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659B1 -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659B1
KR102339659B1 KR1020140167415A KR20140167415A KR102339659B1 KR 102339659 B1 KR102339659 B1 KR 102339659B1 KR 1020140167415 A KR1020140167415 A KR 1020140167415A KR 20140167415 A KR20140167415 A KR 20140167415A KR 102339659 B1 KR102339659 B1 KR 102339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nsing object
water level
water container
f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740A (ko
Inventor
명성렬
김성우
김중호
최흥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4016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659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S15863921T priority patent/ES2778748T3/es
Priority to BR112017008139-3A priority patent/BR112017008139B1/pt
Priority to RU2017122332A priority patent/RU2674633C1/ru
Priority to AU2015354454A priority patent/AU2015354454B2/en
Priority to EP15863921.1A priority patent/EP3189282B1/en
Priority to PCT/KR2015/011689 priority patent/WO2016085142A1/en
Priority to US14/952,746 priority patent/US10578481B2/en
Priority to CN201510847146.4A priority patent/CN105650805B/zh
Publication of KR2016006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6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7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30Condensation of water from cool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만수량감지장치는 제습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내에 배치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삽입되어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는 피감지체; 및 상기 물수거통이 장착 및 탈착되는 제습장치의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감지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물수거통의 만수량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상기 피감지체의 삽입 방향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만수량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WATER LEVEL DETECTING DEVIC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의 만수량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압축기, 열교환기 및 팬으로 구성되며, 실내의 습한 공기에서 습기를 흡입하여 공기로부터 습기를 제거한 후 다시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습기는 팬모터의 가동으로 실내의 습한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열교환기를 통과시켜주면 차가운 열교환기의 표면과 흡입 공기가 접촉할 때 온도 차에 의해 공기에 포함된 습기가 응축되어 열교환기 표면에 맺히게 됨으로써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제습기는 생성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을 구비한다. 이 경우 제습기는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상승하다가 만수량 수위에 다다르면, 구비된 센서가 응축수에 의해 부유되는 플로터를 감지하여 제습기 동작을 멈추고 만수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러한 종래의 제습기는 물수거통에 대한 만수 용량이 하나의 값으로 제한되어 있었다.
그런데, 제습기가 점차 대형화되면서 응축수를 수거할 수 있은 물수거통의 용량도 늘어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제습기에 구비된 물수거통의 용량은 대략 5L 이상인 것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물수거통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물수거통에 수거된 응축수의 양도 늘어나게 되었으며, 이와 같이 5L 이상의 물수거통에 수거된 응축수를 버리는 경우 성인 남자가 아니라면 수거된 응축수의 무게로 인해 물수거통을 본체로부터 인출하는 동작, 물수거통을 들고 이동하는 동작 및 최종적으로 물을 버리는 동작을 행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제습기의 대형화 추세에 맞추어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의 만수량을 사용자의 사정에 맞게 적절히 선택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제습기는 물수거통에 수거된 응축수를 버리기 위해, 물수거통을 본체로부터 분리함에 있어 허리를 거의 90도로 굽히거나 무릎을 꿇고 두 손으로 인출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은 물수거통이 사용자 측을 향해 지면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인출하는 종래의 제습기의 물수거통 장착구조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사용자가 물수거통의 만수량을 원하는 수위로 설정할 수 있는 만수량감지장치를 구비한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물수거통을 제습장치의 본체로부터 분리 및 장착할 수 있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습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내에 배치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는 피감지체; 및 상기 물수거통이 장착 및 탈착되는 제습장치의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감지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물수거통의 만수량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상기 피감지체의 삽입 방향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만수량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피감지체는 상기 피감지체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감지체는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피감지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감지체가 상기 응축수에 의해 부유 시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상승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면에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만수량감지장치는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물수거통의 만수량을 선택하기 위해 제1 및 제2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상기 스위치부재의 제1 및 제2 위치에 따라 크기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재는 응축수에 의해 부유되어 상승하는 상기 피감지체의 일부를 간섭하여 상기 피감지체를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으로 인입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피감지체는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으로 인입되면서 초기 위치의 자세가 제1 또는 제2 자세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설정버튼; 및 상기 설정버튼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의 바닥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바닥과 이격되는 구획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수량감지장치는 상기 물수거통 내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이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피감지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피감지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추가 센서는 상기 센서의 배치 높이와 상이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추가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추가 피감지체는 상기 피감지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감지체는 피감지체의 중앙에 마그네트가 배치되고, 상기 추가 피감지체는 추가 피감지체의 중앙에 마그네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만수량감지장치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상기 센서 및 추가 센서를 각각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선택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만수량감지장치는 상기 센서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외부로 배치되는 조절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버튼은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센서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만수량감지장치는 상기 피감지체에 구비된 마그네트의 자력의 세기와 상이한 자력의 세기를 갖는 마그네트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피감지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감지체 및 상기 추가 피감지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만수량감지장치는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최저 만수량 수위를 감지한 시점으로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경과시간과 대비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최저 만수량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만수량 수위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습기를 제거 후 외부로 배출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 탈착되며, 상기 본체의 제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및 상기 물수거통 내에 배치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는 피감지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감지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만수량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물수거통의 만수량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상기 피감지체의 삽입 방향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만수량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수거통은 상기 본체의 수용부로부터 상부가 경사지게 인출된 상태에서 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본체는 수용부 내측의 좌우에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물수거통은 외측의 좌우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되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는 상측으로 만곡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면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가 물수거통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2b는 센서와 피감지체 간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피감지체가 제1 만수량 수위에 대응하는 위치로 부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피감지체의 상하가 반대로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가이드부 내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피감지체가 제2 만수량 수위에 대응하는 위치로 부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가 물수거통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7은 설정스위치가 제1 만수량 수위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피감지체가 초기 위치에서부터 제1 만수량 수위에 대응하는 위치로 부유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설정스위치가 제2 만수량 수위로 설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피감지체가 초기 위치에서부터 제2 만수량 수위에 대응하는 위치로 부유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가 물수거통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및 제2 피감지체가 각각 제1 및 제2 만수량 수위에 대응하는 위치로 부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습장치 상면에 제1 및 제2 만수량 수위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설정버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가 물수거통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15a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의 감지센서를 만수량 수위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정하도록 위치를 변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b는 제습장치 본체의 일측벽 외측으로 노출된 조절버튼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제6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피감지체에 서로 다른 세기의 자력을 갖는 마그네트를 적용하는 경우 각 센서까지 미치는 서로 다른 자기장 영역을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7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피감지체가 제1 만수량 수위에 대응하는 위치로 부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피감지체가 제2 만수량 수위에 대응하는 위치로 부유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8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습장치 상면에 제1 내지 제3 만수량 수위를 설정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 설정버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제9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물수거통의 제1 내지 제3 만수량에 대한 각 수위를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를 각각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7은 물수거통이 본체의 수용부로부터 인출되기 전 경사지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8은 본체의 수용부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는 수용부의 가이드돌기와 가이드돌기의 가이드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물수거통의 가이드리브를 함께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0은 물수거통이 본체의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서 가이드리브가 가이드 돌기에 의해 가이드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는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의 만수량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만수량감지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는 본체(3)와, 본체(3)의 하측에 마련된 수용부(7, 도 15 참조)에 장착 및 분리되는 물수거통(10)을 구비한다.
