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0788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0788B1
KR100780788B1 KR1020050101004A KR20050101004A KR100780788B1 KR 100780788 B1 KR100780788 B1 KR 100780788B1 KR 1020050101004 A KR1020050101004 A KR 1020050101004A KR 20050101004 A KR20050101004 A KR 20050101004A KR 100780788 B1 KR100780788 B1 KR 10078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main body
hinge
air conditioner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1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4742A (ko
Inventor
신문선
박종은
윤연섭
박윤석
음우철
정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1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0788B1/ko
Publication of KR2007004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4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면패널의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를 갖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가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를 상기 힌지결합부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힌지는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에 모두 사용할 있도록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상, 하부 양측으로 대칭되며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하는 회전축 수용홀이 상기 본체의 양측에 마련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힌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전면패널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하부한지의 회전축을 수용하는 하부힌지 수용홀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상부힌지를 수용하는 상부힌지 수용홀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전면패널의 우측이 힌지결합되어 본체 전면하부를 반시계방향으로 개폐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전면패널의 좌측이 힌지결합되어 본체 전면하부를 시계방향으로 개폐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본체 11a: 전면패널
20: 힌지 21: 체결부
22: 회전축 23: 몸체
31a; 제 1힌지결합부 31b; 제 2힌지결합부
35a: 제 1하부힌지수용홈 35b: 제 2하부힌지수용홈
36a: 제 1상부힌지수용홈 36b: 제 2상부힌지수용홈
37a: 제 1힌지커버 37b: 제 2힌지커버
40a: 자석 40b: 금속플레이트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의 전면 을 개폐하는 전면패널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와 증발기가 냉매관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냉동사이클에서 냉매가 기화 또는 액화될 때 발생하는 기화열 및 액화열을 사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한 종류로 압축기와 응축기 등을 구비하며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증발기 등을 구비하며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로 분리된 분리형 타입이 있다. 이러한 분리형 타입의 공기조화기는 다시 바닥에 세워져서 설치되는 스탠드형과, 실내의 벽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벽결이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본 발명은 스탠드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며, 이하 약칭하여 "공기조화기"라 한다.
공기조화기는 대략 전방이 개방되며 박스형상을 가진 본체와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패널을 구비한다. 전면패널은 공기조화기를 실내에 설치하거나, 공기 조화기가 고장나서 수리할 필요가 있을 때 가장 먼저 개방 또는 분리되어야 할 부분이다. 또한,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공기청정기 일체형 공기조화기인 경우, 공기조화기 또는 공기청정기 필터를 청소하기 위해 전면패널을 개폐해야 할 경우가 많아졌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에는 전면패널의 개폐가 쉽도록 전면패널의 일측을 힌지결합하여 개폐하는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가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전면패널의 일측이 힌지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단일 방향 개폐식이었다. 따라서,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서는 전면패널이 개방되면서 공기조화기 주변의 물건에 간섭을 받게 되어 전면패널이 완전히 개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대부분이 오른손잡이에게 편리하도록 전면패널을 반시계방향으로만 개폐하도록 제작되어 있어 왼손잡이에게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면패널의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흡입구를 갖는 전면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가 상기 전면패널의 후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를 상기 힌지결합부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은 일측 상부에 설치된 상부힌지와 일측 하부에 설치된 하부힌지에 의해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 하부를 좌우방향으로 개폐한다.
또한, 상기 상, 하부힌지는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에 모두 사용할 있도록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상, 하부 양측으로 대칭되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하는 회전축 수용홀이 상기 본체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힌지의 타측에 설치되어 전면패널의 닫힘을 유지하는 고정장치가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에 마련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본체와 전면패널 중에서 일측에 설치되는 자석과 타측에 설치되는 금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본체의 바닥판 중앙부에는 상기 전면패널의 하단 중앙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는 전면패널(11a)과 본체(1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전면토출구(15)를 개 폐하는 상하구동패널(11b)을 구비한다. 본체(10)의 하부 양측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12a)이 마련되고, 본체(10)의 상부 양측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측면토출구(13)와 측면토출구(13)를 개폐하는 오토셔터(12b)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10) 내부공간 하부에는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되고, 본체(10) 내부공간 상부에는 열교환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송풍팬이 동작하면 흡입그릴(12a)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열교환기를 지나면서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구(13,15)를 통해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
흡입그릴(12a)의 내측에는 흡입그릴(12a)에 형성된 슬릿(14)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중의 큰 먼지 등을 걸러내기 위한 프리필터(1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송풍팬의 전방에는 송풍팬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미세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전기집진필터(17)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프리필터(16) 및 전기집진필터(17)를 청소하거나 교체할 때 전면패널(11a)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며, 전면패널(11a)의 개폐시에 전면패널(11a) 및 본체(1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전면패널(11a)의 일측과 본체(10)의 일측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20)가 설치된다.
