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255U -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255U
KR20000007255U KR2019980018648U KR19980018648U KR20000007255U KR 20000007255 U KR20000007255 U KR 20000007255U KR 2019980018648 U KR2019980018648 U KR 2019980018648U KR 19980018648 U KR19980018648 U KR 19980018648U KR 20000007255 U KR20000007255 U KR 200000072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ier
drip tray
elastic member
water level
stop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6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800186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255U/ko
Publication of KR20000007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255U/ko

Links

Landscapes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습기에 관한것으로 특히, 탄성계수가 서로다른 상측편과 하측편으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제습기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물받이그릇으로 저장되는 응축수의 만수위 또는 중수위에 따라 물받이그릇이 회전하며 정지스위치를 눌러주어 제습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제습기의 물받이그릇으로 떨어져서 모이는 응축수의 양이 물받이그릇의 만수위 또는 중수위까지 도달하였을 때 물받이그릇이 회전하며 정지스위치를 눌러주어 제습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물받이그릇을 지지하며 만수위에 맞추어 이완되면서 물받이그릇이 정지스위치를 눌러 줄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가지는 탄성부재의 하측편과, 상기 물받이그릇의 중수위에 맞추어 이완되면서 물받이그릇이 정지스위치를 눌러 줄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가지는 탄성부재의 상측편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본 고안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성계수가 서로다른 상측편과 하측편으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제습기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물받이그릇으로 저장되는 응축수의 만수위 또는 중수위에 따라 물받이그릇이 회전하며 정지스위치를 눌러주어 제습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습기(1)의 만수위를 조절하는 선출원된(1986년 공개실용신안공보 제6509호)구조는 도1에 나타내었다.
즉, 제습기(1)의 내부에 결합된 증발기(2)와, 상기 증발기(2)로 부터 발생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응축수를 모아주는 제습기(1)에 형성된 토출구(3)와, 상기 토출구(3)로 토출된 응축수를 담는 물받이그릇(10)과, 상기 물받이그릇(10)이 회전되도록 제습기(1)에 형성된 회전축(4)과, 상기 회전축(4)으로 결합되어 물받이그릇(10)의 회전을 안내하는 물받이그릇(10)에 형성된 회전홈(11)과, 상기 회전홈(11)에 의해 물받이그릇(10)이 회전되는 것을 일정하게 제어하도록 제습기(1)에 결합되는 탄성부재(7)와, 상기 탄성부재(7)를 제습기(1)에 결합하여 고정시키기 위하여 제습기(1)에 형성된 나사공(6)과, 상기 나사공(6)과 일치되도록 탄성부재(7)에 형성된 통공(8)과, 상기 통공(8)으로 삽입되어 나사공(6)과 체결되는 비스(9)와, 상기 비스(9)로 체결된 탄성부재(7)의 제어로 회전되는 물받이그릇(10)에 의해 눌러져 증발기(2)로 정지신호를 전달하는 제습기(1)에 결합된 정지스위치(5)로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습기(1)는 증발기(2)에 의해 공기중의 수분이 증발기(2)의 표면으로 응축되어 밑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밑으로 떨어진 응축수는 제습기(1)에 형성된 토출구(3)에 의해 물받이그릇(10)으로 안내된다.
상기와 같이 토출구(3)로 토출된 응축수는 회전축(4)으로 회전홈(11)이 결합되고 탄성부재(7)의 지지력에 의해 일정각도 기울어진 물받이그릇(10)으로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7)는 탄성부재(7)에 형성된 통공(8)으로 비스(9)가 삽입하여 나사공(6)과 체결됨으로써 제습기(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울어진 물받이그릇(10)으로 증발기(2)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계속 모이게 되면 물받이그릇(10)은 자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탄성부재(7)가 이완되며 회전홈(11)의 안내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7)가 이완되며 회전하던 물받이그릇(10)은 응축수가 만수가 되어 탄성부재(7)가 최대로 이완된 순간 제습기(1)에 부착된 정지스위치(5)를 누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지스위치(5)가 눌러지면 증발기(2)의 운전이 정지되고 사용자는 물받이그릇(10)을 제습기(1)로 부터 분리하여 물받이그릇(10)에 담겨진 만수된 응축수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응축수를 제거하고 난 후 물받이그릇(4)을 다시 제습기(1)에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와 같은 제습사이클을 재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습기(1)는 물받이그릇(10)으로 응축수가 만수가 되어야 만이 물받이그릇(10)이 정지스위치(5)를 누르게 되고 사용자에 의해 물받이그릇(10)의 응축수는 버려지게 되었다.
