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741B1 - 기계가공 공구를 위한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카트리지와 시스템 및 그러한 위치결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 Google Patents

기계가공 공구를 위한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카트리지와 시스템 및 그러한 위치결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741B1
KR102360741B1 KR1020177009981A KR20177009981A KR102360741B1 KR 102360741 B1 KR102360741 B1 KR 102360741B1 KR 1020177009981 A KR1020177009981 A KR 1020177009981A KR 20177009981 A KR20177009981 A KR 20177009981A KR 102360741 B1 KR102360741 B1 KR 10236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machining tool
cutting insert
clamping
re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9223A (ko
Inventor
프랑끄 크레스뺑
야닉 사르똥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70069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6Face-milling cutters, i.e. having only or primarily a substantially flat cutt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0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 B23C5/2226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against the walls of the recess in the cutter body by a clamping member acting upon the wall of a hole in the insert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fitted on an intermediate carrier, e.g. shank fixed in the cutt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4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 B23C5/246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adjustable the adjusting means being obliqu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8Seats for cutting inserts, supports for replacable cutting b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28Arrangement of teeth
    • B23C2210/287Cutting edges arranged at different axial positions or having different lengths in the axi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32Details of teeth
    • B23C2210/325Different teeth, i.e. one tooth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to a tooth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lu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45/00Details of adjusting inserts or bits in the milling cutter
    • B23C2245/04Adjustable wedg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기계가공 공구 (12, 50) 상에서 절삭 인서트 (18) 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10) 로서, 상기 카트리지 (10) 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갖고, 상기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따라 상기 절삭 인서트 (18) 가 위치되게 되고, 상기 카트리지 (10) 는, 상기 카트리지 (10) 를 지지하기 위한 단부 벽 (23) 으로서, 상기 단부 벽 (23) 은 상기 단부 벽 (23) 을 너머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표면을 규정하는, 상기 단부 벽 (23); 상기 기계가공 공구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 (10) 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벽 (34) 으로서, 상기 후방 벽은 상기 후방 벽 (34) 을 너머 연장되는 제 2 표면을 규정하는, 상기 후방 벽 (34); 및 클램핑 구멍 (17) 을 갖는 전방 클램핑 벽 (48) 으로서, 상기 클램핑 구멍 (17) 은 클램핑 방향 (B) 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기계가공 공구 상에서 상기 카트리지 (10) 를 클램핑하기 위해 클램핑 나사 (19) 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전방 클램핑 벽 (48) 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방향 (B) 은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기계가공 공구 (12, 50) 상에서 절삭 인서트 (18) 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10).

Description

기계가공 공구를 위한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카트리지와 시스템 및 그러한 위치결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CUTTING INSERT POSITIONING CARTRIDGE AND SYSTEM FOR A MACHINING TOOL AND A MACHINING TOOL COMPRISING SUCH A POSITIONING SYSTEM}
본 발명은 기계가공 공구 상에서 절삭 인서트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 및 그러한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기계가공 공구 상에서 절삭 인서트를 위치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절삭 인서트의 위치가 기계가공 공구의 다른 절삭 인서트에 대해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절삭 인서트가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트리지를 갖는 기계가공 공구를 사용하는 것은 기계가공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이로써, 기계가공 공구는 절삭 인서트가 상이한 깊이의 패스를 기계가공할 수 있게 하여서, 하나의 동일한 기계가공 공구가 예컨대 거친 작업 및 마무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기계가공 공구에 대한 카트리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웨지가 제 1 방향으로 변위되는 때에 카트리지와 그에 설치된 절삭 인서트가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카트리지로서 경사 표면을 갖는 웨지와 카트리지를 커플링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카트리지 및 기계가공 공구에 설치된 웨지를 모으는 그러한 조립체의 예가 US-A-3839772 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된 절삭 공구는 리세스의 저부에서 웨지를 수용하도록 주변부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한다. 카트리지는 웨지 및 리세스의 측방향 벽들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이한 피치들을 갖는 위치결정 나사가 절삭 공구의 나사 구멍 및 웨지의 나사 구멍 쌍방에 스크루잉된다. 위치결정 나사의 스크루잉 (screwing) 은 위치결정 나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웨지를 변위시킨다. 웨지와 카트리지 쌍방은, 웨지가 위치결정 나사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때에 카트리지가 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변위되도록 경사 접촉 표면을 갖는다. 그러면, 절삭 인서트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절삭 공구는, 클램핑된 위치에서 스크루잉되는 때에 카트리지가 리세스의 측방향 벽과 접촉하여 가압될 수 있게 하는 나사를 포함한다.
