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816A -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816A
KR20000033816A KR1019980050848A KR19980050848A KR20000033816A KR 20000033816 A KR20000033816 A KR 20000033816A KR 1019980050848 A KR1019980050848 A KR 1019980050848A KR 19980050848 A KR19980050848 A KR 19980050848A KR 20000033816 A KR20000033816 A KR 20000033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te
stage
dehumidifier
water level
l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명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50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3816A/ko
Publication of KR20000033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81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7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루우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물받이그릇으로 담겨지는 응축수의 양을 고수위 및 중수위 또는 저수위에 따라 제습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제습기의 물받이그릇으로 모이는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고수위와 중수위 그리고 저수위에서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수위와 중수위 그리고 저수위의 선택에 따라 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는 플루우트와, 상기 플루우트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플루우트의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루우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물받이그릇으로 담겨지는 응축수의 양을 고수위 및 중수위 또는 저수위에 따라 제습기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된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습기(1)의 제습량을 조절하는 구조는 도1에 나타내었다.
즉, 제습기(1)의 내부로 실내의 공기를 공급하는 모우터(3)에 결합된 송풍팬(4)과, 상기 송풍팬(4)에 의해 제습기(1) 내부로 공급된 공기중의 수분을 응축시키는 증발기(2)와, 상기 증발기(2)에 의해 응축되어 떨어진 응축수를 제습기(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토출구(5)와, 상기 토출구(5)로 토출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상부가 개방된 물받이그릇(10)과, 상기 물받이그릇(1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9)으로 삽입되어 물받이그릇(10)으로 저장된 응축수의 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며 회전되도록 회전축(12)이 형성된 플루우트(11)와, 상기 플루우트(11)에 형성된 누름편(13)에 의해 플루우트(11)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탄성부재(8)과, 상기 탄성부재(8)의 동작에 의해 제습기(1)의 운전을 제어하도록 보턴(7)이 형성된 리미트스위치(6)로 구비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습기(1)의 내부에 결합된 증발기(2)에 의해 응축되어 떨어진 응축수는 토출구(5)로 토출되어 물받이그릇(10)으로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그릇(10)으로 응축수가 만수되면 물받이그릇(10)에 결합된 플루우트(11)에 의해 리미트스위치(6)가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6)의 동작으로 제습기(1)의 운전이 정지되고 사용자는 물받이그릇(10)의 응축수를 버리게 된다.
즉, 상기 물받이그릇(10)으로 응축수가 저장되면 물받이그릇(10)에 결합된 플루우트(11)가 응축수의 양에 따라 점점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승되는 플루우트(11)는 물받이그릇(10)에 형성된 결합공(9)으로 플루우트(11)에 형성된 회전축(12)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플루우트(11)는 상승하며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승하며 회전되는 플루우트(11)에 형성된 누름편(13)은 플루우트(11)의 상승작용으로 인하여 회전축(12)을 중심으로 하강하며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편(13)에 의해 눌러져 리미트스위치(6)의 보턴(7)을 누르고 있던 탄성부재(8)는 누름편(13)이 하강함에 따라 탄성부재(8)도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8)가 기울어면서 리미트스위치(6)의 보턴(7)을 개방시킴으로서 리미트스위치(6)를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6)가 동작되어 제습기(1)의 제습운전이 정지되면 사용자는 물받이그릇(10)을 제습기(1)로 부터 분리하여 물받이그릇(10)에 저장된 응축수를 버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가 버려진 물받이그릇(10)을 제습기(1)에 결합시키고 제습기(1)를 다시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와 같은 제습싸이클을 재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습기(1)는 물받이그릇(10)으로 담겨지는 응축수의 양이 만수위로 일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습기(1)는 물받이그릇(10)으로 응축수가 만수가 되어야 만이 플루우트(11)에 형성된 누름편(13)이 리미트스위치(6)를 누르게 되고 사용자에 의해 물받이그릇(10)의 응축수는 버려지게 되었다.
이때, 상기 제습기(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노약자이거나 어린이라면 응축수가 만수된 물받이그릇(10)을 들수가 없었다.