전면패널(11a)은 전면패널(11a)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힌지(20a)와 전면패널(11a)의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힌지(20b)에 의해 본체(1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10)의 전면 하부를 좌우방향으로 개폐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10a)의 후면에는 하부힌지(20a)와 상부힌 지(20b)를 각각 전면패널(11a)의 후면 좌측에 상하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 1힌지결합부(31a)와 전면패널(11a)의 후면 우측에 상하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 2힌지결합부(3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11a)과 본체(10)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20)는 전면패널(11a)의 힌지결합부(31a,31b)에 나사로 체결되는 체결부(21)와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2)과 상기 전면패널(11a)의 개폐 시 상기 전면패널(11a)과 본체(10)가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체결부(21)와 회전축(22)을 곡선형태로 연결하는 몸체(23)를 포함한다. 힌지(20)는 전면패널(11a)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힌지(20a)와 전면패널(11a)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힌지(20b)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본체(10)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2)은 하부로 돌출된 하부회전축(22a)과 상부로 돌출된 상부회전축(22b)으로 구분되며, 상, 하부회전축(22b,22a)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힌지(20)의 회전축(22)을 서로 대칭되는 상, 하부회전축(22b,22a)으로 구분하여 형성한 이유는 전면패널(11a)의 후면 좌측 하부에 마련되는 힌지결합부(30a)에 결합되는 하부힌지(20a)가 전면패널(11a)의 후면 우측에 결합될 때에는 우측 상부에 마련되는 힌지결합부(30b')에 결합되어야 하며, 전면패널(11a)의 좌측 상부에 마련되는 힌지결합부(30a')에 결합되는 상부힌지(20b)가 전면패널(11a)의 우측에 결합될 때에는 우측 하부에 마련되는 힌지결합부(30b)에 결합되어야 하며 이때, 하부회전축(22a)과 상부회전축(22b)의 위치는 서로 뒤바뀌기 때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닥판(10a)의 양측에는 전면패널(11a)의 후면에 마련된 제 1하부힌지결합부(30a) 또는 제 2하부힌지결합부(30b) 중 일측에 결합된 하부힌지(20a)의 회전축(22)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하부힌지수용홈(35a)과 제 2하부힌지수용홈(35b)이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부 양측에는 전면패널(11a)의 후면에 마련된 제 1상부힌지결합부(30a') 또는 제 2상부힌지결합부(30b') 중 일측에 결합된 상부힌지(20b)의 회전축(22)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제 1상부힌지수용홈(36a)과 제 2상부힌지수용홈(36b)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 1, 2상부힌지수용홈(31a,31b)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상부힌지(20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2상부힌지수용홈(36a,36b)에는 제 1, 2힌지커버(37a,37b)가 나사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부힌지수용홈(35a,35b)과 상부힌지수용홈(36a,36b)이 본체(10)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전면패널(11a)의 제 1힌지결합부(31a) 또는 제 2힌지결합부(31b)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상, 하부힌지(20b,20a)에 대응하여 전면패널(11a)을 본체(1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측에 선택적으로 힌지결합시킬 수 있다.
상, 하부힌지(20b,20a)가 전면패널(11a)의 제 1힌지결합부(31a)에 결합하게 되면, 결합된 상, 하부힌지(20b,20a)는 제 1하부힌지수용홈(35a)과 제 1상부힌지수용홈(36a)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 하부힌지(20b,20a)가 전면패널(11a)의 제 2힌지결합부(31b)에 결합하게 되면, 결합된 상, 하부힌지(20b,20a)는 제 2하부힌지수용홈(35b)와 제 2상부힌지수용홈(36b)에 각각 삽입되어 지지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본체(10) 및 전면패널(11a)에는 전면패널(11a)의 일측이 상, 하부힌지(20b,20a)에 의해 본체(10)에 힌지결합되었을 때 전면패널(11a)의 타측이 닫힘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장치(4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고정장치(40)는 전면패널(11a)과 본체(10) 중 일측에 설치되는 자석(40a)과 타측에 설치되는 금속플레이트(40b)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장치(40)를 구성함에 있어 전면패널(11a)에 설치되는 자석(40a)을 전면패널(11a) 양측에 설치하여 힌지(20a,20b)가 설치되는 방향에 상관없이 전면패널(11a)의 양측이 닫힘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힌지(20a,20b)가 설치되는 반대측만 닫힘을 유지하도록 전면패널(11a)에 설치되는 자석(40a)은 전면패널(11a)의 양측 중 일측에 택일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구성할 수 도 있다.
또한, 본체(10)의 바닥판(10a) 중앙부에는 힌지(20a,20b)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 전면패널(11a)의 하단 중앙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41)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패널(11a)의 하단 중앙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41)는 본체(10)에 설치되는 자석(41a)과 전면패널(11a)에 설치되는 금속플레이트(41b)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를 생산할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전면패널(11a)이 본체(10)의 우측에 힌지결합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왼손잡이보다 오른손잡이가 많기 때문이다.