본체(3)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수거하여 실내 습도를 낮출 수 있도록 제습을 위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체(3)는 상면(4)에 제습장치(1)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5)는 구비한다. 조작부(5)는 터치 스크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현재 습도, 사용자 설정 습도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위한 다수의 버튼을 디스플레이하는 UI(User Interface)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물수거통(10)은 본체(3)의 수용부(7)에 장착되어 응축수를 수거한다. 이와 같은 물수거통(10)은 수용부(7)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본체(3)의 전면으로부터 인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1)는 가이드부(13), 피감지체(20) 및 센서(3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3)는 물수거통(10)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부유되는 피감지체(20)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며, 물수거통(10)의 내측 중 대략 물수거통(10)의 상부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면에서는 가이드부(13)가 물수거통(10)의 내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가이드부(13)는 물수거통(10) 내측에 분리 가능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가이드부(13)는 물수거통(10) 내측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기(미도시)를 구비하고, 물수거통(10)은 가이드부(13)의 고정돌기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3)는 물수거통(10)의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부(13)는 내측(14)에 피감지체(20)가 삽입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이 공간은 물수거통(10)의 일부와 가이드부(13)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이드부(13)의 내측(14)의 폭(W1)은 피감지체(20)가 부유 시 가이드부(13)의 내측(14)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피감지체(20)의 폭(W2) 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3)는 상단에 피감지체(20)가 가이드부(13) 내측(14)으로 삽입될 수 있는 개구(15)가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부(13)는 물수거통(10) 내부(11)에 수거되는 응축수가 가이드부(13)의 내측(14)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13)의 일면을 따라 응축수 유입홀(16)이 형성된다.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피감지체(20)는 소정 길이로 형성되며 가이드부(13)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피감지체(20)는 응축수에 의해 부유할 수 있는 부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부(21)가 마련되며, 이 공간부(21)는 밀폐된 상태로 유지된다. 피감지체(20)는 응축수에 의해 부유할 수 있는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간부(21)를 생략할 수 있다.
피감지체(20)는 센서(3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마그네트(25)를 구비한다. 마그네트(25)는 피감지체(20)의 상단(23)으로 치우쳐서 배치된다. 마그네트(25)는 피감지체(20)의 전후면을 관통한 상태로 피감지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피감지체(20)는 가이드부(13)에 삽입되어 피감지체(20)의 하단(24)이 가이드부(13)의 바닥(13a)에 안착되는 상태를 피감지체(20)의 초기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초기 위치에서 마그네트(25)는, 도 2b와 같이, 센서(30)에 대략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마그네트(25)는 반드시 센서(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필요는 없으며, 마그네트(25)의 자기장이 미치는 영역(F) 내에 배치되면 족하다.
도 3에 도시된 피감지체(20)의 위치는 센서(30)가 제1 만수량 수위(L1)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이다. 이 위치는 센서(30)가 마그네트(25)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 내에 위치하며, 구체적으로는 마그네트(25)의 하단(25a)이 최대감지위치(L3)에 접하거나 최대감지위치(L3)를 벗어나는 않는 곳에 위치한다. 이 경우 최대감지위치(L3)는 센서(30)로부터 최단거리에 있는 마그네트(25)의 외주 일부까지의 거리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최대감지위치(L3)는 센서(30)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마그네트(25)의 외주 일부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센서(30)는 마그네트(25)의 자력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자기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3)의 수용부(7) 내측 일부에 배치된다. 센서(30)는 본체(3) 내에 배치된 제어부(미도시)로 만수량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센서(30)는 물수거통(10)이 수용부(7)에 장착되면, 피감지체(20)의 마그네트(25)를 감지하여 물수거통 장착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1)는 물수거통(10)에 수거되는 응축수의 만수량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마그네트(25)가 피감지체(20)의 중앙으로부터 상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자세로 가이드부(13)에 삽입하는 경우 물수거통(10)에 수거되는 응축수의 만수량을 제1 만수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피감지체(20)의 자세에서 상하단(23,24)이 서로 바뀌도록 거꾸로하여 마그네트(25)가 피감지체(20)의 중심으로부터 하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자세로 가이드부(13)에 삽입하는 경우 물수거통(10)의 만수량을 제1 만수량 보다 큰 제2 만수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1)는 피감지체(20)를 가이드부(13)에 삽입 시 피감지체(20)의 자세를 바꾸어 주는 단순한 동작을 통해 간단하게 물수거통(10)의 만수량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물수거통(10)의 만수량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만수량은 물수거통(10)에 응축수가 4L 정도 수거되는 경우이고, 제2 만수량은 물수거통(10)에 응축수가 6L 수거되는 경우로 가정한다.
물수거통(10)의 만수량을 제1 만수량으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 3과 같이 마그네트(25)가 피감지체(20)의 상측으로 치우쳐진 자세로 피감지체(20)를 가이드부(13)에 삽입한다.
피감지체(20)를 가이드부(13)에 삽입한 후, 물수거통(10)을 본체(3)의 수거부(7)로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센서(30)는 피감지체(20)의 초기 위치에서 마그네트(25)를 감지하고 제어부로 제1 만수량에 해당하는 물수거통 장착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제습장치(1)를 온시켜 제습 동작을 수행하면 공기는 제습장치(1)로 흡입된 후 습기가 제거된 상태로 제습장치(1)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공기와 분리된 습기는 응축수로 되어 물수거통(10)에 수거된다. 물수거통(10)에 수거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상승하다가 소정 수위에 도달하면 응축수가 가이드부(13)의 응축수 유입홀(16)을 통해 가이드부(13)의 내측(14)으로 유입된다. 피감지체(20)는 부력에 의해 가이드부(13)의 내측(14)을 따라 상승하고, 동시에 마그네트(25)의 위치가 상승함에 따라 마그네트(25)가 센서(30)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물수거통(10)에 수거되는 응축수가 미리 설정된 제1 만수량 수위(L1)에 다다르면 마그네트(25)의 하단이 최대감지위치(L3)에 위치하게 되며, 이때 센서(30)는 제1 만수량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부한다. 제어부는 더 이상 제습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제습장치(1)의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는 본체(3) 내부에 구비된 출력부(예를 들면,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수거통(10)의 만수를 알릴 수 있고, 또한 본체(3)에 구비된 표시부(5)를 통해 문자 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여 물수거통(10)의 만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물수거통(10)의 수위를 제2 만수량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도 4와 같이, 마그네트(25)가 피감지체(20)의 하측에 치우치도록 피감지체(20)의 자세를 유지하여 가이드부(13)에 삽입하는 것으로 간편하게 만수량을 변경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처럼 물수거통(10)의 만수량을 제2 만수량으로 변경한 경우, 피감지체(20)를 제2 만수량으로 설정한 상태의 마그네트(25) 위치가 제1 만수량으로 설정한 상태의 마그네트(25)의 위치와 상이하므로, 물수거통(10)을 본체(3)의 수용부(7)에 장착하면 센서(30)는 제2 만수량에 해당하는 제2 물수거통 장착신호를 전송한다.
