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7397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77397A KR20060077397A KR1020040116241A KR20040116241A KR20060077397A KR 20060077397 A KR20060077397 A KR 20060077397A KR 1020040116241 A KR1020040116241 A KR 1020040116241A KR 20040116241 A KR20040116241 A KR 20040116241A KR 20060077397 A KR20060077397 A KR 200600773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indoor unit
- air conditioner
- main body
- discharge 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의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본체의 좌,우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좌,우 공기 토출구가 하나의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 공정이 단순하며,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공기 흡입구, 공기 토출구, 개폐수단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운전 중일 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운전 정지 중일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도어 구동 기구가 확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도어 구동 기구가 도어 개방 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도어 구동 기구가 도어 밀폐 모드일 때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가 밀폐된 사시도,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1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본체 51: 좌측면 공기 흡입구
52: 우측면 공기 흡입구 53: 전면 하부 공기 흡입구
54: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 55;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
56: 상면 공기 토출구 57: 전면 좌측 경사부
58: 전면 우측 경사부 60: 후방 캐비닛
70: 전방 캐비닛 72: 상부 패널
73: 상부 패널의 전면부 74: 상부 패널의 좌측면부
75: 상부 패널의 우측면부 76: 상부 패널의 상면부
77: 전면 좌측 도어 78: 전면 우측 도어
80: 도어 구동기구 81: 모터
82; 피니언 83: 좌측 이송체
83d,83e: 좌측 아암 83f: 좌측 랙
83h: 피난홈 84: 우측 이송체
84d,84e: 우측 아암 83f: 우측 랙
84f: 피난홈 85: 전면 커버
86: 상면 도어 87,87′: 좌측 토출 베인
88,88′: 우측 토출 베인 90: 좌측 하부 패널
91: 좌측 하부 패널의 좌측면부 92: 좌측 하부 패널의 전면부
93: 좌측 흡입 베인 94: 좌측 프리 필터
100: 우측 하부 패널 101: 우측 하부 패널의 우측면부
102: 우측 하부 패널의 전면부 103: 우측 흡입 베인
104: 우측 프리 필터 110: 베이스
120: 상면 패널 130: 프론트 도어
150: 송풍기 160: 열교환기
170: 공기 정화 장치 181: 좌측 가이드 돌기
182: 좌측 가이드 홈부 183: 우측 가이드 돌기
184: 우측 가이드 홈부 191: 좌측 가이드 홈부
192: 좌측 가이드 돌기 193: 우측 가이드 홈부
194: 우측 이송체 가이드 돌기 195: 좌측 이송체 스톱 가이드
196: 우측 이송체 스톱 가이드 197: 좌측 슬림 리브
198: 우측 슬림 리브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의 좌,우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를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함께 개폐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최근에는 신속한 입체 냉/난방을 고려하여 상기 실내기의 측면 등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추세이다.
도 15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가 밀폐된 사시도이고, 도 16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사시도이며,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공기 토출구가 개방된 정면도이고, 도 1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본체(1)로 흡입한 후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기(20)와, 상기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 혹은 가열시키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전면이 개방된 후방 캐비닛(2)과, 상기 캐비닛(2)의 전면에 결합되고, 전면 상부에 전면 공기 토출구(4a)가 형성되며, 경사진 양측면 상부에 좌,우 공기 토출구(4b,4c)가 형성되고, 경사진 양측면 하부에 좌,우 공기 흡입구(4d,4e)가 각각 형성된 전방 캐비닛(4)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는 상기 후방 캐비닛(2) 및 전방 캐비닛(4)이 올려지는 베이스(3)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캐비닛(4)에는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4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캐비닛(4)의 전면에 상하 구동 패널(10)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하 구동 패널(10)의 상승시 전방 캐비닛(4)과 상하 구동 패널(10)의 단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캐비닛(4)의 전면에 전후 구동 패널(12)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좌,우 공기 토출구(4b,4c)를 개폐함과 아울러 좌,우 공기 토출구(4b,4c)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전방 캐비닛(4)의 양측 상부에 좌,우 토출 베인(14,16)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전방 캐비닛(4)에는 상기 상하 구동 패널(10)을 승강시키기 위한 모터 및 기어 등으로 구성된 승강기구와, 상기 전후 구동 패널(12)을 진퇴시키기 위한 모터 및 기어 등으로 구성된 진퇴기구와, 상기 좌측 토출 베인(14)을 회동시키기 위한 좌측 토출 베인용 모터와, 상기 우측 토출 베인(16)을 회동시키기 위한 우측 토출 베인용 모터가 장착된다.
