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7551A -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7551A
KR20030037551A KR1020010068797A KR20010068797A KR20030037551A KR 20030037551 A KR20030037551 A KR 20030037551A KR 1020010068797 A KR1020010068797 A KR 1020010068797A KR 20010068797 A KR20010068797 A KR 20010068797A KR 20030037551 A KR20030037551 A KR 20030037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ating mechanism
water tank
dehumidifier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68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7551A/ko
Publication of KR2003003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5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7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에서, 포집된 수분이 저장되는 수조가 만수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습기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조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응축수의 수위에 상한선이 가변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만수의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는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각 길이가 다른 다수개의 걸림 돌기가 일 측에 형성된 플로팅 기구 및 상기 플로팅 기구를 상기 수조에 연결하는 고정가이드가 포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걸림 돌기와 대면되도록 상기 배리어의 일 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플로팅 기구가 회동될 때에 상기 걸릴 돌기와 접촉 또는 이격되어 만수로 감지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센서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A water tank's briming perception apparatus for the dehumidifier}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에서, 포집된 수분이 저장되는 수조가 만수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습기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조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응축수의 수위에 상한선이 가변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만수의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냉동 사이클이 이용되어 강제 흡입된 실내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제거된 후에 실내로 배출됨으로써, 실내 공기를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의 제습기는 캐비닛(1)의 내부에 증발기(2)와 응축기(3)로 이루어져 제습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4)와, 이 열교환기(4)의 다음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의 흡입구 측에는 흡입 공기 중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필터(6)가 설치되고, 토출구 측에 습기가 제공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전면 그릴(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의 하부에는 받침판(8)이 결합되고, 상기 받침판(8)의 상부에는 배리어(9)가 세워지며, 이 배리어(9)의 양측에는 상기 열교환기(4)로부터 제습된 물을 모아두는 수조(11)와 상기 증발기(2) 및 응축기(3)에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10)가 각각 설치된다.
특히, 상기 열교환기(4)의 하부에는 증발기(2)에서 떨어진 응축수를 모아 상기 수조(11)로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 팬(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11)는 만수가 되었을 때 일정 회동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홈부(11a)가 형성되고, 상기 배리어(9)에는 상기 홈부(11a)가 걸리도록 걸이부(9a)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습기는 상기 압축기(10) 및 송풍팬(5)이 작동함에 따라 실내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다음, 증발기(2)와 응축기(3)로 이루어진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후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2)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드레인 팬(12)으로 떨어지고, 상기 드레인 팬(12)에 고인 응축수는 드레인 홀을 통해 수조(11)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조(11)에 응축수가 고여 만수가 되면 배리어(9)의 걸이부(9a)를 중심으로 일정 회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배리어(9)에 설치된 판 스프링(13)의 하단부를 밀면서 센서(15)를 눌러 수조(11)가 만수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습기는 수조(11)가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하중에 의해 회동하면서 만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조(11)의 만수 상태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만수량을 감지하기 위한 응축수의 설정 수위를 변경하기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 여부를 감지하는 수단이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만수의 신호를 출력하는 응축수의 설정 수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수조의 만수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만수의 신호가 출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용 수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용 수조의 수위감지수단이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용 수조의 플로팅 기구 및 고정가이드가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가 도시된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 : 캐비닛 52 : 증발기