전술한 제1 만수량 설정 시와 마찬가지로 피감지체(20)가 부력에 의해 물수거통(10)에 수거되고 있는 응축수에 부유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응축수의 수위가 제2 만수량 수위(L2)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다르면 마그네트(25)의 하단이 최대감지위치(L3)에 설정되고, 센서(30)는 제어부로 제2 만수량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2)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2)는 제1 및 제2 만수량을 스위치형태로 설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만수량감지장치(D2)는 물수거통(110)의 내측(111)에 배치되는 가이드부(113), 피감지체(120), 센서(130) 및 스위치부(14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13)는 피감지체(120)와 스위치부재(140)의 일부가 배치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가이드부(113)의 하단부는 바닥(113a)에 의해 폐쇄되고, 상단부에는 스위치부재(140)가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장공으로 이루어진 가이드홀(115a)이 형성된 상판(115)이 배치된다. 가이드부(113)의 바닥(113a)은 센서(130)에 의해 피감지체(120)의 초기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도 8a와 같이 피감지체(120)가 횡으로 누운 상태로 안착된다. 가이드부(113)는 일측면에 가이드부(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응축수 유입홀(116)이 관통 형성된다.
피감지체(12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1)에 적용된 피감지체(20)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피감지체(120)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센서(130)는 본체(3)의 수용부(7)의 내측면 일부에 배치되며, 피감지체(120)의 초기 위치(도 8a 및 도 10a에 도시된 ‘S’)에 대응하거나 인접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부재(140)는 가이드부(113)의 가이드홀(115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버튼(141)과, 슬라이드버튼(141)의 하단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획바(144)를 포함한다.
슬라이드버튼(141)은 상면에 물수거통(110)의 제1 만수량 표시부(142) 및 제2 만수량 표시부(143)가 각각 형성된다. 제1 만수량 표시부(142)는 제1 만수량을 나타내는 문자(예를 들면 ‘4L’)와 제1 만수량 설정을 위한 슬라이드버튼(141)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양각(陽刻) 형성되어 있다. 제2 만수량 표시부(143)는 제2 만수량을 나타내는 문자(예를 들면 ‘6L’)와 제2 만수량 설정을 위한 슬라이드버튼(141)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양각(陽刻) 형성되어 있다.
구획바(144)는 제1 또는 제2 만수량 선택을 위해 슬라이드버튼(141)을 우측(도 8a 참조) 또는 좌측(도 10a 참조)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가이드부(113)의 내측(114)를 제1 및 제2 영역(114a,114b)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영역(114a)은 물수거통(110)의 제1 만수량 설정을 위해 슬라이드버튼(141)을 우측으로 이동시킨 경우 제2 영역(114b)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변경된다. 이에 따라, 피감지체(120)는 응축수에 의해 부유 시 구획바(144)에 의해 제1 영역(114a)으로 인입되도록 안내된다. 제2 영역(114b)은 물수거통(110)의 제2 만수량 설정을 위해 슬라이드버튼(141)을 좌측으로 이동시킨 경우 제1 영역(114a)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변경된다. 이에 따라, 피감지체(120)는 응축수에 의해 부유 시 구획바(144)에 의해 제2 영역(114b)으로 인입되도록 안내된다.
도 7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물수거통(110)의 만수량을 제1 만수량으로 설정한 상태에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2)의 만수량 감지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물수거통(110)을 본체(3)의 수용부(7)로부터 인출한 후, 도 7과 같이, 스위치부재(140)의 슬라이드버튼(141)을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 경우, 구획바(144)는 슬라이드버튼(141)과 함께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부(113) 내측(114)의 제1 영역(114a)을 제2 영역(114b) 보다 큰 폭을 갖도록 확장시킨다.
이 상태로 물수거통(110)을 본체(3)의 수용부(7)에 장착하면, 센서(30)는 도 8a와 같이 가이드부(113)의 바닥(113a)에 안착되어 초기 위치에 있는 피감지체(120)의 마그네트(125)을 감지한 후 제어부로 제1 만수량에 대응하는 제1 물수거통 장착신호를 전송한다.
이어서, 제습장치(1)의 제습 기능이 수행되면 물수거통(110)에 응축수가 수거된다. 물수거통(110)에 수거된 응축수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응축수는 응축수 유입홀(116)을 통해 가이드부(113)의 내측(114)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피감지체(120)는 부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도 8b와 같이, 피감지체(120)가 소정 수위(L)에 다다르게 되면 피감지체(120)의 일측(마그네트(125)와 이격된 일단(124)에 인접한 부분)이 구획바(144)의 단부(145)에 의해 간섭되면서 피감지체(120)는 제1 영역(114a)으로 인입된다.
피감지체(120)는 제1 영역(114a)에서 수직으로 서있는 상태로 자세가 바뀌면서 계속 상승하게 되다가, 물수거통(110)에 수거되는 응축수가 미리 설정된 제1 만수량 수위(L1)에 다다르면 마그네트(125)의 하단이 최대감지위치(L3)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125)의 자기장 영역(F)은 센서(130)가 마그네트(125)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130)가 위치하는 초기 위치(S)까지 유지될 필요가 있다. 센서(130)는 제1 만수량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부하고, 제어부는 제습장치(1)의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제습 기능을 정지시킨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1)와 마찬가지로 본체(3) 내부에 구비된 출력부 또는 표시부(5)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수거통(110)의 만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물수거통(110)의 만수량을 제1 만수량에서 제2 만수량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도 9와 같이, 스위치부재(140)의 슬라이드버튼(141)을 좌측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단순한 조작으로 통해 만수량을 변경할 수 있다.
물수거통(120)의 만수량을 제2 만수량으로 변경한 경우, 전술한 제1 만수량으로 변경한 경우와 유사한 과정을 거쳐 센서(130)에 의해 물수거통(110)의 제2 만수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도 10a와 같이, 스위치부재(140)의 슬라이드버튼(141)을 좌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가이드부(113) 내측(114)의 제2 영역(114b)이 구획바(144)에 의해 제2 영역(114b) 보다 큰 폭을 갖도록 확장된다.
