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1536B1 -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1536B1
KR102401536B1 KR1020150067898A KR20150067898A KR102401536B1 KR 102401536 B1 KR102401536 B1 KR 102401536B1 KR 1020150067898 A KR1020150067898 A KR 1020150067898A KR 20150067898 A KR20150067898 A KR 20150067898A KR 102401536 B1 KR102401536 B1 KR 102401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ucket
dehumidifier
water tan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210A (ko
Inventor
안종철
윤상기
윤하영
김권진
김낙현
김영훈
최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7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1536B1/ko
Priority to EP16169054.0A priority patent/EP3093566B1/en
Priority to US15/156,235 priority patent/US10557639B2/en
Publication of KR2016013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물통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제습기를 개시한다. 제습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응축수가 저장되고,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습기{DEHUMIDIFIER}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물통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 공간의 습한 공기를 본체의 내부로 흡입하고, 냉매가 흐르는 응축기 및 증발기로 이루어진 열교환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습도를 낮춘 후, 실내 공간으로 제습된 공기를 다시 토출함으로써 실내의 습도를 낮추는 장치이다.
즉, 제습기는 액체 상태의 냉매를 증발기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주위의 공기로부터 열을 빼앗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냉매가 증발하면서 증발기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 주위의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증발기의 표면에 이슬로 맺히게 된다.
제습기의 내부에는 증발기의 표면에 맺힌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통이 구비될 수 있다.
물통이 응축수로 채워진 경우, 사용자는 물통을 비우기 위해 두 손을 이용하여 본체로부터 물통을 분리해야 한다. 두 손을 이용하여 본체로부터 물통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사용자는 허리를 많이 굽히거나, 무릎을 꿇어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는 물통의 커버를 분리한 후, 물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 역시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한 손을 이용하여 본체로부터 물통을 분리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제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하나의 핸들을 이용하여 본체로부터 물통의 분리 및 본체로부터 분리된 물통의 운반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제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물통의 커버를 분리하지 않고 물통 내의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제습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습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응축수가 저장되고,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전방(前方)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 면에는 상기 물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물통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통 안착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물통의 일 면에 형성되는 돌출리브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일 면에는 상기 물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물통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안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제습기의 전면(前面) 및 측면(側面)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물통의 전면(前面)에는 상기 핸들과 인접하도록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재는 상기 물통의 전면에 용착(welding)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물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물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파지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제 1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면은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물통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제 2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면은 상기 물통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습기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 1면 및 상기 제 2면을 연결하는 제 3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면과 상기 제 3면의 연결부위 및 상기 제 2면과 상기 제 3면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통의 내벽에는 체결홀을 가지고,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핸들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핸들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핸들을 상기 물통의 후방을 향하여 젖힌 경우 상기 체결홀에서 분리 가능하다.
상기 물통 및 상기 핸들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제습기는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선형운동하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및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기 물통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물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전방(前方)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전면(前面)에는 상기 물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물통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안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제습기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물통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습기의 전방(前方)을 향하여 젖혀지고, 상기 제습기의 전방을 향하여 젖혀진 상기 핸들의 일 면은 상기 물통 및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제습기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물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통의 내벽에는 체결홀을 가지고,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핸들 장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들에는 상기 핸들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핸들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상기 헤드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은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핸들을 상기 물통의 후방을 향하여 젖히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홀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체결돌기의 형상은 상기 체결홀의 형상에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은 상기 헤드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부분 및 상기 암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암은 상기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부분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핸들을 상기 물통의 후방을 향하여 젖히면, 상기 암이 상기 제 2부분과 일치함으로써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홀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물통의 전면(前面)에는 상기 핸들과 인접하도록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의 일부는 상기 물통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함몰부재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암은 상기 헤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제 1암 및 제 2암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을 상기 핸들의 일부가 상기 함몰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헤드를 지나도록 상기 제 1암 및 상기 제 2암을 연결하는 기준선에 대하여 상기 물통의 후방을 향하여 130ㅀ 젖히면 상기 핸들은 상기 물통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물통 및 상기 핸들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개구된 배수구를 가지고, 상기 물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물통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을 이용하여 물통을 본체로부터 슬라이딩방식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한 손으로 물통을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물통을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물통 내부의 응축수가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나의 핸들을 이용하여 본체로부터의 물통 분리 및 본체로부터 분리된 물통의 운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물통의 사용편의성, 궁극적으로는 제습기의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통에 배수구를 가지는 커버를 적용함으로써, 커버를 개폐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물통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다.