또한, 상기 물받이그릇(10)으로 담겨진 제습된 응축수를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제습기(1)를 재동작시킬 수 없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제습기(1)는 물받이그릇(10)으로 담겨진 응축수가 만수가 되어야 만이 리미트스위치(6)가 작동됨으로써 사용자에 따라 제습기(1)를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발생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 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받이그릇으로 담겨지는 응축수의 양을 다단계 수위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플루우트를 물받이그릇으로 결합시키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제습기의 만수위를 조절하는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2는 본 발명 제습기의 물받이그릇으로 결합되는 플루우트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물받이그릇의 수위가 고수위일 경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 물받이그릇의 수위가 중수위일 경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5는 본 발명 물받이그릇의 수위가 저수위일 경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 - 제습기 110 - 물받이그릇
121 - 플루우트 131 - 처음단계의 플루우트
132 - 회전축 133 - 누름부재
134 - 지지편 135 - 제1결합홈
136 - 제1안내홈 137 - 제1걸이구
141 - 중간단계의 플루우트 142 - 제1돌출구
143 - 제2결합홈 144 - 제2안내홈
151 -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 152 - 제2돌출구
153 - 제2걸이구 161 - 탄성부재
본 발명 제습기(101)의 만수위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2 내지 도5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습기(101)의 물받이그릇(110)으로 모이는 증발기(102)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다단계의 수위에서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단계 수위의 선택에 따라 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는 플루우트(121)와, 상기 플루우트(12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플루우트(121)의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루우트(121)의 길이조절수단은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의 내부로 결합되는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와,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로 결합되는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와,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와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가 외부로 탈거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플루우트(121)의 탈거방지수단과,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와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를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 내부로 절첩시키기 위한 플루우트(121)의 절첩수단으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플루우트(121)의 탈거방지수단은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135)과, 상기 제1결합홈(135)으로 결합되는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돌출구(142)와,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143)과, 상기 제2결합홈(143)으로 결합되는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돌출구(152)로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플루우트(121)의 절첩수단은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의 제1돌출구(142)를 안내하여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의 내부로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를 절첩시킬 수 있도록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의 내주면에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안내홈(136)과,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의 내부로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를 절첩시킬 수 있도록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의 제2돌출구(152)를 안내하는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의 내주면에 수직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2안내홈(144)으로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와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 그리고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가 절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의 제1걸이구(137)와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의 제2걸이구(153)를 연결하는 탄성부재(161)를 더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에 형성된 누름부재(133)가 밀리지 않고 리미트스위치(104)의 보턴(105)을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물받이그릇(110)과 접촉하며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를 지지하여 주는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에 형성된 지지편(134)을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습기(101)의 증발기(102)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토출구(103)로 토출되어 물받이그릇(110)으로 담겨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그릇(110)으로 담겨지는 응축수의 양이 많아지게 되면 물받이그릇(110)에 결합된 플루우트(121)는 점점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승되는 플루우트(121)는 물받이그릇(110)에 결합된 지지대(111)의 결합공(112)으로 회전축(132)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하며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하는 플루우트(121)는 물받이그릇(110)으로 응축수가 만수가 되면 누름부재(133)에 의해 누르고 있던 리미트스위치(104)의 보턴(105)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에 형성된 지지편(134)이 물받이그릇(110)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누름부재(133)는 리미트스위치(104)의 보턴(105)을 확실하게 누르고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134)과 누름부재(133)가 하강하며 회전하게 되면 누름부재(133)가 누르고 있던 리미트스위치(104)의 보턴(105)은 개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턴(105)의 개방으로 제습기(101)의 작동이 정지되어 물받이그릇(110)으로 부터 응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습기(101)는 사용자가 어린이거나 노약자라면 물받이그릇(110)으로 응축수가 만수가 되면 물받이그릇(110)을 들수가 없으므로 물받이그릇(110)의 만수되는 응축수의 양이 적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습기(101)의 플루우트(121)를 수위가 낮을때로 맞추고 제습기(101)를 작동시키게 되면 물받이그릇(110)으로 수위가 낮게 되면 리미트스위치(104)가 작동되어 제습기(101)가 정지되게 된다.