그렇지만, 이러한 절삭 공구의 중요한 단점은, 절삭 인서트 위치를 조정할 때에, 만약 카트리지가 미리 결정된 위치를 너머 위치된다면, 미리 결정된 위치로 카트리지를 설정하기 위해 카트리지가 반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클램핑 나사는 카트리지를 클램핑으로부터 풀기 위해 완전히 언스크루잉되어야 하고, 위치결정 나사는 웨지를 초기 위치로 되돌리기 위해 언스크루잉되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카트리지의 설정 작업은 다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절삭 공구의 설정 작업은 힘들고 조작자에게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한다. 이는 절삭 인서트가 여러 개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때에 특히 현저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가공 공구에 절삭 인서트가 설치되는 때에 절삭 인서트의 위치를 간단히 조정할 수 있는 기술적 해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기계가공 공구 상에서 절삭 인서트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로 달성되며, 상기 카트리지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갖고, 상기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상기 절삭 인서트가 위치되게 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단부 벽으로서, 상기 단부 벽은 상기 단부 벽을 너머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표면을 규정하는, 상기 단부 벽; 상기 기계가공 공구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벽으로서, 상기 후방 벽을 너머 연장되는 제 2 표면을 규정하는, 상기 후방 벽; 및 클램핑 구멍을 갖는 전방 클램핑 벽으로서, 상기 클램핑 구멍은 클램핑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기계가공 공구 상에서 상기 카트리지를 클램핑하기 위해 클램핑 나사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전방 클램핑 벽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방향은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램핑 방향은 후방 벽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후방 벽은 기계가공 공구에 대해 카트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후방 벽 및 제 2 후방 벽을 포함하고, 클램핑 방향은 제 1 후방 벽 및/또는 제 2 후방 벽을 가로지른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표면은 제 1 후방 벽 및 제 2 후방 벽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제 1 표면 부분 및 제 2 표면 부분을 포함하고, 클램핑 방향은 제 1 후방 벽 및 제 2 표면 부분을 가로지른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부 벽 (23) 은 경사진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에 절삭 인서트를 클램핑하기 위해 절삭 인서트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절삭 인서트 구멍을 포함하고, 절삭 인서트 축선은 길이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에 절삭 인서트를 클램핑하기 위해 절삭 인서트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절삭 인서트 구멍을 포함하고, 절삭 인서트 축선은 길이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트리지는 전방 클램핑 벽과 후방 벽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맞닿음부를 형성하기 위해 전방 클램핑 벽 및/또는 후방 벽에서 단부 벽으로부터 돌출하는 맞닿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 전술한 바와 같은 카트리지,
- 카트리지 상에서 클램핑되도록 되어 있는 절삭 인서트, 및
-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카트리지를 변위시키기 위한 웨지로서, 단부 벽에서 카트리지와 접촉하는, 상기 웨지
를 포함하는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은,
- 기계가공 공구에 카트리지를 클램핑하기 위해 카트리지의 클램핑 구멍 내에 배치된 클램핑 나사, 및
-
Figure 112017035832564-pct00001
웨지에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과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제 1 나사부, 및
Figure 112017035832564-pct00002
기계가공 공구의 나사 구멍과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제 2 나사부
를 갖는 위치결정 나사
를 더 포함하고,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웨지의 벽은 단부 벽에 대해 상보적인 방식으로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 기계가공 공구의 주변부에 형성된 리세스, 및
- 리세스 내에 배치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
을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계가공 공구는 기계가공 공구 상에 클램핑된 적어도 고정된 절삭 인서트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계가공 공구는 밀링 공구이며, 이 밀링 공구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 상에 각각 클램핑된 복수의 절삭 인서트 및 밀링 공구 상에 클램핑된 복수의 고정된 절삭 인서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계가공 공구 상에서 절삭 인서트를 위치결정하는 방법으로서,
- 기계가공 공구에 형성된 나사 구멍이 웨지에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과 정렬되도록, 기계가공 공구의 리세스 내에 웨지를 배치하는 단계,
- 제 1 나사부 및 제 2 나사부가 웨지의 위치결정 구멍 및 기계가공 공구의 나사 구멍과 각각 협력작동하도록, 웨지에 위치결정 나사를 스크루잉시키는 단계,
- 웨지가 카트리지의 단부 벽과 접촉하도록 리세스 내에 카트리지를 배치하는 단계,
- 미리 결정된 토크로 카트리지의 클램핑 구멍에 클램핑 나사를 스크루잉시키는 단계, 및
- 미리 결정된 위치에 절삭 인서트를 위치시키기 위해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양 방향으로 위치결정 나사를 스크루잉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상에서 절삭 인서트를 위치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로서 주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 은 절삭 인서트가 클램핑된 카트리지 및 웨지 쌍방이 기계가공 공구의 리세스 내에 장착되어 있는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조립체의 부분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3 은 조립체로부터 고립된 도 1 에 따른 카트리지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4 는 도 1 에 따른 조립체를 포함하는 밀링 공구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5 는 도 1 에 따른 조립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가공 공구 상에서 절삭 인서트를 미리 결정된 위치에 위치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미리 결정된 위치는 기계가공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절삭 인서트의 위치에 해당한다. 카트리지는 기계가공 공구의 주변부에 형성된 리세스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카트리지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연장되고, 이 축선을 따라 절삭 인서트가 위치되어야 한다. 환언하면, 기계가공 공구에 대한 절삭 인서트의 위치결정을 위해, 카트리지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변위되도록 배치된다. 특히, 카트리지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카트리지를 변위시킬 수 있는 위치결정 디바이스 상에 설치된다.
