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164A -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164A
KR20130059164A KR1020110125334A KR20110125334A KR20130059164A KR 20130059164 A KR20130059164 A KR 20130059164A KR 1020110125334 A KR1020110125334 A KR 1020110125334A KR 20110125334 A KR20110125334 A KR 20110125334A KR 20130059164 A KR20130059164 A KR 20130059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ier
water
float
water level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닉스
Priority to KR102011012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164A/ko
Priority to PCT/KR2012/008600 priority patent/WO2013081298A1/ko
Publication of KR20130059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6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7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01F23/7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for sensing changes in level only at discrete p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30Condensation of water from cooled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오작동의 우려가 없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는 제습기에서 제습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의 수위에 따라서 승강하는 플로트; 상기 플로트에 설치되어 플로트와 함께 승강하는 자석; 상기 저수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이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스위치 온 상태로 작동하고, 상기 저수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상이면 스위치 오프 상태로 작동하여 제습기를 작동/정지 시키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플로트 및 자석은 저수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자석과 간격을 유지하며 피고정체에 설치된다.
상기 저수탱크에 물이 만수상태가 되어 리드스위치가 스위치 오프 상태가 되면 제습기의 작동이 정지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만수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탱크에는 플로트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플로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WATER LEVEL SENSING APPARATUS OF 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 오작동의 우려가 없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여러 가지 형태의 제습 방식이 제공되어 제작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제습기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할 때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냉각식 제습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습기는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팬과, 상기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응축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수단과, 상기 제습수단에서 제습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로 구성된다.
상기 제습수단은 기체상태의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이 압축기에서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를 거쳐 모세관(팽창튜브)을 통과한 저압의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 구성된다.
그리고 저수탱크에는 일정량의 응축수가 채워지면 이를 사용자가 감지할 수 있도록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습기는 냉매가 압축기를 통하여 증발기로부터 응축기와 모세관을 통해 다시 증발기로 순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팬의 회전으로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면,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매에 의하여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이슬로 맺혀져 제거된다.
그리고 제거된 습기는 자유 낙하하여 제습기 내부의 저수탱크에 저장되며, 저수조에 물이 일정량 채워지면 수위감지장치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제습기의 수위 감지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10-2000-0039580호, 공개특허 10-2007-0048463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공개특허 10-2000-0039580호는 제습기의 물받이에 저장되는 응축수가 만수 시 탄성부재에 의해 눌려졌던 리미트 스위치의 버튼을 자력을 이용하여 개방시켜 물받이에서 응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고, 공개특허 10-2007-0048463호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버킷에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팅기구를 설치하고 베리어에는 온/오프 스위치 또는 자성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버킷에 응축수가 만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플로트 결합수단 및 이를 지하기기 위한 지지대 또는, 플로팅기구 및 고정가이드와 같이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요소가 여러 가지 부품으로 이루어져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으면 수위 감지 시 고장 우려가 높고, 또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선행기슬의 수위 감지장치는 힌지회전하면서 작동되는 구조이므로 이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조립작업이 번거롭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오작동의 우려가 없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는 제습기에서 제습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의 수위에 따라서 승강하는 플로트; 상기 플로트에 설치되어 플로트와 함께 승강하는 자석; 상기 저수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이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스위치 온 상태로 작동하고, 상기 저수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상이면 스위치 오프 상태로 작동하여 제습기를 작동/정지 시키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플로트 및 자석은 저수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자석과 간격을 유지하며 피고정체에 설치된다.
상기 저수탱크에 물이 만수상태가 되어 리드스위치가 스위치 오프 상태가 되면 제습기의 작동이 정지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만수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저수탱크에는 플로트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플로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는 종래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오작동 가능성을 현격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플로트 및 자석은 저수탱크에 설치되고 리드스위치는 저수탱크 외측에 설치되어 리드스위치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길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 항상 정확하게 수위감지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플로트가 하강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플로트가 상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에서 플로트가 하강한 상태 및 상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는 제습기에서 제습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2)의 수위에 따라서 승강하는 플로트(4)와, 상기 플로트(4)와 함께 승강하는 자석(6)과, 상기 저수탱크(2)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이면 상기 자석(6)의 자력에 의하여 스위치 온 상태로 작동하고, 상기 저수탱크(2)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상이면 스위치 오프 상태로 작동하여 제습기를 작동/정지 시키는 리드스위치(8)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탱크(2)에는 플로트(4)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10)가 형성되며 저수탱크(2)의 수위에 따라서 플로트(4)는 가이드부(10)를 따라서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저수탱크(2)에는 스토퍼(12)가 설치되어 플로트(4)의 최대 상승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자석(6)은 플로트(4)에 설치되어 플로트(4)와 자석(6)은 저수탱크(2)의 수위에 따라서 같이 승강한다.
이러한 플로트(4) 및 자석(6)은 저수탱크(2)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위치(8)는 상기 자석(6)과 약간의 간격을 띄운 상태로 제습기의 구성요소인 피고정체(14)에 설치된다.
상기 피고정체(14)는 제습기의 케이스 또는 제습기 내부에 부품이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 패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스위치(8)는 자석(6)의 자력에 의하여 접점이 붙거나 떨어지도록 스위칭작용을 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리드스위치(8)는 제습기에 제공된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드스위치(8)의 스위칭작용에 의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제습기의 작동을 온/오프 시킨다.
이와 함께 저수탱크(2)에 물이 만수상태가 되어 리드스위치(8)가 스위치 오프 상태가 되면 제습기의 작동이 정지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표시장치에 의하여 만수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습기의 온/오프 상태 및 저수탱크(2)의 만수상태의 표시는 제습기에 LED램프 등을 설치하여 LED램프의 색깔이 변하도록 구성하거나 LED램프가 점멸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은 가전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는 제습기에서 제습된 물이 저수탱크(2)로 유입되어 저수탱크(2)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일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플로트(4) 및 자석(6)이 리드스위치(8)를 온 상태로 하여 제습기는 작동하면서 작동되는 상태를 제습기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제습기가 작동되고 있음을 알린다.
이 상태에서 제습기가 작동하면서 제습된 물이 저수탱크(2)로 계속 유입되면 플로트(4) 및 자석(6)은 가이드부(10)를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저수탱크(2)의 수위가 높아져 플로트(4)가 스토퍼(12)에 접촉될 때까지 상승하면 자석(6)이 리드스위치(8)와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이므로 자석(6)의 자력이 리드스위치(8)에 작용하지 못하여 리드스위치(8)는 스위치 온 상태에서 스위치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제습기의 작동을 정시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저수탱크(2)가 만수에 이른 것을 표시장치에 의하여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사용자는 저수탱크(2)를 제습기에서 분리하여 내부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배출한 다음 저수탱크(2)를 다시 장착하면 된다.
이렇게 내부에 물을 배출한 저수탱크(2)를 제습기에 장착하면 플로트(4) 및 자석(6)이 하부로 위치하여 자석(6)의 자력에 의하여 리드스위치(8)를 스위치 온 상태로 하여 제습기는 다시 작동하면서 작동되는 상태를 제습기의 표시장치를 통하여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습기가 작동되고 있음을 알린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를 목적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저수탱크 4: 플로트
6: 자석 8: 리드스위치
10: 가이드부 12: 스토퍼
14: 피고정체

