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889A -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9889A KR20210009889A KR1020190087029A KR20190087029A KR20210009889A KR 20210009889 A KR20210009889 A KR 20210009889A KR 1020190087029 A KR1020190087029 A KR 1020190087029A KR 20190087029 A KR20190087029 A KR 20190087029A KR 20210009889 A KR20210009889 A KR 202100098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washing operation
- treatment apparatus
- water
- gener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캐비넷과, 드럼과, 응축수 회수부와, 히트펌프 시스템과, 순환팬과, 세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소량의 처리 대상물에 대한 처리운전만 수행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제어부는 규칙적인 증발기 세척을 위한 세척 운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특정 조건하에서 세척 운전의 미수행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증발기의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나 침구류 등의 건조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기나, 의류 건조기, 세탁 겸용 건조기 등이 포함되며, 가정이나 세탁소와 같은 업소에 제공되면서 의류나 각종 침구류 등을 세탁, 건조 혹은, 구김 제거 등의 전반적인 처리(treatment)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의류 처리장치의 의류 건조기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가지면서 이러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운전을 통해 드럼(혹은, 터브) 내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와 같은 처리 대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처리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건조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또한, 상기 의류 건조기는 처리 대상물을 건조시킨 후 드럼을 빠져나가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처리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곧장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축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을 통해 상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는 응축수의 처리를 위한 구조의 존재 유무로 구분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12-0110498호 및 미국 등록특허 US9,134,067B2에 제시되고 있는 의류 처리장치는 건조 열풍의 생성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 혹은,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로써 상기 증발기의 공기 유입측 부위를 세척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즉, 증발기의 공기 유입측 부위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이를 주기적으로 세척하여 상기 증발기에 대한 열교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응축수를 이용하여 스스로 증발기를 세척하는 방식(이하, “셀프 세척식”이라 함)은 수도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의류 건조기를 실내의 어디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른 셀프 세척식 의류 건조기는 응축수가 충분히 발생되어야만 상기 증발기의 세척을 위한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예컨대, 소량 부하시와 같이 처리 대상물(건조 대상물)의 양이 적어 충분한 응축수를 얻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증발기 세척을 위한 운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여 사실상 세척 운전이 수행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소량의 처리 대상물만 주로 건조하는 가정의 의류 건조기는 다량의 처리 대상물에 대한 건조를 수행하기 전에는 사실상 셀프 세척을 위한 세척 운전이 수행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셀프 세척식 의류 건조기의 세척 운전은 히트펌프 시스템이 동작되면서 처리 대상물을 건조하는 처리운전 도중에 수행되는데, 이의 경우 증발기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력에 의해 증발기의 표면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응축수)가 상기 증발기의 표면이 아닌 증발기의 내측을 향하게 되어 사실상 상기 증발기의 공기 유입측 표면에 대한 셀프 세척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상기 세척 운전을 위한 운전 조건이 충족될 경우 히티펌프 시스템의 동작을 일시 중지한 후 상기 세척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세척 운전이 완료되면 다시금 히트펌프 시스템을 재가동하는 방식으로 운전 제거를 수행하면 된다.
그러나, 이러한 운전 제어 방식은 압축기의 동작이 정지된 후 재기동되도록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용 공기의 온도를 설정 온도에 이르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전체적인 건조운전의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다는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전술된 선행기술들의 경우 처리 대상물에 대한 처리운전이 완료된 이후에는 더 이상 응축수가 발생되지 않지만, 이러한 운전 완료전까지 증발기의 표면에 발생된 응축수는 해당 표면에 잔존하거나 또는, 상기 증발기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려 바닥에 잔존하게 된다.