더욱이, 카트리지는 기준 표면인 단부 벽 및 후방 벽을 포함하고, 이 기준 면에 대해 절삭 인서트의 위치결정이 수행될 수 있다. 환언하면, 카트리지의 위치, 따라서 카트리지에 설치된 절삭 인서트의 위치는, 카트리지가 리세스 내에 배치되어 후방 벽과 단부 벽 쌍방이 외부 벽과 맞닿는 때에 규정된다. 특히, 단부 벽은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카트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단부 벽은, 위치결정 디바이스가 카트리지에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위치결정 디바이스와 접촉하려는 것이다. 더욱이, 단부 벽은 단부 벽을 너머 그리고 길이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표면을 규정하고, 제 1 표면은 기하학적 표면이다. 환언하면, 단부 벽은 제 1 표면에 포함되므로, 단부 벽은 단지 제 1 표면의 일부이다. 따라서, 제 1 표면은 단부 벽의 연장부이다. 후방 벽은 기계가공 공구에 대해 카트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후방 벽은 후방 벽을 너머 연장되는 제 2 표면을 규정하고, 제 2 표면도 또한 기하학적 표면이다. 단부 벽과 마찬가지로, 후방 벽은 제 2 표면에 포함되므로, 후방 벽은 단지 제 2 표면의 일부이다. 따라서, 제 2 표면은 후방 벽의 연장부이다. 후방 벽은 예컨대 특유의 원형 형상 벽에 의해, 2 이상의 평평한 벽에 의해, 또는 후방 벽이 기계가공 공구에 대해 카트리지를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형상을 갖는 임의의 벽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는 기계가공 공구의 리세스 내에 카트리지를 클램핑하기 위해 클램핑 나사를 수용하기 위한 클램핑 구멍을 갖는 전방 벽을 더 포함한다. 클램핑 구멍은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클램핑 방향을 따라 그리고 카트리지를 통해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클램핑 나사가 카트리지의 구멍을 통해 기계가공 공구에 스크루잉되는 때, 카트리지는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그러므로, 클램핑 방향은 후방 벽에 대해 그리고 단부 벽에 대해, 즉 주된 연장 방향 (이 주된 연장 방향을 따라 절삭 인서트가 위치결정되어야 한다) 을 따라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벽에 대해, 카트리지가 가압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카트리지가 기계가공 공구에 대해 클램핑되는 때, 단부 벽은 위치결정 디바이스와 접촉하도록 항상 가압되어서, 카트리지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따른 양 방향에서 위치결정 디바이스의 변위를 뒤따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카트리지가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미리 결정된 위치를 너머 변위되는 때, 카트리지를 미리 결정된 위치에 설정하기 위해 카트리지는 반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공지의 카트리지와 달리, 클램핑 나사는 카트리지를 반대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언스크루잉될 필요가 없다.
후방 벽과 기계가공 공구 사이의 접촉을 향상시키기 위해, 클램핑 방향은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 외에도 후방 벽과 교차하도록 또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기계가공 공구에 대해 카트리지를 클램핑함으로써 유발되는 힘은 후방 벽에서 증가된다.
또한, 후방 벽은 기계가공 공구에 대해 카트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후방 벽 및 제 2 후방 벽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2 표면은 제 1 표면 부분 및 제 2 표면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후방 벽 및 제 2 후방 벽은 제 1 표면 부분 및 제 2 표면 부분을 규정한다. 환언하면, 제 1 후방 벽은 제 1 표면 부분의 일부이고, 제 2 후방 벽은 제 2 표면 부분의 일부이다. 후방 벽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재분할을 향상시키기 위해, 클램핑 방향은 제 1 후방 벽 및 제 2 후방 벽 쌍방과 교차하도록, 즉 제 1 후방 벽과 제 2 후방 벽의 교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후방 벽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재분할의 향상과 카트리지의 더 용이한 제조 사이의 적절한 비율을 위해, 클램핑 방향이 제 1 표면 외에도 제 1 후방 벽 및 제 2 표면 부분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의 상세한 설명
도 1 은 기계가공 공구 (12) 상에서 절삭 인서트 (18) 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10) 를 보여준다. 카트리지 (10) 는 기계가공 공구 (12) 의 리세스 (14) 내에 수용된다.
카트리지 (10) 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따라 연장되고, 절삭 인서트 나사 (20) 로 카트리지 (10) 에 클램핑된 절삭 인서트 (18) 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 (16) 을 상단부에 포함한다. 슬롯 (16) 은 절삭 인서트 나사 (20) 의 축선이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카트리지 (10) 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은 절삭 인서트 (18) 가 위치결정되어야 하는 축선에 해당한다. 환언하면,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은 절삭 인서트 (18) 의 위치결정을 위해 카트리지 (10) 가 배치되는 축선이다. 더욱이, 카트리지 (10) 는 카트리지 (10) 가 기계가공 공구 (12) 에 클램핑될 수 있도록 클램핑 나사 (19) 를 수용하기 위해 클램핑 방향 (B) 을 따라 연장되는 클램핑 구멍 (17) 을 갖는 전방 벽 (48) 을 포함한다. 따라서, 클램핑 구멍 (17) 은 관통 구멍이다.
