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406A -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0406A KR20210020406A KR1020190099654A KR20190099654A KR20210020406A KR 20210020406 A KR20210020406 A KR 20210020406A KR 1020190099654 A KR1020190099654 A KR 1020190099654A KR 20190099654 A KR20190099654 A KR 20190099654A KR 20210020406 A KR20210020406 A KR 202100204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aporator
- mounting
- water cover
- condenser
- recessed end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커버가 안착요부에 안착될 때 서로 간의 틈새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며, 이로써 워터커버와 안착요부 간의 사이로 공기가 유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U트랩 구조를 제거하여 트랩홈이 존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 트랩홈에 잔존수가 존재하는 문제점 역시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나 침구류 등의 건조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의 워터커버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기나, 의류 건조기, 세탁 겸용 건조기 등이 포함되며, 가정이나 세탁소와 같은 업소에 제공되면서 의류나 각종 침구류 등을 세탁, 건조 혹은, 구김 제거 등의 전반적인 처리(treatment)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의류 처리장치 중 의류 건조기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가지면서 이러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운전을 통해 드럼(혹은, 터브) 내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와 같은 처리 대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처리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건조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또한, 상기 의류 건조기는 처리 대상물을 건조시킨 후 드럼을 빠져나가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처리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곧장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축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을 통해 상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응축식 건조기의 경우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이 구비되며, 공기는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의 증발기를 지나면서 수분이 제거된 후 응축기를 지나면서 가열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응축식 건조기는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는 도중 열교환하면서 다량의 응축수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응축수는 순환유로 내의 바닥면으로 흘러내린 후 워터펌프가 위치된 부위로 흘러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 증발기와 응축기가 그대로 얹혀질 경우 이 증발기와 응축기가 응축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면에는 응축수의 흐름을 위한 유로가 확보되도록 하는 워터커버가 제공된다.
즉,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는 상기 워터커버에 얹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워터커버와 상기 베이스프레임 사이는 서로 이격되게 구성하여 이러한 이격 부위를 통해 응축수의 유동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워터커버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0087호의 가이드플레이트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7183호의 응축덕트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16754호의 워터커버로 소개되고 있는 바와 같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워터커버와 베이스프레임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동되어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워터커버와 베이스프레임 사이의 틈새로 유동되는 공기는 해당 공간에 존재하는 응축수를 포함한 상태로 응축기의 공기 유출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고온의 공기와 함께 드럼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건조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켰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특허 제10-1919887호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의 상면 중 증발기의 하부측에 공기의 유동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으로 트랩홈을 형성하고, 상기 워터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트랩홈 내로 수용되는 트랩막을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트랩홈 내에 응축수가 저장되고, 상기 트랩막의 하단은 상기 응축수에 잠기면서 베이스프레임과 워터커버 사이의 틈새를 가로막는 유트랩(U-trap) 구조를 제공하여 상기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동을 방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유트랩 구조는 트랩홈 내에 항상 응축수가 충분히 잔존하여야만 함을 고려할 때, 이러한 잔존 응축수로 인한 오염의 발생 또는 냄새의 발생 우려가 있었고, 상기 트랩홈 내에 린트(lint)가 쌓인다면 상기 오염의 발생이 더욱 심화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증발기가 얹히는 부위를 비록 다공형 또는, 그릴형의 배수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다공형 혹은, 그릴형의 배수 구조는 증발기의 중앙측을 받쳐주는 부위가 증발기의 무게로 처지는 등과 같은 지지력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각 구멍(혹은, 슬롯) 사이 부위가 파손 방지를 위해 충분히 두꺼운 굵기로 형성됨을 고려할 때 이 부위의 표면에 응축수가 고여 고착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커버와 베이스프레임 사이로 공기가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커버와 베이스프레임 사이로 공기가 유동된다 하더라도 응축기 후방에서 합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로부터 흘러내린 응축수가 특정 부위에 고이지 않고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가 얹히는 부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워터커버의 둘레와 베이스프레임의 내주면 간 틈새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워터커버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워터커버가 안착요부에 안착될 때 서로 간의 틈새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워터커버와 안착요부 간의 사이로 공기가 유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U트랩 구조(트랩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제거할 수 있고, 이 때문에 트랩홈에 잔존수가 존재하는 문제점은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틈새폐쇄부를 이용하여 워터커버와 안착요부 간의 틈새를 폐쇄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틈새 폐쇄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틈새폐쇄부가 워터커버의 각 둘레면에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틈새폐쇄부에 대한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틈새폐쇄부가 휨 변형 가능한 박판의 부재로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워터커버의 둘레면과 안착요부 내벽면 사이의 틈새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틈새폐쇄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혹은, 상향 경사지면서 휨 변형 가능하게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워터커버를 안착요부에 안착시키는 조립 작업이 쉽게 수행될 수 있으면서도 서로 간의 틈새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커버의 증발기용 얹힘부가 증발기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증발기와의 접촉 부위에 응축수(혹은, 증발기를 세척한 세척수)가 잔존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얹힘단에 복수의 둘레측 얹힘리브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증발기는 상기 각 둘레측 얹힘리브에 얹힐 수 있도록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증발기와 워터커버 간의 접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커버의 증발기용 얹힘부에 함몰단이 제공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증발기와의 접촉 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몰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함몰단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함몰단 내에 응축수가 잔존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얹힘단과 함몰단 사이의 모서리 부위가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응축수가 잔존하지 않고 함몰단 내로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몰단의 둘레측 벽면은 저부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응축수의 흘러 내림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몰단 내의 배수구가 증발기로 공기가 유입되는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배수구로 곧장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몰단 내의 배수구가 함몰단을 이루는 전방측 벽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배수구로 곧장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몰단 내의 배수구가 둘 이상 복수의 부위에 각각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응축수의 배수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몰단 내의 바닥면에 복수의 내측 얹힘리브가 각각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증발기의 더욱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몰단 내의 각 내측 얹힘리브의 배치 구조를 최적함을 제시하며, 이로써 응축수는 원활히 흘러 내릴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공기가 배수구로 곧장 유동됨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함몰단 내의 바닥면 경사와 각 내측 얹힘리브의 경사 구조가 제공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응축수가 어느 한 부위에 잔존하지 않고 