공기조화기를 설치할 경우에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관으로 연결하기 위해 설치기사가 가정을 방문하게 되는데, 이 때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개폐하는 전면패널(11a)의 개폐방향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설치기사에게 전면패널(11a)의 개폐방향을 바꾸어 달라고 요구할 수 있다.
그러면, 설치기사는 상, 하부 힌지(20b,20a)를 본체(10) 및 전면패널(11a)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전면패널(11a)이 본체(10)의 좌측에 힌지결합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개폐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하부힌지(20a)와 상부힌지(20a)는 서로 반대로 설치된다.
도 6은 힌지(22)가 본체(10)의 우측에 설치되어 전면패널(11a)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힌지(22)가 본체(10)의 좌측에 설치되어 전면패널(11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공기조화기가 설치되는 주위의 물건이나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손과 같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전면패널의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어 편리하다.

Claims (7)

  1.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본체를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패널 후면 양측에 힌지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힌지결합부에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전면패널의 개폐시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본체가 간섭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된 상기 체결부와 상기 회전축을 연결하는 몸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전면패널의 개폐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패널 후면 일측의 힌지결합부에 선택적으로 착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은 일측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힌지와 일측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힌지에 의해 상기 본체에 상하방향으로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좌우방향으로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힌지는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에 모두 사용할 있도록 상기 본체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전축이 상, 하부 양측으로 대칭되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하여 지지하는 회전축 수용홀이 상기 본체 의 양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힌지의 타측에 설치되어 전면패널의 닫힘을 유지하는 고정장치가 상기 전면패널의 양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본체와 전면패널 중에서 일측에 설치되는 자석과 타측에 설치되는 금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바닥판 중앙부에는 상기 전면패널의 하단 중앙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50101004A 2005-10-25 2005-10-25 공기조화기 KR100780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004A KR100780788B1 (ko) 2005-10-25 2005-10-2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1004A KR100780788B1 (ko) 2005-10-25 2005-10-2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742A KR20070044742A (ko) 2007-04-30
KR100780788B1 true KR100780788B1 (ko) 2007-11-29

Family

ID=3817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1004A KR100780788B1 (ko) 2005-10-25 2005-10-2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07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5435A (zh) * 2011-07-20 2012-01-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
US11448421B2 (en) 2020-07-15 2022-09-2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ccess door assembly for a vertical air conditioning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40B1 (ko) * 2007-10-15 2014-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4280U (ko) * 1987-07-29 1989-02-09
KR900002343Y1 (ko) * 1986-03-11 1990-03-22 박임진 도어의 개폐장치
JPH0938231A (ja) * 1995-08-02 1997-02-10 Itachibori Seisakusho:Kk 消火栓格納箱の扉装置
KR19990018714U (ko) * 1997-11-13 1999-06-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착탈장치
JP2002282061A (ja) * 2001-01-22 2002-10-02 Gifu Plast Ind Co Ltd 収納箱
KR100441001B1 (ko) * 2001-11-08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343Y1 (ko) * 1986-03-11 1990-03-22 박임진 도어의 개폐장치
JPS6424280U (ko) * 1987-07-29 1989-02-09
JPH0938231A (ja) * 1995-08-02 1997-02-10 Itachibori Seisakusho:Kk 消火栓格納箱の扉装置
KR19990018714U (ko) * 1997-11-13 1999-06-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착탈장치
JP2002282061A (ja) * 2001-01-22 2002-10-02 Gifu Plast Ind Co Ltd 収納箱
KR100441001B1 (ko) * 2001-11-08 200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05435A (zh) * 2011-07-20 2012-01-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调
US11448421B2 (en) 2020-07-15 2022-09-2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ccess door assembly for a vertical air condition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4742A (ko) 200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83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3115709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blade unit applied to same
KR20200034870A (ko) 공기조화기
KR20180121161A (ko) 공기조화기
KR20100007259A (ko) 공기조화기
KR100780788B1 (ko) 공기조화기
KR101271057B1 (ko) 공기조화기
KR100506896B1 (ko) 공기조화기
KR102217013B1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100770708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EP1950503A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with air inlet via movable front panel and air outlet via bottom/top towards rearside
KR100725739B1 (ko) 공기조화기
KR100723943B1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KR101362307B1 (ko) 공기조화기
KR20070044164A (ko) 공기조화기
KR100717340B1 (ko) 공기조화기
KR101381140B1 (ko) 공기조화기
KR100770713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1086612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101474492B1 (ko) 공기조화기
KR100600063B1 (ko) 공기조화기
KR10116217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1802527B (zh) 用于空调单元的前部面板
KR100484936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06237U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