53 : 응축기 54 : 열교환기
55 : 압축기 56 : 송풍팬
57 : 수조 59 : 배리어
60 : 드레인 팬 70 : 플로팅 기구
71 : 플로팅부 73 : 상면부
75 : 접촉 레버부 75a : 제 1 걸림 돌기
75b : 제 2 걸림 돌기 77 : 회동중심돌기
77a : 안착홈 79 : 수위감지수단
80 : 센서 90 : 고정가이드
92 : 고정부 92a : 고정홀
94 : 지지돌기 96 : 체결부
96a : 체결홀 98 : 안착돌기
99 : 걸림턱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는 캐비닛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열교환기에서 떨어진 응축수를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전방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구획하는 배리어가 포함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의 응축수 수위에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만수로 감지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각각 길이가 다른 다수개의 걸림 돌기가 일 측에 형성된 플로팅 기구 및 상기 플로팅 기구를 상기 수조에 회동 가능토록 연결하는 고정가이드가 포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걸림 돌기와 대면되도록 상기 배리어의 일 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플로팅 기구의 설치 위치가 결정되면 설치 위치와 대응되는 하나의 상기 걸림 돌기와 대면되며, 상기 플로팅 기구가 회동될 때에 상기 걸릴 돌기와 접촉 또는 이격되어 상기 수조의 만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의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가 도시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전면과 후면에 토출구 및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51)과, 상기 캐비닛(51) 내부를 구획하며, 각종 부재가 장착될 수 있도록상기 캐비닛(51) 내부 중앙에 설치되는 배리어(59)와,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배리어(59) 상측에 설치되는 송풍팬(56)과, 상기 송풍팬(56)에 의해 흡입된 실내 공기가 지나면서 수분이 제거되도록 응축기(53)와 증발기(52)로 구성되어 상기 흡입구 내측에 설치되는 열교환기(54)와, 상기 열교환기(54)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고온, 고압으로 압축되어 냉동 사이클을 이루도록 상기 배리어(59)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축기(55)와, 상기 열교환기(54)에 흡착된 응축수를 모아 일 측으로 흐르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열교환기(54)의 하측에 설치되는 드레인 팬(60)과, 상기 드레인 팬(60)으로부터 흐른 응축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드레인 팬(60) 하측, 상기 배리어(59)의 후방에 설치되는 수조(57)와, 상기 수조(57)의 상면 및 상기 배리어(59)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57) 내의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만수가 되면 신호를 출력하는 만수감지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용 수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수조(57)는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 측 하단에 수조(57)를 이탈시켜 수조(57)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마개(57a)로 개폐할 수 있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만수감지장치가 작동 중에 기타 부재와 접촉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으로부터 일 측면에 이르기까지 상기 만수감지장치가 위치되는 골(57b)이 형성된다.
상기 만수감지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57)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57) 내의 응축수량을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79)과, 상기 수위감지수단(79)의 변위적 신호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켜 송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리어(59) 일 측에 설치되는 센서(80)와, 상기 센서(80)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표시수단(미도시)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용 수조의 수위감지수단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수위감지수단(79)은 상기 수조(57)의 상면에 형성된 홀의 입구에 설치되어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회동되는 플로팅 기구(70)와, 상기 플로팅 기구(70)를 상기 수조(57)의 상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조(57)의 상면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고, 상기 플로팅 기구(70)가 회전 가능토록 힌지 결합되는 고정가이드(90)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용 수조의 플로팅 기구 및 고정가이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플로팅 기구(70)는 상기 수조(57) 내부에 배치되어 응축수의 수면을 따라 상승, 하강 운동하는 플로팅부(71)와, 상기 플로팅부(71)를 상기 수조(57)의 외부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센서(8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플로팅부(71)의 상측에서 연장된 상면부(73)와, 상기 상면부(73)에서 절곡되면서 연장되어 상기 센서(80)에 변위적 신호를 전달하는 접촉 레버부(75)와, 상기 플로팅부(71)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 기구(70)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돌출된 한 쌍의 회동중심돌기(77)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플로팅부(71)는 'ㄱ'자 모양으로 절곡된 막대 모양으로 형성되어 응축수의 수면에 떠서 상승, 하강 운동되도록 중공되며, 절곡 부위에 상기 플로팅부(71)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격벽(71a)이 형성됨으로써, 