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092B1 - 제습기 및 제가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및 제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092B1
KR102504092B1 KR1020150098908A KR20150098908A KR102504092B1 KR 102504092 B1 KR102504092 B1 KR 102504092B1 KR 1020150098908 A KR1020150098908 A KR 1020150098908A KR 20150098908 A KR20150098908 A KR 20150098908A KR 102504092 B1 KR102504092 B1 KR 102504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humidifier
water container
abandoned
p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775A (ko
Inventor
최흥섭
명성렬
권준현
김성우
김중호
주의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8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092B1/ko
Priority to US14/938,147 priority patent/US10082303B2/en
Priority to EP15858696.6A priority patent/EP3186563B1/en
Priority to ES17205322T priority patent/ES2913158T3/es
Priority to EP17205322.5A priority patent/EP3324129B1/en
Priority to AU2015347440A priority patent/AU2015347440B2/en
Priority to ES15858696T priority patent/ES2796096T3/es
Priority to PCT/KR2015/012169 priority patent/WO2016076642A1/en
Priority to CN201510776674.5A priority patent/CN105605686B/zh
Priority to CN201580062431.3A priority patent/CN107110526B/zh
Publication of KR2016005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775A/ko
Priority to AU2018204328A priority patent/AU201820432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38Cooling or he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80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습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와,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냉각기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 트레이와, 응축수를 배수하도록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물통과, 집수 트레이의 응축수를 물통으로 펌핑하는 펌프와,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응축수를 물통으로 안내하는 배수관을 포함하여서, 물통이 만수되었을 때 물통을 제습기에서 용이하게 분리하여 물통을 비울 수 있고 다시 장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기 및 제가습기{APPLIANCE FOR DEHUMIDIFICATION AND MULTI-FUNCTION APPLIANCE FOR DEHUMIDIFICATION OR HUMIDIFICATION}
본 발명은 습도를 조절하는 제습기 및 제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는 기기이다. 제습기는 크게 건조식과 냉각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건조식은 화학물질은 흡습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거나 흡착함으로써 제습을 수행하는 방식이고, 냉각식은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의 온도를 이슬점 이하로 냉각함으로써 공기 중의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방식이다.
냉각식 제습기에서 냉각기 주변 공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고 따라서 냉각기에는 응축수가 발생하며, 냉각기의 아래에는 냉각기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저수하는 물통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습기의 응축수 저수용 물통은 제습기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고, 물통이 만수되어 물통을 비워야 할 때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거나 무릎을 꿇고 두 손을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물통을 비운 후에 다시 장착할 때에도 같은 이유로 불편함이 따른다.
제습 기능과 가습 기능을 모두 갖춘 제가습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제습 모드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하는 응축수용 물통과, 가습 모드에서 가습 소자에 제공되는 가습수를 저수하는 가습수용 물통은 별개로 마련되고 있는 바, 제가습기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각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수하는 물통이 만수되었을 때 용이하게 비우고 다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제습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응축수용 물통과 가습수용 물통이 일체로 통합된 통합 물통을 구비한 제가습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물통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한 제습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물통의 물을 배수하는 동작이 편리한 제습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습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수증기를 응축시켜서 응축수를 발생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 트레이;와, 상기 응축수를 배수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물통;과, 상기 집수 트레이의 응축수를 상기 물통으로 펌핑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응축수를 상기 물통으로 안내하는 배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주변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각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기는 수증기를 흡착시키는 흡착제와,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물을 기화시키도록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통은 상기 열교환기 보다 높거나 적어도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습기는 상기 물통을 장착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물통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기는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 장착부에 장착 시에 상기 물통에 연결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 장착부에서 이탈 시에 상기 물통과 분리되도록 상기 물통 장착부에 마련되는 배수 연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연결 포트는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 장착부에 장착 또는 이탈되는 도중에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물통의 반대 측으로 후퇴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 장착부에 장착 또는 이탈이 완료될 시에 상기 물통 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습기는 상기 배수 연결 포트가 상기 물통 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연결 포트는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고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연결 포트는 최대 돌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연결 포트는 상기 물통의 측벽부 측에 마련되고, 상기 물통의 측벽부에는 상기 배수 연결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응축수가 상기 물통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은 상기 물통의 측방 외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상기 물통의 직상방 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연장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연장관은 역 U 자 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은 상기 역 U 자 관이 결합되는 배관 결합부를 갖는 결합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습기는 상기 역 U 자관을 대체하여 상기 결합관의 상기 배관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응축수를 상기 물통의 외부로 연속 배수시키는 연속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연장관의 상기 물통 측 단부는 상기 물통의 상벽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물통의 상벽부에는 상기 외부 연장관을 통해 공급되는 응축수가 상기 물통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은 상기 물통 장착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물통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상기 물통의 내부 공간으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내부 연장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통의 바닥부에는 상기 내부 연장관이 관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의 바닥부는 상측으로 융기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습기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내부 연장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통 장착부는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과, 상기 물통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통 장착부는 상기 물통의 측벽부를 지지하는 측벽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타고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물통의 바닥부로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소음 방지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가습기는 본체;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열교환기;와, 가습수를 공급 받아 기화시킴으로써 공기의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 소자; 및 제습 모드에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수하거나 가습 모드에서 상기 가습 소자에 공급할 가습수를 저수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통합 물통;을 포함한다.
상기 통합 물통의 가습수가 자중에 의해 상기 가습 소자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통합 물통은 상기 가습 소자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가습기는 상기 통합 물통의 가습수를 상기 가습 소자에 안내하는 가습수 공급 유로로서, 상기 제습 모드에서 폐쇄되고, 상기 가습 모드에서 개방되는 가습수 공급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합 물통은 복수의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통합 물통 장착부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방향 중 제 1 방향으로 장착되면 상기 가습수 공급 유로가 폐쇄되고, 상기 복수의 방향 중 제 2 방향으로 장착되면 상기 가습수 공급 유로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통합 물통은, 가습수 공급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가습수 토출구;와, 상기 가습수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가습수 토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가습기는 상기 가습수 토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통합 물통 장착부에 마련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가습기는 상기 가습수 공급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가습수 공급 유로에 마련되는 자동식 또는 수동식 개폐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 소자는 가습수를 흡수하는 가습 필터와, 가습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가습수를 진동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습기는 본체;와, 수증기를 응축시켜서 응축수를 발생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공을 갖는 물통;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물통의 장착 및 분리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통은 상기 중공을 둘러싸는 내측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는 상기 물통의 내측벽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물통은 상기 내측벽과의 사이에 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벽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물통은 환형(ring shape)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컨트롤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물통은 물통 본체와, 상기 물통 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통은 물통 본체와, 상기 물통 본체의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측면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냉각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수하는 물통이 제습기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물통이 만수되어 물통을 비워야 하거나 비운 물통을 다시 장착할 때 사용자는 용이하게 물통을 제습기 본체에서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가습기는 응축수용 물통과 가습수용 물통이 일체로 통합된 통합 물통을 구비하므로 제가습기의 크기가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물통은 중공을 갖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본체에는 상기 물통의 중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물통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고, 본체의 이동 시에 물통이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 편의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물통은 물통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손잡이와, 물통의 측면에 일체로 함몰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 손잡이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상부 손잡이 또는 측면 손잡이 중에 자유롭게 선택하여 물통을 잡고 장착, 분리 및 물을 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본체의 가이드부의 내부에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 및 컨트롤부가 마련되므로, 공간 활용성 및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습기의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제습기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제습기의 측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제습기의 정면도.