평상시에는 물통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물통의 후방을 향하여 일정각도로 젖힌 경우에 한하여 물통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핸들을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핸들을 물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물통을 투명한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물통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투명한 소재를 이용하여 가스사출방식으로 수려한 미관을 가지는 핸들 제작이 가능하다.
핸들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핸들의 적어도 일 부분을 곡면 처리함으로써 핸들의 그립(grip)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물통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물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물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핸들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물통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의 핸들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물통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운반되는 경우의 핸들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물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핸들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물통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운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후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제 1방향(A)은 제습기(1)의 전방을 의미하고, 제 2방향(B)은 제습기(1)의 후방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기(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제 1방향(A)을 향하는 제 1패널(11), 제 2방향(B)을 향하는 제 2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패널(11) 및 제 2패널(12)은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본체(10)를 형성한다.
제 1패널(11)에는 제습기(1)의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패널(11)에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작동상태를 조작하는 작동버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 및 작동버튼의 위치는 제 1패널(11)에 한정하지 않는다.
물통(100)은 제 1패널(11)과 함께 제 1방향(A)을 향하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물통(100)은 제 1패널(1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물통(100) 및 제 1패널(11)의 위치관계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2패널(12)에는 흡입구(15a)(도6참고)를 형성하는 흡입그릴(15)이 마련될 수 있다. 제 2패널(12)의 외측에는 흡입구(15a)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필터(20)(도6참고)가 장착될 수 있다. 필터(20)는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 주는 역할을 하고, 흡입그릴(15)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필터(20)는 필터(20)의 외측에서 제 2패널(12)과 결합하는 필터커버(21)에 의해 흡입그릴(15)과 마주하도록 제 2패널(12)에 고정될 수 있다. 필터커버(21)는 필터(2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제 2패널(12)과 결합할 수 있다.
필터커버(21)에는 복수의 개구홀(22)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개구홀(22)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20) 및 흡입구(15a)를 거쳐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필터(2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비교적 큰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 전기적 작용으로 먼지를 모으는 집진필터 및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헤파필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20)는 제 2패널(12)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체(10)는 제 1패널(11) 및 제 2패널(12)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 3패널(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패널(13)은 제 1패널(11) 및 제 2패널(12)과 결합하여 제습기(1)의 외관을 형성한다.
토출구(16a)는 본체(10)의 전방(前方)을 향하여, 즉, 제 1방향(A)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본체(1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구(16a)를 형성하는 토출그릴(16)은 제 3패널(13)에 마련될 수 있다. 흡입구(15a)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토출구(16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토출구(16a)는 제 3패널(13)에 결합되는 토출루버(17)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작동버튼의 조작으로 제습기(1)가 작동하면 토출루버(17)가 상방으로 유동되어 토출구(16a)가 개방된다. 제습기(1)의 작동이 멈추면 토출루버(17)가 하방으로 유동되어 토출구(16a)가 차폐된다. 이에 따라 본체(10) 내부로 침투하는 이물질에 의한 제습기(1)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10)는 제 1패널(11) 및 제 2패널(12)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 4패널(14)(도3참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4패널(14)은 제 1패널(11), 제 2패널(12) 및 제 3패널(13)과 결합하여 제습기(1)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물통이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기(1)는 본체(10)뿐만 아니라, 열교환기(50), 송풍어셈블리(60) 및 압축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프레임(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40)의 일부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40)의 제 1방향(A)에는 제 1패널(11)이 위치하고, 프레임(40)의 제 2방향(B)에는 제 2패널(12)이 위치한다. 프레임(40)의 상측에는 토출그릴(16)이 형성되는 제 3패널(13)이 결합되고, 프레임(40)의 하측에는 제 4패널(14)이 결합된다.
