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865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865B1
KR102013865B1 KR1020120062090A KR20120062090A KR102013865B1 KR 102013865 B1 KR102013865 B1 KR 102013865B1 KR 1020120062090 A KR1020120062090 A KR 1020120062090A KR 20120062090 A KR20120062090 A KR 20120062090A KR 102013865 B1 KR102013865 B1 KR 102013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dehumidifier
protrusion
mounting portion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478A (ko
Inventor
김문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2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865B1/ko
Publication of KR20130138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는, 열교환기 및 송풍팬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일면으로터 함몰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물통장착부; 및 상기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물통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이 포함되며, 상기 물통에는, 상기 물통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물통전면부; 및 상기 물통전면부로부터 연장되며, 물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물저장부; 및 상기 물통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물통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물통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장착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물통손잡이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제습기 {A 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除濕機)는 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를 케이스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濕度)를 낮추는 장치이다.
즉, 제습기는 액화 상태의 냉매를 증발기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된다.
상세히, 종래의 제습기에는, 공기 흡입부 및 토출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공기 흡입부의 내측에 제공되어 실내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제습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에 위치되어 실내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어셈블리 및 상기 열교환기의 일측에 제공되어 응축수를 모으는 물통이 포함된다.
상기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드레인 팬에 저장되고, 소정의 가이드 구조를 따라 상기 물통으로 유입된다. 상기 물통에 소정량 이상의 물이 저장되면 사용자는 상기 물통을 분리하여 물통의 물을 버릴 수 있다.
종래의 제습기의 경우 물통이 본체부의 내측에 제공되며, 상기 물통을 커버하기 위한 물통 커버가 별도로 제공되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물통 커버가 제공되면, 사용자는 상기 물통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물통 커버를 개방하고 이후에 물통을 인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물통이 무거운 경우 사용자가 물통을 분리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물통을 본체부로부터 상방으로 들어올리도록 구성되면, 힘이 약한 어린이나 노약자는 물통을 다루는 것이 어렵고 안전사고에 이를 수 있게 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통의 조작이 용이한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일면으로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물통장착부; 및 상기 물통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이 포함되며, 상기 물통에는, 상기 물통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물통전면부; 상기 물통전면부로부터 연장되며, 물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물저장부; 및 상기 물통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물통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물통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장착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물통손잡이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물통의 상부에 손잡이가 제공되어 물통을 틸팅하는 동작과, 물통을 제습기의 본체부로부터 인출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물통의 조작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부의 하부에 물통을 지지하면서 물통의 틸팅 중심을 제공하는 틸팅지지부가 제공되므로, 물통의 움직임이 부드럽고 물통을 움직이기 위하여 많은 힘이 필요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물통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을 규정하는 물통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통장착부의 상부에는 물통의 틸팅동작시 물통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는 회동공간이 형성되므로, 물통의 틸팅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에 물통을 지지하는 다수의 돌기가 제공되고 물통에는 상기 다수의 돌기와 간섭되거나 걸림이 이루어지는 구성이 제공되므로, 물통이 본체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하면부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물통에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 리브가 제공되므로 물통의 인입 또는 인출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분리된 상태의 제습기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본체부로부터 외부로 틸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틸팅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부(20,30)와, 상기 본체부(20,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100)이 포함된다.