도 7은 도 1의 제습기의 배수 연결 포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제습기의 배수 연결 포트와 배수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제습기의 배수 연결 포트와 물통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제습기의 물통의 낙수 소음 방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제습기의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1의 제습기의 배수관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1의 제습기의 측단면도.
도 16은 도 11의 제습기의 연속 배수관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제습기의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7의 제습기의 측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가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제가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25는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다른 각도의 도면.
도 27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측단면도.
도 28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 장착부의 평면도.
도 29는 도 23의 제가습기의 가습수 공급 유로를 개폐하도록 통합 물통에 마련된 개폐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의 개폐 부재가 가습수 공급 유로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1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의 개폐 부재가 가습수 공급 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2는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이 다른 방향으로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가습수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도 23의 제가습기의 가습 소자로써 초음파 진동자가 사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5는 도 34의 제가습기의 가습부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8은 도 37의 제습기의 본체와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9는 도 37의 제습기의 측단면도.
도 40은 도 37의 제습기의 물통을 도시한 평면도.
도 41은 도 37의 제습기의 물통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42는 도 37의 제습기의 물통의 상부 손잡이가 상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3은 도 37의 제습기의 물통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44 및 도 45는 상부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통을 분리하고 물을 배수하는 동작을 보인 도면.
도 46 및 도 47은 측면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통을 분리하고 물을 배수하는 동작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습기의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습기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습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제습기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습기(100)는 흡입구(115)와 토출구(116)를 갖는 본체(110)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125)과,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20)와 냉매를 응축시키며 외부로 잠열을 발산하는 응축기(열교환기,121)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미도시)와 냉매를 증발시켜 외부의 잠열을 흡수하고 주변 공기의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증발기(냉각기,열교환기,122)를 갖는 냉동 사이클 장치와, 증발기(12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배수 덕트(130)와, 배수 덕트(130)에 의해 안내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 트레이(131)와, 응축수를 배수하도록 본체(1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물통(150)과, 집수 트레이(131)에 집수된 응축수를 물통(150)으로 펌핑하는 펌프(132)와, 펌프(132)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를 본체(110) 상부의 물통(150)으로 안내하는 배수관(133)을 포함한다.
흡입구(1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122)를 거쳐 냉각되어 제습된 후에 응축기(121)를 통과하여 덥혀지고 건조한 공기가 토출구(116)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제습기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한 방식 이외에, 흡착제를 이용한 방식으로 제습을 수행할 수도 있다. 수증기가 흡착제에 흡착되면 흡착된 물은 히터에 의해 기화되고, 기화된 수증기는 열교환기를 거쳐 응축될 수 있다.
본체(110)는 전방 케이스(111)와, 후방 케이스(112)와, 바닥 케이스(113)와, 전방 케이스(111)와 후방 케이스(112)의 사이에 마련되어 각종 부품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구(115)는 본체(110)의 후방에 형성되고 토출구(116)는 본체(110)의 전방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15)에는 이물질을 거르는 그릴(115a)이 마련될 수 있고, 토출구(116)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거나 토출구(116)를 개폐하는 루버(117)가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120)와, 응축기(121)와, 팽창 밸브와, 증발기(122)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는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된다. 압축기(120)는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증발기(122)는 후방의 흡입구(115)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응축기(121)는 증발기(12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125)은 구동 모터(125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송풍팬(125)은 본체(110)의 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가 증발기(122)와 응축기(121)를 차례로 거친 후에 본체(110)의 전방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강제 유동시킬 수 있다. 본체(110)의 내부에는 기류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기류 안내부(126)가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125)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일 수 있으며, 기류 안내부(126)에는 본체(110)의 토출구(116)에 대응되는 위치에 기류 출구(127)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0)의 하부에는 각종 전장 박스(118)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본체(1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122)에서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가 응축되고, 건조해진 공기는 응축기(121)를 통과하며 데워져서 더욱 상대 습도가 낮아진 상태로 본체(1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증발기(122)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증발기(122)를 타고 아래로 흐르다가 증발기(122)의 아래로 낙하하며, 증발기(122)의 아래에는 낙하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도록 배수 덕트(130)가 마련될 수 있다.
배수 덕트(130)는 응축수를 집수 트레이(131)로 안내하며 이를 위해 배수 덕트(130)는 집수 트레이(131)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배수 덕트(130)는 증발기(122)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된다.
집수 트레이(131)는 응축수를 저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 덕트(130)와 집수 트레이(131)는 별개로 형성되고 있으나, 배수 덕트(130)와 집수 트레이(1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집수 트레이(131)에는 수위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집수 트레이(131)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거나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펌프(132)가 가동되어 집수 트레이(131)의 응축수를 펌핑할 수 있다.
펌프(132)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미도시)와,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 날개(미도시)로 구성된 원심 펌프일 수 있다. 펌프(132)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는 배수관(133)에 의해 본체(110)의 상부에 마련된 물통(15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체(110)의 상부에는 물통(150)이 장착되는 물통 장착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장착부(140)는 물통(150)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141)과, 물통(150)의 바닥부(151)를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142)와, 물통(150)의 측벽부(153)를 지지하는 측벽 지지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 장착부(140)에는 물통(150)의 장착 시에 물통(1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장착부(140)에는 장착된 물통(150)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장착부(140)에 장착된 물통(150)은 증발기(122)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통(150)이 제습기(100)의 상부에 마련되므로, 물통(150)이 가득 찼을 때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통(150)을 분리하여 비울 수 있고 비운 후에 다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물통(150)은 대략 박스 형상을 갖는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통(150)의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물통(150)은 바닥부(151)와, 전후좌우의 측벽부(153)와, 상벽부(152)와, 내부 공간(154)을 가질 수 있다. 물통(150)의 상벽부(152)에는 물통(150)에 저수된 응축수를 비울 수 있는 배수구(155)가 마련되고, 배수구(155)에는 배수 뚜껑(156)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통(150)에는 물통(15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157)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150)에는 내부 공간(154)에 저수된 응축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150)의 내부 공간(154)에 응축수가 만수위까지 차게 되면 외부로 알람을 표시하고, 펌프(132)의 가동이 중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통(150)의 장착 시에 물통(150)과 배수관(133)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물통(150)의 분리 시에 물통(150)과 배수관(133)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물통 장착부(140)에는 배수 연결 포트(170)가 마련될 수 있다. 배수 연결 포트(170)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도 1의 제습기의 배수 연결 포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제습기의 배수 연결 포트와 배수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제습기의 배수 연결 포트와 물통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제습기의 물통의 낙수 소음 방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배수 연결 포트(170)는 물통 장착부(140)의 측벽 지지부(143)에 마련될 수 있다. 측벽 지지부(143)에는 배수 연결 포트(17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포트 지지부(180)가 형성될 수 있다. 포트 지지부(180)는 측벽 지지부(143)에서 물통(150)의 반대 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배수 연결 포트(170)가 수용되는 포트 수용 공간(181)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 연결 포트(170)는 포트 수용 공간(181)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배수 연결 포트(170)는 물통(150)에 의해서 가압되는 몸통부(171)와, 몸통부(171)에서 연장되는 레그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171)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고 물통(150)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면(172)이 형성될 수 있다. 레그부(176)에는 배수 연결 포트(170)의 최대 돌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부(178)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부(178)는 포트 지지부(180)의 걸림공(183)의 크기 보다 크게 마련되고, 배수 연결 포트(170)가 최대 돌출 거리까지 돌출되면 스토퍼부(178)가 걸림공(183)에 걸려 더 이상 돌출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포트 수용 공간(181)에는 배수 연결 포트(170)가 물통(150) 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190)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190)의 일단은 포트 지지부(180)의 탄성 부재 지지부(182)에 지지되고, 탄성 부재(190)의 타단은 배수 연결 포트(170)의 탄성 부재 지지부(173)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배수 연결 포트(170)는 물통(150)이 물통 장착부(140)에 장착 시에 물통(150)에 연결되고, 물통(150)이 물통 장착부(140)에서 이탈 시에 물통(150)과 분리될 수 있다.
