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371U - 데크 트럭 - Google Patents

데크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371U
KR20100005371U KR2020080015288U KR20080015288U KR20100005371U KR 20100005371 U KR20100005371 U KR 20100005371U KR 2020080015288 U KR2020080015288 U KR 2020080015288U KR 20080015288 U KR20080015288 U KR 20080015288U KR 20100005371 U KR20100005371 U KR 201000053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xing member
caster
sup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2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섭
Original Assignee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52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371U/ko
Publication of KR20100005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10Detachable wheels
    • B62B2205/104Detachable wheel units, e.g. together with the wheel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데크 트럭(deck truck)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 운반시 이동수단으로 사용되는 바퀴와 화물 적재시 사용되는 플레이트(plate)와의 결합에 있어서, 캐스터(caster)의 연결부재와, 캐스터를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공간에 결합하도록 하여, 종래의 용접 또는 볼트(bolt)결합에 비해, 캐스터와 플레이트의 결합을 보다 견고할 뿐만 아니라 캐스터의 플레이트에의 장착과 탈착이 용이한 데크 트럭에 관한 것이다.
플레이트, 탈착, 캐스터, 데크 트럭, 운반대차

Description

데크 트럭{Deck truck}
본 고안은 상자나 박스(box)와 같은 소형화물을 손쉽게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데크 트럭에 관한 것이다.
데크 트럭은 운반대차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데크 트럭의 종류에는 크게 1) 앵글을 절단하여 박스의 크기에 맞게 용접하고 바퀴를 앵글에 용접 또는 볼트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2)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합금으로 만든 틀에 바퀴를 볼트 결합하여 사용하거나, 3)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만든 판의 저면에 바퀴를 볼트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먼저, 앵글을 절단하거나, 경량합금으로 틀을 만든 운반대차의 경우, 적재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박스의 크기가 다를 경우 안정감 있게 박스를 운반할 수 없으므로, 박스의 크기에 따라 앵글 또는 틀의 크기를 달리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운반대차의 앵글이나 틀 또는 판과 결합하는 바퀴를 용접에 의해 고정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장 및 파손시에 교체가 불가능하여 박스운반대차를 새로 제작하거나, 다시 바퀴를 운반대차의 앵글이나 틀 또는 판에 용접작업을 통해 결합 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 1999-035052호의 박스운반대차가 제시된 바 있다.(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
종래기술 1은 제품박스가 올려지고 바퀴가 볼트로 고정되는 플레이트(1)와 상기 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제품운반대차의 크기를 조절하고 박스 운반대차의 골격을 이루며 이동시 제품박스를 고정시키는 U-볼트(4)가 체결되는 크기조절바(3)와 U-볼트, 회전형 바퀴(2)로 구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박스운반대차는 제품박스의 다양한 크기에 맞게 박스운반대차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형 바퀴(2)는 상기 플레이트(1)에 볼트에 의해 결합하므로, 용접 결합에 비해서는 고장 및 파손이 다소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의 박스운반대차는 상기 박스운반대차의 모서리 4군데에 각각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1)에 제품박스가 걸쳐지는 방식이므로, 제품박스의 크기가 다를경우, 상기 크기조절바(3)를 조절하여 제품박스에 크기에 맞게 상기 박스운반대차의 크기를 조절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형 바퀴(2)가 고장 파손될 경우, 상기 플레이트(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드라이버(driver) 또는 렌치(wrench)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회전형 바퀴(2)를 분리 후, 새로운 회전형 바퀴로 교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19400의 캐스터가 제시된 바 있다. (이하 종래기술 2라 한다)
종래기술 2는 대차 등의 하부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캐스터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복수개의 바퀴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캐스터 역시, 대차 등에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체(10)에는 다수의 결합공(12)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 등에 의해 대차 등과 결합하게 된다.
중량물을 적재하고 이동하게 되는 운반대차의 경우, 중량물의 무게를 복수 개의 캐스터가 감당하기 때문에 캐스터가 고장날 가능성이 높다.