또한, 리세스 (14) 내에 있어서 리세스 (14) 의 저벽 (24) 과 카트리지 (10) 의 단부 벽 (23) 사이에 웨지 (22) 가 배치된다. 웨지 (22) 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따라 카트리지 (10) 를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 는 웨지 작용의 이해에 도움을 주기 위한, 단면을 따른 웨지 (22), 기계가공 공구 (12) 및 카트리지 (10) 의 단면도이다. 특히, 위치결정 축선 (C) 을 따라 웨지 (22) 와 기계가공 공구 (12) 쌍방을 통해 위치결정 나사 (26) 가 스크루잉된다. 위치결정 나사 (26) 는 웨지 (22) 를 통해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 (30) 과 스크루잉되는 제 1 나사부 (28) 및 기계가공 공구 (12) 내에 스크루잉되는 제 2 나사부 (32) 를 포함한다. 웨지 (22) 가 일 측에서 카트리지 (10) 와 접촉하고 다른 측에서 기계가공 공구 (12) 와 접촉하므로, 웨지 (22) 는 위치결정 나사 (26) 를 스크루잉함으로써 위치결정 축선 (C) 을 따라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10) 의 단부 벽 (23) 및 카트리지 (10) 와 접촉하는 웨지 (22) 의 벽 쌍방은 상보적인 방식으로 경사져서, 위치결정 축선 (C) 을 따라 웨지 (22) 를 변위시키면, 카트리지 (10) 가 위치결정 축선 (C) 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위된다. 상보적인 방식은 카트리지 (10) 의 단부 벽 (23) 및 카트리지 (10) 와 접촉하는 웨지 (22) 의 벽이 반대로 경사져서 제 1 방향에서의 단부 벽 (23) 의 변위가 웨지 (22) 를 제 1 방향에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변위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위치결정 축선 (C) 은 카트리지 (10) 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에 수직하여서, 위치결정 축선 (C) 을 따라 웨지 (22) 를 변위시키면, 카트리지 (10) 가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따라 변위된다.
절삭 인서트 (18) 의 위치결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 1 나사부 (28) 에는 제 2 나사부 (32) 의 피치보다 더 높은 피치가 제공된다. 실제로, 제 1 나사부 (28) 가 제 2 나사부 (32) 의 피치보다 높은 피치를 갖는 경우, 위치결정 나사 (26) 가 일 회전하면, 웨지 (22) 가 제 1 나사부 (28) 와 제 2 나사부 (32) 의 피치들 사이의 차이와 동일한 거리만큼 위치결정 축선 (C) 을 따라 변위된다. 또한, 동일한 경사 및 위치결정 나사 (26) 의 일 회전의 경우, 웨지 (22) 를 더 적은 거리만큼 변위시키면, 카트리지가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따라 더 적은 거리만큼 변위된다. 그러므로, 절삭 인서트 (18) 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 나사부 (28) 에 제 2 나사부 (32) 의 피치보다 더 높은 피치를 제공하면,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따른 절삭 인서트 (18) 의 더 정밀한 위치결정이 가능하다.
카트리지 (10), 웨지 및 위치결정 나사 (26) 는 본 발명의 일부인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을 구성한다.
카트리지 (10) 는 카트리지 (10) 와 접하도록 리세스 (14) 의 벽과 접촉하기 위한 후방 벽 (34) 을 더 포함한다. 후방 벽 (34) 은 제 1 후방 벽 (36), 및 기계가공 공구 (12) 에 대해 카트리지 (10) 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후방 벽 (38) 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후방 벽 (36) 과 제 2 후방 벽 (38) 사이의 각도는 직각이 아닐 수도 있다. 제 1 후방 벽 (36) 과 제 2 후방 벽 (38) 은 단부 벽 (23) 처럼 절삭 인서트 (18) 의 위치결정이 행해지는 기준 표면이다. 환언하면, 카트리지 (10) 의 위치는, - 따라서 절삭 인서트 (18) 의 위치는, - 후방 벽 (34) 및 단부 벽 (23) 쌍방이 웨지 (22) 및 리세스 (14) 의 벽과 각각 접촉하는 때에 규정된다.
또한, 카트리지 (10) 는 후방 벽 (34) 에서 단부 벽 (23) 으로부터 돌출하는 맞닿음부 (25) 를 포함한다. 맞닿음부 (25) 는 웨지 (22) 가 리세스 (14) 안쪽으로 변위되는 때에 정지될 수 있게 한다. 맞닿음부 (25) 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부 벽 (23) 에 그루브 (27) 가 형성될 수도 있다. 카트리지 (10) 는, 맞닿음부 (25) 와 함께 또는 대안적으로, 전방 벽 (48) 에서 단부 벽 (23) 으로부터 돌출하는 다른 맞닿음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어서, 웨지 (22) 는 리세스 (14) 의 바깥쪽으로 웨지 (22) 를 변위시키도록 위치결정 나사 (26) 가 스크루잉되는 때에 다른 맞닿음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카트리지 (10) 가 리세스 (14) 내에 설치되고 웨지 (22) 와 접촉하는 때, 위치결정 나사 (26) 를 스크루잉함으로써 카트리지 (10) 를 설정하는 조작자는 우연히 리세스 (14) 로부터 웨지 (22) 를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카트리지 (10) 의 설정 작업은 조작자에게 더 안전하고 더 용이하다.
도 3 은 카트리지 (10) 의 고립도 (isolated view) 를 보여준다.