즉, 배수 연결 포트(170)는 물통(150)이 물통 장착부(140)에 장착 또는 이탈되는 도중에 물통(150)에 의해 가압되어 물통(150)의 반대 측으로 후퇴하고, 물통(150)이 물통 장착부(140)에 장착 또는 이탈이 완료 시에 물통(15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배수관(133)은 측벽 지지부(143)에서 마련된 안내 리브(184)에 안내되어 고정관(191)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관(191)에는 배수관(133)의 물통(150) 측 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측벽 지지부(143)에는 고정관(191)이 결합되는 고정관 결합부(192)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관(191)은 나사 등의 별도의 체결 부재(S)에 의해 고정관 결합부(19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응축수는 배수관(133)과, 고정관(191)과, 배수 연결 포트(170)를 차례로 거쳐 물통(150)의 내부 공간(154)으로 안내될 수 있다.
물통(150)의 측벽부(153)에는 배수 연결 포트(170)를 수용하는 포트 수용부(158)가 마련될 수 있다. 포트 수용부(158)는 배수 연결 포트(170)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159)과, 수용 공간(159)을 형성하도록 물통(150) 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벽(16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의 수용벽(161)에는 배수 연결 포트(170)를 통해 전달된 응축수가 물통(150)의 내부 공간(154)으로 유입되는 유입구(162)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62)의 아래에는 유입구(162)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직접 물통(150)의 바닥부(151)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소음 방지 리브(163)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62)를 통해 유입된 응측수는 소음 방지 리브(163)를 타고 흘러 내릴 수 있고, 따라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소음 방지 리브(163)는 유입구(162)에서 물통(150)의 외측벽(164)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제습기의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제습기의 배수관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의 제습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의 제습기의 연속 배수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대해 설명한다.
제습기(200)는 흡입구(215)와 토출구(216)를 갖는 본체(210)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220)와 냉매를 응축시키며 외부로 잠열을 발산하는 응축기(221)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미도시)와 냉매를 증발시켜 외부의 잠열을 흡수하고 주변 공기의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증발기(냉각기,222)를 갖는 냉동 사이클 장치와, 흡입구(216)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222)를 거쳐 제습된 후에 응축기(221)를 통과하여 덥혀지고 토출구(216)를 통해 토출되도록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225)과, 증발기(222)에서 생성되어 낙하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배수 덕트(230)와, 배수 덕트(230)에 의해 안내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 트레이(231)와, 응축수를 배수하도록 본체(2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물통(250)과, 집수 트레이(231)에 집수된 응축수를 물통(250)으로 펌핑하는 펌프(232)와, 펌프(232)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를 본체(210) 상부의 물통(250)으로 안내하는 배수관(233)을 포함한다.
제습기(200)의 흡입구(215)는 본체(210)의 후방에 형성되고, 토출구(216)는 본체(210)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의 상부에는 물통(250)이 장착되는 물통 장착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장착부(240)는 물통(250)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241)과, 물통(250)의 바닥부(251)를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 장착부(240)에는 물통(250)의 장착 시에 물통(2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243)가 마련될 수 있으며, 물통(250)의 바닥부(251)에는 가이드 돌기(243)에 대응하여 가이드 돌기(243)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장착부(240)에는 장착된 물통(250)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장착부(240)에 장착된 물통(250)은 증발기(22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물통(250)은 바닥부(251)와, 측벽부(253)와, 상벽부(252)와, 내부 공간(254)을 가질 수 있다. 물통(250)의 상벽부(252)에는 물통(250)에 저수된 응축수를 비울 수 있는 배수구(255)가 마련되고, 배수구(255)에는 배수 뚜껑(256)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통(250)에는 물통(25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257)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250)의 상벽부(252)에는 응축수가 내부 공간(254)으로 유입되는 유입구(259)가 형성될 수 있다. 물통(250)의 측벽부(253)는 배수관(233)의 외부 연장관(260)이 통과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는 배수관 수용부(258)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 배수관과 물통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수 연결 포트(170)가 사용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 배수 연결 포트(170)가 사용되지 않는 대신에 배수관(233)의 구조에 특징이 있다.
즉, 배수관(233)은 물통(250)의 측방 외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물통(250)의 직상방 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연장관(260)을 포함한다. 외부 연장관(260)은 대략 역 U 자 형상을 갖는 역 U 자 관일 수 있다.
외부 연장관(260)의 물통(250) 측 단부(261)는 물통(250)의 최상단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고, 물통(250)의 유입구(259)는 물통(250)의 상벽부(252)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연장관(260)의 단부(261)에서 낙하하는 응축수가 물통(250)의 유입구(259)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연장관(260)의 단부(261)에서 낙하하여 유입구(259)로 유입되는 응축수의 흐름이 가시화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연장관(260)이 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 응축수의 흐름이 더욱 가시화될 수도 있다.
외부 연장관(260)의 단부(261)에서 물통(250)의 상벽부(252)로 낙하하는 응축수가 유입구(259)로 안내되도록 유입구(259) 주변에는 구배(259a)가 형성될 수 있다.
물통(250)은 물통 장착부(240)의 측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며 물통 장착부(240)에 장착될 수 있다. 외부 연장관(260)은 물통(250)이 물통 장착부(24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물통(250)과 간섭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배수관(233)은 역 U 자 관이 결합되는 배관 결합부(271)를 갖는 결합관(27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관(270)은 본체(210)에 결합되는 지지관(280)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관(270)은 지지관(28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지지 플랜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200)는 역 U 자관을 대체하여 배관 결합부(271)에 결합되고 응축수를 물통(250)이 아닌 외부에 연속 배수시키는 연속 배수관(290,도 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제습기의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의 제습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할 수 있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제습기(300)는 흡입구(315)와 토출구(316)를 갖는 본체(310)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320)와 냉매를 응축시키며 외부로 잠열을 발산하는 응축기(321)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미도시)와 냉매를 증발시켜 외부의 잠열을 흡수하고 주변 공기의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증발기(냉각기,322)를 갖는 냉동 사이클 장치와, 흡입구(315)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322)를 거쳐 제습된 후에 응축기(315)를 통과하여 덥혀지고 토출구(316)를 통해 토출되도록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325)과, 증발기(322)에서 생성되어 낙하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배수 덕트(330)와, 배수 덕트(330)에 의해 안내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 트레이(331)와, 응축수를 배수하도록 본체(3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물통(350)과, 집수 트레이(331)에 집수된 응축수를 물통(350)으로 펌핑하는 펌프(332)와, 펌프(332)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를 본체(310) 상부의 물통(350)으로 안내하는 배수관(333)을 포함한다.