상기 캐스터가 고장날 경우, 캐스터를 교체하거나 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체(10)와 대차를 결합시키는 볼트를 모두 풀려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박스나 화물을 적재 운반할 수 있는 데크 트럭에 있어, 데크 트럭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저면에 결합된 캐스터가 데크 트럭로부터 간편하게 탈착될 뿐만아니라 보다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는 데크 트럭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데크 트럭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형성된 벽면의 일부를 개방함으로써, 화물의 적재와 하역과정에서 화물을 들어올리는 높이를 감소시켜, 화물을 용이하게 플레이트에 적재할 수 있는 데크 트럭를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지지부와, 연결부가 형성된 캐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의 결합부에 상기 캐스터의 연결부가 끼워지고, 고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의 결합부에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상기 캐스터의 연결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는 벽면을 포함하되, 상기 벽면의 일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데크 트럭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1) 종래의 데크 트럭 또는 운반대차에 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데크 트럭은 캐스터의 탈착 및 장착과정에 있어서 별도의 도구(예를 들어, 드라이버, 렌치)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캐스터가 고장날 경우,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다.
(2) 본 고안에 의한 데크 트럭을 보관할 경우, 플레이트와 캐스터를 분리하여, 별도로 차곡차곡 쌓아서 보관하거나, 또는 플레이트와 캐스터를 분리하지 않고도 차곡차곡 쌓아 놓는 방법으로 적재보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단 적재시에서도 적재 안정성이 확보된다.
(3) 본 고안에 의한 데크 트럭은 화물을 적재하는 플레이트에 수직 상방향으로 형성되어, 화물을 적재 운반하는 과정에서 안정감을 향상시켜 주는 측면부분이 일부 개방되어 있으므로, 화물을 데크 트럭에 적재하기 위해, 작업자가 화물를 들어올려야 하는 높이가 감소하므로, 작업자의 허리에 부담을 줄여 근골격계 질환 감소 및 예방이 가능하다.
(4) 본 고안에 의한 데크 트럭에 따르면 측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데크 트럭의 화물 적재부인 플레이트의 면적보다 다소 큰 면적을 가지는 상자도 적재할 수 있다.
(5) 본 고안에 의한 데크 트럭에 따르면, 플레이트와 벽면에 데크 트럭 자체 운반시 사용자가 용이하게 운반을 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데크 트럭의 운반이 용이하다.
(6) 적재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이 사용자의 허리에 크게 부담을 주는 중량물일 경우에는 플레이트 벽면의 전면개방부를 화물에 대하여 기울이는 방법으로 화물을 플 레이트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데크 트럭(10)은, 크게, 화물을 적재하는 플레이트(100)와 화물을 싣고서 필요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350)를 포함하는 캐스터(300)와, 상기 캐스터(300)를 상기 플레이트(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먼저 상기 플레이트(100)에 대해 도 2, 도 3, 도 4 와 도 5를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필요한 물건이나 화물을 적재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플레이트(100)는 판(板)의 형상이며, 사용되는 작업환경에 따라 막혀 있거나 또는 일부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0)가 막혀 있는 판의 형상인 경우에는, 크기와 형상이 다양한 비규격 화물의 적재 운반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0)가 관통공이 형성된 판의 경우에는, 크기가 비교적 규격화된 화물의 적재 운반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현장 등에서 비교적 규격화된 화물의 다단 적재에 사용되는 데크 트럭(10)에 있어, 상기 플레이트(100)의 일부에 관통공을 형성시킬 경우 상기 플레이트(100)의 자체 강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으며, 상기 데크 트럭(10) 자체의 무게를 경량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게는 화물 운반에 필요한 힘을 조금이라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100)를 구비한 데크 트럭(10)이 정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에 비해서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길이가 긴 장측부(140)와 길이가 짧은 단측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100)에는 제 1관통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제 1관통부(120)는 상기 플레이트(100)의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데크 트럭(10)을 정면에서 봤을 때, 상기 플레이트 제 1관통부(120)의 상하좌우에는 복수의 제 2관통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 상면(115)의 모서리로부터 약간 떨어진 곳에는 오목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상면(115)에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 오목 공간(130)은 적재되어 운반하고자 하는 박스의 저면 모서리가 박스의 저면보다 약간 돌출된 형상을 가진 박스의 적재하는 경우, 박스의 저면 모서리가 상기 플레이트 오목 공 간(130)에 걸리게 됨으로써, 박스를 안정감 있게 적재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레이트(100)의 전반적인 형상은 상기 데크 트럭(10)을 정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을 가진다는 것은 전술한 바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측부(140)와 단측부(150)에는 상기 테크 트럭(10) 자체를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가 형성되며, 이러한 테크 트럭 자체 운반용 손잡이는 4개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의 제 3관통부(122)와 상기 플레이트 장측부 측면(141) 사이를 플레이트 장측부 제 1손잡이(146)라고 한다.
