 가까워진 상태에서, 자속전달 부재(80)에서의 자속밀도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서, 솔레노이드(100)의 추력의 저하를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요크(10)의 저부(14)에는 요크(10)의 내측에서 축방향(AD)으로 오목한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로부터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 플런저(30)의 기단면(34)을 수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런저(30)의 기단면(34)을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보다도 저부(14)측에 위치시키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는 요크(10)의 저부(14)에 형성된 오목부(16)에 수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요크(10)에 슬라이딩 코어(60)를 조립할 때에, 단부(62)와 오목부(16)가 접촉하여 단부(62)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플런저(30)의 슬라이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단부(62)와 오목부(16)의 사이의 조립 간극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 간극에 기인하는 자속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서, 자기흡인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의 외주면에 자성체의 링형상의 자속 전달 부재(8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코어(60)와 요크(10)의 사이에서 자속을 주고받을 수 있어서,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에서의 자속 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자속전달 부재(80)가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의 반경방향의 변위에 따라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터 코어(40)의 제조상의 치수 불균일과 조립상의 축어긋남에 의한 단부(62)의 반경방향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플런저가 자기흡인 코어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코어의 단부가 플런저의 기단면보다도 저부측에 위치하는 솔레노이드에서는, 플런저가 자기흡인 코어에 매우 가까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코어와 플런저의 랩량이 플런저의 기단면측에서 감소하여, 자속전달 면적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솔레노이드의 추력이 저하할 염려가 있다.
이에 비하여, 본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에 따르면,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플런저(30)의 기단면(34)이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보다도 저부(14)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매우 가까워진 상태에서도, 슬라이딩 코어(60)와 플런저(30)의 사이에서의 자속전달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서, 솔레노이드(100)의 추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B. 제 2 실시형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a)는, 요크(10)에 대신하여 요크(10a)를 구비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와 다르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와 같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a)가 구비하는 요크(10a)는, 저부(14a) 중,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오목부(16)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저부(14a)는 대략 일정한 두께로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 2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a)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덧붙여서, 저부(14a) 중,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오목부(16)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18)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저부(14a)를 대략 일정한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저부(14a)의 두께가 불균일하게 되어 저부(14a)의 강도가 부분적으로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판형상의 성형 재료를 이용하여 요크(10a)를 프레스 성형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C. 제 3 실시형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b)는, 요크(10)에 대신하여 요크(10b)를 구비하는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와 다르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와 같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b)가 구비하는 요크(10b)는, 저부(14b)에 형성된 오목부(16)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단차부(段部)(19)가 형성되어 있다. 자속전달 부재(80)는, 단차단(19)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가압 부재(84)에 의하여 단차부(19)의 단면(端面)으로 압박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b)에 따르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D.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플런저(30)의 기단면(34)이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보다도 저부(14, 14a, 14b)측에 위치해 있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런저(30)의 기단면(34)의 축방향(AD)을 따르는 위치는,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와 대략 같아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 있어서, 플런저(30)의 기단면(34)과, 저부(14, 14a, 14b)와 대향하는 단부(端部)(62)의 단면(端面)은 축방향(AD)에서 대략 일치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2)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플런저(30)의 기단면(34)이 자속 전달 부재(80)의 단면(端面)(86)보다도 저부(14, 14a, 14b)측에 위치해 있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런저(30)의 기단면(34)은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자속전달 부재(80)의 단면(86)과 축방향(AD)에서 대략 일치하고, 또한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보다도 저부(14, 14a, 14b)측에 위치해 있어도 좋다. 또한, 자속전달 부재(80)의 단면(86)은, 플런저(30)가 자기흡인 코어(50)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플런저(30)의 기단면(34)보다도 축방향(AD)에서 저부(14, 14a, 14b)측에 위치하고, 또한 플런저(30)의 기단면(34)이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보다도 저부(14, 14a, 14b)측에 위치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3) 상기 각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 100a, 100b)의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고,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는, 자속전달 부재(80)의 단면(86)보다도 축방향(AD)에서 저부(14, 14a, 14b)측에 위치해 있어도 좋고, 축방향(AD)에서 대략 일치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슬라이딩 코어(60)의 단부(62)가 오목부(16)에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저부(14)의 오목부(16)가 생략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플런저(30)는, 대략적인 원기둥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기둥 형상의 외관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슬라이딩 코어(60) 및 요크(10)의 통부(12)는, 대략적인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플런저(30)의 외관 형상에 따른 통형상의 외관 형상으로 설계되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이룬다.
(4) 상기 각 실시형태의 솔레노이드(100, 100a, 100b)는, 차량용 자동 변속기에 공급하는 작동유의 유압을 제어하기 위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300)에 적용되고, 스풀 밸브(200)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로서 기능하고 있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엔진의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의 밸브 타이밍을 조정하는 밸브 타이밍 조정장치의 전자기 유로전환밸브 등, 임의의 솔레노이드 밸브에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스풀 밸브(200)에 대신하여, 포핏(poppet) 밸브 등의 임의의 밸브를 구동시켜도 좋고, 밸브에 대신하여, 스위치 등의 임의의 피구동체를 구동시켜도 좋다.