흡입구(315)는 본체(310)의 후방에 형성되고, 토출구(316)는 본체(310)의 측방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의 상부에는 물통(350)이 장착되는 물통 장착부(340)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장착부(340)는 물통(350)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341)과, 물통(350)의 바닥부(351)를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342)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 장착부(340)에는 물통(350)의 장착 시에 물통(3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343)가 마련될 수 있으며, 물통(350)의 바닥부(351)에는 가이드 돌기(343)에 대응하여 가이드 돌기(343)를 수용하는 돌기 수용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장착부(340)에는 장착된 물통(350)을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장착부(340)에 장착된 물통(350)은 증발기(322)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물통(350)은 바닥부(351)와, 측벽부(353)와, 상벽부(352)와, 내부 공간(354)을 가질 수 있다. 물통(350)의 상벽부(352)에는 물통(350)에 저수된 응축수를 비울 수 있는 배수구(355)가 마련되고, 배수구(355)에는 배수 뚜껑(356)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통(350)에는 물통(350)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손잡이(357)가 마련될 수 있다.
배수관(333)은 물통 장착부(34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물통(350)의 바닥부(351)를 관통하여 물통(350)의 내부 공간(354)으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내부 연장관(360)을 포함한다. 내부 연장관(360)은 본체(310)에 결합되는 지지관(370)의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부 연장관(360)은 지지관(37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는 지지 플랜지(361)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350)의 바닥부(351)에는 내부 연장관(360)이 관통하는 유입구(359)가 형성된다. 물통(350)의 바닥부(351)는 상측으로 융기되는 융기부(351a)를 포함하고, 유입구(359)는 융기부(351a)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359)와 내부 연장관(360) 사이에는 실링 부재(38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물통(350)은 물통 장착부(340)의 내부 연장관(360)이 물통(350)의 유입구(359)에 삽입되도록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장착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와 제 5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할 수 있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기(400)는 본체(410)와, 본체(410)의 물통 장착부(44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450)을 포함한다.
제습기(400)의 물통 장착부(440)는 물통(450)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441)과, 물통(450)의 바닥부(451)를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442)와, 물통(450)의 측벽부(453)를 지지하는 측벽 지지부(443)를 포함하고, 측벽 지지부(443)는 물통(450)의 측벽부(453) 전체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측벽 지지부(443)는 닫힌 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통(450)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물통 장착부(44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물통 장착부(440)에 장착된 물통(450)은 전후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기(500)는 본체(510)와, 본체(510)의 물통 장착부(54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550)을 포함한다. 물통 장착부(540)는 물통(550)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541)과, 물통(550)의 바닥부(551)를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542)와, 물통(550)의 측벽부(553)를 지지하는 측벽 지지부(543)를 포함하고, 측벽 지지부(543)는 물통(550)의 측벽부(553)의 일부의 측벽들만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물통(550)의 측벽부(553)가 제 1 측벽(553a)과, 제 2 측벽(553b)과, 제 3 측벽(553c)과, 제 4 측벽(553d)을 포함한다고 하면, 측벽 지지부(543)는 제 1 측벽(553a)을 지지하는 제 1 측벽 지지부(543a)와, 제 2 측벽(553b)을 지지하는 제 2 측벽 지지부(543b)와, 제 3 측벽(553c)을 지지하는 제 3 측벽 지지부(543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물통(550)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물통 장착부(540)에 장착될 수도 있고, 물통(550)의 측방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며 물통 장착부(54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가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제가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다른 각도의 도면이다. 도 27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 장착부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3의 제가습기의 가습수 공급 유로를 개폐하도록 통합 물통에 마련된 개폐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의 개폐 부재가 가습수 공급 유로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의 개폐 부재가 가습수 공급 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도 23의 제가습기의 통합 물통이 다른 방향으로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도 23의 제가습기의 가습수 공급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가습기에 대해 설명한다.
제가습기(600)는 본체(610)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620)와 냉매를 응축시키며 외부로 잠열을 발산하는 응축기(621)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미도시)와 냉매를 증발시켜 외부의 잠열을 흡수하고 주변 공기의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증발기(냉각기,622)를 갖는 냉동 사이클 장치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625)과, 증발기(622)에서 생성되어 낙하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배수 덕트(630)와, 배수 덕트(630)에 의해 안내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 트레이(631)와, 가습수를 공급 받아 기화시킴으로써 공기의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 소자(660)와, 제습 모드에서 증발기(622)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수하거나 가습 모드에서 가습 소자(660)에 공급할 가습수를 저수하도록 본체(61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통합 물통(650)과, 집수 트레이(631)에 집수된 응축수를 통합 물통(650)으로 펌핑하는 펌프(632)와, 펌프(632)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를 본체(610) 상부의 통합 물통(650)으로 안내하는 배수관(633)을 포함한다.
본체(610)의 전방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615)가 형성되고, 본체의 측방에는 제습 모드에서 제습된 공기가 토출되고 가습 모드에서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616)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610)의 상부에는 통합 물통(650)이 장착되는 통합 물통 장착부(640)가 마련될 수 있다. 통합 물통 장착부(640)는 통합 물통(650)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651)과, 통합 물통(650)의 바닥부(651)를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642)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물통 장착부(640)에 장착된 통합 물통(650)은 증발기(622)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합 물통 장착부(640)에 장착된 통합 물통(650)은 통합 물통(650)의 가습수가 자중에 의해 가습 소자(660)로 공급될 수 있도록 가습 소자(66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통합 물통(650)은 대략 박스 형상을 갖고, 바닥부(651)와, 측벽부(653)와, 상벽부(652)와, 내부 공간(654)을 가질 수 있다. 통합 물통(650)의 내부 공간(654)에는 제습 모드에는 응축수가 저수되고 가습 모드에는 가습수가 저수될 수 있다.
통합 물통(650)의 상벽부(652)에는 통합 물통(650)에 저수된 응축수를 비울 수 있는 배수구(655)가 마련되고, 배수구(655)에는 배수 뚜껑(656)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수구(655)를 통해 가습수를 내부 공간(654)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가습수를 공급하는 가습수 유입구가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 통합 물통(650)에는 통합 물통(650)을 용이하게 운반하도록 손잡이(657)가 마련될 수 있다.
제가습기(600)는 통합 물통(650)의 가습수를 가습 소자(660)에 안내하는 가습수 공급 유로(670,도 28)를 포함한다. 가습수 공급 유로(670)는 제습 모드에서 폐쇄되고, 가습 모드에서 개방된다.
가습수 공급 유로(670)는 통합 물통(650)의 바닥부(651)에 형성된 가습수 토출구(671,도 30)와, 통합 물통 장착부(640)의 바닥 지지부(642)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672)과, 바닥 지지부(642)를 관통하는 가이드 관통 홀(67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습수 토출구(671)를 통해 통합 물통(650)에서 토출된 가습수는 가이드 홈(672)을 따라 가이드 관통 홀(673)로 안내되고, 가이드 관통 홀(673)을 통해 바닥 지지부(642)를 관통하여 가습 소자(660)로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수 공급 유로(670)의 개폐는 통합 물통(650)의 장착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통합 물통(650)의 바닥부(651)는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통합 물통 장착부(640)의 바닥 지지부(642) 역시 좌우 대칭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통합 물통(650)은 복수의 방향으로 통합 물통 장착부(640)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방향 중에 제 1 방향으로 장착되면 가습수 공급 유로(670)가 폐쇄되어 제습 모드가 될 수 있고, 복수의 방향 중에 제 2 방향으로 장착되면 가습수 공급 유로(670)가 개방되어 가습 모드가 될 수 있다. 제 1 방향에서 통합 물통(650)의 위치와 제 2 방향에서 통합 물통(650)의 위치는 180도 반대일 수 있다.