사용자는 상기 플레이트 장측부 제 1손잡이(146)를 잡고, 상기 데크 트럭(10) 자체를 운반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측부(140)에는 플레이트 장측부 제 2손잡이(147)가 형성되며, 후술할 벽면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손잡이(155)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손잡이(155)는 상기 플레이트 제 3관통부(122)와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측면(151)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플레이트 제 1관통부(120)의 상하좌우에는 상기 플레이트 제 3관통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제 3관통부(122)의 모서리도 라운드 가공처리를 한다.
상기 플레이트 제 3관통부(122)와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측면(151) 사이를 플레이트 단측부 손잡이(155)라 한다.
사용자는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손잡이(155)를 잡고, 상기 데크 트럭(10) 자체를 운반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는 상기 플레이트 장측부(140)와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150)마다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겠지만 상기 플레이트 장측부(140)에 형성된 벽면(160)에도 별도의 손잡이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캐스터(300)에 대해 도 6과 도 7를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캐스터(300)는 필요한 물건이나 화물을 싣고서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운반대차나 중량체인 산업용 기계나 중량제품 등의 저면에 설치하여 중량물인 기계나 제품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캐스터(300)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에 연결되는 연결부(310)와 상기 연결부(310)와 결합하여 360도 회전을 가능하도록 하는 본체(301)와, 상기 본체(301)에 결합하는 바퀴(350)로 구성된다.
상기 바퀴(350)는 상기 캐스터 본체 팔 부재(30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309)에 위치하며, 상기 바퀴(350)의 중심에는 관통공(351)이 형성된다.
상기 바퀴 관통공(351)은 상기 캐스터 본체 팔 부재(307)의 하단에 형성된 관통공(308)과 일직선을 이룬다.
상기 바퀴 관통공(351)과 상기 캐스터 본체 팔 부재 관통공(308)에는 캐스터 본체와 바퀴 연결부재(330)가 관통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캐스터 본체와 바퀴 연결부재(330)는 볼트 등을 사용하며, 상기 캐스터 본체와 바퀴 연결부재(330)에 의해 상기 바퀴(350)는 상기 캐스터 본체(301)에 결합된다.
상기 바퀴(350)와 상기 상기 캐스터 본체(301)는 종래기술로 제시되었던 캐스터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 위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는 위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 형상이며, 후술할 플레이트 결합부(200)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의 중심에는 캐스터 연결부 관통공(313)이 형성된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 관통공(313)에 캐스터 본체와 연결부 고정부재(320)가 끼워지고,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와 상기 캐스터 본체(301)는 결합된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 관통공(313)에 끼워진 상기 캐스터 본체와 연결부 고정부재(320)는 볼트 결합 등에 의해 상기 캐스터 본체(301)와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를 결합시킬 수 있으며, 그밖의 여러 종류의 결합방법이 가능하다.