이를 고려할 때 미처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증발기의 바닥에 응축수가 잔존하면서 고이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렇게 고인 잔존 응축수가 완전히 마르기전까지는 해당 응축수가 오염되면서 냄새 성분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증발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운전시 순환팬의 공기 송풍력에 의한 영향을 제공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량의 처리 대상물에 대한 처리운전만 수행하는 경우(소량 부하시 운전)라 하더라도 규칙적인 증발기 세척을 위한 세척운전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정 조건하(소량 부하시의 운전이 반복되는 조건)에서 세척운전의 미수행에 따라 야기될 수 있는 증발기의 표면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트펌프 시스템이 동작되면서 처리 대상물을 건조하는 처리운전 도중에 세척운전이 수행될 때 처리운전을 위한 시간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증발기의 표면으로 세척수(응축수)가 원활히 분사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운전의 종료시 바닥에 응축수가 잔존하면서 고이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제어부가 세척부를 이용한 강제 세척운전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로써 증발기의 세척 누락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제어부에 의한 일반 세척운전은 건조운전(처리운전)이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만큼 실시될 경우 수행되는 제2일반 세척운전이 포함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증발기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일반 세척운전이 수위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일반 세척운전시 세척수 부족으로 인한 증발기 세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일반 세척운전이 건조도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건조운전의 작업 시간을 증가시키거나 작업 효율을 저하하지 않고 원활히 증발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처리운전의 종료시 강제 세척운전이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증발기에 대한 자동 세척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건조운전의 수행 도중 제1일반 세척운전이 실시되도록 함을 제시하며, 이로써 충분한 세척수의 공급을 이용한 원활한 제1일반 세척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건조운전의 수행되는 도중 제2일반 세척운전이 실시되도록 함을 제시하며, 이로써 충분한 세척수의 공급을 이용한 원활한 제2일반 세척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제2일반 세척운전이 건조운전의 수행 횟수를 기준으로 강제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일정 횟수의 건조운전이 수행된다면 반드시 한 번 이상은 증발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제2일반 세척운전이 설정수위 이상일 경우에만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세척수 부족으로 인한 세척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설정수위가 제2일반 세척운전이 적어도 2회 이상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정도의 수위임을 제시하며, 이로써 연속적인 제1강제 세척운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제2일반 세척운전이 적어도 2회 이상 연속적으로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오랜 기간동안 증발기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고 많은 이물질이 쌓여있다 하더라도 이 이물질을 원활히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강제 세척운전이 순환팬과 압축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공기 흐름에 의해 증발기의 세척 대상 부위를 세척수가 원활히 씻어내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강제 세척운전이 완료된 후 강제 배수운전이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세척시 사용된 세척수가 잔존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강제 배수운전시 강제 송풍운전이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증발기 혹은, 그의 바닥 부위에 잔존하는 세척수나 응축수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강제 송풍운전이 상기 순환팬의 동작에 따른 공기의 송풍 및 송풍 중단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로써 건조 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일반 세척운전이 실시된 경우라도 강제 세척운전이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증발기에 대한 세척 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일반 세척운전이 설정값 이상의 건조도일 경우에만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부적합한 세척운전 실시로 인해 건조 성능의 저하 및 건조 시간의 증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일반 세척운전이 설정수위 이상일 경우에만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세척수 부족으로 인한 증발기의 세척 불량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세척운전시 배수펌프를 동작시킴을 제시하며, 이로써 세척운전이 수행되는 도중에도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가 지속적으로 응축수 회수부 내에 충전될 수 있어서 세척운전시 세척수의 부족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강제 세척운전시 배수펌프에 의한 세척수의 펌핑량이 일반 세척운전시 배수펌프에 의한 세척수의 펌핑량에 비해 많음을 제시하며, 이로써 강제 세척운전시 세척수 부족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처리운전이 종료된 후 세척 대상부위를 세척하는 보조 세척운전이 더 포함되어 진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매 번의 건조운전이 수행될 때에는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세척이 반드시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보조 세척운전이 추가로 제공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처리운전이 진행되는 동안 일반 세척운전이 실시되지 않을 경우라도 세척 대상부위에 대한 세척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소량 부하시와 같이 처리 대상물(건조 대상물)의 양이 적어 충분한 세척수를 얻지 못할 경우라 하더라도 증발기 세척을 위한 운전이 강제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운전 미수행으로 야기되는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세척운전시 순환팬 및 압축기의 동작을 최소 부하로 강제함에 따라 건조운전 재개시 우려되는 건조 효율의 저하와 건조운전 시간의 증가 및 세척 불충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건조운전이 완료된 이후에 강제 세척운전이 수행되기 때문에 세척운전의 미수행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강제 세척운전이 순환팬과 압축기의 동작을 정지한 상태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세척을 방해하는 요인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세척 효율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강제 세척운전의 수행 후 배수펌프를 동작시키도록 운전됨에 따라 잔존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강제 세척운전의 수행 후 배수펌프를 동작시킬 때 순환팬도 함께 동작시키기 때문에 잔존하는 응축수나 세척수를 빠르게 건조할 수 있게 되어 그의 오염이나 냄새 성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 및 세척 운전을 위한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을 위한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열교환부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세척부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중 일반 세척운전시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시 압축기와 순환팬 및 전극값과 세척운전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시 소음 영향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 및 세척 운전을 위한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을 위한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열교환부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세척부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6의 “A”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중 일반 세척운전시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시 압축기와 순환팬 및 전극값과 세척운전과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시 소음 영향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건조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의류 건조기임을 그 예로 한다.
