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257B1 -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 Google Patents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257B1
KR101334257B1 KR1020120072604A KR20120072604A KR101334257B1 KR 101334257 B1 KR101334257 B1 KR 101334257B1 KR 1020120072604 A KR1020120072604 A KR 1020120072604A KR 20120072604 A KR20120072604 A KR 20120072604A KR 101334257 B1 KR101334257 B1 KR 101334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ing
switch
lifting rod
collecting tank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춘혁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텍 filed Critical (주)하이텍
Priority to KR1020120072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86Mechanical details of the pump contro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6Floating-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응결수가 집수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 내에 위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집수조 내의 응결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한 펌핑부 및 상기 집수조 내에 집수되는 응결수의 양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배수펌프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집수조 내에 집수된 응결수의 부력에 의해 승하강 되는 부구와, 일단이 상기 부구를 관통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부구가 소정거리 이상 승강되면 부구와 일체로 승강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시 상기 자석이 위치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 펌핑레버가 구비된 펌핑스위치와, 상기 펌핑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자석이 위치된 반대방향으로 상기 펌핑레버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MAGNET SWITCH TYPE REMOVAL PUMP}
본 발명은 배수펌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펌프의 배수시 발생하는 오작동을 줄이고,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펌프는 집수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통상 배수펌프는 에어컨, 냉장고, 아이스머신 등과 같은 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공기중 수분이 열교환되면서 발생하는 응결수를 수집하였다가 만수시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와 같은 배수펌프(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조(2)와, 상기 집수조(2)의 상판에 마련되는 모터(3) 및 스위치(4)와, 상기 집수조(2) 내로 집수된 물을 외부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한 토출구(5)와, 상기 집수조(2) 내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3)와 연결되어 모터(3)의 구동에 따라 구동되는 임펠러(6)가 마련된 펌프(7) 및 상기 스위치(4)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집수조(2) 내 유체의 집수량에 따라 승하강 되는 부구(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배수펌프(1)는 상기 다양한 장치들에서 발생되는 응결수가 집수조(2) 내로 유입되게 되면 부력에 의해 부구(8)가 상승하게 되고, 상승된 부구(8)에 의해 스위치(4)가 모터(3)를 구동시켜 모터(3)의 회전축과 연결된 펌프(7)의 임펠러(6)가 회전하면서 응결수가 토출구(5)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배수펌프(1)는 부구(8)의 승하강에 따라 스위치(4)가 모터(3)를 구동시키는 구조로서, 상기 구조는 부구(8)의 승강높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소형의 집수조(2)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즉, 집수조(2)는 응결수를 배출하는 장치에 비례하여 크기가 정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술한 종래의 배수펌프는 대형의 장치에는 사용 가능하나, 소형의 장치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즉, 배수펌프(1)의 크기가 대형화됨으로써 설치시 집수조(2)의 크기 역시 대형으로 이기 때문에 공간상의 제약을 받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수펌프(1)는 집수조(2) 내로 배출되는 응결수의 양이 상기 배수펌프(1)를 통해 배출되는 양 보다 많을 경우에는 응결수가 집수조(2) 외부로 넘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수펌프(1)의 스위치(4) 작동원리가 PCB에 의한 전자방식으로 원가 상승은 물론 기기의 오작동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를 강구하게 되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0877236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부구의 승강높이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하는 등 소형으로 이루어진 집수조 내에서도 효과적으로 집수조 내의 유체, 즉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기존 PCB에 의한 전자방식을 자력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교체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하고 오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집수조 내로 배출되는 응결수의 양이 상기 배수펌프를 통해 배출되는 양 보다 많을 경우 에어컨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응결수가 집수조 외부로 넘치는 단점을 없앨 수 있도록 한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응결수가 집수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 내에 위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집수조 내의 응결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한 펌핑부 및 상기 집수조 내에 집수되는 응결수의 양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배수펌프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집수조 내에 집수된 응결수의 부력에 의해 승하강 되는 부구와, 일단이 상기 부구를 관통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부구가 소정거리 이상 승강되면 부구와 일체로 승강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시 상기 자석이 위치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 펌핑레버가 구비된 펌핑스위치와, 상기 펌핑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자석이 