프레임(40)은 플레이트(plate)(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패널(12)의 내측에 마련되는 열교환기(50)는 플레이트(41)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흡입구(15a)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50)를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한다. 제습기(1)는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50)는 서로 마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50)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50)의 크기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열교환기(50)는 흡입구(15a)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냉매 사이에 더 많은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내부통로가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관(51)을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50)는 압축기 및 증발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플레이트(41)에는 열교환과정에서 발생하여 열교환기(50)에 맺힌 응축수를 물통(100)으로 안내하는 유로(44)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40)은 플레이트(41)의 상측에 결합되는 송풍팬안착부(45) 및 플레이트(41)의 하측에 결합되는 물통 안착부(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41)는 프레임(40)을 송풍팬안착부(45) 및 물통 안착부(46)로 구획할 수 있다. 물통 안착부(46)를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물통 안착부(46)는 본체(10)의 일 면에 물통(1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통 안착부(46)는 제 1방향(A)을 향하는 본체(10)의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어셈블리(60)는 흡입구(15a)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16a)를 통해 외부로 토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송풍어셈블리(60)는 송풍팬(61), 송풍팬하우징(62) 및 송풍모터(63)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61)은 공기가 흡입구(15a)로 흡입되어 토출구(16a)로 토출되도록 회전한다. 송풍팬하우징(62)은 송풍팬(61)을 수용하고 지지한다. 송풍모터(63)는 송풍팬(6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동력을 제공한다.
송풍팬하우징(62)은 제 1패널(11)의 내면과 마주하도록 제 1방향(A)을 향하는 송풍팬안착부(45)에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하우징(62) 내부에 수용되는 송풍팬(61)은 송풍팬안착부(45)에 형성되는 안착홀(65)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모터(63)는 제 1방향(A)을 향하도록 송풍팬하우징(62)에 형성되는 모터안착부(66)에 안착될 수 있다. 송풍팬하우징(62)에 수용되는 송풍팬(61)은 송풍모터(63)에 연결되는 모터축(6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송풍팬하우징(62)에는 모터안착부(66)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제 1방향(A)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복수의 체결부(67)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모터(63)는 복수의 체결부(67)에 결합되는 모터마운트(68)에 의해 모터안착부(66)에 고정될 수 있다.
송풍팬하우징(62)은 송풍팬안착부(45)와 결합하여 토출유로(69a)를 형성할 수 있다. 토출유로(69a)는 제 3패널(13)에 형성되는 토출그릴(1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팬하우징(62)의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덕트(69)는 토출유로(69a)를 형성하도록 토출그릴(16)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덕트(69)는 송풍팬하우징(6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구(15a)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50)를 거쳐 토출유로(69a)를 따라 토출구(16a)로 배출된다.
열교환기(50)를 순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70)는 제 4패널(14)에 형성되는 압축기수용부(71)에 장착될 수 있다. 압축기(70)는 열교환기(50)와 상하로 위치하도록 플레이트(41)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70)는 물통 안착부(46)를 사이에 두고 물통 안착부(46)에 결합되는 물통(100)과 마주하도록 제 2패널(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습기(1)는 열교환기(50)를 통과한 냉매를 감압 팽창시키는 팽창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매는 압축기(70)에 의해 압축된다. 압축기(70)를 통과한 냉매는 응축기 역할을 하는 열교환기(50)에 전달되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고, 응축된다. 응축기 역할을 하는 열교환기(50)를 통과한 냉매는 팽창밸브에 전달되어 감압 팽창된다. 감압 팽창된 냉매는 증발기 역할을 하는 열교환기(50)에서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한다. 이와 같은 냉매 및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열교환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하고, 열교환기(50)에 맺힌 응축수는 플레이트(41)에 형성되는 유로(44)를 따라 이동하여 물통(100)에 저장된다.
제습기(1)는 컨트롤박스(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패널(11)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박스(80)가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박스(80)는 제 1패널(11)의 내면과 마주하도록 송풍팬하우징(62)에 설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박스(80)에는 제 1패널(11)에 마련될 수 있는 작동버튼의 조작으로 제습기(1)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제습기(1)의 작동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회로기판 등 다수의 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제습기(1)는 물통(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통(100)은 흡입구(15a)로 유입된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하도록 물통 안착부(46)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물통(100)은 슬라이딩(sliding)방식으로 본체(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물통(100)은 슬라이딩방식으로 물통 안착부(4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통(100)은 본체(10)의 전방을 향하여, 즉, 제 1방향(A)을 향하여 슬라이딩방식으로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통 안착부(46)는 제 4패널(14)에 결합될 수 있다. 물통(100)은 플레이트(41) 및 제 4패널(14) 사이에 위치하도록 물통 안착부(46)에 장착될 수 있다. 물통 안착부(46)에 장착된 물통(100)은 물통(100)의 하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제 4패널(14)에 형성되는 함몰공간(14a)에 안착될 수 있다. 물통 안착부(46) 및 함몰공간(14a)에 장착된 물통(100)은 플레이트(41)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 1패널(11)과 함께 제 1방향(A)을 향하는 제습기(1)의 외관을 형성한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물통(100)은 물통 안착부(4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10)와 함께 제습기(1)의 전면(前面) 및 측면(側面)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물통 안착부(46)는 물통(1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제 1방향(A)을 향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물통 안착부(46)에는 체결부(47)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47)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물통 안착부(46)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부(47)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절개부위(47a)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47)는 절개부위(47a)를 가지도록 물통 안착부(4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47)는 제 1방향(A)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47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47)는 탄성 변형에 의해 물통(100)의 일 면에 형성되는 돌출리브(101)(도8참고)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통 안착부(46)와 마주하는 물통(100)의 일 면에 형성되는 돌출리브(101)는 체결부(47)의 적어도 하나의 걸림턱(47b)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통(100)은 핸들(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0)은 물통(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핸들(120)은 물통(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핸들(120)은 물통(100)을 슬라이딩방식으로 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및 본체(10)로부터 분리된 물통(100)을 들어올려 운반하는 과정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물통(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물통(100)의 전면(前面)에는 핸들(120)과 인접하도록 물통(10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재(102)가 형성될 수 있다.