상기 바퀴(350)는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에 대하여, 360도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좁은 작업공간에서 물건을 적재 운반할 경우, 상기 데크 트럭(10)은 적은 회전반경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 저면(325)과 상기 캐스터 본체 상부(306) 사이에 완충부재(미도시)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캐스터(300)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이므로,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는 2개의 장측(311)과 2개의 단측(312)을 가지게 된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 장측(311) 중 하나는 후술할 플레이트 결합부 측면(210)와 접하게 된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 장측(311) 중 하나는 후술할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250)와 접하게 된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의 2개의 단측(312)은 모두 후술할 플레이트 결합부 측면(210)과 접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가 상기 플레이트(100)에 결합하는 부분인 플레이트 결합부(20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는 상기 플레이트 저면(105)의 플레이트 장측부 측면(141)에 위치하며, 상기 플레이트(100)에 있어 네 곳에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에는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에는 전술한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와 후술할 고정부재(400)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에는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25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캐스터 연결부 장측(311) 중 하나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걸림턱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캐스터(300)는 상기 플레이트(100)에 지지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250)는 일단(251)이 상기 플레이트 저면(105)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261)은 자유단으로 상기 플레이트 저면(105)과 연결되어 있지 않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일단(251)은 평평하며,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일단의 저면(252)에는 원형 오목공간(25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형 오목공간(253)은 상기 캐스트 본체와 연결부 고정부재(320)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의 지지부 타단(261)의 경사면(262)에는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경사면(262)이 끝나는 곳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의 타단의 평평면(263)이 시작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의 지지부의 타단의 평평면(263)의 끝단으로부터 수직상방향으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의 타단의 연결면(264)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면(264)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의 지지부 걸림턱의 역할을 한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에 끼워지는 것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상기 캐스터(30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을 향해 밀어넣는다.
상기 캐스터(300)의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에 형성된 2개의 장측(311) 중 하나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261)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261)에는 경사면(26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의 타단의 경사면(262)을 타고,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으로 용이하게 끼워지게 시작한다.
상기 데크 트럭(10)의 재질로는 탄성을 가진 재질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데크 트럭(10)을 이루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262)은 일정 한도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으로 밀어넣는 과정에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261)은 상기 캐스터 연결부 장측(311)에 의해 상방향으로 변형이 된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으로 계속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캐스터 연결부 장측(311)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의 평평면(263)과 접촉하게 된다.
사용자가 계속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에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캐스터 연결부 장측(311)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261)을 지나,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측면(210)와 접촉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캐스터 연결부 단측(312)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측면(210)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에 의해 변형되었던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261)은 변형이 해소됨으로써,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261)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상기 캐스터 연결부 장측(311)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의 타단의 평평면(263)과 경사면(262) 사이에 형성된 연결면(264), 즉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걸림턱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캐스터 연결부 장측(311) 중 하나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걸림턱의 역할을 하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의 타단의 연결면(264)에 걸리게 되어, 상기 캐스터(300)가 상기 플레이트(100)에 결합하게 된다.
상기 캐스터 연결부 장측(311) 중 나머지 하나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측면(210)과 접촉하게 되며, 상기 캐스터 연결부 단측(312)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측면(210)와 접촉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며, 상기 캐스터(300)는 상기 플레이트(100)에 지지 결합된다.
상기 데크 트럭(10)에 의해 운반되는 화물이 비교적 경량인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250)만으로도 상기 캐스터(300)가 상기 플레이트(100)에 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테크 트럭(10)에 의해 운반되는 화물이 중량인 경우에는 상기 캐스터(300)에 작용하는 하중이 크므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250)가 파손될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250)와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를 지지하는 별도의 고정부재(400)가 필요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에 끼워지는 고정부재(400)에 대해 도8과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캐스터(300)를 고정시키는 볼트의 역할을 한다.
즉, 종래기술 2와 같은 캐스터를 운반대차와 결합하기 위해서는 연결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을 관통하는 볼트 결합으로 체결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에 끼워맞추는 방법으로 결합된다.
먼저 상기 고정부재(400)의 형상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입구(202)에 끼워지는 제 1결합부(410)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250)를 지지하는 제 1지지부(420)와,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를 지지하는 제 2지지부(430)와, 고정부재 탈착부(44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부재 제 1결합부(410)는 상기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플레이트 결합부(200)의 X-Y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진다.
