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986Y1 - 분리형 이동식 도크 - Google Patents

분리형 이동식 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986Y1
KR200234986Y1 KR2019990003895U KR19990003895U KR200234986Y1 KR 200234986 Y1 KR200234986 Y1 KR 200234986Y1 KR 2019990003895 U KR2019990003895 U KR 2019990003895U KR 19990003895 U KR19990003895 U KR 19990003895U KR 200234986 Y1 KR200234986 Y1 KR 200234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
container
frame
forklift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8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666U (ko
Inventor
강인상
Original Assignee
맹은재
주식회사 제너럴도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은재, 주식회사 제너럴도크 filed Critical 맹은재
Priority to KR20199900038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986Y1/ko
Publication of KR20000005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6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986Y1/ko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트레일러상에 탑제되어 운송되는 컨테이너 등에 대해 지게차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積載) 또는 하역(荷役)작업시 컨테이너 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도크를 분리(分離)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동용 바퀴가 장착되며, 작업전후 소정장소에 보관 및 컨테이너에 탑제시켜 운송시 적층시켜 최소공간을 차지하도록 적어도 2곳 이상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단부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작업시 지면에밀착되는 지게차 진입발판과, 상기 몸체 상단부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며, 컨테이너 출입구측의 높낮이에 따라 작업시 상기 몸체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는 컨테이너 연결발판과, 상기 몸체의 연결부하방으로 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작업시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몸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보조다리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식 도크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트레일러상에 탑제되는 컨테이너 등에 대해 화물을 적재/하역작업시 컨테이너 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도크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형성하여작업전후 도크를 운반 및 보관하는 경우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크를 컨테이너내부에 수용하여 운송시 수개의 도크를 분리하여 컨테이너내부에 적층시킴에따라 도크의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작업전후 도크를 결합 및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이동식 도크{separation type mobile dock}
본 고안은 분리형 이동식 도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상에 탑제되어 운송되는 컨테이너 등에 대해 지게차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荷役)작업시 컨테이너 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도크를 분리(分離)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에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상의 컨테이너에 대해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작업시 컨테이너 출입구측이 지면으로 부터 소정높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지게차 등의 장비를이용하는 경우, 지게차가 컨테이너내부에 직접 출입할 수 없게되어 이동식 도크를컨테이너 출입구측에 설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도크의 사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에 대해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작업시 컨테이너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도크는, 일단이 지면에 접촉되는 경사부(1)와 일단이컨테이너 출입구측에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수평부(2)로서 본체(3)를 형성되며, 작업시 지면에 밀착되는 지게차 진입발판(4)이 경사부(1)상면에 대해 절첩시 밀착될수 있도록 소정의 경첩구조에 의해 경사부(1)하단부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전술한 진입발판(4)은 절첩시 취급이 용이하도록 분할형성되며, 경사부(1)하단 중앙에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하여 본체(3)를 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할수 있도록 이동고리(5)가 경사부(1)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형성되며, 본체(3)를 작업전후 이의 종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본체(3)의 좌우측면 소정위치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요홈(6)이 형성된다.
전술한 수평부(2)저면에 분리가능한 핸들(미도시됨)의 조작시 연동되어 승하강됨에 따라 수평부(2)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승강축(7)이 형성되며,승강축(7)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통타이어식 바퀴(8)가 회전자재토록 고정된다.