이 상태에에서 로 물수거통(110)을 본체(3)의 수용부(7)에 장착하면, 센서(30)는 도 8a와 같이 가이드부(113)의 바닥(113a)에 안착되어 초기 위치에 있는 피감지체(120)의 마그네트(125)을 감지한 후 제어부로 제2 만수량에 대응하는 제2 물수거통 장착신호를 전송한다.
이어서, 제습장치(1)의 제습 기능이 수행되면 물수거통(110)에 수거된 응축수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감지체(120)는 응축수 유입홀(116)을 통해 가이드부(113)의 내측(114)으로 유입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도 10b와 같이, 피감지체(120)가 소정 수위(L)에 다다르게 되면 피감지체(120)의 타측(마그네트(125)가 배치된 일단(123)에 인접한 부분)이 구획바(144)의 단부(145)에 의해 간섭되면서 피감지체(120)는 제2 영역(114b)으로 인입된다.
피감지체(120)는 제2 영역(114b)에서 수직으로 서있는 상태로 자세가 바뀌면서 계속 상승하다가, 물수거통(110)에 수거되는 응축수가 미리 설정된 제2 만수량 수위(L2)에 다다르면 마그네트(125)의 하단이 최대감지위치(L3)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마그네트(125)의 자기장 영역(F)은 센서(130)가 마그네트(125)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130)가 위치하는 초기 위치(S)까지 유지될 필요가 있다. 센서(130)는 제2 만수량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송부하고, 제어부는 제습장치(1)의 구동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제습 기능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1)는 스위치부재(140)를 통한 간단한 스위칭 조작을 통해 물수거통(110)의 만수량을 용이하게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3)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3)는 물수거통(210)의 내측에 제1 및 제2 만수량을 각각 감지할 수 있는 2개의 감지구조를 동시에 구비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3)는 물수거통(210)의 좌측에 인접한 일부분에 제1 만수량감지부(D3-1)가 배치되고, 물수거통(210)의 우측에 인접한 일부분에 제2 만수량감지부(D3-2)가 배치된다.
제1 만수량감지부(D3-1)는 제1 만수량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물수거통(210)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213a)와, 부력에 의해 가이드부(213a) 내측(214a)에 상승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감지체(220a)와, 피감지체(220a)에 구비된 마그네트(225a)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230a)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213a), 피감지체(220a) 및 센서(230a)는 제1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1)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 만수량감지부(D3-1)는 피감지체(220a)에 구비된 마그네트(225a)의 위치가 제1 만수량감지장치(D1)의 피감지체(20)의 마그네트(25)의 위치와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2를 참조하면, 피감지체(220a)의 마그네트(225a)는 피감지체(220a)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2 만수량감지부(D3-2)는 제1 만수량 보다 많은 만수용량인 제2 만수량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술한 제1 만수량감지부(D3-1)와 마찬가지로 가이드부(213b), 부력에 의해 가이드부(213b) 내측(214b)에 상승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감지체(220b)와, 피감지체(220b)에 구비된 마그네트(225b)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230b)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가이드부(213b)의 길이와 센서(230b)의 설치 위치는 제1 만수량감지부(D3-1)와 상이하며, 피감지체(220b)는 제1 만수량감지부(D3-1)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만수량감지부(D3-1)와 길이 차이가 있는 제2 만수량감지부(D3-2)의 가이드부(213b)는 제1 만수량감지부(D3-1)의 가이드부(213a)보다 더 ?F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부(213b)의 바닥(212b)이 제1 만수량감지부(D3-1)의 가이드부(213a)의 바닥(212a)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제2 만수량감지부(D3-2)의 가이드부(213b)에 삽입되는 피감지체(220b)는 초기 위치(S'')가 제1 만수량감지부(D3-1)의 가이드부(213a)의 초기 위치(S')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각 피감지체(220a,220b)의 초기 위치(S',S'')와 관련하여, 각 센서(230a,230b)의 설치 위치도 상이하게 설정된다. 즉, 제1 만수량감지부(D3-1)의 센서(230a)는 피감지체(220a)의 초기 위치(S')에 대략 대응하거나 인접한 곳이 위치한다. 이 경우, 제2 만수량감지부(D3-2)의 센서(230b)는 피감지체(220b)의 초기 위치(S'')에 대략 대응하거나 인접한 곳이 위치함에 따라, 제1 만수량감지부(D3-1)의 센서(230a)의 설치 위치 보다 더 높은 위치에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각 센서(230a,230b)는 각 피감지체(220a,220b)의 마그네트(225a,225b)를 감지할 수 있는 최대감지위치(L3',L3'')가 소정 간격(h)만큼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3)는 사용자로 하여금 물수거통(210)의 만수량을 제1 및 제2 만수량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도 13과 같이, 본체(3)의 상면(4)에 제1 및 제2 설정버튼(5a,5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설정버튼(5a,5b)은 각각 물수거통(210)의 제1 만수량 수위(L1) 및 제2 만수량 수위(L2)를 설정할 수 있으며, 기계식 버튼 또는 정전식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설정버튼(5a)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설정버튼(5a)으로부터 제1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제2 만수량감지부(D3-2)의 센서(230b)를 오프시켜 제2 만수량 수위(L2)는 감지할 수 없도록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 설정버튼(5b)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2 설정버튼(5b)으로부터 제2 설정신호를 수신하고, 제1 만수량감지부(D3-1)의 센서(230a)를 오프시켜 제1 만수량 수위(L1)는 감지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제1 및 제2 설정버튼(5a)을 모두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제어부는 각 센서(230a,230b)를 온시켜 제1 만수량감지부(D3-1)의 센서(230a)가 제1 만수량 수위(L1)를 감지했을 때 본체(3)에 구비된 소정의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수거통(210)에 제1 만수량의 응축수가 수거되었음을 알리고, 제2 만수량감지부(D3-2)의 센서(230b)가 제2 만수량 수위(L2)를 감지했을 때 본체(3)에 구비된 소정의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수거통(210)에 제2 만수량의 응축수가 수거되었음을 알리고 제습장치(1)의 제습 기능을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3)는 제1 및 제2 선택버튼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물수거통(210)의 만수량을 변경할 수 있고, 변경 설정된 만수량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하, 도 14를 참조하여 제4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4)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4)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1)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다만, 센서(330a,330b)를 복수로 구비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4)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4)는 물수거통(310)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부(313)와, 부력에 의해 가이드부(313) 내측(314)에 상승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감지체(320)와, 피감지체(320)에 구비된 마그네트(325)를 감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센서(330a,330b)를 포함한다.