상기 전방 캐비닛(4)은 좌,우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 공기 토출구(4a) 및 측면 공기 토출구(4b,4c)가 형성된 전면 상부 패널(5)과, 상기 전면 상부 패널(5)의 중앙 하부와 상기 베이스(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후방 캐비닛(2)의 양측 하부와의 사이에 상기 공기 흡입구(4d,4e)를 형성하는 전면 하부 패널(6)과, 상기 전면 하부 패널(6)의 측단과 상기 후방 캐비닛(2)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좌,우 흡입구(4d,4e)를 보호하기 위한 좌,우 흡입그릴(7,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우 흡입그릴(7,8) 각각의 배면에는 공기 흡입구(4d,4e)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름될 수 있도록 에어 필터(9)가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상하 구동 패널(10)과, 전후 구동 패널(12)과, 좌측 토출 베인(14)과, 우측 토출 베인(16)의 각각을 작동시키기 위해 각각의 모터를 장착하여 하므로, 구조 및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조 및 작업 공정이 단순하고 비용이 저렴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와; 상기 본체의 좌,우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와; 상기 좌,우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좌,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좌,우 토출구 도어와;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연동되어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를 좌우 이동시키는 이송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원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도어 구동용 모터와, 상기 도어 구동용 모터에 축설된 구동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체에는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되는 종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에 연결되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체는 상기 좌측 토출구 도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좌우 이동되는 좌측 이송체와, 상기 우측 토출구 도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좌우 이동되는 우측 이송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와 이송체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이송체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이송체 가이드 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이송체와 본체 중 일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부와, 상기 이송체와 본체 중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부가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이송체의 탈거를 막음과 아울러 상기 이송체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에서 돌출된 스톱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이송체의 기어 본체 중 일측에서 돌출되어 타측에 선접촉되는 슬림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와 좌,우 토출구 도어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도어 가이드 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와 본체 중 일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부와,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와 본체 중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부에 전후 방향으로 걸림되게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 좌,우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하부 좌,우 측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면에 공기 토출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전면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토출구에는 풍량을 변경하는 풍향 변경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향 변경수단은 풍향을 좌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향 변경수단은 풍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운전 중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운전 정지 중일 때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1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50)는 하부에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51)(5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흡입구(51)(52)는 상기 본체(50)의 하부 좌측면에 형성되는 좌측면 공기 흡입구(51)와, 상기 본체(50)의 하부 우측면에 형성되는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0)는 하부 전면에 전면 공기 흡입구(53)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본체(50)는 좌,우에 공기 토출구(54)(55)가 형성된다.
상기 좌,우 공기 토출구(54)(55)는 그 형성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면 좌,우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본체(50)의 상부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면 좌,우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 좌,우 공기 토출구(54)(55)는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면 좌측에 형성된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와,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면 우측에 형성된 전면 우측 토출구(55)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50)는 상면에 상면 공기 토출구(56)가 더 형성된다.
상기 본체(50)는 전면 양측(57)(58)이 전면 중앙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50)는 전면 양측(57)(58)의 경사각이 20° 이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는 상기 본체(50)의 전면 좌측 경사부(57)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는 상기 본체(50)의 전면 우측 경사부(58)에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50)는 전면이 개방된 후방 캐비닛(60)과; 상기 후방 캐비닛(60)의 전방에 배치된 전방 캐비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방 캐비닛(6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전면과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다.
상기 후방 캐비닛(60)은 배면부(61)와, 상기 배면부(61)의 좌측단에서 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면부(62)와, 상기 배면부(61)의 우측단에서 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면부(6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50)는 상기 후방 캐비닛(60)이 설치되는 베이스(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0)에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3)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3)는 상기 베이스(110)의 전면에서 상면까지 라운드지게 개구된다.
