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647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647B1
KR102407647B1 KR1020150115523A KR20150115523A KR102407647B1 KR 102407647 B1 KR102407647 B1 KR 102407647B1 KR 1020150115523 A KR1020150115523 A KR 1020150115523A KR 20150115523 A KR20150115523 A KR 20150115523A KR 102407647 B1 KR102407647 B1 KR 102407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sump
drawer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1117A (ko
Inventor
남현수
이만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5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647B1/ko
Priority to EP16184320.6A priority patent/EP3133203B1/en
Priority to US15/238,191 priority patent/US10619290B2/en
Priority to JP2018508688A priority patent/JP6526320B2/ja
Priority to CN201610681728.4A priority patent/CN106468010B/zh
Priority to PCT/KR2016/009033 priority patent/WO2017030364A1/ko
Priority to AU2016309425A priority patent/AU2016309425B2/en
Publication of KR20170021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1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Abstract

본 발명의 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습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순환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모이는 섬프; 상기 캐비닛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드로어; 상기 섬프와 연결된 호스; 상기 섬프 내의 응축수를 상기 호스를 통해 이송시키는 응축수 펌프; 및 상기 드로어 내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드로어가 상기 캐비닛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를 통해 이송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상기 응축수 용기로부터 넘쳐 흐른 응축수를 받는 버킷; 및 상기 버킷에 형성되어, 상기 버킷 내에 모인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섬프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캐비닛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섬프로 회수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드로어가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으로부터 분리되는 섬프 연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조기{Dryer}
본 발명은 응축식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의류가 수용된 드럼 내로 건조 공기를 가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건조기는 공기의 유동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다. 배기식 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순환시키지 않고, 그대로 건조기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응축식 건조기는 드럼을 통과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유로를 구성하고, 상기 순환 유로 상에는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가 구비된다.
응축식 건조기의 경우, 상기 응축기에 의해 생성된 물(이하, “응축수”라고 함.)을 모으는 용기가 구비되고, 이러한 용기는 건조기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용기를 건조기로부터 분리한 후, 용기 내에 모인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런데, 건조 과정에서 일정량 이상의 응축수가 생성되어, 상기 용기의 수용 용량을 넘어선 경우, 용량 초과분의 응축수를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사용자가 수시로 용기 내에 모인 응축수의 양을 확인하여, 건조기를 운전시키기 전에 용기를 미리 비운다면, 용기의 용량 부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용기 내에 모인 응축수의 양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용기를 비울 시점을 알려주는 기능이 부가된 건조기도 있다. 이러한 건조기는 운전 중에 용기가 가득차면 이를 사용자에가 알리고, 운전을 자동으로 정지시킨다. 그런데, 갈수록 건조기의 용량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발전되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설치 규격 상의 제약으로 건조기의 외형을 키우는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용량 증대는 정해진 공간 내에서 드럼의 용적을 가능하면 최대한 확대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응축수를 저장하는 용기의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은 드럼의 용적을 확대하는 것과는 상충되는 것이다.
따라서,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용기가 갖는 제한된 용량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양의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응축수 용기의 용량을 초과한 분의 응축수를 처리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모인 응축수의 양이 응축수 용기의 용량을 초과하더라도, 즉시 건조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초과분의 응축수를 베이스에 형성된 일정한 공간 내로 유도하여, 진행 중인 운전이 정상적으로 계속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응축기가 구비되는 챔버 내에 모인 응축수가 드로어에 수납된 응축수 용기로 집수되되, 상기 응축수 용기의 용량을 초과한 분의 응축수를 다시 상기 챔버 내로 회수할 수 있는 오버플로우패스를 갖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드로어가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되더라도, 상기 챔버 내의 응축수가 상기 오버플로우패스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째, 순환유로 내의 습증기가 상기 오버플로우패스를 통해 건조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건조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습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순환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모이는 섬프; 상기 캐비닛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드로어; 상기 섬프와 연결된 호스; 상기 섬프 내의 응축수를 상기 호스를 통해 이송시키는 응축수 펌프; 및 상기 드로어 내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드로어가 상기 캐비닛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를 통해 이송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상기 응축수 용기로부터 넘쳐 흐른 응축수를 받는 버킷; 및 상기 버킷에 형성되어, 상기 버킷 내에 모인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섬프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캐비닛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과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상기 섬프로 회수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드로어가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으로부터 분리되는 섬프 연결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조기는 첫째, 응축수 용기의 용량을 초과한 분의 응축수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모인 응축수의 양이 응축수 용기의 용량을 초과하더라도, 즉시 건조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진행 중인 운전이 정상적으로 계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드로어가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되더라도, 챔버 내의 응축수가 드로어와 연결된 오버플로우패스를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순환유로 내의 습증기가 상기 오버플로우패스를 통해 건조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드로어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드로어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서포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응축수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의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드로어 어셈블리의 배면 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드로어 어셈블리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드로어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드로어 어셈블리가 수납된 상태에서의 오버플로우패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드로어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오버플로우패스를 도시한 것이다.