Claims (5)

  1. 제습기에서 제습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의 수위에 따라서 승강하는 플로트;
    상기 플로트에 설치되어 플로트와 함께 승강하는 자석;
    상기 저수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하이면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스위치 온 상태로 작동하고, 상기 저수탱크의 수위가 일정수준 이상이면 스위치 오프 상태로 작동하여 제습기를 작동/정지 시키는 리드스위치;
    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및 자석은 저수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자석과 간격을 유지하며 피고정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에 물이 만수상태가 되어 리드스위치가 스위치 오프 상태가 되면 제습기의 작동이 정지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만수상태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에는 플로트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에는 플로트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KR1020110125334A 2011-11-28 2011-11-28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KR20130059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334A KR20130059164A (ko) 2011-11-28 2011-11-28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PCT/KR2012/008600 WO2013081298A1 (ko) 2011-11-28 2012-10-19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334A KR20130059164A (ko) 2011-11-28 2011-11-28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164A true KR20130059164A (ko) 2013-06-05

Family

ID=4853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334A KR20130059164A (ko) 2011-11-28 2011-11-28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59164A (ko)
WO (1) WO20130812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740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568Y1 (ko) * 1986-12-12 1989-10-30 주식회사금성사 초음파 가습기용 플로우트 스위치
JP3850142B2 (ja) * 1998-05-27 2006-11-29 シャープ株式会社 貯液容器の収納及び液面検知装置
KR20020044795A (ko) * 2000-12-06 2002-06-19 구자홍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드레인 장치
KR200394001Y1 (ko) * 2005-06-07 2005-08-25 성두창 에어컨 응결수 저장통의 만수위 경보장치
JP4876637B2 (ja) * 2006-03-08 2012-0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740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1298A1 (ko) 201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77399B2 (en) Dehumidifier
CA2940075C (en) Multiple switch float switch apparatus
KR101400710B1 (ko) 제습기의 간편한 자동배수 구조
US20150276241A1 (en) Dehumidifier
JP4997803B2 (ja) 除湿装置
KR101069857B1 (ko) 정품필터 인식 기능을 갖는 이온수기
US9249981B2 (en) Condensate overflow detection device
KR20130059164A (ko)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US20100089086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condensate removal pump
US8985964B2 (en) Multiple switch float switch apparatus
WO2016019988A1 (en) Laundry dryer having an improved condensate storage assembly
KR102234780B1 (ko) 제습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2410600B (zh) 冰箱及其保湿装置
CN113587418A (zh) 用于数据中心的机架式精密空调
KR100829101B1 (ko) 제습기
KR101334257B1 (ko)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CN210091358U (zh) 一种带除湿提示的展示柜
KR100897567B1 (ko) 초저온 액화가스의 기계식 기액분리기
JP4430564B2 (ja) 空気調和機
KR20020041678A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안전장치
CN215809236U (zh) 用于数据中心的机架式精密空调
KR20140131535A (ko) 워터 서버
CN102878645B (zh) 除湿机
KR200382168Y1 (ko) 마이콤제어 및 비상배수와 알림기능을 가진 에어컨용응축수 배수펌프
KR200190094Y1 (ko) 공기조화기의 만수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