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642B1 -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642B1
KR102327642B1 KR1020210061134A KR20210061134A KR102327642B1 KR 102327642 B1 KR102327642 B1 KR 102327642B1 KR 1020210061134 A KR1020210061134 A KR 1020210061134A KR 20210061134 A KR20210061134 A KR 20210061134A KR 102327642 B1 KR102327642 B1 KR 102327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container box
stopper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642B9 (ko
Inventor
김종우
Original Assignee
퍼스트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스트 유한회사 filed Critical 퍼스트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6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642B1/ko
Publication of KR10232764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64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4Contents retaining means
    • B65D90/0073Storage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0Elements for spacing platforms from supporting surface
    • B65D19/42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44Elements or devices for locating articles on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이동의 제한을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어 보관상의 안정성을 제공하며, 벽면이나 다른 랙에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가 구비되어 내구성의 향상을 제공하는 수납용 랙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은 하단의 각 코너 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고, 전면과 후면의 하부에 이동의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며,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하부가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하중의 쏠림에 의한 상부 구조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부가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사각의 프레임 형상인 본체부,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걸림턱과 연계하여 본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부의 말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Movable storage rack}
본 발명은 물품 운송용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 탑재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랙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어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이동의 제한을 위한 스토퍼가 구비되어 보관상의 안정성을 제공하며, 벽면이나 다른 랙에의 지지를 위한 지지부가 구비되어 내구성의 향상을 제공하는 수납용 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외로의 물품 운송이나 대규모의 물품 운송에는 운송상의 편의와 물품의 보호를 위해 컨테이너 박스가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는 이송상의 편의와 물품의 보호를 위한 수납용 랙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에너지를 동력으로 이용하는 전기추진 선박에는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위한 다수의 배터리셀이 탑재될 수 있으며, 여기에도 다수의 배터리셀의 이송상의 편의와 관리상의 편의 그리고 보호를 위한 목적으로 컨테이너 박스와 수납용 랙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항공기, 선박 또는 차량에 의해 운송되거나 선박에 탑재되는 컨테이너 박스에는 내부에 보관된 물품이나 배터리셀의 보호를 위한 일정한 안정성이 요구되며,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 수납용 랙이 탑재되는 경우에는 그 수납용 랙의 유동과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결속 수단이나 고정 수단의 이용이 반드시 필요하다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 보관된 물품이나 랙과 같은 중량물의 안전한 이송을 위한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5833호의 “컨테이너의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고정되는 중량물 지지대”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6868호의 “화물 고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플래트 랙 컨테이너”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5833호의 “컨테이너의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고정되는 중량물 지지대”에는 컨테이너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컨테이너의 측벽을 가압할 수 있는 가압 위치와 컨테이너의 측벽으로부터 분리되는 분리 위치의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한 스토퍼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별도의 라싱 작업이나 네일링 작업 없이도 컨테이너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6868호의 “화물 고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플래트 랙 컨테이너”에는 측면보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 부재와 그 회전 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베이스의 상면에 올려진 화물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화물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화물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한 상태로 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과 같이 컨테이너 박스 내부에 탑재된 중량물의 하부 측을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컨테이너 박스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식만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항공기의 비행, 선박의 항해 그리고 차량의 주행 중에는 난기류, 풍랑, 급정거 등의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차량 등에 탑재된 컨테이너 박스에도 상당한 정도의 흔들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서 하부가 고정된 상태인 수납용 랙의 상부에는 과도한 하중의 쏠림으로 인한 변형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박스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방식만으로는 차량의 좌우 회전으로 인한 원심력의 작용이나 급정거로 인한 관성력의 작용에 따라 그 내부에 탑재된 물품이나 수납용 랙이 유동하거나 넘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이 가진 단점을 개선함으로써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 탑재되는 수납용 랙을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과도한 하중의 쏠림으로 인한 상부 구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5833호(2017. 11. 3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06868호(2021. 01. 19.)