본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드로어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주요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드로어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서포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응축수 용기가 수납된 상태에서의 건조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드로어 어셈블리의 배면 측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드로어 어셈블리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드로어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드로어 어셈블리가 수납된 상태에서의 오버플로우패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드로어 어셈블리가 인출된 상태에서의 오버플로우패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내측으로 각종 장치들이 설치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에 의류가 출입되는 투입구(17)가 형성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구(17)를 여닫는 도어(15)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은 프론트패널(11), 탑플레이트(12), 사이드 패널(13), 백 패널(14) 및 베이스(1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은 캐비닛(10)의 전면을 구성하며, 프론트 패널(11)에는 드럼(30) 내로 의류가 출입될 수 있도록 투입구(7)가 형성된다. 도어(15)는 프론트 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캐비닛(10)의 상면, 후면 및 측면은 각각 탑플레이트(12), 백 패널(14) 및 사이드 패널(1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은 드럼 서포터(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드럼(30)의 전면은 개구되어 있고, 개구된 부분의 둘레에 해당하는 링형 전단부가 드럼 서포터(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 서포터(20)에는 드럼(30)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링형 지지면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서포터(20)에는 드럼(30) 내로 포가 투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프론트 패널(11)의 투입구(17)와 연통될 수 있다. 드럼(30)의 내주면 상에는, 의류를 퍼 올리기 위한 다수의 리프터(31)가 드럼(30)의 회전 중심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에에 따라, 드럼 서포터(20)에는 드럼(30)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롤러는 건조기의 폭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2)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은 밸트 구동 방식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럼(30)의 외주면에 권취된 밸트(미도시)가 모터(62)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미도시)에 의해 이송됨으로써, 드럼(3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베이스(16) 상에는 건조기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드럼 서포터(20), 사이드 패널(13) 및/또는 백 패널(14)은 베이스(16)와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은 드럼 서포터(20)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베이스(16)에 형성된 챔버(55)로 안내하는 배기덕트(65)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덕트(65)는 드럼 서포터(20)에 형성된 제 1 배기덕트(65a)와, 드럼 서포터(2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제 2 배기덕트(6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배기덕트(65b)는 제 1 배기덕트(65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 1 배기덕트(65a)의 출구가 제 2 배기덕트(65b)의 입구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배기덕트(65b)는 베이스(16)와 결합될 수 있다.
드럼 서포터(20)에는 드럼(30)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제 1 배기덕트(65a)의 입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드럼(30)으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유입된 공기가 제 1 배기덕트(65a)를 따라 안내된 후, 제 2 배기덕트(65b)를 통해 챔버(55) 내로 유입된다.
드럼 서포터(20)는 건조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지지다리(21)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16)에는 각 지지다리(21)가 설치되는 한 쌍의 서포터 마운트(67)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덕트(65) 내에는 에어 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필터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실밥 등의 이물질을 채집하기 위한 것으로, 채집된 이물질을 사용자가 비울 수 있도록 드럼 서포터(2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가 드럼(30)을 통과하여 순환하도록 안내하는 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트펌프(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는 드럼(30)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다시 드럼(30) 내로 안내되도록 구성되며, 전술한 배기덕트(65)는 순환유로를 구성하는 일부이다. 더 나아가, 상기 순환유로는 후술하는 챔버(55), 송풍팬 흡입덕트(64), 급기덕트(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조기는 히트펌프(50)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50)는 폐쇄된 순환배관을 따라 냉매가 이송되는 중에 압축, 팽창, 증발, 응축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되며, 냉매의 응축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공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히트펌프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51)와, 압축기(51)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제 1 열교환기(52)와, 제 1 열교환기(52)에 의해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와, 상기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를 증발시키는 제 2 열교환기(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열교환기(52)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에 해당하며, 제 2 열교환기(54)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에 해당한다. 이하, 제 1 열교환기(52)를 히터라고 하고, 제 2 열교환기(54)를 응축기라고 한다.
응축기(54)와 히터(52)는 순환유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순환 공기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응축기(54)와 히터(52)가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순환 공기가 응축기(54)를 지나면서 공기 중의 습기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형성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습도가 낮아진 공기가 히터(52)를 지나면서 가열된 후, 송풍팬(61) 측으로 이송된다.
