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700Y1 -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 - Google Patents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700Y1
KR200471700Y1 KR2020110011089U KR20110011089U KR200471700Y1 KR 200471700 Y1 KR200471700 Y1 KR 200471700Y1 KR 2020110011089 U KR2020110011089 U KR 2020110011089U KR 20110011089 U KR20110011089 U KR 20110011089U KR 200471700 Y1 KR200471700 Y1 KR 200471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ouble
tracker
fixing pin
double tra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3736U (ko
Inventor
서춘복
배현수
김관수
조관현
남희복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2020110011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700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7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7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7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KAUXILIAR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LWAY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K5/00Apparatus for placing vehicles on the track; Derailers; Lifting or lowering rail vehicle axles or wheels
    • B61K5/04Devices secured to the track
    • B61K5/06Derailing or re-railing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레일을 향하도록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복선기몸체에 이동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복선기 몸체에 레일을 감싸도록 장착홀이 구비되어 레일의 상측에 올려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선기몸체의 측면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복선기의 편심을 방지토록 하여 탈선되는 바퀴가 용이하게 복귀토록 하는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A Device for Retracking Railway Wheel with Preventing Eccentric}
본 고안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레일을 향하도록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복선기몸체에 이동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복선기 몸체에 레일을 감싸도록 장착홀이 구비되어 레일의 상측에 올려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선기몸체의 측면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복선기의 편심을 방지토록 하여 탈선되는 바퀴가 용이하게 복귀토록 하는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 위를 주행하는 철도차량은, 자동차와 같은 육상 차량에 비하여 그 안전성이 뛰어나기는 하지만, 종종 철도차량의 차륜이 선로로부터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열차의 탈선사고는 그 선로를 운행하는 모든 다른 열차의 통행을 지연시키고 다른 차량의 사고로 파급될 수 있으므로 신속한 복구가 요구된다.
이와같은 탈선사고를 복구하기 위한 장비는, 일부 간단한 장비의 경우 기관차에 개별적으로 적재한 상태로 운행함으로써 긴급복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기중기와 같은 중장비나 유압식 복구장비 등은 사고 복구 담당 부서에 비치하여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차량의 탈선상황에 따라 우선 차량에 적재되어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 복구작업을 착수하고, 추가로 사고복구 담당 부서에 비치되어 있는 장비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고를 수습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복선기(900)는 도1에서와 같이, 중심을 통해 레일(910)이 통과될 수 있도록 선형(扇形)으로 벌어져 있고 탈선된 차륜을 지면으로부터 레일(910)의 상면으로 유도하는 양날개(유도판: 902), 양날개(902)의 한쪽 외측에 형성되어 복선과정에서 차륜을 레일(910) 쪽으로 유도하고 차륜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904), 상기 양날개(902)의 전방에 레일(910)과의 사이에 형성된 키삽입구(906), 및 상기 키삽입구(906)에 삽입되어 복선기(900)의 전방부를 레일(910)에 고정시키는 쐐기 형상의 고정키(90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복선기는, 탈선된 차륜의 바로 앞에 선형의 양날개(902) 사이로 레일(910)이 통과되도록 레일(910)의 상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고정키(908)를 키삽입구(906)에 해머로 강타하여 끼우는 방식으로 레일(910)에 고정적으로 장착하며, 복선작업은 탈선된 차륜들 전방의 양측 레일(910)에 각각 복선기(900)를 장착한 상태에서 차량을 전방으로 견인하여 양날개(902)의 플랜지(904)를 따라 차륜을 지면으로 부터 레일(910)의 상면으로 유도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선기(900)는, 고정키(908)를 키삽입구(906) 끼운후 고정키를 레일에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밀착력의 저하시 분리될 수 있어 견고한 결합이 힘들게 되고, 복선기(900)가 일측에 밀착되는 고정키(908)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복선기의 다른 부분에 하중이 작용할 때 레일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복선기를 레일에 견고하게 지지토록 하고, 복선기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며, 복선기의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토록 하여 탈선되는 바퀴가 용이하게 복귀토록 하고, 별도의 예비작업이 필요없이 복선기의 설치가 가능토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레일을 향하도록 