단부 벽 (23) 은 단부 벽 (23) 을 너머 그리고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표면 (40) 을 규정한다. 단부 벽 (23) 이 평평하므로, 제 1 표면 (40) 은 단부 벽 (23) 을 포함하는 평면이다. 또한, 후방 벽 (34) 은 후방 벽 (34) 을 너머 연장되는 제 2 표면 (42) 을 규정한다. 단부 벽 (23) 과 유사하게, 제 1 후방 벽 (36) 과 제 2 후방 벽 (38) 쌍방이 평평하므로, 제 2 표면 (42) 은 제 1 후방 벽 (36) 과 제 2 후방 벽 (38) 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2 개의 평면들로 구성된다. 이 두 평면들은 각각 제 2 표면 (42) 의 제 1 표면 부분 (44) 과 제 2 표면 부분 (46) 이다. 제 1 후방 벽 (36) 과 제 2 후방 벽 (38) 은, 제 1 후방 벽 (36) 과 제 2 후방 벽 (38) 이 기계가공 공구 (12) 에 대해 카트리지 (10) 를 지지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카트리지 (10) 가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따라 변위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표면 부분 (44) 과 제 2 표면 부분 (46) 은 제 1 후방 벽 (36) 과 제 2 후방 벽 (38) 의 연장부이다. 예컨대, 제 1 후방 벽 (36) 과 제 2 후방 벽 (38) 이 원형 형상이어서 연속적인 단일 원형 벽을 형성한다면, 제 1 표면 부분 (44) 과 제 2 표면 부분 (46) 도 또한 연속적인 원형 형상이다. 대안적으로, 제 1 후방 벽 (36) 과 제 2 후방 벽 (38) 은 서로에 대해 경사진 복수의 부분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 부분들은 예컨대 원형 형상 또는 직선형이다.
기계가공 공구 (12) 에 카트리지가 클램핑되는 방향인 클램핑 방향 (B) 은 제 1 표면 (40) 및 제 2 표면 (42) 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특히, 클램핑 방향 (B) 은 제 1 표면 (40), 제 1 후방 벽 (36) 및 제 2 표면 부분 (46) 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환언하면, 클램핑 방향 (B) 은 클램핑 구멍 (17) 이 전방 클램핑 벽 (48) 으로부터 제 1 후방 벽 (36) 까지 카트리지 (10) 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런 식으로, 클램핑되는 때, 카트리지 (10) 는 단부 벽 (23) 및 쌍방의 제 1 후방 벽 (36) 과 제 2 후방 벽 (38) 과 접촉하게 가압되는 한편, 전술한 공지의 디바이스보다 카트리지 (10) 가 전술한 공지된 디바이스보다 더 용이한 제조성 및 감소된 벌키성 (bulkiness) 을 가질 수 있게 한다. 대안적으로, 제 1 후방 벽 (36) 을 가로지르는 대신에, 클램핑 방향 (B) 은 클램핑 구멍 (17) 이 카트리지 (10) 를 통해 제 2 후방 벽 (38) 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램핑 방향 (B) 은 제 1 표면 (40) 및 제 1 표면 부분 (44) 을 또한 가로지른다. 더욱이, 클램핑 방향 (B) 은 클램핑 구멍 (17) 이 전방 벽 (48) 이외의 카트리지 (10) 의 다른 전방 벽으로부터 카트리지 (10) 를 통해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계가공 공구 (12) 의 리세스 (14) 는 조작자가 클램핑 나사 (19) 를 스크루잉하기 위해 다른 전방 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클램핑 나사 (19) 의 스크루잉이 기계가공 공구 (12) 와 웨지 (22) 쌍방에 대한 카트리지 (10) 의 가압을 초래하므로, 클램핑 방향 (B) 의 임의의 배치가 가능하다.
도 4 는 밀링 공구 (50) 의 리세스 내에 설치된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을 보여주며, 리세스는 밀링 공구 (50) 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다. 밀링 공구 (50) 는 중심부 (52) 및 중심부 (52) 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부 (54) 를 포함한다. 고정부 (54) 는 밀링 공구 (50) 가 밀링 머신 (도시 안 됨) 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밀링 공구 (50) 는 기계가공 작업을 위해 회전 축선 (D) 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될 수 있다. 밀링 공구 (50) 는 중심부 (52) 로부터 그리고 회전 축선 (D) 주위에 연장되는 주변부 (56) 를 더 포함한다. 기계가공 공구 (50) 는 주변부 (56) 에 설치되는 복수의 절삭 인서트 (18) 를 더 포함한다. 특히, 밀링 공구 (50) 는 하나 이상의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 및 직접 밀링 공구 (50) 상에 클램핑된 복수의 고정된 절삭 인서트 (18) 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복수의 고정된 절삭 인서트 (18) 는 밀링 공구 (50) 의 주변부 (50) 에 스크루잉된 절삭 인서트 나사에 의해 각각 클램핑된다. 절삭 인서트 (18) 는 각 절삭 인서트 나사의 절삭 인서트 축선이 밀링 공구 (50) 의 회전 축선 (D) 에 대해 연속적으로 수직하거나 또는 평행하도록 밀링 공구 (50) 의 주변부 (56) 에 배치된다. 이러한 후자의 배치는 밀링 공구 (50) 가 회전 축선 (D) 에 대해 수직하게 그리고 평행하게 기계가공할 수 있게 한다. 환언하면, 밀링 공구 (50) 는 정면 밀 (face mill) 이다.
