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915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915B1
KR102353915B1 KR1020150078064A KR20150078064A KR102353915B1 KR 102353915 B1 KR102353915 B1 KR 102353915B1 KR 1020150078064 A KR1020150078064 A KR 1020150078064A KR 20150078064 A KR20150078064 A KR 20150078064A KR 102353915 B1 KR102353915 B1 KR 102353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ath
pump chamber
condensed water
chamber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6197A (ko
Inventor
나오키 키타야마
에이지 와키사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575,33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26746B2/en
Priority to PCT/KR2015/005536 priority patent/WO2016186235A1/ko
Publication of KR2016013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는 드럼과 연통되는 순환 통풍로 및 순환 통풍로에연동되는 응축수 수용실과 응축수 수용실과 연통되는 펌프실을 포함하고 응축수 수용실과 펌프실간의 압력 차이를 줄이기 위해 마련되는 연통로를 포함한다. 연통로는 상기 제 1통풍로와 상기 펌프실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것으로 펌프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펌프실의 압력을 낮추거나 제 1통풍로를 통해 응축수 수용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응축수 수용실의 압력을 높이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의류건조기에서 제습 때문에 발생한 응축수의 역류 및 비산을 방지하면서 팬 장치의 풍량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CLOTH DRYER}
본 발명은 의류 등의 건조에 사용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습 및 가열된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식 의류건조기가 널리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건조기에는 순환 통풍로 내에서 건조용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장치와 건조용 공기를 냉각시켜 제습하는 냉각장치와 냉각장치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가 모두 순환 통풍로 내에 배설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건조기에서 냉각장치 표면에는 제습 때문에 생기는 응축수가 물방울 형태로 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응축수를 회수하는 응축수 용기(드레인 팬)를 배설하여 이 응축수 용기로 회수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하거나 별체의 저수탱크로 저수하는 기술이 널리 사용되었다.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기술의 일례로서 냉각장치에서 제습된 응축수를 드레인 팬에 포집함과 동시에, 포집된 응축수를 펌프로 세탁건조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 팬은 드레인 홀(개구)을 통해 팬 장치 바로 상류 측의 통풍로(이하, 제 1통풍로로 기재)와 연통하는 부분(이하, 응축수 수용실로 기재)과 펌프가 수하(垂下)된 부분(이하, 펌프실로 기재)으로 구획되어 있고 응축수 수용실과 펌프실은 각각 바닥부 간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드레인 홀을 통과하여 응축수 수용실에 포집된 응축수는 상기 연통부(이하, 연통로로 기재)를 거쳐 펌프실 내로 저장된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이러한 기술의 별도의 예로서 냉각장치(제습 수단)에 결로한 응축수(제습수)를 상기 냉각장치 하부에 설치된 회수 수로를 통해 제습탱크로 회수됨과 동시에, 상기 회수된 응축수를 펌프(송수펌프)에 의해 본체(의류건조기 본체) 상부에 배설된 저수탱크로 송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의류건조기에서는 제습탱크에 설치된 수위 센서에 의해 탱크내의 응축수가 일정 수위에 도달한 것이 감지 되면 펌프를 구동하여 제습탱크 내의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2011-239817호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2014-33849호
여기서 특허문헌 1과 같은 펌프실을 이용할 경우 유지 보수성을 향상하기 위해 펌프실을 구획하는 벽부를 펌프마다 착탈 가능한 덮개부로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펌프실은 완전 밀폐 구조로 될 수 없어 그 일부가 대기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펌프실을 사용하는 세탁 건조기가 작동을 개시하게 되면 펌프실 및 응축수 수용실 내의 기압이 양쪽 모두 부압이 되지만 펌프실 내의 기압은 펌프실이 응축수 수용실을 통해 제 1통풍로와 연통하는 것과 펌프실 내로 대기가 유입하는 함에 따라 응축수 수용실 내의 기압보다 높아져 펌프실 측에 수용된 응축수 수위가 응축수 수용실 측에 수용된 응축수 수위보다 낮아질 수 있다.
특히, 펌프실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응축수 수용실과 펌프실을 연결하는 연통로가 수몰하여 막히면 펌프실 내에 대기가 유입될 뿐 펌프실과 제 1통풍로 간 공기출입이 방해를 받아 상기와 같은 차압과 이에 따른 수위 차가 더욱더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의류건조기와 같이 펌프실 내에 설치된 수위 센서의 감지 결과에 의해 응축수를 끌어 올리도록 구성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수위 차가 증가함으로써 수위 센서에 의한 수위 감지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아 펌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펌프가 작동하기 전에 응축수 수용실 측이 만수가 되거나 만수 부근까지 저수되어 응축수 수용실로부터 순환 통풍로 내로 응축수가 역류할 수 있다. 이처럼 역류한 응축수는 예를 들면 팬 장치에 의해 공기까지 품어 올려 비산시켜 건조 중인 의류에 분무하거나 건조 동작에 이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역류를 저감 또는 방지하기 위한 방책의 하나로서 덮개부에 패킹 등의 실재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비교적 고도의 조립 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 제조 시 혹은 부품 교환 시에 조립 불량이 있었을 경우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해 해체한 덮개부를 다시 조립할 때 잘못 설치할 경우에 원하는 기밀성을 확보할 수 없어 펌프실 내로 대기의 유입을 초래하고 더 나아가 응축수가 역류하게 된다.
그리고 만일 충분한 기밀성을 가지는 실재를 설치하더라도 예를 들면 펌프실과 별체의 저수탱크가 호스 등으로 연통될 경우 상기 저수탱크 또는 호스를 통해 펌프실이 대기로 노출되기 때문에 역시 펌프실 내로 대기가 유입된다.
즉 덮개부에 실재를 추가하여 설치하는 방책으로는 제조비용만 증가할 뿐 응축수의 역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다.
다른 방책으로서는 예를 들면 응축수 수용실과 펌프실을 연결하는 연통로의 길이를 높이 방향으로 넓혀 응축수가 증가하더라도 연통로가 수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수 수위가 증가하더라도 펌프실과 순환 통풍로 간의 공기출입은 유지되기 때문에 차압이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넓게 확보된 연통로를 통해 펌프실 측에서 응축수 수용실 측으로 대기가 흘러들어와 수용된 응축수 수면에 파도를 일으켜 응축수의 비산을 초래시킨다.
최근 들어 건조기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팬 장치의 풍량 증대를 요구하고 있으나 풍량 증대에 따른 팬 장치의 직 상류 측의 기압이 더욱 저하하여 상기와 같은 응축수의 역류 문제가 더 쉽게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펌프실을 착탈 가능한 덮개부로 닫거나 저수탱크와 연통시키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실내의 적어도 일부가 대기와 연통되는 펌프실을 구비한 건조기 전반에 관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착안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건조기에서 제습 때문에 발생한 응축수의 역류 및 비산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면서 팬 장치의 풍량을 높이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상기 의류 건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장치와 상기 드럼과 연통되고 건조용 공기가 상기 팬 장치에 의해 순환되는 순환 통풍로와 상기 순환 통풍로 내에서 건조용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하는 냉각장치와 상기 순환 통풍로와 연통되고 상기 냉각장치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수용실과 응축수를 양수하는 펌프가 수용되고 상기 순환 통풍로의 외부 공간과 연통하는 펌프실과 상기 응축수 수용실과 상기 펌프실을 연통하여 상기 응축수 수용실에 수용된 응축수를 상기 펌프실로 유동시키는 제1 연통로와 상기 순환 통풍로를 상기 펌프실 또는 상기 순환 통풍로의 외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제2 연통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순환 통풍로는 상기 응축수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드럼을 통과한 건조용 공기가 상기 팬 장치로 향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제 1통풍로와 상기 팬 장치를 통과한 건조용 공기가 다시 상기 드럼을 향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제 2통풍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연통로는 상기 펌프실 내에 저장된 응축수가 증가하여 응축수에 의해 상기 제1 연통로가 폐쇄될 시 상기 제 1통풍로와 상기 펌프실 또는 상기 순환 통풍로의 외부 공간 간의 연통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제 2연통로의 개구는 상기 제 1연통로가 마련되는 위치보다 상측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펌프실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 2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제 1통풍로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 수용실과 상기 제 1통풍로를 연통시키는 드레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연통로는 상기 드레인부보다 상기 팬 장치와 인접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펌프실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 2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응축수 수용실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어 상기 펌프실이 상기 응축수 수용실을 통해 상기 제 1통풍로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2 연통로는 상기 제1 연통로가 상기 응축수 수용실 내측으로 개방되는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2 연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1 연통로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연통로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2연통로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 1연통로를 관통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1연통로에는 상기 제 1연통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 1연통로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 부재에 의해 제 1연통로 사이에 제 2연통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제 1통풍로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 2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본체의 외부 내부 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2 연통로는 상기 응축수 수용실과 상기 제 1통풍로를 연통시키는 드레인부보다 상기 팬 장치와 인접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응축수 수용실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 2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본체의 외부 공간 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 1통풍로가 상기 응축수 수용실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의류건조기.