베이스(16)에는 응축기(54)와 히터(52)가 수용되는 챔버(55)가 형성될 수 있다. 챔버(55)는 순환 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며, 챔버(55)의 입구는 제 2 배기덕트(65b)의 출구와 연결되고, 출구는 송풍팬 흡입덕트(64)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배기덕트(65b)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챔버(55) 내로 유입되어 응축기(54)와 히터(52)를 차례로 지나며 제습, 가열된 후, 송풍팬 흡입덕트(64)를 통해 송풍팬(61)으로 유입된다.
챔버(55)는 응축수가 모이는 섬프(55a)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55a)는, 응축기(54)의 흡열 작용으로 생성된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이며, 그 내측으로 응축기(54)와 히터(52)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면은 개구된 형태일 수 있다. 챔버(55)는 섬프(55a)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섬프 커버(55b,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커버(55b)는 섬프(55a)와 분리 가능한 구조로써, 섬프(55a) 내에 응축기(54)와 히터(52)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섬프 커버(55b)에 의해 섬프(55a)의 상면이 덮히기 때문에, 챔버(55) 내로 유입된 순환 공기가 순환 유로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섬프(55a)에는 냉매 배관이 통과하는 설치구들이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치구는 상기 냉매 배관이 설치된 상태에서 밀봉된다.
송풍팬 흡입덕트(64)는 베이스(16)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 흡입덕트(64)의 출구 측에는 송풍팬(61)이 설치될 수 있다. 송풍팬 흡입덕트(64)를 통해 안내된 공기가 송풍팬(61)에 의해 압송되어 급기덕트(63)를 따라 안내된 후, 드럼(30)내로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드럼(30)을 회전시키는 모터(62)가 송풍팬(61)을 회전시키는데 공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별도의 송풍팬(61) 구동 전용 모터가 구비될 수도 있다.
급기덕트(63)는 백 패널(14)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백 패널(14)과의 사이에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백 패널(14)에는 급기덕트(63)를 통해 안내된 공기가 드럼(30)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개구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은, 백 패널(14)의 개구부(32)를 통해 토출된 공기가 드럼(30)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백 패널(14)과 대향하는 후면에 급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기구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의 후면에는 회전축(41)이 형성될 수 있고, 회전축(41)이 백 패널(14)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드럼(30)의 후단이 백 패널(14)에 의해 견실하게 지지될 수 있다.
섬프(55a)에 모인 응축수를 응축수 용기(80)로 이송시키기 위한 응축수 펌프(84)가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 펌프(84)는 베이스(16)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응축수 펌프(84)는 섬프(55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16)에는 섬프(55a)의 외측에 응축수 펌프(84)가 설치되는 펌프 마운트(85a)가 형성될 수 있다. 펌프 마운트(85a)에는 펌프 커버(85b)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펌프 커버(85b)에 의해 응축수 펌프(84)가 은폐될 수 있다.
섬프(55a) 내에 모인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수위 센서의 감지 값을 바탕으로, 감지된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 이상인 경우 응축수 펌프(84)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섬프(55a)로부터 응축수 펌프(84)로 응축수가 공급될 수 있다. 섬프(55a)에는 응축수가 배출되는 출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출구를 통해 섬프(55a)와 응축수 펌프(84)가 연통될 수 있다.
응축수 펌프(84)에 의해 압송된 응축수는 호스(86)를 통해 안내되어, 응축수 용기(80)로 이송될 수 있다. 호스(86)는 입구가 응축수 펌프(84)와 연결되고, 출구는 드로어(70)가 수용되는 공간 내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드럼 서포터(20)에는 호스(86)가 통과하는 호스 통과홀(24)이 형성될 수 있다. 호스(86)는 호스 통과홀(24)을 통과하여 드럼 서포터(20)의 전방으로 노출된 부분에 응축수가 배출되는 출구가 위치될 수 있다.