가이드돌기를 구비하는 복선기몸체에 이동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복선기 몸체에 레일을 감싸도록 장착홀이 구비되어 레일의 상측에 올려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선기몸체의 측면 하나 이상의 위치결정수단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위치결정수단은 복선기몸체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에 지지되는 제1고정핀 또는 복선기몸체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2브라켓에 고정되면서 단부에 ㄷ자 형상의 지지블럭이 구비되는 제2고정핀으로 이루어진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위치결정수단은, 복선기몸체의 일측단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에 지지되는 제1고정핀 또는 복선기몸체의 타측단에 구비되는 제2브라켓에 회전가능토록 지지되면서 편심되는 밀착편을 구비하는 제3고정핀으로 이루어진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복선기를 레일에 견고하게 지지되고, 복선기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며, 복선기의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토록 하여 탈선되는 바퀴가 용이하게 복귀하고, 별도의 예비작업이 필요없이 복선기의 설치가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복선기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복선기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복선기의 레일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선기의 레일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복선기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복선기의 레일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 및 도5는 각각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선기의 레일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외부에서 레일(R)을 향하도록 가이드돌기(110)를 구비하는 복선기몸체(100)에 이동통로(13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복선기몸체(100)의 중심에는 레일(R)을 상부에서 감싸면서 레일이 수납되도록 장착홀(150)이 구비되어 레일의 상측에 올려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선기몸체(100)의 측면 2개 이상의 위치결정수단(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수단(200)은 복선기몸체의 일측단부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170A)에 지지되는 제1고정핀(210)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수단(200)은, 복선기몸쳉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170B)에 고정되면서 단부에 ㄷ자 형상의 지지블럭(233)이 구비되는 제2고정핀(230)으로 이루어 진다.
더하여, 상기 위치결정수단(200)은, 상기 복선기몸체(10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2브라켓(17B)에 회전가능토록 지지되면서 편심되는 밀착편(253)을 구비하는 제3고정핀(250)으로지고, 상기 제3고정핀(250)에는 핸들(255)이 더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레일(R)에서 탈선된 바퀴(W)가 타고 진행토록 하는 이동통로(130)가 복선기몸체(100)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통로(130)는 상부면 가장자리에 가이드돌기(110)가 형성되어 탈선되는 바퀴(W)가 레일(R)을 향하도록 유도한다.
즉, 상기 복선기몸체(100)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경사도를 유지하여 그 상부에서 바퀴(W)가 이동할 때 레일(R)의 상면에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돌기(110)는, 외부에서 레일(R)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가이드돌기(110)를 접촉하면서 바퀴(W)가 이동할 때 레일(R)에 정확하게 이동되어 복귀토록 된다.
이때, 상기 복선기몸체(100)의 중심에 형성되는 장착홀(150)을 통하여 레일(R)을 상부에서 레일의 감싸도록 설치될 때 상기 복선기몸체(100)의 전방 및 후방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위치결정수단(200)을 통하여 복선기몸체(100)가 레일(R)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하중물인 바퀴(W)가 복선기몸체(100)를 따라 이동하여 레일에서 이탈됨이 없이 견고하게 지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복선기몸체(100)를 레일(R)에 지지하는 위치결정수단(200)은 복선기몸체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170A)에 지지되는 제1고정핀(210)으로 이루어져 레일(R)의 상부 턱(R-1)의 하단에 밀착되어 상부로의 이동이 방지토록 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수단(200)의 다른 하나는, 상기 제2브라켓(170B)에 고정되면서 단부에 ㄷ자 형상의 지지블럭(233)이 구비되는 제2고정핀(230)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고정핀(230)을 레일측으로 압입하면 상기 지지블럭(233)이 레일(R)의 하부 턱(R-2)에 지지되어 복선기몸체(100)의 움직임이 방지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위치결정수단(200)의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복선기몸체(100)에 구비되는 제2브라켓(17B)에 회전가능토록 지지되면서 편심되는 밀착편(253)을 구비하는 제3고정핀(250)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3고정핀(250)에 구비되는 핸들(255)을 통하여 밀착편(253)을 회전시키면 상기 밀착편(253)이 상부 턱 및 하부 턱 사이에 밀착되어 복선기몸체(100)의 움직임이 방지토록 된다.
즉,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위치결정수단인 제1고정핀에 제2고정핀 및 제3고정핀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복선기몸체(100)의 상부 및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편심에 의해 레일(R)에서 복선기몸체(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탈선된 바퀴가 레일위에 용이하게 복귀토록 되는 것이다.