또한, 의류 처리장치가 수행하는 처리운전은 건조운전을 의미함과 더불어 이러한 건조운전에 의해 처리되는 처리 대상물은 건조 대상물을 의미하며, 아래에 사용되는 용어 역시 처리운전과 처리 대상물을 건조운전과 건조 대상물로 지칭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각 부위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크게 캐비넷(100)과, 드럼(200)과, 배수통(300)과, 히트펌프 시스템과, 순환팬(500)과, 세척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700)가 상기 세척부(600)를 이용하여 강제 세척운전이 수행될 수 있게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세척수의 수위가 설정된 수위 이상에 이르지 못할 경우에는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운전이 수행되는 도중 히트펌프 시스템의 증발기(440)를 세척하는 세척운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를 고려한 강제적인 세척 운전의 수행을 통해 상기 증발기(440)가 항상 최대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구조를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캐비넷(100)은 의류 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캐비넷(100)은 내부가 빈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100)의 내부에는 건조 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2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은 상기 드럼(200) 내로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10)는 도어(120)에 의해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드럼(200)은 전후면에 개구를 가지는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는 상기 캐비넷(100)의 투입구(110)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드럼은(200) 캐비넷(100) 내의 롤러(130)를 이용하여 그의 회전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는 고온의 건조 열풍이 통과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건조 열풍은 상기 드럼(200)의 후방측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 및 후방측 개구에는 후술될 히트펌프 시스템의 증발기(440)와 응측기(420)를 경유하는 순환유로(800)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순환유로(800)에 의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드럼(200) 내의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고, 이렇게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다시금 히트펌프 시스템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순환유로(800)의 공기 유출측에는 상기 드럼(200) 내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도록 안내하는 인렛덕트(810)가 연결되고, 상기 순환유로(800)의 공기 유입측에는 상기 드럼(200) 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하는 아웃렛덕트(820)가 연결된다. 이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드럼(200)에는 건조도 감지부(210)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건조도 감지부(210)는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두 개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전극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드럼(200) 내부를 향해 노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210)는 예컨대, 도어(1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어측의 캐비넷(100)에 설치될 수가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두 전극)(210)는 건조 대상물이 접촉될 경우 이 건조 대상물의 상태(예컨대, 건조 대상물의 젖은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전류값을 토대로 변환된 전극값으로 해당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를 판단한다. 즉, 상기 건조 대상물은 상기 건조도 감지부(두 전극)(210)에 대하여 저항으로 작용됨을 고려할 때 상기 건조 대상물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기 때문에 회로에 흐르는 전류 또한 가변되며, 이렇게 가변되는 전류의 변동값을 미리 규정한 전극값으로 변환하여 이 전극값으로 건조도가 판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미리 규정한 전극값이라 함은 의류 처리징치의 제어에 용이한 수치 범위로 변환한 임의의 값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수통(300)은 배수하고자 하는 물(배수용 물)을 일시 저장하는 통이다.