작업시 지게차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단이 컨테이너상에 안착되어 수평부(2)와 컨테이너사이의 유격을 제거하며, 컨테이너의 높낮이 변화에 따라 수평부(2)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화시키는 컨테이너 연결발판(9)이 소정의 경첩구조에 의해 수평부(2)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며, 연결발판(9)은 사용시 취급이 용이하도록 분할형성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이 형성되는 이동식 도크의 본체(3)가 단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이동식 도크를 컨테이너내부에 탑제시켜 운송하는 경우(예를들어, 이동식 도크의 수출입시) 컨테이너에 단 하나의 이동식 도크를 수용할 수 있게되므로 이동식 도크의 물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또한, 전술한 이동식 도크를 사용하지 않아 이를 건물내 또는 실외의 소정장소에 보관하는 경우, 이동식 도크가 차지하는 공간으로 인해 공간을 효울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레일러상에 탑제되는 컨테이너 등에 대해 화물을 적재/하역작업시 컨테이너 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도크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형성하여 작업전후 도크를 운반 및 보관하는 경우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있도록 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도크를 컨테이너내부에 수용하여 운송시 수개의 도크를 분리하여 컨테이너내부에 적층시킴에 따라 도크의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작업전후 도크를 결합 및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식 도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를 결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를 완전하게 분리시켜 2단형으로 적층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의 연결부의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의 안전용 스토퍼의 상세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를 결합시킨 상태의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를 완전하게 분리시켜 3단형으로 적층시킨 상태의 측면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O; 몸체
11; 제 1 프레임
12; 제 2 프레임
13; 핸들
14; 승강축
15; 이동용 바퀴
16; 이동고리
17; 진입발판
18; 요홈
19; 가이더
20; 체결부재
21,22; 고정편
23; 고정축
24; 핸들
25; 스토퍼
26; 스크류
27; 제 3 프레임
28; 보조다리
29; 삽입편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동용 바퀴가 장착되며, 작업전후 소정장소에 보관 및 컨테이너에 탑제시켜 운송시 적층시켜 최소공간을 차지하도록 적어도 2곳 이상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 하단부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작업시 지면에 밀착되는 지게차 진입발판과, 상기 몸체 상단부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며, 컨테이너 출입구측의 높낮이에 따라 작업시 상기 몸체에 전달되는 충격 및진동을 완화시키는 컨테이너 연결발판과, 상기 몸체의 연결부하방으로 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작업시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몸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보조다리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식 도크를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연결부좌우측에 형성되어 분리된 몸체를 연결시 연결위치를 센터링해주는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에 의해 센터링된 상기 몸체를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하여 작업시 상기 몸체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용 바퀴가 장착되는 승강축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도크를 보관 및 작업중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핸들을 회전시 상기 고정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이동용 바퀴에 밀착되어 상기이동용 바퀴를 제동시키는 스토퍼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연결부 및 상기 지게차 진입발판과대향되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를 연결 및 이동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편을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며, 이는 본 고안에 의한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업종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는, 도크를 작업전후 소정장소에 보관 및 컨테이너내부에 탑제시켜 운송시도크를 적층시켜 최소공간을 차지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몸체(10)를제 1 프레임(11)과 제 2 프레임(12)으로 분할 형성하되, 사용자에 의한 핸들(13)의회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정되는 승강측(14)이 제 2 프레임(12)하방에 좌우측으로 형성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통타이어로 형성된 이동용 바퀴(15)가 승강축(14)에 회전자재토록 고정된다.
전술한 제 1 프레임(11)하단부 중앙에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시켜 도크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고리(16)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작업시 몸체(10)에 상하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여 몸체(10)의 흔들림을 방지하는보조다리(28)가 전술한 제 2 프레임(12)하방으로 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작업시 지면에 밀착되는 지게차 진입발판(17)을 전술한 제 1 프레임(11)하단부에 소정의 경첩구조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고정하되, 진입발판(17)은 사용시 취급이 용이하도록 분할 형성된다. 진입발판(17)을 제 1 프레임(11)에 대해 접을 때 이동고리(16)를 수용하는 요홈(18)이 진입발판(17)의 소정위치에 형성된다.
컨테이너 출입구측에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지게차를 출입시키며, 컨테이너의높낮이 변화에 따라 작업시 몸체(10)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는 컨테이너 연결발판(38)을 전술한 제 2 프레임(12)상단부에 소정의 경첩구조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형성하되, 연결발판(38)은 사용시 취급이 용이하도록 분할 형성된다.
전술한 제 1 프레임(11)과 제 2 프레임(12)을 분리가능하게 연결시 이들의 연결위치를 센터링해주는 가이더(19)가 제 2 프레임(12)의 연결부좌우측에 형성되며, 작업시 몸체(10)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체결부재(20)에 의해 제 1프레임(11)과 제 2 프레임(12)을 고정하는 고정편(21,22)이 제 1 프레임(11)과 제 2 프레임(12)의 연결부에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다.