기계가공 공구 (12) (또는 밀링 공구 (50)) 상에서 절삭 인서트 (18) 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절삭 인서트는 먼저 기계가공 공구 (12) 에 형성된 나사 구멍이 웨지 (22) 에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 (40) 과 정렬되도록 기계가공 공구 (12) 의 리세스 (14) 내에 웨지 (22) 를 배치함으로써 위치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제 1 나사부 (28) 와 제 2 나사부 (32) 가 기계가공 공구 (12) 의 나사 구멍 및 웨지 (22) 의 위치결정 구멍 (30) 과 각각 협력작동하도록 미리 결정된 위치에서 위치결정 나사 (26) 가 웨지 (22) 에 스크루잉된다. 그리고 나서, 웨지 (22) 가 카트리지 (10) 의 단부 벽 (23) 과 접촉하도록 리세스 (14) 내에 카트리지 (10) 가 배치되고, 클램핑 나사 (19) 가 미리 결정된 토크,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N.m 로 카트리지 (10) 의 클램핑 구멍 (17) 에 스크루잉된다. 마지막으로, 카트리지 (10) 의 위치는 절삭 인서트 (18) 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위치결정 나사 (26) 를 양 방향으로 스크루잉함으로써 그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따라 조정된다. 이런 식으로, 카트리지 (10) 가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따라 미리 결정된 위치를 너머 배치되는 때, 카트리지 (10) 를 미리 결정된 위치에 설정하기 위해 카트리지 (10) 는 반대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공지의 카트리지와 달리, 클램핑 나사 (19) 는 카트리지 (10) 를 반대 방향으로 변위시키기 위해 언스크루잉될 필요가 없다.
위치결정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위치는 위치결정 나사 (26) 에 의해 행해지는 다수의 회전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5 는 절삭 인서트 나사 (20) 의 연장 축선이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 슬롯 (16) 을 갖는 카트리지 (10) 를 보여준다. 또한, 많은 형상의 절삭 인서트 (18), 예컨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형상의 절삭 인서트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이 밀링 공구 (50) 의 회전 축선 (D) 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도 4 에 도시된 레이아웃에 대안적으로, 길이방향 중심 축선은 회전 축선 (D) 에 대해 수직하거나 또는 다른 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Claims (14)

  1. 기계가공 공구 (12, 50) 의 주변부에 형성된 리세스 (14) 및 상기 리세스 (14) 내에 배치되는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12, 50) 로서,
    상기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은 상기 기계가공 공구 (12, 50) 상에서 절삭 인서트 (18) 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카트리지 (10) 를 포함하고,
    상기 절삭 인서트 (18) 는 상기 카트리지 (10) 상에서 클램핑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 (10) 는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갖고, 상기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따라 상기 절삭 인서트 (18) 가 위치되게 되고,
    상기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은 상기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따라 상기 카트리지 (10) 를 변위시키기 위한 웨지 (22) 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10) 는
    - 상기 웨지 (22) 와 접촉하고 상기 카트리지 (10) 를 지지하는 단부 벽 (23) 으로서, 상기 단부 벽 (23) 은 상기 단부 벽 (23) 을 너머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 중심 축선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표면 (40) 을 규정하는, 상기 단부 벽 (23),
    - 상기 기계가공 공구 (12, 50) 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 (10) 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벽 (34) 으로서, 상기 후방 벽 (34) 을 너머 연장되는 제 2 표면 (42) 을 규정하는, 상기 후방 벽 (34), 및
    - 클램핑 구멍 (17) 을 갖는 전방 클램핑 벽 (48) 으로서, 상기 클램핑 구멍 (17) 은 클램핑 방향 (B) 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기계가공 공구 상에서 상기 카트리지 (10) 를 클램핑하기 위해 클램핑 나사 (19) 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상기 전방 클램핑 벽 (48)
    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방향 (B) 은 상기 카트리지 (10) 의 상기 제 1 표면 (40) 및 상기 제 2 표면 (42) 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기계가공 공구 (12, 5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방향 (B) 은 상기 후방 벽 (34) 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기계가공 공구 (12, 5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벽 (34) 은 상기 기계가공 공구 (12, 50) 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 (10) 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후방 벽 (36) 및 제 2 후방 벽 (38) 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방향 (B) 은 상기 제 1 후방 벽 (36) 및/또는 상기 제 2 후방 벽 (38) 을 가로지르는, 기계가공 공구 (12, 5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면 (42) 은 상기 제 1 후방 벽 (36) 및 상기 제 2 후방 벽 (38) 에 의해 각각 규정되는 제 1 표면 부분 (44) 및 제 2 표면 부분 (46) 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방향 (B) 은 상기 제 1 후방 벽 (36) 및 상기 제 2 표면 부분 (46) 을 가로지르는, 기계가공 공구 (12, 5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벽 (23) 은 경사진, 기계가공 공구 (12, 50).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10) 에 상기 절삭 인서트 (18) 를 클램핑하기 위해 절삭 인서트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절삭 인서트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 인서트 축선은 상기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기계가공 공구 (12, 50).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 (10) 에 상기 절삭 인서트 (18) 를 클램핑하기 위해 절삭 인서트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절삭 인서트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절삭 인서트 축선은 상기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기계가공 공구 (12, 50).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전방 클램핑 벽 (48) 과 상기 후방 벽 (3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맞닿음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방 클램핑 벽 (48) 및/또는 상기 후방 벽 (34) 에서 상기 단부 벽 (23) 으로부터 돌출하는 맞닿음부 (25) 를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12, 50).