상기 후방 캐비닛(60)은 하단이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에 올려진 후 나사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상측에 상하로 수직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50)는 상기 후방 캐비닛(6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 캐비닛(60)이 개방된 상면을 막는 상면 패널(1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방 캐비닛(70)은 하부의 양 측면에 상기 좌,우측면 공기 흡입구(51)(52)가 형성되고, 상부의 전면 양측에 상기 전면 좌,우측 공기 토출구(54)(55)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 캐비닛(70)은 상기 전방 캐비닛(7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패널(72)과, 상기 상부 패널(72)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패널(90)(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좌측 경사부(57)와 전면 우측 경사부(58)가 형성된 전면부(73)와, 상기 전면 좌측 경사부(57)의 좌측단에서 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좌측면부(74)와, 상기 전면 우측 경사부(58)의 우측단에서 후방으로 직교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 우측면부(75)와, 상기 전면부(73)와 좌측면부(74)와 우측면부(75)의 상단에 형성된 상면부(76)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면부(76)에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6)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개폐하기 위한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와,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개폐하기 위한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개폐하도록 하고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을 따라 좌우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개폐하도록 하는 도어 구동기구(8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방에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방을 덮고 상기 도어 구동 기구(80)를 보호하는 전면 커버(85)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상면부(76)에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개폐하기 위한 상면 토출구 도어(86)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의 상면부(76) 하측에는 상기 상면 토출구 도어(86)를 회동 시키기 위한 상면 토출구 도어용 모터(86a)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좌측에는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변경하는 풍향 변경수단인 좌측 토출 베인(87)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좌측 토출 베인(87)을 회전시키기 위한 좌측 토출 베인용 모터(87a)가 설치된다.
상기 좌측 토출 베인(87)은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하도록 상하로 길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의 우측에는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변경하는 풍향 변경수단인 우측 토출 베인(88)이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우측 토출 베인(88)을 회전시키기 위한 우측 토출 베인용 모터(88a)가 설치된다.
상기 우측 토출 베인(87)은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로 토출되는 공기의 좌우 풍향을 변경하도록 상하로 길게 배치됨과 아울러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하부 패널(90)(100)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좌측 경사부(57) 및 좌측면부(74)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좌측 하부 패널(90)과,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우측 경사부(59) 및 우측면부(75)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우측 하부 패널(100)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은 상기 상부 패널(72)의 좌측면부(74)와 상기 베이 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좌측면부(91)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좌측 경사부(57)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부(92)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의 좌측면부(91)에는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에는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좌측 흡입 베인(93)이 설치되고, 상기 좌측 흡입 베인(93)을 회동시키기 위한 좌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93a)가 설치된다.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의 전면부(92)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좌측 경사부(57)와 같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에는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걸림되는 좌측 프리 필터(94)가 설치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은 상기 상부 패널(72)의 우측면부(75)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우측면부(101)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우측 경사부(58)와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전면부(102)로 구성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의 우측면부(101)에는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에는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안내하는 우측 흡 입 베인(103)이 설치되고, 상기 우측 흡입 베인(103)을 회동시키기 위한 우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103a)가 설치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의 전면부(102)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우측 경사부(58)와 같이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에는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로 흡입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걸림되는 우측 프리 필터(104)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50)는 상기 전방 캐비닛(70)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는 프론트 도어(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도어(130)는 상기 전방 캐비닛(70)의 전면 중앙을 회동하면서 여닫도록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 도어(130)는 하단이 상기 베이스(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단이 상기 상부 패널(72)의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본체(50)에 내장된 송풍기(150) 및 열교환기(160)와 각종 공기 정화 장치(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송풍기(150)는 상기 후방 캐비닛(60)의 배면부 전방에 설치된 송풍용 모터(151)와, 상기 송풍용 모터(151)의 회전축에 축설된 터보팬(152)과, 상기 터보팬(152)을 둘러싸고 전면에 개구홀(153)이 형성되며 상면에 토출홀(154)이 형성된 팬 하우징(155)과, 상기 개구홀(153)에 위치되게 상기 팬 하우징(155)의 전면에 설치되는 오리피스(1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교환기(160)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하부와 상기 후방 캐비닛(60)의 상부 