통합 물통(650)의 바닥부(651)에는 복수의 결합 돌기부(681,682,683,684)가 마련되고, 통합 물통 장착부(640)의 바닥 지지부(642)에는 복수의 결합 돌기부(681,682,683,684)가 수용되는 복수의 돌기 수용부(643,644,645,646)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결합 돌기부(681,682,683,684) 중에 어느 하나(681)에는 통합 물통(650)의 가습수가 토출되는 가습수 토출구(671)와, 가습수 토출구(671)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 부재(690)와, 개폐 부재(690)를 가습수 토출구(67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694)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돌기부(681)는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결합 돌기부(681)를 폐쇄하도록 마개 부재(681a)가 결합 돌기부(681)에 결합될 수 있다. 가습수 토출구(671)는 마개 부재(681a)에 형성될 수 있다.
개폐 부재(690)는 가습수 토출구(671)를 개폐하는 실링부(691)와, 후술하는 가압 돌기(647)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부(693)와, 실링부(691)와 가압부(693) 사이에 연장되는 로드부(69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694)의 일단은 가압부(693)에 지지되고, 탄성 부재(694)의 타단은 탄성 부재 지지부(696)에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 수용부(643,644,645,646) 중에 어느 하나(643)에는 가습수 토출구(671)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개폐 부재(690)를 가압하도록 돌출되는 가압 돌기(647)가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결합 돌기부(681,682,683,684) 중에 가습수 토출구(671)가 형성된 결합 돌기부(681)가 복수의 돌기 수용부(643,644,645,646) 중에 가압 돌기(647)가 형성된 돌기 수용부(643)에 안착되면 가압 돌기(647)가 개폐 부재(690)를 가압하여 가습수 토출구(671)가 개방될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가습수 토출구(671)가 폐쇄될 수 있다(도 32).
이와 같이, 간단한 기구적 구조로 가습수 공급 유로(670)를 개폐할 수 있으며, 제습 모드와 가습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가습수 공급 유로(670)의 개폐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수 공급 유로(670) 상에 개폐 밸브(699)가 마련되고, 개폐 밸브(699)의 동작에 따라 가습수 공급 유로(670) 개폐될 수 있다.
개폐 밸브(699)는 자동식일 수 있으며 수동식일 수도 있다. 일례로, 개폐 밸브(699)는 스텝 모터로 구동되는 밸브일 수도 있으며, 전자석을 이용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도 있다.
가습 소자(660)는 가습수를 흡수하는 가습 필터일 수 있다. 가습 필터는 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습수는 가습 필터를 타고 하강하면서 기화할 수 있다. 가습수가 쉽게 기화하도록 송풍팬(625)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킬 수 있다. 응축기(621) 및 증발기(625)가 가습 소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4는 도 23의 제가습기의 가습 소자로써 초음파 진동자가 사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도 34의 제가습기의 가습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가습기(700)의 본체(710)에는 가습부(720)가 마련될 수 있다. 가습부(720)는 통합 물통(750)에서 공급되는 가습수를 저수하는 가습 탱크(751)와, 가습 탱크(751)에 마련되어 가습수를 진동시키는 초음파 진동자(752)와, 가습 탱크(751)를 밀폐시키는 가습 커버(75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 커버(753)에는 가습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754)가 형성될 수 있다.
초음파 진동자(752) 이외에도 가습 소자로서 가습수를 가열하여 끓이는 히터나 전극봉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습기(800)는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한 방식 이외에, 흡착제(822)를 이용한 방식으로 제습을 수행할 수 있다. 제습기(800)는 수증기를 흡착하는 흡착제(822)와,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820)와,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열교환기(821)와,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825)을 포함할 수 있다. 흡착제(822)로는 제올라이트(zeolite), 활성탄, 실리카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흡입구(815)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고,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가 흡착제(822)에 흡착되고, 흡착제(822)에 흡착된 물은 히터(820)의 열풍에 의해 기화되고, 기화된 수증기는 열교환기(821)에 접촉하여 응축될 수 있다. 건조해진 공기는 토출구(816)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열교환기(821)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배수 덕트(830)에 의해 안내되어 집수 트레이(831)에 모아지고, 펌프(832)가 가동되면 집수 트레이(831)의 응축수가 본체(810)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 물통(850)으로 펌핑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기(821)는 냉매를 증발시켜 외부를 냉각시키는 냉각기 뿐만 아니라, 단순히 수증기와 열교환하여 수증기를 응축시킬 수 있는 부재를 모두 포괄한다.
배수관(833)은 집수 트레이(831)와 물통(850)을 연결하며, 펌핑되는 응축수를 물통(850)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은 냉동 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제습을 수행하는 방식 뿐만 아니라 흡착제를 이용하여 제습하고 흡착된 물을 기화시킨 후에 다시 응축시키는 방식의 제습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습 후에 응축수가 발생하기만 한다면 기타 다른 방식의 제습기에도 두루 적용이 가능하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도 37의 제습기의 본체와 물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는 도 37의 제습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0은 도 37의 제습기의 물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1은 도 37의 제습기의 물통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도 37의 제습기의 물통의 상부 손잡이가 상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도 37의 제습기의 물통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4 및 도 45는 상부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통을 분리하고 물을 배수하는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도 46 및 도 47은 측면 손잡이를 이용하여 물통을 분리하고 물을 배수하는 동작을 보인 도면이다.
도 37 내지 도 4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편의상 설명이 생략될 수 있으나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제습기(900)는 흡입구(915)와 토출구(916)를 갖는 본체(910)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920)와 냉매를 응축시키며 외부로 잠열을 발산하는 응축기(921)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밸브(미도시)와 냉매를 증발시켜 외부의 잠열을 흡수하고 주변 공기의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증발기(냉각기,922)를 갖는 냉동 사이클 장치와, 흡입구(916)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922)를 거쳐 제습된 후에 응축기(921)를 통과하여 덥혀지고 토출구(916)를 통해 토출되도록 유동시키는 송풍팬(925)과, 증발기(922)에서 생성되어 낙하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는 배수 덕트(930)와, 배수 덕트(930)에 의해 안내된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 트레이(931)와, 응축수를 배수하도록 본체(9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물통(950)과, 집수 트레이(931)에 집수된 응축수를 물통(950)으로 펌핑하는 펌프(932)와, 펌프(932)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를 본체(910) 상부의 물통(950)으로 안내하는 배수관(9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900)의 본체(910)는 각종 부속품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메인 케이스(911)와, 메인 케이스(911)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케이스(9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습기(900)의 흡입구(915)는 본체(910)의 전방에 형성되고, 토출구(916)는 메인 케이스(9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916)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916a)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토출구(916)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거나 토출구(916)를 개폐하는 블레이드(917)가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917)는 회전축(917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압축기(920)와, 응축기(921)와, 팽창 밸브와, 증발기(922)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는 본체(910)의 내부에 마련된다. 압축기(920)는 본체(9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증발기(922)는 흡입구(915)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응축기(921)는 증발기(92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925)은 구동 모터(925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송풍팬(925)은 본체(910)의 전방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가 증발기(922)와 응축기(921)를 차례로 거친 후에 본체(910)의 전방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본체(910)의 내부에는 기류의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기류 안내부(926)가 마련될 수 있다. 기류 안내부(926)의 내부에는 안내 유로(927)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팬(925)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일 수 있다.
증발기(922)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증발기(922)를 타고 아래로 흐르다가 증발기(922)의 아래로 낙하하며, 증발기(922)의 아래에는 낙하하는 응축수를 안내하도록 배수 덕트(930)가 마련될 수 있다.