또한 상기 펌프실은 대기에 개방된 개구를 가지며, 상기 펌프실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펌프실로부터 양수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펌프와 상기 저수탱크를 연결하는 연결수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실은 상기 연결수로를 통해 상기 순환 통풍로의 외부 공간과 연통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상기 의류 건조기는 드럼과 상기 드럼과 연통되고 건조용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 통풍로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통과한 건조용 공기가 냉각되고 제습되는 제 1통풍로와 제습된 건조용공기가 다시 상기 드럼을 향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제 2통풍로를 포함하는 순환 통풍로와 상기 제 1통풍로와 연통되고 상기 냉각장치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수용실과 상기 상기 응축수 수용실에 수용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응축수를 양수하는 펌프가 마련되고 상기 순환 통풍로의 외부 공간과 연통하는 펌프실과 상기 응축수 수용실과 상기 펌프실 사이에 발생하는 기압차를 줄이도록 상기 제 1통풍로 또는 상기 펌프실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펌프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펌프실의 압력을 낮추도록 상기 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펌프실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 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제 1통풍로 또는 상기 응축기 수용부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 수용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응축수 수용실의 압력을 높이도록 상기 연통로의 일단은 제 1통풍로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펌프실의 내측 또는 상기 순환 통풍로 외부와 연통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응축수 수용실 내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 1통풍로와 연통되게 마련되고, 상기 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순환 통풍로 외부와 연통되게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 때문에 발생한 응축수의 역류 및 비산을 더욱 확실히 방지하고 또한, 팬 장치의 풍량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응축수 수용실 및 펌프실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히트 펌프 사이클의 주요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펌프실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4(b)는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펌프실에 덮개부를 부착한 상태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변형 예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도 1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바닥부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응축수 수용실 및 펌프실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도 2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도 8(a)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펌프실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도 4(a)에 해당되는 도면이고 도 8(b)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구획 부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제1 변형 예에 의한 응축수 수용실 및 펌프실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도 2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도 10(a)은 제2 실시형태의 제1 변형 예에 의한 펌프실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도 4(a)에 해당되는 도면이고 도 10(b)은 상기 변형 예에 의한 튜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제2 변형 예에 의한 응축수 수용실 및 펌프실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도 2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응축수 수용실 및 펌프실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도 2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도 13(a)은 제3 실시형태에 의한 펌프실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 2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3 실시형태의 변형 예에 의한 펌프실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도 4(a)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도 16은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응축수 수용실 및 펌프실의 구조를 일부 생략하여 나타낸 도2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이하, 건조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
처음으로 제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의류건조기의 전체 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조기로서의 의류건조기(D)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세로로 긴 직방체형에 가까운 외형을 가진 본체(1)를 구비한다. 본체(1) 전면의 상부에는 정면 전방에서 보아 원형에 가까운 의류 투입구(2)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개구(2)를 회전 가능한 덮개부(3)에 의해 개폐하게 된다. 본체(1) 내의 상부에는 의류 투입구(2)과 연통하고 건조대상물로서의 의류(C)를 수용하기 위한 대상물 수용부로서의 드럼(4)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그리고 덮개부(3)가 열리면 의류 투입구(2)를 통해 드럼(4) 내로 의류(C)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드럼(4)은 전후 수평 방향으로 회전 축심을 가지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그 개구를 의류 투입구(2)로 향한 상태에서 바닥부의 중심부가 귀로 측 덕트(7)의 측벽부에 대해 샤프트(30)를 통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드럼(4)이 회전 축심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또 드럼(4)에는 의류(C) 건조에 사용한 건조용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순환용 배기구(31)와 의류(C) 건조에 사용하는 건조용 공기가 흡입되는 순환용 흡기구(32)가 연통되어 있다.
샤프트(30)는 본체(1) 내에 배설된 드럼 회전용 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있고 의류건조기(D)가 작동할 때 상기 드럼 회전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 드럼(4)을 소정 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단 회전용 모터에 의해 직접 벨트(미도시)를 통해 드럼(4)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체(1) 내부에는 일단이 순환용 배기구(31)와 연통하는 배기측 덕트(5)와 일단이 순환용 흡기구(32)와 연통하는 흡기측 덕트(7)와 배기측 덕트(5) 및 흡기측 덕트(7)의 타단끼리를 연결하는 가열건조용 덕트(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덕트(5, 6, 7) 내의 공간에 의해 건조용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드럼(4)을 경유하는 엔드리스의 순환 통풍로(8)가 구성된다. 또한, 덕트(5, 6) 간에는 린트 필터(29)가 설치되어 있고 의류(C)로부터 생긴 린트를 포집하고 필요에 따라서 본체(1) 외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기측 덕트(5)는 본체(1) 내의 전방 측을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상단부와 순환용 배기구(31)가 기밀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가열건조용 덕트(6)는 본체(1) 내의 바닥부 측(드럼(4)의 아래쪽)을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어 그 전방 측의 단부와 배기측 덕트(5)의 하단부가 기밀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흡기측 덕트(7)는 본체(1) 내의 후방 측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부와 가열건조용 덕트(6)의 후단부가 기밀 상태로 연결되는 한편 또한, 단부와 순환용 흡기구(32)가 기밀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드럼(4)는 순환용 배기구(31) 및 순환용 흡기구(32)에 대해 기밀 상태로 또한, 회전 자유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건조용 덕트(6)와 흡기측 덕트(7)와의 연결부, 즉 의류건조기(D) 하부를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순환 통풍로(8)가 상부를 향해 굴곡하는 부분에는 팬 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팬 장치(10)은 케이싱(10b)과 상기 케이싱(10b) 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측면부에 복수개의 날개를 가지는 원통형의 임펠러(10a)를 구비한다. 케이싱(10b)에는 임펠러(10a)의 회전축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개방되는 흡기구(10c)와 상기 회전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개방되는 배기구(10d)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흡기구(10c) 및 배기구(10d)는 각각 가열건조용 덕트(6)의 후단부 및 흡기측 덕트(7)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팬 장치(10)에는 예를 들면, 다익 팬(시로코 팬)을 구비한 원심식의 팬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 도 2, 도 3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환 통풍로(8)에는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하는 냉각장치로서의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증발기(9a)와 상기 냉각장치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장치로서의 동일한 응축기(9b)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은 가열건조용 덕트(6) 내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로서의 커버 베이스(6a)상에 배설되어 지지된다. 증발기(9a)는 순환 통풍로(8)의 상류측(전측)에 배설되어 있고 그 증발기(9a)의 하류측(후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응축기(9b)가 배설된다.
따라서 순환 통풍로(8)는 드럼(4)을 통과한 건조용 공기가 증발기(9a)와 응축기(9b)를 차례로 경유하면서 팬 장치(10)로 향해 흐르는 제 1통풍로(8a)와 이 제 1통풍로(8a)와는 별도로 팬 장치(10)를 통과한 건조용 공기가 드럼(4)을 향해 흐르는 제 2통풍로(8b)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통풍로(8a)는 배기측 덕트(5)와 가열건조용 덕트(6)에 의해 형성되는 한편, 제 2통풍로(8b)는 흡기측 덕트(7)에 의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팬 장치(10)의 작동에 의해 제 1통풍로(8a)가 부압이 되는 한편, 제 2통풍로(8b)는 정압이 된다. 이러한 부압 또는 정압의 크기, 즉 제 1통풍로(8a) 또는 제 2통풍로(8b) 내의 기압과 대기압 간의 차압 크기는 각각 드럼(4)으로부터 팬 장치(10)에 접근할수록 크게 된다.