사이에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공기 정화 장치(170)는 상기 베이스(110)의 전면 공기 흡입구 상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필터(171)(172)(173)와, 상기 오리피스(156)의 전방에 설치된 전기 집진기(174))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필터(171)(172)(173)는 공기 중의 먼지를 거르는 하측 프리 필터(171)와, 상기 하측 프리 필터(171)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 먼지를 거르는 헤파 필터(172)와, 상기 헤파 필터(172) 상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냄세 입자나 세균을 제거하는 나노 필터(173)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기 집진기(174)는 공기 중의 먼지 등을 이온화시키는 전리부(175)와, 상기 전리부(175)에서 이온화된 먼지 등이 포집되는 포집부(176)와, 상기 전리부(175) 및 포집부(176)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17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도어 구동 기구가 확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4에 도시된 도어 구동 기구가 도어 개방 모드일 때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도어 구동 기구가 도어 밀폐 모드일 때의 사시도이다.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의 우측에는 상기 도어 구동기구(80)의 연결을 위한 걸이홈(77a)(77b)(77c) 및 걸이봉(77d)(77e)(77f)이 상하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의 좌측에는 상기 도어 구동기구(80)의 연결 을 위한 걸이홀(78a)(78b)(78c) 및 걸이봉(78d)(78e)(78f)이 상하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도어 구동기구(8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중앙에 설치된 모터(81)와, 상기 모터(81)의 회전축에 축설된 구동기어인 피니언(82)과,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고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와 연결된 좌측 이송체(83)와,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고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와 연결된 우측 이송체(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이송체(83)는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의 걸이봉(77d)(77e)(77f)에 거는 걸림 후크(83a)(83b)(83c)가 형성된 복수개의 좌측 아암(83d)(83e)과, 상기 복수개의 좌측 아암(83d)(83e)과 일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82)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는 종동 기어인 좌측 랙(83f)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측 이송체(84)는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의 걸이봉(78d)(78e)(78f)에 거는 걸림 후크(84a)(84b)(84c)가 형성된 복수개의 우측 아암(84d)(84e)과, 상기 복수개의 우측 아암(84d)(84e)과 일체 형성되고 상기 피니언(8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피니언(82)에 치합되는 종동 기어인 우측 랙(84f)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개의 좌측 아암(83d)(83e) 중 일측에는 상기 우측 랙(84f)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피난홈(83h)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우측 아암(84d)(84e) 중 일측에는 상기 좌측 랙(83f)의 간섭 을 피하기 위한 피난홈(84h)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77)(78)와, 상기 본체(50) 특히, 상부 패널(72)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77)(78)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도어 가이드 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좌측부 중 일측에 형성된 좌측 가이드 돌기(181)와,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의 좌우 슬라이딩시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가 전방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좌측 가이드 돌기(181)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좌측 가이드 홈부(1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와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우측부 중 일측에 형성된 우측 가이드 돌기(183)와,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의 좌우 슬라이딩시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가 전방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우측 가이드 돌기(183)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우측 가이드 홈부(18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50) 특히, 상부 패널(72)과, 상기 좌,우 이송체(83)(84)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좌,우 이송체(83)(84)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이송체 가이드 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좌측 이송체(83)와 본체(50) 특히, 상부 패널(72) 중 일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좌측 가이드 홈부(191)와, 상기 좌측 이송체(83)와 본체 특히, 상부 패널(72) 중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좌측 가이 드 홈부(191)가 안내되는 좌측 가이드 돌기(1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우측 이송체(84)와 본체(50) 특히, 상부 패널(72) 중 일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우측 가이드 홈부(193)와, 상기 우측 이송체(84)와 본체(50) 특히, 상부 패널(72) 중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우측 가이드 홈부(193)가 안내되는 우측 이송체 가이드 돌기(19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좌측 이송체(83)의 하향 탈거를 막음과 아울러 상기 좌측 이송체(83)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50) 특히, 상부 패널(72)에서 돌출된 좌측 이송체 스톱 가이드(19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이송체 스톱 가이드(195)는 상기 좌측 랙(83f)의 하단이 올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좌측 이송체 스톱 가이드(195)는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면부에 상기 좌측 랙(83f)이 하향 걸림/안내되고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의해 강도가 보강된다.
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우측 이송체(84)의 상향 탈거를 막음과 아울러 상기 우측 이송체(84)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50) 특히, 상부 패널(72)에서 돌출된 우측 이송체 스톱 가이드(19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우측 이송체 스톱 가이드(196)는 단면이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면부에 상기 우측 랙(84f)이 상향 걸림/안내되고 좌측면부와 우측면부에 의해 강도가 보강된다.
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좌측 이송체(83)와, 상기 본체(50) 특히, 상부 패널(72) 중 일측에서 돌출되어 타측에 선접촉되는 좌측 슬림 리브(19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좌측 슬림 리브(197)는 상기 좌측 이송체(83)의 좌측 랙(83f)과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위치에 형성되고, 후방으로 ‘⊃’ 모양으로 절곡된 절곡부(197a)의 배면에 좌우로 얇게 돌출된다.