위치된 반대방향으로 상기 펌핑레버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펌핑스위치의 상측에 위치되며 승강로드의 승강시 상기 자석이 위치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 안전레버가 구비된 안전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스위치는 상기 펌핑스위치의 펌핑레버가 승강로드와 접촉된 상태에서 집수조 내로 응결수가 지속적으로 집수되어 과도할 경우, 승강로드가 상기 펌핑스위치의 높이보다 상승할 경우 안전레버의 일단이 상기 승강로드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구를 지지하는 부구지지대에 대해 부구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결합함으로써, 일정높이 이상 부구가 승강하면 부구지지대가 상기 부구와 동시에 승강될 수 있도록 하여 집수조 내의 응결수를 배출하는 모터의 잦은 구동을 제한해 노화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PCB기판에 의한 전자방식이 자력에 의한 스위치 방식으로 모터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컨의 구동에 따라 집수조 내로 배출되는 응결수의 양이 대량일 경우 일시적으로 에어컨의 구동을 정지시켜 응결수가 집수조 외부로 넘치는 오버플로우 현상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케이싱 내에 구성요소를 설치한 후 씰링부재와 덮개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 내를 밀폐함으로써, 모터의 과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의 위험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오작동으로 인해 상기 본체가 물에 잠기어도 상술한 바와 같이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감전의 위험이 없다.
도 1은 종래의 배수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의 정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의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100)는 응결수가 집수되는 집수조(110)와, 상기 집수조(110) 내에 위치되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130)와,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에 따라 집수조(110) 내의 응결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한 펌핑부(140) 및 상기 구동부(130)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스위칭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집수조(110)는 에어컨의 배수구와 연결되어 에어컨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응결수를 집수하여 임시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100)는 에어컨 등 응결수를 배출하는 전자장치에 다양하게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에어컨으로 한정한 후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20)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싱(122)과, 상기 케이싱(122)의 수용공간을 덮을 수 있도록 한 덮개(124)로 이루어져 상기 집수조(110)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구성요소인 구동부(130), 펌핑부(140) 및 스위칭부(15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22)과 덮개(124)는 볼트(S)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22)과 본체 사이에 씰링부재(126)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싱(122) 내부가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케이싱(122) 내부에 설치한 상태에서 구동시 발생할 수 있는 모터(132)의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 및 감전의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케이싱(122) 내부를 상기 씰링부재(126) 및 덮개(124)를 이용하여 밀폐할 수 있다.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케이싱(122)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126)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부(130)와 스위칭부(150) 및 펌핑부(140)를 구획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130)는 집수조(110) 내에 집수되는 응결수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물에 의한 부식 및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모터(132)와 일단이 상기 모터(132)와 연결되고, 타단이 펌핑부(140)와 연결되는 구동축(13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모터(132)의 구동에 따라 구동축(134)이 회전하면서 상기 펌핑부(14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펌핑부(140)는 상기 구동부(130)의 구동축(134)과 연결되어 집수조(110) 내의 응결수를 펌핑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134)과 연결되는 임펠러(142)와, 상기 임펠러(142)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하부에 상기 임펠러(142)의 회전에 따라 집수조(110) 내부의 응결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유입구(144a) 및 유입된 응결수를 외부로 펌핑할 수 있도록 한 배출구(144b)가 형성된 임펠러하우징14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부(15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130)를 작동시켜 펌핑부(140)로 하여금 응결수를 집수조(1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집수조(110) 내에 집수된 응결수의 부력에 의해 승하강 되는 부구(151)와, 일단이 상기 부구(151)를 관통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부구(151)가 소정거리 이상 승강되면 부구(151)와 일체로 승강되는 것으로 타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153)이 구비된 승강로드(152)와, 상기 승강로드(152)의 승강시 자석(153)이 위치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 펌핑레버(154b)가 구비된 펌핑스위치(154)와, 상기 펌핑스위치(154)의 상측에 위치되며 승강로드(152)의 승강시 자석(153)이 위치된 방향으로 회동되는 안전레버(155b)가 구비된 안전스위치(155) 및, 상기 펌핑레버(154b)와 상기 안전레버(155b)에 각각 탄성력을 제공하여 자석이 위치된 반대방향으로 상기 펌핑레버(154b)와 안전레버(155b)가 각각 이동되도록 한 탄성부재(1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구(151)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사각형상의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부구(151)는 집수조(110) 내의 수위 변화에 따라 부구(151)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승강로드(152)의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된다.
