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29A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29A
KR20200001729A KR1020180074575A KR20180074575A KR20200001729A KR 20200001729 A KR20200001729 A KR 20200001729A KR 1020180074575 A KR1020180074575 A KR 1020180074575A KR 20180074575 A KR20180074575 A KR 20180074575A KR 20200001729 A KR20200001729 A KR 20200001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ucket
opening
closing member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우
오민규
김용남
노양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729A/ko
Priority to CN201910412795.XA priority patent/CN110656476B/zh
Priority to EP19176775.5A priority patent/EP3587661B1/en
Priority to US16/456,627 priority patent/US11155955B2/en
Publication of KR20200001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8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condensation, e.g. condensate water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는, 프론트 패널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는 물통이 포함되므로, 사용자는 물통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에 결합되는 캡이 더 포함되므로,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 {Drye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젖은 의류가 투입된 드럼 내부로 열풍을 송풍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의류 건조기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이 수용되는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가 포함될 수 있다.
건조기는 의류를 건조시킨 후 드럼으로부터 토출된 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다.
배기식 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 내로 공급됨으로써 의류가 건조되고,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습한 공기는 건조기 외부로 배기된다. 이러한 방식은 의류로부터 제거된 습기가 공기와 함께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습기를 응축시킬 별도의 수단이 필요치 않다.
응축식 건조기는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이하, 순환 공기)가 드럼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순환유로를 따라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가 응축 또는 제거된다. 상기 응축식 건조기는, 응축 방식에 따라서 수냉식 건조기, 공냉식 건조기 및 히트펌프식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식 건조기의 경우, 순환 공기의 응축이 수반되며 응축된 물은 물통에 집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에 채워진 물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물통이 비워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은 건조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물통을 비우기 위하여 상기 물통을 조작할 필요가 있다. 상기 물통이 건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이 편할 수 있다.
종래, 건조기의 상부에는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 패널이 설치된다. 일례로, 상기 컨트롤 패널은 도어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의 후방에는 물통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물통은 사용자의 대략 허리 높이에 위치하며, 사용자는 상기 물통을 상방으로 분리하여 물통에 채워진 물을 비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통을 분리함에 있어 안정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물통에 채워진 물이 넘칠 가능성이 적다.
다만, 최근에는 건조기의 의류 투입구의 크기, 즉 도어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 의류를 드럼 내에 투입하거나 빼내는 행위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건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건조기에서는, 상기 도어의 상측에 컨트롤 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없어,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도어의 후면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이 설치할 공간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10-2016-0087183 (2016년 7월 21일) 2. 발명의 명칭 : 건조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통을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시켜 공간 활용성을 개선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통에 캡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물통을 조작할 때 물통에서 물 넘침이 방지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물통에 물이 유입될 때에는 캡이 개방될 수 있고, 사용자가 물통을 조작할 때에는 캡이 폐쇄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히트펌프식 건조기에서 증발기 하측에 모여지는 응축수를 물통측으로 용이하게 가이드 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에는, 프론트 패널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는 물통이 포함되므로, 사용자는 물통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통에 결합되는 캡이 더 포함되므로,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물통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하측에 위치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캡이 결합되는 물통 유입구를 가지는 상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가 포함된다.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물통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응축수 배관이 더 포함된다.
상기 물통이 삽입되는 전방 개구부 및 상기 응축수 배관이 결합되는 배관 결합부가 구비되는 물통 케이스가 더 포함되며, 상기 배관 결합부 및 상기 캡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된다.
상기 캡에는, 적어도 1회 이상 반대방향으로 꺽여지는 물 유로가 포함된다.
상기 캡에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 1 홀이 형성되는 제 1 캡부재; 및 상기 제 1 캡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며, 응축수가 상기 물통의 내부로 배출되는 제 2 홀이 형성되는 제 2 캡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홀의 중심을 세로지르는 제 1 연장선(ℓ1)과, 상기 제 2 홀의 중심을 세로 지르는 제 2 연장선(ℓ2)은 서로 이격된다.
상기 제 1 캡부재에는, 상기 제 1 캡부재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 1 홀은 상기 함몰부의 단부측에 형성된다.
상기 캡에는, 응축수에 의하여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캡에는, 응축수 홀을 형성하는 링 형상의 캡 본체; 및 상기 응축수 홀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응축수 홀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돌기; 및 상기 힌지 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편심된 중량을 가지는 2개의 파트로 구성된다.
