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469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469A
KR20100051469A KR1020080110642A KR20080110642A KR20100051469A KR 20100051469 A KR20100051469 A KR 20100051469A KR 1020080110642 A KR1020080110642 A KR 1020080110642A KR 20080110642 A KR20080110642 A KR 20080110642A KR 20100051469 A KR20100051469 A KR 20100051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ucket
door
wat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6298B1 (ko
Inventor
최용혁
조진명
정신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298B1/ko
Priority to CN2008101877157A priority patent/CN101737854B/zh
Priority to PCT/KR2008/007837 priority patent/WO2010053228A1/en
Priority to EP08878008.5A priority patent/EP2364418B1/en
Publication of KR20100051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2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using wet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전방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가리거나 노출시키도록 설치된 프론트 도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기와; 물이 담겨지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입되게 배치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서 유출된 물이 담겨지게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물 가이드와; 상기 송풍기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상기 물 가이드에 안착된 가습 필터와; 상기 가습 필터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입되게 배치되는 정화 유닛을 포함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유닛에서 정화한 후 자연 증발가습에 의해 수분을 공급하므로, 하나의 기기로 실내를 청정과 가습을 동시에 행할 수 있고, 물통과 정화유닛이 프론트 도어를 연후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모두 출입될 수 있으므로 물통과 정화유닛의 착탈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Figure P1020080110642
공기조화기, 공기 토출구, 개구부, 물통, 물 가이드, 가습 필터

Description

공기조화기{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습 유닛과 정화 유닛이 함께 설치되고 가습 유닛과 정화 유닛이 하나의 개구부를 통해 출입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서,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와, 실내를 난방시키는 난방기와, 실내를 제습시키는 제습기와, 실내를 가습시키는 가습기와,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변화시키는 정화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냉방기나 난방기나 제습기일 경우 냉매와 실내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 유닛을 포함하고, 정화기일 경우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을 포함하며, 가습기일 경우 수분을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가습기일 경우, 초음파식 가습기와, 가열식 가습기와, 복합식 가습기 등이 있다.
초음파식 가습기는 물을 넣은 용기의 밑부분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물을 작은 입자로 쪼개서 내뿜는 방식으로서, 가습기에서 나오는 증기는 차가운 수증기이다.
가열식 가습기는 가습기 안의 물을 끓여 수증기로 뿜어주는 방식으로서, 가습기에서 나오는 증기는 뜨거운 증기이다.
복합식 가습기는 초음파식과 가열식의 방법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가열식과 초음파식의 장점을 살린 것으로서, 먼저 가열관에서 물 온도를 올려 살균시킨 뒤 초음파를 이용해서 뿜어주는 방식이고, 상황에 따라 `따뜻한 수증기' `차가운 수증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초음파식 가습기와 가열식 가습기와 복합식 가습기 등은 실내 습도를 높이기 위해 수증기를 주변으로 직접 뿜어주는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와 거리가 먼 실내 영역으로 수분을 신속하게 공급하지 못하고, 실내의 습도를 높임과 동시에 실내를 청정하게 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정화기를 구비하고 정화기를 운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자연 증발식으로 가습하여 실내로 토출하고 습도와 청정도를 함께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론트 도어를 열고 정화유닛과 물통 모두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통과 정화 유닛의 착탈이 손쉬운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전방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가리거나 노출시키도록 설치된 프론트 도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기와; 물이 담겨지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입되게 배치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서 유출된 물이 담겨지게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물 가이드와; 상기 송풍기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상기 물 가이드에 안착된 가습 필터와; 상기 가습 필터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입되게 배치되는 정화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물통과 정화 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에 좌,우 위치되게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는 좌우 폭이 상기 정화 유닛의 좌우 폭과 상기 물통의 좌우 폭의 합 보다 크게 형성되고, 높이가 상기 정화 유닛의 높이 및 상기 물통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리어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방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면부에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하부에 하면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하면 공기 흡입구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물 가이드 사이의 하측에 상하로 개구 형성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에 공기 흡입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좌,우판부 중 상기 물통과 근접한 일측판부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판부에 형성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리어 케이스에 설치된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에 결합된 팬과, 상기 리어 케이스와 함께 상기 팬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전판부에 상기 팬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부가 형성되고, 둘레부 중 일측에 상기 공기 토출구와 통하는 토출부가 형성된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팬 하우징의 전방을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과 상기 물통이 위치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송풍기와 정화 유닛에는 상기 정화 유닛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송풍기에 지지되게 하는 정화유닛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정화 유닛과 상기 물 가이드에는 상기 정화 유닛이 상기 물 가이드에 착탈되게 하는 정화유닛 착탈부가 형성된다.
상기 정화 유닛 착탈부는 상기 정화 유닛과 물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걸이홀을 갖는 탄성 걸이부와, 상기 탄성 걸이부가 걸리도록 정화 유닛과 물 가이드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화 유닛 지지부는 상기 정화 유닛의 상부 양측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 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올려지도록 상기 팬 하우징과 프론트 케이스 사이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 안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통은 좌,우 중 일측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리어 케이스 및 프론트 케이스와의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공간을 갖게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는 상기 물통과 대향되는 면에 상기 물통과 접촉되는 리브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정화유닛에 정화된 후 가습 필터에 의해 가습되므로 하나의 공기조화기로 실내를 청정도와 습도를 모두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프론트 도어를 열어 개구부를 노출시키면, 정화유닛과 물통이 모두 개구부를 통해 출입될 수 있어 정화유닛과 물통의 착탈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가 하부 공기 흡입구와 프론트 도어의 공기 흡입 통로로 흡입되므로, 실내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흡입되어 정화된 후 가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정화유닛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장착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물통이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흔들거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물통 장착시의 충격이 완화되어 물통이나 송풍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좌,우측 도어 중 어느 하나를 옆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좌,우측 도어 모두를 옆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물 흐름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의 전방부에 개구부(4)가 형성되고, 둘레부인 상부와 하부와 좌측부와 우측부 중 적어도 일측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된다.
본체(2)에는 개구부(4)의 전방으로 회전되어 개구부(4)를 덮거나 개구부(4) 의 전방 이외로 회전되어 개구부(4)를 노출시키는 프론트 도어(10)가 연결된다.
프론트 도어(10)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되어 개구부(4)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되어 개구부(4)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프론트 도어(1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고 개구부(4)의 전방으로 회전되었을 때 이격되는 복수개의 도어(12)(14)와, 복수개의 도어(12)(14) 중 하나(14)에 설치되고 복수개의 도어(12)(14) 중 적어도 하나(12)(14)와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16)(18)를 갖으며 복수개의 도어(12)(14)를 모두 닫았을 때 복수개의 도어(12)(14) 사이를 통해 노출되는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한다.