  9. 제 5 항에 있어서,
    - 상기 기계가공 공구 (12, 50) 에 상기 카트리지 (10) 를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카트리지 (10) 의 클램핑 구멍 (17) 내에 배치된 클램핑 나사 (19), 및
    -
    Figure 112021136477207-pct00010
    상기 웨지 (22) 에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 (30) 과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제 1 나사부 (28), 및
    Figure 112021136477207-pct00011
    상기 기계가공 공구 (12, 50) 의 나사 구멍과 협력작동하도록 배치된 제 2 나사부 (32)
    를 갖는 위치결정 나사 (26)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 (10) 를 지지하는 상기 웨지 (22) 의 벽은 상기 단부 벽 (23) 에 대해 상보적인 방식으로 경사져 있는, 기계가공 공구 (12, 50).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가공 공구 (12, 50) 상에 클램핑된 적어도 고정된 절삭 인서트 (18) 를 더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12, 50).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가공 공구는 밀링 공구 (50) 이며, 상기 밀링 공구는 상기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시스템 상에 각각 클램핑된 복수의 절삭 인서트 (18) 및 상기 밀링 공구 (50) 상에 클램핑된 복수의 고정된 절삭 인서트 (18) 를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12, 50).
  12. 제 9 항에 따른 기계가공 공구 (12, 50) 상에서 절삭 인서트 (18) 를 위치결정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기계가공 공구 (12, 50) 에 형성된 나사 구멍이 웨지 (22) 에 형성된 위치결정 구멍 (30) 과 정렬되도록, 상기 기계가공 공구 (12, 50) 의 리세스 (14) 내에 웨지 (22) 를 배치하는 단계,
    - 제 1 나사부 (28) 및 제 2 나사부 (32) 가 상기 웨지 (22) 의 위치결정 구멍 (30) 및 상기 기계가공 공구 (12, 50) 의 나사 구멍과 각각 협력작동하도록, 상기 웨지 (22) 에 위치결정 나사 (26) 를 스크루잉 (screwing) 시키는 단계,
    - 상기 웨지 (22) 가 카트리지 (10) 의 단부 벽 (23) 과 접촉하도록 상기 리세스 (14) 내에 카트리지 (10) 를 배치하는 단계,
    - 미리 결정된 토크로 상기 카트리지 (10) 의 클램핑 구멍 (17) 에 클램핑 나사 (19) 를 스크루잉시키는 단계, 및
    - 미리 결정된 위치에 상기 절삭 인서트 (18) 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위치결정 나사 (26) 를 양 방향으로 스크루잉함으로써 상기 카트리지 (10) 의 위치를 그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 (A) 을 따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12, 50) 상에서 절삭 인서트 (18) 를 위치결정하는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77009981A 2014-10-13 2015-09-23 기계가공 공구를 위한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카트리지와 시스템 및 그러한 위치결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KR102360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4188658.0 2014-10-13
EP14188658.0A EP3009216B1 (en) 2014-10-13 2014-10-13 Machining tool comprising a cutting insert positioning system
PCT/EP2015/071830 WO2016058798A1 (en) 2014-10-13 2015-09-23 Cutting insert positioning cartridge and system for a machining tool and a machining tool comprising such a positio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223A KR20170069223A (ko) 2017-06-20
KR102360741B1 true KR102360741B1 (ko) 2022-02-08

Family

ID=51687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981A KR102360741B1 (ko) 2014-10-13 2015-09-23 기계가공 공구를 위한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카트리지와 시스템 및 그러한 위치결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44577B2 (ko)
EP (1) EP3009216B1 (ko)
JP (1) JP6679586B2 (ko)
KR (1) KR102360741B1 (ko)
CN (2) CN107073600A (ko)
MX (1) MX2017004800A (ko)
WO (1) WO2016058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75552B1 (en) * 2017-03-13 2022-12-21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Milling tool comprising a kit for the milling tool
CN112601626B (zh) * 2018-08-01 2024-05-03 京瓷株式会社 切削刀具及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9473B1 (ko) * 1993-03-18 2001-11-22 레나르트 태퀴스트 밀링커터
WO2008116762A1 (en) * 2007-03-23 2008-10-02 It.Te.Di. S.R.L. Milling cartridge and means for adjusting and locking it in a face mill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35041B (ko) * 1969-09-08 1971-05-10 Fagersta Bruks Ab
JPS5249593B2 (ko) 1972-08-08 1977-12-17