상기 캡에는, 상기 물통 유입부에 결합되며, 응축수 홀을 형성하는 캡 본체; 및 상기 캡 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 가이드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이동 가이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캡에는, 상기 응축수 홀의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 레그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는 상기 지지 레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다.
상기 캡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된다.
상기 캡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포함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 가이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지지 레그와 상기 스토퍼의 사이에서 이동된다.
상기한 해결수단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물통을 캐비닛의 하부에 배치시켜 건조기의 도어를 크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건조기의 공간 활용성을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통에 캡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건조기로부터 물통을 분리하거나 건조기에 물통을 결합할 때 물통에서 물 넘침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물통에 물이 유입될 때에는 캡에 구비되는 개폐부재가 개방되고, 사용자가 물통을 조작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캡에 관한 제 1 실시예 구조에 의하면, 캡의 내부에서 물 유로의 꺽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물통이 흔들리더라도 물통 내부의 물이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캡에 관한 제 2 실시예에 구조에 의하면, 응축수가 물통으로 유입될 때에는 개폐부재가 회전하여 개방되고 응축수이 유입이 멈춰지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되므로, 물통이 흔들리더라도 물통 내부의 물이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캡에 관한 제 3 실시예에 구조에 의하면, 응축수가 물통으로 유입될 때에는 개폐부재가 회전하여 개방되고 응축수이 유입이 멈춰지면 편심 질량을 가지는 개폐부재의 특성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되므로, 물통이 흔들리더라도 물통 내부의 물이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캡에 관한 제 4 실시예에 구조에 의하면, 응축수가 물통으로 유입될 때에는 개폐부재가 리니어하게 이동하여 개방되고 응축수이 유입이 멈춰지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되므로, 물통이 흔들리더라도 물통 내부의 물이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캡에 관한 제 5 실시예에 구조에 의하면, 응축수가 물통으로 유입될 때에는 개폐부재가 스토퍼에 간섭될 때까지 리니어하게 이동하여 개방되고, 물통이 흔들리거나 뒤집힐 때에는 개폐부재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가 폐쇄되므로, 물통 내부의 물이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VIII-V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통을 파지하였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b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통을 파지하여 세로 방향으로 세웠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캡을 통하여 응축수가 유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캡이 물통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캡의 캡 본체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캡을 통하여 응축수가 유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캡을 통하여 응축수가 유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인출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이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0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패널을 포함한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패널은 4각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패널에는, 상기 캐비닛(100)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 패널(111)과, 상기 베이스 패널(111)의 전방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프론트 패널(110) 및 상기 베이스 패널(111)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패널(113)이 포함된다. 상기 양측의 사이드 패널(113)은 상기 전면 패널(110)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패널에는, 상기 양측의 사이드 패널(113)의 상측에 구비되는 탑 패널(115) 및 상기 양측의 측방 패널(113)의 후측에 구비되는 백 패널(114)이 더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패널의 내부에는, 회전 가능한 드럼(미도시)이 설치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드럼에는 의류가 건조처리 되는 의류처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패널(110)에는, 의류를 상기 드럼의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0a)가 형성된다. 일례로, 상기 투입구(110a)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10)에는, 상기 투입구(110a)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도어(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투입구(110a)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140)는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전방에 구비되며, 힌지장치를 통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투입구(110a)의 측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40)의 내부에는, 컨트롤 패널(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의류 건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LCD, LED 패널 등), 사용자로부터 의류 건조기의 작동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도어(14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10)에는, 상기 캐비닛(100)을 지지하는 마운트(1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마운트(120)는 상기 캐비닛(100)의 하측에 결합되며, 지면에 놓여질 수 있다. 