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464B1 -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9464B1 KR100239464B1 KR1019970061416A KR19970061416A KR100239464B1 KR 100239464 B1 KR100239464 B1 KR 100239464B1 KR 1019970061416 A KR1019970061416 A KR 1019970061416A KR 19970061416 A KR19970061416 A KR 19970061416A KR 100239464 B1 KR100239464 B1 KR 1002394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main body
- filter
- intake
- air condition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2456 HOTAI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에 관한 것으로 열교환하기 위해 실내의 공기를 본체의 내부로 흡입하는 통로인 흡입구를 본체의 전면에 형성하지 않고도 실내의 공기를 본체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체(1)의 내부에 흡입 공기내의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10)를 설치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전면이 폐쇄된 본체와 필터(10)사이에 공간부(11)를 마련하고 상기 본체(1)와 베이스(12)의 경계면상에는 다수개의 공기 흡입공(14)을 형성하며 필터와 공기 흡입공의 내측으로는 흡입그릴 하판(15)을 고정하여 공기 흡입공(14)으로 흡입된 공기가 흡입그릴 하판(15)에 안내되어 필터(10)를 통과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열교환하기 위해 실내의 공기를 본체의 내부로 흡입하는 통로인 흡입구를 본체의 전면에 형성하지 않지 않고도 실내의 공기를 본체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라고 일컫는데,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에 의한 열교환작용으로 차갑게 하여 토출시키므로써, 실내의 온도를 일정온도이하로 낮추어 주는 냉방기기이다.
상기한 공기조화기는 설치장소 및 위치에 따라 그 종류가 상치형, 벽 부착형, 창문형 등으로 대별된다.
상치형은 실내의 바닥면에 세워 설치되고, 벽 부착형은 실내의 벽면에 부착 설치되며, 창문형은 창문에 부착 설치된다.
이때, 상치형과 벽 부착형은 실내기 및 실외기가 각각 분리되어 있으나, 창문형은 실내기 및 실외기가 일체로 되어 있다.
종래 일반적인 공기조화기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로써, 공기조화기는 본체(1)내에 설치된 모터(2)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흡입력을 발생하는 송풍팬(3)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송풍팬(3)의 회전으로 흡입력이 발생됨에 따라 실내의 더운공기가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구(4)와, 상기 본체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 더운공기를 증발작용에 의해 차거운 공기로 바꾸어 주는 열교환기(5)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열교환기의 증발작용에 의해 차거워진 공기가 실내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토출구(6)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교환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가 고이도록 하는 응축수받이(7)와, 상기 응축수받이의 일측에 고정되어 응축수받이에 모아진 응축수를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호스(8)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는 냉방운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3)이 회전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실내의 더운공기가 흡입구(4)를 통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송풍팬의 구동으로 실내의 더운공기가 본체(1)의 내부로 유입될 때 실외기(도시는 생략함)의 콤프레셔에서 압축되어 응축된 냉매는 파이프를 통해 열교환기(5)측으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본체(1)의 내부로 유입된 더운공기는 열교환기(5)의 증발작용에 의해 차거워진 다음 본체(1)의 상측, 즉 토출구(6)측으로 이동하여 실내로 토출되므로 실내의 온도가 점진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6)에는 수평루버(9) 및 수직루버(도시는 생략함)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각 루버의 위치를 셋팅하여 놓으면 차거운 공기의 토출각도가 한정되므로 집중 냉방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냉방운전을 장시간 실시하면 열교환기(5)의 계속되는 증발작용으로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응축수가 맺히게 되는데, 상기 열교환기에 맺혀진 응축수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크기가 커져 결국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자유낙하되어 응축수받이(7)에 고이게 된다.
이와 같이 응축수받이(7)에 고여진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받이에 고정된 배수호스(8)를 통해 본체(1)의 외부로 배수되므로 공기조화기를 장시간 운전하더라도 응축수가 응축수받이에서 넘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흡입구(4)가 본체(1)의 전면으로 노출되어 있어 흡입구를 통해 실내의 먼지 등이 본체(1)의 내부로 유입되어 쌓이게 되므로 공기조화기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계절(동절기 등)에 본체(1)의 내부로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별도의 커버를 본체에 씌워 공기조화기를 보관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따른다.
만약, 커버를 씌워 놓지 않을 경우에는 실내의 먼지 등이 흡입구(4)를 통해 본체(1)의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를 오염시킴과 동시에 열교환기(5) 등에 쌓이게 되므로 열교환기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보관중이던 공기조화기를 재가동시에는 본체(1)의 내부에 쌓여 있던 먼지 등이 토출구(6)를 통해 실내로 재비산되었으므로 위생상에도 많은 문제점을 나타내었다.