프론트 도어(10)는 복수개의 도어(12)(14)가 본체(2)의 좌측에 좌측으로 회전되게 연결된 좌측 도어(12)와, 본체(2)의 우측에 우측으로 회전되게 연결된 우측 도어(14)와,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 중 하나(14)에 설치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 중 적어도 하나(12)(14)와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16)(18)를 갖는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론트 도어(10)는 복수개의 도어(12)(14)가 본체(2)의 상부에 상측으로 회전되게 연결된 상측 도어와, 본체(2)의 하부에 하측으로 회전되게 연결된 하측 도어와, 상측 도어와 하측 도어 중 하나에 설치되고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측 도어와 하측 도어 중 적어도 하나와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를 갖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론트 도어(10)는 복수개의 도어(12)(14)가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 를 포함할 경우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의 열림 상태를 유지시킬 필요가 없어 구조가 간단하고, 여닫는 동작이 손쉬운 반면에,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를 본체(2)의 옆으로 회전시켰을 때 본체(2)의 좌,우측에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가 벽이나 가구 등과 간섭되지 않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다.
프론트 도어(10)는 복수개의 도어(12)(14)가 상측 도어와 하측 도어를 포함할 경우 상측 도어와 하측 도어 중 상측 도어의 열림 상태를 유지시켜야 하는 받침대 등의 구조물이 필요하게 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상측 도어를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이 불편함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반면에, 본체(2)의 좌,우측에 가구나 벽 등과 간섭되지 않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하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와 디스플레이(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좌측 도어(12)는 개구부(4)의 좌,우, 중앙 중 좌측을 덮거나 노출시키도록 본체(2)의 좌측에 좌측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우측 도어(14)는 개구부(4)의 좌,우, 중앙 중 우측을 덮거나 노출시키도록 본체(2)의 우측에 우측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디스플레이(20)는 개구부(4)의 좌,우, 중앙 중 중앙을 덮도록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 중 하나에 설치된다.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는 디스플레이(20)가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의 사이를 통해 노출되게 이격되고, 좌측 도어(12)는 디스플레이(20)의 좌측단을 가리게 설치되며, 우측 도어(14)는 디스플레이(20)의 우측단을 가리게 설치 된다.
디스플레이(20)는 공기조화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21)(22)(23)(24)와, 리모컨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컨 수신부(25)와, 공기조화기를 강제 운전/정지시키는 운전 키(26)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됨과 아울러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의 사이를 통해 노출되게 배치된다.
복수개의 표시부(21)(22)(23)(24)는 운전 표시부(21)와, 취침 예약 표시부(22)와, 살균 표시부(23)와, 급수 알림 표시부(2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20)는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 중 하나에 이격되게 체결되는 디스플레이 체결부(27)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체결부(27)는 디스플레이(20)에 복수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된다.
디스플레이 체결부(27)는 디스플레이(20)가 설치되는 도어(14)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고, 후크 등의 걸이부에 의해 걸림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체결부(27)는 디스플레이(20)의 측면부에서 디스플레이(20)의 측면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전후 돌출편과, 전후 돌출부(27)의 선단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된 좌우 돌출편을 포함하고, 좌우 돌출편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29)가 관통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디스플레이(20)가 설치되는 도어(14)에는 좌우 돌출편(28)의 체결공을 관통한 체결부재(29)가 체결되는 체결공을 갖는 보스나 체결공으로 이루어진 체결 부(15)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20)는 디스플레이(20)가 설치되는 도어(14)와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18)를 갖을 경우, 디스플레이 체결부(26)가 디스플레이(20)와 디스플레이(20)가 설치되는 도어(14)를 이격시키는 길이로 형성된다.
프론트 도어(10)는 개구부(4)가 공기를 본체(2)의 전면을 통해 흡입되게 하는 전면 공기 흡입구로 기능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 통로(16)(18)가 개구부(4)의 전방에 위치되게 형성된다.
이하, 본체(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2)는 리어 케이스(30)와, 리어 케이스(30) 전방에 배치되고 전방부에 개구부(4)가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40)를 포함한다.
리어 케이스(30)는 공기조화기의 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프론트 케이스(40)와의 사이에 공간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리어 케이스(30)는 후판부(31)와, 좌판부(32)와, 우판부(33)와, 상판부(34)와, 하판부(35)를 포함한다.
리어 케이스(30)은 좌판부(32)와 우판부(33)에 엘이디 조명기구(36)(37)가 설치되는 조명기구 설치부(38)(39)가 각각 형성된다.
엘이디 조명기구(36)(37)는 공기조화기의 좌,우 측면에서 간접 조명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좌측 엘이디 조명기구(36)와 우측 엘이디 조명기구(37)를 포함한 다.
조명기구 설치부(38)(39)는 엘이디 조명기구(36)(37)가 리어 케이스(30)의 좌,우측면과 동일면에 위치되고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게 하는 것으로서,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 삽입홀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엘이디 조명기구(36)(37) 두께 보다 조금 크게 함몰 형성된 삽입홈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프론트 케이스(40)는 공기조화기의 전방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40)는 개구부(4)가 프론트 케이스(40)의 전판부(41)와 좌,우판부(42)(43) 중 적어도 하나에 걸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개구부(4)가 프론트 케이스(40)의 전판부(43)에만 전후 개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후술하는 물통(82)과 정화 유닛(110)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프론트 케이스(40)의 전판부(41)에서부터 좌,우판부(42)(43) 중 적어도 하나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케이스(40)는 사용자 등이 물통(82)을 손으로 잡기 용이하고 후술하는 표시창(13)을 통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개구부(4)가 전판부(41)에서부터 좌,우판부(42)(43) 중 물통(82)과 근접한 일측판부(42)까지 개구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40)는 개구부(4)가 전판부(41)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전면 개구부와, 전면 개구부와 연속되고 일측판부(42)에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물통(82)의 측면 일부를 노출시키는 측면 개구부로 이루어진다.