배수 덕트(930)는 응축수를 집수 트레이(931)로 안내하며, 이를 위해 배수 덕트(930)는 집수 트레이(931)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배수 덕트(930)는 증발기(922)의 전체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집수 트레이(931)는 응축수를 저수할 수 있다. 집수 트레이(931)에는 수위 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집수 트레이(931)의 수위가 만수위에 도달하거나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펌프(932)가 가동되어 집수 트레이(931)의 응축수를 펌핑할 수 있다.
배수 덕트(930)와 집수 트레이(931)는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펌프(932)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는 배수관(933)에 의해 본체(910)의 상부에 장착된 물통(950)으로 안내될 수 있다.
물통(950)은 중공(957)을 갖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중공(957)은 물통(95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되어 물통(950)을 관통할 수 있다. 즉, 물통(950)은 환형(ring sha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통(950)은 수직 방향으로 볼 때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환형이라는 용어는 내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을 의미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950)은 내부에 구멍이 있기만 하면 충분하며, 일정한 반지름을 갖는 원형은 물론, 타원형, 사각형, 삼각형, 기타 다른 다각형이어도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 물통(950)은 끊김이 없는 연속된 환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중공(957)을 갖는 형태라면 일부가 끊겨진 형태의 환형이어도 무관하다.
더 구체적으로, 물통(950)은 중공(957)을 둘러싸는 내측벽(955)과, 내측벽(955)의 외측에 마련되고 내측벽(955)과의 사이에 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958)을 형성하는 외측벽(953)을 가질 수 있다. 내측벽(955)과 외측벽(953)은 모두 환형이며, 따라서 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958) 역시 환형일 수 있다.
내측벽(955)의 하단과 외측벽(953)의 하단은 바닥부(952)에 의해 연결되고, 내측벽(955)의 상단과 외측벽(953)의 상단은 물통(950)의 물을 비울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물통(950)은 상면이 개방되고 중공(957)을 갖는 환형의 물통 몸체(951)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 몸체(951)는 중공(957)을 둘러싸는 내측벽(955)과, 내측벽(955)과의 사이에 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958)을 형성하도록 내측벽(955)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벽(953)과, 내측벽(955)의 하단과 외측벽(953)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952)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 몸체(951)의 개방된 상면은 커버(96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커버(960)는 물통 몸체9951)의 개방된 상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960)는 물통 몸체(951)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통(950)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손잡이(961,954)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통(950)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상부 손잡이(961)와, 측면에 함몰되게 마련되는 측면 손잡이(9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손잡이(961)는 물통 몸체(9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손잡이(961)는 평소에는 눕혀져 있다가 상부 손잡이(961)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42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물통 몸체(951)에는 손잡이 결합홀(956)이 마련되고, 상부 손잡이(961)에는 손잡이 결합홀(95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돌기(962)가 마련될 수 있다. 손잡이 결합홀(956)은 물통 몸체(951)의 내측벽(955)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상부 손잡이(961)를 잡고 물통(950)을 본체(910)에 장착하거나 분리하거나 물통(950)을 기울여서 물통(950)의 물을 비울 수 있다(도 44 및 도 45 참조).
측면 손잡이(954)는 물통 몸체(951)의 외측벽(953) 하부에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 손잡이(954)는 외측벽(953)에서 중공(957) 측으로 절곡되는 상단 손가락 지지부(954a)와, 손가락 지지부(954a)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측면 손가락 지지부(954b)와, 손가락을 수용하는 손잡이 공간(954c)로 구성될 수 있다(도 43 참조).
측면 손잡이(954)는 물통 몸체(951)의 서로 대향하는 면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측면 손잡이(954)를 양손으로 잡고 물통(950)을 본체(910)에 장착하거나 분리하거나 물통(950)을 기울여서 물통(950)의 물을 비울 수 있다(도 46 및 도 47 참조).
본체(910)의 상부에는 물통(950)이 장착되는 물통 장착부(940,도 38)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 장착부(940)에 장착된 물통(950)은 증발기(920) 보다 높게 위치되거나 또는 적어도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물통 장착부(940)는 물통(950)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941)과, 물통(950)의 하단을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942)와, 물통(950)의 외측벽(953)을 지지하는 외측벽 지지부(943)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벽 지지부(943)는 물통(950)의 외측벽(953)의 하단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단차부(953c)에 삽입되어 물통(950)의 외측벽(953)을 지지할 수 있다. 외측벽 지지부(943)는 물통 장착부(940)의 테두리부에 상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물통(950)의 장착 시에 물통(950)과 배수관(933)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물통(950)의 분리 시에 물통(950)과 배수관(933)의 연결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물통 장착부(940)에는 배수 연결 포트(970,도 39)가 마련될 수 있다.
물통(950)의 장착 시에 배수 연결 포트(970)는 물통(950)의 내부 공간(958)로 삽입될 수 있다. 물통(950)에는 배수 연결 포트(970)의 삽입을 안내함과 더불어 물통(950)과 배수 연결 포트(970)의 사이를 실링하는 고무 소재의 실링 부재(97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910)는 물통(950)의 장착 및 분리를 가이드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부(980)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부(980)는 본체(910)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부(980)는 물통(950)의 중공(957)에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부(980)는 물통(950)의 중공(957)에 삽입되어 물통(950)의 내측벽(955)을 지지할 수 있다.
물통(950)을 본체(910)에 장착하고자 할 때, 물통(950)을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물통(950)의 중공(957)에 본체(910)의 가이드부(980)가 삽입되도록 한다.
반대로, 물통(950)을 본체(91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물통(950)을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물통(950)의 중공(957)에서 본체(910)의 가이드부(980)를 이탈시킨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980)가 물통(950)의 중공(957)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게 마련됨으로써, 물통(950)의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체(910)에 물통(950)이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91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물통(950)이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가이드부(980)의 내부에는 전술한 안내 유로(927)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980)의 내부에 안내 유로(927)가 형성됨으로써 제습기(900)의 공간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
가이드부(980)의 상면(981)은 물통(950)을 장착한 상태에서도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980)의 상면(981)에는 제습기(900)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982,도 38)와, 제습기(900)에 각종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부(983,도 38)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82)는 7 세그먼트 표시 장치 등를 포함하는 엘씨디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부(983)는 각종 버튼, 노브, 터치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980)의 상면(981)에 디스플레이부(982)와 컨트롤부(983)가 마련됨으로써, 물통(950)을 본체(910)의 상부에 탑재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편리하게 디스플레이부(982)와 컨트롤부(983)를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제습기 122 : 증발기(냉각기)
125 : 송풍팬131 : 집수 트레이
132 : 펌프133 : 배수관
140 : 물통 장착부150 : 물통
170 : 배수 연결 포트260 : 외부 연장관
360 : 내부 연장관
900 : 제습기 950 : 물통
951 : 물통 몸체 952 : 바닥부
953 : 외측벽 953a : 단차부
954 : 측면 손잡이 955 : 내측벽
957 : 중공 958 : 내부 공간
960 : 커버 960a : 중공
961 : 상부 손잡이 980 : 가이드부
982 : 디스플레이부 983 : 컨트롤부

Claims (42)

  1. 흡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
    수증기를 응축시켜서 응축수를 발생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 트레이;
    상기 응축수를 배수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물통;
    상기 집수 트레이의 응축수를 상기 물통으로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되는 응축수를 상기 물통으로 안내하는 배수관;
    상기 물통이 장착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는 물통 장착부; 및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 장착부에 장착 시에 상기 물통에 연결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 장착부에서 이탈 시에 상기 물통과 분리되도록 상기 물통 장착부에 마련되는 배수 연결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연결 포트는,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 장착부에 장착 또는 이탈되는 도중에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물통의 반대 측으로 후퇴하고, 상기 물통이 상기 물통 장착부에 장착 또는 이탈이 완료될 시에 상기 물통 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냉매를 증발시킴으로써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증기를 흡착하는 흡착제와, 상기 흡착제에 흡착된 물을 기화시키도록 열풍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열교환기 보다 높거나 적어도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연결 포트가 상기 물통 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연결 포트는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테이퍼지고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연결 포트는 최대 돌출 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연결 포트는 상기 물통의 측벽부 측에 마련되고, 상기 물통의 측벽부에는 상기 배수 연결 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응축수가 상기 물통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물통의 측방 외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된 다음 상기 물통의 직상방 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장관은 역 U 자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역 U 자 관이 결합되는 배관 결합부를 갖는 결합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역 U 자관을 대체하여 상기 결합관의 상기 배관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응축수를 상기 물통의 외부로 연속 배수시키는 연속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연장관의 상기 물통 측 단부는 상기 물통의 상벽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물통의 상벽부에는 상기 외부 연장관을 통해 공급되는 응축수가 상기 물통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물통 장착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물통의 바닥부를 관통하여 상기 물통의 내부 공간으로 응축수를 안내하는 내부 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바닥부에는 상기 내부 연장관이 관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바닥부는 상측으로 융기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에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내부 연장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장착부는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장착 공간과, 상기 물통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장착부는 상기 물통의 측벽부를 지지하는 측벽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응축수가 타고 흐르도록 함으로써 상기 물통의 바닥부로 직접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소음 방지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4. 본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를 응축시키는 열교환기;
    가습수를 공급 받아 기화시킴으로써 공기의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 소자; 및
    제습 모드에서 상기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수하거나 가습 모드에서 상기 가습 소자에 공급할 가습수를 저수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통합 물통으로서, 상기 통합 물통의 가습수가 자중에 의해 상기 가습 소자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습 소자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통합 물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기.