물통(100)은 커버(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0)에는 물통(100)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개구된 배수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통(100) 내부의 응축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커버(110)를 개폐할 필요 없이 배수구(111)를 통해 용이하게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커버(110)에는 후술할 유입구(112)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110)는 물통(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110)는 물통(100)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110)는 물통(1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물통(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물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물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핸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물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물통(100)의 전방(C) 및 제 1방향(A)은 동일한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또한, 물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물통(100)의 후방(D) 및 제 2방향(B)은 동일한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00)은 저장공간(10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는 물통(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공간(103)에 저장될 수 있다. 물통 안착부(46)에 결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41)의 하면과 마주하는 물통(100)의 상면에는 플레이트(41)에 형성된 유로(44)를 따라 열교환기(50)로부터 전달된 응축수가 저장공간(103)으로 유입되도록 유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구(112)는 물통(100)의 커버(110)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12)는 구멍 또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유입구(112)의 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물통(100)의 전면(前面)에는 핸들(120)과 인접하도록 물통(10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재(102)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재(102)는 물통(10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재(102)는 물통(100)의 전면에 용착(welding)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함몰부재(102)는 물통(100)의 전면에 진동 용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함몰부재(102)에 손을 삽입하여 핸들(120)을 파지한 후, 제 1방향(A)으로 물통(100)을 잡아당겨 본체(10)로부터 물통(100)을 분리할 수 있다.
핸들(120)은 물통(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120)은 물통(100)의 내벽에 형성되는 핸들 장착부(1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핸들 장착부(104)는 물통(100)의 후면(後面)의 내벽에 마련될 수 있다. 핸들 장착부(104)는 물통(100)의 내측방향으로, 즉, 물통(100)의 저장공간(103)을 향하도록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핸들 장착부(104)에는 체결홀(105)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들 장착부(104)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핸들 장착부(104)에는 스토퍼(stopper)(106)가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06)는 체결홀(105)과 인접하도록 핸들 장착부(104)에 마련될 수 있다. 스토퍼(106)는 체결홀(105)에 결합된 체결돌기(123)의 암(126)과 간섭하여 핸들(120)의 회전동작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06)는 물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된 경우, 다시 말하면, 핸들(120)이 물통(100)의 전방(C)을 향하여 젖혀진 경우, 체결돌기(123)의 암(126)과 간섭을 일으켜 핸들(120)이 물통(100)의 전방(C)을 향하여 일정각도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핸들(120)은 지지부(121) 및 파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21)는 물통(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121)는 핸들 장착부(1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파지부(122)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21)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써, 핸들(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핸들 장착부(1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부(121) 및 복수의 지지부(121)를 연결하는 파지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써, 핸들(120)은 핸들 장착부(10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나의 지지부(121) 및 지지부(121)에 연결되는 하나의 파지부(12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부(121) 및 파지부(12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22)는 물통(100)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즉, 물통(100)의 저장공간(103)을 향하는 제 1면(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면(122a)은 물통(100)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22)는 물통(10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제 2면(122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면(122b)은 물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된 경우 제습기(1)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면(122b)은 물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된 경우 제습기(1)의 전면(前面)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2면(122b)은 물통(100) 및 본체(10)와 함께 제습기(1)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파지부(122)는 제 1면(122a) 및 제 2면(122b)을 연결하는 제 3면(12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면(122a)과 제 3면(122c)의 연결부위 및 제 2면(122b)과 제 3면(122c)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핸들(120)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과 접촉할 수 있는 핸들(120)의 파지부(122)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0)의 파지부(122)는 "D"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통(100)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파지부(122)의 