상기 본체부(20,30)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20) 및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후측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30)가 포함된다. 상기 프론트 패널(20)과 리어 케이스(30)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20,30)의 내부에는 제습기 부품, 일례로 압축기(미도시), 열교환기(미도시) 및 송풍팬(미도시)등이 배치되는 소정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20,30)의 후면에는, 제습될 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40)가 형성된다. 상기 흡이부(40)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부(4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하기 위한 필터부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30)의 후면에는, 상기 제습기(10)에 전원을 공급할 파워 코드를 수납할 수 있는 코드 수납부(90)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부(20,30)의 상면부에는, 상기 제습기(10)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60)이 제공된다. 상기 핸들(60)은 상기 본체부(20,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60)은 사용되지 않을 때 눕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본체부(20,30)의 상면과 대략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반면, 사용될 때 상방으로 회전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30)의 하측에는, 상기 제습기(10)의 이동이 간편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바퀴(80)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상기 이동바퀴(80)를 이동하여 상기 제습기(10)를 끌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30)의 상면부에는, 상기 제습기(10)의 작동 상태 또는 작동모드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20,30)의 상면부에는, 상기 제습기(10)에서 제습처리 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70) 및 상기 토출부(7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토출부(7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 베인(72)이 제공된다. 상기 토출 베인(72)은 상기 제습기(10)가 작동할 경우에만 상기 토출부(70)를 개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물통(100)의 전면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100)의 상부에는, 상기 물통(100)을 틸팅(회전) 및 인출하는 과정에서 조작할 수 있는 물통손잡이(110)가 형성된다. 상기 물통(100)의 상세 구조와 관련하여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분리된 상태의 제습기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20,30)에는, 상기 물통(100)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규정하는 물통장착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물통장착부(200)는 상기 프론트 패널(20)의 하부에서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20,30)의 내부 공간 중 적어도 일부분을 구성한다. 즉, 상기 물통장착부(200)는 상기 본체부(20,30)의 개구된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20,30)에는, 상기 물통장착부(200)를 규정하는 하면부(210), 측면부(220), 상면부(230) 및 후면부(209, 도 7 참조)가 포함된다.
상기 하면부(210)는 상기 물통장착부(200)의 하측면을 규정한다.
상기 하면부(210)에는, 상기 물통(100)의 전방 또는 후방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2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방"이라 함은, 상기 물통(100)이 인출되는 방향이며, 상기 "후방"이라 함은, 상기 물통(100)이 인입되는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210)에는, 상기 물통(1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2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212)은 상기 하면부(210)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면부(210)의 양측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212)은 상기 본체부(20,30)의 전면부(240)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부(240)는, 상기 하면부(210)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면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면부(240)에는, 상기 물통(100)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물통(100)의 틸팅동작시 상기 물통(100)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틸팅지지부(244)가 포함된다. 상기 틸팅지지부(244)는 상기 전면부(24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면부(240)의 양측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틸팅지지부(244)의 상면은, 상기 물통(100)의 틸팅돌기(107, 도 5 참조)를 지지하는 점에서 "지지면"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틸팅지지부(244)의 일측에는, 상기 틸팅돌기(107)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틸팅돌기(107)의 회전공간을 제공하는 함몰부(245)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245)는 상기 틸팅지지부(244)의 상측에서, 상기 전면부(240)의 후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245)는 상기 하면부(210)의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함몰부(245)는 상기 전면부(240)와 하면부(210)의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220)는 상기 하면부(210)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물통장착부(20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측면부(220)에는, 상기 물통(100)이 인출 또는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통(100)의 적어도 일부분과 간섭되는 제 1 돌기(222)가 제공된다. 상기 물통(100)이 상기 물통장착부(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돌기(222)는 상기 물통(100)의 돌기 간섭부(122, 도 4 참조)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230)는 상기 측면부(220)로부터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며, 그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230)에는, 상기 물통(100)의 상단부와 결합되는 제 2 돌기(232)가 제공된다. 상기 제 2 돌기(232)는 상기 상면부(230)의 최상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돌기(232)에 의하여, 상기 물통(100)의 상단부는 상기 물통장착부(2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100)에는, 상기 물통(100)이 상기 물통장착부(20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습기(10)의 전면 외관 중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물통전면부(102)가 포함된다. 상기 물통전면부(102)의 상부는 라운드진 부분을 포함하여, 수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통전면부(102)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물통(100)을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물통손잡이(110)가 제공된다. 상기 물통손잡이(110)가 상기 물통전면부(102)의 상부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물통손잡이(110)의 회전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물통손잡이(110)는 물저장부(120)의 상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물통(100)이 회전될 때 상기 물저장부(120)의 회전각도(또는 회전반경)을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물저장부(120)의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손잡이(110)의 하측에는, 사용자의 손을 집어넣을 수 있는 파지홀(112)이 형성된다. 