또한, 상기 부구(151)는 하부에 상기 부구가 일정높이 이상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이드부재(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집수조(110) 내에 응결수가 없어도 소정 높이 이상으로는 부구(151)가 하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승강로드(152)는 일단이 상기 부구(151)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되, 상기 승강로드(152)의 외주면을 따라 승하강되는 부구(151)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단에 구속돌기(152a)가 형성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승강로드(152) 상에는 부구(151)가 응결수에 의해 일정거리 이상 승강하면 상기 부구(151)와 동일하게 승강로드(152)가 승강되도록 스톱퍼(148)가 마련된다.
즉, 집수조(110)의 크기가 소형일 경우 승강로드(152)의 길이로 인하여 부구(151)가 일정거리 승강하면 승강로드(152)의 상측 끝단이 본체(120)의 덮개(124)에 접촉되어 승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100)는 부구(151)가 상기 승강로드(15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거리 이상 승강되면 상기 스톱퍼(148)에 걸리면서 승강로드(152)가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소형의 집수조(110) 내에서도 승강로드(152)가 원활하게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구(151)가 결합된 승강로드(152)의 타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15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153)은 후술하는 펌핑스위치(154)의 펌핑레버(154b) 및 안전스위치(155)의 안전레버(155b)를 회동시켜 구동부(130)를 구동시키거나 에어컨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펌핑스위치(154)는 상기 구동부(130)의 모터(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강로드(152)의 승하강에 따라 모터(1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것으로, 스위치모듈(154a)과, 상기 스위치모듈(154a)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승강로드(152)에 설치된 자석(153)과 자력에 의해 접촉될 수 있도록 자석(154c)이 구비된 펌핑레버(154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로드(152)의 승하강시, 승강로드(152)의 일측 끝단에 마련된 자석(153)이 승하강 되면 상기 펌핑레버(154b)에 마련된 자석(154c)에 의해 스위치모듈(154a)에 대에 펌핑레버(154b)가 회동되면서 펌핑스위치(154)를 온오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펌핑레버(154b)는 승강로드(152)의 하강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펌핑레버(154b)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후방에 탄성부재(156)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집수조(110) 내에 집수되는 응결수의 양이 적을 경우 구동부(13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펌핑레버(154b)의 후방에서 펌핑레버(154b)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6)인 인장스프링을 설치하여 구동부(130)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펌핑스위치(154)의 상측에는 안전스위치(15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안전스위치(155)는 집수조(110) 내부에 수위가 일정 한도를 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컨의 제어부에 연결되어 정해진 수위 이상이 되면 에어컨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외부의 경고램프나 경고음 발생기와 같은 표시수단에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이상 상태를 알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스위치(155)는 상기 승강로드(152)의 승하강시 작동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의 스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펌핑스위치(154)와 동일하게 스위치모듈(155a)과, 상기 스위치모듈(155a)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승강로드(152)에 설치되는 자석(155c)과 자력에 의해 접촉될 수 있도록 한 안전레버(155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레버(155b)의 후방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156)가 설치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집수조(110)의 저수위 상태에서 에어컨에서 응결수가 배출되면 집수조(110) 내부의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부구(151)가 상기 승강로드(152)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부구(151)가 승강로드(152)를 따라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게 되면 승강로드(152)상에 마련된 스톱퍼(148)와 접촉되며, 이후 지속적으로 집수조(110) 내의 수위가 상승하면 상기 스톱퍼(148)에 의해 상기 부구(151)와 승강로드(152)가 동시에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로드(152)가 상승하면서 승강로드(152)의 일측 끝단에 마련된 자석(153)이 승강하여 펌핑스위치(154)의 펌핑레버(154b)가 후방에 마련된 탄성부재(156)의 탄성력을 무시하고 상기 승강로드(152) 상에 마련된 자석(153)과 접촉되면서 구동부(130)의 모터(132)가 구동되게 된다.