일 면은 곡면이고, 물통(10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파지부(122)의 다른 일 면은 평평한 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핸들(120)을 파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핸들(120)의 파지부(122)를 곡면 처리함으로써 핸들(120)의 그립(grip)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핸들(120)의 파지부(122)의 단면 형상은 "D"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지지부(121)에는 핸들(1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체결홀(105)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돌기(123)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돌기(123)는 바디(body)(124), 헤드(head)(125) 및 암(arm)(12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124)는 핸들(120)로부터 핸들(1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124)는 핸들(120)의 지지부(121)로부터 핸들(1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디(124)는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헤드(125)는 바디(124)의 일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125)는 핸들(120)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바디(124)의 일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암(126)은 헤드(125)로부터 헤드(125)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125)가 원형인 경우, 암(126)은 헤드(125)로부터 헤드(125)의 반경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23)는 적어도 하나의 암(126)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돌기(123)는 복수의 암(12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암(126)은 제 1암(126a) 및 제 2암(126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암(126a) 및 제 2암(126b)은 헤드(12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암(126a), 헤드(125) 및 제 2암(126b)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핸들 장착부(104)에 마련되는 체결홀(105)은 체결돌기(12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홀(105)은 제 1부분(105a) 및 제 2부분(10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부분(105a)은 체결돌기(123)의 헤드(125)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부분(105b)은 체결돌기(123)의 암(12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체결돌기(123)의 암(126)이 제 1암(126a) 및 제 2암(126b)을 포함하는 경우, 체결홀(105)의 제 2부분(105b) 역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105)이 하나의 제 1부분(105a) 및 복수의 제 2부분(105b)을 포함하는 경우, 제 1부분(105a) 및 복수의 제 2부분(105b)은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부분(105a) 및 복수의 제 2부분(105b)을 지나는 일직선은 물통(100)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부분(105a) 및 복수의 제 2부분(105b)을 지나는 일직선의 상단부는 물통(100)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물통(100)의 후방(D)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제 1부분(105a) 및 복수의 제 2부분(105b)을 지나는 일직선의 하단부는 물통(100)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물통(100)의 전방(C)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물통(100) 및 핸들(120)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물통(100)을 투명한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물통(100)의 디자인적 측면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물통(100)을 투명한 소재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커버(110)를 물통(100)으로부터 제거할 필요 없이 물통(100)의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핸들(120)은 가스사출방식을 통해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핸들(120)을 투명하게 형성함으로써, 수려한 미관을 가지는 핸들(120)을 구현할 수 있다.
물통(100)은 수위감지센서(130) 및 수위감지센서(130)가 수용되는 수위감지센서 하우징(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130)는 물통(100) 내부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위감지센서 하우징(140)은 물통(100)의 일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물통이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의 핸들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물통이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운반되는 경우의 핸들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물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핸들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핸들(120)은 물통(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핸들(120)은 물통(10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및 본체(10)로부터 분리된 물통(100)을 들어올려 운반하는 과정에서 물통(100)과 결합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120)은 핸들(120)을 물통(100)의 후방(D)을 향하여 젖힌 경우 물통(1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핸들(120)을 물통(100)의 후방을 향하여 젖히면, 체결돌기(123)의 형상이 체결홀(105)의 형상에 일치하여 체결돌기(123)가 체결홀(105)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즉, 핸들(120)이 물통(100)의 전방(C)을 향하도록 젖혀있는 경우, 체결돌기(123)의 형상은 체결홀(105)의 형상과 불일치할 수 있다. 물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되면 핸들(120)의 일부는 함몰부재(102)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되면 핸들(120)의 지지부(121)는 함몰부재(102)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물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되면 핸들(120)의 지지부(121)는 함몰부재(102)의 상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물통(100)은 핸들(120)이 물통(100)의 전방(C)을 향하여 젖혀진 상태로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고, 이 때 핸들(120)은 스토퍼(106) 및 암(126)의 간섭작용에 의해 일정각도 이상 물통(100)의 전방(C)을 향하여 회전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물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구체적으로, 핸들(120)의 일부가 함몰부재(102)의 상부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 헤드(125)를 지나도록 제 1암(126a) 및 제 2암(126b)을 연결하는 직선을 기준선(S)이라고 정의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00)이 본체(1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즉, 핸들(120)이 물통(100)이 전방(C)을 향하도록 젖혀있는 경우, 헤드(125)를 지나도록 제 1암(126a) 및 제 2암(126b)을 연결하는 직선(L)은 기준선(S)과 일치한다. 