또한, 의류건조기(D)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 내에 압축기(9c) 및 감압장치(9d)를 구비하고 있고 증발기(9a), 압축기(9c), 응축기(9b) 및 감압장치(9d)가 각각 냉매 배관(9e)에 의해 차례로 연결됨에 따라 히트 펌프 사이클(9)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증발기(9a) 및 응축기(9b)는 가열건조용 덕트(6) 내를 흐르는 공기 사이에 열 교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트 펌프 사이클(9)이 작동한 경우, 압축기(9c)로부터 토출되어 고온이며 고압으로 된 가스 냉매가 응축기(9b)로 응축된 후에 감압장치(9d)에서 팽창하여 저온이면서 저압의 액 냉매가 되고 상기 액 냉매가 증발기(9a)에서 증발한 후에 압축기(9c)로 돌아오게 되어 있어 증발기(9a)를 통과할 때 생기는 기화열로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함과 동시에 응축기(9b)를 통과할 때 생기는 응축열로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또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건조용 덕트(6)의 하측에는 증발기(9a)에서 발생한 응축수(W)를 회수하여 저장하기 위한 응축수 수용실(11)가 구비된다. 응축수 수용실(11)는 상측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개구는 커버 베이스(6a)에 의해 폐쇄된다. 이것에 의해 가열건조용 덕트(6)와 응축수 수용실(11)와의 사이가 구획되어 있다.
커버 베이스(6a)에는 증발기(9a)의 직하 측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로로서 형성된 드레인부로서의 드레인 홀(6b)이 뚫려 있고 증발기(9a)로 제 1통풍로(8a) 내의 건조용 공기를 제습할 때 생기는 응축수(W)는 상기 드레인 홀(6b)을 통해 응축수 수용실(11)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커버 베이스(6a)는 증발기(9a) 하측에서 드레인 홀(6b)에 가까워질수록 하부를 향하도록 경사져 있고(도 2 및 도 6 참조) 드레인 홀(6b) 주변에 낙하한 응축수(W)를 드레인 홀(6b)까지 유도하게 된다.
응축수 수용실(11)는 드레인 홀(6b)에 의해 제 1통풍로(8a)와 연통되어 있고 드레인 홀(6b)을 통해 응축수(W)를 회수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수 수용실(11)의 바닥면(11a)은 전방 측에서 후방으로 향할수록 하부로 경사져 있어 회수된 응축수(W)가 후방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응축수 수용실(1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으로 향할수록 좌우 방향의 폭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후방으로 향할수록 응축수(W)의 흐름이 안정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는 응축수 수용실(11)로 회수된 응축수(W)를 양수하기 위한 펌프(19)가 수용된 펌프실(16)을 구비한다. 상기 펌프실(16)은 본체(1)의 후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제1 연통로(12, 또는 유입구, 이하에서는 제1 연통로로 설명한다.)를 통해 응축수 수용실(11)와 연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수 수용실(11) 후방 측의 벽부(이하, 후벽부로 기재)(11b)에는 상기 후벽부(11b)의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1 연통로(1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연통로(12)에 의해 응축수 수용실(11) 후단과 펌프실(16) 전단이 일체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제1 연통로(12)는 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공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응축수 수용실(11)와 펌프실(16)을 각각 바닥부 사이에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응축수 수용실(11)로부터 흘러온 응축수(W)는 상기 제1 연통로(12)에 의해 펌프실(16)까지 유도하게 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통로(12)가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되는 높이는 드레인 홀(6b)의 하단부보다 낮아지도록 구성된다.
펌프실(16)은 상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도 4(a)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개구(15)를 통해 본체(1) 외의 공간과 연통하는 가로로 긴 직방체형에 가까운 공간을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펌프실(16)에는 그 개구(15)를 거의 기밀 상태로 폐쇄하도록 구성된 착탈 가능한 덮개부(18)가 장착된다. 개부(18)는 펌프실(16)의 개구(15) 주변에 감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부(18)를 개구(15)에 감합하는 것에 의해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18) 이면의 주변에는 예를 들면 천연고무 및 연질 수지 등의 가효성을 가지는 연질재로 된 실재(미도시)가 장착되어 있고 덮개부(18)를 개구(15)에 감합할 때 개구(15)가 거의 기밀 상태로 폐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18)의 지면 우측에는 펌프실(16)에 수용된 응축수(W)를 양수하기 위한 펌프(19)가 장착되어 있고 지면 좌측에는 펌프실(16)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로서의 수위센서(21)가 장착된다. 또한, 덮개부(18)의 지면 전방 측에서 좌우 거의 중앙부에는 호스 연결구(23)가 형성된다. 상기 호스 연결구(23)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수방지호스(24)가 액밀(液密)상태로 꽂혀 있다(도 4(b) 및 도 6에서는 생략). 펌프(19), 수위센서(21) 및 누수방지호스(24)는 각각 덮개부(18)로부터 개별적으로 떼어낼 수 있게 되어 있다.
펌프(19)는 양수식 수중 펌프이며 흡수구 및 배수구(모두 미도시)가 설치된 펌프 케이싱(19a)을 가지고 있다. 펌프(19)는 흡수구가 펌프실(16)의 바닥부 부근에 위치하면서 한편 배수구가 덮개부(18)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덮개부(18)에 고정된다. 상기 펌프(19)의 작동에 의해 펌프실(16) 내에 저장된 응축수(W)를 양수하게 되어 있다.
또 펌프(19)의 배수구에는 연결수로로서의 양수호스(20)(예를 들면, 합성수지 제품)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수 양수호스(20)의 타단은 별체의 저수탱크(25)와 연결되어 있고 펌프실(16)로부터 양수한 응축수(W)를 저수탱크(25)로 보내게 된다. 상기 저수탱크(25)는 본체(1) 내에서 드럼(4)보다 위쪽에 배설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서 본체(1) 내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저수탱크(25)는 수용용기 형태로 형성된 저수탱크용 응축수 수용실(26) 내에 설치되어 있고 저수탱크(25)로부터 넘쳐 흐른 응축수(W)를 상기 저수탱크용 응축수 수용실(26)으로 수용하게 된다. 저수탱크용 응축수 수용실(26)의 바닥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수방지호스(24)가 연결되어 있고 저수탱크(25)로부터 넘쳐 흐른 응축수(W)를 누수방지호스(24)를 통해 펌프실(16)로 되돌리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에서는 저수탱크용 응축수 수용실(26) 및 누수방지호스(24)를 통해 펌프실(16)과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이 연통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양수호스(20) 및 누수방지호스(24)를 흡기측 덕트(7)의 후방 측에 도시하고 있으나 양수호스(20) 및 누수방지호스(24)를 흡기측 덕트(7)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수위센서(21)는 덮개부(18)로부터 펌프실(16) 내로 수하 하도록 고정된 관 모양의 스템(21b)과 스템(21b)에 대해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로트(21a)를 구비하고 있고 수위센서(21)는 플로트(21a)의 높이에 의해 수위를 감지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수위센서(21)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소정 문턱 값(L)을 상회할 때 펌프(19)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도 4(a)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베이스(6a)의 후단이 연결되는 가열건조용 덕트(6)의 후벽부(6h) 하단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로 길면서 약간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공으로서 형성된 제2 연통로(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 연통로(17)는 후단이 펌프실(16) 내에 개방되는 한편, 전단이 제 1통풍로(8a) 내에 개방되어 있고 응축수 수용실(11) 내와 펌프실(16) 내 사이의 차압이 줄도록 제 1통풍로(8a)를 펌프실(16)로 연통시킨다.