또한, 흡입구(4)가 본체(1)의 전면으로 노출되므로 인하여 디자인의 변화에 많은 제약이 따랐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흡입구를 본체의 전면에 형성하지 않고도 본체의 내부로 충분한 양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심플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의 내부에 흡입 공기내의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를 설치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전면이 폐쇄된 본체와 필터사이에 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본체와 베이스의 경계면상에는 다수개의 공기 흡입공을 형성하며 필터와 공기 흡입공의 내측으로는 흡입그릴 하판을 고정하여 공기 흡입공으로 흡입된 공기가 흡입그릴 하판에 안내되어 필터를 통과하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10 : 필터
11 : 공간부 12 : 베이스
14 : 공기 흡입공 15 : 흡입그릴 하판
16 : 흡입공기 유로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써, 본 발명의 구성중 종래의 공기조화기 구조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전면이 완전히 폐쇄된 본체(1)와 필터(10)사이에 공간부(1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본체(1)와 베이스(12)의 경계면인 본체의 수평 절곡면(13)상에는 다수개의 공기 흡입공(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10)와 공기 흡입공(14)의 내측으로는 흡입그릴 하판(15)이 고정되어 공기 흡입공(14)으로 흡입된 공기가 흡입그릴 하판(15)에 안내되어 필터(10)를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2)의 전면에 도 3과 같이 상향 경사면(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향 경사면의 상단은 공기 흡입공(14)보다 본체(1)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어 공기 흡입공(14)으로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기 유로(16)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된 공기조화기는 본체(1)의 전면이 항상 폐쇄되어 있으므로 운전을 중단하더라도 실내의 먼지 등이 공기 흡입공(14)을 통해 본체(1)의 내부로 유입될 우려가 없게 된다.
그러나 실내의 냉방을 위해 원하는 온도를 설정한 다음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하면 본체(1)내의 송풍팬(3)이 구동하게 되므로 본체(1)내에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실내의 공기가 본체(1)의 하부와 베이스(12)사이에 형성된 흡입공기 유로(16)를 통해 수평 절곡면(13)에 형성된 공기 흡입공(14)으로 흡입된다.
이와 같이 공기 흡입공(14)을 통해 본체(1)와 필터(10)사이의 공간부(11)로 유입된 실내의 공기는 흡입그릴 하판(15)에 안내되어 필터(10)를 통과하게 되므로 종래의 공기조화기와 같이 열교환기(5)를 거치면서 열교환하여 차거워진 다음 토출구(6)를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를 냉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공(14)이 본체(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어 비사용시 실내의 먼지 등이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어 쌓이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됨은 물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심플한 디자인으로 연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2)
- 본체의 내부에 흡입 공기내의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를 설치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전면이 폐쇄된 본체와 필터사이에 공간부를 마련하고 상기 본체와 베이스의 경계면상에는 다수개의 공기 흡입공을 형성하며 필터와 공기 흡입공의 내측으로는 흡입그릴 하판을 고정하여 공기 흡입공으로 흡입된 공기가 흡입그릴 하판에 안내되어 필터를 통과하도록 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베이스의 전면에 상향 경사면을 형성하여 공기 흡입공으로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공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1416A KR100239464B1 (ko) | 1997-11-20 | 1997-11-20 |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
CN 98125876 CN1122158C (zh) | 1997-11-14 | 1998-11-14 | 空调装置的空气吸入结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1416A KR100239464B1 (ko) | 1997-11-20 | 1997-11-20 |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0904A KR19990040904A (ko) | 1999-06-15 |
KR100239464B1 true KR100239464B1 (ko) | 2000-01-15 |
Family
ID=19525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1416A KR100239464B1 (ko) | 1997-11-14 | 1997-11-20 |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3946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9062B1 (ko) * | 2006-11-20 | 2007-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
1997
- 1997-11-20 KR KR1019970061416A patent/KR1002394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0904A (ko) | 1999-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751913B2 (ja) | 空気調和機の室内機 | |
KR101417050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642365B1 (ko) |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239464B1 (ko) |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 |
KR20070030070A (ko) | 공기조화기 | |
KR100547675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547674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925718B1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60117832A (ko) |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 |
KR100392403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434073B1 (ko) | 욕실형 에어컨의 응축수트레이 | |
KR100236018B1 (ko) |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 |
KR19990041496A (ko) | 공기조화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 |
KR101072114B1 (ko) | 공기조화기의 패널형 실내유니트 | |
KR100234971B1 (ko) | 공기조화기의 배수 및 지지장치 | |
KR0127613Y1 (ko) | 에어콘 실내기의 배수장치 | |
KR20040017687A (ko) | 공기조화기용 물받이구조 | |
KR200154579Y1 (ko) |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전면그릴 설치구조 | |
KR100267996B1 (ko) | 공기조화기의흡입구개폐장치 | |
KR100423968B1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 | |
KR100547676B1 (ko) |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안내 구조 | |
KR200146159Y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배수장치 | |
KR100547685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311860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20027866A (ko) | 천정모서리 설치형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