따라서, 헤드(125)를 지나도록 제 1암(126a) 및 제 2암(126b)을 연결하는 직선(L)과 기준선(S)이 이루는 각도는 0ㅀ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0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운반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인 경우, 체결돌기(123)의 형상은 체결홀(105)의 형상과 불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들(120)은 물통(100)과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본체(10)로부터 분리된 물통(100)을 운반하는 경우, 헤드(125)를 지나도록 제 1암(126a) 및 제 2암(126b)을 연결하는 직선(L)과 기준선(S)이 이루는 각도는 90ㅀ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0)을 물통(100)의 후방(D)을 향하도록 젖힌 경우, 체결돌기(123)의 형상은 체결홀(105)의 형상과 일치할 수 있다. 즉, 핸들(120)을 물통(100)의 후방(D)을 향하여 젖힌 경우, 체결돌기(123)는 체결홀(105)에서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핸들(120)을 물통(100)의 후방(D)을 향하여 젖히면, 암(126)이 제 2부분(105b)과 일치함으로써, 체결돌기(123)는 체결홀(105)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120)은 물통(100), 즉, 핸들 장착부(104)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핸들(120)은, 핸들(120)을 물통(100)의 후방(D)을 향하도록 젖혔을 때, 헤드(125)를 지나도록 제 1암(126a) 및 제 2암(126b)을 연결하는 직선(L)과 기준선(S)이 이루는 각도가 130ㅀ일 때 물통(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핸들(120)을 기준선(S)에 대하여 물통(100)의 후방(D)을 향하여 130ㅀ 젖히면 핸들(120)은 물통(1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핸들(120)이 물통(10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암(126)은 핸들(120)이 회전함에 따라 제 1부분(105a)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로 제 1부분(105a)의 가장자리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체결돌기(123) 및 체결홀(105)의 결합 및 분리를 통해 핸들(120)의 물통(100)에 대한 착탈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핸들(120)을 물통(1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에 있어서, 물통을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운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로부터 물통(100)을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함몰부재(102)에 한 손을 삽입하여 핸들(120)을 파지한 후, 제 1방향(A)을 향하여 물통(100)을 잡아당긴다. 이 때, 물통(100)은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슬라이딩방식으로 제 1방향(A)으로 움직인다. 물통(100)은 슬라이딩방식으로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선형운동할 수 있다. 즉, 물통(100)은 본체(10)에 결합되어있을 때의 상태 그대로 슬라이딩방식에 의해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물통(100)은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과정 내내 선형운동 내지 직선운동할 수 있다.
도 13b 및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00)이 본체(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면 사용자는 핸들(120)을 회전시켜 파지한 후 물통(100)을 들어올려 운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통(100)에 회전 가능한 핸들(120)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는 하나의 핸들(120)을 이용하여 본체(10)로부터의 물통(100) 분리 및 본체(10)로부터 분리된 물통(100)의 운반을 연결된 동작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습기(1)는 고정형 제습기 및 이동형 제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제습기 10: 본체
11: 제 1패널 12: 제 2패널
13: 제 3패널 14: 제 4패널
14a: 함몰공간 15: 흡입그릴
15a: 흡입구 16: 토출그릴
16a: 토출구 17: 토출루버
20: 필터 21: 필터커버
22: 개구홀 40: 프레임
41: 플레이트 44: 유로
45: 송풍팬안착부 46: 물통 안착부
50: 열교환기 51: 관
60: 송풍어셈블리 61: 송풍팬
62: 송풍팬하우징 63: 송풍모터
64: 모터축 65: 안착홀
66: 모터안착부 67: 체결부
68: 모터마운트 69: 가이드덕트
69a: 토출유로 70: 압축기
71: 압축기수용부 80: 컨트롤박스
100: 물통 101: 돌출리브
102: 함몰부재 103: 저장공간
104: 핸들 장착부 105: 체결홀
105a: 제 1부분 105b: 제 2부분
106: 스토퍼 110: 커버
111: 배수구 112: 유입구
120: 핸들 121: 지지부
122: 파지부 122a: 제 1면
122b: 제 2면 122c: 제 3면
123: 체결돌기 124: 바디
125: 헤드 126: 암
126a: 제 1암 126b: 제 2암
130: 수위감지센서 140: 수위감지센서 하우징
47: 체결부 47a: 절개부위
47b: 걸림턱

Claims (30)

  1.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응축수가 저장되고,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의 전면에는 핸들과 인접하도록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함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물통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물통은, 사용자가 손을 삽입하여 상기 핸들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과 상기 함몰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을 포함하는 제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전방(前方)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제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면에는 상기 물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물통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통 안착부에는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물통의 일 면에 형성되는 돌출리브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가 마련되는 제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 면에는 상기 물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물통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안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제습기의 전면(前面) 및 측면(側面) 중 적어도 하나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습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재는 