제1 센서(330a)는 피감지체(320)가 가이드부(313)의 바닥(312)에 안착되는 초기 위치(S)를 감지하며, 피감지체(320)가 응축수에 의해 부유하면서 가이드부(313)의 내측(314)를 따라 상승하여 제1 만수량 수위에 대응하는 위치에 왔을 때 마그네트(325)를 감지하여 제1 만수량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제2 센서(330b)는 제1 센서(330a) 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제1 만수량 수위를 거쳐 상승하는 피감지체(320)의 마그네트(325)를 감지하여 제2 만수량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한편, 제4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4)는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3)와 같이, 본체(3)에 제1 및 제2 센서(330a,330b)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선택버튼(5a,5b)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4)는 상기에서 2개의 센서(330a,330b) 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3개 이상의 센서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하여 물수거통(330)의 만수량을 다단계로 설정 및 변경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여 제5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5)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5)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1)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다만, 센서(43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5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5)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5)의 센서(430)는 본체(3)의 일측벽(8)을 관통하는 연결로드(432)에 의해 조절버튼(431)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체(3) 내부에 배치된 센서(430)는 본체(3) 외측으로 노출된 조절버튼(431)의 상하 조절에 따라 그 위치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만수량 감지위치가 변경된다.
도 15b를 참조하면, 연결부재(432)가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홀(434)이 본체(3)의 일측벽(8)을 따라 대략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일측벽(8)의 외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물수거통(410)에 적용할 만수량을 단계적으로 표시한 표시부(435)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5)는 조절버튼(431)을 상하로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원하는 만수량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물수거통(110)의 만수량을 용이하게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제 6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6) 를 설명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6)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1)의 구조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다만, 피감지체(520)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제6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6)를 설명함에 있어 제1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피감지체(5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6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6)는 대부분의 구성을 제1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1)와 동일하게 구성하되,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제1 및 제2 피감지체(520a,520b)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525a,525b)의 위치를 각 피감지체(520a,520b)의 중앙에 배치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마그네트(525a,525b)는 서로 다른 자기장 영역(F1,F2)을 나타내도록 서로 다른 자력 세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 설정 만수량을 변경하기 위해 피감지체(20)의 상하가 바뀌도록 피감지체(20)의 자세를 변경하였으나, 제6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6)의 경우 자기장 영역(F1,F2)이 각각 상이한 제1 마그네트(525a)를 갖는 제1 피감지체(520a) 및 제2 마그네트(225b)를 갖는 제2 피감지체(520a,520b) 중 어느 하나로 교체함으로써 물수거통의 만수량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물수거통의 만수량을 제1 만수량으로 설정하는 경우, 자기장 영역이 제2 마그네트(525b) 보다 작은 제1 마그네트(525a)가 구비된 제1 피감지체(520a)를 사용하며, 또한, 물수거통의 만수량을 제1 만수량 보다 많은 제2 만수량으로 설정하는 경우, 제1 피감지체(520a)를 자기장 영역이 제1 마그네트(525a) 보다 큰 제2 마그네트(525b)가 구비된 피감지체(520b)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제7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7)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7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7)는 물수거통(610)의 내측(611)에 배치되는 가이드부(613), 피감지체(620) 및 센서(630)를 포함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가이드부(613)는 피감지체(620)가 물수거통(610)에 수거되는 응축수의해 부유하면서 상승할 때 피감지체(6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613)는 피감지체(620)의 일부(620a)에 결합된 힌지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피감지체(620)는 가이드부(613)를 중심으로 우측에는 내부에 공간(622)이 형성된 플로팅부(621)가 형성되고, 가이드부(613)를 중심으로 우측에는 가압돌기(623)가 플로팅부(62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경우, 가압돌기(623)는 선단(624)이 물수거통(610)의 관통부(610a)를 통해 물수거통(610) 외부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가압돌기(623)는 물수거통(610)을 본체(3)의 수용부(7)에 장착 시 센서(630)의 일부를 소정 압력으로 누른다.
플로팅부(621)는 물수거통(610)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부유되면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부(613)를 기준으로 B방향(도 19 참조)으로 회전한다. 가압돌기(623)는 플로팅부(621)의 회전 시 본체(3)의 수용부 내측벽 일부에 배치된 센서(630)의 일부를 가압하여 센서(630)를 동작시킨다. 이 경우, 가압돌기(623)는 플로팅부(621)의 회전 각도에 따라 도 19 및 도 20과 같이 센서(630)의 일부에 대한 가압 위치가 변경된다.
센서(630)는 본체(3)의 수용부(7) 내측벽에 인입된 상태로 배치되며 소정의 브라켓(9a)에 의해 고정된다. 센서(630)는 피감지부(620) 측으로 돌출된 작동버튼(631)과, 작동버튼(631)을 누르기 위한 선회로드(633)가 센서(630) 일측에 힌지 결합된다. 작동버튼(631)은 도 18 내지 제20과 같이 선회로드(633)에 의해 서로 다른 압력으로 눌리지 않는 제1 내지 제3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센서(630)는 작동버튼(631)이 제1 상태인 경우 제어부로 물수거통 장착신호를 전송하며, 작동버튼(631)이 제2 및 제3 상태인 경우 각각 제어부로 제1 및 제2 만수량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제7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7)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8을 참조하면, 물수거통(610)을 본체(3)의 수용부(7)에 장착하며, 가압돌기(623)의 선단(624)이 센서(630)의 선회로드(633)의 제1 위치를 누른다. 이에 따라 선회로드(633)는 작동버튼(631)을 제1 압력으로 가압하며, 센서(630)는 물수거통 장착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물수거통(610)에 수거된 응축수의 수위가 상승하여 제1 만수량 수위(L1)에 대응하는 수위까지 상승하면 피감지체(620)의 플로팅부(621)가 에 점차 부유하면서 가이드부(613)를 중심으로 B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가압돌기(623)는 선회로드(633)에 접촉한 상태로 선회로드(633)를 따라 B방향으로 선회하면서 가압돌기(623)의 선단(624)이 선회로드(633)의 제1 위치보다 낮은 제2 위치를 누른다. 이에 따라 선회로드(633)는 작동버튼(631)을 제1 압력보다 큰 제2 압력으로 가압하며, 센서(630)는 제1 만수량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물수거통(610)에 수거된 응축수의 수위가 더욱 상승하여 제2 만수량 수위(L2)에 대응하는 수위까지 상승하면 피감지체(620)의 플로팅부(621)의 회전에 따라 가압돌기(623)의 선단(624)은 선회로드(633)의 제2 위치보다 낮은 제3 위치를 누른다. 이에 따라 선회로드(633)는 작동버튼(631)을 제2 압력보다 큰 제3 압력으로 가압하며, 센서(630)는 제2 만수량 감지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제7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7)는 전술한 제3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3)와 마찬가지로, 물수거통(610)의 만수량을 제1 및 제2 만수량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도록 본체(3)의 상면(4)에 제1 및 제2 설정버튼(5a,5b)을 구비할 수도 있다(도 13 참조). 따라서 제7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7)는 제1 및 제2 선택버튼(5a,5b)을 적어도 하나 선택하는 단순한 조작을 통해 물수거통(610)의 만수량을 변경할 수 있고, 변경 설정된 만수량을 감지하여 본체(3)에 마련된 소정의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수거통(610)의 만수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이하,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제8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8)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8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8)는 본체(3)의 수용부(7)의 바닥(9b)에 센서(730)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센서(730)는 물수거통(710)과 물수거통(710)에 수거되는 응축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로드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3)에는 도 22와 같이 본체(3)의 상면(4)에 제1 내지 제3 선택버튼(15a,15b,15c)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선택버튼(15a,15b,15c)은 물수거통(710)의 제1 내지 제3 만수량(예를 들면, '4L', '5L', '6L')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3)에 구비된 제어부는 제1 내지 제3 선택버튼(15a,15b,15c)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때 센서(730)에 의해 해당 만수량에 대응하는 무게가 감지되면 제습장치(1)의 제습 기능을 멈출 수 있다.