본 발명에 의한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
컨테이너 박스를 운송하는 항공기의 비행, 선박의 항해 그리고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난기류, 풍랑, 급정거 등의 다양한 문제로 인해 그 컨테이너 박스에 상당한 정도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내부에서 하부가 고정된 상태인 수납용 랙의 상부에 과도한 하중의 쏠림으로 인한 구조의 변형이 발생하게 될 수 있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하단의 각 코너 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고, 전면과 후면의 하부에 이동의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걸림턱이 구비되며,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하부가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하중의 쏠림에 의한 상부 구조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부가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사각의 프레임 형상인 본체부;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과 연계하여 상기 본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및,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의 말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은,
수납용 랙의 전면과 후면의 하부에 구비되는 걸림턱과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이용하여 물품 또는 배터리셀이 수납된 상태인 수납용 랙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수납용 랙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벽면에 설치되는 고정부를 이용하여 과도한 하중의 쏠림으로 인한 수납용 랙의 상부 구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스토퍼를 이용하여 수납용 랙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지지부와 고정부를 이용하여 수납용 랙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물품 이송용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 탑재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랙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하단의 각 코너 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고, 전면과 후면의 하부에 이동의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걸림턱(101)이 구비되며,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하부가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하중의 쏠림에 의한 상부 구조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부(102)가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사각의 프레임 형상인 본체부(100);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01)과 연계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10); 및,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02)의 말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본체부(100)는 물품의 수납과 이송을 위한 용도로 이용되는 수납용 랙의 몸체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의 각 코너 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하나씩 구비되고, 전면과 후면의 하부에 이동의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걸림턱(101)이 각각 구비되며,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하중의 쏠림에 의한 상부 구조의 변형을 방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102)가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사각 프레임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하단이 네 변의 길이가 모두 동일한 정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마주보는 두 변의 길이가 다른 두 변의 길이와는 다른 직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단의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긴 변을 가진 일측면과 타측면을 전면과 후면으로 지칭하고, 다른 두 면을 측면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는 물품의 수납과 이송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전체의 기본적인 형상과 하단에 바퀴가 구비되는 점에 있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다른 랙 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부(100)는 전면과 후면의 하부에 걸림턱(101)이 구비되고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지지부(102)가 구비되는 점에 있어서는 다른 랙 장치와의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는 다른 랙 장치에 상기 걸리턱(101)과 같이 이동의 제한을 위한 목적의 수단이 구비되거나 상기 지지부(102)와 같이 상부 구조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의 수단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걸림턱(101)과 지지부(102) 각각의 구조와 이용 방식에 있어 그것들과는 현저한 차별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과 후면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101)은 바퀴에 의하여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본체부(100)의 하단보다 낮은 높이로 설치되며, 외형은 어떠한 형상이든 제한됨이 없으나 컨테이너 박스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토퍼(110)와의 연계를 위한 ㄴ자형의 홈을 가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에 구비되는 지지부(102)는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본체부(100)의 지지가 필요한 상황에서만 그 본체부(100)의 높이 방향과 직각을 이룬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길이를 연장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컨테이너 박스의 벽면이나 다른 수납용 랙과의 거리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02)는 말단부가 ㄴ자형의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어 컨테이너 박스의 벽면에 설치되거나 다른 본체부(100)의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는 고정부(120)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부(120)와의 연계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1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이며,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가 탑재되는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바닥면에 일정한 대형을 이루며 다수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01)과 하나씩 연계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컨테이너 박스에 탑재된 본체부(10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10)는 내부에 볼트홈을 가진 레일홈이 상단에 형성된 상태로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받침 블록(11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10)는 관통홀이 상단에 형성되고 양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형의 누름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10)는 상기 