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우측 이송체(84)와, 상기 본체(50) 특히, 상부 패널(72) 중 일측에서 돌출되어 타측에 선접촉되는 우측 슬림 리브(19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우측 슬림 리브(198)는 상기 좌측 이송체(83)의 좌측 랙(83f)과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위치에 형성되고, 후방으로 ‘⊃’ 모양으로 절곡된 절곡부(198a)의 배면에 좌우로 얇게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기가 운전되면, 실내 공기는 상기 본체(50)의 좌,우 측면 혹은 전면 하부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본체(5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냉각/가열 혹은 정화된 후 상기 본체(50)의 전면 좌,우 혹은 상면을 통해 상기 본체(50)의 전방을 향해 토출된다.
이하, 상기 실내 공기의 흡입과 냉/난방/정화와 토출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냉/난방 운전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93a)는 좌측 흡입구 개방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좌측 흡입 베인(93)이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를 개방토록 하고, 상기 우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103a)는 우측 흡입구 개방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우측 흡입 베인(103)이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개방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구동기구(80)의 모터(8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방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피니언(82)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좌측 랙(83f)이 형성된 좌측 이송체(83)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우측 랙(84f)이 형성된 우측 이송체(84)는 좌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때, 상기 좌측 이송체(83)는 상기 좌측 랙(83f)이 상기 좌측 이송체 스톱 가이드(195)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좌측 가이드 홈부(191)가 상기 좌측 가이드 돌기(192)의 안내를 받아 흔들림이나 오작동 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되고, 상기 좌측 슬림 리브(197)가 상기 상부 패널(72) 전면에 선 접촉되므로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과 최소한의 접촉 면적을 갖고 미끄러진다.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중앙과 상기 전면 커버(85)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는 상기 좌측 가이드 돌기(181)가 좌측 가이드 홈부(182)에 전후 방향으로 걸림되면서 좌우 슬라이딩 안내되어 그 흔들림이나 오작동 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된다.
한편, 상기 우측 이송체(84)는 상기 우측 랙(84f)이 상기 우측 이송체 스톱 가이드(196)에 상향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우측 가이드 홈부(193)가 상기 우측 가이드 돌기(194)의 안내를 받아 흔들림이나 오작동 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되고, 상기 우측 슬림 리브(198)가 상기 상부 패널(72) 전면에 선 접촉되므로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과 최소한의 접촉 면적을 갖고 미끄러진다.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중앙과 상기 전면 커버(85)의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는 상기 우측 가이드 돌기(183)가 우측 가이드 홈부(184)에 전후 방향으로 걸림되면서 좌우 슬라이딩 안내되어, 그 흔들림이나 오작동 없이 원활하게 슬라이딩된다.
또한, 상기 상면 토출구 도어용 모터(86a)는 상면 공기 토출구 개방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상면 토출구 도어(86)가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개방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용 모터(151)가 구동되면, 실내의 공기는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과 우측면 공기 흡입구(52)와 전면 공기 흡입구(53)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좌측 프리 필터(94)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이 걸름되고,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우측 프리 필터(104)를 통과하면서 부피가 큰 먼지 등이 걸름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하측 프리 필터(171)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걸름되고, 상기 헤파 필터(172)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가 걸름되며, 상기 나노 필터(173)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냄세 입자나 세균을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전기 집진기(174)의 전리부(175)와 포집부(176)와 오리피스(156)와 팬 하우징(155)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팬 하우징(155)의 상측으로 송풍된다.
상기 팬 하우징(155)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60)를 통과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 혹은 가열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 혹은 가열된 실내 공기의 일부는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방측으로 송풍되고, 대부분은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와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전방측으로 송풍된다.
즉,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기 혹은 온기가 상기 본체(50)의 전면 좌,우에서 전방을 향해 송풍되므로, 실내기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냉기 혹은 온기를 신속하고 고르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냉기 혹은 온기의 공급 도중에 상기 좌측 토출 베인용 모터(87a)가 구동되면,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5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상기 좌측 토출 베인(87)에 의해 좌우로 조절 혹은 변경되고, 상기 우측 토출 베인용 모터(88a)가 구동되면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5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이 상기 우측 토출 베인(88)에 의해 좌우로 조절 혹은 변경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공기 청정 운전시 상기 좌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93a)는 좌측 흡입구 밀폐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좌측 흡입 베인(93)이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를 밀폐토록 하고, 상기 우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103a)는 우측 흡입구 밀폐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우측 흡입 베인(103)이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밀폐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구동기구(80)의 모터(8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밀폐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피니언(8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좌측 랙(83f)이 형성된 좌측 이송체(83)는 좌측으로 슬라이딩되며, 상기 우측 랙(84f)이 형성된 우측 이송체(84)는 우측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좌측 이송체(83) 및 우측 이송체(84)의 슬라이딩 안내는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 및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의 개방시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측 이송체(83)의 좌측 슬라이딩시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중앙과 상기 전면 커버(85)의 사이에서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밀폐한다.