상기 마운트(120)는, 상기 건조기(1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상기 진동이 지면에 전달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건조기(10)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커버(150)는 상기 캐비닛(100)의 전방 개구부(112)에 결합되어 상기 상기 전방 개구부(112)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전방 개구부(112)는 상기 캐비닛(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패널(110)과 상기 베이스(111) 사이의 개구된 부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방 개구부(112)의 상하 높이는 상기 사이드 패널(113)의 상하 높이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상하 높이를 뺀 값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커버(150)의 후측에는, 상기 캐비닛(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물통(2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물통(200)은 상기 전방 개구부(112)를 통하여 후방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물통(200)을 상기 캐비닛(1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150)를 분리하고 상기 물통(200)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물통(200)은 상기 전방 개구부(112)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물통(200)은 상기 전방 개구부(112)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납작한 케이스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물통(200)의 전면부(210)의 좌우 폭(w1)은 상기 물통(200)의 전면부(210)의 높이(H1)보다 클 수 있고, 상기 측면부(220)의 전후방향 길이(w2)는 상기 전면부(210)의 높이(H1) 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폭(w1)은 상기 전후방향 길이(w2)보다 클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물통(200)에는, 상기 커버(150)에 의하여 차폐되는 전면부(210)와, 상기 전면부(210)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220)와, 상기 양측의 측면부(220) 상부를 연결하는 상면부(230) 및 상기 상면부(230) 후방에서 상하로 연장되는 후면부(24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물통(200)에는 상기 베이스(111)에 지지되는 저면부(24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면부(210), 양측의 측면부(220), 상면부(230), 후면부(240) 및 상기 저면부(245)에 의하여, 상기 물통(200)의 내부에는 응축수(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200)의 상면부에는, 상기 건조기(1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물통 유입부(235)가 형성되며,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는 캡(3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300)은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는 상기 물통(200)을 비우기 위하여 상기 캡(300)을 상기 물통 유입부(235)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캡(300)이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되는 방법은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캡(300)은 회전방식에 의하여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될 수도 있고, 후크 결합 또는 끼움 결합의 방식에 의하여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통(200)의 전면부(21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15)의 후측에는 손잡이 홀(217)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을 상기 손잡이 홀(217)에 넣은 후 상기 손잡이(215)를 당겨 상기 물통(200)을 상기 캐비닛(10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일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V-V'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건조기(10)의 하부에는 건조 공기를 생성하기 위한 히트펌프 장치 및 드럼을 순환하는 공기를 발생시키는 순환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장치에는, 압축기(181), 응축기(184), 팽창장치 및 증발기(185)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81)는 상기 베이스(111)의 상면에 설치되며, 기액 분리기(182)에서 분리된 기상냉매가 흡입될 수 있다. 상기 기액 분리기(182)는 상기 압축기(181)의 측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84) 및 상기 증발기(185)는 상기 베이스(111)의 상면에 설치되며, 공기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응축기(184)는 상기 증발기(185)의 출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84)의 하측에는 상기 응축기(184)를 지지하는 응축기지지부(184a)가 구비되며, 상기 증발기(185)의 하측에는 상기 증발기(185)를 지지하는 증발기지지부(18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지지부(184a) 및 상기 증발기지지부(185a)는 상기 베이스(11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84) 및 상기 증발기(185)의 상측에는, 커버부재(175)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111)와 상기 커버부재(175)의 내부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로상에 상기 응축기(184) 및 상기 증발기(18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습공기는 상기 증발기(18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응축되어 응축수를 발생시킨다. 상기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185)의 하측에 배치되는 응축수 트레이(111a)로 낙하하여 집수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트레이(111a)는 상기 베이스(111)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11)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 트레이(111a)는 상기 베이스(111)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펌프(190)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응축수 트레이(111a)는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응축수가 상기 펌프(190)를 향하여 모여질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증발기(185)의 출구측, 즉 상기 증발기(185)의 후측에는 상기 응축기(18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84)는 상기 증발기(185)를 통과한 건조 공기를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순환장치에는, 공기를 강제 유동하는 팬(170) 및 순환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덕트(160,185)가 포함된다. 상기 덕트(160,165)에는, 상기 팬(170)의 흡입측에 배치되는 유입덕트(160) 및 상기 팬(170)의 토출측에 배치되는 유출덕트(165)가 포함된다.
상기 유입덕트(160)는 상기 증발기(185)의 입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 덕트(160)에는, 드럼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 유입부(161) 및 공기를 히트펌프 장치로 가이드 하는 덕트 배출부(163)가 포함된다. 공기는 상기 덕트 유입부(161) 및 상기 덕트 배출부(163)를 거쳐 상기 히트펌프 장치의 증발기(185)로 향할 수 있다.
