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869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869B1
KR101711869B1 KR1020150006002A KR20150006002A KR101711869B1 KR 101711869 B1 KR101711869 B1 KR 101711869B1 KR 1020150006002 A KR1020150006002 A KR 1020150006002A KR 20150006002 A KR20150006002 A KR 20150006002A KR 101711869 B1 KR101711869 B1 KR 101711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ing duct
duct
dryer
condensing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183A (ko
Inventor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869B1/ko
Priority to EP15200017.0A priority patent/EP3045581B1/en
Priority to CN201510947410.1A priority patent/CN105780417B/zh
Priority to AU2016200030A priority patent/AU2016200030B2/en
Priority to US14/989,183 priority patent/US10544540B2/en
Priority to RU2016100185A priority patent/RU2626952C2/ru
Priority to BR102016000663A priority patent/BR102016000663A2/pt
Publication of KR20160087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과 조립이 용이하며 건조 열원 방식에 따라 유로 구조를 바꿀 수 있는 가변형 건조기기 베이스를 갖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 대상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 상기 공기 순환을 위한 건조팬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드럼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 상기 드럼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고, 건조기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순환부는, 상기 응축기의 열교환 방식이 달라짐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응축기를 수용하도록 형상이 변경되는 응축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응축덕트의 형상과 무관하게 상기 응축덕트가 장착되도록, 동일한 형상과 사이즈의 응축덕트 장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건조기{drying machine}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산과 조립이 용이하며 건조 열원 방식에 따라 유로 구조를 바꿀 수 있는 가변형 건조기기 베이스를 갖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된 물이 드럼이나 히터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는 의류를 건조시키는 장치로서 의류에 건조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 전기 히터, 가스 히터 그리고 히트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건조기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나눌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공기의 유동 방식을 통해서도 나눌 수 있다. 배기식 건조기는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한 후의 고온 다습 공기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는 건조기이며, 순환식 건조기는 고온 다습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을 통해 다시 이용하는 건조기라 할 수 있다. 순환식 건조기는 고온 다습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한 후 다시 가열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순환식 건조기를 응축식 건조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응축 방식에 따라서 응축식 건조기는 수냉식 건조기, 공냉식 건조기 그리고 히트펌프식 건조기로 나눌 수 있다.
물론, 최근에는 배기식 건조기와 순환식 건조기가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건조기에 대한 발명들이 많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배기식 건조기와 순환식 건조기를 명확히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건조기는 건조 대상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 수용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의류 수용부가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드럼 형태인 경우를 수평축 드럼 건조기라 할 수 있으며,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드럼 형태인 경우 수직축 드럼 건조기라 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 내부에 고정된 형태의 의류 수용부를 갖는 건조기를 캐비닛 건조기 또는 리프레셔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순환식 드럼 건조기를 많이 사용한다. 종래에는 공기의 가열원으로 전기 히터를 사용하는 히터 건조기를 많이 사용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히트펌프 건조기의 보급이 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히터 건조기와 히트펌프 건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히터 건조기의 일례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 건조기는 드럼(10)과 상기 드럼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순환부(20)를 통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다시 상기 드럼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가 공기순환부(20)를 통해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순환을 위하여 건조팬(50)이 구비된다. 상기 건조팬(50)은 공기순환부(20)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공기순환부(20)는 별도의 덕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건조기의 베이스에 상기 덕트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드럼(10) 또한 공기순환부의 일부라 할 수 있다.
드럼(10) 내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하여, 공기는 히터(60) 즉 전기 히터를 통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드럼(10) 내부로 유입되어 의류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 수분을 제거하여 고온 다습하게 된 공기는 드럼에서 배출되어 응축기(40)로 유입된다. 물론, 드럼(20)과 응축기(40) 사이에는 공기 중의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를 린트 필터라 할 수 있다.
고온 다습한 공기는 응축기(40)에서 수분이 응축되어 건조 공기로 변하게 된다. 상기 응축기(40)에서는 고온 다습한 공기가 저온의 외부 공기와 열교환하게 되며, 이때, 고온 다습한 공기 내의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되게 된다. 응축기(40)에는 외부의 저온 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위해 냉각팬(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45)은 냉각유로(46)에 구비된다. 상기 냉각 유로는 외부 공기를 상기 응축기(40)로 공급한 후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히터 건조기에서 응축기(40)는 공기순환부(20)와 냉각유로(46)가 교차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응축기(40)에서 배출되는 저온 건조 공기는 히터(60)를 통해 가열되어 고온 건조 공기로 변한다. 이러한 고온 건조 공기가 다시 드럼(1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드럼(10), 응축기(40), 건조팬(50) 그리고 히터(60)를 통해서 공기가 순환하며, 순환 공기의 가열과 응축 과정을 통해서 건조가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건조기는 드럼(10)의 후방에서 드럼(10)으로 공기를 불어넣기 때문에 블로워(blower) 타입 건조기라 할 수 있으며, 도시된 드럼(10)을 기준으로 오른쪽이 건조기 전면 그리고 왼쪽이 건조기의 후면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드럼(10)의 후방으로 건조를 위한 공기가 유입된 후 드럼(10)의 전방으로 배출된다.
도 2는 건조기 베이스(70)를 기준으로 도 1에 도시된 건조기의 주요 구성들의 배치 관계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라 할 수 있다. 직접적으로 베이스(70)에 장착되지 않는 드럼(10)과 히터(60)는 생략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베이스(70)를 기준으로 상부가 건조기의 후면 그리고 하부가 건조기의 전면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건조기 베이스(70)를 기준으로, 좌측에는 응축기(40)가 구비되며 우측에는 냉각팬(45), 모터(55) 그리고 건조팬(50)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55)는 상기 건조팬(50)을 구동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팬(50)은 건조기의 전방 그리고 드럼(10)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건조팬(50)이 필터(30)와 응축기(40) 사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건조팬(50)은 드럼(10)의 전방에서 드럼(10)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석션(suction) 타입 건조기라 할 수 있다. 즉, 드럼(10)이나 가열기와의 관계에서 건조팬(50)의 위치가 드럼(10) 전단이냐 후단이냐에 따라 석션 타입 건조기와 블로워 타입 건조기로 나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드럼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드럼 전방을 통해 배출되면서 하강하여 응축기(40)로 유입된다. 응축기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승하여 드럼 후방을 통해 드럼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공기의 하강과 상승을 위해 별도의 덕트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덕트들은 상기 드럼(10)과 베이스(70)와 연결되어 전체적인 공기순환부(20)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외부 공기는 건조기의 후방에서 냉각유로(46)을 통해 건조기 내부로 유입되어 응축기(40)로 공급된다. 응축기(40)로 공급된 외부 공기는 응축기 내에서 순환 공기와 열교환한 후 건조기의 측방으로 배출된다. 즉, 냉각팬(45)의 구동됨에 따라 냉각유로(46)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배출된다. 물론,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응축기(40)에서의 순환 공기의 유동 방향과 외부 공기의 유동 방향은 수직이게 된다.
도 3은 히트펌프 건조기의 일례를 간략하게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펌프 건조기는 드럼(10)과 상기 드럼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2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순환부(20)를 통해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응축과 가열 과정을 거쳐 다시 상기 드럼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공기가 공기순환부(20)를 통해 순환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순환을 위하여 건조팬(50)이 구비된다. 상기 건조팬(50)은 공기순환부(20) 내에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드럼(10) 내의 의류를 건조하기 위하여, 공기는 히트펌프 시스템(80)을 통해서 가열되고 냉각된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80)은 냉매를 이용한 하나의 냉동 사이클이다. 따라서, 히트펌프 시스템(80)은 냉매 배관(82), 증발 열교환기(81), 압축기(83), 응축 열교환기(84) 그리고 팽창수단(85)을 포함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냉매는 냉매 배관(82)을 통해서 증발 열교환기(81), 압축기(83), 응축 열교환기(84) 그리고 팽창수단(85) 순서로 흐르면서 순환하게 된다.
상기 증발 열교환기(81)에서 냉매는 열을 흡수하여 증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 열교환기(81)는 냉매와 순환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서, 순환 공기를 냉각시키켜 수분을 응축시킨다. 따라서, 순환 공기 관점에서 상기 증발 열교환기(81)를 히터 건조기의 응축기(40)와 대응되는 응축기라 할 수 있다.