전술한 이동용 바퀴(15)가 장착되는 승강축(14)에 나사공이 형성된 고정축(23)이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도크를 소정장소에 보관 및 작업중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핸들(24)의 회전시 고정축(23)을 따라 이동하여 이동용 바퀴(15)에 밀착되어 제동시키는 스토퍼(25)가 나사공에 결합되는 스크류(26)에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는, 도크를 소정장소에 보관 또는 컨테이너 등에 탑제시켜 운송시키는 경우 공간활용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도크를 3단 분리형으로 형성할 수있다.
즉, 몸체(10)를 지게차 진입발판(17)이 형성되는 제 1 프레임(11)과, 컨테이너의 출입구측에 연장되어 컨테이너 작업발판(38)이 설치되는 제 3 프레임(27)과, 이들 사이에 게재되는 제 2 프레임(12)으로서 분할 형성된다. 이때, 제 1 프레임(11)과 제 2 프레임(12)의 연결부, 제 2 프레임(12)과 제 3 프레임(27)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가이더(19)와, 제 3 프레임(27)하방으로 형성되는 보조다리(28)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와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설명부호 29는 제 1 프레임(11)과 제 2 프레임(12)의 연결부 및 지게차 진입발판(17)과 대향되는 제 1 프레임(11)에 형성되어 도크를 연결 및 이동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편, 30은 작업시 제 2 프레임(12)을 컨테이너에 연장되도록 설치시 이들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고리 이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분리형 이동식 도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형으로 적층되어 소정장소에 보관되는 도크를사용하여 작업을 하게되는 경우, 전술한 제 1 프레임(11)과 지게차 진입발판(17)이 연결되는 제 1 프레임(11)의 연결부에 형성된 삽입편(29)에 대해 지게차의 포크를삽입시킨 후, 제 1 프레임(11)의 연결부위를 제 2 프레임(12)의 연결부위에 내려놓는 경우, 제 2 프레임(12)의 연결부좌우측에 형성된 가이더(19)에 의해 제 1 프레임(11)의 장착위치를 센터링해주기 때문에 제 2 프레임(12)에 대한 제 1 프레임(11)의 고정위치는 셋팅이 완료된다.
이때, 전술한 제 1 프레임(11)과 제 2 프레임(12)의 연결부의 좌우측에 대향되게 각각 형성된 고정편(21,22)에 대해 체결부재(20)를 각각 체결함에 따라(도 4에 도시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 프레임(12)에 대한 제 1 프레임(11)의 연결작업은 완료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 1 프레임(11)하단부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지게차 진입발판(17)을 펼쳐 지면에 밀착시키며, 제 2 프레임(12)상단부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컨테이너 연결발판(38)을 컨테이너의 출입구측에 연장되도록 설치후, 컨테이너에 대해 소정의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와 반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지는 도크를 이용하여 소정의 작업을 종료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크를 2단형으로 적층시켜 소정장소에 보관하거나 또는 컨테이너에 탑재시켜 운송시킬 수 있게된다.