본 개시는,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의 개요의 란에 기재한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각 실시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은, 상기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 또는 상기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 적절히 교체나 조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인 것으로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1. 솔레노이드(100, 100a, 100b)로서,
    통전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는 코일(20);
    상기 코일의 내주면에 배치된 통형상의 슬라이딩 코어(60);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축방향(AD)으로 슬라이딩하는 기둥 형상의 플런저(30);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통형상의 통부(12)와, 상기 통부에 이어져서 상기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기단면(34)과 대향하는 저부(14)를 가지고, 상기 코일과 상기 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플런저를 수용하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요크(10, 10a, 10b);
    상기 축방향에서 상기 플런저의 선단면(32)과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코일이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를 자기흡인하는 자기흡인 코어(50); 및
    상기 저부와 대향하는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단부(62)의 외주측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코어와 상기 요크의 사이에서 자속을 주고받는 자속전달 부재(80)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기 기단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자기흡인 코어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상기 단부의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단부보다도 상기 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저부측이고,
    상기 저부에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자기흡인 코어로부터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플런저의 상기 기단면을 수용하는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 코어의 상기 단부는 상기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솔레노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상기 기단면의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자기흡인 코어에 가장 가까워진 상태에서 상기 자속전달 부재의 상기 저부와 대향하는 단면(86)의 상기 축방향을 따르는 위치와 같거나, 또는 상기 단면보다도 상기 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저부측인
    솔레노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부 중, 상기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상기 오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18)가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4. 삭제
  5. 삭제
KR1020217005313A 2018-10-02 2019-09-24 솔레노이드 KR102364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87067A JP6919639B2 (ja) 2018-10-02 2018-10-02 ソレノイド
JPJP-P-2018-187067 2018-10-02
PCT/JP2019/037249 WO2020071172A1 (ja) 2018-10-02 2019-09-24 ソレノイ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067A KR20210034067A (ko) 2021-03-29
KR102364053B1 true KR102364053B1 (ko) 2022-02-18

Family

ID=7005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5313A KR102364053B1 (ko) 2018-10-02 2019-09-24 솔레노이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83979B2 (ko)
JP (1) JP6919639B2 (ko)
KR (1) KR102364053B1 (ko)
CN (1) CN112789696B (ko)
DE (1) DE112019004958T5 (ko)
WO (1) WO202007117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8781A (ja) 2009-11-16 2011-06-02 Denso Corp リニアソレノイド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221714U1 (de) * 1982-07-30 1982-09-23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omagnetischer Schalter, insbesondere für Andrehvorrichtungen von Brennkraftmaschinen
DE19602118C2 (de) * 1996-01-22 1999-12-30 Siemens Ag Elektrisches Schaltgerät
JP2001143924A (ja) * 1999-11-15 2001-05-25 Aisin Seiki Co Ltd 電磁石
JP2004068601A (ja) * 2002-08-01 2004-03-04 Hitachi Ltd ソレノイ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タータ
JP4285354B2 (ja) * 2004-07-26 2009-06-24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ニアソレノイドおよび電磁弁
JP2006286258A (ja) * 2005-03-31 2006-10-19 Denso Corp スタータ用電磁スイッチ
JP4569371B2 (ja) 2005-04-28 2010-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ニアソレノイド
JP4569542B2 (ja) * 2006-02-13 2010-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4525610B2 (ja) * 2006-02-23 2010-08-1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
JP2009036328A (ja) * 2007-08-02 2009-02-19 Denso Corp リニアソレノイド
EP2023363B1 (en) * 2007-08-08 2017-08-30 Denso Corporation Magnet switch with magnetic core designed to ensure stability in operation thereof
JP5387296B2 (ja) * 2009-09-30 2014-01-1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装置
JP5392002B2 (ja) * 2009-10-28 2014-01-2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装置
JP4844672B2 (ja) * 2009-12-01 2011-12-28 株式会社デンソー リニアソレノイド
JP5724616B2 (ja) * 2011-05-18 2015-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イッチ
JP5712981B2 (ja) * 2012-08-11 2015-05-07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スプール弁
JP2014190447A (ja) * 2013-03-27 2014-10-06 Aisin Aw Co Ltd 電磁弁駆動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磁弁駆動装置
JP5920376B2 (ja) * 2014-02-21 2016-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ソレノイド
JP6477410B2 (ja) * 2015-10-19 2019-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油圧制御用電磁弁
JP6668726B2 (ja) * 2015-12-10 2020-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磁弁
JP2017157791A (ja) * 2016-03-04 2017-09-0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電磁弁用コアの製造方法及び電磁弁用コア
JP6701823B2 (ja) * 2016-03-10 2020-05-27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電磁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8781A (ja) 2009-11-16 2011-06-02 Denso Corp リニアソレノ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89696B (zh) 2022-07-22
WO2020071172A1 (ja) 2020-04-09
KR20210034067A (ko) 2021-03-29
DE112019004958T5 (de) 2021-06-17
US20210217547A1 (en) 2021-07-15
US11783979B2 (en) 2023-10-10
JP6919639B2 (ja) 2021-08-18
JP2020057687A (ja) 2020-04-09
CN112789696A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5441B2 (ja) リニアソレノイド装置および電磁弁
JP4844672B2 (ja) リニアソレノイド
KR102450682B1 (ko) 솔레노이드
JP4525736B2 (ja) リニアソレノイド
JP2009036328A (ja) リニアソレノイド
US20100301978A1 (en) Linear actuator
KR20210064375A (ko) 솔레노이드
JP7107286B2 (ja) ソレノイドバルブ
WO2020110884A1 (ja) ソレノイド
US11646141B2 (en) Solenoid valve
KR102364053B1 (ko) 솔레노이드
US12068106B2 (en) Solenoid valve
JP7183985B2 (ja) ソレノイド
US20230013945A1 (en) Solenoid valve
JP2009281469A (ja) リニアソレノイド
US20230011647A1 (en) Solenoid valve
JP7088131B2 (ja) ソレノイ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