상기 응축 열교환기(84)에서 냉매는 열을 방출하여 응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 열교환기(84)는 냉매와 순환 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해서, 순환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순환 공기 관점에서 상기 응축 열교환기(84)를 히터 건조기의 히터(60)와 대응되는 가열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히트펌프 시스템(80)을 거치면서 순환 공기의 응축 과정과 가열 과정이 수행되며, 이러한 순환 공기는 다시 드럼으로 유입된다. 물론, 드럼(10)과 증발 열교환기(81) 사이에는 공기 중의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3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드럼(10)을 기준으로 오른쪽이 건조기 전면 그리고 왼쪽이 건조기의 후면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건조기는 드럼(50)의 후방에 건조팬(50)이 위치되어 드럼(50)으로 공기를 불어 넣기 때문에 블로우 타입 건조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건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석션 타입 건조리라 할 수 있다.
도 4는 건조기 베이스(70)를 기준으로 도 3에 도시된 건조기의 주요 구성들의 배치 관계를 간략하게 도시한 평면도라 할 수 있다. 직접적으로 베이스(70)에 장착되지 않는 드럼(10)은 생략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베이스(70)를 기준으로 상부가 건조기의 후면 그리고 하부가 건조기의 전면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건조기 베이스(70)를 기준으로, 좌측에는 증발 열교환기(81)와 응축 열교환기(84)가 구비되며 우측에는 팽창밸브(85), 압축기(83), 모터(55) 그리고 건조팬(50)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55)는 상기 건조팬(50)을 구동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조팬(50)의 흡입력에 의해서 드럼 내부의 공기는 드럼 전방을 통해 드럼에서 유출된다. 유출된 공기는 하강하여 증발 열교환기(81)와 응축 열교환기(84)를 거치면서 수분이 제거되고 가열된다. 이후, 공기는 상승하여 드럼 후방을 통해 드럼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히트펌프 건조기는, 히트펌프 시스템(80)을 통해서 순환 공기의 냉각과 가열이 수행되기 때문에, 히터 건조기에서와 같은 냉각팬(45)이나 냉각 유로(46)가 구비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러한 히트펌프 건조기는 전술한 히터 건조기와 순환 공기에 대한 필터링, 응축 그리고 가열 과정이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가열과 응축의 방식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히터 건조기의 히터(50)와 응축기(40)는 각각 히트펌프 건조기의 응축 열교환기(84)와 증발 열교환기(81)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히터(50)와 응축 열교환기(84)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구성이므로 가열기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히터 건조기와 히트펌프 건조기에서 드럼을 포함하여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20)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를 위한 메커니즘과 구조가 매우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기순환부(20)의 세부적인 구성과 구조에서는 서로 다른 부분이 많다. 즉, 가열 방식과 응축 방식의 차이로 인해 베이스(70)의 유로 구조가 바뀌게 된다. 즉, 공기순환부(20)의 일부를 이루는 유로가 상기 베이스(70)에 의해서 형성되는데, 이러한 유로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베이스(70)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이는 동일한 외형 규격을 갖는 건조기인 경우에도 가열 방식과 응축 방식의 차이로 인해 서로 다른 베이스(70)가 사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히트펌프 건조기와 히터 건조기를 모두 생산해야 하는 경우, 건조기 타입별로 서로 다른 형태의 베이스(70)를 제작하고 관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베이스(70)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베이스(70)에 장착되는 구성들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동일한 기능을 위한 구성이지만 형상이 다른 구성들이 사용될 수밖에 없게 된다.
전술한 건조팬(50)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55)는 양자 건조기 모두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가열 방식과 응축 방식의 근본적인 차이를 가져오는 구성들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 건조기에서는 응축기(40)와 냉각팬(45)을 배타적으로 갖게 되고, 히트펌프 건조기에서는 히트펌프 시스템(80)을 배타적으로 갖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타적인 구성뿐만 아니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형상이 다른 구성들이 각각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기에 따라 베이스(70), 건조팬(50)과 건조팬 하우징, 응축수 펌프 그리고 응축수 안내 부재 등이 서로 달리 사용된다.
일례로, 건조기 베이스(70)와 직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구성들에서 모터(55), 레그 등과 같이 4 개의 구성은 양자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일례로, 베이스(70)를 포함하는 서로 다른 12 개의 구성이 어느 하나의 건조기에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대략 7 개의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형상이 다른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에 따라 서로 달리 관리해야 하는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비의 증가가 야기될 수 있다. 물론, 서로 다른 부품수가 많아짐으로 하여 제작뿐만 아니라 사후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순환식 건조기의 경우 응축수가 효과적으로 배수됨이 바람직하다. 즉, 건조기 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공기순환부(20)에서 효과적으로 배수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응축수는 응축기에서 발생될 뿐만 아니라 건조기의 작동 정지 후 온도 저하로 인해 공기순환부(20) 어디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가 재가열되거나 드럼(10) 또는 가열기로 유입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응축수 구조의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순환식 건조기의 경우 더욱 강조될 수 있고, 블로워 타입 건조기의 경우에도 더욱 강조될 수 있다.
블로워 타입의 건조기의 경우 건조팬 하우징 내의 응축수가 공기 유동에 의해 히터로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많은 양의 응축수가 히터로 직접 공급되는 경우 히터의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응축수가 건조팬 하우징으로 유입되는 것과 건조팬 하우징 내의 응축수가 히터로 직접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 건조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조기 베이스를 갖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공용 건조기 베이스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이 달라짐에 따라 달라지는 구성들의 수를 줄여 생산이 용이하고 사후 관리가 용이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공용 건조기 베이스를 통하여, 건조기 타입이 달라짐과 무관하게 건조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공기순환부의 유로 구조를 동일하게 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이 달라짐에 따라 유로 구조가 변경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별도의 구성이 건조기 베이스에 결합하도록 하여, 관리되어야 하는 건조기 부품의 수를 최소화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에 따른 배타적인 구성들과 건조기 베이스 사이의 장착 구조를 동일하게 하여, 제작이 용이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응축수가 드럼, 건조팬 하우징 그리고 히터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공용 건조기 베이스에 응축수 배수구조를 형성하여,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이 변경됨에 따라 응축수 배수구조에 대한 재설계를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응축기에서 건조팬 하우징로 유입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응축수가 히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건조팬 하우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응축수가 히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르면, 건조 대상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 상기 공기 순환을 위한 건조팬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드럼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 상기 드럼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고, 건조기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순환부는, 상기 응축기의 열교환 방식이 달라짐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응축기를 수용하도록 형상이 변경되는 응축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응축덕트의 형상과 무관하게 상기 응축덕트가 장착되도록, 동일한 형상과 사이즈의 응축덕트 장착부가 형성되는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를 갖는 건조기 베이스를 통해서, 냉각 방식과 가열 방식이 상이한 건조기들에서 동일한 건조기 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기 히터를 사용하는 히터 건조기와 히트펌프 시스템을 사용하는 히트펌프 건조기에서 동일한 건조기 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에는 상기 응축덕트의 양쪽 측벽부와 하벽부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베이스와 개별적 그리고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응축덕트가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에 장착됨으로써, 상기 공기순환부의 일부인 응축 유로가 상기 베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 내에서의 순환 공기의 유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응축덕트의 측벽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하벽부가 안착되는 하부 장착부;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의 양측벽부가 각각 결합되는 측부 장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응축덕트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장착되기 위한 상면 개구부; 상기 순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전면 개구부; 상기 순환 공기가 유출되기 위한 후면 개구부; 그리고 상기 측부 장착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면 개구부에서부터 절개된 측면 개구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구조와 형상을 통해서, 장착되는 응축덕트와 무관하게 응축덕트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응축덕트가 상기 측부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양쪽의 상기 측면 개구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양측벽부에 의해서 막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응축덕트가 히트펌프 건조기에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덕트가 상기 측부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양쪽의 상기 측면 개구부를 관통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응축덕트가 히터 건조기에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다.