한편, 센서(730)는 본체(3)의 수용부(7)에 물수거통(710)이 장착되면 물수거통(710)의 무게를 감지하여 이 무게 값을 제어부로 송부한다. 또한, 센서(730)는 물수거통(710)에 응축수가 수거되면 물수거통(710)의 무게에 수거되는 응축수의 무게를 합산한 무게를 감지하고 이 무게 값을 제어부로 송부한다.
제어부는 물수거통(710)의 무게와, 물수거통(710)의 무게를 포함하여 물수거통(710)에 수거되는 제1 내지 제3 만수량에 대응하는 응축수의 무게를 합산한 값이 미리 저장된다.
이 경우 제어부는 센서(730)로부터 감지한 무게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무게 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만수량에 해당하는 경우 제습장치(1)의 제습 기능을 멈추고 소정의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수거통(710)의 만수를 알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선택버튼(15a,15b,15c)을 통해 간편하게 물수거통(710)의 만수량을 간편하게 설정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만수량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제9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9)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9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9)는 본체(3)의 수용부(7) 상측벽(9c)에 배치된 센서(83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센서(830)는 물수거통(810)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제습장치(1)의 제습 기능 수행 시 물수거통(810)에 수거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초음파 를 통해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730)는 본체(3)의 수용부(7)에 물수거통(810)이 장착되면 센서(830)로부터 물수거통(810)의 바닥과의 거리 또는 수거되는 응축수의 수면과의 거리를 감지한 후 이 거리 값을 제어부로 송부한다.
제어부는 센서(830)와 물수거통(810)의 바닥 간 거리 값과, 센서(830)와 물수거통(810)에 수거되는 제1 내지 제3 만수량에 대응하는 거리 값이 미리 저장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센서(830)로부터 감지한 거리 값을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 제어부에 미리 저장된 상기 거리 값과 비교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만수량에 해당하는 경우 제습장치(1)의 제습 기능을 멈추고 소정의 출력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물수거통(810)의 만수를 알린다.
제9 실시예에 따른 만수량감지장치(D9)는 전술한 제8 실시예와 같이 본체(3)의 상면(4)에 물수거통(810)의 만수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1 내지 제3 선택버튼(15a,15b,15c)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2 참조).
한편, 제어부는 도 24와 같이 제1 내지 제3 만수량 수위(L1,L2,L3) 중 센서(830)로부터 감지된 가장 낮은 제1 만수량 수위(L1)에 대응하는 거리 값만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제2 및 제3 만수량 수위(L2,L3)에 대해서 제1 만수량 수위(L1)가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한 것을 통해 제2 및 제3 만수량 수위(L2,L3)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만수량 수위(L2)는 제1 만수량 수위(L1)가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1시간 경과 후, 제2 만수량 수위(L2)는 제1 만수량 수위(L1)가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2시간 경과 후인 것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에 의해 제2 및 제3 만수량 수위(L2,L3)가 제1 만수량 수위(L1)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시간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9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9)는 제2 및 제3 만수량 수위(L2,L3)의 감지 시점을 더욱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제습장치(1) 내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 및 습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 및 습도 값을 반영하여 제2 및 제3 만수량 수위(L2,L3)를 판단하는 시점을 늦추거나 당길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5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0)의 물수거통 장탈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물수거통 장탈착 구조는 물수거통(1300)를 제습장치(1000)로부터 분리 시 사용자가 허리를 많이 굽히거나 무릎을 꿇은 자세가 아닌 허리 또는 무릎을 거의 구부리지 않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장치(1000)는 본체(1100)와, 본체(1100)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물수거통(1300)을 포함한다.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본체(1100)는 내부에 제습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 배치되며, 후방에는 필터(1140)가 장착되고, 상면부(1150)에는 복수의 공기배출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100)는 저부에 제습장치(100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휠(1130)을 구비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본체(1100)는 전방 하측에 물수거통(1300)이 장착되는 수용부(1121)가 마련된다. 이 경우 수용부(1121)의 전방 양측벽(1123,1124)에는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1125,1127)가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1125,1127)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각각 상부에 대략 만곡된 형태로 돌출되는 가이드면(1125a,1127a)이 형성된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물수거통(1300)은 본체(1100)의 수용부(112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물수거통(1300)의 상단부(1310) 내측과 상기 수용부(1121)의 입구 일부에 마련되는 통상의 푸시락(push lock) 록킹구조에 의해 고정된다. 푸시락 록킹구조는 물수거통(1300)의 상단부를 본체(1100) 측으로 눌렀다가 놓으면 언록킹되고 다시 물수거통(1300)의 상단부를 본체(1100) 측으로 눌렀다가 놓으면 록킹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물수거통(1300)을 본체(1100)로부터 분리 시 물수거통(1300)의 상단부(1310)를 눌렀다가 놓으면 록킹이 해제되어 물수거통(1300)이 C 방향(도 30 참조)으로 경사지게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물수거통(1300)은 양측에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1125,1127)에 의해 가이드 되는 가이드리브(1330)가 돌출 형성된다. 이 경우 가이드리브(1330)는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1125,1127)의 가이드면(1125a,1127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물수거통(1300)은 사용자에 의해 상단부가 C 방향으로 당겨질 때, 가이드리브(1330)가 제1 및 제2 가이드돌기(1125,1127)의 가이드면(1125a,1127a)을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된다.