상기 우측 이송체(84)의 우측 슬라이딩시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는 상기 상부 패널(72)의 전면 중앙과 상기 전면 커버(85)의 사이에서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4)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밀폐한다.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와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의 슬라이딩 안내는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 및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의 개방시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반면에, 상기 상면 토출구 도어용 모터(86a)는 상면 공기 토출구 개방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상면 토출구 도어(86)가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개방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리부(175) 및 포집부(176)에는 상기 고전압 발생기(177)에서 발생된 고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송풍용 모터(151)는 구동된다.
상기 송풍용 모터(151)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3)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전면 공기 흡입구(53)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하측 프리 필터(171)를 통과하면서 먼지가 걸름되고, 상기 헤파 필터(172)를 통과하면서 미세 먼지가 걸름되며, 상기 나노 필터(173)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냄세 입자나 세균을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전기 집진기(174)의 전리부(175)와 포집부(176)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먼지 등이 이온화되어 포집되고, 이후 사기 오리피스(156)와 팬 하우징(155)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팬 하우징(155)의 상측으로 송풍된다.
상기 팬 하우징(155)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60)를 열교환없이 통과하고, 이후 상기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통해 상기 본체(50)의 상부 전방측으로 집중 송풍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상기 좌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93a)는 좌측 흡입구 밀폐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좌측 흡입 베인(93)이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를 밀폐토록 하고, 상기 우측 흡입 베인 구동용 모터(103a)는 우측 흡입구 밀폐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우측 흡입 베인(103)이 상기 우측면 공기 흡입구(52)를 밀폐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 구동기구(80)의 모터(81)는 공기 청정 운전과 같이 구동되어, 상기 전면 좌측 토출구 도어(77)가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밀폐토록 하고, 상기 전면 우측 토출구 도어(78)가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밀폐토록 한다.
아울러, 상기 상면 토출구 도어용 모터(86a)는 상면 공기 토출구 밀폐 모드로 구동되어 상기 상면 토출구 도어(86)가 상면 공기 토출구(56)를 밀폐토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향 변경수단이 풍향을 상하로 변경하고, 상기 풍향 변경 수단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풍향 변경 수단은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의 후방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좌측 토출 베인(87′)과,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의 후방에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우측 토출 베인(8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좌측 토출 베인(87′)은 좌우로 배치됨과 아울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우측 토출 베인(88′)은 좌우로 배치됨과 아울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풍향 변경 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좌측 토출 베인(87′)이 일체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좌측 연동부재(87a′)와, 상기 좌측 연동부재(87a′)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복수개의 좌측 토출 베인(87′)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좌측 토출 베인 구동용 모터(87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풍향 변경 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우측 토출 베인(88′)이 일체로 회동되도록 연결된 우측 연동부재(88a′)와, 상기 우측 연동부재(88a′)를 승강시키거나 상기 복수개의 우측 토출 베인(88′)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도록 설치된 우측 토출 베인 구동용 모터(88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좌측 토출 베인 구동용 모터(87b′)의 구동시 상기 본체(50)의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이 상기 복수개의 좌측 토출 베인(87′)에 의해 조절 혹은 변경되고, 우측 토출 베인 구동용 모터(88b′)의 구동시 상기 본체(50)의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이 상기 복수개의 우측 토출 베인(88′)에 의해 조절 혹은 변경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50)의 하부 전면 양측에 공기 흡입구(51′)(5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51′)(52′)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체(50)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같이 후방 캐비닛(60)과 전방 캐비닛(70)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캐비닛(70)은 상부 패널(72)과 좌,우측 하부 패널(90′)(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하부 패널(90′)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흡입구(51′)를 회동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흡입구(51′)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전면 좌측 흡입 베인(93′)과, 상기 전면 좌측 흡입 베인(93′)을 회전시키는 전면 좌측 흡입 베인용 모터가 설치된다.