배수구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워터커버의 저면에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해당 워터커버에 증발기 및 응축기를 얹더라도 특정 부위의 처짐(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워터커버와 안착요부 사이로 응축수가 흐를 수 있는 적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워터커버와 안착요부 간의 틈새를 폐쇄함에 따라 워터커버의 저면과 안착요부의 상면 사이로 공기가 유동됨을 방지하는 U트랩 구조(트랩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제거할 수 있고, 이 때문에 트랩홈에 잔존수가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틈새폐쇄부를 이용하여 워터커버와 안착요부 간의 틈새를 폐쇄함에 따라 틈새 폐쇄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틈새폐쇄부를 워터커버의 각 둘레면에 형성함에 따라 틈새폐쇄부에 대한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틈새폐쇄부를 휨 변형 가능한 박판의 부재로 형성함에 따라 워터커버의 둘레면과 안착요부 내벽면 사이의 틈새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틈새폐쇄부가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혹은, 상향 경사지면서 휨 변형 가능하게 형성함에 따라 워터커버를 안착요부에 안착시키는 조립 작업이 쉽게 수행될 수 있으면서도 서로 간의 틈새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워터커버의 증발기용 얹힘부가 증발기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증발기와의 접촉 부위에 응축수(혹은, 증발기를 세척한 세척수)가 잔존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얹힘단에 복수의 둘레측 얹힘리브를 서로 이격 형성함에 따라 증발기와 워터커버 간의 접촉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워터커버의 증발기용 얹힘부에 함몰단을 제공함에 따라 증발기와의 접촉 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를 형성하고, 함몰단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함에 따라 함몰단 내에 응축수가 잔존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얹힘단과 함몰단 사이의 모서리 부위를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함에 따라 응축수가 잔존하지 않고 함몰단 내로 원활히 흐를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의 둘레측 벽면은 저부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함에 따라 응축수의 흘러 내림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 내의 배수구를 증발기로 공기가 유입되는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배수구로 곧장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 내의 배수구가 함몰단을 이루는 전방측 벽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형성함에 따라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가 배수구로 곧장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 내의 배수구가 둘 이상 복수의 부위에 각각 형성함에 따라 응축수의 배수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 내의 바닥면에 복수의 내측 얹힘리브가 각각 형성함에 따라 증발기의 더욱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 내의 각 내측 얹힘리브의 배치 구조를 최적화함에 따라 응축수는 원활히 흘러 내릴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공기가 배수구로 곧장 유동됨은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 내의 바닥면 경사와 각 내측 얹힘리브의 경사 구조를 통해 응축수가 어느 한 부위에 잔존하지 않고 배수구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워터커버의 저면에 지지리브를 돌출 형성함에 따라 해당 워터커버에 증발기 및 응축기를 얹더라도 특정 부위의 처짐(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워터커버와 안착요부 사이로 응축수가 흐를 수 있는 적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 및 세척 운전을 위한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을 위한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베이스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순환유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5의 I-I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워터커버에 대한 외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워터커버에 대한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9의 “A”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워터커버에 대한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상태에서 베이스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워터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 및 세척 운전을 위한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을 위한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베이스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순환유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5의 I-I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세척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워터커버에 대한 외관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워터커버에 대한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9의 “A”부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워터커버에 대한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6의 상태에서 베이스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워터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건조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의류 건조기임을 그 예로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각 부위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 및 세척 운전을 위한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을 위한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베이스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순환유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5의 I-I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을 가지는 캐비넷(100)과, 드럼(200)과,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와, 히트펌프 시스템과, 순환팬 어셈블리(500)와, 세척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베이스프레임(150)의 안착요부(154)에는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가 얹히는 워터커버(180)가 안착되고, 이때 상기 안착요부(154)와 워터커버(180) 간의 사이는 틈새폐쇄부(190)로 폐쇄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에는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되어 순환유로(800)를 따라 순환되는 공기가 증발기(440)와 응축기(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지 않고 안착요부(154) 내의 저면과 워터커버(180)의 저면 사이를 통해 상기 응축기(420)의 후단으로 곧장 배출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는데, 이를 상기 틈새폐쇄부(190)로써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워터커버(180)의 구조적 변경을 통해 공기가 안착요부(154) 내의 저면과 워터커버(180)의 저면 사이로 유동됨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구조를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캐비넷(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캐비넷(100)은 의류 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캐비넷(100)은 내부가 빈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100)의 내부에는 건조 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2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은 상기 드럼(200) 내로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01)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01)는 도어(120)에 의해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캐비넷(100) 내에는 배수통(160)이 구비된다. 상기 배수통(160)은 배수하고자 하는 물(배수용 물)을 일시 저장하는 통이다.
상기 배수통(160)은 상기 드럼(200) 내의 상단 중 어느 한 측에 취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배수통(16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취출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캐비넷(100)의 하단에는 베이스프레임(150)이 구비되며,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50)이 상기 캐비넷(100) 내의 바닥 부위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캐비넷(100)의 개방된 저면을 폐쇄하는 별도의 바닥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50)은 상기 바닥판에 얹혀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후술될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와, 히트펌프 시스템, 순환팬 어셈블리(500) 및 순환유로(800) 등은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50)의 상면(캐비넷 내의 바닥면)에 설치 또는,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베이스프레임(150)의 상면에는 복수의 함몰부위가 제공된다. 상기 함몰부위는 압축기(410)의 설치를 위한 함몰부위(152)와, 드럼구동용 모터(220)의 설치를 위한 함몰부위(153) 및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의 설치를 위한 함몰부위가 포함된다. 이는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의 설치를 위한 함몰부위는 배수용 물의 저장을 위한 응축수 회수부(151)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배수용 물은 건조운전시 발생된 물 및 공기의 열교환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될 수 있다. 즉, 건조운전시 다습한 공기가 통과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증발기(440) 표면에는 응축수가 맺히게 되고, 이러한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44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린 후 상기 베이스프레임(150)에 함몰 형성된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150)의 상면 일측으로는 순환유로(800)가 형성된다.