프론트 케이스(40)는 개구부(4)가 프론트 도어(10)의 공기 흡입통로(16)(18) 로 흡입된 공기를 본체(2) 내부로 흡입되게 하는 일종의 전면 흡입구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고, 개구부(4)가 정화 유닛(110)과 물통(82)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로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며, 전면 공기 흡입구와 출입구의 기능을 겸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전면 공기 흡입구와 출입구의 기능을 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프론트 케이스(40)는 개구부(4)가 프론트 도어(10)의 후방에 프론트 도어(10)의 전방부 크기 보다 작게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40)는 상판부(44)에 공기 토출구(6)가 상하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고, 하부(45)에 프론트 케이스(40) 하측의 공기가 프론트 케이스(40)의 내부로 흡입되는 하부 공기 흡입구(46)가 상하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40)는 공기 토출구(6)가 개구부(4)의 후방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 형성되고, 하부 공기 흡입구(46)가 개구부(4)의 후방 하측에 상하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를 닫았을 때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가 프론트 케이스(40)와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되면서 디스플레이(20)와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16)(18)가 형성되도록 본체(2) 특히 프론트 케이스(40)에 디스플레이(20)가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삽입부(47)(48)가 함몰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 내부에 설치된 송풍기(50)와, 송풍기(50)에서 공기 토출구(6)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 조절기구(70)와, 송풍기(50)와 개구부(4)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송풍기(50)의 구동시 송풍기(5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공조시키는 적어도 공조 유닛(78)을 포함한다.
송풍기(50)는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로 송풍시키는 원심팬으로서, 리어 케이스(30)에 모터 마운터(52)로 설치되는 팬 모터(54)와, 팬모터(54)의 회전축에 설치된 팬(56)과, 리어 케이스(30)와 함께 팬모터(54)와 팬(56)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전면부에 흡입부(57)가 형성되며 상부에 토출부(58)가 형성된 팬 하우징(60)을 포함한다.
팬 하우징(60)은 흡입부(57)가 형성된 전판부(62)와, 전판부 배면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둘레부(64)를 포함한다.
팬 하우징(60)은 흡입부(57)에 그릴이 형성된다.
팬 하우징(60)은 둘레부(64)에 스크롤부 형성된다.
송풍기(50)는 리어 케이스(30) 및 프론트 케이스(40)와의 사이에 후술하는 물통(82)의 돌출부(83)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공간을 갖게 설치된다.
팬 하우징(60)은 전판부(62)가 리어 케이스(30) 및 프론트 케이스(40)와 이격되고, 특히 물통(82)의 돌출부(82) 좌우 폭보다 조금 큰 간격으로 이격된다.
팬 하우징(60)은 전판부(62)에 팬 하우징(60)의 전방을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과 물통(82)이 위치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65)이 돌출 형성된다.
팬 하우징(60)은 토출부(58)에 안전망(66)이 배치된다.
풍향 조절기구(70)는 팬 하우징(60)의 토출부(58)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게 배치된 토출 베인(72)과, 토출 베인(72)을 회전시키도록 팬 하우징(60)의 토출부(58)에 설치된 베인 모터(74)를 포함한다.
공조 유닛(78)은 개구부(4)를 통해 전방에서 흡입된 공기와 하부 공기 흡입구(46)를 통해 개구부(4)의 후방으로 흡입된 공기를 모두 공조시키도록 개구부(4)의 후방이면서 하부 공기 흡입구(46)의 상측 후방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공조 유닛(78)은 공기를 가습시키는 가습 유닛(80)과,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 유닛(110)을 포함한다.
가습 유닛(80)은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 중 하나에 의해 가려지게 배치되는 물통(82)과; 물통(82)에서 유출된 물이 담겨지게 본체(2) 내부에 설치된 물 가이드(90)와; 송풍기(50)로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도록 물 가이드(90)에 올려진 가습 필터(100)를 포함하고, 개구부(4)를 통해 본체(2)의 내부로 출입될 수 있게 배치된다.
정화 유닛(110)은 가습 필터(10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개구부(4)를 통해 출입되게 배치된다.
즉, 공조 유닛(78)은 가습 유닛(80)과 정화 유닛(110)이 개구부(4)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설치된다.
프론트 케이스(40)는 상기와 같은 가습 유닛(80)과 정화 유닛(110)의 출입을 위해 개구부(4)의 높이가 가습 유닛(80)과 정화유닛(110)의 최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고, 개구부(4)의 좌우 폭이 가습 유닛(80)과 정화유닛(110)의 좌우 폭 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편, 공조 유닛(78)은 물통(82)과 물 가이드(90)와 가습 필터(100)와 정화 유닛(110) 중 특히 물통(82)과 정화 유닛(110)의 착탈 회수가 높고, 물통(82)과 정 화 유닛(100)이 개구부(4) 후방에 좌,우 배치되게 설치된다.
즉, 개구부(4)는 좌우 폭이 물통(82)의 좌우 폭과 정화 유닛(110)의 좌우 폭의 합 보다 크게 형성되고, 높이가 물통(82)의 높이 및 정화 유닛(110)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하, 가습 유닛(8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물통(82)은 가습 필터(100)에 함유될 수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최대한 다량의 물이 담겨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컴팩트화하면서 물이 최대한 많이 담겨질 수 있도록 좌,우 중 일측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3)가 형성된다.
물통(82)은 돌출부(82)가 리어 케이스(30)와 프론트 케이스(40) 중 적어도 하나와 팬 하우징(60)의 전판부(62)의 사이로 삽입되게 설치된다.
물통(82)은 물이 출입되는 홀부가 형성되고, 홀부에는 물을 단속하는 캡(84)이 배치된다.
캡(84)은 물이 통과하는 유로가 형성됨과 아울러 밸브체가 유로를 개폐하도록 캡(84)에 이동되게 배치된다.
캡(84)은 물통(82)이 물 가이드(90)에 안착될 때 밸브체가 물 가이드(90)나 후술하는 이온정화 수지 필터(92)에 의해 물통(82)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물통(82)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캡(82)의 유로를 개방한다.
물통(82)은 물 가이드(90)에 올려지면서 안착되어 설치되고, 물통(82)의 설치에 관한 구조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물 가이드(90)는 물통(82)과 가습필터(100)가 안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물통(82)에서 배수된 물이 흐르는 물 유로를 갖는다.
물 가이드(90)는 물통(82)이 물 가이드(90)에 올려 졌을 때 캡(84)의 유로가 개방되게 밸브체를 이동시키는 돌기(91)가 형성된다.
가습 유닛(80)은 물 가이드(90)의 물 유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 센서(92)와, 물통(82)에서 배수된 물을 연수화시키는 연수 필터(93)를 포함한다.
수위감지 센서(92)는 급수 시점을 알려주기 위해 수위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물에 의해 부양되면서 수위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플로우트와, 플로우트에 의해 스위칭되게 물 가이드(90)의 상부 또는 송풍기(50)의 팬 하우징(60)에 설치된 센서를 포함한다.
