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638B1 -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 Google Patents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638B1
KR102363638B1 KR1020200077148A KR20200077148A KR102363638B1 KR 102363638 B1 KR102363638 B1 KR 102363638B1 KR 1020200077148 A KR1020200077148 A KR 1020200077148A KR 20200077148 A KR20200077148 A KR 20200077148A KR 102363638 B1 KR102363638 B1 KR 102363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groove
plate member
wheel
bu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609A (ko
Inventor
김형진
곽재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7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63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5/00Apparatus for placing vehicles on the track; Derailers; Lifting or lowering rail vehicle axles or wheels
    • B61K5/04Devices secured to the track
    • B61K5/06Derailing or re-railing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매립형 궤도에서 탈선이 발생할 경우, 설치가 용이하여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며, 차륜을 궤도의 홈으로 복귀시 차륜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차륜을 가이드함으로써, 차륜의 손상을 방지하는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립형 궤도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차륜을 가이드하는 차륜 유도 플랜지와, 상기 상판부재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매립형 궤도의 홈에 삽입되는 하부 돌출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돌출부의 측면에는 상기 홈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고정키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키를 홈의 내측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임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side fixing type rerailing device for buried track}
본 발명은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매립형 궤도에서 탈선이 발생할 경우, 설치가 용이하여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며, 차륜을 궤도의 홈으로 복귀시 차륜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차륜을 가이드함으로써, 차륜의 손상을 방지하는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선기는 차륜을 궤도로 유도하기 위해 궤도 상부나 측면부에 복선기를 거치하고 고정 키나 고정 고리 등을 이용, 궤도에 복선기를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중에서 궤도 상부 거치식 복선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 중앙부위에 궤도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복선기 몸체가 복선기 중앙부에서 좌·우측으로 벌어져 있다.
이러한 방식은 돌출된 궤도 상부에 복선기를 올려놓고 선로와 복선기 사이에 형성된 키 삽입구에 키를 삽입하여 복선기를 궤도에 고정하고 복선기 몸체 양 측면에 차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유도 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도 측면부 거치식 복선기는 복선기 몸체를 궤도 측면에 위치시키고 몸체와 연결된 후크를 궤도 하부 빈 곳을 통해 궤도 반대쪽 측면에 고리로 고정한 후 복선기 몸체 쪽 후크 구멍에 쐐기를 끼워 넣어 복선기 몸체를 궤도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상기 복선기들은 탈선된 차륜 전방에 복선기를 위치시키고 차륜이 복선기 몸체에 설치된 유도 턱을 따라 탈선된 바닥 면에서 궤도 상부로 이동하도록 차량을 견인하여 복선 시킨다.
그런데, 전술한 기존의 복선기는 기존의 돌출된 궤도 구조물에 사용되도록 고안된 장치로 궤도 구조물 사이 비어 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복선기를 궤도에 고정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궤도 구조물의 공간 활용이 어려운 매립형 궤도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복선기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또한, 기존 복선기는 탈선 상태에서 궤도 상면으로 차륜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복선기의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큰 견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경사면이 미끄럽거나 복선기 진입 각도가 크면 복선기가 궤도에서 밀려 제 위치를 확보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복선기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더라도 최종적으로 차륜이 궤도에 제대로 안착하지 못하고 급격히 이탈하여 낙하할 경우, 재이탈로 인해 차륜이나 궤도에 손상이 발생하거나 차량 하부 장치가 비교적 높이가 있는 복선기와의 접촉으로 인해 큰 충격력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미국등록특허 US8590457 B2 미국등록특허 US9010252 B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매립형 궤도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차륜을 가이드하는 차륜 유도 플랜지와 상기 상판부재의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매립형 궤도의 홈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돌출부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복선기를 설치할 수 있어 탈선 발생시 신속하게 복선기를 설치하여 탈선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 돌출부에는 매립형 궤도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고정키 및 고정키를 가압하는 가압볼트가 수용되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 돌출부의 전단이 상판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탈선된 차륜이 매립형 궤도의 홈으로 유도될 때, 경사면에 의해 충격없이 복귀하도록 하여 차륜의 손상을 방지하는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매립형 궤도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차륜을 가이드하는 차륜 유도 플랜지와, 상기 상판부재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매립형 궤도의 홈에 삽입되는 하부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돌출부의 측면에는 상기 홈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고정키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키를 홈의 내측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임볼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볼트는 상기 설치홈의 하면에 형성되는 볼트공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상부에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가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설치홈의 상부에는 상기 상판부재를 상하 관통하도록 작업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는 상기 조임볼트의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돌출부는 상기 상판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매립형 궤도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차륜을 가이드하는 차륜 유도 플랜지와 상기 상판부재의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매립형 궤도의 홈에 삽입 고정되는 하부 돌출부로 이루어져 용이하게 복선기를 설치할 수 있어 탈선 발생시 신속하게 복선기를 설치하여 탈선을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하부 돌출부에는 매립형 궤도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고정키 및 고정키를 가압하는 가압볼트가 