드로어(7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캐비닛(10)의 내측에 수납되거나, 캐비닛(1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11)에는 드로어(70)가 출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측에는 드로어(70)가 수용되는 수납공간(19, 도 1 내지 도 2 참조.)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드로어(70)가 수납공간(19) 내에 수납되거나, 수납공간(19)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건조기는 드로어(70)의 수납 또는 인출 동작을 안내함과 아울러, 드로어(70)이 이동 동작을 지지하는 가이드서포터(9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서포터(90)의 일측은 캐비닛(10)에 고정되고, 타측은 드로어(70)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드서포터(90)는 캐비닛(10)의 좌우 폭방향으로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서포터(90)는 전후 방향으로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레일(92, 94, 9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레일(92, 94, 96)들은 캐비닛(10)에 대해 고정된 제 1 레일(92)과, 드로어(70)에 대해 고정된 제 3 레일(96)과, 제 1 레일(92)과 제 3 레일(96)을 연결하는 제 2 레일(9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레일(92)은 베이스(16) 또는 섬프(55a)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레일(92)은 섬프(55a)의 저면에 고정되었으나, 베이스(16) 상의 다른 부분과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 3 레일(96)은 드로어(70) 하측, 특히, 버킷(87)의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레일(94)은 제 1 레일(92)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제 3 레일(96)은 제 2 레일(94)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다. 제 2 레일(94)에 의해 제 1 레일(92)과 제 3 레일(96)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 3 레일(96)이 제 1 레일(92)과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드로어(70)의 인출 또는 수납 동작 간에, 드로어(70)가 이동할 수 있는 거리가 더 증대된다.
제 2, 3 레일(94,96)이 후방측으로 밀착되었을 때, 제 1, 2, 3 레일(92, 94, 96) 서로 간에 컴팩트한 밀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래치(9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래치(95)는 드로어(70)가 최대로 수납된 상태에서 락킹되어, 제 2 레일(94) 및/또는 제 3 레일(96)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드로어(70)를 인출시키기 위해 드로어(70)를 끌어 당길 시에는 락킹이 해제되어, 제 2 레일(94) 및/또는 제 3 레일(96)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베이스(16)에는 프론트 패널(11)에 형성된 개구부를 대향하는 전면(16a, 도 6 참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면과 상기 개구부 사이에 수납공간(19)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6)의 전면(16a)은 하측단에서 상측단으로 갈수록 점점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해 경사면의 하측으로 수납공간(19)이 형성된다.응축수 용기(80)는 베이스(16)의 전면(16a)과 대향하는 배면(88)이 상기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를 이룰 수 있다.드로어(70) 내에는 응축수 용기(80)가 수납될 수 있다. 응축수 용기(80)는 드로어(7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응축수 용기(80)에는 응축수 유입을 위한 유입구(81)가 형성되며, 호스(86)를 따라 이송된 응축수가 유입구(81)를 통해 응축수 용기(80) 내로 유입된다. 이하, 드로어(70)와 응축수 용기(80)를 포함하는 구성을 드로어 어셈블리라고 정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응축수 용기(80)는 상면의 전후방향길이(w1)가 하면의 전후방향길이(w2)보다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응축수 용기(8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의 수평한 단면을 갖는다.
호스(86)는 응축수 용기(80)와는 분리된 부재이며, 따라서, 호스(86)에 대해 독립적으로 드로어(70)의 인출이 가능하다. 드로어(70)가 수납공간(19) 내에 수납되어 정위치된 상태에서, 유입구(81)가 호스(86)의 출구의 연직 하측에 위치되어, 호스(86)의 출구로부터 낙하한 응축수가 유입구(81)를 통해 응축수 용기(80) 내로 집수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건조기는 응축수 용기(80)가 정위치에 수납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드로어 감지센서(8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 감지 센서(83)는 드로어(70) 및 베이스(16)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마그네트(83b)와,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마크네트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기 센싱부(83a)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자기 센싱부(83a)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의 세기를 바탕으로 드로어(70)가 정위치 되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자기 센싱부(83a)에 의해 감지된 자기장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는, 드로어(70)가 정위치되었다고 판별하고, 이 경우에 한하여 응축수 펌프(84)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와 다르게, 호스(86)는 유입구(81)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드로어(70)의 인출 동작이 허용될 수 있도록 호스(86)가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거나, 호스(86)가 신장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드로어(70)는 전면 커버(71)와, 전면 커버(71)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수평한 플레이트(72)와, 플레이트(72)의 상측에서 전면 커버(71)의 배면에 형성되어 그 내측으로 응축수 용기(80)를 수납하는 버킷(87)을 포함할 수 있다.
