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345B1 -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345B1
KR100371345B1 KR10-2000-0043468A KR20000043468A KR100371345B1 KR 100371345 B1 KR100371345 B1 KR 100371345B1 KR 20000043468 A KR20000043468 A KR 20000043468A KR 100371345 B1 KR100371345 B1 KR 100371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drain pan
drain
opening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187A (ko
Inventor
곽명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0-0043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345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조가 입출입될 때 드레인 팬으로부터 응축수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청결한 주변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이와 같은 본 발명은,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제습 작용을 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위치되어 증발기에서 떨어진 응축수를 포집하는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드레인 팬에 포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와, 상기 드레인 팬의 하부에 위치되어 응축수를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끝단을 개폐시켜 수조 이탈시 응축수의 낙하를 방지하는 개폐 수단이 포함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는 끝단부가 수조의 삽입 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상측에는 수조가 삽입될 때 상기 개폐 수단을 회동시켜 상기 드레인 파이프가 개방되도록 하는 푸시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The drain apparatus for a dehumidifier}
본 발명은 실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조가 입출입될 때 드레인 팬으로부터 응축수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청결한 주변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의 제습기는 캐비닛(1)의 내부에 증발기(2)와 응축기(3)로 이루어져 제습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4)와, 이 열교환기(4)의 다음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의 흡입구측에는 흡입 공기중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제거토록 필터(6)가 설치되고, 토출구측에 습기가 제공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전면 그릴(7)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의 하부에는 받침판(8)이 결합되고, 상기 받침판(8)의 상부에는 배리어(9)가 세워지며, 이 배리어(9)의 양측에는 상기 열교환기(4)로부터제습된 물을 모아두는 수조(11)와 상기 증발기(2) 및 응축기(3)에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10)가 각각 설치된다.
특히, 상기 열교환기(4)의 하부에는 증발기(2)에서 떨어진 응축수를 모아 상기 수조(11)로 배출할 수 있도록 드레인 팬(12)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습기는 상기 압축기(10) 및 송풍팬(5)이 작동함에 따라 실내 공기가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다음, 증발기(2)와 응축기(3)로 이루어진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제습된 후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2)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드레인 팬(12)으로 떨어지고, 상기 드레인 팬(12)에 고인 응축수는 드레인 홀(12a)을 통해 수조(11)에 저장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습기는 상기 수조(11)를 캐비닛(1) 하부에 넣거나 뺄 때 상기 드레인 팬(12)으로부터 응축수가 캐비닛(1)의 바닥이나 주변으로 흘러나오기 때문에 제습기의 주변 환경이 청결하지 못하고, 응축수 배출 구조에 있어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캐비닛 내부로부터 수조가 이탈되면 자동으로 응축수가 드레인되는 통로를 막아주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습기의 주변 환경이 청결해짐과 아울러 응축수 배출 구조에 있어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습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가 구비된 제습기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수조 장착시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수조 이탈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캐비닛 52 : 증발기
53 : 응축기 54 : 열교환기
55 : 압축기 56 : 송풍팬
57 : 수조 57a : 푸시 레버
60 : 드레인 팬 65 : 드레인 파이프
70 : 개폐 밸브 71 ; 개폐 플레이트
72 : 힌지 73 : 패킹 부재
75 : 리턴 스프링 77 : 작동레버
80 : 수조감지 스위치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는,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제습 작용을 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위치되어 증발기에서 떨어진 응축수를 포집하는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드레인 팬에 포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와, 상기 드레인 팬의 하부에 위치되어 응축수를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끝단을 개폐시켜 수조 이탈시 응축수의 낙하를 방지하는 개폐 수단이 포함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는 끝단부가 수조의 삽입 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상측에는 수조가 삽입될 때 상기 개폐 수단을 회동시켜 상기 드레인 파이프가 개방되도록 하는 푸시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가 구비된 