이러한 순환유로(800)는 그 내부에 히트펌프 시스템의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공기가 상기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상면이 개방된 덕트형 구조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순환유로(800)의 형상은 주변 구조물의 형상이나 공기 유동 특성을 고려하여 상면이 개방된 덕트뿐 아니라 여타의 다양한 구조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유로(800) 중 후방측인 공기 유출측에는 드럼(200) 내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도록 안내하는 인렛덕트(810)가 연결되고, 상기 순환유로(800) 중 전방측인 공기 유입측에는 상기 드럼(200) 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하는 아웃렛덕트(820)가 연결된다. 이와 함께 상기 순환유로(800)의 개방된 상면은 베이스커버(830)가 덮어서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50)의 상면 중 순환유로(800) 내의 바닥인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가 위치되는 부위에는 저부로 함몰된 안착요부(154)(첨부된 도 6 및 도 7 참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요부(154)는 응축수 회수부(151)가 위치된 부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착요부(154) 내의 바닥으로 흘러 내린 응축수 및 세척수는 상기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로 흘러 내리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는 상기 순환유로(800)의 후방측 측부(응축기와 순환팬 사이의 측부)에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안착요부(154) 내부와는 통과홀(802)(도 6 참조)을 통해 응축수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되는 응축수는 모든 운전 후 배수통(160) 내로 배수되도록 이루어지며, 증발기(440)를 세척하는 세척운전이 진행될 때에는 상기 배수통(160)으로 배수되지 않고 세척운전을 위한 세척수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안착요부(154) 내에는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가 얹혀 고정되는 워터커버(180)가 제공된다.
상기 워터커버(180)는 증발기(440)가 얹혀서 고정되는 증발기용 얹힘부(180a) 및 응축기(420)가 얹혀서 고정되는 응축기용 얹힘부(18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둘레는 전방측 벽면과 후방측 벽면 및 양측 벽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워터커버(180)의 적어도 어느 한 둘레면과 이에 대향되는 안착요부(154)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안착요부(154) 내벽면과의 틈새를 폐쇄하는 틈새폐쇄부(190)가 구비된다. 즉, 상기 틈새폐쇄부(190)의 제공에 의해 안착요부(154) 내벽면과의 틈새가 폐쇄되어 해당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틈새폐쇄부(190)가 워터커버(180)의 적어도 어느 한 둘레면으로부터 안착요부(154) 내벽면에 맞닿도록 외향 돌출되면서 상향 혹은, 하향 경사진 박판의 부재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틈새폐쇄부(190)를 워터커버(180)에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틈새폐쇄부(190)를 베이스프레임(150)에 일체로 형성할 경우에 비해 제조에 더욱 유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틈새폐쇄부(190)는 상기 틈새의 이격 거리에 따라 그 형상이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틈새의 이격 거리가 좁다면 상기 틈새폐쇄부(190)는 단일의 경사진 박판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틈새의 이격 거리가 넓다면 상기 틈새폐쇄부(190)는 경사지게 절곡된 주름형의 박판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증발기용 얹힘부(180a)가 응축기용 얹힘부(180b)에 비해 상대적으로 좌우폭이 넓게 형성됨이 그 예로 제시되고 있다. 이를 고려할 때 각 얹힘부(810a,180b)에 형성되는 틈새폐쇄부(190) 중 증발기용 얹힘부(180a)에 형성되는 틈새폐쇄부(190)는 단일의 경사진 박판의 부재로 형성하고, 응축기용 얹힘부(180b)에 형성되는 틈새폐쇄부(190)는 주름형 부재로 형성함을 그 예로 한다.
한편, 상기 틈새폐쇄부(190)는 끝단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 워터커버(180)를 안착요부(154) 내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틈새폐쇄부(190)가 안착요부(154) 내로 정확히 요입되지 못하고 벌어지는 현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틈새폐쇄부(190)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여 해당 워터커버(180)를 안착요부(154) 내에 장착하는 조립작업이 쉽고 용이하면서 어느 한 방향으로의 치우침없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틈새폐쇄부(190)는 상기 워터커버(180)의 각 둘레면 중 전방측 벽면을 제외한 양측 벽면과 후방측 벽면에 각각 형성됨을 그 예로 한다.