상기 측부 장착부 또는 상기 측면 개구부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사다리꼴의 밑변과 양측변 사이의 각도는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밑변과 측변 사이의 각도는 90도를 초과하고 10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인해 상부에서 하부로 응축덕트의 장착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장착후 양자의 결합이 매우 우수하게 되어 응축덕트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측면 개구부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냉각 유로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응축덕트의 전후 길이가 고정됨을 전제하면, 상기 사다리꼴의 각도가 105도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측부 장착부 또는 측면 개구부의 밑변의 길이가 작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측부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장착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측부 장착부 또는 측벽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장착 슬롯에 삽입되는 장착 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응축덕트의 장착이 용이하고 양자의 결합이 견고해질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딩 결합 구조와 측면 장착부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인해, 응축덕트의 자중을 이용하여 양자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 장착 슬롯과 상기 장착 리브 사이에는 실링 부재가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응축덕트 내부의 공기와 응축수가 응축덕트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응축덕트 외부의 공기가 응축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모터와 건조팬이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와 건조팬 장착부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와 건조팬은 건조기의 냉각 방식과 가열 방식과 무관하게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모터 장착부와 건조팬 장착부의 형상과 위치는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된다.
상기 공기순환부는 상기 베이스의 전방 일측에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린트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린트덕트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전방에 형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순환부는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덕트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후방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린트덕트와 건조덕트를 공용 건조기 베이스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공용 건조기 베이스를 이용하여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공기순환부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응축기의 형태가 달라짐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축기 또는 냉각팬 장착부가 안착되는 선택 안착부가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택 안착부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중심 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응축기가 히트펌프의 증발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냉매 압축을 위한 압축기가 필요하다. 응축기가 외부 공기에 의한 공냉식 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냉각팬이 필요하다. 이러한 압축기와 냉각팬은 건조기 타입에서 배타적인 구성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이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선택 안착부를 공용 베이스에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기는,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열교환기 그리고 외부 공기를 통하여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는 공기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냉매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순환 공기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양쪽의 측벽부가 막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공기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외부 공기가 유출입하는 냉각유로와 연통하기 위하여 상기 양쪽의 측벽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냉매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상기 양쪽의 측벽부에 의해 막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상기 냉각유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측면 개구부를 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 개구부는 역사다리꼴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드럼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드럼 내의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며, 냉동사이클을 이용하는 냉매 열교환기 그리고 외부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 상기 드럼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고, 건조기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그리고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응축기의 형태가 달라짐에 따라 외형이 변경되는 응축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덕트의 외형과 무관하게 상기 응축덕트가 장착되는 응축덕트 장착부가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동일한 건조기 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는, 외형 규격이 동일한 건조기의 공용 구성이 되도록, 상기 응축기의 형태와 상기 응축덕트의 형상과 무관하게,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형상과 사이즈는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응축덕트 장착부의 형상과 사이즈와 대응되도록 각각의 건조기에서의 응축덕트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건조기 타입이 변경되는 응축덕트의 형상도 변경되어야 한다. 그러나, 응축덕트에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에 장착되기 위한 구조는 동일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양쪽 측벽부가 장착되는 측부 장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부 장착부는, 상기 냉매 열교환기 형태의 응축기를 수용하는 상기 응축덕트의 측벽부에 의해서 막히고, 상기 공기 열교환기 형태의 응축기를 수용하는 상기 응축덕트의 측벽부를 통해 외부 공기와 연통하는 측면 개구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덕트의 측벽부와 상기 측부 장착부의 어느 하나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측부 장착부와 상기 응축덕트의 측벽부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슬롯과 결합되는 결합 리브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롯과 상기 결합 리브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응축덕트 전방에 구비되는 린트덕트와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응축덕트 후방에 구비되는 건조덕트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린트덕트와 응축덕트는 상기 응축기의 형태와 무관하게 동일한 형상과 사이즈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드럼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며, 냉동사이클을 이용하는 냉매 열교환기 그리고 외부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가 수용되어 내부에서 상기 순환 공기의 수분이 응축되며, 상기 응축기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응축덕트;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가 장착되고 상기 건조기의 하부를 이루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동일한 외형 규격의 건조기에서 공용 구성이 되도록, 상기 응축기의 형태와 상기 응축덕트의 형상과 무관하게 동일한 형상과 사이즈를 갖는 응축덕트 장착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양쪽 측벽부가 삽입되면서 장착되도록 양쪽에 형성된 측부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 장착부에는, 상기 냉매 열교환기가 수용된 응축덕트의 장착으로 막히고 상기 공기 열교환기가 수용된 응축덕트의 장착으로 개방되는 측면 개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부 장착부와 측면 개구부는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순환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기를 수용하는 응축덕트가 장착되는 응축덕트 장착부가 구비된 건조기 베이스를 포함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히트펌프 타입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폐쇄되고, 히터 타입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외부 공기가 유출입되는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측면 개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 타입 응축덕트의 내부에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열교환기 타입의 응축기가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 타입 응축덕트의 내부에 외부 공기를 통하여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는 공기 열교환기 타입의 응축기가 수용되이 바람직히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에는 상기 히트펌프 타입 응측덕트와 상기 히터 타입 응축덕트가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구조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건조기의 타입에 따라 장착되는 응축덕트 타입이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순환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기를 수용하는 응축덕트가 장착되는 응축덕트 장착부가 구비된 건조기 베이스를 포함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측면 개구부를 포함하며,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열교환기 타입의 응축기가 수용되는 히트펌프 타입 응축덕트 또는 외부 공기를 통하여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는 공기 열교환기 타입의 응축기가 수용되는 히터 타입 응축덕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측면 개구부는, 상기 히트펌프 타입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폐쇄되고, 상기 히터 타입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상기 외부 공기가 유출입되는 냉각유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건조기의 베이스에는 상기 응축덕트 전방의 린트덕트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 후방의 건조덕트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에 상기 응축덕트가 장착됨에 따라, 상기 건조기 베이스에는 서로 연통되는 린트덕트, 응축덕트 그리고 건조덕트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린트덕트, 응축덕트 그리고 건조덕트는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되는 응축덕트의 타입에 따라 건조기 타입이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건조기 베이스를 갖는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공용 건조기 베이스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이 달라짐에 따라 달라지는 구성들의 수를 줄여 생산이 용이하고 사후 관리가 용이한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공용 건조기 베이스를 통하여, 건조기 타입이 달라짐과 무관하게 건조기 베이스에 형성되는 공기순환부의 유로 구조를 동일하게 한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이 달라짐에 따라 유로 구조가 변경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별도의 구성이 건조기 베이스에 결합하도록 하여, 관리되어야 하는 건조기 부품의 수를 최소화한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에 따른 배타적인 구성들과 건조기 베이스 사이의 장착 구조를 동일하게 하여, 제작이 용이한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응축수가 드럼, 건조팬 하우징 그리고 히터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공용 건조기 베이스에 응축수 배수구조를 형성하여,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수할 수 있는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건조기 타입이 변경됨에 따라 응축수 배수구조에 대한 재설계를 방지할 수 있는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히터 건조기의 공기순환부 개념도;
도 2는 히터 건조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주변 구성들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히트펌프 건조기의 공기순환부 개념도;
도 4는 히트펌프 건조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주변 구성들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주변 구성들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공용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히터 건조기용 응축덕트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응축덕트의 장착구조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히터 건조기용 응축덕트와 베이스의 응축덕트 장착부 사이의 결합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공용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는 히트펌프 건조기용 응축덕트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히트펌프 건조기용 응축덕트, 특히 하부 응축덕트의 사시도;
도 11은 종래 건조기 베이스의 응축수 배출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응축수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 주변 구성들에 대한 평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응축수 배출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응축수 배출구조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응축수 배출구조에 대한 확대 사시 단면도;
도 16은 종래 건조기의 후방을 도시한 전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응축수 배출구조를 포함하는 베이스에 대한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응축수 배출구조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 대상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10), 상기 드럼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20), 공기 순환을 위한 건조팬(50) 그리고 상기 건조팬을 구동시키는 모터(5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드럼(10)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 상기 응축기를 수용하는 응축덕트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가 장착되는 응축덕트 장착부를 갖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건조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럼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베이스는 상기 드럼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건조기의 최하부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레그를 통해 건조기 전체가 지면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특히 공용 베이스를 갖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베이스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며, 캐비닛과 드럼과 같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개념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건조기 베이스(100)를 기준으로 히터 타입 건조기에서와 히트펌프 타입 건조기에서 공용 구성과 개별 구성에 대한 분해도이다. 물론, 도 5에는 건조기 베이스와 직간접적으로 결합되는 구성들만 도시되어 있다.