이때, 상기 제습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노약자이거나 어린이라면 응축수가 만수된 물받이그릇(10)을 들수가 없었다.
또한, 상기 물받이그릇(10)으로 담겨진 제습된 응축수를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제습기(1)를 재동작시킬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습기(1)는 물받이그릇(10)으로 담겨진 응축수가 만수가 되어야 만이 정지스위치(5)가 동작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제습기(1)를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물받이그릇으로 모이는 응축수의 만수위 또는 중수위에 따라 물받이그릇이 회전하며 정지스위치를 눌러 제습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물받이그릇을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상측편과 하측편의 탄성계수를 각각 만수위와 중수위에 맞추어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재를 사용자가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제습기로 탄성부재와 물통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2는 종래 제습기의 물받이그릇으로 응축수가 만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 고안 제습기로 탄성부재와 물통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4는 본 고안 탄성부재의 하측편으로 물받이그릇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 탄성부재의 상측편으로 물받이그릇을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 - 제습기 102 - 증발기
103 - 토출구 104 - 회전축
105 - 나사공 111 - 물받이그릇
112 - 회전홈 113 - 작동홈
121 - 탄성부재 122 - 상측편
123 - 절결홈 124 - 하측편
125 - 통공 131 - 정지스위치
141 - 비스
본 고안을 도3 내지 도5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습기(101)의 물받이그릇(111)으로 떨어져서 모이는 응축수의 양이 물받이그릇(111)의 만수위 또는 중수위까지 도달하였을 때 물받이그릇(111)이 회전하며 정지스위치(131)를 눌러주어 제습기(101)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물받이그릇(111)을 지지하며 만수위에 맞추어 이완되면서 물받이그릇(111)이 정지스위치(131)를 눌러 줄 수 있도록 탄성계수를 가지는 탄성부재(121)의 하측편(124)과, 상기 물받이그릇(111)의 중수위에 맞추어 이완되면서 물받이그릇(111)이 정지스위치(131)를 눌러 줄 수 있도록 탄성계수를 가지는 탄성부재(121)의 상측편(122)으로 구비되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21)의 상측편(122)이 가지는 탄성계수가 하측편(124) 탄성계수의 1/2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편(122)에 다수개의 절결홈(123)을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21)는 물받이그릇(111)으로 모이는 응축수의 양을 고수위 또는 중수위로 조절하도록 탄성부재(121)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습기(101)에 형성된 나사공(105)과, 상기 나사공(105)과 일치되도록 탄성부재(121)에 형성된 통공(125)과, 상기 통공(125)으로 삽입하여 나사공(105)과 체결되는 비스(141)를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21)의 일측편으로 물받이그릇(111)을 지지할 때 탄성부재(121)의 타측편이 물받이그릇(1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물받이그릇(111)에 형성된 작동홈(113)을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 제습기(10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습기(101)의 증발기(102)로 부터 발생된 응축수는 외부로 배출되기 위하여 토출구(103)로 토출되어 물받이그릇(111)으로 떨어져 모이게 된다.
이때, 상기 물받이그릇(111)은 제습기(101)에 결합된 탄성부재(121)의 하측편(124)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21)는 탄성부재(121)에 형성된 통공(125)으로 비스(141)가 삽입되어 나사공(105)과 체결됨으로써 제습기(101)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01)의 하측편(124)에 의해 지지된 물받이그릇(111)으로 응축수가 계속 모이게 되면 상기 물받이그릇(111)은 회전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홈(112)의 안내로 회전하며 탄성부재(121)의 하측편(124)을 이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그릇(111)으로 일정량의 응축수가 모여 하측편(124)이 최대로 이완되면 회전축(104)을 중심으로 회전하던 물받이그릇(111)은 제습기(101)에 결합된 정지스위치(131)를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물받이그릇(111)으로 응측수가 만수가 되면 물받이그릇(111)이 회전하며 정지스위치(131)를 누를 수 있는 탄성계수로 탄성부재(121)의 하측편(124)이 형성됨으로써 물받이그릇(111)으로 담겨지는 응축수의 양은 만수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그릇(111)을 지지하는 탄성부재(121)의 상측편(122)은 물받이그릇(111)에 형성된 작동홈(113)에 의해 물받이그릇(111)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물받이그릇(111)의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그릇(111)에 의해 눌러진 정지스위치(131)는 증발기(102)로 정지신호를 보내어 증발기(102)를 정지시키게 되고 사용자는 물받이그릇(111)을 제습기(101)로 부터 분리하여 응축수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습기(10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노약자 이거나 어린이라면 탄성계수가 적은 상측편(122)으로 물받이그릇(111)을 지지하도록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121)를 제습기(101)에 결합시키는 비스(141)를 풀고 탄성부재(121)의 상측편(122)과 하측편(124)의 위치를 회전시켜 바꾼다.