버킷(87) 내에 응축수 용기(80)가 수납된 상태에서, 응축수 용기(80)는 전면 커버(71)에 의해 가려지고, 따라서, 드로어(70)가 수납된 상태에서 응축수 용기(80)는 건조기의 외관상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전면 커버(71)의 전면은 프론트 패널(11)의 전면과 함께 건조기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버킷(87)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지지리브(89)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리브(89)는 전후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될 수 있으며, 지지리브(89) 위에 응축수 용기(80)가 거치될 수 있다. 지지리브(89)의 돌출된 길이 만큼 응축수 용기(80)가 버킷(87)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버킷(87) 내(특히, 응축수 용기(80)와 버킷(87)의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더 많은 응축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응축수 용기(80)가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한 분의 응축수는, 더 이상 유입구(81)로 유입되지 못하고, 넘쳐 흘러 버킷(87)에 모인다. 버킷(87) 내에 기 설정된 허용 수위 이상의 응축수가 모이면, 상기 허용 수위를 초과한 분량의 응축수가 오버플로우패스(1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패스(100)는 버킷(87)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관(103)과, 섬프(55a)에 형성된 섬프 연결관(101)과, 섬프 연결관(101)과 연결되고 섬프(55a) 내로 응축수를 배출하는 출구를 갖는 응축수 회수관(105)을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배출관(103)은 버킷(87)의 외측으로 대략 수평하게 돌출되며, 버킷(87)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섬프 연결관(101)은 베이스(16)에 형성되고, 섬프(55a)의 외측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며, 섬프(55a)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드로어(70)가 수납공간(19)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응축수 배출관(103)이 섬프 연결관(101)과 연결되며, 드로어(70)가 수납공간(19)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는 응축수 배출관(103)이 섬프 연결관(101)으로부터 분리된다.
섬프 연결관(101)은 그 외경이 응축수 배출관(10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응축수 배출관(103) 내로 삽입 결합될 수 있으며, 응축수 배출관(103)은 출구의 전단 부분(103a)이 출구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증가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단 부분(103a)이 출구로 갈수록 확대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드로어(70)가 수납되는 과정에서 다소간의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섬프 연결관(101)의 입구가 응축수 배출관(103)의 출구 내로 어긋나지 않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섬프 연결관(101)은 입구부(101a)에서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확장된 링형태의 확장부(101c)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확장부(101c)는 응축수 배출관(103)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드로어(70)의 수납 또는 인출 과정에서, 응축수 배출관(103)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버킷(87)에는 응축수 배출관(103)의 입구를 형성하는 응축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킷(87)의 외측으로부터 응축수 배출관(103) 내부로 밸브 가동 돌기(87a)가 돌출될 수 있다. 밸브 가동 돌기(87a)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리브(87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리브들(87b)은 응축수 배출관(103)의 내주면과 연결되고, 인접한 리브들 사이에 상기 응축수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오버플로우패스(100)를 단속하는 밸브(120)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120)는 드로어(70)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오버플로우패스(100)를 개방시키고, 드로어(70)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오버플로우패스(100)를 폐쇄시킬 수 있다. 특히, 섬프(55a) 내에 상당한 수위의 응축수가 담겨, 응축수가 섬프(55a)로부터 오버플로우패스(100)로 역류하는 경우에 있어서, 드로어(70)가 인출되더라도, 밸브(120)에 의해 오버플로우패스(100)가 폐쇄되기 때문에 섬프 연결관(101)의 입구를 통해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밸브(120)는 섬프 연결관(101) 내에서, 섬프 연결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밸브(120)는 스프링(13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130)은 일단이 밸브(120)와 결합되고, 타단은 오버플로우패스(100)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밸브(120)에는 스프링(130)의 일단과 결합되는 후크(122a)를 갖는 스프링 홀더(122)가 형성될 수 있고, 응축수 배출관(103)에는 스프링(130)의 타단을 지지하는 지지면(105a)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지지면(105a)은 반드시 응축수 배출관(103)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섬프 연결관(101)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밸브(120)는 섬프 연결관(1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밸브 바디(121)를 포함할 수 있고, 스프링 홀더(122)는 다수개가 밸브 바디(12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인접한 스프링 홀더들(122) 사이에 응축수가 통과되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120)는 밸브 바디(121)로부터 스프링(130)이 위치하는 쪽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피동 돌기(125)를 포함할 수 있다. 드로어(70)가 수납된 상태에서, 피동 돌기(125)의 일단은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밸브 가동 돌기(87a)와 접촉될 수 있다. 피동 돌기(125)의 외주면으로부터 환형의 유동 가이드(124)가 돌출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124)는 섬프 연결관(101)의 입구(101h) 측으로 갈수록 점점 반경이 작아지는 형태의 경사를 이룰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섬프 연결관(101)을 따라 섬프(55a) 측으로 이동하는 응축수가 스프링 홀더들(122) 사이의 간격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섬프 연결관(101)의 입구는 밸브(120, 특히, 밸브 바디(12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드로어(70)가 수납된 상태에서는, 밸브 가동 돌기(87a)가 밸브(120)의 피동 돌기(125)를 밀어주므로써, 밸브(120)가 이동되어 스프링(130)이 압축되고, 응축수 배출관(103)의 입구가 개방된다.