누름부(112)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그 내부의 볼트홈에 말단부가 체결되는 볼트와 그 볼트에 체결되며 누름부(112)를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직 조임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직 조임부(113)는 상기 누름부(112)와 너트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누름부(112)에 대한 수직 조임부(113)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110)를 구성하는 받침 블록(111)은 상기 본체부(100)가 탑재될 위치를 고려하여 컨테이너 박스의 바닥면에 미리 설치되거나 본체부(100)가 탑재된 위치를 고려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바닥면에의 설치 방식으로는 용접을 통한 설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걸림턱(101)의 하단이 받침 블록(111)의 상단에 밀착하는 형태가 되도록 이동하여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일정한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후,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형인 상기 누름부(112)의 양측 말단부가 받침 블록(111)과 걸림턱(101) 각각에 하나씩 밀착된 상태에서 그 누름부(112)가 수직 조임부(113)에 의해 강하게 압박되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체부(1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턱(101)에 형성된 ㄴ자형의 홈에는 상기 누름부(112)의 일측 말단부의 일부가 삽입되며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됨으로써 걸림턱(101)에 대한 누름부(112)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박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부(100)의 이동방향을 올바른 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받침 블록(111)의 상방에 상기 걸림턱(101)을 위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스토퍼(110)에 걸림턱(101)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130)는 상기 본체부(100) 하단의 바퀴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입구가 확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본체부(10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130)로의 진입 방향과 그 진입 방향의 반대의 방향으로만 제한함으로써 본체부(100)의 다른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컨테이너 박스의 바닥면에 설치된 스토퍼(110)에 걸림턱(101)이 체결됨에 따라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의 이동이 완전히 제한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130)에 의해 일측면과 타측면 방향으로의 이동이 완전히 제한됨으로써 전후좌우 사방으로의 이동이 완전히 제한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본체부(10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가 탑재되는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102)의 말단부와 연계함으로써 본체부(100)의 하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하중의 쏠림으로 인한 상부 구조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복수 개의 걸림턱(101)과 복수 개의 스토퍼(110) 상호 간의 일대일의 연계에 의하여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의 이동이 완전히 제한되고, 부가적으로는 상기 가이드(130)에 의하여 일측면과 타측면 방향으로의 이동이 완전히 제한됨으로써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하부만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상당한 정도의 흔들림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는 과도한 하중의 쏠림으로 인한 상부 구조의 변형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본체부(100)의 지지부(102)와 연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130)와 함께 본체부(100)의 측면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과도한 하중의 쏠림으로 인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부(100)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됨으로써 다른 본체부(100)에 설치된 지지부(102)와 연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는 양 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볼트홈을 가진 레일홈이 형성되며, 그 레일홈이 수평한 형태로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 벽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 블록(12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는 관통홀이 일측에 형성되는 ㄱ자형 블록의 형상인 받침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받침부(122)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홈에 말단부가 체결되는 볼트와 그 볼트에 체결되며 상기 받침부(122)를 고정시키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평 조임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평 조임부(123)는 상기 수직 조임부(113)와 동일하게 상기 받침부(122)와 너트의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받침부(122)에 대한 수평 조임부(123)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게 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부(120)를 구성하는 고정 블록(121)은 상기 본체부(100)가 탑재될 위치와 상기 지지부(102)가 설치된 높이를 고려하여 컨테이너 박스의 벽면에 미리 설치되거나 본체부(100)가 탑재된 위치와 지지부(102)가 설치된 높이를 고려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그 벽면에의 설치 방식으로는 용접을 통한 설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는 지지부(102)의 말단이 고정 블록(121)의 측면에 밀착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ㄱ자형인 받침부(122)를 이용하여 고정 블록(121)과 받침부(122)의 사이에 지지부(102)의 말단을 끼운 상태에서 수평 조임부(123)를 이용하여 강하게 조임으로써 상기 고정부(120)가 고정 설치된 방향으로의 본체부(100)의 이동을 제한함과 동시에 과도한 하중의 쏠림으로 인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지지부(102)는 축회전의 구성을 가진 것이므로, 그 말단이 고정 블록(121)과 받침부(122)의 사이에 끼인 형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받침부(122)의 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한 고정되어 축회전할 수 없게 되는 구성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본체부(100)는 지지부(102)와 고정부(120)가 연계함에 따라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측면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과도한 하중의 쏠림으로 인한 뒤틀림을 방지됨으로써 컨테이너 박스에 상당한 정도의 흔들림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도 수납된 물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본체부 → 101 : 걸림턱
→ 102 : 지지부
110 : 스토퍼 → 111 : 받침 블록
→ 112 : 누름부
→ 113 : 수직 조임부
120 : 고정부 → 121 : 고정 블록
→ 122 : 받침부
→ 123 : 수평 조임부
130 : 가이드

Claims (4)

  1. 물품 운송용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에 탑재되며 물품을 이송 및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수납용 랙에 있어서,