상기 고정부재 제 1결합부(410)의 역할은 상기 플레이트 저면(105)에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을 막음으로써, 이물질 등이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에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상기 고정부재 제 1결합부(410)는 고정부재 수평격벽(405)에 의해 상단부(412)와 하단부(413)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부재 제 1결합부 상단부(412)는 상기 고정부재 수평격벽(405)을 기준으로 윗 부분을 말하며,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의 일부를 막는 역할을 하고,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고정부재 제 1결합부 하단부(413)는 상기 고정부재 수평격벽(405)을 기준으로 아랫 부분을 말하며, 상기 고정부재 제 1결합부 상단부(412)에 의해 막히지 않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을 막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 제 1결합부 하단부(413)에는 고정부재 제 1지지부(420)와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42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고정부재 제 2지지부(43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420)와 제 2지지부(430)는 플라스틱 사출성형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 제 1결합부 하단부(413)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420)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25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420)의 형상과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420)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250)가 지지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420)는 후술할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43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 측면(421)에는 공간(422)이 형성되어 후술할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430)와 이격된다.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 상면(423)은 평평하다.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 하면(424)의 일부에는 경사면(426)이 형성되며, 일부에는 평평면(427)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0)를 위에서 봤을 때,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 끝단(428)은 라운드 가공처리를 한다.
상기 고정부재(400)를 아래에서 봤을 때,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 하면(424)에는 격벽(425)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재(400)의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 하면(424)은 일부에는 경사면(426)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4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426)은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 끝단(428)에서 시작한다.
상기 경사면(426)이 끝나는 곳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 하면(424) 에는 평평면(427)이 형성되며, 상기 평평면(427)은 상기 고정부재 제 1결합부(410)와 연결된다.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재(40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을 향하여 밀어넣으며 삽입을 시작한다.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 끝단(428)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261)과의 접촉이 시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 하면(424)에는 경사면(42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261)과 상기 플레이트(100)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205)에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재(400)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42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261)과 상기 플레이트(100)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205)에 계속 밀면서 삽입하게 된다.
후술할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430)에 형성된 고정부재 탈착부(450)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플레이트 결합부 걸림홈(27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00)의 삽입이 멈추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430)는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430)의 형상과 상기 고정부재 제 2지 지부(430)에 의해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가 지지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430)는 상기 고정부재 제 1지지부(420)에 비하여 길이가 길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430)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데크 트럭(10)에 의해 운반되는 화물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캐스터(300)가 파손됨을 방지한다.
먼저,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431)의 형상은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상면(432)은 평평하며, 상기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상면(432)은 상방향의 제 1연결면(433)과 하방향의 제 2연결면(43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상면의 제 1연결면(433)은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상면(440)과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상면의 제 1연결면(433)과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상면(432)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431)에는 높이가 다른 턱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상면의 제 2연결면(434)은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하면의 경사면(436)과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하면의 경사면(436)은 다시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하면의 평평면(437)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재(400)를 위에서 볼 경우,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431)은 라운드 가공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하면의 경사면(436)과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턱(435)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와 상기 플레이트(100) 사이의 공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상면(440)은 평평하며, 상기 상면(440)의 일부에는 홈(4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442)은 제 1평평면(444)과 경사가 형성된 연결면(445), 제 2평평면(44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430)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에 삽입되는 과
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고정부재(400)를 사용자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에 삽
입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에는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
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250)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431)에는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하면의 경사면(43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캐스터 연결부(310)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 사이의 공간에 상기 고정부재(400)를 용이하게 삽입을 시킬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상면(440)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상면(215)과 접촉을 하게 된다.
그 후,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의 제 1평평면(444)은 상기 캐스터 연
결부 상면(314)과 접촉을 하게 된다.