반대로, 드로어(70)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밸브 가동 돌기(87a)와 밸브(120)의 피동 돌기(125)가 상호 분리되고, 스프링(130)의 복원력에 의해 밸브(120)가 이동되어 섬프 연결관(101)의 일부가 밸브 바디(121)에 의해 폐쇄된다.
응축수 회수관(105)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의 최하단에 출구(105h)가 형성된다. 별도의 펌프가 없이도, 버킷(87)으로부터 출구(105h)로 응축수가 흘러갈 수 있도록, 출구(105h)의 높이는 버킷(87)의 배출구보다는 낮은 것이 좋다.
실시예에서, 응축수 회수관(105)의 입구는 수평하게 개방되어 섬프 연결관(101)의 출구와 연결되나, 응축수 회수관(105)의 입구와 출구(105a) 사이에 하방으로 절곡되는 구간을 가짐으로써, 출구(105a)가 하측을 향해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섬프(55a) 내에 일정 수위 이상의 응축수가 모이면, 응축수 회수관(105)의 출구(105a)가 응축수 중으로 잠기게 되기 때문에, 캐비닛(10) 내의 습증기가 출구(105a)로 유입되어, 오버플로우패스(100)를 통해 버킷(87) 내로 침투하는 문제를 미리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구간은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구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구간의 의미 및 구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구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과하는 순환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습공기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상기 순환유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모이는 섬프;
    상기 캐비닛에 인출 가능하게 수납되는 드로어;
    상기 섬프와 연결된 호스;
    상기 섬프 내의 응축수를 상기 호스를 통해 이송시키는 응축수 펌프; 및
    상기 드로어 내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기 드로어가 상기 캐비닛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호스를 통해 이송된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어는,
    상기 응축수 용기로부터 넘쳐 흐른 응축수를 받는 버킷; 및
    상기 버킷에 형성되어, 상기 버킷 내에 모인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섬프는,
    상기 드로어가 상기 캐비닛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과 연결되고, 상기 드로어가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으로부터 분리되는 섬프 연결관을 포함하는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 연결관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 배출관과 상기 섬프 연결관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섬프 연결관과 연결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출구를 개방시키고, 상기 응축수 배출관이 상기 섬프 연결관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출구를 폐쇄시키는 밸브를 포함하는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섬프 연결관 내에서, 상기 섬프 연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섬프 연결관 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킷에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 내로 돌출된 밸브 가동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관과 상기 섬프 연결관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 가동 돌기에 의해 상기 밸브가 밀려 이동되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출구가 개방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관이 상기 섬프 연결관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밸브가 이동되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출구를 폐쇄하는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섬프 연결관과 연결되고, 상기 섬프 연결관을 통해 이송된 응축수를 상기 섬프 내로 배출하는 응축수 회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회수관은 상기 응축수가 배출되는 출구가 하측 방향으로 개구된 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회수관의 출구는,
    상기 섬프 내에서 응축수가 집수되는 공간 내에 위치되는 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회수관은,
    상기 응축수 배출관과 연결되는 입구가 수평한 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출구는 상기 입구보다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회수관의 출구는,
    상기 버킷과 연결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입구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건조기.