    하단의 각 코너 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가 구비되고, 전면과 후면의 하부에 이동의 제한을 위한 하나 이상의 걸림턱(101)이 구비되며, 양 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하부가 고정되어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하중의 쏠림에 의한 상부 구조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부(102)가 축회전 가능한 형태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사각의 프레임 형상인 본체부(100);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01)과 연계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10); 및,
    컨테이너 박스 내부의 벽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102)의 말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토퍼(110)는,
    양 측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볼트홈을 가진 레일홈이 상단에 형성된 상태로 컨테이너 박스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받침 블록(111);
    관통홀이 상단에 형성되고 양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테이퍼형의 누름부(112); 및,
    상기 누름부(112)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볼트홈에 말단부가 체결되는 볼트와 그 볼트에 체결되며 누름부(112)를 고정시키는 너트로 구성되는 수직 조임부(113);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걸림턱(101)은,
    ㄴ자형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 블록(111)과 상기 누름부(112)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입구가 확장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여 상기 스토퍼(110)에 상기 걸림턱(101)이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KR1020210061134A 2021-05-12 2021-05-12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KR102327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134A KR102327642B1 (ko) 2021-05-12 2021-05-12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134A KR102327642B1 (ko) 2021-05-12 2021-05-12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642B1 true KR102327642B1 (ko) 2021-11-17
KR102327642B9 KR102327642B9 (ko) 2022-10-21

Family

ID=7870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1134A KR102327642B1 (ko) 2021-05-12 2021-05-12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64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339A (ko) * 1998-05-15 1999-12-06 윤종용 대차의 가이드 장치
JP2001270592A (ja) * 2000-03-22 2001-10-02 Nissin Kogyo Co Ltd 輸送用コンテナ
WO2009102964A2 (en) * 2008-02-14 2009-08-20 Nord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testing containers, tray for holding cylinders and suction-basedchuck for robotic arm
US20140008359A1 (en) * 2012-07-06 2014-01-09 Applied Minds, Llc Expeditionary modules, systems and processes having reconfigurable mission capabilities packages
KR101378082B1 (ko) * 2012-12-05 2014-03-27 엔피씨(주) 컨테이너 적재용 랙
KR101805833B1 (ko) 2015-12-23 2017-12-07 주식회사 밴플러스 컨테이너의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고정되는 중량물 지지대
US20200307904A1 (en) * 2019-03-26 2020-10-01 Globe Composite Solution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wheeled shipping carts within a shipping container
KR102206868B1 (ko) 2019-09-27 2021-01-25 (주)밴플러스 화물 고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플래트 랙 컨테이너
US20210122564A1 (en) * 2018-04-27 2021-04-29 Jan Chabot Self-Load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339A (ko) * 1998-05-15 1999-12-06 윤종용 대차의 가이드 장치
JP2001270592A (ja) * 2000-03-22 2001-10-02 Nissin Kogyo Co Ltd 輸送用コンテナ
WO2009102964A2 (en) * 2008-02-14 2009-08-20 Nordson Corporation Apparatus for testing containers, tray for holding cylinders and suction-basedchuck for robotic arm
US20140008359A1 (en) * 2012-07-06 2014-01-09 Applied Minds, Llc Expeditionary modules, systems and processes having reconfigurable mission capabilities packages
KR101378082B1 (ko) * 2012-12-05 2014-03-27 엔피씨(주) 컨테이너 적재용 랙
KR101805833B1 (ko) 2015-12-23 2017-12-07 주식회사 밴플러스 컨테이너의 측벽을 가압함으로써 고정되는 중량물 지지대
US20210122564A1 (en) * 2018-04-27 2021-04-29 Jan Chabot Self-Loading Container
US20200307904A1 (en) * 2019-03-26 2020-10-01 Globe Composite Solution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wheeled shipping carts within a shipping container
KR102206868B1 (ko) 2019-09-27 2021-01-25 (주)밴플러스 화물 고정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플래트 랙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642B9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7645B2 (en) Cargo hold component system for convertible cargo hold
US8109393B2 (en) Holder and modular stacking system for safely storing and/or transporting frameless PV modules or other flat, cuboidal bodies
KR101947940B1 (ko) 콘테이너
KR102453268B1 (ko) 컨테이너 고정 장치
US20240025501A1 (en) Unmanned vehicle with separable functional module
KR101374128B1 (ko) 물류운반용 접이식 안전곤돌라
KR102327642B1 (ko)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KR100660262B1 (ko) 화물 운송 콘테이너
KR200482115Y1 (ko) 박스 고정식 화물 운반용 적층대차
JP2023121855A (ja) パネル保持アッセンブリ
US6698607B2 (en) Shipping platform lockdown
WO2020151182A1 (zh) 一种用于承接货物的托盘装置及具有其的集装箱
KR20220002464U (ko) 운반상자용 이탈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반상자
CN213444330U (zh) 一种运输架和集装箱
CN210913628U (zh) 一种用于集装箱的运输架及运输架模组
KR101075888B1 (ko) 산업용 운반장치
KR20100005371U (ko) 데크 트럭
KR200489068Y1 (ko) 반도체 장비의 부속품 적재 운반용 이동 대차
KR101048642B1 (ko) 운반대차의 적재 지그
JP4064171B2 (ja) 梱包装置
JPH05539U (ja) 荷役車両の荷箱
KR101584333B1 (ko) 화물 차량용 레벨 유지장치
KR20200007144A (ko) 풉 도어 오픈 방지 유닛을 구비한 oht 장치
KR101990596B1 (ko) 박스형 팔레트
JP2012236517A (ja) 自立型電気機器収納用箱の輸送用荷台へ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