후술할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430)에 형성된 고정부재 탈착부(450)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플레이트 결합부 걸림홈(27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00)의 삽입이 멈추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450)에 대해서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자
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450)는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 홈(443)과, 상
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 홈에 형성된 탄성편(451)과,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상면 홈(4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 일단(452)은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 홈(443)에 구속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편 타단(453)은 자유단으로 구속되어 있지 않다.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1)은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442)에
구속되어 있는 탄성편 일단(452)으로부터 구속되어 있지 않은 탄성편 타단(453)을 향해 상방향 경사가 형성되며, 이를 탄성편 경사면(454)이라고 한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 홈(443)에 형성된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 일단(452)만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 부 하면 홈(443)에 구속되어 있고, 상기 탄성편 양측면(455)과 상기 고정부재 제 2
지지부 하면 홈(443)사이는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편 타단(453)과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 홈(443) 사이는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1)은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 홈(443)에 구속된 상기 탄성편 일단(452)을 기준으로 하여, 어느 정도의 상하 방향 변형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 홈(443)과 연통하도록 상기 고정부재 제 2지
지부 상면(440)에는 홈(441)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부 상면 홈(441)은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1)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부재(400)가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450)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00)와 결합/분리되는 것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1)은 어느 정도의 상하 방향으로 변형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 있다.
상기 고정부재(400)에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45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플레이트 저면(105)에는 플레이트 결합부 걸림홈(27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1)에 형성된 경사면(454)이 아래방향으로 눌러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1)은 탄성재질이며, 또한 상기 고정부재 제 2지지면 상면(440)과 하면(442)에는 각각 홈(441,44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1)은 상기 홈(441,443)을 향해 변형된다.
사용자가 계속 상기 고정부재(40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201)을 향해 밀면서 삽입시킬 경우,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1)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걸림홈(270)에 다다르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400) 삽입과정에서 변형이 되었던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1)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걸림홈(270)에 의해 변형이 해소된다.
변형이 해소된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1)은 원래의 경사면(454)이 회복된다.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 경사면(454)은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걸림홈(270)에 걸리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재(40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로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 경사면(454)을 누름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걸림홈(270)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4)을 분리시킨다.
사용자는 상기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454)을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걸림홈(27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40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0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캐스터(30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방법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0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고정부재(400)가 분리된 후, 사용자는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250)를 상기 플레이트 저면(105)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누른다.
상기 캐스트(300)를 잡고 상기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 측면(110)을 향하여 잡아 당김으로써, 상기 캐스트(300)를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2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데크 트럭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 도 2
와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상기 플레이트(100)에 상방향으로 벽면(160)이 형성되고, 상기 벽면(160)의 일부가 개방된 경우이다.
먼저 상기 캐스터(300)의 구조와, 상기 캐스터(300)와 상기 플레이트(100)의 결합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00)에 상방향으로 벽면(160)이 형성되고, 상기 벽면(160)의 일부가 개방된 구조를 위주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플레이트(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장측부(140)와 2개의 단측부(150)가 형성된 직사각형의 형상이다.
상기 플레이트의 2개의 장측부(140)에는 상방향으로 장측부 벽면(170)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의 2개의 단측부(1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 수직상방향으로 단측부 벽면(180)이 형성된다.
상기 벽면(160)은 화물을 상기 데크 트럭(10)의 상기 플레이트(100)에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 운반되는 화물의 일부, 특히 측면부분을 지지하므로, 화물 운반시 안정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레이트 장측부(140)로부터 상방향으로 적당한 높이를 가지는 상기 장측부 벽면(170)이 형성된다.
상기 장측부 벽면(170)의 적당한 위치에 상기 장측부 벽면 공간(17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측부 벽면(170)의 중간에 상기 장측부 벽면 공간(175)이 위치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측부 벽면(170)의 일부분과 상기 장측부 벽면 공간(175)은 상기 테크 트럭(10) 자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상기 장측부 벽면 공간(175)과 장측부 벽면 가장자리(171)의 사이를 플레이트 장측부 제 2손잡이(147)라고 한다.
