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329Y1 -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329Y1
KR0139329Y1 KR2019940022966U KR19940022966U KR0139329Y1 KR 0139329 Y1 KR0139329 Y1 KR 0139329Y1 KR 2019940022966 U KR2019940022966 U KR 2019940022966U KR 19940022966 U KR19940022966 U KR 19940022966U KR 0139329 Y1 KR0139329 Y1 KR 0139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unit
evaporated water
filter member
drain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795U (ko
Inventor
최종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22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329Y1/ko
Publication of KR960011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3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8Treatment of condensate, e.g. steril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는, 배수수단(100)은 증발기(70)에서 흘러내리는 증발수에 포함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101)와, 상기 필터부재(101)를 통과한 증발수를 받아서 그 양측으로 흐름을 유도함과 동시에 필터부재(101)와 함께 실내기(10)의 외부로 인출되어 필터부재(101)내에 필터링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잇도록 필터부재(101)의 안착을 지지하는 슬라이드부재(10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102)에서 흘러내린 증발수를 받아서 그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103a)를 통하여 배수되게 유도함과 동시에 슬라이드부재(102)가 양측으로 슬라이드되어 분리되도록 실내기(10)내에 일체로 고정 결합된 증발수받이(103)와, 상기 증발수받이(103)에 집수된 증발수를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증발수받이(103)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103a)와 연통되게 결합된 배수호스(104)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증발수받이(103)내에 누적되는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103a)가 막힐 염려가 없음과 동시에 배수되지 못하고 오버플로되는 증발수에 의해 전자부품들의 누전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모래 및 먼지 등의 이물질을 청소작업시 실내기(10)를 완전히 분해할 필요가 없어 A/S수리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제1도는 종래의 실내기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배수수단이 실내기에서 분리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배수수단을 조립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C-C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내기 70 : 증발기
100 : 배수수단 101 : 필터부재
101a : 망사체 101b : 보강띠
101c : 안착돌기 102 : 슬라이드부재
102a : 바닥면 102b, 102c : 전후측벽면
102d : 안착홈 102e : 슬라이드레일부
103 : 증발수받이 103a : 배수구
103b : 바닥면 103c, 103d : 전후측벽면
103e : 슬라이드홈 103f, 103g : 좌우측벽면
104 : 배수호스 110 : 뚜껑
본 고안은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이 많은 사막지역등에서 용이하게 사용되는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증발수받이내에 필터기능을 부여하여 증발수에 포함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함과 동시에 그 필터기능을 실내기의 측벽에서 서랍식으로 분해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10)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도시안됨)를 매개로 벽면에 밀착 고정되는 보디부재(20)와, 실내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도록 상기 보디부재(20)의 전면에 장착되는 그릴부재(30)와, 상기 그릴부재(30)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중에 부유하는 이물질등을 깨긋하게 필터링하도록 그릴부재(30)를 매개로 후측 상부에 착탈가능케 장착된 에어필터(40)와, 상기 그릴부재(30)를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를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풍향조절하도록 그릴부재(30)를 매개로 후측 하부에 장착된 블레이드수단(50)과, 그릴부재(30)의 상부를 통하여 흡입된 실내공기가 그릴부재(30)의 하부를 통하여 다시 토출되도록 상기 보디부재(20)에 장착된 에바케이싱(60)과, 상기 그릴부재(30)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하도록 내부에 경사지게 장착된 증발기(70)와, 상기 증발기(70)에서 발생되는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증발수를 한 곳으로 집수하여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증발기(70)의 하부에 장착된 배수수단(80)과, 상기 그릴부재(30)의 상부를 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상기 증발기(70)에 의해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를 그릴부재(30)의 하부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하도록 상기 보디부재(20)에 장착된 블로워 팬(9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그릴부재(30)에는 그 상부측 전면에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실내공기를 흡입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흡입구(31)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측 전면에 상기 실내기(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토출구(32)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배수수단(80)은 상기 증발기(70)에서 발생되는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함께 증발수를 한 곳으로 집수함과 동시에 집수된 증발수 및 이물질을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81)를 통하여 원활히 배수되도록 증발기(70)의 하부에서 상기 배수구(81)측이 낮은 위치로 경사지게 장착된 증발수받이(82)와, 상기 증발수받이(82)에 집수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증발수를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증발수받이(82)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81)와 연통되게 결합된 배수호스(83)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어콘은, 실내기(10)의 온 작동에 따라 실내기(10)내에 장착된 블로워 팬(90)이 전원을 인가받아 가동되면, 이 블로워 팬(90)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공기는 제2도에 도시한 점선 화살표방향과 같이 그릴부재(3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흡입구(31)를 통하여 실내기(10)내부로 흡입됨과 동시에 흡입구(31)의 후측에 근접되게 장착된 에어필터(40)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부유하는 이물질등이 필터링되어 지고, 이 에어필터(40)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증발기(70)를 통과하면서 증발기(70)와 접촉되어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됨과 동시에 에바케이싱(60)의 안내를 받아 그릴부재(3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32)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공간을 낮은 실내온도로 차갑게 냉방시켜 주게 된다.