상기 물통의 전면에 용착(welding)되는 제습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물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습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물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및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습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파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제습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을 향하는 제 1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면은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을 포함하는 제습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물통의 외측방향을 향하는 제 2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면은 상기 물통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습기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습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 1면 및 상기 제 2면을 연결하는 제 3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면과 상기 제 3면의 연결부위 및 상기 제 2면과 상기 제 3면의 연결부위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을 포함하는 제습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내벽에는 체결홀을 가지고,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핸들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핸들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마련되는 제습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핸들을 상기 물통의 후방을 향하여 젖힌 경우 상기 체결홀에서 분리 가능한 제습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및 상기 핸들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제습기.
  16.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선형운동하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물통의 전면에는 핸들과 인접하도록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을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과정 및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기 물통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물통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함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물통은, 사용자가 손을 삽입하여 상기 핸들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핸들과 상기 함몰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을 포함하는 제습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전방(前方)을 향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본체의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제습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前面)에는 상기 물통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되는 물통 안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안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제습기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하는 제습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물통이 상기 본체에 결합된 경우 상기 제습기의 전방(前方)을 향하여 젖혀지고,
    상기 제습기의 전방을 향하여 젖혀진 상기 핸들의 일 면은 상기 물통 및 상기 본체와 함께 상기 제습기의 전면(前面) 외관을 형성하는 제습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물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습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내벽에는 체결홀을 가지고, 상기 물통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핸들 장착부가 마련되는 제습기.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는 상기 핸들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돌기가 마련되는 제습기.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핸들로부터 상기 핸들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 단부에 마련되는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상기 헤드의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암;을 포함하는 제습기.
  24. ◈청구항 2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핸들을 상기 물통의 후방을 향하여 젖히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홀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체결돌기의 형상은 상기 체결홀의 형상에 일치하는 제습기.
  25. ◈청구항 2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은,
    상기 헤드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1부분; 및
    상기 암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제 2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암은 상기 핸들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 1부분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부분의 가장자리를 따라 움직이는 제습기.
  26. ◈청구항 2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을 상기 물통의 후방을 향하여 젖히면, 상기 암이 상기 제 2부분과 일치함으로써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홀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는 제습기.
  27. ◈청구항 2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일부는 상기 물통이 상기 본체에 결합되면 상기 함몰부재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습기.
  28. ◈청구항 2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은 상기 헤드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제 1암 및 제 2암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을 상기 핸들의 일부가 상기 함몰부재의 상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헤드를 지나도록 상기 제 1암 및 상기 제 2암을 연결하는 기준선에 대하여 상기 물통의 후방을 향하여 130도 젖히면 상기 핸들은 상기 물통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는 제습기.
  29. ◈청구항 2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 및 상기 핸들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제습기.