따라서, 모터(132)의 구동에 의해 펌핑부(140)가 구동되어 집수조(110) 내의 응결수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펌핑부(140)의 작동에 의해 집수조(110)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면 응결수와 접촉된 부구(151)가 하강하면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퍼(148)에 의해 부구(151)에 지지되던 승강로드(152)가 하강하게 된다.
이후, 상기 승강로드(152)의 하강에 따라 승강로드(152)의 자석(153)과 접촉된 펌핑레버(154b)가 자력이 소멸되면서 탄성부재(156)의 탄성력에 의해 펌핑레버(154b)가 회동되게 된다. 이에 따라 펌핑스위치(154)가 오프되면서, 구동부(130)의 모터(132) 구동이 중지되어 결과적으로 펌핑부(140)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100)는 종래와 같은 복잡하고 고가인 센서 및 제어부(PCB기판)의 사용없이 부구(151)의 승하강에 따른 스위치 작동에 의해 온/오프되는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정확하다.
또한, 상기 부구(151)는 상기 승강로드(152)와 별개로 상기 승강로드(152)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 및 승하강되지만, 승강로드(152)에 부구(151)의 독립적인 상승을 제한하는 스톱퍼(148)를 구비함으로써, 수위가 어느 정도 상승하면 승강로드(152)와 부구(151)가 동시에 상승하게 되는 구조임으로 승강로드(152) 상에 마련된 하부의 구속돌기(152a)와 스톱퍼(148)의 간격만큼 승강 스트로크가 감소하여 승강로드(152)의 승강을 위해 필요한 본체(120)의 내부 공간이 감소되므로, 펌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즉, 소형의 에어컨에 사용가능하며, 또한, 일정높이 이상의 응결수가 집수되어야만 모터(132)가 구동됨으로 모터(132)의 잦은 구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노화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집수조(110) 내로 배출되는 응결수의 양이 과도할 경우에는 상기 승강로드(152)가 펌핑스위치(154)를 경유하여 더욱 상승하면서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스위치(155)의 안전레버(155b)가 상기 승강로드(152)에 마련된 자석(153)과 접촉되면서 상기 안전스위치(155)가 온되어 에어컨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한편, 상기 구조와는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경고등 또는 경로음을 통해 경고신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안전스위치(155)는 상기 펌핑스위치(154)의 펌핑레버(154b)가 승강로드(152)와 접촉된 상태에서 집수조(110) 내로 응결수가 지속적으로 집수되어 과도할 경우 승강로드(152)가 상기 펌핑스위치(154)의 높이보다 상승할 경우 안전레버(155b)의 일단이 상기 승강로드(152)와 접촉되어 상기 에어컨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110 : 집수조
120 : 본체 122 : 케이싱
124 : 덮개 126 : 격벽
130 : 구동부 132 : 모터
134 : 구동축 140 : 펌핑부
142 : 임펠러 144 : 임펠러하우징
144a : 유입구 144b : 배출구
150 : 스위칭부 151 : 부구
152 : 승강로드 153 : 자석
154 : 펌핑스위치 154a : 스위치모듈
154b : 펌핑레버 154c : 자석
155 : 안전스위치 155a : 스위치모듈
155b: 안전레버 155c : 자석
156 : 탄성부재 157 : 가이드부재
158 : 스톱퍼

Claims (4)

  1. 응결수가 집수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 내에 위치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집수조 내의 응결수를 펌핑할 수 있도록 한 펌핑부 및 상기 집수조 내에 집수되는 응결수의 양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스위칭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집수조 내에 집수된 응결수의 부력에 의해 승하강 되는 부구와,
    일단이 상기 부구를 관통하도록 연결되고 타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부구가 소정거리 이상 승강되면 부구와 일체로 승강되는 승강로드와,
    상기 승강로드의 승강시 상기 자석이 위치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 펌핑레버가 구비된 펌핑스위치와,