KR1020150115523A 2015-08-17 2015-08-17 건조기 KR102407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523A KR102407647B1 (ko) 2015-08-17 2015-08-17 건조기
EP16184320.6A EP3133203B1 (en) 2015-08-17 2016-08-16 Clothes dryer
US15/238,191 US10619290B2 (en) 2015-08-17 2016-08-16 Clothes dryer
JP2018508688A JP6526320B2 (ja) 2015-08-17 2016-08-17 乾燥機
CN201610681728.4A CN106468010B (zh) 2015-08-17 2016-08-17 衣物烘干机
PCT/KR2016/009033 WO2017030364A1 (ko) 2015-08-17 2016-08-17 건조기
AU2016309425A AU2016309425B2 (en) 2015-08-17 2016-08-17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523A KR102407647B1 (ko) 2015-08-17 2015-08-17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1117A KR20170021117A (ko) 2017-02-27
KR102407647B1 true KR102407647B1 (ko) 2022-06-10

Family

ID=5668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523A KR102407647B1 (ko) 2015-08-17 2015-08-17 건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19290B2 (ko)
EP (1) EP3133203B1 (ko)
JP (1) JP6526320B2 (ko)
KR (1) KR102407647B1 (ko)
CN (1) CN106468010B (ko)
AU (1) AU2016309425B2 (ko)
WO (1) WO2017030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9709B2 (en) * 2015-07-02 2019-06-25 Lg Electronics Inc. Dryer
KR102374853B1 (ko) * 2015-07-02 202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2361128B1 (ko) * 2015-07-02 202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US9671052B2 (en) 2015-10-27 2017-06-06 Whirlpool Corporation Collet securing device for joining two fluid lines and providing lateral support at the connection of the two fluid lines
US11648326B2 (en) * 2016-02-04 2023-05-16 Xenex Disinfection Services Inc. Cabinets for disinfecting objects
US11690927B2 (en) 2016-02-04 2023-07-04 Xenex Disinfection Services Inc. Systems, cabinets and methods for disinfecting objects
US10557469B2 (en) 2016-03-22 2020-02-11 Whirlpool Corporation Multi-outlet fluid flow system for an appliance incorporating a bi-directional motor
US10655266B2 (en) 2016-11-30 2020-05-19 Whirlpool Corporation Lint processing fluid pump for a laundry appliance
US10619289B2 (en) 2017-02-27 2020-04-14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diverter valve
US10480117B2 (en) 2017-02-27 2019-11-19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sump cover
US10662574B2 (en) 2017-02-27 2020-05-26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heater exchanger plate
US10634412B2 (en) 2017-04-10 2020-04-28 Whirlpool Corporation Concealed upstream air tower guide vanes
US10697700B2 (en) 2018-01-17 2020-06-30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ion water dispensing system
CN108755051B (zh) * 2018-06-15 2021-08-31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干衣机用冷凝水收集组件及热泵式干衣机
KR20200001729A (ko) 2018-06-28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N110747615B (zh) * 2018-07-23 2023-05-09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储水盒及干衣机
CN110904609B (zh) * 2018-09-18 2023-08-0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US11008696B2 (en) 2018-12-28 2021-05-18 Whirlpool Corporation Supplemental condensate delivery system having a snap-in drain member
US20230228030A1 (en) * 2022-01-18 2023-07-2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condenser assembl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276B1 (ko) 2003-12-22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KR101435797B1 (ko) 2007-08-0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5101388A1 (en) 2013-12-30 2015-07-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fluff filter washing arrangement

Family Cites Families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2708A (en) * 1952-07-12 1956-04-24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FR2668780B1 (fr) * 1990-11-02 1993-10-22 Ciapem Seche-linge se chargeant par le dessus et equipe d'un bac de recuperation de l'eau de sechage.
IT237177Y1 (it) * 1995-09-28 2000-08-31 Candy Spa Asciugabiancheria a condensazione e caricamento frontale condispositivo di recupero della condensa in contenitore rimovibile
JPH10288354A (ja) * 1997-04-10 1998-10-27 G Ee Shi Kk ドレン回収装置、ドレンタンクおよび冷却装置
JP4656932B2 (ja) * 2003-12-22 2011-03-2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乾燥機
KR101021778B1 (ko) * 2003-12-26 2011-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컨덴서 하단부 배수유로 구조
US7191546B2 (en) * 2004-06-18 2007-03-20 Maruca Robert E Low temperature clothes dryer
DE602004013812D1 (de) * 2004-12-23 2008-06-26 Candy Spa Wäschetrockner
WO2006135172A2 (en) * 2005-06-13 2006-12-21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WO2006135169A2 (en) * 2005-06-13 2006-12-21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ES2439575T3 (es) * 2005-10-24 2014-01-23 Lg Electronics, Inc. Deshumidificador
KR100648173B1 (ko) 2005-12-21 2006-1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응축 장치
DE102007007354B4 (de) * 2006-02-20 2013-10-10 Lg Electronics Inc. Wäschetrockn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S2322774T3 (es) * 2006-02-21 2009-06-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Maquina secadora de ropa domestica con condensador adicional.
AU2007259558B2 (en) * 2006-06-12 2010-10-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830514B1 (ko) * 2006-06-12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07145432A1 (en) * 2006-06-12 2007-12-21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176656B2 (en) * 2006-07-18 2012-05-15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EP2054545B1 (en) * 2006-07-28 2016-08-31 LG Electronics Inc. Laundry dryer
US7895770B2 (en) * 2006-12-15 2011-03-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US20080276659A1 (en) * 2007-04-25 2008-11-13 Sang Hun Bae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8181359B2 (en) * 2007-04-25 2012-05-22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KR100833865B1 (ko) * 2007-04-25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ES2351260T3 (es) * 2007-05-11 2011-02-0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ecadora de ropa mejorada con operación de restauración.