상기 팬(170)은 상기 응축기(184)의 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응축기(184)에서 가열된 공기는 상기 팬(170)을 거쳐 상기 유출덕트(175)를 지난다. 그리고, 상기 유출덕트(17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드럼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1)의 후방부에는, 집수된 응축수(물)을 퍼올리는 펌프(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트레이(111a)는 상기 증발기(185)의 하측에서 상기 응축기(184)의 하측을 경유하여 상기 펌프(190)의 하측까지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펌프(190)에는 펌프 유입부(191) 및 펌프 유출부(192)가 구비된다. 상기 펌프 유입부(191)는 상기 응축수 트레이(111a)에 집수된 물과 연통되어, 물을 상기 펌프(190)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펌프 유출부(192)는 상기 펌프(190)에서 펌핑된 물을 상방으로 가이드 한다. 상기 펌프 유입부(191)는 상기 펌프(190)의 하측에, 상기 펌프 유출부(192)는 상기 펌프(190)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10)에는, 상기 펌프(190)에서 펌핑된 물을 상기 물통(200)으로 가이드 하는 응축수 배관(19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응축수 배관(195)은 상기 펌프 유출부(192)에 연결되며, 상기 물통(200)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배관(195)은 상기 커버부재(175)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75)의 상면에는, 상기 응축수 배관(195)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176)이 구비된다.
상기 건조기(10)에는, 상기 물통(200)이 삽입되는 물통 케이스(2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물통 케이스(250)는 상기 물통(200)을 둘러쌀 수 있도록, 전방부가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물통 케이스(250)는 상기 베이스(111)의 전방부를 구성하며, 상기 베이스(111)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부재가 상기 베이스(111)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 케이스(250)에는, 상기 응축수 배관(195)이 결합되는 배관 결합부(255)가 포함된다. 상기 배관 결합부(255)는 상기 물통 케이스(250)의 상면에 형성되며,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물통 케이스(250)의 상면은 상기 물통(200)의 물통 유입부(235) 또는 캡(300)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관 결합부(255) 및 상기 캡(300)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배관(195)을 통하여 유동한 응축수는 상기 물통 케이스(250)의 배관 결합부(255)를 경유하여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낙하된 응축수는 상기 물통(200)의 물통 유입부(235)를 통하여 상기 물통(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되는 캡(300)은 개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캡(3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VIII-V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캡(300)은 상기 물통(200)의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캡(300)에는, 제 1 캡부재(310) 및 상기 제 1 캡부재(3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 2 캡부재(320)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캡부재(310,320)는 원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캡부재(310)에는, 원형의 제 1 본체부(311) 및 상기 제 1 본체부(31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314)가 포함된다. 상기 함몰부(314)는 상기 물통 케이스(250)의 배관 결합부(255)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배관 결합부(255)를 통하여 낙하하는 응축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함몰부(314)는 상기 제 1 본체부(311)의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캡부재(310)에는, 응축수를 상기 제 1 캡부재(310)의 하방으로 가이드 하는 제 1 홀(312)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홀(312)은 상기 함몰부(314)의 단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14)를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는 상기 제 1 홀(312)에서 상기 제 2 캡부재(320)측으로 낙하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홀(312)을 통한 응축수의 낙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함몰부(314)는 상기 제 1 홀(312)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캡부재(320)에는, 원형의 제 2 본체부(321) 및 상기 제 2 본체부(321)에 관통되는 제 2 홀(322)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홀(322)은 응축수를 상기 캡(300)의 하측으로 가이드 하여, 상기 물통(200)의 내부에 모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홀(322)은 상기 함몰부(314)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함몰부(314)는 상기 제 1 홀(312)을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홀(322)은 상기 함몰부(314)의 전방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 1 홀(312)의 중심을 세로 지르는 제 1 연장선(ℓ1) 및 상기 제 2 홀(322)의 중심을 세로 지르는 제 2 연장선(ℓ2)을 정의할 때, 상기 제 1 연장선(ℓ1) 및 상기 제 2 연장선(ℓ2)은 전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캡(300)을 유동하는 유로는 적어도 1회이상 반대 방향으로 꺽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응축수는 상기 함몰부(314)를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여 제 1 홀(312)에서 하방으로 낙하하고, 상기 제 2 본체부(321)의 상면을 따라 전방으로 유동한다. 그리고, 응축수는 상기 제 2 홀(322)에서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Cf).