연수 필터(93)는 폴리스티렌 화합물이 사용되는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지고, 이 수지 표면에 코팅된 이온이 물의 경도를 좌우하는 Ca, Mg과 치환하여 센물의 경도를 낮추어 경수를 연수화 시키는 이온정화수지 필터로서, 물통(82)에서 배수된 물이 연수화된 후 물 가이드(90)을 따라 가습필터(100)로 흐르도록 물통(82)이 물 가이드(90)에 안착되었을 때 물통(82)의 하측에 위치되게 배치되고, 캡(84)의 전부 혹은 일부가 삽입되어 걸리도록 내주에 링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가습 유닛(90)은 물 가이드(90)의 물을 살균되는 물 살균기(94)를 더 포함한다.
물 살균기(94)는 방전극이 물속에서 방전을 일으켜 H2O2 생성하는 것에 의해 물을 살균시키는 것으로서, 물 가이드(90)가 청소 등의 서비스를 위해 개구부(4)를 통해 인출하거나 장착될 때 물 가이드(90)에 의해 회전되어 물 가이드(90)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고, 물 가이드(90)의 장착시 물 가이드(90) 내부로 돌출되어 방전극이 물에 잠겨지도록 상부가 송풍기(50)의 팬하우징(60)에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배치된다.
물 가이드(90)는 물통(82)이 안착되고 내측에 연수 필터(93)가 배치되는 물통 안착부(95)와, 물통 안착부(95)에서 연장되고 팬 하우징(60)의 전방 하측에 좌우로 길게 배치되며 가습 필터(100)가 안착되는 유로부(96)를 포함한다.
물 가이드(90)는 물통 안착부(95)와 유로부(96) 중 하나에서 연장되어 수위감지 센서(91)가 배치되는 수위감지 센서 설치부(97)를 포함한다.
가습 필터(100)는 유로 가이드(90)의 물을 흡수하여 함수하는 필터 부재(101)와, 필터 부재(101)를 보호하는 필터 케이스(102)(103)를 포함하고, 필터 케이스(102)(103)는 전면 그릴이 형성된 프론트 필터 케이스(102)와, 후면 그릴이 형성된 리어 필터 케이스(103)를 포함한다.
가습 필터(100)는 필터 부재(101)의 하부가 물 가이드(90)의 유로부(96)에 위치되게 물 가이드(90)의 유로부(96)에 올려져 설치된다.
이하, 정화 유닛(1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정화 유닛(110)은 개구부(4)와 가습 필터(100)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필터 케이스(111)(112)와, 필터 케이스(111)(112)에 설치된 복수개의 필터(113)(114)(115)를 포함한다.
필터 케이스(111)(112)는 전면 그릴이 형성된 프론트 필터 케이스(111)와, 후면 그릴이 형성된 리어 필터 케이스(112)를 포함한다.
필터 케이스(111)(112)는 프론트 필터 케이스(111)의 전면에 필터(113)(114)(115) 중 일부가 상하 슬라이딩 착탈되는 프론트 슬라이딩 가이드(116)가 형성된다.
프론트 슬라이딩 가이드(116)는 프론트 필터 케이스(111)의 전면 좌,우 양측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필터 케이스(111)(112)는 하단에 손잡이(117)가 돌출 형성된다.
복수개의 필터(113)(114)(115)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거르는 프리필터와, 공기 중의 미세 이물질을 거르는 헤파 필터와, 공기 중의 미세 이물질을 전기로 이온화하여 포집하는 전기집진 피터와, 알러지를 제거하는 Ag알러실드필터 등의 알러지 필터와, 냄세를 제거하는 활성판 필터나 광촉매 탈취필터 등의 탈취필터 중 적어도 복수개로서, 이하 프리필터(113)와, 알러지 필터(114)와, 탈취 필터(115)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프리필터(113)는 프론트 슬라이딩 가이드(106)에 의해 프론트 필터 케이스(111)의 전면에 착탈된다.
프리필터(113)는 전면과 상단과 하단 중 일측에 손잡이(118)가 돌출 형성된다.
알러지 필터(114)와 탈취 필터(115)는 프론트 필터 케이스(111)와 리어 필터 케이스(112)에 의해 보호되도록 프론트 필터 케이스(111)와 리어 필터 케이스(112) 내측에 위치된다.
정화 유닛(110)은 복수개의 필터(113)(114)(115)가 일체화된 상태에서 개구부(4)를 통해 출입되고, 본체(2)의 내부 중 송풍기(50)의 팬 하우징(60)과 개구부(4)의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정화 유닛(110)은 하부 공기 흡입구(46)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 흡입 통로(16)(18)와 개구부(4)를 차례로 통과한 공기와 합쳐져서 정화 유닛(110)을 통과할 수 있도록, 송풍기(50)의 팬 하우징(60) 전판부(62)와 하부 공기 흡입구(46) 상측 사이에 설치되며, 정화 유닛(110)의 설치에 관한 구조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프론트 도어(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공조 유닛(78) 중 물통(82)의 출입시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 중 하나가 옆으로 회전되어 개구부(4) 중 물통(82)의 전방을 개방하고 공조 유닛(78) 중 정화유닛(110)의 출입시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와 디스플레이(20)가 개구부(4)의 전부를 개방한다.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는 평판체로 이루어지고 프론트 케이스(40)의 전판부에 좌우 회전되게 힌지 연결되어 프론트 케이스(40)의 전면 일부만을 여닫는 것도 가능하고, ‘ㄴ’자 단면 형상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고, 프론트 케이스(40)의 측판부나 리어 케이스(30)의 측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프론트 케이스(40)의 전면 일부와 측면을 함께 여닫는 것도 가능하며, 공기조화기의 측면에서 볼 때, 프론트 케이스(40)의 전면과 좌측 도어(12)의 사이 및 프론트 케이스(40)의 전면과 우측 도어(14)의 사이가 보이지 않고 이물질 등이 그 사이로 침투되지 않도 록 ‘ㄴ’자 단면 형상의 절곡판체로 이루어지고, 프론트 케이스(40)의 측판부나 리어 케이스(30)의 측판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설명한다.
좌측 도어(12)와 프론트 케이스(40)의 좌측판부(42) 중 어느 하나에는 좌측 힌지축(4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좌측 힌지축(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측 힌지 걸이(12′)가 형성된다.