이때, 증발기(70)에는 그 전면을 통과하는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시켜 줄때 실내공기의 온도와 증발기(70)의 온도차에 의해 그 표면에 많은 량의 이슬맺힘현상, 즉 증발수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표면에 에어필터(40)에 의해 필터링되지 못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이 달라 붙게 된다. 이 경우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함께 증발수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 설치된 증발기(70)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림과 동시에 증발기(70)의 하부에 장착된 배수수단(80)의 증발수받이(82)에 집수되어 진다. 그리고, 증발수받이(82)에 집수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증발수는 증발수받이(82)의 경사구배에 따라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81)로 모임과 동시에 배수구(81)와 연결된 배수호스(83)에 안내되어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되어 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의하면, 배수수단(80)의 증발수받이(82)는 증발기(70)에서 흘러내리는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증발수를 분리할 수 있는 필터기능이 없기 때문에 증발수받이(82)의 경사구배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실내기(10)가 기울어지게 설치될 경우,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이 짧은 시간내에 증발수받이(82)에 더욱 더 많이 쌓여서 누적됨에 따라 배수구(81)의 막힘현상이 발생되었고, 이로 인하여 그 즉시 배수되지 못한 증발수는 증발수받이(82)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오버플로됨에 따라 전자부품등을 누전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증발수받이(82)내에 쌓인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청소할 경우 실내기(10)를 완전히 분해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쉽게 청소할 수 없어 A/S수리가 불가피하였고, 이러한 완전 분해 청소작업에 의해 에어콘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증발수받이내에 필터기능을 부여하여 증발수에 포함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가 막히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그 필터기능을 실내기의 측벽에서 서랍식으로 분해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는,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배수수단은 증발기에서 흘러내리는 증발수에 포함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를 통과한 증발수를 받아서 그 양측으로 흐름을 유도함과 동시에 필터부재와 함께 실내기의 외부로 인출되어 필터부재내에 필터링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의 안착을 지지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서 흘러내린 증발수를 받아서 그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되게 유도함과 동시에 슬라이드부재가 양측으로 슬라이드되어 분리되도록 실내기내에 일체로 고정 결합된 증발수받이와 , 상기 증발수받이에 집수된 증발수를 실내기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증발수받이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와 연통되게 결합된 배수호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는 배수수단(100)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70)에서 발생되는 증발수를 집수하여 실내기(10)외부로 배수함과 동시에 증발수에 포함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서랍식으로 실내기(10) 외부로 분해 청소할 수 있도록 증발기(7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즉, 배수수단(100)은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70)에서 흘러내리는 증발수에 포함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101)와, 상기 필터부재(101)를 통과한 증발수를 받아서 그 양측으로 흐름을 유도함과 동시에 필터부재(101)와 함께 상기 실내기(10)의 외부로 인출되어 필터부재(101)내에 필터링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101)의 안착을 지지하는 슬라이드부재(10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102)에서 흘러내린 증발수를 받아서 그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103a)를 통하여 배수되게 유도함과 동시에 슬라이드부재(102)가 양측으로 슬라이드되어 분리되도록 상기 실내기(10)내에 일체로 고정 결합된 증발수받이(103)와, 상기 증발수받이(103)에 집수된 증발수를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증발수받이(103)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103a)와 연통되게 결합된 배수호스(104)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101)는 그 상면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5면에 감싸여진 망사체(101a)를 지지하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상호 연결된 보강띠(101b)와, 상기 개구부측의 보강띠(101b)에 필터부재(101)가 상기 슬라이드부재(102)내에 안착시 그 바닥 및 