즉, 상기 워터커버(180)의 전방측 벽면과 그에 대향되는 안착요부(154) 내의 전방측 벽면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통해 증발기(440)의 전면을 세척한 세척수가 빠르게 안착요부(154) 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해당 부위로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상기 워터커버(180)의 전방측 벽면과 안착요부(154) 사이에도 상기 틈새폐쇄부(190)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워터커버(180)의 각 둘레면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안착요부(154) 내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에 따라 상기 워터커버(180)의 각 둘레면에 대한 높이도 달리 형성되면서 그에 얹히는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는 항상 수평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워터커버(180)의 저면에는 베이스프레임(150)의 안착요부(154) 바닥면에 얹혀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180c)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지지리브(180c)의 추가 형성에 의해 해당 워터커버(180)에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를 얹더라도 특정 부위의 처짐(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워터커버(180)의 저면과 안착요부(154) 내의 상면 사이로 응축수가 흐를 수 있는 적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워터커버(180) 중 상기 증발기용 얹힘부(180a)의 상면은 증발기(440)의 저면 둘레측 부위가 얹히는 얹힘단(181)과, 상기 얹힘단(181)의 내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얹힘단(181)의 상면으로부터 저부로 함몰된 함몰단(18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함몰단(182)의 추가 형성을 통해 증발기(440)로부터 흘러내린 응축수(또는, 세척수)가 상기 함몰단(182) 내에 모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얹힘단(181)의 표면에는 복수의 둘레측 얹힘리브(183)가 서로 이격되면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증발기(440)의 저면은 상기 각 둘레측 얹힘리브(183)에 얹히도록 구성함으로써, 증발기(440)로부터 흘러내린 응축수나 세척수가 증발기(440)의 저면이 얹히는 부위에 고이지 않고 상기 함몰단(182) 내로 흘러 내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얹힘단(181)과 함몰단(182) 사이의 모서리 부위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해당 부위에 응축수가 고이지 않고 원활히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함몰단(182) 내의 둘레측 벽면도 저부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응축수의 흘러 내림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단(182) 내의 바닥면에는 안착요부(154) 내부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구(185)가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함몰단(182) 내로 흘러내린 응축수가 상기 배수구(185)를 통해 안착요부(154) 내부로 배출된 후 상기 안착요부(154)의 경사를 따라 응축수 회수부(151)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구(185)는 상기 함몰단(182) 내의 바닥면 중 증발기(440)로 공기가 유입되는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구(185)는 상기 함몰단(182) 내의 바닥면 중 상기 함몰단(182)을 이루는 전방측 벽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증발기(440)를 통과하는 공기가 해당 배수구(185)로 유입됨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배수구(185)가 함몰단(182) 내의 전방측 벽면에 인접하게 위치되기 때문에 공기가 증발기(440)를 통과할 때 상기 배수구로의 유입은 방지 또는,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함몰단(182) 내의 전방측 벽면의 경우 여타의 벽면과는 달리 경사각도를 최대한 수직에 가깝게 구성하여 배수구(185)가 공기의 유동을 최대한 작게 받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함몰단(182) 내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구(185)가 위치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함몰단(182) 내로 흘러내린 응축수가 상기 함몰단(182) 내의 바닥면에 잔존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배수구(185)는 상기 함몰단(182) 내의 바닥면 중 둘 이상 복수의 부위에 각각 형성하여, 응축수의 더욱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단(182) 내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발기(440)의 저면을 받쳐주는 복수의 내측 얹힘리브(184)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증발기(440)의 하중이 각 둘레측 얹힘리브(183)로만 집중되지 않고 각 내측 얹힘리브(184)로도 분산될 수 있도록 하여 각 둘레측 얹힘리브(183)의 부러짐이나 휨 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내측 얹힘리브(184)는 박판의 리브를 수직하게 세워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증발기(440)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해당 부위에 응축수 고임과 같은 현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한 각 내측 얹힘리브(184)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됨과 더불어 각 열의 내측 얹힘리브(184)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이때 상기 각 열의 내측 얹힘리브(184)들은 그 전열 혹은, 후열의 내측 얹힘리브(184)들 사이에 각각 위치되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열의 내측 얹힘리브(184)들은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양측 끝단이 그 전열 혹은, 후열의 내측 얹힘리브(184)의 양 끝단과 중첩되는 위치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각 내측 얹힘리브(184)의 배치 구조는 증발기(440)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가 워터커버(180)의 함몰단(182) 내로 유입될 경우 상기 각 내측 얹힘리브(184)들에 의해 가로막혀 배수구(185)로 곧장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함몰단(182) 내의 바닥면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 내측 얹힘리브(184)는 중앙측 부위로부터 양 끝단 부위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함몰단(182) 내로 낙하한 응축수가 상기 함몰단(182) 내의 배수구(185)를 향해 원활히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워터커버(180)를 이루는 증발기용 얹힘부(180a)의 전방측 벽면에는 내측(후방측)으로 함몰되게 요입된 요입홈(186)이 더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186)은 해당 증발기용 얹힘부(180a)에 얹힌 증발기(440)의 전면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된 세척수가 안착요부(154) 내로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워터커버(180)의 상면에는 복수의 유동 방지돌기(187)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 방지돌기(187)에 의해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의 정위치 안착 및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또는,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각 유동 방지돌기(187)는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 각각의 저면 네 모서리 부위에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 각각의 저부 끝단 외면을 각각 가로막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각 유동 방지돌기(187)는 증발기(440)의 유동을 방지하는 구조와 응축기(420)의 유동을 방지하는 구조가 서로 달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워터커버(180)의 상면에는 차단턱(188)이 더 형성된다.
상기 차단턱(188)은 응축기용 얹힘부(180b)의 상면 중 전방측 끝단으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첨부된 도 9 참조)되도록 이루어지면서 응축기(420)의 전후 유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증발기(440)에서 흘러내린 응축수가 상기 응축기(420)의 저면으로 유입됨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00) 내에는 제어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의류 처리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70)는 캐비넷(100)의 입력부(140)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근거하여 의류 처리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순환팬 어셈블리(500)과 압축기(410)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처리 대상물에 대한 건조운전을 실시하고, 수위센서(326)에 의해 확인된 수위를 기준으로 배수펌프(31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된 잔존수를 펌핑하여 배수하는 배수운전을 실시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이때 상기 수위센서(326)는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에 설치되면서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도록 제공되는 센서이다.