상기 파지홀(112)은 상기 물통전면부(102)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100)에는, 상기 물통전면부(10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물을 저장하는 물저장부(1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물저장부(120)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물 저장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120)의 상측에는, 상기 물저장부(120)의 개구된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차폐하는 물통커버(150)가 제공된다. 상기 물통커버(150)가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물통(150)을 상기 본체부(20,30)로부터 인출한 후 이동할 때 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물통커버(150)의 상면에는, 응축수를 상기 물저장부(120)의 내측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면(15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면(151)은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물저장부(120) 내부로 응축수의 유동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열교환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열교환기 하측의 드레인 팬(미도시)에 집수되고 상기 드레인 팬으로부터 상기 물통커버(150)까지 연장된 가이드 유로를 따라 유동하여 상기 가이드 면(151)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물통커버(150)에는, 상기 가이드 면(151)의 응축수를 상기 물저장부(120)로 가이드 하는 연통홀(153)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홀(153)은, 상기 가이드 면(151)의 단부와 상기 물통커버(150)의 일면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홀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120)의 내부에는, 상기 물저장부(120)의 물 저장량에 따라 움직임 가능하게 제공되는 플로트(160)가 제공된다. 상기 플로트(160)는 힌지부(16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62)는 상기 물저장부(120)의 상부에 제공되어 상기 플로트(1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120)의 물 저장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면 상기 플로트(160)는 상기 힌지부(16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플로트(160)의 움직임은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감지되어 "물비움 알림"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50)에 표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는 홀 센서(Hall sensor)일 수 있으며, 상기 플로트(160)에는 상기 홀 센서와 작용하는 자석(magnet)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부(120)의 저면부(121)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가이드 리브(125)가 제공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25)는 상기 가이드 홈(2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물저장부(120)의 인출 또는 인입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125)는 상기 물저장부(120)의 양측에 복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물저장부(120)의 전단부로부터 후단부까지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물통전면부(102)의 하부 후측에는, 상기 틸팅지지부(244)에 지지되는 틸팅돌기(107)가 제공된다. 상기 틸팅돌기(107)는 상기 물통전면부(102)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틸팅지지부(244)에 대응하여 상기 물통전면부(102)의 양측에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물통(100)이 상기 물통장착부(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돌기(107)는 상기 틸팅지지부(244)의 상측에 지지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100)이 상기 본체부(20,30)의 외측으로 틸팅되는 과정에서, 상기 틸팅돌기(107)는 상기 틸팅지지부(244)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상기 물통(200)의 틸팅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틸팅돌기(107)는 상기 틸팅지지부(244)에 대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틸팅돌기(107)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틸팅돌기(107)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함몰부(245)의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물통전면부(102)의 상단부에는, 상기 물통장착부(200)에 결합되는 돌기 결합부(114)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돌기 결합부(114)에는, 상기 제 2 돌기(232)가 삽입되는 삽입홀(11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15)은 상기 돌기 결합부(114)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물통(100)이 상기 물통장착부(2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돌기(232)는 상기 돌기 결합부(114)의 상측에서 상기 삽입홀(115)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과정에서, 상기 제 2 돌기(232) 및 돌기 결합부(114)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본체부로부터 외부로 틸팅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이 틸팅되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통(100)은 상기 물통장착부(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수의 위치에서 상기 본체부(20,30)에 지지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212), 틸팅지지부(244), 제 1 돌기(222) 및 제 2 돌기(232)를 다수의 지지부 또는 결합부라 이름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물통(100)의 저면 양측은 상기 가이드 리브(125)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홈(212)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물통(100)의 전면부는 상기 틸팅돌기(107)에 의하여 상기 틸팅지지부(244)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100)의 상단부는 상기 돌기 결합부(114)에 의하여 상기 제 2 돌기(232)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물통(100)의 양측부는 상기 돌기 간섭부(122)에 의하여 상기 제 1 돌기(222)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물통(100)은 상기 물통장착부(200)의 저면부, 측면부 및 상면부에 견고하게 결합 또는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물통장착부(200)에는, 상기 상면부(23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후면부(209)가 더 포함된다. 상기 후면부(209)는 상기 물통장착부(20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후면부(209)에는,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209a)이 포함된다. 즉, 상기 경사면(209a)의 상단부는 하단부에 대하여 전방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209a)은 상기 물저장부(1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장착부(200)에는, 상기 물저장부(120)와 경사면(209a) 사이에 규정되는 회동공간부(201)가 포함된다. 상기 회동공간부(201)는 상기 물통(100)이 틸팅되는 과정 및 상기 물통(100)이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본체부(20,3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물저장부(120)의 상측에 회동공간부(201)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물통(100)은 틸팅 과정에서 상기 본체부(20,30)와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공간부(201)의 상측에 경사면(209a)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물통(100)은 틸팅된 상태에서 전방 또는 전방 상측으로 인출되더라도 상기 본체부(20,30)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물통(100)이 틸팅(A) 및 인출(B)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물통(100)이 상기 물통장착부(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물통손잡이(110)를 파지한 후 전방으로 당기면 상기 물통(100)은 전방으로 틸팅된다.