제2 연통로(17, 또는 연통로, 이하에서는 제2 연통로로 설명한다.)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통로(12)가 펌프실(16) 내에 개방된 높이 위치보다 상부 위치에서 펌프실(16) 내에 개방되어 있고 또한, 제2 연통로(17)가 펌프실(16) 및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되는 높이는 양쪽 모두 펌프(19)가 작동을 개시하는 수위 문턱 값(L)보다 상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 연통로(17)는 도 2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레인 홀(6b)보다 직하류 측에서 제 1통풍로(8a) 내로 개방되어 있다.
<의류건조기의 운전 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의 운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의류건조기(D)가 작동을 개시하면 드럼 회전용 모터, 팬 장치(10) 및 히트 펌프 사이클(9)가 작동한다. 팬 장치(10) 작동에 의해 순환 통풍로(8)에서의 제 1통풍로(8a)가 부압이 되는 한편에 제 2통풍로(8b)가 정압이 되는 압력 차가 생긴다. 예를 들면 팬 장치(10)의 직상류 측의 기압은 대기압보다 300 Pa 이상 낮아질 수 있다. 드럼(4) 내의 공기는 상기 차압에 따라 순환 통풍로(8) 내를 건조용 공기로서 순환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의 화살표(A1 및 A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4) 내의 건조용 공기는 순환용 배기구(31)를 통해 배기측 덕트(5) 내에 유입하고 본체(1) 내의 전방 측을 하부를 향해 흐른 다음에 가열건조용 덕트(6) 내에 유입한다.
그리고 도 1의 화살표(A2)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건조용 덕트(6) 내에 유입된 공기는 상기 가열건조용 덕트(6)를 따라 본체(1) 내의 하측을 후방을 향해 흐른다. 가열건조용 덕트(6) 내에는 그 하류 측으로 히트 펌프 사이클(9)을 구성하는 증발기(9a)와 응축기(9b)가 차례로 배설되어 있어서 건조용 공기는 가열건조용 덕트(6)를 통과함에 따라 우선 증발기(9a)에서 냉각 제습된 후 응축기(9b)에서 가열되어 의류(C) 건조에 적합한 상태로 조정된다.
가열건조용 덕트(6) 및 흡기측 덕트(7)에는 각각 팬 장치(10)의 흡기구(10c) 및 배기구(10d)가 면하고 있어서 도 1의 화살표(A2 및 A3)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열건조용 덕트(6)를 통과한 건조용 공기는 팬 장치(10) 내를 경유하여 그리고 송출된 후 흡기측 덕트(7)로 유입된다. 또한, 도 1의 화살표(A3)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기측 덕트(7)로 유입된 건조용 공기는 이 흡기측 덕트(7)를 따라 본체(1) 내의 후방 측을 상부를 향해 흐른 후 순환용 흡기구(32)를 통해 드럼(4) 내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순환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건조용 공기는 의류건조기(D)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 소정의 습도 및 온도로 유지되고 이것에 의해 드럼(4) 내의 의류(C)는 건조하게 된다. 또한, 의류건조기(D)가 작동되는 동안, 드럼 회전용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드럼(4)이 소정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드럼(4) 내 의류(C)가 교반되어 건조용 공기가 드럼(4) 내의 의류(C)에 골고루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순환 공정이 반복되면 증발기(9a) 표면에는 제습 때문에 발생한 물방울 형태의 응축수(W)가 부착한다. 상기 부착한 응축수(W)는 적하한 후에 커버 베이스(6a)의 경사에 따라 드레인 홀(6b)로 유도되어 상기 드레인 홀(6b)로부터 응축수 수용실(11)로 흘러 떨어진다. 상기 응축수 수용실(11)로 흘러 떨어진 응축수(W)는 응축수 수용실(11) 바닥면(11a)을 따라 후방으로 흘러내리고 제1 연통로(12)를 통해 펌프실(16)로 공급되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순환 공정이 한층 더 반복되면 펌프실(16), 제1 연통로(12) 및 응축수 수용실(11)에 수용된 응축수의 수위가 상승한다. 그리고 펌프실(16) 내 수위가 소정의 문턱 값(L) 이상의 수위에 달한 것을 수위센서(21)가 감지하면 제어부가 펌프(19)를 작동시킨다. 상기 작동한 펌프(19)에 의해 펌프실(16) 및 응축수 수용실(11)에 수용된 응축수(W)가 양수되고 양수호스(20)를 통해 저수탱크(25)로 이송된다.
제 1통풍로(8a)는 드레인 홀(6b)을 통해 응축수 수용실(11)와 연통하고 있어서 응축수 수용실(11) 내 기압은 제 1통풍로(8a) 내 부압에 가까워지도록 조정된다. 한편 응축수 수용실(11)는 제1 연통로(12)를 통해 펌프실(16)과 연통한다. 여기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과 같이 드레인 홀(6b)과 제1 연통로(12)만을 사용하여 제 1통풍로(8a)와 응축수 수용실(11)와 펌프실(16)을 연통시킬 경우에는 펌프실(16)이 응축수 수용실(11)를 통해 제 1통풍로(8a)와 연통하는 것과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이하, 간단하게 외부(A)로 기재)에서 펌프실(16) 내로 유입하는 대기에 의해 펌프실(16) 내 기압은 응축수 수용실(11) 내 기압보다 크게 된다(대기압에 접근한다). 그러나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의한 펌프실(16)은 제2 연통로(17)를 구비하고 있어서 펌프실(16) 내 기압은 제1 연통로(12)를 통한 공기출입에 더하여 추가로 제2 연통로(17)를 통한 공기출입에 의해 제 1통풍로(8a) 내 부압에 가까워지도록 조정된다. 이것에 의해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이 줄어든다.
여기서 펌프실(16) 및 응축수 수용실(11)에 수용된 응축수(W)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1 연통로(1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수(W)에 의해 폐쇄되지만 제2 연통로(17)는 제1 연통로(12)가 폐쇄(수몰) 될 때도 펌프실(16)과 제 1통풍로(8a) 간의 연통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연통로(12)가 수몰될 때 제1 연통로(12)를 통한 공기출입이 방해를 받는 한편, 제2 연통로(17)를 통한 공기출입이 유지되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은 제1 연통로(12)가 수몰될 경우에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 증대를 방지하고 펌프실(16) 내의 수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한편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에 생기는 응축수(W)의 수위 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펌프(19)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응축수(W)의 역류 및 비산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는 높은 풍량을 가지는 팬 장치(10)를 구비할 경우에도 응축수(W)의 역류나 비산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의류건조기(D)에 구비된 팬 장치(10)의 풍량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펌프실(16)과 제 1통풍로(8a)를 직접 연통시켰기 때문에 예를 들면 펌프실(16) 내에 대기가 유입되었을 때 이들 대기의 적어도 일부는 제 1통풍로(8a)로 흡입되도록 제2 연통로(17)를 통해 제 1통풍로(8a) 내로 흘러들어 온다. 제 1통풍로(8a) 내에 흘러들어온 대기는 제 1통풍로(8a) 내의 기압, 더 나아가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기압을 차례로 증대시키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의 기압이 대기 유입에 의해 증대했을 때 이에 응하여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기압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펌프실(16) 내에 대기가 유입되었을 때 제2 연통로(17)를 통해 제 1통풍로(8a) 내로 유입시키거나 차압의 증대를 방지하거나 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1 연통로(12)가 수몰되지 않을 때 펌프실(16) 내에 유입한 대기가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수용된 응축수(W)의 수면에 파도를 일으켜 응축수(W)를 비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예측하지 못한 사태 등에 의해 저수탱크(25)로부터 넘쳐 흐른 응축수(W)가 저수탱크(25) 하측에 설치된 저수탱크용 응축수 수용실(26) 위로 흘러 떨어진 후 누수방지호스(24)를 통해 펌프실(16)로 돌아오게 된다.