그리고, 상기 풀었던 비스(141)를 다시 조이게 되면 탄성부재(121)의 상측편(122)과 하측편(124)의 위치가 바뀌게 되어 상측편(122)으로 물받이그릇(111)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21)의 상측편(122)은 탄성계수가 하측편(124)의 1/2이 되도록 다수개의 절결홈(12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물받이그릇(111)의 응축수가 중수위에 도달하면 물받이그릇(111)이 회전하며 정지스위치(131)를 누르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11)의 하측편(124)은 물받이그릇(111)에 형성된 작동홈(113)에 의해 물받이그릇(111)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그릇(111)에 의해 눌러진 정지스위치(131)는 증발기(102)로 정지신호를 보내어 증발기(102)를 정지시키게 되면 노약자나 어린이라도 중수위의 물받이그릇(111)을 쉽게 들어서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습기(101)는 사용자에 따라 물받이그릇(111)을 지지하는 탄성부재(121)를 원하는 대로 회전시켜 사용함으로써 물받이그릇으로 담겨진 응축수의 양을 조절하여 물받이그릇(111)으로 담겨진 응축수를 편리하게 버릴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물받이그릇을 지지하는 탄성부재의 상측편과 하측편의 탄성계수를 각각 만수위와 중수위에 맞추어 형성하고 상기 탄성부재를 사용자가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받이그릇으로 모이는 응축수의 만수위 또는 중수위에 따라 물받이그릇이 회전하며 정지스위치를 눌러 제습기를 정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제습기의 물받이그릇으로 떨어져서 모이는 응축수의 양이 물받이그릇의 만수위 또는 중수위까지 도달하였을 때 물받이그릇이 회전하며 정지스위치를 눌러주어 제습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물받이그릇을 지지하며 만수위에 맞추어 이완되면서 물받이그릇이 정지스위치를 눌러 줄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가지는 탄성부재의 하측편과,
    상기 물받이그릇의 중수위에 맞추어 이완되면서 물받이그릇이 정지스위치를 눌러 줄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가지는 탄성부재의 상측편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상측편이 가지는 탄성계수가 하측편 탄성계수의 1/2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편에 다수개의 절결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3.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물받이그릇으로 모이는 응축수의 양을 고수위 또는 중수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습기에 형성된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과 일치되도록 탄성부재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통공으로 삽입하여 나사공과 체결되는 비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4.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편으로 물받이그릇을 지지할 때 탄성부재의 타측편이 물받이그릇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물받이그릇에 형성된 작동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KR2019980018648U 1998-09-29 1998-09-29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KR2000000725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648U KR20000007255U (ko) 1998-09-29 1998-09-29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648U KR20000007255U (ko) 1998-09-29 1998-09-29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255U true KR20000007255U (ko) 2000-04-25

Family

ID=6952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648U KR20000007255U (ko) 1998-09-29 1998-09-29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25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740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740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4133B2 (en) Mopping device with a multi-turn actuator
JP3142275U7 (ko)
GB2455861A (en) A mop wringer arrangement
KR200487536Y1 (ko) 밀대걸레 및 세척장치 세트
DK0919177T3 (da) Apparat til tørring af fødevarer
KR940004104B1 (ko) 제습기의 응축수위 감지장치
CN104939770A (zh) 手压式拖把的清洗、脱水装置和方法
TW201538109A (zh) 上動力型果汁壓榨萃取器
KR20000007255U (ko)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KR20150054376A (ko) 식기 세척기
KR200268623Y1 (ko) 밀걸레 전용 세탁기
ATE293381T1 (de) Saftzentrifuge
KR20000007254U (ko) 제습기의 제습량 조절구조
US6896214B2 (en) Fruit grating tool
JPH0251619B2 (ko)
KR20000033816A (ko)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KR101146211B1 (ko) 탈수 가능한 자루걸레 및 탈수함
CA2518874A1 (en) Device for spin drying a wiping body
US4947505A (en) Apparatus for cleaning a record disc
CN221013077U (zh) 一种干脚器
CN209529063U (zh) 一种拖把清洗压干桶
KR200175252Y1 (ko) 물걸레 회전 청소기
CN218770629U (zh) 一种具有除湿功能的高压柜
KR0141040B1 (ko) 혼합식 캐스터 휠 구조
CN213886661U (zh) 一种转速可调节的钻屑甩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