상기 배수용 물은 건조운전시 발생된 물 및 공기의 열교환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될 수 있다. 즉, 건조운전시 다습한 공기가 통과되는 증발기(440)의 표면에는 응축수가 맺히게 되고, 이러한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44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린 후 순환유로(800) 내의 바닥을 따라 흘러 응축수 회수부(830) 내에 저장되며, 이후 상기 응축수 회수부(830) 내에 설치되는 배수펌프(840)의 동작에 의해 펌핑되어 상기 배수통(300)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 회수부(830) 내에 저장되는 잔존수는 모든 운전 후 상기 배수통(300) 내로 배수되도록 이루어지며, 세척운전이 진행될 때에는 상기 세척운전을 위한 세척수로 사용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응축수 회수부(830) 내에 저장되는 잔존수를 세척수로 지칭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한 응축수 회수부(830)에는 수위센서(첨부된 도 2 참조)(831)가 구비되면서 상기 응축수 회수부(830) 내에 저장되는 세척수의 수위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위센서(831)는 최대 수위(예컨대, 만수위)만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최대 수위와 최소 수위를 함께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 설정 수위는 상기 최대 수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배수통(300)은 상기 드럼(200) 내의 상단 중 어느 한 측에 취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배수통(3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취출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공기를 제공받아 열교환시켜 고온의 건조 공기로 생성하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즉,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에 의해 드럼(200) 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항상 고온의 건조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히트펌프 시스템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열교환부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410)와 응축기(420), 팽창기(430) 및 증발기(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410)는 열교환을 위한 고온 저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하는 기기이고, 상기 응축기(420)는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저온 고압의 냉매로 응축하는 기기이며, 상기 팽창기(430)는 상기 응축된 저온 고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저온 저압의 냉매로 팽창하는 기기이고, 상기 증발기(440)는 상기 저온 저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주변을 지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기기이다. 이때 상기 증발기(440)를 통과한 냉매는 고온 저압 상태를 이루며, 이러한 고온 저압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410)로 제공되는 순환을 반복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에서는 상기 압축기(410)와 팽창기(430)는 캐비넷(100) 내의 바닥 중 어느 한 측에 위치되고, 상기 응축기(420)와 증발기(440)는 상기 순환유로(800) 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증발기(440)는 상기 순환유로(800) 중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공기를 저온 저압의 냉매와 열교환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응축기(420)는 상기 증발기(440)의 공기 유출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증발기(44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진 건조 공기를 고온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압축기(410)는 그의 동작시 다량의 열기를 발생시키는 기기임을 고려할 때 해당 압축기(410)의 방열을 위한 배기팬(411)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기팬(411)에 의해 그의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압축기(410) 및 팽창기(430)는 상기 순환유로(800)와는 별도의 위치에 제공되면서 순환되는 공기에 영향(공기 흐름 및 온도)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순환팬(500)은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순환팬(500)의 구동에 의해 순환유로(800) 내의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공기가 인렉덕트(810)를 통해 드럼(200) 내로 공급되고, 또한 상기 드럼(200)을 통과한 공기는 아웃렛덕트(820)를 통해 순환유로(800) 내의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순환되는 것이다.
상기한 순환팬(500)은 상기 순환유로(800) 중 응축기(420)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순환팬(500)은 팬하우징(510) 내에 수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팬하우징(510)의 흡입구는 순환유로(800)에 연결되고, 상기 팬하우징(510)의 배기구는 인렛덕트(810)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부(600)는 응축수 회수부(830) 내의 세척수(잔존수)로 증발기(440)를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세척부(600)는 상기 순환유로(8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베이스 커버(900)에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를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으로 흘려내리면서 상기 증발기(440)의 공기 유입측 부위(전면)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커버(900)는 전방측 부위를 이루는 프론트 베이스 커버(910) 및 후방측 부위를 이루는 리어 베이스 커버(920)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600)는 상기 리어 베이스 커버(920)에 형성되는 유입홀(610) 및 노즐부(620)와, 상기 프론트 베이스 커버(910)에 형성되는 안내단(6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610)은 세척수가 유입되는 부위이고, 상기 노즐부(620)는 상기 유입홀(610)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노즐부(620)는 상기 유입홀(610)이 연통되는 후방(도면상 우측)측 부위로부터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또는, 라운드)진 구조를 이룸과 더불어 전방측 끝단은 여타 부위에 비해 더욱 하향 경사(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증발기(440)는 상기 노즐부(620)의 전방측 끝단의 직하방에 전면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이라 함은 순환유로(800)를 따라 유동되는 다습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440) 내로 유입되는 방향측의 면이다.
