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613Y1 -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613Y1
KR0127613Y1 KR2019950045311U KR19950045311U KR0127613Y1 KR 0127613 Y1 KR0127613 Y1 KR 0127613Y1 KR 2019950045311 U KR2019950045311 U KR 2019950045311U KR 19950045311 U KR19950045311 U KR 19950045311U KR 0127613 Y1 KR0127613 Y1 KR 0127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evaporator
drainage
air conditione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5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373U (ko
Inventor
김남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45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613Y1/ko
Publication of KR970044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3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콘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수리 및 A/S시 실내기(10)내의 모든 부품들을 용이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증발기(70)에서 형성된 증발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증발기(70)의 하부에 대하여 전면판넬(100)에 일체적으로 증발수받이(10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기의 외부로 배수되지 못한 증발수받이에 쌓여 있는 먼지등의 이물질등을 손쉽게 청소할 뿐만 아니라, 실내기의 증발기 및 기타 내장부품등을 수리 및 A/S시 실내기의 모든 부품을 용이하게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제1도는 종래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실내기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기 70 : 증발기
30 : 그릴부재 100 : 전면판넬
100a : 걸림부 101 : 증발수받이
101a : 증발수안내부
본 고안은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증발수받이를 실내기의 전면판넬에 일제화 시켜 증발수받이를 청소하거나 또는, A/S나 분해조립시 간단한 방법으로 할 수 있는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1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도시않됨)를 매개로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보디부재(20)와, 실내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도록 상기 보디부재(20)의 전면에 정착되는 그릴부재(30)와, 상기 그릴부재(30)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중에 부유하는 이물질등이 깨끗하게 필터링하도록 그릴부재(30)를 매개로 후측 상부에 착탈가능케 장착된 에어필터(40)와, 상기 그릴부재(3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풍향조절하도록 그릴부재(30)를 매개로 후측 하부에 장착된 블레이드수단(50)과, 상기 그릴부재(30)의 상부를 통하여 흡입된 실내공기가 그릴부재(30)의 하부를 통하여 다시 토출되도록 상기 보디부재(20)에 장착된 에바케이싱(60)과, 상기 그릴부재(3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하도록 내부에 경사지게 장착된 증발기(7)와, 상기 증발기(70)에서 발생되는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증발수를 한 곳으로 집수하여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증발기(70)의 하부에 장차된 배수수단(80)과, 상기 그릴부재(30)의 상부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70)에 의해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를 그릴부재(30)의 하부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하도록 상기 보디부재(20)에 장착된 블로워 팬(9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그릴부재(30)에는 그 상부측 전면에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흡입구(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측 전면에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다시 시애로 토출되도록 토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수수단(80)은 상기 증발기(70)에서 발생되는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함께 증발수를 한 곳으로 집수함과 동시에 집수된 증발수 및 이물질을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81)를 통항 원활히 배수되도록 증발기(70)의 하부에서 상기 배수구(81)측이 낮은 위치로 경사지게 장착된 증발수받이(82)와, 상기 증발수받이(82)에 집수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증발수를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증발수받이(82)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81)와 연통되게 결합된 배수호스(83)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어콘은, 실내기(10)의 온 작동에 따라 실내기(10)내에 장착된 블로워 팬(90)이 전원을 인가받아 가동되면, 이 블로워 팬(90)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공기는 제2도에 도시한 점선 화살표방향과 같이 그릴부재(3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하여 실내기(10)내부로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구(31)의 후측에 근접되게 장착된 에어필터(40)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이물질등이 필터링되어 지고, 이 에어필터(40)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증발기(70)를 통과하면서 증발기(70)와 접촉되어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됨과 동시에 에바케이싱(60)의 안내를 받아 그릴부재(3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3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공간을 낮은 실내온도로 차갑게 냉방시켜 주게 된다.
이때, 증발기(70)에는 그 전면을 통과하는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켜 줄 때 실내공기의 온도와 증발기(70)의 온도차에 의해 그 표면에 많은 량의 이슬맺힌현상, 즉 증발수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표면에 에어필터(40)에 의해 필터링되지 못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함께 증발수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 설치된 증발기(70)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림과 동시에 증발기(70)의 하부에 장착된 배수수단(80)의 증발수받이(82)에 집수되어 진다.
그리고, 증발수받이(82)에 집수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증발수는 증발수받이(82)의 경사구배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81)로 모임과 동시에 배수구(81)와 연결된 배수호수(83)에 안내되어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되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의하면, 증발수받이(82)내에 쌓인 먼지등의 이물질을 청소할 경우 실내기(10)를 완전히 분해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쉽게 청소할 수 없어 A/S수리가 불가피하였고, 이러한 완전분해 작업에 의해 에어콘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증발수받이를 전면판넬의 하부에 일체화 시켜 전면판넬을 분해하면, 실내기의 내장부품등을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고, 증발수받이내에 쌓인 먼지등의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는,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수리 및 A/S시 실내기내의 모든 부품들을 용이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증발기에서 형성된 증발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대하여 전면판넬에 일체적으로 증발수받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지지부재를 매개로 벽면에 밀착되는 보디부재(20)와, 상기 보디부재(20)의 전면에 그릴부재(30)가 상하운동하도록 힌지(30a)에 의해 장착되어 있고, 상기 그릴부재(30)의 후측에 전면판넬(10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면판넬(100)은 상기 그릴부재(30)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중에 부유되는 이물질등을 깨끗하게 필터링하도록 상기 전면판넬(100)의 중앙이 개구되어 상하부에 걸림부(100a)를 형성하여 착탈가능케 장착된 에어필터(40)와, 상기 그릴부재(30)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 하도록 내부에 경사지게 장착된 증발기(70)와, 상기 증발기(70)에서 발생되는 먼지등의 이물질과 증발수를 한 곳으로 집수하도록 상기 전면판넬(100)의 하부 일측에 일체적으로 구비된 증발수받이(101)로 이루어져 있다.