제습기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수조 장착시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수조 이탈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캐비닛(51)의 내부에 증발기(52)와 응축기(53)로 이루어져 제습 작용을 수행하는 열교환기(54)와, 이 열교환기(54)의 다음에 위치되어 실내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송풍팬(56)이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51)의 하부에는 상기 증발기(52) 및 응축기(53)에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55)와, 상기 증발기(52)로부터 제습된 물을 저장하는 수조(57)가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54)와 수조(57)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52)에서 떨어진 응축수를 포집하는 드레인 팬(60)이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 팬(60)의 하측에서 드레인 팬(60)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팬(60)의 응축수를 수조(57)로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6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65)는 그 끝단부가 상기 수조(57)의 삽입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 상기 수조(57)를 빼냈을 때 드레인 팬(60)의 응축수가 하측으로 적하되지 않도록 상기 드레인 파이프(65)의 끝단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70)가 설치되고, 상기 수조(57)의 상측에는 드레인 팬(60) 방향으로 돌출된 후 상기 개폐밸브(7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조(57)가 상기 캐비닛(51) 내에 삽입될 때 상기 개폐 밸브(70)를 작동시켜 드레인 파이프(65)가 개방시키는 푸시 레버(57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 밸브(70)는 상기 드레인 팬(60)의 하부에 힌지(72)로 연결되고 상기 수조(57)의 푸시 레버(57a)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드레인 파이프(65)의 끝단을 개방하는 개폐 플레이트(71)와, 일단은 상기 드레인 팬(60)의 하부에 결착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 플레이트(71)의 상부에 결착되어 푸시 레버(57a)가 개폐 플레이트(71)로부터 이탈될 때 개폐 플레이트(71)가 드레인 파이프(65)의 끝단을 막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75)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 플레이트(71)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65)의 끝단부에 접촉되는 전면에 부착되어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패킹 부재(73)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개폐 플레이트(71)가 리턴 스프링(75)에 의해 복귀될 때 패킹 부재(73)가 상기 드레인 파이프(65)의 끝단에 접촉되어 누수를 방지한다.
또, 상기 개폐 플레이트(71)의 상단부에는 개폐 플레이트(71)와 수직하게 작동레버(77)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작동레버(77)는 상기 드레인 팬(60)의 하부에는 설치된 수조감지 스위치(80)를 온 오프시켜 수조의 내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캐비닛(51)의 하부에 수조(57)를 삽입하여 장착하게 되면 수조(57)의 푸시 레버(57a)가 개폐 밸브(70)의 개폐 플레이트(71) 상단부를 밀어 회전시킴에 따라 개폐 플레이트(71)에 의해 막혀 있던 드레인 파이프(65)의 끝단부가 개방된다. 따라서, 드레인 팬(60)에 포집된 응축수가 드레인 파이프(65)를 따라 흐른 다음 하측의 수조(57)로 적하된다.
즉, 수조(57)가 장착된 상태에서 열교환기(54)에서 떨어진 응축수는 드레인 팬(60)에 포집된 후, 드레인 파이프(65)를 통해 수조(57)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 플레이트(71)가 회전함에 따라 작동레버(77)가 회전되므로, 작동레버(77)의 선단이 수조감지 스위치(80)에 접촉되어 수조 감지스위치(80)를 온 시킴으로써 수조(57)가 장착되어 있음을 알리게 된다.
그런데, 수조(57)가 만수가 되거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수조(57)를 캐비닛(51)의 내부에서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개폐 플레이트(71)를 밀고 있던 푸시 레버(57a)의 힘이 제거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 스프링(75)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71)가 회동되어 드레인 파이프(65)의 끝단을 막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드레인 팬(60)으로부터 드레인 파이프(65)를 통해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며, 개폐 플레이트(71)에 막혀 있는 드레인 파이프(65) 및 드레인 팬(60)의 내부에 고여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 플레이트(71)가 회전됨에 따라 작동레버(77) 역시 회전되어 작동레버(77)의 끝단이 수조감지 스위치(80)에서 이탈되어 수조감지 스위치(80)를 오프시킴으로써 수조(57)가 장착되어 있지 않음을 알리게 된다.이와 같이, 상기 수조감지 스위치(80)의 온 오프에 따라 수조(57)의 입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수조감지 스위치(80)의 온 오프와 압축기(55)의 동작을 연동시켜 수조(57)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압축기(55)가 동작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압축기(55)가 동작되지 않으면 증발기(52)에서 공기중의 습기가 응축되지 않게 되므로, 응축수가 증가되지 않아 응축수가 드레인 팬(60)을 넘쳐 흐르지 않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는 캐비닛 내부로부터 수조가 이탈되면 자동으로 드레인 통로를 막아주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습기의 주변 환경이 청결해지고, 응축수 배출 구조에 대한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또, 수조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수조가 장착된 경우에만 압축기 등이 구동되도록 하여 응축수가 드레인 팬을 넘쳐 흐르지 않도록 하는 다른 이점이 있다.