상기 우측 하부 패널(100′)의 우측면에는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흡입구(52′)를 회동 개폐함과 아울러 상기 전면 우측 공기 흡입구(52′)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전면 우측 흡입 베인(103′)과, 상기 전면 우측 흡입 베인(103′)을 회전시키는 전면 우측 흡입 베인용 모터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실내기의 하부 전방측의 실내 공기가 상기 전면 좌측 공기 흡입구(51′)와 전면 우측 공기 흡입구(52′)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실내기의 전방측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냉각/가열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제 4 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캐비닛(70)이 상부 패널(72)과, 상기 상부 패널(72)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패널(90″)(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패널(72)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의 상부 패널과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 패널(90″)(100″)은 상기 상부 패널(72)의 하단과 상기 베이스(110)의 상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 패널(90″)(100″)은 공기 흡입 그릴(51″)(52″)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 흡입 그릴(51″)은 상기 하부 패널(90)에 상하 혹은 좌우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하부 패널(90)의 전면 중앙, 상기 하부 패널(90)의 전면 좌,우측, 상기 하부 패널(90)의 좌, 우측면 중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냉/난방 운전, 청정 운전, 운전 정지시 상기 좌측면 공기 흡입구(51), 우측면 공기 흡입구(52), 전면 좌측 공기 토출구(54)와 전면 우측 공기 토출구(55)와 상면 공기 토출구(56)가 상기의 실시예들와 다르게 개폐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의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본체의 좌,우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며, 좌,우 공기 토출구가 하나의 개폐 수단에 의해 개폐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작업 공정이 단순하며,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개폐 수단이 좌,우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좌,우 토출구 도어와;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좌측 공기 토출구와 우측 공기 토출구가 동시에 밀폐되므로,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구동 기구가 본체에 설치된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에 연동되어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를 좌우 이동시키는 이송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간단한 구조로 좌,우 토출구 도어를 좌우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와 이송체 중 적어도 일측에 이 송체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이송체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어, 이송체가 좌,우 토출구 도어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좌,우 토출구 도어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와 좌,우 토출구 도어 중 적어도 일측에 좌,우 토출구 도어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도어 가이드 수단이 형성되어, 좌,우 토출구 도어가 탈거나 오작동 없이 원활하게 좌우 슬라이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공기 토출구가 본체의 상부 전면 좌,우에 각각 형성되어 공조된 공기가 실내기의 전면 좌,우측을 통해 전방으로 토출되므로, 실내기에서 토출된 공조 공기가 실내기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신속하고 고루 공급될 수 있고, 공기 흡입구가 상기 본체의 하부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실내기의 전방에서 실내기의 내부가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내기에서 토출된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유동되지 않고 곧바로 실내기로 재흡입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기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전신에 공조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8)
-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공기 흡입구와;상기 본체의 좌,우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와;상기 좌,우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개폐 수단은 상기 좌,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된 좌,우 토출구 도어와;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구동원과,상기 구동원에 연동되어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를 좌우 이동시키는 이송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원은 상기 본체에 설치된 도어 구동용 모터와, 상기 도어 구동용 모터에 축설된 구동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체에는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되는 종동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에 연결되는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체는 상기 좌측 토출구 도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좌우 이동되는 좌측 이송체와, 상기 우측 토출구 도어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원에 의해 좌우 이동되는 우측 이송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와 이송체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이송체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이송체 가이드 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이송체와 본체 중 일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 된 가이드 홈부와, 상기 이송체와 본체 중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부가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이송체의 탈거를 막음과 아울러 상기 이송체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에서 돌출된 스톱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체 가이드 수단은 상기 이송체의 기어 본체 중 일측에서 돌출되어 타측에 선접촉되는 슬림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와 좌,우 토출구 도어 중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의 좌우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도어 가이드 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도어 가이드 수단은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와 본체 중 일측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홈부와, 상기 좌,우 토출구 도어와 본체 중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부에 전후 방향으로 걸림되게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공기 토출구는 상기 본체의 상부 전면 좌,우에 각각 형성되고,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본체의 하부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상면에 공기 토출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전면 하부에 공기 흡입구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공기 토출구에는 풍량을 변경하는 풍향 변경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풍향 변경수단은 풍향을 좌우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풍향 변경수단은 풍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6241A KR100758951B1 (ko) | 2004-12-30 | 2004-12-30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PCT/KR2005/004600 WO2006071070A2 (en) | 2004-12-30 | 2005-12-28 |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system |