우측 도어(14)와 프론트 케이스(40)의 우측판부(43) 중 어느 하나에는 우측 힌지축(43′)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우측 힌지축(4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우측 힌지 걸이(14′)가 형성된다.
한편,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 중 물통(82)을 가리는 도어(12)에는 물통(82)이 보이는 표시창(13)이 설치된다.
표시창(13)은 물통(82)을 가리는 도어(12)가 프론트 케이스(40) 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물통(82)의 유무나 물통(82) 내의 수위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고, 물통(82)을 가리는 도어(12) 중 물통(82)과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표시창(13)은 프론트 케이스(40)의 개구부(4)가 전판부(41)에서부터 좌,우판부(42)(43) 중 물통(82)과 근접하게 대향되는 일측판부(42)까지 개구 형성되어 있고, 물통(82)을 가리는 도어(12)의 측판부에 형성될 경우에도 물통(82)을 확인할 수 있고 물통(82)을 가리는 도어(12)를 닫았을 때 전면에서 직접 보이지 않으면 전면 외관이 일체감을 줄 수 있으므로, 물통(82)을 가리는 도어(12)의 전판부에 형성되지 않고 측판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20)는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 중 물통(82)을 출입시킬 경우에 회전되지 않고 정화유닛(110)을 출입시킬 경우에만 회전될 수 있도록 물통(82)을 가리는 도어(12) 이외의 도어(14)에 설치된다.
이하, 물통(82)이 개구부(4)의 좌측을 통해 출입되고, 좌측 도어(12)가 개구부(4) 중 좌측을 여닫으면서 물통(82)의 전방과 정화 유닛(110)의 일부 전방을 가리거나 노출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정화유닛(110)이 개구부(4)의 우측과 중앙을 통해 출입되고, 우측 도어(14)와 디스플레이(20)가 개구부(4)의 우측과 중앙을 여닫으면서 정화 유닛(110) 중 좌측 도어(12)에 의해 가리거나 노출되지 않는 부분을 가리거나 노출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2) 특히 프론트 케이스(40)에는 좌측 도어(12)가 좌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좌측 도어(12)의 과회동을 제한하는 좌측 스토퍼(122)가 형성되고, 우측 도어(14)가 우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우측 도어(14)의 과회동을 제한하는 우측 스토퍼(142)가 형성된다.
좌측 스토퍼(122)는 좌측 도어(12)가 개구부(4) 좌측을 덮는 위치에서 90°회전되었을 때 좌측 도어(12)가 전방으로 걸리도록 본체(2) 특히 프론트 케이스(40)의 좌판부(42)에 돌출 형성된다.
우측 스토퍼(142)는 우측 도어(14)가 개구부(4) 우측을 덮는 위치에서 90°회전되었을 때 우측 도어(14)가 전방으로 걸리도록 본체(2) 특히 프론트 케이스(40)의 우판부(43)에 돌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를 본체(2) 특히 프론트 케이스(40)에 닫힘 유지시키는 도어 닫힘 유지기구를 더 포함한다.
도어 닫힘 유지기구는 프론트 케이스(40) 중 좌측 도어(12)에 의해 덮혀지는 위치에 설치된 좌측 마그네트(123)와, 좌측 도어(12)에 설치되고 좌측 마그네트(123)와 인력 작용되는 좌측 자성체(124)와, 프론트 케이스(40) 중 우측 도어(14)에 의해 덮혀지는 위치에 설치된 우측 마그네트(143)와, 우측 도어(14)에 설치되고 우측 마그네트(143)와 인력 작용되는 우측 자성체(144)를 포함한다.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에는 돌기(125)(145)가 돌출 형성되고, 본체(2) 특히 프론트 케이스(40)에는 돌기(125)(145)가 삽입되어 걸리는 쳐짐 방지부(126)(146)가 형성된다.
쳐짐 방지부(126)(146)는 본체(2) 특히 프론트 케이스(40)에 형성되어 돌기(125)(145)가 삽입되어 돌기 삽입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도어 이외의 도어와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도어 열림 감지기구(150)를 더 포함한다.
도어 열림 감지기구(150)는 디스플레이(20)에 설치된 홀 센서(152)와, 홀 센서(152)와 대향되게 디스플레이(20)가 설치된 도어(14) 이외의 도어(12)에 설치된 마그네트(154)를 포함한다.
홀 센서(152)는 디스플레이(20)의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피시비(182)와 리드 와이어로 연결된다.
홀 센서(152)는 디스플레이(20)의 측면에 옆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마그네트(154)는 디스플레이(20)가 설치된 도어(14) 이외의 도어(12)가 닫힘 되었을 때 홀 센서(152)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2)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된 제어부(160)와, 제어부(160)와 디스플레이(20)를 연결하는 리드 와이어(168)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수위감지센서(92)의 감지 결과에 따라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하고, 도어 열림 감지기구(150)의 홀센서(152)의 감지 결과에 따라 팬 모터(54)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전면이 개방된 박스체(162)와, 박스체(162)의 내부에 설치된 피시비 어셈블리(164)와, 박스체(162)의 전면을 덮는 커버(166)를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박스체(162)와 커버(166)가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피시비 어셈블리(164)가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된 피시비와, 피시비가 설치되고 합성수지재 등의 절연재질로 피시비 케이스를 포함한다.
제어부(160)는 송풍기(50) 특히 팬 하우징(60)의 전판부(62) 전면 상부에 후크 등의 걸이부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된다.
리드 와이어(168)는 일단이 제어부(160)에 연결되고 타단이 디스플레이(20)에 연결된다.
좌측 도어(12)와 우측 도어(14) 중 디스플레이(20)가 설치된 도어(14)에는 리드 와이어(168)를 지지하고 안내하는 와이어 가이드(170)가 형성된다.
와이어 가이드(170)는 디스플레이(20)가 설치된 도어(14) 내면에 따라 좌우로 길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브로서, 복수개의 리브(172)(174)가 상하 이격되 게 형성된다.
디스플레이(20)는 전면이 개방된 디스플레이 케이스(180)과, 피시비 케이스(180)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복수개의 엘이디와, 리모컨 수신부(25)와, 스위치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피시비(182)와, 디스플레이 피시비(182)를 보호하도록 디스플레이 케이스(180) 전면을 덮게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8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84)은 엘이디 각각의 전방에 엘이디의 광이 투과되는 광 투과부가 형성되고, 리모컨 수신부(25)의 전방에 리모컨에서 발신된 신호가 통과하는 투과부가 형성되며, 스위치의 전방에 누름부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20)는 엘이디에서 조사된 광을 안내하고 엘이디를 보호하는 광 가이드(186)를 더 포함한다.