    상기 펌핑레버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자석이 위치된 반대방향으로 상기 펌핑레버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펌핑스위치의 상측에 위치되며 승강로드의 승강시 상기 자석이 위치된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 안전레버가 구비된 안전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치는 상기 펌핑스위치의 펌핑레버가 승강로드와 접촉된 상태에서 집수조 내로 응결수가 지속적으로 집수되어 과도할 경우, 승강로드가 상기 펌핑스위치의 높이보다 상승할 경우 안전레버의 일단이 상기 승강로드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KR1020120072604A 2012-07-04 2012-07-04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KR101334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04A KR101334257B1 (ko) 2012-07-04 2012-07-04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04A KR101334257B1 (ko) 2012-07-04 2012-07-04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4257B1 true KR101334257B1 (ko) 2013-12-02

Family

ID=4998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604A KR101334257B1 (ko) 2012-07-04 2012-07-04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2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721Y1 (ko) 2000-02-01 2000-07-15 주식회사라이스트 에어컨 응축수 배수장치
KR100690938B1 (ko) 2005-03-17 2007-03-09 박국현 냉방기의 응결수 배출시스템
JP4430564B2 (ja) 2005-02-25 2010-03-10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0242994A (ja) 2009-04-02 2010-10-28 Daikin Ind Ltd 液レベル検知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7721Y1 (ko) 2000-02-01 2000-07-15 주식회사라이스트 에어컨 응축수 배수장치
JP4430564B2 (ja) 2005-02-25 2010-03-10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0690938B1 (ko) 2005-03-17 2007-03-09 박국현 냉방기의 응결수 배출시스템
JP2010242994A (ja) 2009-04-02 2010-10-28 Daikin Ind Ltd 液レベル検知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61484A1 (en) Dehumidifier and float assembly thereof
KR101732980B1 (ko) 침수배출기능을 구비한 수중펌프
CN205048654U (zh) 空调扇的缺水保护装置
US20100089086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condensate removal pump
KR101334257B1 (ko) 자력 스위치방식 배수펌프
JP2016191501A (ja) ドレンポンプ装置
KR100942660B1 (ko) 응축수 자동배수장치를 갖는 에어 컴프레셔
US8985964B2 (en) Multiple switch float switch apparatus
CA2963781C (en) Multiple switch float switch apparatus having a magnetic coupling
KR200394001Y1 (ko) 에어컨 응결수 저장통의 만수위 경보장치
CN103015521A (zh) 废水提升装置
CN202145028U (zh) 除湿机
KR20100085690A (ko) 제빙기용 드레인 펌프 유닛
KR20130059164A (ko) 제습기의 수위 감지장치
CN218482149U (zh) 接触发生装置及其空调排水泵
KR100780311B1 (ko) 수위조절장치
KR20080085296A (ko) 수위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210038435A (ko) 이동형 응축물 수용 탱크를 포함하거나 병진 및/또는 회전으로 이동가능한 지지대 상에 장착된 응축물 리프팅 장치
CN102878645B (zh) 除湿机
KR20160028293A (ko) 에어 워셔
CN204830201U (zh) 加湿器
CN211828627U (zh) 一种霍尔开关安装结构及除湿装置
CN211605031U (zh) 沉水泵的开关装置
CN221033175U (zh) 一种冷凝水泵
CN220153816U (zh) 一种漏水检测装置及净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