결국, 캡(300)에서의 물 유로가 꺽여지도록 다소 복잡하게 구성되어, 물통(200)에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물통(2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캡(300)을 통하여 외부로 넘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a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통을 파지하였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b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물통을 파지하여 세로 방향으로 세웠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는 사용자가 물통(200)을 조작하는 모습, 특히 손(H)을 손잡이(215)에 파지하고, 물통을 건조기(10)로부터 전방으로 인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9b는 사용자가 물통(200)을 들어올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물통(200)의 손잡이(215)는 상기 물통(200)의 전면부(210)에 구비되고 상기 물통 유입부(235)는 상기 물통(200)의 상면부(230)에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물통(200)을 파지하여 들어올릴 때, 상기 물통 유입부(235)는 상기 물통(200)의 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 캡(300)이 구비되지 않으면, 상기 물통(20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 캡(300)이 구비되고, 상기 캡(300)의 내부에는 꺽여지는 유로가 형성되어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응축수는 물통(200)으로 집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캡(300)의 내부 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물통(200)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반대로 물통(200) 내부의 물은 상기 내부 유로를 통하여 상기 물통(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물통(200)에서의 물 넘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의 구조를 제 1 실시예와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캡 이외에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건조기(10) 및 물통(200)의 구성에 대하여는 이들 추가적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캡을 통하여 응축수가 유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캡(400)은 물통(200)의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캡(400)에는, 링 형상의 캡 본체(410)와, 상기 캡 본체(4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420) 및 상기 고정부재(4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430)가 포함된다.
상기 캡 본체(410)에는, 외주면부(411a) 및 내주면부(411b)가 포함되며, 상기 내주면부(411b)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부재(420) 및 상기 개폐부재(43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부(412)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응축수가 하방으로 낙하하는 점에서, "응축수 홀"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20)는 상기 설치공간부(412)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며, 상기 개폐부재(430)는 상기 설치공간부(412)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캡 본체(410)에는, 상기 고정부재(420) 및 상기 개폐부재(430)를 지지하는 힌지 홀(414)이 포함된다. 상기 힌지 홀(414)은, 상기 캡 본체(410)의 내주면부(411b)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 홀(414)에는, 상기 고정부재(420)의 힌지돌기(423) 및 상기 개폐부재(430)의 돌기 결합부(43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420)에는, 반 원판 형상의 제 1 본체(421) 및 상기 제 1 본체(421)의 양측에서 돌출되는 힌지 돌기(42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본체(421)는 상기 캡 본체(410)의 내주면부(411b)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본체(421)는 상기 내주면부(411b)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양측의 힌지 돌기(423)에는, 상기 개폐부재(43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40)에는, 상기 힌지 돌기(423)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토션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430)에는, 반 원판 형상의 제 2 본체(431) 및 상기 제 2 본체(431)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힌지 돌기(423)이 끼워지는 돌기 결합부(433)가 포함된다. 상기 돌기 결합부(433)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는 상기 힌지 돌기(423) 및 상기 스프링(44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본체(421) 및 상기 제 2 본체(431)가 각각 반 원판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20) 및 상기 개폐부재(430)는 상기 원형의 설치공간부(412)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430)는 상기 돌기 결합부(433)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응축수가 상기 개폐부재(430)의 상면에 작용할 때, 상기 개폐부재(430)는 상기 스프링(4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430)의 하방 회전에 따라 상기 설치공간부(412)는 개방되며, 개방된 공간을 따라 응축수는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다 (Cf).
한편, 상기 응축수가 상기 개폐부재(430)의 상면에 작용하는 힘이 중단되면, 상기 개폐부재(430)는 상기 스프링(44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설치공간부(412)를 폐쇄하게 된다. 즉, 상기 설치공간부(412) 중 상기 개폐부재(430)가 위치하는 반원 형상의 공간부는 응축수를 물통(200)으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개폐될 수 있는 응축수 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응축수가 물통(200)으로 집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캡(400)에 작용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재(430)가 개방되어 상기 물통(200)으로 응축수가 수집되며, 응축수의 작용이 멈춰지면 상기 개폐부재(430)가 닫혀져서 사용자가 상기 물통(200)을 조작하더라도 상기 물통(200)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캡이 물통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캡(500)은 물통(200)의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캡(500)에는, 링 형상의 캡 본체(510) 및 상기 캡 본체(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520)가 포함된다.