다음은, 상기 드럼(2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드럼(200)은 전후면에 개구를 가지는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는 상기 캐비넷(100)의 투입구(101)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드럼은(200) 캐비넷(100) 내의 롤러(201)를 이용하여 그의 회전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는 고온의 건조 열풍이 통과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건조 열풍은 상기 드럼(200)의 후방측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 및 후방측 개구에는 후술될 히트펌프 시스템의 증발기(440)와 응측기(420)를 경유하는 순환유로(800)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순환유로(800)에 의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드럼(200) 내의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고, 이렇게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다시금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드럼(200) 내부에는 건조도 감지부(210)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건조도 감지부(210)는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건조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두 개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전극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드럼(200) 내부를 향해 노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210)는 예컨대, 도어(1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어측의 캐비넷(100)에 설치될 수가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두 전극)(210)는 건조 대상물이 접촉될 경우 이 건조 대상물의 상태(예컨대, 건조 대상물의 젖은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전류값을 토대로 변환된 전극값으로 해당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를 판단한다. 즉, 상기 건조 대상물은 상기 건조도 감지부(두 전극)(210)에 대하여 저항으로 작용됨을 고려할 때 상기 건조 대상물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기 때문에 회로에 흐르는 전류 또한 가변되며, 이렇게 가변되는 전류의 변동값을 미리 규정한 전극값으로 변환하여 이 전극값으로 건조도가 판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미리 규정한 전극값이라 함은 의류 처리징치의 제어에 용이한 수치 범위로 변환한 임의의 값이 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는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며,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수용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는 배수펌프(310)와 펌프커버(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배수펌프(310)는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배수모터의 구동에 의한 임펠러의 회전으로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된 응축수를 펌핑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은, 히트펌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공기를 제공받아 열교환시켜 고온의 건조 공기로 생성하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즉,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에 의해 드럼(200) 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항상 고온의 건조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410)와 응축기(420), 팽창기(430) 및 증발기(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410)는 열교환을 위한 고온 저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하는 기기이고, 상기 응축기(420)는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저온 고압의 냉매로 응축하는 기기이며, 상기 팽창기(430)는 상기 응축된 저온 고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저온 저압의 냉매로 팽창하는 기기이고, 상기 증발기(440)는 상기 저온 저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주변을 지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기기이다. 이때 상기 증발기(440)를 통과한 냉매는 고온 저압 상태를 이루며, 이러한 고온 저압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410)로 제공되는 순환을 반복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에서는 상기 압축기(410)와 팽창기(430)는 베이스프레임(150) 상면의 어느 한 측에 위치(첨부된 도 5 참조)되고, 상기 응축기(420)와 증발기(440)는 상기 순환유로(800) 내에 위치(첨부된 도 4 및 도 7 참조)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증발기(440)는 상기 순환유로(800)의 내부 공간 중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공기를 저온 저압의 냉매와 열교환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응축기(420)는 상기 증발기(440)의 공기 유출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증발기(44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진 건조 공기를 고온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압축기(410)는 그의 동작시 다량의 열기를 발생시키는 기기임을 고려할 때 해당 압축기(410)의 방열을 위한 방열팬(411)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방열팬(411)에 의해 그의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압축기(410) 및 팽창기(430)는 상기 순환유로(800)와는 별도의 위치에 제공되면서 순환되는 공기에 영향(공기 흐름 및 온도)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는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의 구동에 의해 순환유로(800) 내의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공기가 인렉덕트(810)를 통해 드럼(200) 내로 공급되고, 또한 상기 드럼(200)을 통과한 공기는 아웃렛덕트(820)를 통해 순환유로(800) 내의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순환되는 것이다.
상기한 순환팬 어셈블리(500)는 상기 순환유로(800) 중 응축기(420)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순환팬 어셈블리(500)는 팬하우징(510) 내에 수용되게 설치되는 순환팬(520) 및 이 순환팬(520)을 구동시키는 팬모터(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팬하우징(510)의 흡입구는 순환유로(800)에 연결되고, 상기 팬하우징(510)의 배기구는 인렛덕트(810)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은, 세척부(6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세척부(600)는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로 증발기(440)를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세척부(600)는 상기 순환유로(8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베이스 커버(830)에 구비되며, 상기 잔존수를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으로 흘려내리면서 상기 증발기(440)의 공기 유입측 부위(전면)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커버(830)는 전방측 부위를 이루는 프론트 베이스 커버(831) 및 후방측 부위를 이루는 리어 베이스 커버(832)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600)는 상기 리어 베이스 커버(832)에 형성되는 유입홀(610) 및 노즐부(620)와, 상기 프론트 베이스 커버(831)에 형성되는 안내단(6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610)은 잔존수가 유입되는 부위이고, 상기 노즐부(620)는 상기 유입홀(610)을 통해 유입된 잔존수가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노즐부(620)는 상기 유입홀(610)이 연통되는 후방(도면상 우측)측 부위로부터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또는, 라운드)진 구조를 이룸과 더불어 전방측 끝단은 여타 부위에 비해 더욱 하향 경사(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증발기(440)는 상기 노즐부(620)의 전방측 끝단의 직하방에 전면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이라 함은 순환유로(800)를 따라 유동되는 다습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440) 내로 유입되는 방향측의 면이다.
상기 유입홀(610)은 도시되지 않은 호스 혹은, 별도의 유로를 통해 유로밸브(640)로부터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를 공급받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유입홀(610)은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이의 경우 상기 유로밸브(640)는 상기 각 유입홀(610)로 선택적인 응축수의 공급 혹은, 동시적인 응축수의 공급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유로밸브는 후술될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로부터 펌핑된 잔존수가 상기 유입홀(610)로 유동되도록 안내하거나 혹은, 배수통(160)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동작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입홀(610)은 수도관을 통해 수돗물을 직접 공급받거나 혹은, 여타의 물이나 세척제가 저장된 저장통으로부터 상기 물이나 세척제를 별도로 공급받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내단(630)은 상기 프론트 베이스 커버(831) 중 상기 노즐부(620)와 마주하는 부위에는 형성되면서 상기 노즐부(620)를 타고 흘러내리는 잔존수가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을 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안내단(630)은 후방(도면상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안내단(630)의 후방측 끝단은 여타 부위에 비해 더욱 경사(수직에 가까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건조운전을 위한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각 운전에 대한 각 동작요소들이나 센서 및 밸브들에 대한 제어는 제어부(170)가 미리 프로그래밍된 정보를 토대로 수행되며, 아래의 설명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각 제어가 상기 제어부(17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임을 그 예로 한다.
먼저, 상기 건조운전은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는 운전이다.