상기 유입홀(610)은 도시되지 않은 호스 혹은, 별도의 유로를 통해 유로밸브(640)로부터 상기 응축수 회수부(830) 내의 세척수를 공급받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유입홀(610)은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이의 경우 상기 유로밸브(640)는 상기 각 유입홀(610)로 선택적인 응축수의 공급 혹은, 동시적인 응축수의 공급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입홀(610)은 수도관을 통해 수돗물을 직접 공급받거나 혹은, 여타의 물이나 세척제가 저장된 저장통으로부터 상기 물이나 세척제를 공급받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내단(630)은 상기 프론트 베이스 커버(910) 중 상기 노즐부(620)와 마주하는 부위에는 형성되면서 상기 노즐부(620)를 타고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을 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안내단(630)은 후방(도면상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안내단(630)의 후방측 끝단은 여타 부위에 비해 더욱 경사(수직에 가까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의류 처리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700)는 캐비넷(100)의 입력부(140)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근거하여 의류 처리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각종 회로소자가 실장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순환팬(500)과 압축기(410)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처리 대상물에 대한 건조운전(처리운전)을 실시하며, 수위센서(831)에 의해 확인된 수위를 기준으로 세척부(600)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증발기(440)에 대한 일반 세척운전을 실시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이때, 상기 일반 세척운전은 응축수 회수부(830) 내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면서 전극값이 설정값 이상을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즉, 상기 세척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에 이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세척수를 이용한 일반 세척운전이 수행된다면 세척수 부족 현상으로 증발기(440)의 세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상기 전극값이 설정값 이하인 건조 대상물이 일정 건조도 이상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일반 세척운전이 수행된다면 증발기(440)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응축 성능의 저하가 야기되면서 고온의 공기를 얻기가 어려워 건조운전을 위한 시간이 더욱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두 조건(세척수의 수위 조건 및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때에만 상기 일반 세척운전이 수행되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되고 있는 일정 수위는 통상의 만수위(세척운전 수행시 세척수 부족 현상이 발생되지 않을 정도의 수위)가 될 수 있고, 전극값의 설정값은 건조 대상물이 적어도 70% 이상(바람직하게는 80% 이상) 건조가 진행되었을 때 확인되는 전극값이 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만수위와 설정값은 응축수 회수부(830)의 크기나 기타 사용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일반 세척운전이 실시되지 않음이 확인될 경우 상기 세척부(600)를 이용한 강제 세척운전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되며, 이로써 증발기(440)의 비세척으로 인한 오염이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을 위한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각 운전에 대한 각 동작요소들이나 센서 및 밸브들에 대한 제어는 제어부(700)가 미리 프로그래밍된 정보를 토대로 수행되며, 아래의 설명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각 제어가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임을 그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을 위한 제어방법은 크게 건조운전(S100)과 일반 세척운전(S200) 및 강제 세척운전(S300)을 포함하며, 이를 첨부된 도 8 및 도 9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각 운전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건조운전(처리운전)(S100)은 건조 대상물을 건조(처리)하는 운전이다.