즉, 상기 플루우트(121)를 구성하는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로 부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를 빼내고 다시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로 부터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를 빼내면 된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그릇(110)으로 응축수가 담겨지게 되면 플루우트(121)의 길이가 길어져 있으므로 적은양의 응축수에도 부력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플루우트(121)는 응축수의 부력에 의해 회전하며 리미트스위치(104)의 보턴(105)을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플루우트(121)를 길게 펼치려면 우선, 한 손으로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를 잡고 다른 손으로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를 잡은 후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를 아래로 당긴다.
그리고,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를 당기게 되면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에 형성된 제1돌출구(142)가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 내주면에 수직상으로 형성된 제1안내홈(136)에 의해 안내되어 하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강하던 제1돌출구(142)는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135)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1돌출구(142)는 제1결합홈(135)에 결합되어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는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를 손으로 잡고 아래로 당기게 되면 제2돌출구(152)가 형성된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도 제2안내홈(144)으로 안내되며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강하던 제2돌출구(152)는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결합홈(143)과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2돌출구(152)는 제2결합홈(143)에 결합되어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도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플루우트(121)의 길이가 길어 짐으로써 물받이그릇(110)으로 응축수가 적게 담겨져도 플루우트(121)가 회전하며 리미트스위치(104)를 동작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습기(10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수위를 중간으로 맞추어 사용하고자 한다면 플루우트(121)의 길이를 1단계 줄여서 사용하면 된다.
즉, 상기 플루우트(121)를 수위가 중간일때로 맞추기 위해서는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홈(143)을 회전하던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의 제2돌출구(152)는 제2안내홈(144)과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돌출구(143)가 제2안내홈(144)과 접하게 되면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의 제1걸이구(137)와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의 제2걸이구(153)로 양끝단을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재(161)의 복원력에 의해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는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의 내부로 자동적으로 접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받이그릇(110)으로 담겨지는 응축수를 제어하는 플루우트(121)의 길이가 수위가 낮을때보다 짧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플루우트(121)의 길이가 짧아져 물받이그릇(110)으로 응축수의 수위가 낮을때보다 더 담겨져야 플루우트(121)가 회전됨으로써 수위가 중간일때로 물받이그릇(110)의 응축수가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습기(101)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건장하거나 수위가 높을때로 물받이그릇(110)의 응축수가 담겨지기를 원하게 되면 플루우트(121)를 가장 작은 길이로 줄이면 된다.
즉, 상기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를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 내부로 접은 후 다시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1돌출구(142)는 제1결합홈(135) 내부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의 제1결합홈(135) 내부를 회전하던 제1돌출구(142)는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의 내면에 수직상으로 형성된 제1안내홈(136)과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안내홈(136)으로 제1돌출구(142)가 접하게 되면 탄성부재(161)의 복원력에 의해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와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는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의 내부로 자동적으로 접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처음단계의 플루우트(131) 내부로 중간단계의 플루우트(141)와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151)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플루우트(121)의 길이는 가장 작은 길이가 된다.