DE2806079C2 (de) * 1978-02-14 1979-10-31 Guenther 8500 Nuernberg Hertel Fräswerkzeug mit einstellbar angeordneten Schneideinsätzen
DE3042051A1 (de) * 1980-11-07 1982-07-08 Müller & Christner GmbH & Co KG, 7430 Metzingen Vorrichtung zum einstellen eines schneidstueckes gegenueber seinem halter
JPS5912515U (ja) * 1982-07-13 1984-01-26 東芝タンガロイ株式会社 正面フライス
JPS6386920U (ko) * 1986-11-22 1988-06-06
DE3736246A1 (de) * 1987-10-27 1989-05-11 Horn P Hartmetall Werkzeugfab Umlaufwerkzeug
DE3918034C2 (de) * 1989-06-02 2000-11-02 Mapal Fab Praezision Schneidwerkzeug für die Bearbeitung von Innen- und Außenkonturen an einem Werkstück
JPH0570824U (ja) * 1991-02-22 1993-09-2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エイ式カッター
US5209610A (en) * 1991-02-14 1993-05-11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Throwaway milling cutter
DE4437426A1 (de) * 1994-10-20 1996-04-25 Widia Heinlein Gmbh Fräser
JP2003236717A (ja) * 2002-02-20 2003-08-26 Sumitomo Electric Ind Ltd 転削工具
JP2004058253A (ja) * 2002-07-31 2004-02-26 Ngk Spark Plug Co Ltd 回転切削工具及びカートリッジ
DE50311423D1 (ko) * 2002-08-13 2009-05-28 Kennametal Widia Prod Gmbh
KR100754056B1 (ko) * 2005-11-21 2007-08-31 대구텍 주식회사 절삭공구
DE102006005379B4 (de) * 2006-02-03 2015-02-12 Kennametal Inc. Kombinationswerkzeug und Verfahren zur spanenden Bearbeitung eines Bohrlochs und dessen Bohrungsoberfläche
JP2009095894A (ja) * 2007-10-12 2009-05-07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刃先調整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切削工具
DE202008006375U1 (de) * 2008-05-08 2008-09-04 Kennametal Inc. Werkzeug zum Dreh-Dreh-Räumen oder Außenfräsen von Werkstücken
IL197205A0 (en) * 2009-02-24 2009-12-24 Iscar Ltd Cutting tool having adjustment mechanism
DE102009030856A1 (de) * 2009-06-26 2010-12-30 Kennametal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ndmaßgenauen Bearbeitung von Kurbel- oder Nockenwellen
CN203636055U (zh) * 2014-03-13 2014-06-11 森泰英格(成都)数控刀具有限公司 铣刀微调结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9473B1 (ko) * 1993-03-18 2001-11-22 레나르트 태퀴스트 밀링커터
WO2008116762A1 (en) * 2007-03-23 2008-10-02 It.Te.Di. S.R.L. Milling cartridge and means for adjusting and locking it in a face mi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7004800A (es) 2017-07-20
CN114632963A (zh) 2022-06-17
WO2016058798A1 (en) 2016-04-21
US10744577B2 (en) 2020-08-18
JP2017530871A (ja) 2017-10-19
JP6679586B2 (ja) 2020-04-15
CN107073600A (zh) 2017-08-18
EP3009216B1 (en) 2020-05-06
US20170232533A1 (en) 2017-08-17
KR20170069223A (ko) 2017-06-20
EP3009216A1 (en)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8571C (zh) 用于夹持工件的装置
EP2342034B1 (en)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therefor
JP5611971B2 (ja) インサートホルダをクランプするための工具ホルダ
KR101706413B1 (ko) 공구 커플링
CN105690286A (zh) 工件固定工具及使用该工件固定工具的工件固定方法
US20170368617A1 (en) Rotary cutting tool and cutting insert therefor
KR102360741B1 (ko) 기계가공 공구를 위한 절삭 인서트 위치결정 카트리지와 시스템 및 그러한 위치결정 시스템을 포함하는 기계가공 공구
KR20110103892A (ko) 보링 헤드
CN102574277A (zh) 台钳或卡盘处的装置
KR101542273B1 (ko) 절삭 공구 및 절삭 공구용 인서트
TWI633951B (zh) 具有可更換刀座的刀架及刀座
KR20150001576U (ko) 장방형 플랜지의 중심 홀을 가공하기 위한 센터링 장치를 갖춘 연동 척
JP6808540B2 (ja) ポリゴン加工用工具
JP5729655B2 (ja) 位置決め機構及び位置決め方法
US10124392B2 (en) Pipe flare processing device having a view hole
CN205074790U (zh) 一种用于板材车削的加工工装
KR100603775B1 (ko) 브이디아이 공구대의 공구 세팅장치 및 그의 조정방법
CN104923843A (zh) 切削工具的楔形夹具和刀片夹头
US2148852A (en) Holder block for tool holders
KR101902238B1 (ko) 나사가공용 다목적 가공 블레이드
CN103433863B (zh) 多功能双向锁紧精密平口钳
KR101416818B1 (ko) 위치 조절이 용이한 공작기계 툴홀더용 조립식키 및 이를 이용한 툴홀더 조립 방법
KR101164752B1 (ko) 절삭공구
JPS5821603Y2 (ja) 迅速交換可能な切削工具取付装置
KR101619190B1 (ko) 브로치용 툴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