  25. 삭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물통의 가습수를 상기 가습 소자에 안내하는 가습수 공급 유로로서, 상기 제습 모드에서 폐쇄되고, 상기 가습 모드에서 개방되는 가습수 공급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기.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물통은 복수의 방향으로 상기 본체의 통합 물통 장착부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방향 중 제 1 방향으로 장착되면 상기 가습수 공급 유로가 폐쇄되고, 상기 복수의 방향 중 제 2 방향으로 장착되면 상기 가습수 공급 유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기.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물통은,
    가습수 공급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가습수 토출구;
    상기 가습수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 부재; 및
    상기 개폐 부재를 상기 가습수 토출구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기.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 토출구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 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본체의 통합 물통 장착부에 마련되는 가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기.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수 공급 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가습수 공급 유로에 마련되는 자동식 또는 수동식 개폐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기.
  31. ◈청구항 3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소자는 가습수를 흡수하는 가습 필터와, 가습수를 가열하는 히터와, 가습수를 진동시키는 초음파 진동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가습기.
  32. 본체;
    수증기를 응축시켜서 응축수를 발생시키는 열교환기;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중공을 갖는 물통; 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물통의 장착 및 분리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중공에 삽입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중공을 둘러싸는 내측벽을 갖는 제습기.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가이드부는 상기 물통의 내측벽을 지지하는 제습기.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내측벽과의 사이에 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내측벽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벽을 갖는 제습기.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환형(ring shape)을 갖는 제습기.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에는 공기를 안내하는 안내 유로가 형성되는 제습기.
  38.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제습기.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가 마련되는 제습기.
  40.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상면에는 컨트롤부가 마련되는 제습기.
  41.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물통 본체와, 상기 물통 본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손잡이를 포함하는 제습기.
  42. ◈청구항 4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물통 본체와, 상기 물통 본체의 측면에 함몰되게 형성되는 측면 손잡이를 포함하는 제습기.
KR1020150098908A 2014-11-12 2015-07-13 제습기 및 제가습기 KR102504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908A KR102504092B1 (ko) 2014-11-12 2015-07-13 제습기 및 제가습기
US14/938,147 US10082303B2 (en) 2014-11-12 2015-11-11 Appliance for dehumidification and multi-function appliance for dehumidificaton or humidification
ES17205322T ES2913158T3 (es) 2014-11-12 2015-11-12 Dispositivo para deshumidificación y dispositivo multifunción para deshumidificación o humidificación
EP17205322.5A EP3324129B1 (en) 2014-11-12 2015-11-12 Appliance for dehumidification and multi-function appliance for dehumidification or humidification
EP15858696.6A EP3186563B1 (en) 2014-11-12 2015-11-12 Appliance for dehumidification and multi-function appliance for dehumidificaton or humidification
AU2015347440A AU2015347440B2 (en) 2014-11-12 2015-11-12 Appliance for dehumidification and multi-function appliance for dehumidificaton or humidification
ES15858696T ES2796096T3 (es) 2014-11-12 2015-11-12 Dispositivo para deshumidificación y dispositivo multifunción para deshumidificación o humidificación
PCT/KR2015/012169 WO2016076642A1 (en) 2014-11-12 2015-11-12 Appliance for dehumidification and multi-function appliance for dehumidificaton or humidification
CN201510776674.5A CN105605686B (zh) 2014-11-12 2015-11-12 用于除湿的装置以及用于除湿或加湿的多功能装置
CN201580062431.3A CN107110526B (zh) 2014-11-12 2015-11-12 除湿装置以及用于除湿或加湿的多功能装置
AU2018204328A AU2018204328B2 (en) 2014-11-12 2018-06-18 Appliance for dehumidification and multi-function appliance for dehumidificaton or humidif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57310 2014-11-12
KR1020140157310 2014-11-12
KR1020150098908A KR102504092B1 (ko) 2014-11-12 2015-07-13 제습기 및 제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775A KR20160056775A (ko) 2016-05-20
KR102504092B1 true KR102504092B1 (ko) 2023-02-28

Family

ID=5591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908A KR102504092B1 (ko) 2014-11-12 2015-07-13 제습기 및 제가습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82303B2 (ko)
EP (2) EP3324129B1 (ko)
KR (1) KR102504092B1 (ko)
CN (2) CN105605686B (ko)
AU (2) AU2015347440B2 (ko)
ES (2) ES2913158T3 (ko)
WO (1) WO2016076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1778B2 (en) * 2013-03-15 2018-01-09 Resmed Limited Humidifier reservoir
USD846105S1 (en) 2014-02-14 2019-04-16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USD802725S1 (en) 2014-02-14 2017-11-1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CN104949214B (zh) * 2014-03-31 2018-01-05 Lg电子株式会社 除湿机
CN104949215B (zh) * 2014-03-31 2018-04-06 Lg电子株式会社 除湿机
EP3153782A4 (en) 2014-06-05 2018-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grated air conditioner
US9476603B2 (en) * 2014-12-12 2016-10-25 Dong Guan Song Wei Electric Technology Co., Ltd Heater with humidifying device
KR20180038155A (ko) * 2016-10-06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D856500S1 (en) * 2016-12-05 2019-08-13 Lg Electronics Inc. Cabinet with dehumidifier
USD825046S1 (en) 2017-01-09 2018-08-07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Air treatment system
GB2565112B (en) * 2017-08-02 2020-02-19 Aspen Pumps Ltd Condensate pump assembly
CN107345698A (zh) * 2017-08-17 2017-11-14 深圳市华图测控系统有限公司 调湿净化器及其配套自动供排水多联控制系统
US10792983B2 (en) * 2017-09-21 2020-10-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umidifier system
AU2017432387B2 (en) * 2017-09-21 2023-08-03 Beth-El Zikhron Yaaqov Industries Ltd Device and method for low energy atmospheric water generation
IT201700120788A1 (it) * 2017-10-24 2019-04-24 Torino Politecnico Metodo per la produzione di acqua dall’aria basato su calore a bassa temperatura, macchina e sistema corrispondente