이 경우, 물수거통(1300)의 상부가 본체(3)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도 27과 같이 물수거통(1300)을 사용자의 상체를 향하는 E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수용부(1121)로부터 물수거통(1300)을 허리를 많이 굽히거나 무릎을 꿇는 등 불편한 자세가 아닌 거의 똑바로 선 상태에서 편안한 자세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25 내지 도 30에 도시된 제습장치(1000)에 대해서 만수량감지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제1 내지 제9 실시예의 만수량감지장치(D1~D9) 중 어느 하나가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습장치(1000)를 통해 물수거통(1300)의 적어도 2 이상의 만수량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3,1100: 본체 5a,5b,15a,15b,15c: 선택버튼
10,110,210,310,410,510,610,710,810,1300: 물수거통
13,113,213a,213b,313,613: 가이드부
20,120,220a,220b,320,525a,525b,620: 피감지체
25,125,225a,225b,325,525a,525b: 마그네트
30,130,230a,230b,330a,330b,430,530,630,730,830: 센서
140: 스위치부재 141: 슬라이드버튼
144: 구획바 431: 조절버튼
621: 플로팅부 623: 가압돌기
631: 작동버튼 633: 선회로드
1125,1125: 가이드돌기 1125a,1125b: 가이드면
1310: 걸림턱 1330: 가이드리브
D1~D9: 만수량감지장치
F,F',F'',F1,F2: 마그네트의 자기장 영역
L1: 제1 만수량 수위
L2: 제2 만수량 수위
L3,L3',L3'': 센서가 마그네트를 감지할 수 있는 최대거리위치
S,S',S'': 피감지체의 초기 위치

Claims (27)

  1. 제습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내에 배치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는 피감지체; 및
    상기 물수거통이 장착 및 탈착되는 제습장치의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감지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물수거통의 만수량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상기 피감지체의 삽입 방향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만수량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체는 상기 피감지체의 중앙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된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체는 상기 마그네트가 상기 피감지체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피감지체가 상기 응축수에 의해 부유 시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 시의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상승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일측면에 응축수가 유입되는 응축수 유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6. 제습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내에 배치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는 피감지체;
    상기 물수거통이 장착 및 탈착되는 제습장치의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감지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물수거통의 만수량을 선택하기 위해 제1 및 제2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을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상기 스위치부재의 제1 및 제2 위치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는 응축수에 의해 부유되어 상승하는 상기 피감지체의 일부를 간섭하여 상기 피감지체를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으로 인입하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체는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으로 인입되면서 초기 위치의 자세가 제1 또는 제2 자세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버튼; 및
    상기 슬라이드버튼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의 바닥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하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바닥과 이격되는 구획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10. 제습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내에 배치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는 피감지체;
    상기 물수거통이 장착 및 탈착되는 제습장치의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감지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물수거통 내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이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피감지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가 피감지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추가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의 높이와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추가 센서는 상기 센서의 배치 높이와 상이한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상이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추가 피감지체는 상기 피감지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체는 피감지체의 중앙에 마그네트가 배치되고,
    상기 추가 피감지체는 추가 피감지체의 중앙에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 상기 센서 및 추가 센서를 각각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설정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14. 제습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내에 배치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는 피감지체;
    상기 물수거통이 장착 및 탈착되는 제습장치의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감지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 외부로 배치되는 조절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버튼은 상기 본체의 외측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센서의 높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15. 제습 기능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내에 배치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는 피감지체;
    상기 물수거통이 장착 및 탈착되는 제습장치의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피감지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피감지체에 구비된 마그네트의 자력의 세기와 상이한 자력의 세기를 갖는 마그네트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피감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피감지체 및 상기 추가 피감지체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최저 만수량 수위를 감지한 시점으로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미리 설정된 경과시간과 대비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최저 만수량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만수량 수위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17. 물수거통 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며, 중앙으로부터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피감지체; 및
    상기 물수거통이 장착 및 탈착되는 제습장치의 본체의 수용부 내에 상기 피감지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피감지체의 이동에 따라 변동하는 마그네트의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물수거통의 만수량은 상기 피감지체의 마그네트의 위치가 상기 피감지체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배치된 자세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수위를 가지는 제1 또는 제2 만수량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18. 물수거통 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며, 중앙으로부터 어느 일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피감지체;
    상기 물수거통이 장착 및 탈착되는 제습장치의 본체의 수용부 내에 상기 피감지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피감지체의 이동에 따라 변동하는 마그네트의 자력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가이드부에 제1 또는 제2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또는 제2 위치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 내측을 가변되는 폭을 가지는 제1 및 제2 영역으로 구획하는 스위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부재는 응축수에 의해 부유되어 상승하는 상기 피감지체의 일부를 간섭하여 상기 피감지체를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으로 인입하도록 가이드하고,
    상기 피감지체는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에 인입될 때 초기 위치에서의 상기 피감지체의 자세와 각각 서로 다른 자세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피감지체는 초기 위치에서 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영역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종 방향으로 자세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20.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습기를 제거 후 외부로 배출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탈착되며, 상기 본체의 제습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수거하는 물수거통; 및
    상기 물수거통 내에 배치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물수거통에 수거되는 응축수에 의해 상승하는 피감지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감지체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만수량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물수거통의 만수량은 상기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상기 피감지체의 삽입 방향에 따라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만수량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거통은 상기 물수거통의 상부가 상기 본체의 수용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경사지게 인출된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본체는 수용부 내측의 좌우에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물수거통은 외측의 좌우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를 따라 슬라이딩 가이드되는 한 쌍의 가이드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는 상측으로 만곡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면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리브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벽을 관통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벽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절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버튼의 수직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센서는 적어도 2 이상의 서로 다른 만수량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수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슬라이딩홀; 및
    상기 슬라이딩홀의 일측으로 상기 본체의 일측벽에 마련되며, 만수량을 단계적으로 표시한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수량감지장치.