또, 제 1통풍로(8a)와 펌프실(16)을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펌프실(16) 내 기압을 제 1통풍로(8a) 내 부압과 근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 1통풍로(8a) 내의 기압, 더 나아가 제 2통풍로(8b) 내의 기압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덕트(5, 6, 7)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누설과 이에 따르는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연통로(17)가 펌프실(16) 내에 개방된 높이 위치를 제1 연통로(12)가 펌프실(16) 내에 개방된 높이 위치보다 높게 했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의 응축수(W)가 제2 연통로(17)를 통해 역류하거나 제2 연통로(17)를 수몰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제2 연통로(17)에 의한 연통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2 연통로(17)가 제 1통풍로(8a) 내에 개방되는 위치를 드레인 홀(6b)보다 팬 장치(10)의 직상류 측에 가깝도록 구성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레인 홀(6b)이 커버 베이스(6a)에 설치되어 있는 데 반해 제2 연통로(17)는 그것보다 팬 장치(10)에 가까운 후벽부(6h)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연통로(17) 주변의 기압은 드레인 홀(6b)보다 팬 장치(10)에 가까워진 만큼만 드레인 홀(6b) 주변의 기압보다 낮아진다. 이것에 의해 펌프실(16) 내부의 기압을 낮게 유지하고 더 나아가 펌프실(16) 내의 수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2 연통로(17)가 펌프실(16) 및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되는 높이는 양쪽 모두 펌프(19)가 작동을 개시하는 수위 문턱 값(L)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펌프실(16) 내의 응축수(W)가 제2 연통로(17)를 통해 역류하거나 제2 연통로(17)를 수몰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제2 연통로(17)에 의한 연통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덮개부(18)에 의해 펌프실(16)의 개구(15)를 거의 기밀 상태로 폐쇄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에의 대기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펌프실(16) 내의 기압 증대를 억제하고 더 나아가 펌프실(16) 내의 수위를 높게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로서 각각 히트 펌프 사이클(9)을 구성하는 증발기(9a) 및 응축기(9b)가 사용된다. 이 경우 순환 통풍로(8) 내를 흐르는 공기의 풍량 증가에 따라 증발기(9a) 및 응축기(9b)와 건조용 공기 간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하기 때문에 높은 풍량을 가진 팬 장치(10) 설치에 따른 이점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 응축수 수용실(11)와 가열건조용 덕트(6)는 증발기(9a) 및 응축기(9b)를 지지하고 있는 커버 베이스(6a)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서 증발기(9a) 전방에서 응축수 수용실(11)로 유입되어 응축수 수용실(11)를 통해 팬 장치(10)로 유입되는 건조용 공기의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2 연통로(17)는 제1 연통로(12)가 펌프실(16) 내에 개방된 높이 위치보다 상부 위치에서 펌프실(16) 내에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펌프실(16) 내에 입설(笠設)된 벽부에 의해 펌프실(16) 내에 유입된 응축수(W)가 내밀리게 하는 공간을 구획함과 동시에 이러한 공간을 제 1통풍로(8a)와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제2 연통로(17)를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구성함으로써 제2 연통로(17)를 제1 연통로(12)가 펌프실(16) 내에 개방된 높이 위치보다 하부 위치에서 펌프실(16) 내에 개구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펌프(19)가 작동을 개시하는 수위 문턱 값(L)에 대하여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이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구성과의 차이와 그 차이에 의해 얻을 수 있는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한 제1 연통로(12)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제1 연통로(12)보다 높이 방향의 치수가 하부로 깊게 취해져 있고 응축수 수용실(11)의 후벽부(11b)에는 도8(b)에 표시한 구획 부재(33)가 장착된다.
구획 부재(33)는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면이 개방된 장방형에 가까운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좌우 양벽부에는 각각, 윗면에서 하부로 노치 되어 형성된 단면 U자에 가까운 모양의 노치부(33a, 33a)가 설치되어 있다.
구획 부재(33)는 2개의 노치부(33a, 33a)를 각각 후벽부(11b)에 대해 하부로부터 끼움으로써 고정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제1 연통로에 해당하는 연통로는 도 7 및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수 수용실(11)의 바닥면(11a)과 펌프실(16)의 바닥면과 구획 부재(33)의 외벽부에 의해 구획되는 통수로(12)와 구획 부재(33)의 내벽부와 후벽부(11b)에 의해 구획되는 환기로(17)로 구획되게 된다.
통수로(12)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제1 연통로를 구성하고 있다. 즉 통수로(12)는 응축수 수용실(11)와 펌프실(16)을 각각의 바닥부 간으로 연통시키고 응축수 수용실(11)에 수용된 응축수(W)를 펌프실(16) 내로 안내하듯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환기로(17)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에서 보아 상측으로 개방된 상방향의 ㄷ자 모양의 통로를 형성하고 있고 응축수 수용실(11)와 펌프실(16) 사이에 환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환기로(17)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연통로(17)를 구성하고 있고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을 줄일 수 있도록 제 1통풍로(8a)를 응축수 수용실(11)를 통해 펌프실(16)과 연통시킨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통수로(12) 및 환기로(17)를 각각"제2 실시형태에서의 제1 연통로(12) 및 제2 연통로(17)", 혹은 단지 "제1 연통로(12) 및 제2 연통로(17)"로 기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제2 연통로(17)는 후단이 상기 펌프실(16) 내로 개방되는 한편, 전단이 응축수 수용실(11) 내로 개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통풍로(8a)를 응축수 수용실(11)를 통해 펌프실(16)과 연통시킨다.
그리고 제2 연통로(17)의 양단은 양쪽 모두 상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고 각각 제1 연통로(12)가 펌프실(16) 내 및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된 높이 위치보다 상부위치에 개방되어 있다.
또 제2 연통로(17)의 양단은 양쪽 모두 펌프(19)가 작동을 개시하는 수위 문턱 값(L)보다 상부 위치에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가 작동을 개시하면 제1 연통로(12) 또는 제2 연통로(17)를 통한 펌프실(16)과 응축수 수용실(11) 사이에 이루어지는 공기출입에 의해 펌프실(16) 내 기압은 응축수 수용실(11) 내 부압에 가깝게 조정된다. 한편으로 응축수 수용실(11) 내 기압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드레인 홀(6b)을 통한 연통에 의해 제 1통풍로(8a) 내의 부압에 가깝게 조정된다.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펌프실(16) 및 응축수 수용실(11)에 수용된 응축수(W)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1 연통로(12)는 응축수(W)에 의해 폐쇄되는 한편, 제2 연통로(17)는 제1 연통로(12)가 폐쇄될 때 펌프실(16)과 응축수 수용실(11) 간의 연통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연통로(12)가 수몰될 때 제1 연통로(12)를 통한 공기출입이 가로막히게 되는 한편 제2 연통로(17)를 통한 공기출입이 유지되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간의 차압은 제2 연통로(17)를 통한 공기출입에 의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 증대를 방지하고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에 생기는 응축수(W)의 수위 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펌프(19)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더 나아가 응축수(W)의 역류 및 비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와 마찬가지로 높은 풍량을 가지는 팬 장치(10)를 구비할 경우에도 응축수(W)의 역류나 비산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의류건조기(D)에 구비된 팬 장치(10)의 풍량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펌프실(16)과 제 1통풍로(8a)를 응축수 수용실(11)를 통해 연통시켰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 1통풍로(8a) 내의 기압, 더 나아가 제 2통풍로(8b) 내의 기압 증대를 억제하고 각 덕트(5, 6, 7)로부터의 건조용 공기의 누설과 이에 따르는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연통로(17)는 펌프실(16)과 응축수 수용실(11) 사이에 공기가 출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 1통풍로(8a) 내를 흐르는 건조용 공기의 흐름(A2)을 간섭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 후벽부(11b)에 장착한 구획 부재(33)에 의해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제1 연통로(12)와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연통로(17)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어서 순환 통풍로(8)를 형성하는 덕트(5, 6, 7) 주위의 설계변경을 최소화함으로써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2 연통로(17)의 양단의 높이를 양쪽 모두 제1 연통로(12)보다 높게 구성했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의 응축수(W)가 제2 연통로(17)를 통해 역류하거나 제2 연통로(17)가 수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연통로(17)에 의한 연통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2 연통로(17) 양단 개구를 양쪽 모두 상부를 향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이들 개구를 하부 또는 전후좌우를 향한 구성과 비교할 경우 응축수(W)가 제2 연통로(17)를 통해 역류하거나 제2 연통로(17)가 수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연통로(17)에 의한 연통을 유지할 수 있어 또한, 바람직하다.