KR100898930B1 (ko) * 2007-09-04 2009-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DE102008009784A1 (de) * 2008-02-19 2009-08-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zum Trocknen eines feuchten Gutes mit einer Kühlanordnung und einer Heizanordnung
DE102008032800A1 (de) * 2008-07-11 2010-01-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KR101485850B1 (ko) * 2008-09-10 2015-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JP2010071585A (ja) * 2008-09-19 2010-04-02 Sharp Corp 引出し型加熱調理器
KR20100034077A (ko) * 2008-09-23 2010-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US20110162224A1 (en) * 2009-02-02 2011-07-07 Sang Hun Bae Clothes dryer having drawer type mist supplying device
KR101542389B1 (ko) * 2009-02-05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PL2251481T3 (pl) * 2009-05-11 2019-08-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Urządzenie do prania materiałów pranych
EP2251480B1 (en) * 2009-05-11 2017-11-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appliance
AU2011245858B2 (en) * 2010-04-28 2014-06-1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386679B1 (en) * 2010-05-13 202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KR20110132151A (ko) * 2010-06-01 201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건조도 측정 방법
EP2591161B1 (en) * 2010-07-08 2017-05-03 LG Electronics Inc. Clothes dryer
ITTO20100916A1 (it) * 2010-11-19 2012-05-20 Indesit Co Spa Macchina asciugatrice comprendente un contenitore per la raccolta di acqua di condensa, e relativo contenitore.
EP2458067B1 (en) * 2010-11-29 2013-07-0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er
EP2669420A1 (en) * 2012-05-29 2013-12-0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ing machine
KR101980900B1 (ko) * 2012-07-13 2019-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위감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의류건조기
JP2014033849A (ja) * 2012-08-09 2014-02-24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EP2708639A1 (en) 2012-09-14 2014-03-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me appliance with a liquid guiding device
CN103898727B (zh) 2012-12-25 2018-10-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机冷凝水排水结构及干衣机
KR102057859B1 (ko) 2013-01-25 2019-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119538B1 (ko) * 2013-04-03 2020-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CN105518208B (zh) * 2013-04-17 2017-12-22 伊莱克斯家用电器股份公司 衣物干燥机
AU2013390336B2 (en) * 2013-05-24 2018-09-2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and method of operating a laundry dryer
CN104296357B (zh) * 2013-05-28 2019-03-08 阿思科控股一人有限责任公司 凝结水收集方法、设备及电动泵组件
KR101581116B1 (ko) * 2014-04-05 201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2166445B1 (ko) * 2014-04-29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및 제습기용 워터탱크
KR101588126B1 (ko) * 2014-07-09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EP3023531B1 (en) * 2014-11-19 2018-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JP6616590B2 (ja) * 2015-05-19 2019-12-04 三星電子株式会社 乾燥機
KR102374853B1 (ko) 2015-07-02 202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US10329709B2 (en) * 2015-07-02 2019-06-25 Lg Electronics Inc. Dryer
KR102361128B1 (ko) * 2015-07-02 202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276B1 (ko) 2003-12-22 200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응축수 저장구조
KR101435797B1 (ko) 2007-08-0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15101388A1 (en) 2013-12-30 2015-07-0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fluff filter washing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30364A1 (ko) 2017-02-23
US20170051449A1 (en) 2017-02-23
KR20170021117A (ko) 2017-02-27
CN106468010B (zh) 2019-02-12
JP6526320B2 (ja) 2019-06-05
AU2016309425A1 (en) 2018-04-12
EP3133203A1 (en) 2017-02-22
AU2016309425B2 (en) 2019-04-04
US10619290B2 (en) 2020-04-14
CN106468010A (zh) 2017-03-01
JP2018526086A (ja) 2018-09-13
EP3133203B1 (en)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647B1 (ko) 건조기
CN110998010B (zh) 洗涤物处理设备
KR102374853B1 (ko) 건조기
EP3023531B1 (en) Clothes dryer
KR102361128B1 (ko) 건조기
KR20150137652A (ko) 의류처리장치
US9885145B2 (en) Laundry drying apparatus
KR102362650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137656A (ko) 의류처리장치
EP3112527B1 (en) Dryer
US20200392664A1 (en) Clothes care apparatus
US20060272173A1 (en) Laundry dryer
CN114127358A (zh) 衣物护理装置
CN113322633A (zh) 衣物处理装置
KR102361129B1 (ko) 건조기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74852B1 (ko)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