  30. ◈청구항 3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개구된 배수구를 가지고, 상기 물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물통의 외관의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
KR1020150067898A 2015-05-15 2015-05-15 제습기 KR10240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898A KR102401536B1 (ko) 2015-05-15 2015-05-15 제습기
EP16169054.0A EP3093566B1 (en) 2015-05-15 2016-05-10 Dehumidifier
US15/156,235 US10557639B2 (en) 2015-05-15 2016-05-16 De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898A KR102401536B1 (ko) 2015-05-15 2015-05-15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210A KR20160134210A (ko) 2016-11-23
KR102401536B1 true KR102401536B1 (ko) 2022-05-25

Family

ID=55967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898A KR102401536B1 (ko) 2015-05-15 2015-05-15 제습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57639B2 (ko)
EP (1) EP3093566B1 (ko)
KR (1) KR1024015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49215B (zh) * 2014-03-31 2018-04-06 Lg电子株式会社 除湿机
KR102166445B1 (ko) * 2014-04-29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및 제습기용 워터탱크
KR102435202B1 (ko) * 2015-09-30 2022-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습기
IT201700024881A1 (it) * 2017-03-07 2018-09-07 Alpac S R L Unipersonale Monoblocco termoisolante multifunzionale per fori per serramenti e apparecchio di deumidificazione compreso in detto monoblocco
CN107036193A (zh) * 2017-05-02 2017-08-11 蔡璟 一种基于智能家居的除湿系统及其除湿方法
US10563888B2 (en) * 2017-06-26 2020-02-18 Therma-Stor LLC Water reservoir for a portable dehumidifier
CN107477675B (zh) * 2017-08-18 2023-1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立式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108758814B (zh) * 2018-06-14 2020-07-17 天长市伏瑞迪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办公用超薄型双风机空气净化器
CN108775613A (zh) * 2018-06-25 2018-11-09 广东海悟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带加湿功能的热风机内机
WO2020138706A1 (ko) * 2018-12-24 2020-07-02 성신하스코 주식회사 배수펌프의 물통이 노출된 덕트
CN109869820B (zh) * 2018-12-26 2020-03-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加热装置、空调器
WO2020258875A1 (zh) * 2019-06-25 2020-12-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机
CN111322693A (zh) * 2020-02-26 2020-06-23 芜湖朋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紫外线空气消毒取暖设备
CN111998525A (zh) * 2020-09-09 2020-11-2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除湿机的接水组件、除湿机及其控制方法
USD997328S1 (en) * 2022-04-26 2023-08-29 Foshan hashone Technology Co., Ltd. Dehumidifier
CN220771260U (zh) 2023-09-06 2024-04-12 广州踏龙科技有限公司 一种除湿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8085A1 (en) * 2005-06-13 2006-12-14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JP2007253138A (ja) * 2006-03-27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の貯水タンク
US20090120118A1 (en) * 2005-10-24 2009-05-14 Sang-Youn Yoon Dehumidifi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7526B2 (ja) * 1998-08-27 2005-03-09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除湿機
GB9913867D0 (en) * 1999-06-16 1999-08-11 Sargant Adrian P Drinking vessel handle
JP2004061042A (ja) * 2002-07-31 2004-02-26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50013284A (ko) 2003-07-28 200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용 물통
KR20060129672A (ko)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WO2006135169A2 (en) * 2005-06-13 2006-12-21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JP4899515B2 (ja) * 2006-02-14 2012-03-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貯水装置
JP2010099548A (ja) 2008-10-21 2010-05-06 Panasonic Corp 除湿装置
JP5532820B2 (ja) * 2009-10-29 2014-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KR102013865B1 (ko) 2012-06-11 2019-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78085A1 (en) * 2005-06-13 2006-12-14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US20090120118A1 (en) * 2005-10-24 2009-05-14 Sang-Youn Yoon Dehumidifier
JP2007253138A (ja) * 2006-03-27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の貯水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93566B1 (en) 2020-07-29
US10557639B2 (en) 2020-02-11
US20160334118A1 (en) 2016-11-17
KR20160134210A (ko) 2016-11-23
EP3093566A1 (en)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536B1 (ko) 제습기
KR20150081595A (ko) 제습기
KR102435202B1 (ko) 제습기
TWI727375B (zh) 除濕機
JP5850000B2 (ja) 除湿機のドレンタンク
JP2002257408A (ja) 空気調和機
KR102302545B1 (ko) 제습기
JP2005061655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KR20070044743A (ko) 공기조화기
KR20100051469A (ko) 공기조화기
KR20070044161A (ko) 공기조화기
JP2002349896A (ja) 除湿機
KR100885571B1 (ko) 공기 조화기
JP5664290B2 (ja) 空気調和機の吹出口に備えたルーバー構造
JP2007237120A (ja) 除湿機
KR2006007739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80788B1 (ko) 공기조화기
KR20150102367A (ko) 제습기
KR100409003B1 (ko) 제습기의 공기 토출구조
JP2001241749A (ja) 空気調和機
KR100717340B1 (ko) 공기조화기
JP7194579B2 (ja) サイクル機器
KR100626429B1 (ko) 공기조화기
JP3370077B2 (ja) 空気調和機
KR20070044214A (ko)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