상세히, 상기 틸팅돌기(107)가 상기 틸팅지지부(244)의 상측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며 상기 틸팅돌기(107)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함몰부(245)를 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통(100)은 상기 물통(100)의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돌기 결합부(114)는 상기 제 2 돌기(232)와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때, 상기 돌기 결합부(114) 또는 제 2 돌기(232)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125)의 적어도 일부분, 즉 리브의 후방부는 상기 가이드 홈(21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 간섭부(122)의 후방부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 1 돌기(222)로부터 이격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돌기(222)와의 간섭(또는 접촉)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틸팅돌기(107)의 후방에 위치한 물저장부(120)는 회전될 수 있으나, 상기 회동공간부(201)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본체(20,30)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물통(100)이 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상기 물통손잡이(110)를 잡아당겨 상기 물통(100)을 인출할 수 있다. 상기 물통(100)이 인출될 수 있는 방향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방 또는 전방 상측일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물통(100)을 전방 상측으로 인출시키더라도, 상기 물저장부(120)는 상기 경사면(209a)을 따라 상기 경사면(209a)의 하측공간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20,30)와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물통(100)을 틸팅시킨 후 상기 물통(100)이 완전히 인출되기 전에라도 상기 물통(100)을 들어올려 인출시킴으로써 물통(100)의 인출경로를 짧게 형성시키고, 물통을 인출하는 데 필요한 힘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하나의 물통손잡이(110)를 잡아당겨 물통의 틸팅 및 인출과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물통을 인출하는 데 소요되는 힘을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물통(100)을 인입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 리브(125)를 상기 가이드 홈(212)에 맞춰 끼운 후 후방으로 밀어넣을 수 있다. 상기 물통(100)이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 간섭부(122)는 상기 제 1 돌기(222)와 간섭된다.
상기 돌기 간섭부(122)와 제 1 돌기(222)의 간섭과정에서, 상기 돌기 간섭부(122)는 상기 제 1 돌기(222)의 상측을 따라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물저장부(120)는 약간 들려져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물통(100)이 상기 본체부(20,30)에 결합되는 상태에 도달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저장부(120)가 상기 물통장착부(200)의 후면부에 근접할 때까지 인입되면, 사용자는 상기 물통손잡이(110)를 상기 본체(20,30)측으로 누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돌기 결합부(114)는 상기 제 2 돌기(2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돌기 결합부(114) 또는 제 2 돌기(232)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간편한 동작으로 물통을 제습기에 장착할 수 있으며, 물통이 제습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물통이 다수의 위치에서 본체부에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물통을 제습기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 일례로 물통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필요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위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통(100)에 가이드 리브(125)가 제공되고 상기 물통장착부(200)에 가이드 홈(212)이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물통(100)에 가이드 홈이 제공되고 상기 물통장착부(200)에 가이드 리브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10 : 제습기 20 : 프론트 패널
30 : 리어 케이스 40 : 흡입부
50 : 디스플레이부 60 : 핸들
70 : 토출부 100 : 물통
102 : 물통전면부 107 : 틸팅돌기
110 : 물통손잡이 120 : 물저장부
122 : 돌기간섭부 125 : 가이드 리브
150 : 물통커버 151 : 가이드 면
153 : 연통홀 160 : 플로트
200 : 물통장착부 201 : 회동공간부
209 : 후면부 209a : 경사면
210 : 하면부 212 : 가이드 홈
220 : 측면부 222 : 제 1 돌기
230 : 상면부 232 : 제 2 돌기
240 : 전면부 244 : 틸팅지지부
245 : 함몰부

Claims (14)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일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물통장착부; 및
    상기 물통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물통이 포함되며,
    상기 물통에는,
    상기 물통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물통전면부;
    상기 물통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물통전면부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물통장착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물통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틸팅돌기;
    상기 물통전면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물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물저장부; 및
    상기 물통전면부에 구비되며, 상기 물통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물통이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장착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물통손잡이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물통장착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틸팅돌기의 하측을 지지하는 틸팅지지부; 및
    상기 틸팅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물통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틸팅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통과하는 함몰부가 포함되고,