또한, 드레인 파이프의 끝단을 막아주는 개폐 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푸시 수단이 수조의 상측에 설치되므로 수조를 최대한 케이스의 안쪽으로 장착할 수 있는 다른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캐비닛 내에 설치되어 제습 작용을 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위치되어 증발기에서 떨어진 응축수를 포집하는 드레인 팬과, 상기 드레인 팬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드레인 팬에 포집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 파이프와, 상기 드레인 팬의 하부에 위치되어 응축수를 저장하는 수조와,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끝단을 개폐시켜 수조 이탈시 응축수의 낙하를 방지하는 개폐 수단이 포함된 제습기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는 끝단부가 수조의 삽입 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상측에는 수조가 삽입될 때 상기 개폐 수단을 회동시켜 상기 드레인 파이프가 개방되도록 하는 푸시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드레인 팬의 하부에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수조의 푸시 수단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가 개방되도록 하는 개폐 플레이트와, 일단은 상기 드레인 팬의 하부에 결착되고 타단은 상기 개폐 플레이트에 결착되어 상기 개폐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푸시 수단이 이탈될 때 상기 개폐 플레이트가 드레인 파이프를 막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플레이트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를 막을 때 누수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드레인 파이프와 접촉되는 전면에 부착된 패킹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조의 삽입 여부를 감지하는 수조감지 스위치와,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상단부에서 돌출되고 선단부가 상기 수조감지 스위치에 접촉되어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회동에 따라 상기 수조감지 스위치를 온오프시키는 작동 레버로 이루어진 수조감지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수단은 상기 수조의 상면에서 드레인 팬 방향으로 일정 정도 돌출되어 상기 개폐 수단 방향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KR10-2000-0043468A 2000-07-27 2000-07-27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KR100371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468A KR100371345B1 (ko) 2000-07-27 2000-07-27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468A KR100371345B1 (ko) 2000-07-27 2000-07-27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187A KR20020010187A (ko) 2002-02-04
KR100371345B1 true KR100371345B1 (ko) 2003-02-06

Family

ID=1968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468A KR100371345B1 (ko) 2000-07-27 2000-07-27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3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1013A (zh) * 2018-06-25 2018-12-11 安徽贵杰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空气除湿机壳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5202B1 (ko) * 2015-09-30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KR101962196B1 (ko) * 2017-01-17 2019-07-17 김석주 분진 제거장치의 연결구를 가지는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
CN113776134B (zh) * 2021-08-11 2022-10-2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控制除湿机的方法及装置、除湿机、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1013A (zh) * 2018-06-25 2018-12-11 安徽贵杰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空气除湿机壳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187A (ko) 200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5618B1 (en) Device for detecting full dehumidifier water tank
KR101400710B1 (ko) 제습기의 간편한 자동배수 구조
JP7087800B2 (ja) 除湿機
US8033131B2 (en) Easily-drainable dehumidifier
KR100371345B1 (ko)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 장치
KR20110031934A (ko) 드레인이 용이한 제습기
KR101935256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배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20130059163A (ko) 제습기의 배수구조
CA2681513C (en) Easily-drainable dehumidifier
KR100471449B1 (ko) 제습기의 응축수 배수 장치
KR100381159B1 (ko) 제습기용 수조의 수위감지장치
KR100381169B1 (ko)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장치
KR100420505B1 (ko)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KR20040029622A (ko) 제습기의 응축수 배출차단장치
KR20050083418A (ko) 제습기의 누수 방지장치
KR100360439B1 (ko) 제습기의 만수감지장치
KR20030037551A (ko) 제습기용 수조의 만수감지장치
KR20020017458A (ko) 제습기용 수조의 수위감지장치
KR20020018340A (ko) 건조 호스가 구비된 제습기
KR20040036138A (ko) 제습기의 응축수 배출차단장치
JP2003262359A (ja) 除湿機
KR20020088810A (ko) 제습기용 드레인 팬의 물 흐름 방지장치
KR0127613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KR20050088607A (ko) 제습기의 배수 구조
JP2556820Y2 (ja) 除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