또, 제2 연통로(17)의 양단은 양쪽 모두 펌프(19)가 작동을 개시하는 수위 문턱 값(L)보다 상부 위치에 개방되어 있어서 응축수(W)가 제2 연통로(17)를 통해 역류하거나 제2 연통로(17)가 수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연통로(17)에 의한 연통을 유지할 수 있어 또한,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
이하, 제2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 도 10(a) 및 도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변형예에 의한 제1 연통로(12)에는 관 모양의 관로부로서의 튜브(34)가 삽통되고 또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변형예에서의 제2 연통로(17)는 상기 튜브(34)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상기 변형예에서의 제2 연통로(17)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 전방 측으로 보아 단면 U자에 가까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실시형태에서의 제2 연통로(17)와 마찬가지로 일단이 상기 펌프실(16) 내에 개방되는 한편, 타단이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되어 있고 그 양단은 양쪽 모두 상부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2 연통로(17)의 양단은 각각 제1 연통로(12)가 펌프실(16) 및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된 높이 위치보다 상부 위치에 개방되어 있다.
상기 변형예에 의한 의류건조기(D)는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높은 풍량을 가지는 팬 장치(10)를 구비할 경우에도 응축수(W)의 역류 및 비산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의류건조기(D)에 구비된 팬 장치(10)의 풍량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변형예에서는 제1 연통로(12)에 삽통한 튜브(34)에 의해 제2 연통로(17)를 구획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순환 통풍로(8)를 형성하는 덕트(5, 6, 7) 주위의 설계변경을 최소화함으로써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제2 실시형태의 제2 변형예)
제2 실시형태 및 상기 실시형태의 제1 변형예에서는 구획 부재(33)를 장착하거나 튜브(34)를 삽통 함으로써 일단이 상기 펌프실(16) 내에 개방되는 한편, 타단이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되는 제2 연통로(17)를 구성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벽부(11b)에 관통공을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제2 연통로(17)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추가된 변형예)
제2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부재(33)의 일례로서 응축수 수용실(11)의 후벽부(11b)에 삽입하여 장착되도록 구성된 직방형에 가까운 상자 모양의 부재에 관해 설명했으나 구획 부재(33)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연통로(12) 부근에 입설된 벽부에 의해 제1 연통로(12)를 흐르는 응축수(W)가 밀어낼 수 있는 공간을 구획함과 동시에 그러한 공간을 응축수 수용실(11)와 펌프실(16)과 연통시키는 것에 의해 제2 연통로(17)를 구획한다고 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이하,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제2 연통로(17)는 제1~제3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연통로(17)와는 달라 응축수 수용실(11) 내와 펌프실(16) 간의 차압을 줄일 수 있도록 제 1통풍로(8a)를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과 연통시킨다.
구체적으로 커버 베이스(6a)의 후단이 연결되는 가열건조용 덕트(6)의 후벽부(6h)에는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에 의해 구획되는 제2 연통로(17)는 후단이 대기에 개방되는 한편, 전단이 제 1통풍로(8a) 내에 개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통로(17)의 후단은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실(16) 부근에서의 본체(1)의 후면에 개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제 1통풍로(8a)를 본체(1) 외에서의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과 연통시킨다.
또 제2 연통로(17)는 드레인 홀(6b)보다 직하류 측에서 제 1통풍로(8a) 내에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가 작동을 개시하면 제 1통풍로(8a) 내를 부압으로 하는 한편, 제 2통풍로(8b) 내를 정압으로 하는 압력 차가 발생하지만 제2 연통로(17)를 경유하는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으로부터 제 1통풍로(8a)에 유입하는 대기에 의해 제 1통풍로(8a) 내의 기압은 대기압에 가깝게 조정된다. 한편,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기압도 드레인 홀(6b)을 통한 제 1통풍로(8a) 간의 연통에 의해 대기압에 가깝게 조정된다. 여기서 펌프실(16) 내의 기압은 펌프실(16)이 응축수 수용실(11)를 통해 제 1통풍로(8a)와 연통하는 것과 외부(A)으로부터 펌프실(16) 내에 유입하는 대기에 의해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기압보다 크게 된다(대기압에 가까워진다). 그러나 이 경우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기압은 제2 연통로(17)의 설치에 의해 대기압에 가깝도록 조정되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이 줄어든다.
여기서 펌프실(16) 및 응축수 수용실(11)에 수용된 응축수(W)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1 연통로(12)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수(W)에 의해 폐쇄되지만 제2 연통로(17)는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연통로(12)가 폐쇄될 때도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과 제 1통풍로(8a) 간의 연통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연통로(12)가 수몰될 때 제1 연통로(12)를 통한 공기출입이 가로막히게 되는 한편, 제2 연통로(17)로부터의 대기 유입이 유지되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은 제1 연통로(12)가 수몰될 때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제1 연통로(12)가 수몰될 때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 증대를 방지하고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에 생기는 응축수(W)의 수위 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펌프(19)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더 나아가 응축수(W)의 역류 및 비산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제3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와 마찬가지로 높은 풍량을 가지는 팬 장치(10)를 구비할 경우에도 응축수(W)의 역류나 비산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의류건조기(D)에 구비된 팬 장치(10)의 풍량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통풍로(8a)를 대기에 개방함으로써 제 1통풍로(8a) 내의 기압과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기압을 각각 대기압에 가깝도록 하였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의 기압을 대기압 레벨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펌프(19)의 부하를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펌프실(16) 내의 기압을 비교적 높게 유지함으로써 저수탱크(25) 내와 펌프실(16) 내 사이의 차압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팬 장치(10)의 작동에 의해 펌프실(16) 내의 기압이 저수탱크(25) 내의 기압보다 낮아지지만 제2 연통로(17)를 구비함에 따라 이러한 펌프실(16) 내와 저수탱크(25) 내 사이의 차압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펌프(19)의 부하를 줄이고 더 나아가 응축수(W)의 양수를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펌프실(16) 내의 기압을 부압에 가깝게 하는 구성과 비교하면 펌프실(16) 내의 기압을 상대적으로 대기압 레벨로 유지함으로써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과 펌프실(16) 내 사이의 차압도 상대적으로 줄어 외부(A)으로부터 펌프실(16) 내에 대기가 유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연통로(12)가 수몰되지 않을 때 펌프실(16) 내에 유입한 대기가 응축수 수용실(11)에 수용된 응축수(W)의 수면에 파도를 일으켜 응축수(W)를 비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통풍로(8a)와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을 직접 연통시켰기 때문에 외부(A)으로부터 유입한 대기는 응축수 수용실(11)를 경유하지 않고 제2 연통로(17)를 통해 제 1통풍로(8a) 내에 직접 흘러들어 가게 된다. 따라서 제2 연통로(17)를 통해 유입한 대기가 응축수 수용실(11)에 수용된 응축수(W)의 수면에 파도를 일으켜 응축수(W)를 비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 1통풍로(8a)와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을 직접 연통시켰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에 저장된 응축수(W)의 수위가 증가할 때 그 응축수(W)가 제2 연통로(17)를 통해 역류하거나 제2 연통로(17)를 수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2 연통로(17)는 드레인 홀(6b)보다 직하류 측에서 제 1통풍로(8a) 내에 개방되어 있어서 제2 연통로(17)는 드레인 홀(6b)보다 팬 장치(10)의 직상류 측에 가깝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연통로(17) 부근의 제 1통풍로(8a) 내와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 내 사이의 차압이 크게 차이 나지 않고 제 1통풍로(8a) 내의 기압을 비교적 신속하게 대기압에 접근시켜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을 비교적 신속하게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
이하, 제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의류건조기(D)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2 연통로(17)는 도 12,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 외에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에 대신하여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 내에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연통로(17)는 본체(1)의 후면에는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되게 된다.