전후측벽면이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안착돌기(101c)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02)는 그 하부에 집수된 증발수가 상기 증발수받이(103)으로 배수되도록 좌우측이 개방된 바닥면(102a)과, 그 전후측에 상기 바닥면(102a)과 직각되게 상부로 절곡 형성된 전후측벽면(102b)(102c)과, 상기 전후측벽면(102b)(102c)의 상부 내측 모서리에 그 상부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재(101)가 일정 높이에 안착되도록 필터부재(101)의 안착돌기(101d)와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안착홈(102d)과, 상기 전후측벽면(102a)(102b)의 상부 외측에 상기 증발수받이(103)에 끼워맞춤되어 양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직각되게 돌출 형성된 슬라이드레일부(102e)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증발수받이(103)는 그 하부에 집수된 증발수가 상기 배수호스(104)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배수호스(104)와 연결되는 배수구(103a)가 형성된 바닥면(103b)과, 그 전후측에 상기 바닥면(103b)과 직각되게 상부로 절곡 형성된 전후측벽면(103c)(103d)과, 상기 전후측벽면(103c)(103d)의 내측 상단에 상기 슬라이드부재(102)가 양측을 통하여 슬라이드 삽입되어 일정 높이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홈(103e)과, 그 좌우측에 상기 바닥면(103b)에 집수된 증발수가 넘쳐 흐르지 않도록 바닥면(103b)과 슬라이드부재(102)의 사이 간격만큼 돌출 형성된 좌우측벽면(103f)(103g)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증발수받이(103)은 그 길이가 상기 슬라이드부재(10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실내기(10)에는 그 좌우측면에 상기 슬라이드부재(102)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뚜껑(110)이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실내기(10)의 가동시 블로워 팬(90)의 가동에 따라 그릴부재(30)의 흡입구(30)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공기가 증발기(70)를 통과하면서 증발기(70)의 표면온도와 실내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차가운 공기로 열교환이 이루어질때 증발기(70)의 표면에 형성된 증발수(예컨대, 이슬맺힘현상)는 에어필터(40)에 의해 필터링되지 못하고 통과되어 증발기(70)의 표면에 달라 붙은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과 혼합됨과 동시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세워 설치된 증발기(70)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려 배수수단(100)의 필터부재(101)로 안내되어 진다.
즉, 배수수단(80)의 필터부재(101)로 안내되어진 상기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부재(101)의 망사체(101a)에 의해 필터링됨과 동시에 이물질에 포함된 증발수와 수초의 시간을 두고 분리되는 탈수과정을 거쳐 건조한 상태가 되고, 증발수는 망사체(101a)를 통과하여 슬라이드부재(102)의 바닥면(102a)에 집수되어 진다. 이때, 필터부재(101)에 필터링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이 조기에 청소되지 않아 망사체(101a)를 통과할 수 없는 증발수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부재(101)와 슬라이드부재(102)의 전후측에 형성된 일정한 간극 및 필터부재(101)의 좌우측을 통하여 오버플로되어 슬라이드부재(102)의 바닥면(102a)으로 집수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물질과 분리된 순수한 증발수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102)의 바닥면(102a)으로 집수됨과 동시에 그 바닥면(102a)의 좌우측으로 개방되어진 통로를 통하여 배수되고, 또 슬라이드부재(102)를 벗어난 증발수받이(103)의 바닥면(103b)에 집수되는 증발수는 그 바닥면(103b)에 형성된 배수구(103a)를 통하여 배수됨과 동시에 배수구(103a)와 연결된 배수호스(104)의 안내를 받아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되어 진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배수구(103a)와 배수호스(104)는 상기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에 의해 통로가 막히게 되지 않은 물론, 증발수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필터부재(101)에 필터링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10)의 양측에 힌지 결합된 2개의 뚜껑(110)중에서 선택된 그 어느 하나의 뚜껑(110)을 오픈시킨 다음 필터부재(101)와 결합된 슬라이드부재(102)를 서랍식으로 잡아 당기면, 이 슬라이드부재(102)는 실내기(10)내에 고정된 증발수받이(103)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즉 슬라이드부재(102)의 슬라이드레일부(102e)와 증발수받이(103)의 슬라이드홈(103e)과의 슬라이드작용에 의해 분해되면서 증발수받이(103)와 완전히 분해됨과 동시에 실내기(10)의 측벽을 통하여 외부로 완전히 인출되어 진다.
이때, 소비자는 슬라이드부재(102)의 상부에 안착된 필터부재(101)를 제3도와 같이 분해시킴과 동시에 필터부재(101)내에 필터링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깨끗히 청소하여 준다.
그리고, 필터부재(101)의 청소작업이 완료되면, 상술한 역순 동작에 의해 필터부재(101)와 슬라이드부재(102)를 조립한다. 즉, 필터부재(101)에 돌출 형성된 안착돌기(101c)와 슬라이드부재(102)에 형성된 안착홈(102d)과의 결합을 완료시킨 후, 슬라이드부재(102)의 슬라이드레일부(102e)와 증발수받이(103)의 슬라이드홈(103e)과의 결합을 완료시킨 다음, 오픈된 뚜껑(110)을 닫아줌으로써 모든 청소작업을 완료한다.