또한, 상기 플루우트(121)의 길이가 작아지게 되면 물받이그릇(110)으로 담겨지는 응축수의 양은 수위가 중간일때보다 많아짐으로써 수위가 높을때로 물받이그릇(110)의 응축수가 담겨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플루우트(121)의 길이를 선택하여 조절함으로써 제습기(101)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서 물받이그릇(110)으로 담겨지는 응축수의 양을 다단계 수위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물받이그릇(110)으로 담겨지는 응축수의 양을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제습기(101)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제한이 없어져 제습기(101)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플루우트를 물받이그릇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물받이그릇으로 담겨지는 응축수의 양을 다단계 수위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제습기의 물받이그릇으로 모이는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다단계 수위에서 선택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단계 수위의 선택에 따라 길이를 신축 조절할 수 있는 플루우트와,
    상기 플루우트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플루우트의 길이조절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우트의 길이조절수단은 처음단계의 플루우트의 내부로 결합되는 중간단계의 플루우트와,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로 결합되는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와,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와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가 외부로 탈거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플루우트의 탈거방지수단과,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와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를 처음단계의 플루우트 내부로 절첩시키기 위한 플루우트의 절첩수단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3.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우트의 탈거방지수단은 처음단계의 플루우트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1결합홈과,
    상기 제1결합홈으로 결합되는 중간단계의 플루우트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1돌출구와,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으로 결합되는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돌출구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4.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우트의 절첩수단은 중간단계의 플루우트의 제1돌출구를 안내하여 처음단계의 플루우트의 내부로 중간단계의 플루우트를 절첩시킬 수 있도록 처음단계의 플루우트의 내주면에 수직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안내홈과,
    상기 중간단계의 플루우트의 내부로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를 절첩시킬 수 있도록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의 제2돌출구를 안내하는 중간단계의 플루우트의 내주면에 수직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2안내홈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5. 상기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처음단계의 플루우트와 중간단계의 플루우트 그리고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가 절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처음단계의 플루우트의 제1걸이구와 마지막단계의 플루우트의 제2걸이구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6.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음단계의 플루우트에 형성된 누름부재가 밀리지 않고 리미트스위치의 보턴을 누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물받이그릇과 접촉하며 처음단계의 플루우트를 지지하여 주는 처음단계의 플루우트에 형성된 지지편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KR1019980050848A 1998-11-26 1998-11-26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KR200000338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848A KR20000033816A (ko) 1998-11-26 1998-11-26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848A KR20000033816A (ko) 1998-11-26 1998-11-26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816A true KR20000033816A (ko) 2000-06-15

Family

ID=1955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848A KR20000033816A (ko) 1998-11-26 1998-11-26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338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076B1 (ko) * 2003-12-18 2011-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용 버킷의 만수감지장치
WO2014058155A1 (ko) * 2012-10-10 2014-04-17 주식회사 위닉스 수위표시수단을 갖춘 연속배수 타입의 제습기
KR20150132759A (ko) * 2014-05-16 2015-11-26 코웨이 주식회사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KR20160063740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076B1 (ko) * 2003-12-18 2011-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용 버킷의 만수감지장치
WO2014058155A1 (ko) * 2012-10-10 2014-04-17 주식회사 위닉스 수위표시수단을 갖춘 연속배수 타입의 제습기
KR20150132759A (ko) * 2014-05-16 2015-11-26 코웨이 주식회사 수위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물저장탱크
KR20160063740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1905B2 (en) Condensed water storing apparatus of a dryer
KR940004104B1 (ko) 제습기의 응축수위 감지장치
KR20000033816A (ko) 제습기의 만수위 조절장치
JP2008075951A (ja) 加湿機
JP2005265258A (ja) 可搬型除湿機
US6679483B2 (en) Dry out mechanism for humidifier
CN110693373A (zh) 一种卫生纸盒
KR100233426B1 (ko) 세탁기
EP1036894A3 (de) Notablaufvorrichtung
US4920661A (en) Dehydrating machine
JP2005265256A (ja) 可搬型除湿機
KR20050102807A (ko) 진공흡착기구
KR20000039580A (ko) 제습기의 제습량 조절장치
CA2273431A1 (en) Wet/dry vacuum with non-cylindrical canister
JPH05141705A (ja) 除湿機
KR100319696B1 (ko) 1조식 수동 세탁기
CN219433408U (zh) 一种空气净化加湿装置
KR200198766Y1 (ko) 우산 탈수장치
JP4429891B2 (ja) 食器洗浄機
KR900004917Y1 (ko) 제습기의 방향기능장치
KR200357211Y1 (ko) 수증기 장치의 받침 구조
KR0127588Y1 (ko) 양변기용 2단배수밸브 개폐장치
CN212023444U (zh) 一种适用于冰箱收纳盒的盒盖及收纳盒
CN212930282U (zh) 用于除湿机的控制结构
KR910002001Y1 (ko) 제습기용 물받이의 물넘침 및 만수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