(제4 실시형태)
이하,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제2 연통로(17)는 응축수 수용실(11) 내와 펌프실(16) 간의 차압을 줄이도록 제 1통풍로(8a)를 응축수 수용실(11)를 통해 본체(1) 내에서의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과 연통시킨다.
구체적으로 응축수 수용실(11)의 후벽부(11b)에는 관통공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에 의해 구획되는 제2 연통로(17)는 후단이 대기에 개방되는 한편, 전단이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통로(17)의 후단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펌프실(16) 부근에서의 본체(1)의 후면에 개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제 1통풍로(8a)를 본체(1) 외에서의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과 연통시킨다.
제2 연통로(17)가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되는 높이 위치는 제1 연통로(12)가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된 높이 위치보다 상부 위치가 되도록 하고 또한, 펌프(19)가 작동을 개시하는 수위 문턱 값(L)보다 상부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가 작동을 개시하면 제 1통풍로(8a) 내를 부압으로 하는 한편, 제 2통풍로(8b) 내를 정압으로 하는 압력 차가 발생하지만 제2 연통로(17)를 통한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으로부터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유입하는 대기에 의해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기압은 대기압에 가깝게 조정된다. 여기서, 펌프실(16) 내의 기압은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펌프실(16)이 응축수 수용실(11)를 통해 제 1통풍로(8a)와 연통하는 것과 외부(A)으로부터 펌프실(16) 내에 유입하는 대기에 의해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기압보다 크게 된다(대기압에 가까워진다). 그러나 이 경우,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기압은 제2 연통로(17)의 설치에 의해 대기압에 가깝도록 조정되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이 줄어든다.
여기서 펌프실(16) 및 응축수 수용실(11)에 수용된 응축수(W)의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제1 연통로(12)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축수(W)에 의해 폐쇄되지만 제2 연통로(17)는 제1~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연통로(12)가 폐쇄될 때도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과 응축수 수용실(11) 간의 연통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연통로(12)가 수몰될 때 제1 연통로(12)를 통한 공기출입이 가로막히게 되는 한편, 제2 연통로(17)로부터의 대기의 유입이 유지되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은 제1 연통로(12)가 수몰되어 있을 때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제1 연통로(12)가 수몰될 때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의 차압 증대를 방지하고 펌프실(16) 내와 응축수 수용실(11) 내 사이에 생기는 응축수(W)의 수위 차를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펌프(19)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더 나아가 응축수(W)의 역류 및 비산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는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의류건조기(D)와 마찬가지로 높은 풍량을 가지는 팬 장치(10)를 구비할 경우에서도 응축수(W)의 역류나 비산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의류건조기(D)에 구비된 팬 장치(10)의 풍량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응축수 수용실(11)를 대기에 개방함으로써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기압을 대기압에 가깝도록 하였기 때문에 펌프실(16) 내의 기압을 대기압 레벨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펌프(19)의 부하를 줄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과 펌프실(16) 내 사이의 차압도 줄어 외부(A)으로부터 펌프실(16) 내에 대기가 유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연통로(12)가 수몰되지 않을 때 펌프실(16) 내에 유입한 대기가 응축수 수용실(11)에 수용된 응축수(W)의 수면에 파도를 일으켜 응축수(W)를 비산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4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연통로(17)는 응축수 수용실(11)와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 사이에 공기가 출입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제 1통풍로(8a)를 흐르는 건조용 공기의 흐름(A2)을 간섭하지 않아 바람직하다.
또 제2 연통로(17)가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되는 높이는 제1 연통로(12)가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개방된 높이 위치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또한, 펌프(19)가 작동을 개시하는 수위 문턱 값(L)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수용된 응축수(W)가 제2 연통로(17)를 흐르거나 제2 연통로(17)가 수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연통로(17)에 의한 연통을 유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
이하, 제4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의류건조기(D)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2 연통로(17)는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 외에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를 대신하여 본체(1) 내에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하, 상기 실시형태 전부에 공통적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에서 제1 연통로(12), 제2 연통로(17) 및 드레인 홀(6b)에 대해 각각의 유로 단면적이나 유로 길이를 적절히 변경시킬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펌프실(16) 내, 응축수 수용실(11) 내, 및 제 1통풍로(8a) 내 사이의 차압 크기를 각각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에 의해 예를 들면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기압보다 펌프실(16) 내의 기압을 낮게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수위보다 펌프실(16) 내의 수위가 높아지나 수위센서(21)에 의한 감지 결과를 받아 펌프(19)가 적절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응축수(W)의 역류 및 비산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 제1~제4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연통로(17)를 서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제1~제4 실시형태에 의한 제2 연통로(17)의 형상이나 구성에 대해서도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4 실시형태에서 응축수 수용실(11)와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A)을 관통공이 아닌 후벽부(11b)에 삽통한 튜브에 의해 연통시킬 수 있다.
또 펌프실(16), 응축수 수용실(11) 및 제 1통풍로(8a) 내에 이물질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연통로(17)의 개구에 망 형태의 부재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 제2 연통로(17)를 개폐 가능한 제어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제어밸브를 예를 들면 펌프실(16) 또는 응축수 수용실(11) 내의 수위나 기압에 의해 개폐시킬 수도 있고 건조 공정을 개시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폐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 후면에 펌프실을 폐쇄하는 덮개부(18)와는 별도의 후면측 덮개부(36)를 장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후면측 덮개부(36)는 덮개부(18)와 마찬가지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펌프실(16) 내의 기밀성을 높이거나 펌프실(16)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3 실시형태 및 상기 제4 실시형태와 같이 제2 연통로(17)의 후단이 본체(1)의 후면에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면측 덮개부(36)를 설치함으로써 제2 연통로(17)를 통해 제 1통풍로(8a) 또는 응축수 수용실(11)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드레인 홀(6b)의 수, 배치, 형태 등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발기(9a) 또는 응축기(9b)의 직하부에 다른 드레인 홀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착탈 가능한 덮개부(18)에 의해 펌프실(16)의 개구(15)를 폐쇄하도록 했으나 그 구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덮개부(18)와 펌프실(16)을 일체적으로 접합할 수도 있다.