이때, 필터부재(101)는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청소작업할때 실내기(10)의 양측을 통하여 서랍식으로 간단히 분해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실내기(10)를 완전히 분해할 필요가 없어 A/S수리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는, 증발수받이내에 필터기능을 부여하여 증발수에 포함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증발수받이내에 필터기능이 설치되고, 필터기능에 의해 필터링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필터기능이 실내기의 측벽에서 서랍식으로 분해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증발수받이내에 누적되는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에 의해 배수구가 막힐 염려가 없음과 동시에 배수되지 못하고 오버플로되는 증발수에 의해 전자부품들의 누전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청소작업시 실내기를 완전히 분해할 필요가 없어 A/S수리율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에어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에 있어서, 배수수단(100)은 증발기(70)에서 흘러내리는 증발수에 포함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재(101)와 , 상기 필터부재(101)를 통과한 증발수를 받아서 그 양측으로 흐름을 유도함과 동시에 필터부재(101)와 함께 실내기(10)의 외부로 인출되어 필터부재(101)내에 필터링된 모래 및 먼지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부재(101)의 안착을 지지하는 슬라이드부재(102)와, 상기 슬라이드부재(102)에서 흘러내린 증발수를 받아서 그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103a)를 통하여 배수되게 유도함과 동시에 슬라이드부재(102)가 양측으로 슬라이드되어 분리되도록 실내기(10)내에 일체로 고정 결합된 증발수받이(103)와, 상기 증발수받이(103)에 집수된 증발수를 실내기(10)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증발수받이(103)의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103a)와 연통되게 결합된 배수호스(10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101)는 그 상면 개구부를 제외한 나머지 5면에 감싸여진 망사체(101a)를 지지하도록 각각의 모서리에 상호 연결된 보강띠(101b)와, 상기 개구부측의 보강띠(101b)에 필터부재(101)가 상기 슬라이드부재(102)내에 안착시 그 바닥 및 전후측벽면이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안착돌기(101c)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102)는 그 하부에 집수된 증발수가 상기 증발수받이(103)으로 배수되도록 좌우측이 개방된 바닥면(102a)과, 그 전후측에 상기 바닥면(102a)과 직각되게 상부로 절곡 형성된 전후측벽면(102b)(102c)과, 상기 전후측벽면(102b)(102c)의 상부 내측 모서리에 그 상부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재(101)가 일정 높이에 안착되도록 필터부재(101)의 안착돌기(101d)와 대응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안착홈(102d)과, 상기 전후측벽면(102a)(102b)의 상부 외측에 상기 증발수받이(103)에 끼워맞춤되어 양측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직각되게 돌출 형성된 슬라이드레일부(102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수받이(103)는 그 하부에 집수된 증발수가 상기 배수호스(104)를 통하여 배수되도록 배수호스(104)와 연결되는 배수구(103a)가 형성된 바닥면(103b)과, 그 전후측에 상기 바닥면(103b)과 직각되게 상부로 절곡 형성된 전후측벽면(103c)(103d)과, 상기 전후측벽면(103c)(103d)의 내측 상단에 상기 슬라이드부재(102)가 양측을 통하여 슬라이드 삽입되어 일정 높이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드홈(103e)과, 그 좌우측에 상기 바닥면(103b)에 집수된 증발수가 넘쳐 흐르지 않도록 바닥면(103b)과 슬라이드부재(102)의 사이 간격만큼 돌출 형성된 좌우측벽면(103f)(103g)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10)에는 그 좌우측면에 상기 슬라이드부재(102)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뚜껑(11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KR2019940022966U 1994-09-06 1994-09-06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KR0139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966U KR0139329Y1 (ko) 1994-09-06 1994-09-06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966U KR0139329Y1 (ko) 1994-09-06 1994-09-06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795U KR960011795U (ko) 1996-04-15
KR0139329Y1 true KR0139329Y1 (ko) 1999-05-15

Family

ID=1939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966U KR0139329Y1 (ko) 1994-09-06 1994-09-06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3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795U (ko) 199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507B1 (ko) 증발기 유닛용 응축물 배수 장치
JPH11257680A (ja) 空気調和機の凝縮水排水装置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0139329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KR100679710B1 (ko) 공기조화기
KR0156706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27613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JP2771740B2 (ja) 冷却貯蔵庫
KR0175874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75873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54767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239464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KR015670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200154579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전면그릴 설치구조
KR10058429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전면 프레임 장착구조
KR0136189Y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조립구조
KR0122704Y1 (ko)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KR100261700B1 (ko) 공기조화기의 상단 응축수 처리장치
JPH0334569Y2 (ko)
KR0111195Y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KR19990041496A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2296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146168Y1 (ko) 공기조화기의 장식대
KR200154580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전면그릴 설치구조
KR100223880B1 (ko) 복합형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