상기 캡 본체(510)의 내주면 내측공간에는, 상기 개폐부재(52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부(512)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부(512)는 응축수를 상기 물통(200)으로 유입시키는 점에서, "응축수 홀"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캡 본체(5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부재(520)를 지지하는 힌지부(514)가 포함된다. 상기 힌지부(514)에는, 상기 개폐부재(520)의 힌지돌기(52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20)는 상기 힌지돌기(525)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캡 본체(510)의 내주면에는, 상기 개폐부재(520)의 제 2 파트(520b)가 상기 캡 본체(510)를 기준으로 상기 물통 유입부(235)의 외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5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15)에 의하여, 상기 제 2 파트(520b)는 상기 물통 유입부(235)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20)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편심된 중량을 가지는 2개의 파트(520a,5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520a,520b)는 각각 반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515)는 상기 제 2 파트(520b)가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캡 본체(510)의 내주면에 돌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파트(520a,520b)에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제 1 파트(520a) 및 상기 제 1 파트(520a)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파트(520a)보다 작은 중량을 가지는 제 2 파트(520b)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520)에는, 상기 개폐부재(520)의 외주면으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는 힌지돌기(525)가 더 포함된다. 상기 개폐부재(520)는 상기 힌지돌기(525)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20)에 응축수가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제 1 파트(520a)는 자중에 의하여 상기 물통 유입부(235)의 내부를 향하도록 움직임이 발생하며, 상기 제 2 파트(520b)는 상기 스토퍼(515)에 지지될 수 있다. 결국, 상기 개폐부재(520)는 상기 캡 본체(510)의 설치공간부(512)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520)에 응축수가 작용할 때, 상기 제 2 파트(520b)는 상기 힌지돌기(525)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상기 설치공간부(512)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응축수는 개방된 설치공간부(512)를 통하여 상기 물통(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응축수가 상기 제 1 파트(520a)에 작용하더라도, 상기 제 1 파트(520a)는 상기 제 2 파트(520b)가 상기 스토퍼(515)에 지지될 때까지만 하방으로 회전하며, 그 이상으로는 하방으로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응축수가 물통(200)으로 집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캡(500)에 작용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재(520)가 개방되어 상기 물통(200)으로 응축수가 수집되며, 응축수의 작용이 멈춰지면 상기 개폐부재(520)가 닫혀져서 사용자가 상기 물통(200)을 조작하더라도 상기 물통(200)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캡의 캡 본체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캡을 통하여 응축수가 유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캡(600)은 물통(200)의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캡(600)에는, 캡 본체(610)와, 상기 캡 본체(6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620) 및 상기 개폐부재(62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30)이 포함된다.
상기 캡 본체(610)에는,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되는 제 1 본체(611) 및 상기 제 1 본체(6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개폐부재(6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617)가 구비되는 제 2 본체(61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본체(611)는 처마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본체(611)의 저면부에는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되는 절곡된 형상의 유입 결합부(619)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 결합부(619)는 상기 물통 유입부(235)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612)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물통 유입부(235)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본체(612)에는 외주면부(612a) 및 내주면부(612b)가 포함된다. 상기 내주면부(612b)의 내측에는 응축수가 유동하는 응축수 홀(613)이 형성된다.
상기 캡(600)에는, 상기 제 2 본체(612)의 내주면부(612b)에 결합되는 지지레그(615)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레그(615)에는, 상기 응축수 홀(613)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레그중심부(615a) 및 상기 레그중심부(615a)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레그(615b,615c,615d)가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레그(615b,165c,615d)에는, 제 1 레그(615b), 제 2 레그(615c) 및 제 3 레그(615d)가 포함된다. 상기 제 1~3 레그(615b,165c,615d)는 상기 내주면부(612b)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레그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다수의 레그(615b,165c,615d)는 상기 개폐부재(620)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레그(615b,165c,615d)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620)는 상기 응축수 홀(613)의 내부로 상승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캡(600)에는, 상기 레그중심부(615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이동 가이드(617)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이동 가이드(617)는 상하로 연장되는 얇은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617)는 상기 지지레그(615)에 의하여 상기 제 2 본체(61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20)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응축수 홀(6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폐부재(620)에는, 원판 형상의 개폐본체(621) 및 상기 개폐본체(621)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623)이 포함된다. 상기 관통공(623)은 상기 개폐본체(621)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623)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617)가 삽입되며, 상기 개폐부재(620)는 상기 이동 가이드(617)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630)은 상기 이동 가이드(617)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62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630)에는 코일 스프링이 포함되며, 압축 스프링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20)에 응축수가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630)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62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응축수 홀(613)을 폐쇄한다. 이 때, 상기 개폐부재(620)의 상면은 상기 지지레그(615)의 하면에 접하며, 상기 스프링(630)은 인장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개폐부재(620)에 응축수가 작용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재(620)는 상기 응축수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630)의 복원력을 극복하고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프링(630)은 압축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2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응축수 홀(613)은 개방되며, 응축수는 개방된 응축수 홀(613)을 통하여 낙하하여 상기 물통(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Cf).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응축수가 물통(200)으로 집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캡(600)에 작용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재(620)가 개방되어 상기 물통(200)으로 응축수가 수집되며, 응축수의 작용이 멈춰지면 상기 개폐부재(620)가 닫혀져서 사용자가 상기 물통(200)을 조작하더라도 상기 물통(200)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캡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캡을 통하여 응축수가 유동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캡(600')은 물통(200)의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캡(600')에는, 캡 본체(610') 및 상기 캡 본체(6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620')가 포함된다.