DE602005012048T DE602005012048D1 (de) | 2004-12-30 | 2005-12-29 | Innenraumeinheit einer Klimaanlage |
EP05258105A EP1686327B1 (en) | 2004-12-30 | 2005-12-29 | Indoor unit of air-conditioning system |
CNB2005100488162A CN100532963C (zh) | 2004-12-30 | 2005-12-30 | 空调系统的室内单元 |
CN2009100036958A CN101469891B (zh) | 2004-12-30 | 2005-12-30 | 空调系统的室内单元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116241A KR100758951B1 (ko) | 2004-12-30 | 2004-12-30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77397A true KR20060077397A (ko) | 2006-07-05 |
KR100758951B1 KR100758951B1 (ko) | 2007-09-14 |
Family
ID=3707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6241A KR100758951B1 (ko) | 2004-12-30 | 2004-12-30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8951B1 (ko) |
CN (2) | CN100532963C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037B1 (ko) * | 2007-11-07 | 2015-01-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N108692446A (zh) * | 2018-08-01 | 2018-10-2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外壳结构及具有其的立式空调器 |
WO2022151805A1 (zh) * | 2021-01-15 | 2022-07-21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立式空调室内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8389B1 (ko) | 2007-11-07 | 2010-05-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1611327B1 (ko) * | 2009-10-08 | 2016-04-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
KR20110075475A (ko) * | 2009-12-28 | 2011-07-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N105423420B (zh) * | 2015-12-01 | 2018-08-07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出风结构及具有其的空调柜机 |
CN107975874A (zh) * | 2017-11-23 | 2018-05-01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出风机构及空调器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96418B2 (ja) * | 1997-09-05 | 2008-12-17 | Dic株式会社 | 顔料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分散液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用カラーレジスト |
KR100277987B1 (ko) * | 1998-04-18 | 2001-01-15 | 윤종용 | 공기조화기의셔터개폐장치 |
KR100365591B1 (ko) * | 2000-06-12 | 2002-12-2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
JP4614504B2 (ja) * | 2000-07-05 | 2011-01-19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塗工装置 |
KR100381160B1 (ko) * | 2000-09-01 | 2003-04-23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공기조화기 |
JP3669494B2 (ja) * | 2001-09-14 | 2005-07-06 |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 Pnniコネクション規制方式および方法 |
KR100470483B1 (ko) * | 2002-05-08 | 2005-02-07 |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 오 방향 토출형 에어컨 |
CN1216258C (zh) * | 2002-05-22 | 2005-08-24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三面上排风空调器 |
CN1266424C (zh) * | 2004-01-19 | 2006-07-26 | 上海交通大学 | 具有下部送热风功能的柜式热泵型空调器 |
-
2004
- 2004-12-30 KR KR1020040116241A patent/KR10075895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12-30 CN CNB2005100488162A patent/CN100532963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12-30 CN CN2009100036958A patent/CN101469891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4037B1 (ko) * | 2007-11-07 | 2015-01-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N108692446A (zh) * | 2018-08-01 | 2018-10-2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外壳结构及具有其的立式空调器 |
CN108692446B (zh) * | 2018-08-01 | 2023-07-14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外壳结构及具有其的立式空调器 |
WO2022151805A1 (zh) * | 2021-01-15 | 2022-07-21 |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 立式空调室内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469891A (zh) | 2009-07-01 |
CN1847734A (zh) | 2006-10-18 |
CN101469891B (zh) | 2011-03-30 |
CN100532963C (zh) | 2009-08-26 |
KR100758951B1 (ko) | 2007-09-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66971B2 (en) | Air conditioner | |
KR100727461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758951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867953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60128765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744458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20060020708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788809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0688210B1 (ko) |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450562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80055454A (ko) | 공기조화기 | |
KR101270610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0788811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50078882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466292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70077408A (ko) | 먼지 투입 방지 차단막을 갖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 |
KR20100086831A (ko) | 공기조화기 | |
KR100837659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162170B1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450564B1 (ko) | 공기조화기 | |
KR20080084796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KR101450561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733792B1 (ko) | 공기조화기의 배관 고정 구조 | |
KR101554657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511878B1 (ko) | 공기청정 기능이 겸비된 일체형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