이러한 건조운전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행된다.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건조운전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히트펌프 시스템 및 순환팬 어셈블리(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압축기(410)의 동작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의 흐름과 순환팬 어셈블리(500)의 동작으로 증발기(440)와 응축기(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순환 흐름에 의해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됨과 더불어 고온화된 상태로 드럼(200) 내에 공급되어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된 다습한 공기는 아웃렛덕트(820)를 통해 순환유로(800) 내로 유입된 후 이 순환유로(800) 내에 위치된 증발기(44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됨과 더불어 응축기(420)를 통과하면서 고온화되고, 계속해서 순환팬 어셈블리(500)이 구비된 팬하우징(510)을 통과하여 인렛덕트(810)로 유동되면서 드럼(200) 내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440)를 통과하는 도중에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증발기(440)의 표면(각 열교환핀의 표면)에 응축됨과 더불어 이 표면을 타고 흘러 내리면서 워터커버(180)의 증발기용 얹힘부(180a)로 낙하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용 얹힘부(180a)로 낙하된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용 얹힘부(180a)의 함몰단(182) 내로 흘러내린다.
즉, 상기 증발기(440)의 표면을 타고 증발기용 얹힘부(180a) 중 얹힘단(181)으로 흘러내린 응축수는 각 둘레측 얹힘리브(183)들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함몰단(182) 내로 흘러내린다. 이때 상기 각 둘레측 얹힘리브(183)들 사이의 틈새를 이루는 얹힘단(181)과 함몰단(182) 사이의 모서리 부위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함몰단(182)의 둘레측 내벽면 역시 저부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고려할 때 상기 틈새로 흐르는 응축수는 상기 함몰단(182) 내의 바닥으로 원활히 흘러내릴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증발기(440)의 표면을 타고 증발기용 얹힘부(180a) 중 함몰단(182)으로 흘러내린 응축수는 상기 함몰단(182) 내에 곧장 낙하된다.
또한, 전술된 과정에 의해 상기 함몰단(182) 내로 흐르거나 낙하된 응축수는 상기 함몰단(182)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에 의해 배수구(185)가 형성된 전방측 부위로 흐른 후 상기 배수구(185)를 통해 베이스프레임(150)의 안착요부(154) 내로 낙하된다.
계속해서, 상기 안착요부(154) 내로 낙하된 응축수는 상기 안착요부(154) 내의 바닥면이 이루는 경사에 의해 안착요부(154) 내의 후방측 부위로 흐른 후 통과홀(802)을 통해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에 제공되고 있는 수위센서(326)는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에 저장된 잔존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제어부(170)는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를 배수통(160)으로 배수할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배수통(160)으로의 배수가 결정되면 배수펌프(310)의 동작 및 유로밸브(640)의 유동 안내에 의해 상기 배수통(160)으로 펌핑되어 저장된다.
한편, 전술된 건조운전이 수행되는 도중 순환유로(800) 내의 증발기(400)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워터커버(180)의 증발기용 얹힘부(180a)에 형성된 함몰단(18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함몰단(182)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하더라도 이 공기는 함몰단(182) 내의 각 내측 얹힘리브(184)들에 가로막혀 상기 함몰단(182) 내의 배수구(185)로 곧장 배기됨이 방지된다. 즉, 상기 각 내측 얹힘리브(184)들은 복수의 열을 이루면서 서로 교차되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함몰단(182) 내로 공기가 유입된다 하더라도 상기 각 내측 얹힘리브(184)들에 가로막혀 배수구(185)로 곧장 향하는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배수구(185)를 곧장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거의 없으며, 이로써 상기 공기가 안착요부(154) 내의 공간을 따라 유동되는 현상 역시 최소화된다.
특히, 상기 일부 공기가 상기 안착요부(154) 내의 공간을 따라 유동된다 하더라도 상기 안착요부(154)와 워터커버(180) 간의 각 둘레측 틈새는 틈새폐쇄부(190)가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틈새를 통한 공기의 유출 역시 이루어지지 않아서 공기가 증발기(440)와 응축기(420)를 통과하지 않고 곧장 순환팬 어셈블리(500)로 유동됨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써 건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순환팬(520)의 구동에 의한 공기 흡입력이 상기 안착요부(154)와 워터커버(180)의 각 둘레측 틈새로 제공된다 하더라도 상기 각 틈새는 틈새폐쇄부(190)에 의해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안착요부(154)와 워터커버(180) 사이의 공간인 응축수가 유동되는 공간을 따라 공기가 강제 유동되는 현상은 방지된다.
한편, 상기 건조운전은 건조 하고자 하는 건조 대상물의 량(무게)에 따라 운전시간이나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건조 대상물의 량이 많을 수록 건조운전을 위한 운전시간은 더욱 길어질 수밖에 없다. 이때 상기 건조 대상물의 량은 예컨대, 드럼(200)의 회전을 위해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무게 센서나 여타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건조운전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방열팬(411)이 동작된다. 즉, 상기 방열팬(411)의 동작에 의해 압축기(410)를 방열시킴으로써 상기 압축기(410)의 압축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운전이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되었거나 혹은, 건조 대상물이 완전히 건조되었음이 확인되면 압축기(410) 및 순환팬 어셈블리(5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건조운전이 종료된다.