광 가이드(186)는 디스플레이 패널(184)의 배면에 설치되거나 디스플레이 피시비(182)에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모컨이나 입력 키를 통해 운전 명령을 입력하면, 디스플레이(20)는 도어 열림 감지기구(150)의 홀센서(152)의 감지 결과와 운전 명령의 입력에 따른 신호를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는 운전 명령이 입력되었고, 도어 열림 감지기구(150)의 홀센서(152)가 도어 닫힘으로 감지하면, 팬 모터(54)를 구동시키고, 풍향 조절기구(70)의 베인 모터(74)를 개방모드로 구동한다.
베인 모터(74)의 개방모드 구동시 토출 베인(72)은 공기 토출구(6)를 개방하면서 공기 토출구(6)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안내하게 배치된다.
팬 모터(54)의 구동시, 팬(56)은 회전되고, 실내 중 프론트 도어(10) 전방의 공기는 좌측 도어(12)와 디스플레이(20) 사이의 공기 흡입 통로(16)과, 우측 도어(14)와 디스플레이(20) 사이의 공기 흡입 통로(18)를 통과해 프론트 도어(10)의 후방으로 흡입되고, 이후 개구부(4)를 통과한다.
개구부(4)를 통과한 공기는 정화 유닛(110)을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이후 가습 필터(100)를 통과하면서 가습 필터(100)로부터 수분을 공급받는다.
상기와 같이 정화되고 자연 증발식으로 수분을 공급받은 공기는 송풍기(50)로 유입되어 토출부(58)로 토출되고, 토출 베인(72)의 안내를 받으면서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운전의 도중에 제어부(160)는 물 살균기(94)를 구동시키고, 물 살균기(94)는 물 가이드(90)의 물을 살균시키며, 물통(82)의 물은 연수 필터(93)에 의해 연수화된 후 살균되어 가습 필터(100)로 흐른 후 가습 필터(100)에 흡수되고, 가습 필터(100)는 정화 유닛(110)을 통과한 공기에 의해 자연 증발되면서 공기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운전의 도중에 수위감지 센서(92)는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하고, 제어부(160)는 수위감지 센서(92)의 수위가 설정치 미만이면, 물 가이드(90)에 물이 없는 것으로 감지하고, 디스플레이(20)로 물 없음 신호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20)는 급수 알림 표시부(24)를 온시켜 물통(82)에 물이 없음을 외부로 알린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물통을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
물통(8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방에 위치된 도어(12)를 옆으로 회전시켰을 때 개구부(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되게 설치된다.
물통(82)은 하부가 물 가이드(90)의 물통 안착부(95) 상단에 올려지는 바, 물통(82)의 하판부 가장자리를 따라 물통 안착부(95) 상단에 올려지는 안착부(85)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물통(82)은 캡(84)이 연수 필터(92)와 물 가이드(90) 중 하나에 걸리게 설치되는 바, 물통 안착부(95)에 안착되었을 때 캡(84)의 전부 혹은 일부가 연수 필터(93)에 걸린다.
물통(82)은 좌판부와 우판부가 팬 하우징(60)의 구획벽(65)과 프론트 케이스(40)의 일측판부(42) 사이로 삽입되는데, 장착시 비스듬히 삽입되고 인출시 비스듬히 빠져 나오게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40)는 물통(82)이 비스듬히 삽입되거나 인출되기 위해서,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67)가 옆으로 돌출되고, 물통(82)에는 물통(82)의 착탈시 돌기(67)에 안내되면서 물통(82)의 삽입/인출을 안내하는 안내홈부(86)가 좌판부와 우판부에 각각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안내홈부(86)는 후방부가 개구되어 돌기(67)가 안내홈부(86)의 후방부를 통해 진입되고, 전방부에 돌기(67)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걸리는 걸림홈부(87)가 안내홈부(86)와 통하게 형성된다.
물통(82)은 앞부분에 손잡이(88)가 형성되고, 손잡이(88)의 주변에 사용자의 손이 들어갈수 있는 손잡이홈부(89)가 형성된다.
한편, 송풍기(50) 특히 팬 하우징(60)은 물통(82)과 대향되는 면에 물통(82)의 장착시 물통(82)과 접촉되어 지지하는 리브(68)(69)가 돌출 형성된다.
리브(68)(69)는 물통(82)의 장착시 물통(82)이 팬 하우징(82)에 충격을 가하지 않게 완충시키고 팬 하우징(82) 중 물통(82) 주변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으로서, 물통(82)이 팬 하우징(82)에 면접촉되지 않게 물통(82)을 지지하게 형성된다.
리브(68)(69)는 팬 하우징(60)의 전판부(62) 중 물통(82)의 후방에 물통(82)과 접촉되게 상하 혹은 좌우로 복수개 형성된 전면 리브(68)와, 구획벽(65) 중 물통(82)의 옆에 물통(82)과 접촉되게 상하 혹은 전후로 복수개 형성된 측면 리브(69)로 이루어진다.
이하, 물통(82)의 착탈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물통(82)의 인출 작업시 사용자 등은 물통(82)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12)를 옆으로 회전시키고, 이때 물통(82)은 개구부(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 등이 손을 개구부(4)로 집어넣어 물통(82)의 앞부분 특히 손잡이(88)를 잡고, 물통(82)을 소정 높이 들어 올리면, 물통(82)은 캡(84)이 연수 필터(92)에서 걸림 해제되고, 걸림홈부(87)가 돌기(67)에서 걸림 해제된다.
이후, 물통(82)을 전방으로 비스듬히 회전시키면서 전방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물통(82)은 안내홈부(86)가 돌기(67)의 안내를 받으면서 프론트 케이스(40)의 일측판부(42)와 구획벽(65) 사이에서 비스듬히 빠져나오고 개구부(4)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반면에, 물통(82)의 장착 작업시, 사용자 등이 물통(82)을 물 가이드(90)의 전방 상측 위치에 비스듬하게 위치시킨 후 물통(82)을 프론트 케이스(40)의 일측판부(42)와 구획벽(65) 사이로 비스듬히 밀어 넣으면, 물통(82)은 안내홈부(86)가 돌기(67)의 안내를 받으면서 물통(82)의 삽입을 안내한다.
물통(82)을 수직하게 세운 후 하측 방향으로 내리면, 물통(82)은 걸림홈부(87)는 돌기(67)에 걸리면서 상부 양측부가 걸리고, 이때 물통(82)의 안착부(85)는 물 가이드(90)의 물통 안착부(95) 상단에 올려지며, 캡(84)의 전부 혹은 일부는 연수 필터(93)에 걸린다.