A 박스 내의 구성들은 히터 건조기와 히트펌프 건조기에서의 공용 구성이며, B 박스 내의 구성들은 히터 건조기의 배타적인 구성 그리고 C 박스 내의 구성들은 히트펌프 건조기의 배타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A와 B 박스 내의 구성이 서로 결합하여 히터 건조기를 이루게 되며, A와 C 박스 내의 구성이 서로 결합하여 히트펌프 건조기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공용 베이스(100)를 통하여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공용 구성의 수를 증가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반대로, 히터 건조기와 히트펌프 건조기의 배타적인 구성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용 구성을 살펴보면, 건조기 베이스(100)가 동일하기 때문에 베이스(100)에 장착되는 기본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팬(50), 상기 건조팬을 구동시키는 모터(55), 모터축 결합부재(56),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58), 모터축 브라켓(57), 응축수 센싱 어셈블리(65), 커버(90) 그리고 레그(70)와 같은 구성들은 공용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용 구성들과 함께 박스 B의 구성들은 히터 건조기를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응축덕트(200), 냉각팬(45), 냉각팬 하우징(290) 그리고 응축기(300)와 같은 구성들은 히터 건조기의 배타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300)는 순환 공기와 외부 공기 사이의 열교환 즉 공기 열교환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응축기(300)는 히터 타입 건조기에 사용되므로, 상기 응축덕트(200)는 히터 타입 건조기의 응축덕트, 즉 히터 타입 응축덕트(200)라 할 수 있다.
물론,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로서의 히터(60)도 히터 건조기의 배타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히터는 베이스(100)에 장착되는 구성이 아닐 수 있기에 도 5에 미도시 된 것이다.
또한, 상기 공용 구성들과 함께 박스 C의 구성들은 히트펌프 건조기를 이루게 된다. 예를 들어, 응축덕트(500), 순환 공기 내의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기로서의 증발 열교환기(81),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로서의 응축 열교환기(84), 압축기(80), 압축기 서포터(640)는 히트펌프 건조기의 배타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부가 팬(660)과 부가 열교환기(650)가 히트펌프 건조기의 배타적인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물론, 냉동 사이클을 이루는 냉매배관(82)와 팽창수단(85)와 같은 구성들도 배타적인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응축덕트(500)는 상부 응축덕트(550)와 하부 응축덕트(5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 서포트(640), 제2증발 열교환기(650) 그리고 박스팬(660)도 히트펌프 건조기의 배타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증발 열교환기(81)도 응축기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냉매를 통해 공기를 냉각시키기 때문에 냉매 열교환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응축기는 히트펌프 타입 건조기에 사용되므로, 상기 응축덕트(500)은 히트펌프 건조기의 응축덕트, 즉 히트펌프 타입 응축덕트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건조기 베이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서는 일례로 공기 열교환기 타입의 응축기(300), 상기 응축기(300)를 수용하는 응축덕트(200) 그리고 베이스(100)가 분리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공용 베이스(100)가 히터 건조기에 사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100)에는 상기 응축덕트(200)가 장착되기 위한 응축덕트 장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덕트(200)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에 장착됨으로써 공기순환부의 일부인 응축유로 즉 응축덕트(200)가 비로소 베이스(100)에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응축기(300)는 공기 열교환기 타입이다. 즉, 히터 타입 건조기의 응축기이다. 상기 응축기(300)는 상기 응축덕트(200) 내에 수용된다. 먼저, 응축덕트(200)가 베이스(100)에 장착된 후 상기 응축기(300)가 상기 응축덕트(200)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200)는 상기 베이스(100)와 개별적 그리고 독립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는 상기 베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응축덕트(200)가 달라지더라도 상기 베이스(100)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100)의 전방에는 개구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응축덕트(200)의 전방에도 개구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개구부(120)와 상기 응축덕트의 개구부(260)는 서로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개구부들(120, 260)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응축덕트(200)가 베이스(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들(120, 260)을 통해 응축기(300)가 상기 응축덕트(200) 내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200)가 상기 응축덕트(200) 내의 응축기 안착부(240)에 안착된 후, 커버(90)를 통해 상기 개구부(120)를 막게 된다.
상기 베이스(100)의 전방에는 린트덕트(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린트덕트(130)는 공기순환부(20)의 일부를 형성하며, 드럼 전방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상기 린트덕트(130)로 유입된다. 상기 린트덕트(130)에는 필터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린트덕트(13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베이스(10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린트덕트(130)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와 연통된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의 전방에는 전면 개구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 개구부(111)를 통해서 상기 린트덕트(130)와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의 후방에는 건조덕트(140)가 형성된다. 상기 건조덕트(140)는 공기순환부(20)의 일부를 형성하며, 드럼 후방으로 공기가 공급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의 후방에는 후면 개구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 개구부(113)를 통해서 상기 건조덕트(140)와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의 상부에는 상면 개구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개구부(114)를 통해서 상기 응축덕트(200)가 상부에서 하부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면 개구부(114)는 상기 응축덕트(200)가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로 삽입되는 삽입구라 할 수 있다. 상기 응측덕트 장착부(110)에 상기 응축덕트(200)가 장착되면, 비로소 상기 베이스(100)를 통해서 린트덕트(130), 응축덕트(200) 그리고 건조덕트(140)가 순차적으로 연통되게 된다. 물론, 이러한 공기순환부는 외부로부터 실링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응축덕트(200) 내부로 유입된 고온 다습한 순환 공기는 상기 응축기(300)의 전면 유입구(310)를 통해서 응축기(300) 내부로 유입된 후 배출된다. 이때, 상기 고온 다습 공기는 응축기(300) 내부에서 열교환 된다. 이러한 열교환을 위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응축기(300)의 측면 유입구(320)를 통해서 응축기(300) 내부로 유입된 후 배출된다. 물론, 상기 순환 공기와 외부 공기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즉, 상기 응축기(300) 내부에서 상기 순환 공기와 외부 공기는 서로 교차되며 열교환막을 통해서 열교환 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위해서, 상기 응축덕트 장작부(110)에는 측면 개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개구부(112)는 양쪽에 각각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는 하부 장착부(115)와 측부 장착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 장착부(116)는 양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200)는 양쪽 측벽부(270)와 하벽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200)의 하벽부(280)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하부 장착부(115)에 안착되며, 상기 응축덕트의 양쪽 측벽부(270)가 각각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측부 장착부(116)에 결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측벽부(270)에 형성되는 장착 슬롯(271)이 상기 측부 장착부(116)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의 일측 측벽부(270)에는 개구부(250)가 형성되어, 응축덕트(20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250)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일측 측면 개구부(112)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 개구부(11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응축덕트(200)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개구부(250)는 응축기(300)의 측면 유입구(320)와 연통되고 전면 유입구(310)와는 연통되지 않는다. 따라서, 응축덕트(200) 내부의 고온 다습한 순환 공기가 상기 측면 개구부(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응축덕트의 타측 측벽부(270)에는 냉각팬 장착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팬 장착부(220)는 미도시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응축기(300)와 연통된다. 즉, 상기 냉각팬 장착부(200)는 상기 응축기(300)의 측면 유입구(320)와 연통된다. 여기서 미도시된 개구부는 상기 개구부(250)와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5에는 이러한 개구부가 냉각팬 장착부(220)에 의해 가려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 장착부(220)에는 냉각팬이 장착되며, 냉각팬 하우징(290)이 상기 냉각팬 장착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팬 장착부(220)의 전방에는 외부 공기 안내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공기 안내부(230)에는 별도의 덕트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덕트는 건조기의 전방으로부터 외부 공기를 상기 외부 공기 안내부(23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 장착부(220)에 장착되는 냉각팬(45)이 구동되면, 외부 공기는 상기 외부 공기 안내부(230)와 냉각팬 장착부(220)를 통해서 응축덕트(200) 내부로 유입된다. 응축덕트의 타측 측벽부(270)는 응축덕트 장착부의 측부 장착부(116)를 막는다. 그러나, 상기 타측 측벽부(270)에도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공기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측부 장착부(116)를 관통하여 응축덕트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는 응축덕트(200)가 장착됨으로써 응축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응축덕트 장착부(110)의 측부 장착부(116)와 측면 개구부(112)를 통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된 후 유출되는 냉각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응축덕트(200)가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에 장착됨으로써 응축유로와 냉각유로가 동시에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응축덕트(200)와 응축덕트 장착부(110)의 형상과 위치 관계로 인해, 상기 응축덕트(200) 내부에서 순환 공기와 외부 공기가 수직 교차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의 측면 개구부는 상기 냉각유로를 위해 형성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응축덕트(300)가 장착될 때,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해서 냉각유로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 장착부(116) 또는 상기 측면 개구부(112)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사다리꼴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다리꼴의 밑변과 양측변 사이의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사다리꼴의 밑변과 양측변 사이의 각도는 90도를 초과하고 105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의 전후 길이가 고정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각도가 커진다는 것은 밑변의 전후 길이가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측면 개구부(115)의 하측의 전후 길이가 좁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다리꼴을 유지하면서 상기 각도를 키우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상기 측면 개구부(1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유로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응축덕트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출입되는 면적이 작아질 수밖에 없다. 유출입구의 면적이 작다는 것은 충분한 양의 외부 공기가 상기 응축덕트 내부로 유유입되지 못함을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105도 미만의 각도가 바람직하며, 대략 100도 전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측부 장착부(116) 또는 측면 개구부(112)의 사다리꼴 형상은 응축덕트(200)의 장착을 위해 매우 용이하다. 왜냐하면, 응축덕트(200)의 자중을 이용해서 응축덕트(200)가 쉽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항상 자중에 의해 양자의 결합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실링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도 7은 응축덕트의 측벽부(270)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8은 응축덕트의 측벽부(270)와 응축덕트 장착부(110)의 측부 장착부(116)가 결합된 부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상기 측벽부(270)는 외부 공기 안내부(230)가 형성된 부분에 대한 응축덕트의 측벽부(270)이다.