상기 캡 본체(610')에는,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되는 제 1 본체(611') 및 상기 제 1 본체(6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개폐부재(6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617')가 구비되는 제 2 본체(61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본체(611')는 처마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본체(611')의 저면부에는 상기 물통 유입부(235)에 결합되는 절곡된 형상의 유입 결합부(619')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 결합부(619')는 상기 물통 유입부(235)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본체(612')는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물통 유입부(235)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본체(612')에는 외주면부(612a') 및 내주면부(612b')가 포함된다. 상기 내주면부(612b')의 내측에는 응축수가 유동하는 응축수 홀(613')이 형성된다.
상기 캡(600')에는, 상기 제 2 본체(612')의 내주면부(612b')에 결합되는 지지레그(615')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레그(615')에 관한 설명은 제 4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캡(600')에는, 상기 지지레그(61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이동 가이드(617)가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이동 가이드(617')는 상하로 연장되는 얇은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617')는 상기 지지레그(615')에 의하여 상기 제 2 본체(61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617)에는 상기 개폐부재(62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18')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618')는 상기 이동 가이드(617)의 하부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618')는 상기 개폐부재(620')의 하면에 간섭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20')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응축수 홀(6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폐부재(620')에는, 원판 형상의 개폐본체(621') 및 상기 개폐본체(621')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623')이 포함된다. 상기 개폐부재(620')에 관한 설명은 제 4 실시예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개폐부재(620')는 상기 지지레그(615')와 상기 스토퍼(618') 사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부재(620')는 상기 지지레그(615')에 간섭될 때까지(상방 위치에 있을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스토퍼(618')에 지지될 때까지(하방 위치에 있을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20')에 응축수가 작용할 때에는, 즉 상기 물통(200)이 상기 건조기(10)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개폐부재(620')는 상기 스토퍼(618')에 지지된 하방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홀(613')은 개방되며, 응축수는 개방된 응축수 홀(613')을 통하여 낙하하여 상기 물통(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Cf).
반면에, 상기 물통(200)이 상기 건조기(10)로부터 분리되고, 사용자가 상기 물통(200)을 조작하여 상기 물통(200)이 뒤집히거나 흔들릴 경우, 상기 개폐부재(620')는 상기 지지 레그(615')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응축수 홀(613')을 페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응축수가 물통(200)으로 집수되는 과정에서 상기 캡(600')에 작용할 때에는 상기 개폐부재(620')가 개방되어 상기 물통(200)으로 응축수가 수집될 수 있다. 그리고, 물통(200)이 분리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때 물이 외부로 넘치는 현상이 나타나면 상기 개폐부재(620')가 자연스럽게 닫혀져서, 상기 물통(200)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 건조기 111a : 응축수 트레이
184 : 응축기 185 : 증발기
190 : 펌프 200 : 물통
215 : 손잡이 235 : 물통 유입부
300,400,500,600 : 캡

Claims (19)

  1. 도어가 결합되는 프론트 패널을 가지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응축수 트레이;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 트레이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는 물통; 및
    상기 물통에 결합되는 캡이 포함되며,
    상기 물통에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하측에 위치되는 전면부;
    상기 전면부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캡이 결합되는 물통 유입구를 가지는 상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가 포함되는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트레이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물통을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응축수 배관이 더 포함되는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이 삽입되는 전방 개구부 및 상기 응축수 배관이 결합되는 배관 결합부가 구비되는 물통 케이스가 더 포함되며,
    상기 배관 결합부 및 상기 캡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는,
    상기 전면부에 구비되는 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건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좌우 폭은 상기 측면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전면부의 상하방향 높이는 상기 측면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
    상기 팬의 흡입측에 설치되는 증발기; 및
    상기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증발기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응축기가 더 포함되는 건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적어도 1회 이상 반대방향으로 꺽여지는 물 유로가 포함되는 건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응축수가 유입되는 제 1 홀이 형성되는 제 1 캡부재; 및
    상기 제 1 캡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며, 응축수가 상기 물통의 내부로 배출되는 제 2 홀이 형성되는 제 2 캡부재가 포함되는 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의 중심을 세로지르는 제 1 연장선(ℓ1)과,
    상기 제 2 홀의 중심을 세로 지르는 제 2 연장선(ℓ2)은 서로 이격되는 건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캡부재에는, 상기 제 1 캡부재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 1 홀은 상기 함몰부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건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응축수에 의하여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가 포함되는 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응축수 홀을 형성하는 링 형상의 캡 본체; 및
    상기 응축수 홀의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는 고정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응축수 홀의 나머지 부분을 차폐하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돌기; 및
    상기 힌지 돌기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건조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응축수 홀을 형성하는 링 형상의 캡 본체; 및
    상기 개폐부재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힌지 돌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편심된 중량을 가지는 2개의 파트로 구성되는 건조기.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물통 유입부에 결합되며, 응축수 홀을 형성하는 캡 본체; 및 상기 캡 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 가이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이동 가이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건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응축수 홀의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지지 레그가 더 포함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는 상기 지지 레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건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에 결합되며, 상기 개폐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더 포함되는 건조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더 포함되는 건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이동 가이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지지 레그와 상기 스토퍼의 사이에서 이동되는 건조기.