즉, 물통(82)은 걸림홈부(87)와 안착부(85)와 캡(84) 모두가 고정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후, 물통(82) 인출시 열었던 도어(12)를 닫으면, 도어(12)는 개구부(4) 중 일부를 덮으면서 물통(82)을 보호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화유닛이 장착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화유닛이 착탈되는 도중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화유닛이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정화 유닛(110)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중 일측이 프론트 케이스(40)와 송풍기(50)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되고, 상,하부 중 타측이 송풍기(50)와 물 가이드(90) 중 하나에 탄성적으로 착탈된다.
이하, 정화유닛(110)은 상부가 프론트 케이스(40)와 송풍기(50)에 지지되고, 하부가 물 가이드(90)에 탄성적 착탈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프론트 케이스(40)와 송풍기(50)와 정화 유닛(110)에는 정화 유닛(110)이 송풍기(50)에 지지되게 하는 정화유닛 지지부(190)가 형성되며, 정화 유닛(110)과 물받이(90)에는 정화 유닛(110)이 물 가이드(90)에 착탈되게 하는 정화유닛 착탈부(200)가 형성된다.
정화 유닛 지지부(190)는 정화 유닛(110)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192)(193)와, 돌출부(192)(193)가 삽입되어 올려지도록 팬 하우징(60)과 프론트 케이스(40) 사이 또는 프론트 케이스(40)에 형성된 돌출부 안착부(194)(195)를 포함한다.
돌출부(192)(193)는 정화 유닛(110)의 상부 좌측에 돌출된 좌측 돌출부(192)와, 정화 유닛(110)의 상부 우측에 돌출된 우측 돌출부(193)를 포함한다.
돌출부(192)(193)는 정화 유닛(110)의 상부 측면에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각 판체 형상으로 돌출된 리브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안착부(194)(195)는 팬 하우징(60)과 프론트 케이스(40)의 사이에 형성되거나 프론트 케이스(40)에 형성되는데, 좌측 돌출부(192)와 우측 돌출부(193) 중 하나(193)가 옆에서 좌우 방향으로 삽입되어 올려지고 반대방향으로 인출되는 좌우 출입 안착부(194)와, 좌측 돌출부(192)와 우측 돌출부(193) 중 다른 하나(192)가 후방 방향으로 삽입되어 올려지고 전방 방향으로 인출되는 전후 출입 안착부(195)를 포함한다.
좌우 출입 안착부(194)는 프론트 케이스(40)에 옆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팬 하우징(60)과의 사이에 좌측 돌출부(192)와 우측 돌출부(193) 중 하나(193)가 위치되게 하는 것으로서, 좌측 돌출부(192)와 우측 돌출부(193) 중 하나(193)가 올려지는 하판부(196)와, 좌측 돌출부(192)와 우측 돌출부(193) 중 하나(193)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전판부(197)를 포함한다.
전후 출입 안착부(195)는 팬 하우징(60)의 구획판(65)과 프론트 케이스(40) 사이에 형성된 홈부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이 개방되고 후단이 막히게 형성된다.
정화 유닛 착탈부(200)는 정화 유닛(110)과 물 가이드(9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걸이홀(201)(202)을 갖는 탄성 걸이부(203)(204)와, 탄성 걸이부(203)(204)가 걸리도록 정화 유닛(110)과 물 가이드(90)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걸림턱(206)(207)를 포함한다.
탄성 걸이부(203)(204)는 탄성적으로 휘거나 복원되도록 정화 유닛(110)의 하부 양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편으로서, 걸림턱(206)(207)가 옆에서 삽입되어 걸리도록 걸이홀(201)(202)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 형성된다.
걸림턱(206)(207)는 탄성 걸이부(203)(204)가 타고 넘으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탄성 걸이부(203)(204)의 걸이홀(201)(202)에 삽입되어 탄성 걸이부(203)(204)의 임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물 가이드(90)에서 좌우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물 가이드(90)는 물통 안착부(95)와 수위감지 센서 설치부(97)가 유로부(96)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물통 안착부(95) 중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과 수위감지 센서 설치부(97) 중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정화 유닛(1000의 좌우 폭보다 조금 큰 간격으로 이격되며, 걸림턱(206)(207)는 물통 안착부(95) 중 수위감지 센서 설치부(97)와 대향하는 면과, 수위감지 센서 설치부(97) 중 물통 안착부(95)와 대향되는 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하, 정화유닛(110)의 착탈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기는 정화유닛(110)의 인출 작업시 사용자 등이물통(82)의 전방에 위치하는 도어(12)와 디스플레이(20)가 설치된 도어(2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때 정화유닛(110)은 개구부(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 등이 손을 개구부(4)로 집어넣어 정화유닛(110)의 손잡이(117)를 잡고 전방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정화유닛(110)은 탄성 걸이부(203)(204)가 탄성적으로 휘면서 걸림턱(206)(207)를 타고 넘고, 걸림턱(206)(207)와 걸림 해제된다.
이후, 정화유닛(110)을 옆으로 비스듬히 돌리면서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정화유닛(110)은 좌측 돌출부(192)와 우측 돌출부(193) 중 하나(193)가 좌우 출입 안착부(194)에서 인출되면서 좌측 돌출부(192)와 우측 돌출부(193) 중 다른 하나(192)가 전후 출입 안착부(195)에서 인출되며, 정화유닛(110)은 개구부(4)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다.
반면에, 정화유닛(110)의 장착 작업시, 사용자 등이 정화유닛(110)을 팬 하 우징(60)의 전방 위치에서 옆으로 비스듬하게 돌리면서 좌측 돌출부(192)와 우측 돌출부(193) 중 하나(193)를 좌우 출입 안착부(194)에 삽입시키고, 좌측 돌출부(192)와 우측 돌출부(193) 중 다른 하나(192)를 전후 출입 안착부(195)에 삽입시키면, 정화유닛(110)은 상부가 프론트 케이스(40)와 팬 하우징(60)에 지지된다.