상기 응축덕트의 측벽부(270)와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측부 장착부(116)사이에는 양자의 결합을 위한 장착 슬롯(271)과 장착 리브(116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리브(116a)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의 측부 장착부(116) 자체일 수 있다. 상기 장착 슬롯(271)에 상기 장착 리브(116a)가 슬라이딩을 통해서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슬롯(271)과 장착 리브(116a)는 반대편에도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후술하는 히트펌프 건조기의 응축덕트에도 이러한 장착 슬롯이나 장착 리브 구조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과 도 8에는 상기 측벽부(270)에 장착 슬롯(271)이 형성되고 측부 장착부(116)에 장착 리브(116a)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장착 슬롯(271)과 장착 리브(116a)의 위치는 반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 슬롯(271)과 상기 장착 리브(116a) 사이에는 실링부재(S)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 부재에는 상기 응축덕트(200)의 하중이 가해진다. 아울러, 응축기의 하중이 상기 응축덕트를 통해 상기 실링부재(S)에 가해진다. 따라서, 응축덕트(200)와 응축덕트 장착부(110)의 실링이 충분히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 슬롯(271)에는 스토퍼(27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응축덕트 장착부(110)에 대한 응축덕트(20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스토퍼(2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리브(116a)가 상기 스토퍼(272)에 맞닿을 때까지 응축덕트(20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결합 위치가 정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덕트 장착부(110)와 응축덕트의 측벽부(270) 사이의 결합 구조는 양쪽에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쪽에서 상기 장착 슬롯(271)과 장장착 리브(116a)가 동일 및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통해서, 공용 건조기 베이스(100)에 공기 열교환기 타입의 응축기(300)를 수용하는 응축덕트(200)가 결합된 예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공용 건조기 베이스(100)에 냉매 열교환기 타입의 응축기(81)를 수용하는 응축덕트(500)가 결합된 예를 설명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건조기 베이스(100)는 전술한 공용 건조기 베이스(100)와 동일하다. 즉, 단일 몸체를 갖는 구성으로서의 베이스는 동일하다. 상기 베이스는 동일 재질로 형성된 하나의 구성일 수 있다. 물론, 여러 개의 파트로 나뉘어 제작된 후 결합이나 융착 등을 통해서 단일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베이스(100)는 응축덕트 장착부(110)를 갖는다.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에 어떠한 응축덕트가 장착되는지에 따라 건조기의 타입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즉, 동일한 응축덕트 장착부(110)에 서로 다른 형태의 응축덕트가 장착되며, 이에 따라 건조기의 타입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서로 다른 응축덕트라 하더라도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와 결합되는 구조는 동일하다고 하다고 할 수 있다.
도 9에는 응축덕트 장착부(110)에 히트펌프 타입 건조기의 응축덕트(500)가 장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는 상기 응축덕트(500)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응축덕트(500)는 하부 응축덕트(51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응축덕트(510)가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500)는 도 5에 도시된 상부 응축덕트(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응축덕트(500)가 상기 하부 응축덕트(510)에 결합함으로써, 내부에 응축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500)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에 장착됨으로써, 린트덕트(130) 및 건조덕트(140)과 연통된다. 상기 응축덕트 내에는 구체적으로 증발 열교환기(81)과 응축 열교환기(84)가 수용된다. 즉, 상기 응축덕트 내에 형성되는 악착부(520)에 상기 증발 열교환기와 응축 열교환기가 안착된다. 상기 증발 열교환기(81)는 순환 공기를 냉각시켜 순환 공기 내의 수분을 응축시킨다. 따라서 상기 증발 열교환기는 히트펌프 건조기의 응축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 열교환기(84)는 수분이 제거된 순환 공기를 가열한다. 따라서 상기 응축 열교환기(84)는 히트펌프 건조기의 가열기라 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500), 특히 하부 응축덕트(510)에는 상부 개구부(523), 전방 개구부(521) 그리고 후방 개구부(5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개구부(530)는 상기 상부 응축덕트(550)에 의해 막히게 된다. 그리고, 전방 개구부(521) 인근에 상기 증발 열교환기(81)가 수용되며, 상기 후방 개구부(522) 인근에 상기 응축 열교환기(84)가 수용된다. 상기 열교환기들은 파티션(10)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안착부(520)에 안착된다.
상기 안착부(520)에는 배수홀(530)이 형성된다. 특히 전방 개구부(520) 인근에 이러한 배수홀(5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홀(53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 열교환기(81)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상기 배수홀(530)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며, 상기 응축수는 상기 건조기 베이스(100) 바닥면에 형성되는 배수유로를 통해 섬프(66, 도 12 참조)로 유입된다. 상기 섬프(66)에는 응축수 센싱 어셈블리(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500)는 양쪽 측벽부(525)를 포함한다. 상기 양쪽 측벽부(525)는 상기 하부 응축덕트(5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쪽 측벽부(525)에는 장착 슬롯(57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슬롯(571)은 전술한 히터 타입 건조기의 응축덕트(200)에서의 장착 슬롯(271)과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동일한 응축덕트 장착부(110)에 상기 응축덕트(5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응축덕트(500)에는 마찬가지로 스토퍼(5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쪽 측벽부(525)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110)의 측면 개구부(112)를 막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히트펌프 타입의 건조기에서는 냉각유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히트펌프 타입의 건조기에서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측면 개구부(112)는 상기 응축덕트(500)의 양쪽 측벽부(525)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응축덕트 장착부(110)와 응축덕트(500)의 결합 구조는 전술한 히터 타입 건조기에서와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양쪽 측벽부(525)의 어느 하나에는 슬롯(5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573)은 냉매 튜브가 안착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증발 열교환기(81)나 응축 열교환기(84)에 형성되는 냉매 튜브가 상기 응축덕트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열교환기들이 응축덕트 내부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매 튜브로 인해 응축덕트 자체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양쪽 측벽부(525)에는 상부 응축덕트(550)가 결합하기 위한 복수 개의 결합 구조(57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는 모터 장착부(1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장착부(150)의 후방에 건조팬 장착부(16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터 장착부(150)의 전방에는 선택 안착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 장착부(150)와 건조팬 장착부(165)는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동일한 모터와 건조팬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착부의 형상은 건조기 타입과 무관하게 동일하다.
상기 선택 안착부(160)에는 압축기 또는 냉각팬 장착부가 안착될 수 있다. 즉, 히트 펌프 타입 건조기에서는 상기 선택 안착부(160)에 압축기(83)가 안착되며, 히터 타입 건조기에서는 냉각팬 장착부(230)가 안착된다.