    상기 물통 및 물통장착부 중 어느 하나의 저면부에는, 상기 물통의 전방 또는 후방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홈이 포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가이드 리브가 포함되며,
    상기 틸팅돌기가 상기 틸팅지지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전방으로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 리브 및 가이드 홈 중 어느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가이드 리브 및 가이드 홈 중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되어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손잡이는 상기 물저장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장착부에는, 적어도 상기 물통의 측면부를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부가 포함되는 제습기.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물통장착부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 1 돌기가 포함되고,
    상기 물통의 측면부에는, 상기 물통이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돌기의 상측에 지지되는 돌기간섭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장착부의 상면부로부터 돌출되는 제 2 돌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물통의 상단부에는,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돌기에 결합되는 돌기 결합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장착부와 상기 물저장부의 상단면 사이에는,
    상기 물통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물저장부가 회동할 수 있는 회동공간부가 규정되는 제습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장착부에는,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후면부; 및
    상기 후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성하며,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면이 포함되는 제습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공간은,
    상기 경사면과 상기 물저장부의 상단면 사이에 규정되는 제습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물통이 인출되는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을 따라 전방 상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손잡이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물통전면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파지홀이 더 포함되는 제습기.
KR1020120062090A 2012-06-11 2012-06-11 제습기 KR102013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090A KR102013865B1 (ko) 2012-06-11 2012-06-11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090A KR102013865B1 (ko) 2012-06-11 2012-06-11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478A KR20130138478A (ko) 2013-12-19
KR102013865B1 true KR102013865B1 (ko) 2019-08-23

Family

ID=4998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2090A KR102013865B1 (ko) 2012-06-11 2012-06-11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9214B (zh) * 2014-03-31 2018-01-05 Lg电子株式会社 除湿机
KR101581114B1 (ko) * 2014-04-01 201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및 제습기의 워터탱크 인출 방법
KR101581116B1 (ko) 2014-04-05 201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2166445B1 (ko) 2014-04-29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및 제습기용 워터탱크
KR101588126B1 (ko) 2014-07-09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2339659B1 (ko) * 2014-11-27 202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KR102401536B1 (ko) 2015-05-15 2022-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6658A (ja) * 2010-07-26 2012-02-09 Daikin Industries Ltd 加湿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351A (ko) * 2002-09-03 200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의 수조 장착구조
KR100707459B1 (ko) * 2005-05-27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 개폐 장치
KR101166196B1 (ko) * 2005-10-24 2012-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6658A (ja) * 2010-07-26 2012-02-09 Daikin Industries Ltd 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478A (ko)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865B1 (ko) 제습기
EP2966378B1 (en) Dehumidifier
US10082302B2 (en) Dehumidifier
EP2942581B1 (en)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dehumidifier
KR101233200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출납구조
US10082303B2 (en) Appliance for dehumidification and multi-function appliance for dehumidificaton or humidification
US9879878B2 (en) Dehumidifier
CN104949215B (zh) 除湿机
JP5299536B2 (ja) 除湿装置の排水タンク
KR101597038B1 (ko) 제습기
CN104540431A (zh) 带有电池盖的吸尘器
JP5850000B2 (ja) 除湿機のドレンタンク
JP2004061042A (ja) 空気調和機
JP2008200596A (ja) 除湿装置の排水タンク
KR20200001729A (ko) 건조기
KR101581114B1 (ko) 제습기 및 제습기의 워터탱크 인출 방법
CN110313223B (zh) 电器的箱体
KR102281444B1 (ko) 제습기
JP4640438B2 (ja) 調湿装置
KR102222574B1 (ko) 제습기
KR20150004206U (ko) 제습기
JP2006191944A (ja) 電気掃除機
JPH09196410A (ja) 除湿機の取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