이후, 정화유닛(110)의 하부를 물 가이드(90)의 물통 안착부(95)와 수위감지 센서 설치부(97) 사이로 밀어 넣으면, 정화유닛(110)은 탄성 걸이부(203)(204)가 탄성적으로 휘면서 걸림턱(206)(207)를 타고 넘고, 이후 걸림턱(206)(207)가 탄성 걸이부(203)(204)의 걸이홀(201)(202)에 삽입되면 탄성 걸이부(203)(204)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돌출부(206)(206)에 걸리고, 정화유닛(110)은 고정된다
이후, 물통(110) 인출시 열었던 도어들(12)(14)를 닫으면, 복수개의 도어(12)(14)와 디스플레이(20)는 개구부(4)의 전부를 덮으면서 정화 유닛(110)을 보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좌,우측 도어 중 어느 하나를 옆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좌,우측 도어 모두를 옆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물 흐름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물통을 외부로 인출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화유닛이 장착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화유닛이 착탈되는 도중일 때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화유닛이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4: 개구부
6: 공기토출구 10: 프론트 도어
30: 리어 케이스 40: 프론트 케이스
50: 송풍기 60: 팬 하우징
65: 구획벽 68,69: 리브
82: 물통 90: 물 가이드
100: 가습 필터 110: 정화 유닛
190: 정화유닛 지지부 192,193; 돌출부
194,195: 돌출부 안착부 200: 정화유닛 착탈부
201,202: 걸이홀 203,204: 탄성 걸이부
206,207: 걸림턱

Claims (14)

  1.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전방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가리거나 노출시키도록 설치된 프론트 도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송풍기와;
    물이 담겨지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입되게 배치되는 물통과;
    상기 물통에서 유출된 물이 담겨지게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물 가이드와;
    상기 송풍기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상기 물 가이드에 안착된 가습 필터와;
    상기 가습 필터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를 정화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출입되게 배치되는 정화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과 정화 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에 좌,우 위치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좌우 폭이 상기 정화 유닛의 좌우 폭과 상기 물통의 좌우 폭의 합 보다 크게 형성되고, 높이가 상기 정화 유닛의 높이 및 상기 물통의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리어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고, 전방부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면부에 상기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는 하부에 하면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공기 흡입구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물 가이드 사이의 하측에 상하로 개구 형성된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에 공기 흡입 통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좌,우판부 중 상기 물통과 근접한 일측판부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전판부에 형성된 공기조화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리어 케이스에 설치된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에 결합된 팬과;
    상기 리어 케이스와 함께 상기 팬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전판부에 상기 팬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흡입부가 형성되고, 둘레부 중 일측에 상기 공기 토출구와 통하는 토출부가 형성된 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은 상기 팬 하우징의 전방을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과 상기 물통이 위치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벽이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송풍기와 정화 유닛에는 상기 정화 유닛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송풍기에 지지되게 하는 정화유닛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정화 유닛과 상기 물 가이드에는 상기 정화 유닛이 상기 물 가이드에 착탈되게 하는 정화유닛 착탈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 착탈부는 상기 정화 유닛과 물 가이드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걸이홀을 갖는 탄성 걸이부와;
    상기 탄성 걸이부가 걸리도록 정화 유닛과 물 가이드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 유닛 지지부는 상기 정화 유닛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올려지도록 상기 팬 하우징과 프론트 케이스 사이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 안착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좌,우 중 일측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는 상기 본체와의 사이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공간을 갖게 설치되는 공기조화기.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물통과 대향되는 면에 상기 물통과 접촉되는 리브가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KR1020080110642A 2008-11-07 2008-11-07 공기조화기 KR101476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42A KR101476298B1 (ko) 2008-11-07 2008-11-07 공기조화기
CN2008101877157A CN101737854B (zh) 2008-11-07 2008-12-31 空调机
PCT/KR2008/007837 WO2010053228A1 (en) 2008-11-07 2008-12-31 Air conditioner
EP08878008.5A EP2364418B1 (en) 2008-11-07 2008-12-31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0642A KR101476298B1 (ko) 2008-11-07 2008-11-0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469A true KR20100051469A (ko) 2010-05-17
KR101476298B1 KR101476298B1 (ko) 2014-12-24

Family

ID=4215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0642A KR101476298B1 (ko) 2008-11-07 2008-11-0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364418B1 (ko)
KR (1) KR101476298B1 (ko)
CN (1) CN101737854B (ko)
WO (1) WO2010053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9415B2 (ja) * 2011-12-19 2016-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CN107366967B (zh) * 2017-08-18 2023-04-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处理模块和空调器
TW202115352A (zh) * 2019-08-06 2021-04-16 美商3M新設資產公司 具有容易裝載的空氣過濾器之電動室內空氣清淨機
CN111735127B (zh) * 2020-05-18 2021-12-10 宁波天瑞电器有限公司 一种空气加湿净化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27799A (zh) * 2004-07-29 2006-02-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室内机排出口开闭结构
JP2006046732A (ja) * 2004-08-02 2006-02-16 Sharp Corp 加湿装置
JP2007010179A (ja) * 2005-06-28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機
JP4011094B1 (ja) * 2006-08-03 2007-11-21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
US8034169B2 (en) * 2006-08-03 2011-10-11 Sharp Kabushiki Kaisha Air cleaner
JP4628327B2 (ja) * 2006-08-08 2011-02-09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4418A4 (en) 2012-11-07
CN101737854B (zh) 2013-04-17
EP2364418A1 (en) 2011-09-14
CN101737854A (zh) 2010-06-16
EP2364418B1 (en) 2017-10-18
WO2010053228A1 (en) 2010-05-14
KR101476298B1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6851B1 (ko) 공기 개질 기기 및 이것에 사용되는 이온 발생 장치
US7332006B2 (en) Ventilating and air purifying device
US7350371B2 (en) Indoor device of separable air conditioner
KR100674271B1 (ko) 환기 청정 장치
EP2364420B1 (en) Humidifier
KR102610034B1 (ko)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50563B1 (ko) 공기조화기
JP4630245B2 (ja) 加湿装置
KR102283668B1 (ko) 도어형 천장걸이 에어컨 실내기
KR20100051469A (ko) 공기조화기
KR2008001339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3227623A (ja) 空気調和機
KR101555199B1 (ko) 공기조화기
JP3415108B2 (ja) 空気調和機
KR20190001334A (ko) 선택적으로 가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습 공기 청정기
KR20100062668A (ko) 벽걸이형 증발식 가습기
KR1012598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105899B2 (ja) 加湿装置
KR101514005B1 (ko) 공기조화기
KR101211278B1 (ko) 환기 청정 장치
JP7445148B2 (ja) 空気処理装置
KR2007007550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74276B1 (ko) 환기 청정 장치
CN211204250U (zh) 一种空调室内机
KR20230086860A (ko) 양측면 공기통로식 에어컨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