즉, 제 1 프레임(11)하단부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지게차 진입발판(17)을 접어 제 1 프레임(11)에 밀착시키며, 제 1 프레임(11)과 제 2 프레임(12)의 연결부에 형성된 고정편(21,22)에 체결된 체결부재(20)를 푼상태에서, 지게차 진입발판(17)이 연결되는 제 1 프레임(11)의 연결부에 형성된 삽입편(29)에 지게차의 포크를 삽입시켜 포크를 리프팅시키는 경우, 제 2 프레임(12)으로 부터 제 1 프레임(11)은 분리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 1 프레임(11)을 제 2 프레임(12)상측에 안착시킴에 따라도크를 2단형으로 적층시킬 수 있게된다(도 3 참조). 이로 인해, 작업전후 도크를소정장소에 보관하거나, 컨테이너에 탑재시켜 운송시키는 경우(예를 들어, 도크를수출입 하는 경우) 도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을 효울적으로 사용하며, 도크를 운송하는 물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일러상에 탑제되는 컨테이너 등에 대해 화물을 적재/하역작업시 컨테이너 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이동식 도크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형성하여 작업전후 도크를 운반 및 보관하는 경우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도크를 컨테이너내부에 수용하여 운송시 수개의 도크를 분리하여 컨테이너내부에 적층시킴에 따라 도크의 물류비용을 최소화하며, 작업전후 도크를 결합및 분리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며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

  1. 이동용 바퀴가 장착되며, 작업전후 소정 장소에 보관 및 컨테이너에 탑제시켜 운송시 적층시켜 최소 공간을 차지하도록 적어도 2곳 이상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몸체;
    상기 몸체 하단부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작업시 지면에 밀착되는 지게차 진입벌판;
    상기 몸체 상단부에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며, 컨테이너 출입구측의 높낮이에 따라 작업시 상기 몸체에 전달되는 충격 및 진동을 완화시키는 컨테이너 연결발판;
    상기 몸체의 연결부 하방으로 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며, 작업시 상기 몸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몸체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보조다리;
    상기 몸체의 연결부 좌우측에 형성되어 분리된 몸체를 연결시 연결위치를 센터링 해주는 가이더; 및
    상기 가이더에 의해 센터링된 상기 몸체를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하여 작업시 상기 몸체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으로 이루어진 분리형 이동식 도크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바퀴가 장착되는 승강축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고정축; 및
    상기 도크를 보관 및 작업중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핸들을 회전시 상기 고정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이동용 바퀴에 밀착되어 상기 이동용 바퀴를 제동시키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과,
    상기 몸체의 연결부 및 상기 지게차 진입발판과 대향되는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를 연결 및 이동시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되는 삽입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식 도크.
KR2019990003895U 1999-03-11 1999-03-11 분리형 이동식 도크 KR200234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895U KR200234986Y1 (ko) 1999-03-11 1999-03-11 분리형 이동식 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895U KR200234986Y1 (ko) 1999-03-11 1999-03-11 분리형 이동식 도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66U KR20000005666U (ko) 2000-04-06
KR200234986Y1 true KR200234986Y1 (ko) 2001-09-13

Family

ID=5475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895U KR200234986Y1 (ko) 1999-03-11 1999-03-11 분리형 이동식 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9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08Y1 (ko) 2019-09-19 2020-01-21 주식회사 다연테크 조립식 경사로
KR20230007821A (ko)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뉴런모터스 상하차용 램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08Y1 (ko) 2019-09-19 2020-01-21 주식회사 다연테크 조립식 경사로
KR20230007821A (ko)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뉴런모터스 상하차용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66U (ko) 200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775B2 (en) Transport pallet
US6513442B1 (en) Foldable container for vehicles
EP3219644B1 (en) Collapsible container comprising a connecting mechanism
JPH08175541A (ja) 載荷物運搬用パレット
KR200482115Y1 (ko) 박스 고정식 화물 운반용 적층대차
JP2011079555A (ja) ポストパレット
KR200234986Y1 (ko) 분리형 이동식 도크
JP5415847B2 (ja) フィルム搬送用架台
WO2002081339A1 (en) Transport containe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palleted cargo in the transport container
JP2868964B2 (ja) 自動倉庫の入出庫設備及びそれを使っての入出庫方法
JP2865076B2 (ja) 荷物搬送用パレット
JP3986784B2 (ja) 梱包装置および緩衝材
CN212557571U (zh) 一种用于物品包装运输的托盘箱
JP3278367B2 (ja) フォークリフト
JPH10310208A (ja) タイヤ保管倉庫の入庫方法,入庫装置および収容ラック
US3580411A (en) Container having moveable wall
KR200361963Y1 (ko) 운반성 향상 롤테이너
JP2002114075A (ja) 荷受台昇降装置
JP4132572B2 (ja) 重心部に吊架台を有するコイルコンテナ
JP3669654B2 (ja) リフター付き自動車
JPS61226360A (ja) 折り畳み台車
KR101375805B1 (ko) 접이식 컨테이너
JP4154489B2 (ja) ボックスパレット
JPH0721587U (ja) 航空機タイヤ用コンテナ
JP2003095266A (ja) 搬送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