또, 상기 증발수받이(101)는 증발기(70)에서 형성된 증발수의 흐름을 원할히 하도록 증발수안내부(101a)가 상기 증발수받이(10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실내기(10)의 가동시 블로워 팬(90)의 가동에 따라 그릴부재(30)의 흡입구(30)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증발기(70)를 통과하면서 증발기(70)의 표면온도와 실내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이 이루어질 때 증발기(70)의 표면에 형성된 증발수(예컨데, 이슬맺힘현상)는 에어필터(40)에 이해 필터링되지 못하고 통과되어 증발기(70)의 표면에 달라붙은 먼지등의 이물질과 혼합됨과 동시에 일정한 각도를 경사지게 세워 설치된 증발기(70)의 표면에 따라 하부로 흘러 내려 전면판넬(10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증발수받이(101)로 안내되어 진다.
또, 상기 증발수받이(101)의 중앙에는 상기 증발기(70)에서 형성된 증발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증발수안내부(101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전면판넬(10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증발수받이(101)로 안내된 증발수는 증발수받이(101)의 하부에 장착된 배수수단(80)을 통하여 배수호수(83)의 안내를 받아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되어 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배수수단(80)을 통하여 배수호수(83)의 안내를 받아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되지 못해 증발수받이(101)에 쌓여 있는 먼지등의 이물질등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내기(10)의 전면상측에 힌지(30a)에 의해 상하유동되는 그릴부재(30)를 상부로 열고 상기 그릴부재(30)의 후측에 장착된 전면판넬(100)을 분해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판넬(10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증발수받이(101)가 용이하게 분해하므로 상기 증발수받이(101)에 쌓여 있는 먼지 및 이물질등을 깨끗히 청소하여 준다.
그리고, 상기 증발수받이(101)가 전면판넬(100)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기(10)의 증발기(70) 및 기타 내장부품을 수리 및 A/S시 모든 부품을 분해 조립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없을 분만 아니라, A/S수리율을 감소시킬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콘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의하면, 전면판넬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증발수받이를 구비하여 증발기에서 형성된 증발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며, 상기 증발수받이의 증발수에 포함된 먼지등의 이물질등을 손쉽게 청소할 뿐만 아니라, 실내기의 증발기 및 기타 내장부품등을 수리 및 A/S시 실내기의 모든 부품을 용이하게 분해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수리 및 A/S시 실내기(10)내의 모든 부품들을 용이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증발기(70)에서 형성된 증발수의 흐름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증발기(70)의 하부에 대하여 전면판넬(100)에 일체적으로 증발수받이(10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수받이(101)는 상기 증발기(70)에 접촉되도록 상기 증발수받이(101)의 상면에 대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적으로 돌출된 증발수안내부(101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실내기의 배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수안내부(101a)는 상기 증발수받이(101)의 상면 중앙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의 실내기의 배수장치.
KR2019950045311U 1995-12-21 1995-12-21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KR0127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311U KR0127613Y1 (ko) 1995-12-21 1995-12-21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5311U KR0127613Y1 (ko) 1995-12-21 1995-12-21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373U KR970044373U (ko) 1997-07-31
KR0127613Y1 true KR0127613Y1 (ko) 1999-01-15

Family

ID=19436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5311U KR0127613Y1 (ko) 1995-12-21 1995-12-21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6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8903A (zh) * 2018-08-15 2021-06-01 金亨淳 空调室内机的组装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88903A (zh) * 2018-08-15 2021-06-01 金亨淳 空调室内机的组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373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6396B1 (en) Air conditioner
JPH11226331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JPH11257680A (ja) 空気調和機の凝縮水排水装置
EP2181293B1 (en) Air conditioner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2520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GB2203830A (en) A movable air-conditioning set
KR0127613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CN101790664A (zh) 空调
KR0139329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JPH097256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239464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KR200154579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전면그릴 설치구조
KR015670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CN219868205U (zh) 移动式空调器
KR10058429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프레임 장착구조
CN219868409U (zh) 双风管固定组件及移动式空调器
CN219868454U (zh) 底盘组件及移动式空调器
KR0122704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KR100236018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JPH0334569Y2 (ko)
JP2006234259A (ja) 吸込ポンプ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0154580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전면그릴 설치구조
KR100267996B1 (ko) 공기조화기의흡입구개폐장치
JPS61380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