따라서, 히트 펌프 타입 건조기와 히터 타입 건조기 모두에 동일한 건조기 베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응축수 배수구조를 갖는 건조기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독립적으로 구현되거나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서 공통될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순환 공기 내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는 건조기에서는 응축수의 배수가 매우 중요하다. 이는 건조기의 효율이나 제품 신뢰성 및 내구성과도 연관이 된다. 즉, 응축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섬프로 효과적으로 배수함과 아울러 공기순환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드럼이나 히터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응축수는 건조기의 작동 중 응축기로부터 발생될 뿐만 아니라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된 후 온도 강하에 의해서 자연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후자의 응축수는 공기순환부에 고여있게 되고, 추후 건조기의 작동 시 드럼이나 히터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에너지가 사용되므로 건조기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전술한 석션 타입 건조기의 경우, 건조팬에는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된다. 즉, 건조팬은 가열기나 히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대문이다. 따라서, 건조팬 주위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가열기나 히터로 유입되는 문제가 적다. 그러나, 블로워 타입 건조기의 경우, 건조팬 주위에 발생되는 응축수가 히터로 공급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왜냐하면, 건조팬은 상기 히터를 향해 공기를 불어 넣기 때문이다.
따라서, 석션 타입 건조기나 블로워 타입 건조기와 무관하게 응축수의 제거는 중요하지만, 특히, 블로워 타입 건조기에서는 응축수의 제거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히터 타입 건조기와 히트펌프 타입 건조기에 사용되는 공용 베이스를 설명한바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용 베이스를 사용하는 건조기, 특히 히터 타입 건조기는 블로워 타입 건조기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히터 타입 건조기이면서 블로워 타입 건조기에서의 응축수 제거의 중요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도 11은 종래의 건조기 베이스에서 응축수 배수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건조기 베이스(600)의 후방에는 제1건조덕트(6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건조덕트(610)는 응축덕트(620)와 미도시된 제2건조덕트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응축덕트(620)에는 응축기(625)가 구비되며, 건조기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응축기(625)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미도시된 배수 유로를 통해 섬프(640)로 유입된다. 상기 배수 유로는 상기 응축기(620) 하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 유로와 섬프는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건조덕트(610)의 일단(616)은 상기 응축덕트(620)와 연결되고 타단(615)은 건조팬 하우징 연결부(615)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건조팬 하우징 연결부(615)는 건조팬 하우징과 연결된다. 상기 건조팬 하우징에 구비되는 건조팬이 구동되면 응축덕트(620)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때문에 응축덕트(620) 내의 응축수나 상기 제1건조덕트(610) 내의 응축수는 상기 건조팬 하우징 연결부(615)를 통해 건조팬 하우징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는 건조팬 하우징(615)을 지나 미도시된 제2건조덕트에 구비되는 히터에 공급될 수 있다.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상기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하여, 상기 제1건조덕트(610)의 하부에 배수홀(630)을 형성하였다. 즉, 제1건조덕트(610) 하부에 배수홀(630)을 형성하여 건조팬이 구동되면 응축수가 상기 제1건조덕트(610)의 바닥면을 따라 흐르다가 상기 배수홀(630)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배수홀(630) 구조에서는 응축수 배출이 불충분한 문제가 있었다. 왜냐하면, 상기 건조팬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압력이 높기 때문에 응축수의 대부분이 상기 건조팬으로 빨려들어가기 때문이다. 아울러, 상기 배수홀(630) 입구의 높이와 상기 섬프(640)의 높이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배수홀(630)로부터 오히려 응축수가 토출되는 문제도 발생될 수 있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다 효과적으로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는 응축수 배수구조를 갖는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응축수 배수구조는 건조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하여 조립이 간단한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실시예와 복합적으로 구현되어, 건조기 타입과 무관한 응축수 배수구조를 갖는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기순환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상기 공기순환부를 따라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응축수 배수구조를 갖는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응축수 배수구조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구조는 전술한 공용 베이스를 갖는 히터 타입 건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건조덕트(140)은 제1건조덕트(141)와 제2건조덕트(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1건조덕트(141)는 응축덕트(200)와 제2건조덕트(145) 사이에 위치되면, 상기 제2건조덕트(145)는 상기 제1건조덕트(141)과 드럼(1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1건조덕트(141)는 응축덕트(200)의 후단에서 건조팬을 수용하는 건조팬 하우징(146)까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건조덕트(141)는 상기 응축덕트(200)과 연결되는 응축덕트 연결부(142)와 상기 건조팬 하우징(146)과 연결되는 건조팬 하우징 연결부(143)을 포함한다.
상기 제1건조덕트(141)는 건조기의 하부에서 상기 응축덕트(130)에서 상기 건조팬 하우징(146)까지 좌우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건조덕트(141)는 베이스(100)에 일체로 형성되며, 베이스(100)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팬(50)이 구동되면, 상기 건조팬(50)은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공기 흡입 압력에 의해 상기 응축덕트(130)에서 순환 공기뿐만 아니라 응축수가 상기 제1건조덕트(141)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는 상기 건조팬 하우징(146)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응축수 배수구조(700)가 상기 제1건조덕트(141)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수 배수구조(700)는 상기 응축덕트 연결부(142)와 상기 건조팬 하우징 연결부(143) 사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건조덕트의 바닥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수 배수구조(700)는 상기 제1건조덕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건조덕트 배수구(710)과 상기 제1건조덕트 배수구(710)의 일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외측 리브(72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리브(720)는 상기 배수구의 상기 건조팬 하우징 측 테두리에 상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외측 리브(720)는 공기 유입 방향과 반대측 테두리에 공기 유입 방향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흡입 압력이 커질수록 바닥면에 흐르는 응축수가 상기 제1건조덕트 배수구(710)을 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외측 리브(720)에 의해 응축수가 상기 제1건조덕트 배수구(710)를 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외측 리브(720)에 응축수가 부딪히게 되며, 이때 응축수는 제1건조덕트 배수구(710)로 유입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리브(720)는 사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질적으로 공기의 유동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팬 하우징(146)과 응축덕트(200)는 전후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응축덕트 연결부(141)의 중심과 건조팬 하우징 연결부(143)의 중심을 연결하는 사선 형태로 공기의 유동 중심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의 유동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외측 리브(720)가 사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 리브(720)와 상기 제1건조덕트의 하면 사이의 각도는 35도 내지 2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도가 클수록 공기 저항이 커지며 반대의 경우에는 응축수가 외측 리브(720)를 타고 넘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 배수구조(700)는 내측 리브(73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리브(730)는 상기 제1건조덕트 배수구(710)로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 리브(730)는 상기 배수구(710)의 상기 응축덕트 측 테두리에 하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리브(730)는 상기 건조팬 하우징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리브(730)와 상기 제1건조덕트의 하면 사이의 각도는 130도 내지 14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외측 리브(720)는 상기 배수구(7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리브(730)는 상기 배수구(7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응축수가 상기 배수구(710)로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응축수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건조덕트(141)의 전단과 후단 사이의 위치 관계로 인해 제1건조덕트(141)의 전후 폭에 대해서는 공기의 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건조덕트(141)의 전방측에서의 공기의 속도가 빠르게 된다. 즉, 도 12에 도시된 제1건조덕트(141)에서 전방측(즉, 건조기의 전방측)에서의 공기의 속도가 빠르다. 이는 제1건조덕트(141)의 전후 폭에서 전방측에서 응축수가 더 많이 흐르게 됨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710)의 좌우 폭은 서로 상이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건조덕트의 내부 전방에서의 좌우 폭이 후방에서의 좌우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건조덕트의 내부 전방에서 응축수가 넘어야 하는 배수구의 폭이 제1건조덕트의 내부 후방에서 응축수가 넘어야 하는 배수구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배수구(710)는 상기 제1건조덕트의 내부 전후 폭 전체에 결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1건조덕트(141)의 바닥면에서 전후 폭 전체에 걸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보다 많은 응축수가 상기 배수구(71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배수구(710)는 응축덕트(200)로부터 유입되는 응축수뿐만 아니라 건조팬 하우징 연결부(143)에 있는 응축수도 유입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건조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 자연적으로 제1건조덕트(141) 내부에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수구(710)와 건조팬 하우징 연결부(143) 사이에 있는 응축수를 상기 배수구(710)로 유입되도록 하는 구조가 필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외측 리브(720)는 상기 제1건조덕트의 내부 전후 폭 전체 중 후방을 제외하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리브(720)는 제1건조덕트의 내부 전후 폭 전체 중 후방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서, 간극(740)가 형성되며, 이러한 간극(740)을 통해서 응축수가 배수구(7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간극(740)은 공기의 유속이 제일 느린 곳에 형성되므로, 공기의 흡입 발생 시 이를 넘는 응축수의 양은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이 발생되지 않을 때 상기 간극(740)을 통해서 응축수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1건조덕트(141) 중 상기 건조팬 하우징 연결부(143)는 상기 배수구(710)를 향해 하향 경사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자연 배수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리브(730)는 상기 외측 리브(720)과는 반대로 제1건조덕트의 내부 전후 복 전체 중 전방에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내측 리브(730)의 하부에 연통부(740)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통부(740)는 내부 유로를 통해 섬프(66)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구(710)로 유입된 응축수는 상기 연통부(740)와 내부 유로를 통해 섬프(66)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응축수 배수구조(700)를 통해서 건조기가 작동 중 그리고 작동 정지 시 상기 제1건조덕트(141) 내의 응축수가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건조팬 하우징(146), 히터(60) 그리고 드럼(10)으로 응축수가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응축수 배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응축수 배수구조(700)와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건조기의 공용 베이스(1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건조기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건조기 후면에는 덕트 커버(148)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덕트 커버는 일측이 상기 건조팬 하우징(146)과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드럼(10)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덕트 커버(145)는 제2건조덕트(145)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도 17은 상기 덕트 커버(148)이 제거된 후의 제2건조덕트(145)를 도시하고 있으며, 건조기 베이스(100)에 형성된 일부분의 제2건조덕트(145)를 도시하고 있다.