KR1020180074575A 2018-06-28 2018-06-28 건조기 KR20200001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575A KR20200001729A (ko) 2018-06-28 2018-06-28 건조기
CN201910412795.XA CN110656476B (zh) 2018-06-28 2019-05-17 干燥机
EP19176775.5A EP3587661B1 (en) 2018-06-28 2019-05-27 Clothes dryer
US16/456,627 US11155955B2 (en) 2018-06-28 2019-06-28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575A KR20200001729A (ko) 2018-06-28 2018-06-28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29A true KR20200001729A (ko) 2020-01-07

Family

ID=6665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575A KR20200001729A (ko) 2018-06-28 2018-06-28 건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55955B2 (ko)
EP (1) EP3587661B1 (ko)
KR (1) KR20200001729A (ko)
CN (1) CN11065647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327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105A (ko) * 2020-02-13 2021-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DE102020106928A1 (de) 2020-03-13 2021-09-16 Miele & Cie. Kg Flüssigkeitssystem für ein Haushaltsgerä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183A (ko) 2015-01-13 2016-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23353U1 (de) * 1981-08-08 1982-12-09 G. Bauknecht Gmbh, 7000 Stuttgart Waeschetrockner mit kondensationseinrichtung
CN1779063A (zh) * 2004-11-26 2006-05-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干燥机的冷凝器下端部排水管道结构
KR20110132151A (ko) * 2010-06-01 2011-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건조도 측정 방법
ITTO20100916A1 (it) * 2010-11-19 2012-05-20 Indesit Co Spa Macchina asciugatrice comprendente un contenitore per la raccolta di acqua di condensa, e relativo contenitore.
EP2574696A1 (en) * 2011-09-28 2013-04-0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er comprising a condensate storing container
KR102361128B1 (ko) * 2015-07-02 202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2407647B1 (ko) * 2015-08-17 2022-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7183A (ko) 2015-01-13 2016-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 발명의 명칭 :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327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56476A (zh) 2020-01-07
US20200002882A1 (en) 2020-01-02
CN110656476B (zh) 2021-10-26
EP3587661B1 (en) 2021-03-03
US11155955B2 (en) 2021-10-26
EP3587661A1 (en) 202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092B1 (ko) 제습기 및 제가습기
KR20200001729A (ko) 건조기
CN104949214B (zh) 除湿机
CN103370467B (zh) 衣物干燥机
US9885145B2 (en) Laundry drying apparatus
US9879878B2 (en) Dehumidifier
EP3112527B1 (en) Dryer
EP2990521B1 (en) Laundry dryer
KR102013865B1 (ko) 제습기
US20190106832A1 (en) Machine for drying laundry, in particular washer-dryer, equipped with a heat pump system
EP2669420A1 (en) Laundry drying machine
JP2011041742A (ja) 衣類乾燥機
JP5537374B2 (ja) 乾燥処理装置及び除去装置
US11761141B2 (en) Filter configured for being used in a machine for drying laundry and machine for drying laundry equipped with such a filter
EP1905883B1 (en) Laundry drier with a door-mounted condensation tank
EP2843112B1 (en) Rotary-drum laundry dryer
WO2021103383A1 (zh) 除湿机
EP3124683B1 (en) Laundry dryer
EP2743396A1 (en) Laundry drying machine
KR102361129B1 (ko) 건조기
KR20240043061A (ko) 컵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