사용자는 작업환경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장측부 벽면(170)에 형성된 상기 플레이트 장측부 제 2손잡이(147)를 잡고, 상기 데크 트럭(10) 자체를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플레이트 장측부 제 1손잡이(146)를 잡고, 상기 데크 트럭(10) 자체를 운반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0)에는 상기 플레이트 장측부(140)가 2군데이므로, 상기 플레이트 장측부 제 1손잡이(146)와 제 2손잡이(147)는 각각 2개씩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150)에도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측면(151)과 상기 플레이트 제 3관통부(122)사이를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손잡이(155)라고 한다.
상기 플레이트의 2개의 단측부(1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방향으로 단측부 벽면(180)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180)의 일부는 개방된 형상이며, 이와 같이 상기 단측부 벽면(180)중 일부 개방된 부분을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 일부개방부(185)라고 한다.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 일부개방부(185)는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의 중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 일부개방부(185)의 길이는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손잡이(155)의 길이와 같거나 비슷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 일부개방부(185)의 높이는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180)의 높이와 같거나 비슷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측부 벽면(180)에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 일부개방부(18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손잡이(155)를 잡고 상기 데크 트럭(10) 자체를 운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00)에 형성된 벽면(160)중 플레이트 장측부(140) 또는 단측부(150) 중 어느 하나가 전부 개방된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단측부 벽면 일부개방부(185)의 대응하는 위치에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 전면개방부(190)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 전면개방부(190)는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 일부개방부(185)와 달리,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150)의 상방향으로 벽면을 형성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150)에 벽면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는 화물 등을 높이 들어 올리지 않고,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 전면개방부(190)를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에 적재 운반 할 수 있다.
또한, 적재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이 사용자의 허리에 크게 부담을 주는 중량 물일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트 단측부 벽면 전면개방부(190)를 화물에 대하여 기울이는 방법으로 화물을 상기 플레이트(100)에 용이하게 적재 운반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테크 트럭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테크 트럭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테크 트럭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저면사시도(캐스터가 분리된 경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데크 트럭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테크 트럭의 캐스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테크 트럭의 캐스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테크 트럭의 고정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테크 트럭의 고정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테크 트럭의 고정부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평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테크 트럭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확대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테크 트럭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확대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데크 트럭을 다단 적재한 실시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데크 트럭
100 : 플레이트 105 : 플레이트 저면
110 : 플레이트 측면 115 : 플레이트 상면
120 : 플레이트 제 1관통부 121 : 플레이트 제 2관통부
122 : 플레이트 제 3관통부 130 : 플레이트 오목 공간
140 : 플레이트 장측부 141 : 플레이트 장측부 측면
146 : 플레이트 장측부 제 1손잡이 147 : 플레이트 장측부 제 2손잡이
150 : 플레이트 단측부 151 : 플레이트 단측부 측면
155 : 플레이트 단측부 손잡이
160 : 벽면 170 : 장측부 벽면
171 : 장측부 벽면 가장자리 175 : 장측부 벽면 공간
180 : 단측부 벽면 185 : 단측부 벽면 일부개방부
190 : 단측부 벽면 전면개방부
200 : 플레이트 결합부 201 : 플레이트 결합부 공간
202 : 플레이트 결합부 입구
205 :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과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
210 : 플레이트 결합부 측면 215 : 플레이트 결합부 상면
220 : 플레이트 결합부 하면 250 :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251 :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일단
252 :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일단의 저면