100...복선기몸체 110...가이드돌기
130...이동통로 150...장착홀
170A...제1브라켓 233...지지블럭
233...밀착편

Claims (3)

  1.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경사도를 유지하면서 외부에서 레일(R)을 향하도록 가이드돌기(110)를 구비하는 복선기몸체(100)에 이동통로(130)를 형성하고,
    상기 복선기몸체(100)의 중심에는 레일(R)을 상부에서 감싸면서 레일이 수납되도록 장착홀(150)이 구비되어 레일의 상측에 올려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선기몸체(100)의 양측면 전 후측에 각각 위치결정수단(200)이 구비되고,
    상기 위치결정수단(200)은, 복선기몸체의 일측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제1브라켓(170A)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레일(R)의 상부 턱(R-1) 하단에 밀착되는 제1고정핀(210)및,
    상기 복선기몸체(100)의 타측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제2브라켓(170B)에 회전가능토록 지지되면서 회전시 레일(R)의 상부 턱(R-1) 및 하부 턱(R-2) 사이에 밀착되는 제3고정핀(2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고정핀(250)은 일단에 핸들(255)이 연결되고 상기 제3고정핀의 타단에는 하부 턱에 일측이 항상 밀착토록 밀착편(253)이 편심연결되고,
    상기 밀착편(253)은, 양측이 각각 호형상을 유지토록 설치되는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
  2. 삭제
  3. 삭제
KR2020110011089U 2011-12-14 2011-12-14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 KR200471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089U KR200471700Y1 (ko) 2011-12-14 2011-12-14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089U KR200471700Y1 (ko) 2011-12-14 2011-12-14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736U KR20130003736U (ko) 2013-06-26
KR200471700Y1 true KR200471700Y1 (ko) 2014-03-26

Family

ID=5148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089U KR200471700Y1 (ko) 2011-12-14 2011-12-14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7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211B1 (ko) 2020-02-27 2021-07-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매립형 궤도용 복선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1060B (zh) * 2019-08-28 2022-08-30 中铁十六局集团有限公司 用于铁轨的人字型复轨器
KR102308419B1 (ko) * 2020-04-16 2021-10-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매립형 궤도용 조립식 탈선 복구 장치
KR102363638B1 (ko) * 2020-06-24 2022-02-1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매립형 궤도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KR102426978B1 (ko) * 2020-10-05 2022-08-0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저상트램용 측면 거치식 복선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783A (ko) * 1999-03-31 2000-10-25 김종국 철도 차륜용 복선기
KR20060074453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궤도운행차량의 탈선복구용 가이드장치
US20100051757A1 (en) 2008-08-26 2010-03-04 Western-Cullen-Hayes, Inc. Low profile derai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1783A (ko) * 1999-03-31 2000-10-25 김종국 철도 차륜용 복선기
KR20060074453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궤도운행차량의 탈선복구용 가이드장치
US20100051757A1 (en) 2008-08-26 2010-03-04 Western-Cullen-Hayes, Inc. Low profile derai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211B1 (ko) 2020-02-27 2021-07-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매립형 궤도용 복선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736U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700Y1 (ko) 하중에 의한 편심을 방지하는 복선기
KR20140131224A (ko) 산악 철도차량의 주행 장치
KR20150004447A (ko) 산악 철도차량의 주행 장치
TW201400340A (zh) 用於保護導向車輛免於失去導引的方法及裝置
KR20140144971A (ko) 철도차량의 탈선 방지 장치
CA2676749A1 (en) Low profile derail
KR101507428B1 (ko) 철도차량용 차륜 복선유도기
CN203111203U (zh) 矿车掩车器
KR20110072208A (ko) 레일바이크 시스템
CN206691131U (zh) 卡轨式双向阻车器
CN202089083U (zh) 一种脱轨器安装装置
CN110939023A (zh) 一种轨道对接接头处固定装置
CN202528989U (zh) 高普通用复轨器
CN104308415B (zh) 机车消音器安装座定位装置
EP3957540B1 (en) Railway vehicle and braking assembly thereof
CN104691571B (zh) 轨道列车及其车底防护装置
CN211815216U (zh) 一种轨道对接接头固定卡
US1648012A (en) Stop for rolling stock
CN205775650U (zh) 新型道岔护轨垫板
KR101665100B1 (ko) 산악철도차량용 비상제동장치
CN217074378U (zh) 一种防止轨道机车溜车的安全铁鞋
CN204915715U (zh) 一种抱轨锁
CN220410546U (zh) 索道车行走轮组及索道车
CN217148324U (zh) 一种双制动单轨吊制动车及单轨吊
CN218980413U (zh) 过山车夹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