하면이 개방된 상기 하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응축수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게 되고, 상기 하부 내의 공기가 유실되어 응축수면을 따라 상승되지 못하여도 상기 상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상기 플로팅부(71)는 응축수면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로팅부(71)의 상부는 단면 형상이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바닥면이 개방된 형태이고, 상기 플로팅부(71)의 하부는 단면 형상이 원 모양을 이루며, 상기 격벽(71a)은 상기 플로팅부(71)를 상부 및 하부로 구획함으로써, 2차 안전 장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의 일면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73)는 상기 플로팅부(71)가 상기 고정가이드(90)에 힌지 결합된 부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플로팅부(71)의 상승, 하강 운동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80)가 위치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상기 접촉 레버부(75)는 상기 플로팅부(71)가 수면을 따라 하강되면 회동중심돌기(77)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승되면서 상기 센서(80)와 접촉되고, 플로팅부(71)가 수면을 따라 상승되면 회동중심돌기(77)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센서(80)와 떨이지면서 만수 여부가 감지되도록 한 것으로써, 상기 상면부(73)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리어(59)의 일 측에 설치된 상기 센서(8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점차적으로 상기 센서(80)에 가까운 방향으로 기울기가 형성되어 절곡되며, 그 단부엔 상기 센서(80)와의 접촉 면적이 가변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2 걸림 돌기(75a,75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2 걸림 돌기(75a,75b)는 한 쌍이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바, 상기 제 1 걸림 돌기(75a)는 제 2 걸림 돌기(75b)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 1 걸림 돌기(75a)에 상기 센서(80)가 접촉되면 만수 여부를 결정하는 설정치가 증가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제 2 걸림 돌기(75b)에 상기 센서(80)가 접촉되면 설정치가 감소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중심돌기(77)는 상기 플로팅부(71)의 상부 양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가이드(9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그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안착홈(77a)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가이드(90)에 삽입될 때에 좌측에 형성된 안착홈(77a)에 상기 고정가이드(90)가 걸려지도록 설치되면 상기 플로팅 기구(70)가 우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고, 우측에 형성된 안착홈(77a)에 상기 고정가이드(90)가 걸려지도록 설치되면 상기 플로팅 기구(70)가 좌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플로팅 기구(70)가 좌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면 상기 센서(80)가 접촉 레버부(75)의 우측에 형성된 제 2 걸림 돌기(75b)와 접촉하게되고, 상기 플로팅 기구(70)가 우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되면 센서(80)가 접촉 레버부(75)의 좌측에 형성된 제 1 걸림 돌기(75a)와 접촉하게 되므로 걸림 돌기의 길이에 따라 만수의 신호가 출력되는 응축수의 설정 수위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고정가이드(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조에 형성된 홀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 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부(92)와, 타 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기(94)와, 상기 플로팅 기구(70)의 조립성을 향상시켜 고정하고, 상기 플로팅 기구(70)의 상승 운동의 상한 높이를 한정할 수 있도록 양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하측을 향해 돌출된 체결부(96)와, 상기 한 쌍의 체결부(96)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 기구(70)의 접촉 레버부(75)의 내벽에 형성된 홈에 걸려져 상기 플로팅 기구(70)의 탈거를 방지하는 안착돌기(98)와, 상기 플로팅 기구(70)의 동작 거리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플로팅 기구(70)가 삽입되는 홀 내벽에 형성된 반원 모양의 걸림턱(99)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92)는 상기 수조(57)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가이드(90)가 상기 수조(57)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홀(92a)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된다.
상기 지지돌기(94)는 상기 고정가이드(90)가 측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플로팅 기구(70)가 좌우로 유동되어 내부에 담겨진 공기의 유실로 생기는 오작동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체결부(96)는 한 쌍이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팅 기구(70)에 형성된 회전중심돌기(77)가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체결홀(96a)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회동중심돌기(77)의 둘레면에 형성된 안착홈(77a)이 홀에 끼워지므로 사용자의 조작으로 상기 플로팅 기구(7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수단(미도시)은 상기 센서(8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만수의 신호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캐비닛(51) 외벽에 램프를 설치하거나, 감지음 발생기 등을 설치하여 청각적인 신호를 출력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감지장치에서 만수 시 작동 작동도이다..