또한, 양수호스(20)의 타단을 저수탱크(25) 이외에 연결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양수호스(20)를 직접 가정의 배수배관 등에 연결하고 상기 배수배관 등에 배수를 흘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수위센서(21)는 상위 플로트 식의 센서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식의 수위감지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극식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제4 실시형태에서는 냉각장치 및 가열장치로서 각각 히트 펌프 사이클(9)을 구성하는 증발기(9a) 및 응축기(9b)를 사용하였으나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발기(9a) 대신에 공랭식 열교환기(27)를 사용하여 응축기(9b) 대신하여 전열히터(28)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서의 전열히터(28)는 제 2통풍로(8b)에 배설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전열히터(28)가 공랭식 열교환기(27)의 작동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제1~제4 실시형태에서는 의류(C)를 위한 의류건조기(D)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의류 이외의 것을 건조의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A: 순환 통풍로 외의 공간 C: 의류(건조대상물)
D: 의류건조기(건조기) W: 응축수
4: 드럼(대상물 수용부) 6b: 드레인 홀(연통부)
8: 순환 통풍로 8a: 제 1통풍로
8b: 제 2통풍로 9: 히트 펌프 사이클
9a: 증발기(냉각장치) 9b: 응축기(가열장치)
10: 팬 장치 11: 응축수 수용실
12: 제1 연통로 15: 개구
16: 펌프실 17: 제2 연통로
18: 덮개부 19: 펌프
33: 구획 부재 34: 튜브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 내측에 마련되는 드럼;
    상기 드럼에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장치;
    상기 드럼과 연통되고 건조용 공기가 상기 팬 장치에 의해 순환되는 순환 통풍로;
    상기 순환 통풍로 내에서 건조용 공기를 냉각하여 제습하는 냉각장치;
    상기 순환 통풍로와 연통되고 상기 냉각장치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수용실;
    응축수를 양수하는 펌프가 수용되고 상기 순환 통풍로의 외부 공간과 연통하는 펌프실;
    상기 응축수 수용실과 상기 펌프실을 연통하여 상기 응축수 수용실에 수용된 응축수를 상기 펌프실로 유동시키는 제1 연통로;
    상기 순환 통풍로를 상기 펌프실과 상기 순환 통풍로의 외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시키는 제2 연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순환 통풍로는 상기 응축수 수용실과 연통되고 상기 드럼을 통과한 건조용 공기가 상기 팬 장치로 향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제 1통풍로와 상기 팬 장치를 통과한 건조용 공기가 다시 상기 드럼을 향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제 2통풍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펌프실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 2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제 1통풍로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통로는 상기 펌프실 내에 저장된 응축수가 증가하여 응축수에 의해 상기 제1 연통로가 폐쇄될 시 상기 제 1통풍로와 상기 펌프실과 상기 순환 통풍로의 외부 공간 중 적어도 하나 사이의 연통을 유지하는 의류건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통로의 개구는 상기 제 1연통로가 마련되는 위치보다 상측에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용실과 상기 제 1통풍로를 연통시키는 드레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연통로는 상기 드레인부보다 상기 팬 장치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펌프실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 2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응축수 수용실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어 상기 펌프실이 상기 응축수 수용실을 통해 상기 제 1통풍로와 연통되는 의류건조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통로는 상기 제1 연통로가 상기 응축수 수용실 내측으로 개방되는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의류건조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통로의 일부는 상기 제1 연통로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통로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2연통로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상기 절곡부가 상기 제 1연통로를 관통하게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통로에는 상기 제 1연통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제 1연통로 사이에 배치되는 구획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구획 부재에 의해 제 1연통로 사이에 제 2연통로가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제 1통풍로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 2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본체의 외부 내부 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통로는 상기 응축수 수용실과 상기 제 1통풍로를 연통시키는 드레인부보다 상기 팬 장치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응축수 수용실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 2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본체의 외부 공간 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어 상기 제 1통풍로가 상기 응축수 수용실을 통해 상기 본체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의류건조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실은 대기에 개방된 개구를 가지며, 상기 펌프실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실로부터 양수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와 상기 펌프와 상기 저수탱크를 연결하는 연결수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실은 상기 연결수로를 통해 상기 순환 통풍로의 외부 공간과 연통되는 의류건조기.
  17. 드럼;
    상기 드럼과 연통되고 건조용 공기가 순환되는 순환 통풍로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통과한 건조용 공기가 냉각되고 제습되는 제 1통풍로와 제습된 건조용공기가 다시 상기 드럼을 향해 흐르도록 마련되는 제 2통풍로를 포함하는 순환 통풍로;
    상기 제 1통풍로와 연통되고 냉각장치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수용실;
    상기 응축수 수용실에 수용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응축수를 양수하는 펌프가 마련되고 상기 순환 통풍로의 외부 공간과 연통하는 펌프실;
    상기 응축수 수용실과 상기 펌프실 사이에 발생하는 기압차를 줄이도록 상기 제 1통풍로와 상기 펌프실 중 적어도 하나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펌프실의 압력을 낮추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펌프실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제 1통풍로와 상기 응축수 수용실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18. 삭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용실에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응축수 수용실의 압력을 높이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로의 일단은 제 1통풍로 내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펌프실의 내측과 상기 순환 통풍로 외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통되게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로의 일단은 상기 응축수 수용실 내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제 1통풍로와 연통되게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통로의 타단은 상기 순환 통풍로 외부와 연통되게 마련되는 의류건조기.
KR1020150078064A 2015-05-19 2015-06-02 의류 건조기 KR102353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75,337 US10526746B2 (en) 2015-05-19 2015-06-02 Clothes dryer
PCT/KR2015/005536 WO2016186235A1 (ko) 2015-05-19 2015-06-02 의류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1667A JP6616590B2 (ja) 2015-05-19 2015-05-19 乾燥機
JPJP-P-2015-101667 2015-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197A KR20160136197A (ko) 2016-11-29
KR102353915B1 true KR102353915B1 (ko) 2022-01-21

Family

ID=57577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064A KR102353915B1 (ko) 2015-05-19 2015-06-02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26746B2 (ko)
EP (1) EP3299513B1 (ko)
JP (1) JP6616590B2 (ko)
KR (1) KR102353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6590B2 (ja) * 2015-05-19 2019-12-04 三星電子株式会社 乾燥機
KR101729107B1 (ko) * 2015-08-04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07647B1 (ko) * 2015-08-17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AU2019265183B2 (en) * 2018-05-08 2022-10-27 Lg Electronics Inc.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KR102627700B1 (ko) * 2018-08-20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기
US11352736B2 (en) * 2019-07-15 2022-06-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JP7457492B2 (ja) * 2019-12-10 2024-03-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乾燥機
CN111364220B (zh) * 2020-04-21 2021-12-21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用于干衣机的排液隔板及干衣机
KR20220114281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2182127A1 (en) * 2021-02-24 2022-09-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035A (ja) * 2010-03-19 2011-10-06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16592C2 (de) 1982-05-04 1985-11-21 Miele & Cie GmbH & Co, 4830 Gütersloh Abpumpvorrichtung für die Kondensationseinrichtung eines Wäschetrockners
EP0356689A1 (en) * 1988-08-10 1990-03-07 Hitachi, Ltd. Clothes dryer
KR101155236B1 (ko) 2004-12-14 201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KR101186159B1 (ko) 2006-01-20 2012-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EP2471994B1 (en) * 2011-01-04 2019-06-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JP5597440B2 (ja) 2010-05-14 2014-10-01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KR101158438B1 (ko) 2010-07-08 201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WO2012005533A2 (en) 2010-07-08 2012-01-12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KR101208553B1 (ko) 2010-08-24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EP2458073B1 (en) * 2010-11-29 2013-11-2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er
KR101980900B1 (ko) * 2012-07-13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감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의류건조기
KR101389394B1 (ko) 2012-09-11 2014-04-25 국방과학연구소 적외선 센서 후면 연마 및 이를 위한 연마 방법
WO2015082125A1 (en) * 2013-12-03 2015-06-11 Arcelik Anonim Sirketi A heat pump dryer
EP3023531B1 (en) * 2014-11-19 2018-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JP6616590B2 (ja) * 2015-05-19 2019-12-04 三星電子株式会社 乾燥機
US9863086B2 (en) * 2016-05-31 2018-01-09 Wuxi Little Swan Co., Ltd. Heat pump mounting box and heat pump drier or heat pump washer-drier
US10480117B2 (en) * 2017-02-27 2019-11-19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sump cover
US10151061B1 (en) * 2017-07-31 2018-12-1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yer appliances and methods of ope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4035A (ja) * 2010-03-19 2011-10-06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9513A4 (en) 2018-07-18
JP6616590B2 (ja) 2019-12-04
JP2016214488A (ja) 2016-12-22
EP3299513B1 (en) 2019-05-22
US10526746B2 (en) 2020-01-07
US20180148885A1 (en) 2018-05-31
KR20160136197A (ko) 2016-11-29
EP3299513A1 (en)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915B1 (ko) 의류 건조기
US9617680B2 (en)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11869B1 (ko) 건조기
KR101638923B1 (ko) 건조기
JP4817816B2 (ja) 衣類乾燥機
CN101016686B (zh) 洗涤干燥机
US20200392664A1 (en) Clothes care apparatus
JP6630474B2 (ja) 乾燥機
JP6276012B2 (ja) 乾燥機
JP2006212265A (ja) 乾燥機
JP2010064020A (ja) 空調ユニット
JP4864826B2 (ja) 洗濯機
JP2015016186A (ja) 衣類乾燥機
CN104204339B (zh) 衣物烘干机
JP4728834B2 (ja) 洗濯乾燥機
CN101671941B (zh) 空调单元
KR102571333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팬
KR102544464B1 (ko) 의류처리장치
JP7457492B2 (ja) 衣類乾燥機
CN219835560U (zh) 可水汽分离的洗地机
JP2016214460A (ja) ヒートポンプユニットおよび洗濯乾燥機
JP2020018915A (ja) 衣類乾燥機
JP4828960B2 (ja) 衣類乾燥機
JP2014140437A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