수용되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 돌출부의 전단이 상판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은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탈선된 차륜이 매립형 궤도의 홈으로 유도될 때, 경사면에 의해 충격없이 복귀하도록 하여 차륜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궤도 상부 거치식 복선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궤도 측면부 거치식 복선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매립형 궤도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설치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설치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지지부재 및 고정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하부 돌출부가 매립형 궤도의 홈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매립형 궤도에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설치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설치과정을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지지부재 및 고정키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의 하부 돌출부가 매립형 궤도의 홈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100)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매립형 궤도(30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판부재(110)와 상기 상판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차륜을 가이드하는 차륜 유도 플랜지(120)와 상기 상판부재(11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매립형 궤도(300)의 홈(310)에 삽입되는 하부 돌출부(1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판부재(110)는 일측면은 선로와 수평으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선로와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상기 차륜 유도 플랜지(120)는 상판부재(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내측 플랜지(120a)와 상판부재(11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외측 플랜지(120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랜지(120a,120b)는 상기 상판부재(110)의 양측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탈선된 차륜을 매립형 궤도(300)의 홈(310)으로 안내하게 되는데, 상기 외측 플랜지(120b)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내측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100)의 하부 돌출부(130)를 매립형 궤도(300)의 홈(310)에 삽입하고 외측 플랜지(120b)가 탈선된 차륜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탈선된 차륜이 차륜 유도 플랜지(120)를 따라 이동하여 복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측 플랜지(120a)는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지는 선로에서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차륜의 내측면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하며, 외측 플랜지(120b)는 차륜의 외측면 방향에 위치하기 때문에 차륜의 답면이 형성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내측 플랜지(120a)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 및 외측 플랜지(120a,120b)로 이루어지는 차륜 유도 플랜지(120)의 높이는 차륜 플랜지 및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는 기기 배치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돌출부(130)는 상기 상판부재(110)의 하면에 상기 내측 플랜지(120a)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하부 돌출부의 측면에는 상기 홈(310)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고정키(220)가 설치되어 본 발명의 매립형 궤도 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10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돌출부(130)의 측면에는 설치홈(14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키(2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설치홈(14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키(220)를 홈(310)의 내측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임볼트(2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임볼트(210)는 상기 설치홈(140)의 하면에 형성되는 볼트공(144)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212)와 상기 나사부(212)의 상부에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가압부(214)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볼트공(144)에 나사 결합된 조임볼트(210)를 회전시켜 하방으로 이동시킬수록 상기 가압부(214)에 의해 상기 고정키(220)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홈(310)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하부 돌출부(130)를 홈(310)의 내측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며, 상기 조임볼트(210)가 설치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볼트(210)의 상단은 상판부재(1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탈선된 차륜이 상판부재(110)의 상부를 이동하더라도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설치홈(140)의 상부에는 작업창(142)이 형성되는데, 상기 작업창(142)은 상기 하부 돌출부(1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부재(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작업창(142)을 통하여 상기 조임볼트(210)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설치홈(140)의 내측에는 지지부재(23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부재(230)의 일측면은 상기 설치홈(140)의 내측면과 접하고 타측면은 상기 조임볼트(210)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창(142)을 통하여 드라이버나 랜치를 사용하여 조임볼트(210)를 회전시켜 고정키(220)를 외측으로 가압할 때, 고정키(2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재(230)에 의해 조임볼트(210)가 지지됨으로써, 조임볼트(210)가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키(220)를 외측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키(220)와 지지부재(230)는 조임볼트(210)와 접하는 면에 반원형상으로 가압홈(222)과 지지홈(232)이 각각 형성되는데, 조임볼트(210)가 가압홈(222)과 지지홈(23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키(220)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조임볼트(21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키(220)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홈(140)은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100)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을 형성할 수 있는데,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탈선된 차륜의 위치에 따라 적절한 복선기(100)를 설치하여 탈선을 복구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재(1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돌출부(130)의 단부는 상판부재(1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상판부재(110)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의 상면은 단부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32)이 형성된다.