  26. 삭제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만수량감지장치는,
    상기 센서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의 일측벽을 관통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본체의 일측벽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절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버튼의 수직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센서는 적어도 2 이상의 서로 다른 만수량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KR1020140167415A 2014-11-27 2014-11-27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KR102339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15A KR102339659B1 (ko) 2014-11-27 2014-11-27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BR112017008139-3A BR112017008139B1 (pt) 2014-11-27 2015-11-03 Dispositivo de detecção de nível de água, e desumidificador
RU2017122332A RU2674633C1 (ru) 2014-11-27 2015-11-03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уровня воды и осушитель, имеющ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уровня воды
AU2015354454A AU2015354454B2 (en) 2014-11-27 2015-11-03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ES15863921T ES2778748T3 (es) 2014-11-27 2015-11-03 Dispositivo de detección de nivel de agua y deshumidificador que tiene el mismo
EP15863921.1A EP3189282B1 (en) 2014-11-27 2015-11-03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PCT/KR2015/011689 WO2016085142A1 (en) 2014-11-27 2015-11-03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US14/952,746 US10578481B2 (en) 2014-11-27 2015-11-25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and dehumidifier having the same
CN201510847146.4A CN105650805B (zh) 2014-11-27 2015-11-27 水位检测装置和具有该水位检测装置的除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15A KR102339659B1 (ko) 2014-11-27 2014-11-27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740A KR20160063740A (ko) 2016-06-07
KR102339659B1 true KR102339659B1 (ko) 2021-12-16

Family

ID=5607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415A KR102339659B1 (ko) 2014-11-27 2014-11-27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578481B2 (ko)
EP (1) EP3189282B1 (ko)
KR (1) KR102339659B1 (ko)
CN (1) CN105650805B (ko)
AU (1) AU2015354454B2 (ko)
BR (1) BR112017008139B1 (ko)
ES (1) ES2778748T3 (ko)
RU (1) RU2674633C1 (ko)
WO (1) WO20160851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9215B (zh) * 2014-03-31 2018-04-06 Lg电子株式会社 除湿机
CN104949214B (zh) * 2014-03-31 2018-01-05 Lg电子株式会社 除湿机
JP6547881B2 (ja) 2017-08-28 2019-07-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12111672B2 (en) * 2019-06-25 2024-10-08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Dehumidifier
JP7475888B2 (ja) * 2020-02-17 2024-04-30 シャープ株式会社 調湿装置
US11815284B2 (en) 2020-04-24 2023-11-14 Midea Group Co., Ltd. Dehumidifier with condensate tank
CN112303884B (zh) * 2020-11-01 2021-09-24 翟如三 一种接水盘组件及除湿机
WO2022104672A1 (en) * 2020-11-20 2022-05-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ehumidifier appliance having an extended water conduit
CN113324609B (zh) * 2021-06-02 2022-08-23 杨勇 流体计量用具
US20230314013A1 (en) * 2022-03-30 2023-10-05 Midea Group Co., Ltd. Dehumidifi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658A (ja) 2004-08-09 2006-02-16 Zojirushi Corp 除湿機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20A (en) 1979-06-16 1981-01-07 Susumu Adachi Optical level indicator
JPS5869084A (ja) * 1981-10-22 1983-04-25 Ricoh Co Ltd インキ式インパクトプリンタにおけるインキ供給装置
US4649898A (en) * 1984-03-05 1987-03-17 Martinson Monitors Inc.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densate level in steam retort
JPS633226A (ja) * 1986-06-23 1988-01-08 Sumitomo Electric Ind Ltd 液量指示装置
US6356071B1 (en) * 1997-05-02 2002-03-12 Patriot Sensors & Controls, Inc. Self-contained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US6028521A (en) * 1997-12-16 2000-02-22 Issachar; David Liquid level sensor
DE19843437C2 (de) * 1998-09-22 2000-08-17 Siemens Ag Füllstandsmeßeinrichtung
KR20000007255U (ko) * 1998-09-29 2000-04-25 구자홍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KR20000033816A (ko) * 1998-11-26 2000-06-15 구자홍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EP1250495B1 (en) * 1999-11-29 2005-07-27 Watersave Enterprises Limited Overflow system
JP2002022403A (ja) * 2000-07-13 2002-01-23 Tokyo Keiso Co Ltd 変位検出器および変位検出方法
JP3734690B2 (ja) * 2000-07-17 2006-01-11 京セラケミカル株式会社 液状材料塗布装置
CN1343857A (zh) 2000-09-20 2002-04-10 黄振隆 可防止加湿机误动作的浮球控制装置
KR20030037551A (ko) * 2001-11-06 2003-05-14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US20030196488A1 (en) * 2002-04-17 2003-10-23 Mann Tommy M. Magnetic level indicator float retainer
KR20040029619A (ko) * 2002-10-01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CN100362284C (zh) 2004-12-08 2008-01-16 黄仲盘 加湿机安全结构
CN1892122A (zh) * 2005-07-07 2007-01-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除湿器的冷凝水感知装置及其感知方法
WO2007049902A2 (en) * 2005-10-24 2007-05-03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US7891206B2 (en) * 2005-10-24 2011-02-22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JP2007183191A (ja) * 2006-01-10 2007-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の水位検出装置
DE212009000170U1 (de) * 2009-04-10 2012-03-02 Ching-Dien Chen Erkennungsvorrichtung zum Feststellen des Vorhandenseins einer Flüssigkeit
JP5489281B2 (ja) * 2010-04-13 2014-05-14 東フロ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フロート位置センサ
KR101852516B1 (ko) * 2011-11-18 2018-04-2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KR20130059164A (ko) * 2011-11-28 2013-06-05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KR102013865B1 (ko) * 2012-06-11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CN203100834U (zh) * 2013-01-09 2013-07-31 九阳股份有限公司 厨房电器用水位检测浮子及厨房电器
KR101578340B1 (ko) * 2013-03-08 2015-12-17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제습기
JP6020360B2 (ja) * 2013-06-05 2016-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検出装置
CN203337230U (zh) 2013-07-29 2013-12-11 宁波三峰机械电子有限公司 液位传感器浮子
CN203572554U (zh) 2013-11-27 2014-04-30 天津双菱仪表机械有限公司 一种磁翻转双色液位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658A (ja) 2004-08-09 2006-02-16 Zojirushi Corp 除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74633C1 (ru) 2018-12-11
EP3189282B1 (en) 2020-01-01
AU2015354454A1 (en) 2017-04-27
WO2016085142A1 (en) 2016-06-02
CN105650805A (zh) 2016-06-08
US20160153824A1 (en) 2016-06-02
ES2778748T3 (es) 2020-08-11
AU2015354454B2 (en) 2018-08-09
BR112017008139A2 (pt) 2018-02-20
KR20160063740A (ko) 2016-06-07
BR112017008139A8 (pt) 2022-11-16
US10578481B2 (en) 2020-03-03
EP3189282A4 (en) 2017-10-04
BR112017008139B1 (pt) 2024-03-12
CN105650805B (zh) 2020-03-27
EP3189282A1 (en)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9659B1 (ko)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EP2927618B1 (en) Dehumidifier
EP2966378B1 (en) Dehumidifier
EP2927617A1 (en) Dehumidifier
EP2942581A1 (en) Dehumidifier and water tank for dehumidifier
CN107110526B (zh) 除湿装置以及用于除湿或加湿的多功能装置
US9879878B2 (en) Dehumidifier
KR102069875B1 (ko) 제습기
KR20070113353A (ko) 진공 청소기의 제어 방법
CN202205653U (zh) 水位感测开关
AU2007200409B2 (en) Vacuum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JP2006043523A (ja) 電気除湿機
KR102315344B1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CN215328855U (zh) 一种衣物护理机水箱水位检测装置以及衣物护理机
KR101028076B1 (ko) 제습기용 버킷의 만수감지장치
KR20160054723A (ko) 제습기
KR20030037551A (ko)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KR102463802B1 (ko) 제습기
KR20230082404A (ko) 청소기 스테이션, 청소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S586204Y2 (ja) 除湿機の満水停止装置
KR20070048463A (ko) 제습기
KR20070048464A (ko) 제습기
JP2002364877A (ja) 除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