건조팬 하우징(146)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제2건조덕트(145)의 최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팬 하우징(146)의 최하부에 응축수가 고일 수 있다. 상기 덕트 커버(148)은 건조기의 최후방에 위치되어 외기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기의 작동 정지 시 가장 먼저 온도가 하강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덕트 커버(148) 내부에서 응축수가 많이 발생되며, 이러한 응축수는 건조팬 하우징(146)에 고이게 된다.
상기 응축수는 건조팬(55)가 작동함에 따라 제2건조덕트(145)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응축수는 히터(60)로 유입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건조팬 하우징(146)의 최하부에 배수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응축수가 고이는 위치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상기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건조팬 하우징(146)의 최하부와 건조기 베이스의 바닥면 사이의 높이 차이가 크지 않다. 따라서, 수두 차이로 인한 자연 배수가 어렵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자연 배수되더라도 역류의 위험이 그만큼 커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 배수구조(800)는 건조팬 하우징(146)의 최하부가 아닌 일측면에 제2건조덕트 배수구(810)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팬 하우징(146)의 최경사 내주면에서 상기 드럼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는 경사 내주면(147)에 상기 제2건조덕트 배수구(810)를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배수구(810)의 위치는 상기 건조팬 하우징(146)의 최하부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17에 도시된 응축수(w)는 건조팬이 구동됨에 따라 건조팬 하우징(146)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승된 응축수는 상기 제2건조덕트 배수구(810)로 유입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 시 발생되는 응축수는 하강하여 상기 제2건조덕트 배수구(810)로 유입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건조덕트 배수구(810)는 상기 건조팬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제2건조덕트의 경사 내주면 사이에 불연속됨으로써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건조덕트의 하부 내주면은, 상기 제2건조덕트 배수구(810)에서 상기 제2건조덕트 배수구 하방으로 더욱 연장되어 상기 건조팬 하우징의 외주면과 연결되어 제2건조덕트 배수 포켓(83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 포켓(830)은 상기 배수구(810)로 유입된 응축수가 임시 저장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포켓(830)에는 연통홀(8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홀(831)은 배수 연결유로(820)와 연통되며, 상기 배수 연결유로(820)는 섬프(66)와 연통된다. 따라서, 배수구(810)로 유입되는 응축수는 상기 배수 연결유로(820)을 통해 섬프(66)로 유입된다.
상기 배수 연결유로(820)는 하방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배수 연결유로(820)가 상기 섬프(66)와 연통되므로, 상기 배수 연결유로(820) 내의 수위는 상기 섬프(66) 내의 수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배수 연결유로(820)의 연통홀(831) 보다 높은 위치에 배수구(810)을 형성함으로써, 응축수의 배수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구(810)의 위치를 상기 섬프(66) 내에서 허용되는 최대 수위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응축수의 배수가 가능하게 된다.
100 : 건조기 베이스 110 : 응축덕트 장착부
200, 500 : 응축덕트 300 : 응축기
700, 800 : 응축수 배수구조

Claims (33)

  1. 건조 대상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부;
    상기 공기 순환을 위한 건조팬을 구동시키는 모터;
    상기 드럼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
    상기 드럼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고, 건조기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순환부는, 상기 응축기의 열교환 방식이 달라짐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의 응축기를 수용하도록 형상이 변경되는 응축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응축덕트의 형상과 무관하게 상기 응축덕트가 장착되도록, 동일한 형상과 사이즈의 응축덕트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응축덕트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장착되기 위한 상면 개구부;
    상기 순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전면 개구부;
    상기 순환 공기가 유출되기 위한 후면 개구부; 그리고
    상기 상면 개구부에서부터 절개된 측면 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에는 상기 응축덕트의 양쪽 측벽부와 하벽부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베이스와 개별적 그리고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 내에서의 순환 공기의 유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응축덕트의 측벽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하벽부가 안착되는 하부 장착부;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의 양쪽 측벽부가 각각 결합되는 측부 장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가 상기 측부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양쪽의 상기 측면 개구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양쪽 측벽부에 의해서 막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가 상기 측부 장착부에 장착됨에 따라, 양쪽의 상기 측면 개구부를 관통하는 냉각유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장착부 또는 상기 측면 개구부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꼴의 밑변과 양측변 사이의 각도는 서로 동일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밑변과 측변 사이의 각도는 90도를 초과하고 10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또는 상기 측부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장착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측부 장착부 또는 상기 측벽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장착 슬롯에 삽입되는 장착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슬롯과 상기 장착 리브 사이에는 실링 부재가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4.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모터와 건조팬이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와 건조팬 장착부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는 상기 베이스의 전방 일측에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린트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린트덕트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전방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부는 상기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건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건조덕트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후방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형태가 달라짐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축기 또는 냉각팬 장착부가 안착되는 선택 안착부가 상기 베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선택 안착부는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에서 상기 베이스의 중심 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8.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열교환기 그리고 외부 공기를 통하여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는 공기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는,
    상기 냉매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순환 공기의 유동 방향과 나란한 양쪽의 측벽부가 막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 열교환기를 수용하는 경우 상기 외부 공기가 유출입하는 냉각유로와 연통하기 위하여 상기 양쪽의 측벽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냉매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상기 양쪽의 측벽부에 의해 막히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 열교환기가 수용되는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상기 냉각유로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측면 개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개구부는 역사다리꼴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2. 드럼을 통해 공기를 순환시켜 상기 드럼 내의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며, 냉동사이클을 이용하는 냉매 열교환기 그리고 외부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
    상기 드럼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고, 건조기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그리고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응축기의 형태가 달라짐에 따라 외형이 변경되는 응축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외형 규격이 동일한 건조기의 공용 구성이 되도록, 상기 응축기의 형태와 상기 응축덕트의 형상과 무관하게,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의 형상과 사이즈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는 건조기.