그래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132)은 상판부재(110)의 단부에서부터 매립형 궤도(300)의 홈(310)의 하면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탈선된 차륜이 홈(310)으로 복귀할 때, 상기 경사면(132)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복귀시에 발생하는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륜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매립형 궤도에서 탈선이 발생할 경우, 설치가 용이하여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며, 차륜을 궤도의 홈으로 복귀시 차륜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차륜을 가이드함으로써, 차륜의 손상을 방지하는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에 관한 것이다.
100 : 복선기 110 : 상판부재
120 : 차선 유도 플랜지 130 : 하부 돌출부
140 : 설치홈 210 : 조임볼트
220 : 고정키 230 : 지지부재
300 : 매립형 궤도 310 : 홈

Claims (6)

  1. 매립형 궤도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판부재와,
    상기 상판부재의 양측에 형성되어 차륜을 가이드하는 차륜 유도 플랜지와,
    상기 상판부재의 하부에 돌출 형성되어 매립형 궤도의 홈에 삽입되는 하부 돌출부로 이루어고,
    상기 하부 돌출부의 측면에는 상기 홈의 내측면을 가압하는 고정키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키를 홈의 내측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조임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설치홈의 상부에는 상기 상판부재를 상하 관통하도록 작업창이 형성되어 상기 작업창을 통하여 상기 조임볼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볼트는 상기 설치홈의 하면에 형성되는 볼트공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의 상부에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가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의 내측에는 상기 조임볼트의 내측을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돌출부는 상기 상판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재의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KR1020200077148A 2020-06-24 2020-06-24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KR102363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148A KR102363638B1 (ko) 2020-06-24 2020-06-24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148A KR102363638B1 (ko) 2020-06-24 2020-06-24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609A KR20210158609A (ko) 2021-12-31
KR102363638B1 true KR102363638B1 (ko) 2022-02-17

Family

ID=7917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148A KR102363638B1 (ko) 2020-06-24 2020-06-24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6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23483Y (zh) 2006-08-21 2008-02-20 刘健 轮滑式复轨器
CN203410475U (zh) 2013-08-19 2014-01-29 河南广瑞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复轨器导向棱及新型内侧复轨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13B1 (ko) * 2003-07-08 2005-04-27 삼영기계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브레이크 디스크 조립체
US8590457B2 (en) 2011-08-16 2013-11-26 Pennsy Corporation Lightweight rerailer
KR101266914B1 (ko) * 2011-09-30 2013-05-24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가선 저상 트램 시스템
KR200471700Y1 (ko) * 2011-12-14 2014-03-26 서울메트로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23483Y (zh) 2006-08-21 2008-02-20 刘健 轮滑式复轨器
CN203410475U (zh) 2013-08-19 2014-01-29 河南广瑞汽车部件股份有限公司 复轨器导向棱及新型内侧复轨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609A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8967B2 (en) Retaining rail for fixing a slide-in module in a mounting cradle of a computer
JP4102442B2 (ja) ねじ山付ボルトに上下いずれの側からでも被せ嵌めることのできるボルト収容部を備えた導管ホルダ
KR102363638B1 (ko)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EP2307236A1 (en) Fastening device for a housing in a receiving device
KR102426978B1 (ko) 저상트램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JPS61214905A (ja) 迅速交換切削ダイヘツド装置
CA2270458C (en) Improved lightweight and ultra-lightweight portable derails
WO2021190747A1 (en) Formwork apparatus
KR102276211B1 (ko) 매립형 궤도용 복선기장치
KR102308419B1 (ko) 매립형 궤도용 조립식 탈선 복구 장치
US6203383B1 (en) Lever action battery terminal apparatus
KR200281832Y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빔
JPS5834682B2 (ja) 取付機構
KR102633967B1 (ko) 트럭의 사이드가드 고정 장치
KR910008241Y1 (ko) 착탈식 블랭크 커버 고정장치
KR102327642B1 (ko)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JPS5817827Y2 (ja) 騒音防止用スプリングを取付けた側溝コ−ナ−アングル
JPS627659Y2 (ko)
KR910004881Y1 (ko) 케이블 트로리 장치(cable trolley system)
JPH0528860Y2 (ko)
RU20489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легк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на транспортной платформе
JP3031504B2 (ja) エレベータガイドレールの運搬台車
JPH017644Y2 (ko)
KR20160115622A (ko) 차량용 루프 래크 체결장치
AU2009267256B2 (en) Fastening device for a housing in a receiv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