물론, 이러한 건조운전이 종료된 상태이더라도 응축수 회수부(151)에 저장된 잔존수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에 도달되거나 혹은, 여타 알고리즘에 의한 강제 배수운전이 이루어지면 배수펌프(310)의 동작 및 유로밸브(640)의 유동 안내에 의해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된 응축수는 배수통(160)으로 펌핑되어 저장되거나 혹은, 세척부(600)로 공급되어 증발기(440)의 세척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워터커버(180)의 얹힘단(181) 및 함몰단(182)에 관련한 구조와 틈새폐쇄부(190)에 관련한 구조가 동시에 적용되어야만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워터커버(180)의 얹힘단(181)과 함몰단(182)에 관련한 구조는 공기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 이외에도 증발기(440)의 안정적인 설치와 응축수의 고임을 방지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틈새폐쇄부(190)와 함께 제공될 경우 더욱 우수한 공기 유동 특성(공기가 증발기와 응축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하지만, 상기 틈새폐쇄부(190)가 제공되지 않는 구조에도 적용됨으로써 증발기(440)의 안정적인 설치 및 응축수의 고임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얹힘단(181)과 함몰단(182)을 가지는 워터커버(180)가 틈새폐쇄부(190)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에도 각 둘레측 얹힘리브(183) 및 각 내측 얹힘리브(184)는 함께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워터커버(180)가 베이스프레임(150)의 안착요부(154)에 안착될 때 서로 간의 틈새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워터커버(180)와 안착요부(154) 간의 사이로 공기가 유동됨을 방지하기 위한 U트랩 구조(트랩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제거할 수 있고, 이 때문에 트랩홈에 잔존수가 존재하는 문제점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틈새폐쇄부(190)를 이용하여 워터커버(180)와 안착요부(154) 간의 틈새를 폐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틈새 폐쇄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틈새폐쇄부(190)가 워터커버(180)의 각 둘레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틈새폐쇄부(190)에 대한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틈새폐쇄부(190)가 휨 변형 가능한 박판의 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워터커버(180)의 둘레면과 안착요부(154) 내벽면 사이의 틈새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틈새폐쇄부(190)가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혹은, 상향 경사지면서 휨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워터커버(180)를 안착요부(154)에 안착시키는 조립 작업이 쉽게 수행될 수 있으면서도 서로 간의 틈새를 기밀하게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워터커버(180)의 증발기용 얹힘부(180a)가 증발기(440)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증발기(440)와의 접촉 부위에 응축수(혹은, 증발기를 세척한 세척수)가 잔존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얹힘단(181)에 복수의 둘레측 얹힘리브(183)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증발기(440)는 상기 각 둘레측 얹힘리브(183)에 얹힐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증발기(440)와 워터커버(180) 간의 접촉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워터커버(180)의 증발기용 얹힘부(180a)에 함몰단(182)이 제공되기 때문에 증발기(440)와의 접촉 면적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182)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수구(185)를 형성하고, 함몰단(182)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구(185)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함몰단(182) 내에 응축수가 잔존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얹힘단(181)과 함몰단(182) 사이의 모서리 부위가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응축수가 잔존하지 않고 함몰단(182) 내로 원활히 흐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182)의 둘레측 벽면은 저부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응축수의 흘러 내림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182) 내의 배수구(185)가 증발기(440)로 공기가 유입되는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기 때문에 증발기(440)를 통과하는 공기가 배수구(185)로 곧장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182) 내의 배수구(185)가 함몰단(182)을 이루는 전방측 벽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증발기(440)를 통과하는 공기가 배수구(185)로 곧장 유입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182) 내의 배수구(185)가 둘 이상 복수의 부위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응축수의 배수가 더욱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182) 내의 바닥면에 복수의 내측 얹힘리브(184)가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증발기(440)의 더욱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182) 내의 각 내측 얹힘리브(184)의 배치 구조를 최적화함에 따라 응축수는 원활히 흘러 내릴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공기가 배수구(185)로 곧장 유동됨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함몰단(182) 내의 바닥면 경사와 각 내측 얹힘리브(184)의 경사 구조를 통해 응축수가 어느 한 부위에 잔존하지 않고 배수구(185)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워터커버(180)의 저면에 지지리브(180c)가 돌출 형성되기 때문에 해당 워터커버(180)에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를 얹더라도 특정 부위의 처짐(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면서도 워터커버(180)와 안착요부(154) 사이로 응축수가 흐를 수 있는 적정 간격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100. 캐비넷
101. 투입구
120. 도어 140. 입력부
150. 베이스프레임 151. 응축수 회수부
152. 압축기용 함몰부위 153. 모터용 함몰부위
154. 안착요부 160. 배수통
170. 제어부 180. 워터커버
180a. 증발기용 얹힘부 180b. 응축기용 얹힘부
180c. 지지리브 181. 얹힘단
182. 함몰단 183. 둘레측 얹힘리브
184. 내측 얹힘리브 185. 배수구
186. 요입홈 187. 유동 방지돌기
188. 차단턱 190. 틈새폐쇄부
200. 드럼 201. 롤러
210. 건조도 감지부 220. 드럼구동용 모터
300. 배수펌프 어셈블리 310. 배수펌프
320. 펌프커버 326. 수위센서
410. 압축기 411. 방열팬
420. 응축기 430. 팽창기
440. 증발기 500. 순환팬 어셈블리
510. 팬하우징 520. 순환팬
530. 팬모터 600. 세척부
610. 유입홀 620. 노즐부
630. 안내단 640. 유로밸브
800. 순환유로 802. 통과홀
810. 인렛덕트 820. 아웃렛덕트
830. 베이스 커버 831. 프론트 베이스 커버
832. 리어 베이스 커버
120. 도어 140. 입력부
150. 베이스프레임 151. 응축수 회수부
152. 압축기용 함몰부위 153. 모터용 함몰부위
154. 안착요부 160. 배수통
170. 제어부 180. 워터커버
180a. 증발기용 얹힘부 180b. 응축기용 얹힘부
180c. 지지리브 181. 얹힘단
182. 함몰단 183. 둘레측 얹힘리브
184. 내측 얹힘리브 185. 배수구
186. 요입홈 187. 유동 방지돌기
188. 차단턱 190. 틈새폐쇄부
200. 드럼 201. 롤러
210. 건조도 감지부 220. 드럼구동용 모터
300. 배수펌프 어셈블리 310. 배수펌프
320. 펌프커버 326. 수위센서
410. 압축기 411. 방열팬
420. 응축기 430. 팽창기
440. 증발기 500. 순환팬 어셈블리
510. 팬하우징 520. 순환팬
530. 팬모터 600. 세척부
610. 유입홀 620. 노즐부
630. 안내단 640. 유로밸브
800. 순환유로 802. 통과홀
810. 인렛덕트 820. 아웃렛덕트
830. 베이스 커버 831. 프론트 베이스 커버
832. 리어 베이스 커버
Claims (22)
- 캐비넷 내의 바닥 부위를 이루며, 상면에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증발기 및 응축기를 순서대로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순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유로 내의 바닥 중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가 위치되는 부위에는 저부로 함몰된 안착요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