  23. 삭제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양쪽 측벽부가 장착되는 측부 장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장착부는,
    상기 냉매 열교환기 형태의 응축기를 수용하는 상기 응축덕트의 측벽부에 의해서 막히고, 상기 공기 열교환기 형태의 응축기를 수용하는 상기 응축덕트의 측벽부를 통해 외부 공기와 연통하는 측면 개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의 측벽부와 상기 측부 장착부의 어느 하나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측부 장착부와 상기 응축덕트의 측벽부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슬롯과 결합되는 결합 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과 상기 결합 리브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8. 제 22 항, 및 제 24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응축덕트 전방에 구비되는 린트덕트와 상기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응축덕트 후방에 구비되는 건조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린트덕트와 응축덕트는 상기 응축기의 형태와 무관하게 동일한 형상과 사이즈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9. 드럼으로부터 유입되는 순환 공기의 수분을 응축하며, 냉동사이클을 이용하는 냉매 열교환기 그리고 외부 공기를 이용하는 공기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비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가 수용되어 내부에서 상기 순환 공기의 수분이 응축되며, 상기 응축기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응축덕트; 그리고
    상기 응축덕트가 장착되고 건조기의 하부를 이루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동일한 외형 규격의 건조기에서 공용 구성이 되도록, 상기 응축기의 형태와 상기 응축덕트의 형상과 무관하게 동일한 형상과 사이즈를 갖는 응축덕트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양쪽 측벽부가 삽입되면서 장착되도록 양쪽에 형성된 측부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부 장착부에는, 상기 냉매 열교환기가 수용된 응축덕트의 장착으로 막히고 상기 공기 열교환기가 수용된 응축덕트의 장착으로 개방되는 측면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0. 삭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장착부와 측면 개구부는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2. 순환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기를 수용하는 응축덕트가 장착되는 응축덕트 장착부가 구비된 건조기 베이스를 포함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측면 개구부를 포함하며, 냉동사이클을 통하여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 열교환기 타입의 응축기가 수용되는 히트펌프 타입 응축덕트 또는 외부 공기를 통하여 상기 순환 공기와 열교환하는 공기 열교환기 타입의 응축기가 수용되는 히터 타입 응축덕트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장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측면 개구부는, 상기 히트펌프 타입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폐쇄되고, 상기 히터 타입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상기 외부 공기가 유출입되는 냉각유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3. 순환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하는 응축기를 수용하는 응축덕트가 장착되는 응축덕트 장착부가 구비된 건조기 베이스를 포함하는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응축덕트 장착부는,
    상기 응축덕트가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장착되기 위한 상면 개구부;
    상기 순환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전면 개구부;
    상기 순환 공기가 유출되기 위한 후면 개구부; 그리고
    히트펌프 타입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폐쇄되고, 히터 타입 응축덕트가 장착될 때 외부 공기가 유출입되는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측면 개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150006002A 2015-01-13 2015-01-13 건조기 KR101711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02A KR101711869B1 (ko) 2015-01-13 2015-01-13 건조기
EP15200017.0A EP3045581B1 (en) 2015-01-13 2015-12-15 Drying machine
CN201510947410.1A CN105780417B (zh) 2015-01-13 2015-12-17 烘干机
AU2016200030A AU2016200030B2 (en) 2015-01-13 2016-01-05 Drying Machine
US14/989,183 US10544540B2 (en) 2015-01-13 2016-01-06 Drying machine
RU2016100185A RU2626952C2 (ru) 2015-01-13 2016-01-11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BR102016000663A BR102016000663A2 (pt) 2015-01-13 2016-01-12 máquina de secar e base de máquina de se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002A KR101711869B1 (ko) 2015-01-13 2015-01-13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183A KR20160087183A (ko) 2016-07-21
KR101711869B1 true KR101711869B1 (ko) 2017-03-03

Family

ID=5484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002A KR101711869B1 (ko) 2015-01-13 2015-01-13 건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44540B2 (ko)
EP (1) EP3045581B1 (ko)
KR (1) KR101711869B1 (ko)
CN (1) CN105780417B (ko)
AU (1) AU2016200030B2 (ko)
BR (1) BR102016000663A2 (ko)
RU (1) RU2626952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786A1 (ko) * 2021-07-29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326B1 (ko) * 2014-10-28 2021-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3252217B1 (en) * 2016-05-31 2020-10-21 Wuxi Little Swan Electric Co., Ltd. Heat pump mounting box for heat pump drier or heat pump washer-drier machine
CN110409145B (zh) * 2018-04-28 2021-11-0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
AU2019265183B2 (en) * 2018-05-08 2022-10-27 Lg Electronics Inc.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KR20200001729A (ko) 2018-06-28 2020-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US20220056629A1 (en) * 2018-12-21 2022-02-24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CN111485408B (zh) * 2019-01-28 2022-04-0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风道上盖、风道支撑座和衣物处理装置
KR20200098115A (ko) * 2019-02-12 2020-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USD909694S1 (en) * 2019-03-08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care appliance
WO2021010501A1 (ko) * 2019-07-12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20210020403A (ko)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10020406A (ko)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10111556A (ko) 2020-03-03 2021-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10111555A (ko) 2020-03-03 2021-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210121402A (ko) 2020-03-30 2021-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KR20220017026A (ko) 2020-08-03 2022-02-11 권상덕 발열 및 냉열을 발생시키는 신발용 인솔 및 풋패드, 이의 제조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건강한 보행을 유도하는 방법
WO2022169322A1 (en) * 2021-02-08 2022-08-11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537B1 (ko) * 2007-02-23 200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한 응축식 의류건조기
KR101081091B1 (ko) * 2008-12-22 2011-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필터링 유닛
KR101120902B1 (ko) * 2008-05-12 2012-04-1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 건조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1962C2 (de) * 1998-03-19 2002-10-31 Miele & Cie Wäschebehandlungsmaschine
EP0943721B2 (de) * 1998-03-19 2006-06-14 Miele & Cie. KG Gehäuse für eine front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DE19960217C2 (de) * 1999-12-14 2003-04-10 Whirlpool Co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mit Wärmetauscher und Kondensat-Auffangeinrichtung
DE10346107B4 (de) * 2003-10-04 2006-11-30 Miele & Cie. Kg Bodenmodul für einen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DE102005013051A1 (de) * 2005-03-18 2006-09-2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ndensations-Wäschetrockner
JP4834342B2 (ja) * 2005-07-26 2011-12-14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5075731B2 (ja) * 2008-05-12 2012-11-21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EP2527528B1 (en) * 2011-05-27 2014-12-1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Rotary-drum laundry dryer
EP2549008B1 (en) * 2011-07-22 2015-06-1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Basement arrangement of a heat pump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2594689A1 (en) * 2011-11-18 2013-05-2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ing machine
JP6117004B2 (ja) * 2013-05-31 2017-04-19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537B1 (ko) * 2007-02-23 200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한 응축식 의류건조기
KR101120902B1 (ko) * 2008-05-12 2012-04-1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 건조기
KR101081091B1 (ko) * 2008-12-22 2011-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필터링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786A1 (ko) * 2021-07-29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신발관리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80417A (zh) 2016-07-20
AU2016200030A1 (en) 2016-07-28
RU2626952C2 (ru) 2017-08-02
CN105780417B (zh) 2018-06-05
EP3045581A1 (en) 2016-07-20
RU2016100185A (ru) 2017-07-13
KR20160087183A (ko) 2016-07-21
US20160201252A1 (en) 2016-07-14
AU2016200030B2 (en) 2017-03-09
US10544540B2 (en) 2020-01-28
EP3045581B1 (en) 2018-02-07
BR102016000663A2 (pt) 201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869B1 (ko) 건조기
KR101638923B1 (ko) 건조기
JP4817816B2 (ja) 衣類乾燥機
KR101542389B1 (ko)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KR101982533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건조기
US924953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heat pump
KR101671105B1 (ko) 제습기
EP3026168A1 (en) Clothes drying device
EP3779027B1 (en) Dual type drying machine
EP3252219A1 (en) Heat pump drying or washing-drying machine
JP4864826B2 (ja) 洗濯機
CN205999676U (zh) 热泵干衣机或热泵洗干一体机
KR20130024715A (ko) 에너지 절약형 김 건조기
JP7301835B2 (ja) 除湿乾燥ユニットおよび洗濯乾燥機
CN111676678B (zh) 换气组件和热泵干衣机
JP7457492B2 (ja) 衣類乾燥機
CN106087365A (zh) 热泵干衣机或热泵洗干一体机
JP6975879B2 (ja) 除湿装置
JP2011239817A (ja) 洗濯乾燥機
JP2016137125A (ja) 衣類乾燥機
CN218034314U (zh) 干地机
KR20200117568A (ko) 제습기
JP2016209446A (ja) 衣類乾燥機
KR20180085220A (ko) 팬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세탁기
JP2017042211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