USD844126S1 (en) * 2017-10-26 2019-03-26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Dehumidifier
WO2019089678A1 (en) * 2017-11-06 2019-05-09 Premium Home Comfort, Inc. Compact dehumidifier
CN109938656B (zh) * 2017-12-21 2022-03-29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热泵式洗碗机和控制方法
CN108144398A (zh) * 2018-01-09 2018-06-12 昆山奕盛来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废气二次处理装置
CN110195957A (zh) * 2018-02-26 2019-09-0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8777920A (zh) * 2018-05-24 2018-11-09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市定陶区供电公司 一种电力调控用操作台
CN108741750A (zh) * 2018-05-24 2018-11-06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章丘区供电公司 一种智能化电力施工二次接线图纸查看装置
CN108789316A (zh) * 2018-05-24 2018-11-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章丘区供电公司 一种自检式电力维修工具存储装置
CN108783981A (zh) * 2018-05-24 2018-11-13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市定陶区供电公司 一种电力办公用品综合管理装置
CN108775613A (zh) * 2018-06-25 2018-11-09 广东海悟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带加湿功能的热风机内机
CN109357345B (zh) * 2018-09-10 2020-03-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加湿风扇
CN112443900B (zh) * 2019-08-28 2022-07-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
CN111306655A (zh) * 2019-11-27 2020-06-19 杭州圣瑞思电器有限公司 一种整体式工业除湿器
KR20210073122A (ko) 2019-12-10 2021-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기
US11566796B2 (en) * 2019-12-10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7372169B2 (ja) 2020-02-17 2023-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調湿装置
JP7382846B2 (ja) 2020-02-17 2023-11-17 シャープ株式会社 調湿装置
US11339980B2 (en) * 2020-06-23 2022-05-24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Dehumidifier with a retractable conduit
US11454406B2 (en) * 2020-06-23 2022-09-27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Dehumidifier with filtering assembly for secondary tank
EP3945213A3 (en) * 2020-07-27 2022-04-06 Aspen Pumps Limited Condensate pump arrangement
CN113701263B (zh) * 2021-09-14 2022-08-05 伊岛电器(宁波)有限公司 带有加湿功能的除湿机
CN113680208A (zh) * 2021-09-17 2021-11-23 杭州树派环保科技有限公司 光触媒消除甲醛装置及光触媒用除湿机构
CN113932329A (zh) * 2021-09-22 2022-01-14 浙江先导热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加湿除湿一体装置
CN114828435A (zh) * 2022-04-18 2022-07-29 长鸿电子科技(惠州)有限公司 一种pcb线路板电镀设备
CN115532031B (zh) * 2022-10-31 2023-10-03 盐城天尔机械有限公司 一种基于空气热交换压缩空气预冷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1470A (ja) * 2000-02-09 2001-08-17 Denso Corp 加湿方法および加湿装置
JP2002243083A (ja) 2001-02-15 2002-08-28 Hitoyoshi Aizawa 流体配管、流体分岐部、流体配管接続機器、並びに流体配管接続機器の取付及び取外方法
JP2004181279A (ja) * 2002-11-29 2004-07-02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湿機
US20120325343A1 (en) 2011-06-23 2012-12-27 Richard May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humidifying atmospheric moisture and purify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830U (ja) * 1992-07-14 1994-02-25 株式会社コロナ スチ−ム加湿器
JPH0614830A (ja) 1993-02-16 1994-01-25 Yoshidafusa Orimono Kk 編み毛布の製造方法
CN1428562A (zh) * 2001-12-25 2003-07-0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机专用水箱安装结构
WO2004020919A1 (en) * 2002-08-30 2004-03-11 Global Water Limited Device for extracting water from the atmosphere
US8511105B2 (en) * 2002-11-13 2013-08-20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Water vending apparatus
JP2004278952A (ja) 2003-03-17 2004-10-07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湿機
JP2005042947A (ja) 2003-07-23 2005-02-17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湿機
CN2797950Y (zh) * 2005-05-12 2006-07-19 周贯冲 蒸汽加湿机蒸汽的降温装置
KR101174529B1 (ko) 2005-06-13 2012-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060129672A (ko)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090087560A (ko) 2008-02-13 2009-08-18 한광호 가습기와 제습기를 내장한 공기청정기
US7895849B2 (en) 2008-07-03 2011-03-01 New Widetech Industries Co., Ltd. Dehumidifier with multistage draining
CN201637001U (zh) 2010-03-09 2010-11-17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带自动排水功能的除湿机
CN103429962A (zh) 2010-10-06 2013-12-04 卡兹欧洲公司 顶部排空式除湿器
CN202040906U (zh) * 2011-04-29 2011-11-16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机
KR101327364B1 (ko) 2012-09-04 2013-11-11 박상복 편백나무칩 가습기
KR20140110651A (ko) * 2013-03-08 2014-09-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제습기
CN203785191U (zh) * 2014-03-06 2014-08-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水箱的固定结构及除湿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1470A (ja) * 2000-02-09 2001-08-17 Denso Corp 加湿方法および加湿装置
JP2002243083A (ja) 2001-02-15 2002-08-28 Hitoyoshi Aizawa 流体配管、流体分岐部、流体配管接続機器、並びに流体配管接続機器の取付及び取外方法
JP2004181279A (ja) * 2002-11-29 2004-07-02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湿機
US20120325343A1 (en) 2011-06-23 2012-12-27 Richard Mayer Method and apparatus for dehumidifying atmospheric moisture and purify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10526A (zh) 2017-08-29
AU2018204328B2 (en) 2019-10-03
AU2018204328A1 (en) 2018-07-05
AU2015347440B2 (en) 2018-11-01
WO2016076642A1 (en) 2016-05-19
EP3186563A1 (en) 2017-07-05
CN105605686B (zh) 2020-03-13
US20160131372A1 (en) 2016-05-12
KR20160056775A (ko) 2016-05-20
AU2015347440A1 (en) 2017-03-30
EP3324129B1 (en) 2022-02-16
ES2796096T3 (es) 2020-11-25
EP3186563B1 (en) 2020-03-11
CN107110526B (zh) 2020-12-08
EP3186563A4 (en) 2017-09-06
ES2913158T3 (es) 2022-05-31
CN105605686A (zh) 2016-05-25
EP3324129A1 (en) 2018-05-23
US10082303B2 (en) 201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092B1 (ko) 제습기 및 제가습기
KR102521510B1 (ko) 제습기
US9920976B2 (en)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a dehumidifier
US20160010882A1 (en) Dehumidifier
CN104949214B (zh) 除湿机
CN108136323B (zh) 减湿器
EP3118532A1 (en) Dehumidifier
US9879878B2 (en) Dehumidifier
KR101680425B1 (ko) 제습기
KR20160134210A (ko) 제습기
KR20150081595A (ko) 제습기
KR20060129677A (ko) 제습기
JP2020018990A (ja) 除湿機
JP2004181279A (ja) 除湿機
JP2001259352A (ja) 除湿機
KR101158578B1 (ko)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