먼저, 전원이 인가되어 제습기가 가동되면 상기 송풍팬(56)에 의해 실내 공기가 강제 유동되어 흡입되고,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54)를 지나면서 수분이 제거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54)에 흡착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 팬(60)에 고여 상기 수조(57)로 이동되고, 계속된 운전에 의해 상기 수조(57)의 응축수 수위가 상승하면 상기 플로팅 기구(70)가 상기 회동중심돌기(77)를 중심으로 상기 플로팅부(71)는 상승하고, 상기 상면부(73) 및 상기 접촉 레버부(75)는 하강하면서 상기 센서(80)와 접촉 레버부(75)가 떨어져 만수의 신호가 발생되고, 이를 상기 표시수단(미도시)으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수조에 응축수가 만수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플로팅 기구(70)를 우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하면 상기 센서(80)는 접촉 레버부(75)의 좌측에 형성된 제 1 걸림 돌기(75a)와 접촉되어 상대적으로 응축수의 만수시의 수위가 높게 설정되고, 플로팅 기구(70)를 좌측으로 치우치게 설치하면 상기 센서(80)가 플로팅 레버부(75)의 우측에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제 2 걸림 돌기(75b)와 접촉되므로 응축수의 수위가 전자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만수시의 수위가 낮게 설정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만수시의 설정 수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걸림 돌기를 3개 이상 다수개로 형성하여 다양하게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는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 유동되는 플로팅 기구가 설치되고, 플로팅 기구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만수를 감지하게 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 돌기가 플로팅 기구에 형성됨으로써, 수조의 만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만수의 신호가 출력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어 보다 안정되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운전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캐비닛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열교환기에서 떨어진 응축수를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전방에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구획하는 배리어가 포함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조의 응축수 수위에 따라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만수로 감지되는 응축수의 수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각각 길이가 다른 다수개의 걸림 돌기가 일 측에 형성된 플로팅 기구 및 상기 플로팅 기구를 상기 수조에 회동 가능토록 연결하는 고정가이드가 포함되는 수위감지수단과;
    상기 걸림 돌기와 대면되도록 상기 배리어의 일 측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플로팅 기구의 설치 위치가 결정되면 설치 위치와 대응되는 하나의 상기 걸림 돌기와 대면되며, 상기 플로팅 기구가 회동될 때에 상기 걸릴 돌기와 접촉 또는 이격되어 상기 수조의 만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외벽 또는 내부 어느 한 곳에는 상기 만수감지수단의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표시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기구는 내부가 중공되고,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조의 수면을 따라 상승 및 하강되는 플로팅부와; 상기 플로팅부의 상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만수감지수단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플로팅부의 회동을 외부로 전달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센서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절곡되고, 단부에 상기 걸림 돌기가 형성된 접촉 레버부와; 상기 플로팅 기구의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플로팅 기구가 상기 고정가이드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둘레면에 다수개의 안착홈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중심돌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는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로팅 기구가 삽입되고,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플로팅 기구의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도록 타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와; 양측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하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안착부가 걸려지는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부는 중공된 내부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하는 격벽이 절곡 부위에 형성되어 하부의 공기가 유실되어도 상부에 공기가 충진되어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 사이에는 상기 플로팅 기구의 접촉 레버부의 내벽에 걸려져 상기 플로팅 기구의 탈거를 방지하는 안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기구가 삽입되는 홀의 내벽에는 수평 방향의 반원 모양으로 일체화되어 상기 플로팅 기구의 동작 거리를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KR1020010068797A 2001-11-06 2001-11-06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KR20030037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97A KR20030037551A (ko) 2001-11-06 2001-11-06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97A KR20030037551A (ko) 2001-11-06 2001-11-06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551A true KR20030037551A (ko) 2003-05-14

Family

ID=2956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797A KR20030037551A (ko) 2001-11-06 2001-11-06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755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619A (ko) * 2002-10-01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KR101028076B1 (ko) * 2003-12-18 2011-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용 버킷의 만수감지장치
KR101233197B1 (ko) * 2006-01-24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160063740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619A (ko) * 2002-10-01 2004-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KR101028076B1 (ko) * 2003-12-18 2011-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용 버킷의 만수감지장치
KR101233197B1 (ko) * 2006-01-24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160063740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만수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5618B1 (en) Device for detecting full dehumidifier water tank
KR101680425B1 (ko) 제습기
CN104949215A (zh) 除湿机
KR20030037551A (ko)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KR101166196B1 (ko) 제습기
KR100420505B1 (ko)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KR101166197B1 (ko) 제습기
KR101028076B1 (ko) 제습기용 버킷의 만수감지장치
KR100381159B1 (ko) 제습기용 수조의 수위감지장치
KR20140027809A (ko) 제습장치
KR102216719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수 배수 장치
KR101233197B1 (ko) 제습기
KR100371345B1 (ko)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KR20030024267A (ko)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KR100360439B1 (ko) 제습기의 만수감지장치
KR20040029619A (ko)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KR102139488B1 (ko) 천장형 제습기
KR20020017458A (ko) 제습기용 수조의 수위감지장치
KR101123321B1 (ko) 제습기
KR20070044210A (ko) 제습기 및 그에 따른 응축수 수위감지방법
KR100409003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KR20070048463A (ko) 제습기
KR20070048464A (ko) 제습기
JP2003279067A (ja) 空気調和機
KR20040031204A (ko) 제습기의 버킷 만수 감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