253 :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일단 원형 오목공간
261 :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 타단
262 :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의 타단의 경사면
263 :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의 타단의 평평면
264 : 플레이트 결합부 지지부의 타단의 연결면
270 : 플레이트 결합부 걸림홈
300 : 캐스터 301 : 캐스터 본체
306 : 캐스터 본체 상부 307 : 캐스터 본체 팔 부재
308 : 캐스터 본체 팔 부재 관통공 309 : 캐스터 본체 팔 부재 공간
310 : 캐스터 연결부 311 : 캐스터 연결부 장측
312 : 캐스터 연결부 단측 313 : 캐스터 연결부 관통공
314 : 캐스터 연결부 상면 320 : 캐스터 본체와 연결부 고정부재
325 : 캐스터 연결부 저면 330 : 캐스터 본체와 바퀴 연결부재
350 : 바퀴 351 : 바퀴 관통공
400 : 고정부재 405 : 고정부재 수평격벽
410 : 고정부재 제 1결합부
412 : 고정부재 제 1결합부 상단부 413 : 고정부재 제 1결합부 하단부
420 : 고정부재 제 1지지부 421 : 고정부재 제 1지지부 측면
422 : 고정부재 제 1지지부 측면 공간
423 : 고정부재 제 1지지부 상면 424 : 고정부재 제 1지지부 하면
425 : 고정부재 제 1지지부 하면 격벽
426 : 고정부재 제 1지지부 하면의 경사면
427 : 고정부재 제 1지지부 하면의 평평면
428 : 고정부재 제 1지지부 끝단 430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431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432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상면
433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상면의 제 1연결면
434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상면의 제 2연결면
436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하면의 경사면
437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끝단 하면의 평평면
440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상면 441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상면 홈
442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 443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 홈
444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의 제 1평평면
445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의 연결면
446 : 고정부재 제 2지지부 하면의 제 2평평면
450 : 고정부재 탈착부 451 : 고정부재 탈착부 탄성편
452 : 탄성편 일단 453 : 탄성편 타단
454 : 탄성편 경사면 455 : 탄성편 양측면

Claims (2)

  1. 플레이트;
    플레이트에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지지부;
    연결부가 형성된 캐스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의 결합부에 상기 캐스터의 연결부가 끼워지고, 고정부재와 상기 플레이트의 결합부에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상기 캐스터의 연결부가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트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벽면을 포함하되, 상기 벽면의 일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트럭
KR2020080015288U 2008-11-17 2008-11-17 데크 트럭 KR201000053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288U KR20100005371U (ko) 2008-11-17 2008-11-17 데크 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288U KR20100005371U (ko) 2008-11-17 2008-11-17 데크 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71U true KR20100005371U (ko) 2010-05-26

Family

ID=44450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288U KR20100005371U (ko) 2008-11-17 2008-11-17 데크 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3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115Y1 (ko) * 2016-07-27 2016-12-19 주인회 박스 고정식 화물 운반용 적층대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115Y1 (ko) * 2016-07-27 2016-12-19 주인회 박스 고정식 화물 운반용 적층대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9175B2 (en) Method for transporting concentrated mass loads by container
EP1705126A2 (en) Storage and transportation unit
US20070189872A1 (en) Freight rack
JP2011121633A (ja) 搬送用パレット
KR200482115Y1 (ko) 박스 고정식 화물 운반용 적층대차
US20090127255A1 (en) Extendable Cargo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6149373A (en) Rim engaging container manipulation apparatus
KR20100005371U (ko) 데크 트럭
US20110089652A1 (en) Material handling car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2001002072A (ja) コイル搬送用パレット
KR101378903B1 (ko) 컨테이너 운송용 프레임.
ITTO20030143U1 (it) Contenitore modificato per spedizione marittima
KR102327642B1 (ko) 이동 가능한 수납용 랙
KR101048642B1 (ko) 운반대차의 적재 지그
JP2024004966A (ja) パレットシステムおよび荷物の搬送方法
EP2785605A1 (en) Pallet, pallet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CN220616959U (zh) 一种迷你搬运车的装箱结构
KR100448435B1 (ko) 운반구가 탈착되는 차량용 리프트 게이트
CN219603207U (zh) 一种防撞叉运专用装置
JPH0728117Y2 (ja) 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の連結具
JP2021079719A (ja) 台車および台車用手押し棒
JPH0561095U (ja) 作業車の梱包枠
JP3210241U (ja) 輸送用架台
JP2016055882A (ja) パレット用台車装置
JP3971054B2 (ja) 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