상기 안착요부 내에 안착되며, 상기 증발기 얹혀서 고정되는 증발기용 얹힘부 및 응축기가 얹혀서 고정되는 응축기용 얹힘부가 각각 구비된 워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워터커버의 적어도 어느 한 둘레면과 이에 대향되는 안착요부의 내주면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안착요부 내벽면과의 틈새를 폐쇄하는 틈새폐쇄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커버를 이루는 증발기용 얹힘부의 상면은
증발기의 저면 둘레측 부위가 얹히는 얹힘단과,
상기 얹힘단의 내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얹힘단의 상면으로부터 저부로 함몰된 함몰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얹힘단에는 상기 증발기의 저면이 얹히는 복수의 둘레측 얹힘리브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얹힘단과 함몰단 사이의 모서리 부위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단의 둘레측 벽면은 저부로 갈수록 내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단 내의 바닥면에는 안착요부 내부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구가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함몰단 내의 바닥면 중 증발기로 공기가 유입되는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함몰단 내의 바닥면 중 상기 함몰단을 이루는 전방측 벽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단 내의 바닥면은 상기 배수구가 위치된 부위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상기 함몰단 내의 바닥면 중 둘 이상 복수의 부위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단 내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발기의 저면을 받쳐주는 복수의 내측 얹힘리브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내측 얹힘리브는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됨과 더불어 각 열의 내측 얹힘리브는 복수로 제공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열의 내측 얹힘리브들은 그 전열 혹은, 후열의 내측 얹힘리브들 사이에 각각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열의 내측 얹힘리브들은 전후 방향에서 볼 때 양측 끝단이 그 전열 혹은, 후열의 내측 얹힘리브의 양 끝단과 중첩되는 위치에 이르기까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단 내의 바닥면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각 내측 얹힘리브는 중앙측 부위로부터 양 끝단 부위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폐쇄부는
상기 워터커버의 각 둘레면으로부터 안착요부 내벽면에 맞닿도록 외향 돌출되는 박판의 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폐쇄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혹은, 상향 경사지면서 휨 변형 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커버는 전방측 벽면과 후방측 벽면 및 양측 벽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틈새폐쇄부는 상기 워터커버의 각 벽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커버의 저면에는 안착요부의 바닥면에 얹혀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캐비넷 내의 바닥 부위를 이루며, 상면에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증발기 및 응축기를 순서대로 통과하도록 안내하는 순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유로 내의 바닥 중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가 위치되는 부위에는 저부로 함몰된 안착요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
상기 안착요부 내에 안착되며, 상기 증발기 얹혀서 고정되는 증발기용 얹힘부 및 응축기가 얹혀서 고정되는 응축기용 얹힘부가 각각 구비된 워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용 얹힘부의 상면은 증발기의 저면 둘레측 부위가 얹히는 얹힘단과, 상기 얹힘단의 내측 부위를 이루면서 상기 얹힘단의 상면으로부터 저부로 함몰된 함몰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더불어 상기 함몰단 내의 바닥면에는 안착요부 내부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구가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얹힘단에는 상기 증발기의 저면이 얹히는 복수의 둘레측 얹힘리브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단 내의 바닥면에는 상기 증발기의 저면을 받쳐주는 복수의 내측 얹힘리브가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9654A KR20210020406A (ko) | 2019-08-14 | 2019-08-14 | 의류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9654A KR20210020406A (ko) | 2019-08-14 | 2019-08-14 | 의류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0406A true KR20210020406A (ko) | 2021-02-24 |
Family
ID=7468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9654A KR20210020406A (ko) | 2019-08-14 | 2019-08-14 | 의류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20406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0087A (ko) | 2009-02-05 | 2010-08-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
KR20160087183A (ko) | 2015-01-13 | 2016-07-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 |
KR20170016754A (ko) | 2015-08-04 | 2017-02-14 |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 크로마논 유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
KR101919887B1 (ko) | 2012-05-15 | 2018-1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건조기 |
-
2019
- 2019-08-14 KR KR1020190099654A patent/KR2021002040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90087A (ko) | 2009-02-05 | 2010-08-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
KR101919887B1 (ko) | 2012-05-15 | 2018-11-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건조기 |
KR20160087183A (ko) | 2015-01-13 | 2016-07-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건조기 |
KR20170016754A (ko) | 2015-08-04 | 2017-02-14 | 씨제이헬스케어 주식회사 | 크로마논 유도체의 신규한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42389B1 (ko) |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 |
KR100687376B1 (ko) | 세탁건조기 | |
KR100697020B1 (ko) | 건조 겸용 세탁기 | |
US8615895B2 (en) | Clothes dryer | |
US8857071B2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 |
KR101806241B1 (ko) |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 |
KR100697083B1 (ko) | 건조 겸용 세탁기 | |
EP2185766B1 (en) | Controlling method of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100806111B1 (ko) | 덕트리스 건조기 | |
US20210047775A1 (en) |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 |
KR20190128484A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20190128487A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20080081498A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101825448B1 (ko) |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 |
KR20210020406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210099913A (ko) | 세탁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EP3875672B1 (en) | Laundry dryer | |
KR101825449B1 (ko) |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 |
KR20210111556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100697021B1 (ko) | 건조 겸용 세탁기 | |
KR101208553B1 (ko) | 세탁장치 | |
KR20210009889A (ko) |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
KR102568205B1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101225962B1 (ko) | 세탁 건조기의 증기 역류 방지 제어 방법 | |
KR20210010144A (ko) |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