이러한 건조운전(S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며,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될 경우 제어부(700)는 압축기(410)가 동작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배기팬(411) 및 순환팬(500)이 각각 동작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700)에 의한 압축기(410)와 순환팬(500)의 구동에 의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동작 및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드럼(200) 내부로 고온의 건조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즉, 압축기(410)의 동작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의 흐름과 순환팬(500)의 동작으로 증발기(440)와 응축기(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순환 흐름에 의해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됨과 더불어 고온화된 상태로 드럼(200) 내에 공급되어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된 다습한 공기는 아웃렛덕트(820)를 통해 순환유로(800) 내로 유입된 후 이 순환유로(800) 내에 위치된 증발기(44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됨과 더불어 응축기(420)를 통과하면서 고온화되고, 계속해서 순환팬(500)이 구비된 팬하우징(510)을 통과하여 인렛덕트(810)로 유동되면서 드럼(200) 내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440)를 통과하는 도중에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증발기(440)의 표면(각 열교환핀의 표면)에 응축됨과 더불어 이 표면을 타고 흘러 내리면서 순환유로(800) 내의 바닥으로 낙하된 후 응축수 회수부(830) 내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 회수부(830)에 제공되고 있는 수위센서(831)는 상기 응축수 회수부(830)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제어부(700)는 상기 응축수 회수부(830) 내의 세척수를 배수통(300)으로 배수할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배수통(300)으로의 배수가 결정되면 배수펌프(8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배수통(300)으로 펌핑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 건조운전(S100)은 건조 하고자 하는 건조 대상물의 량(무게)에 따라 운전시간이나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건조 대상물의 량이 많을 수록 건조운전(S100)을 위한 운전시간은 더욱 길어질 수밖에 없다. 이때 상기 건조 대상물의 량은 예컨대, 드럼(200)의 회전을 위해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무게 센서나 여타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건조운전(S100)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배기팬(411)이 동작된다.
즉, 상기 배기팬(411)의 동작에 의해 압축기(410)를 방열시킴으로써 상기 압축기(410)의 압축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운전(S100)이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되었거나 혹은, 건조 대상물이 완전히 건조되었음이 확인되면 압축기(410) 및 순환팬(5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건조운전(S100)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일반 세척운전(S200)은 상기 건조운전(S100)이 수행되는 도중 증발기(440)를 세척하도록 수행되는 운전이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일반 세척운전(S200)은 수위 조건 및 건조도 조건이 동시에 만족할 때 수행되는 제1일반 세척운전(S210)이 포함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응축수 회수부(830) 내에 저장된 세척수의 수위가 만수위이면서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가 적어도 70% 이상 진행되었음으로 확인될 경우 유로밸브(640)를 제어하여 응축수 배수부(830) 내의 세척수를 리어 베이스 커버(920)에 형성된 각 유입홀(610)로 공급하는 제1일반 세척운전(S210)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위는 응축수 회수부(830)에 구비된 수위센서(831)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고, 상기 건조도는 건조도 감지부(두 전극)(210)에 건조 대상물이 접촉될 때 얻게 되는 전극값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일반 세척운전(S210)이 실시될 경우 각 유입홀(610)로 공급된 세척수는 상기 리어 베이스 커버(920)에 형성된 노즐부(620)를 따라 전방으로 유동된 후 낙하하면서 그 직하방에 위치된 증발기(440)의 전면(혹은, 세척 대상부위)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즐부(620)를 따라 유동되는 세척수의 일부는 프론트 베이스 커버(910)에 형성된 안내단(630)의 안내를 받아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으로 낙하하면서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을 세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440)를 세척한 세척수 및 다습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4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때 발생된 응축수는 순환유로(800) 내의 바닥으로 낙하된 후 응축수 회수부(830) 내에 저장되며, 이후 배수펌프(840)의 동작 및 유로밸브(640)의 동작에 의해 각 유입홀(610)로 공급하는 동작이 반복된다.
한편, 상기한 제1일반 세척운전(S210)이 실시될 때 제어부(700)는 압축기(410)와 순환팬(500)의 부하를 일시적으로 낮추는 제어를 수행한다.
즉, 상기 세척운전은 세척수를 증발기(440) 전면으로 흘러 내리면서 세척하는 방식이라는 것을 고려할 때 순환팬(500)의 동작에 의해 공기가 빠른 속도로 유동될 때에는 이 공기의 속도에 의해 상기 세척수의 흐름이 증발기 내측을 향해 휘면서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 중 저부 끝단측에 이르기까지 충분히 세척하지 못하고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 중 상측 부위만 세척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순환팬(500)의 부하(회전수)를 낮춰 공기의 흐름이 최대한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증발기(440)의 전면 전 부위가 원활히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공기의 흐름이 느려진다면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 역시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순환팬(500)의 부하를 낮출 때에는 상기 압축기(410)의 부하(구동 Hz)도 함께 낮춤으로써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10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압축기(410)를 완전히 정지시킬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 압축기(410)의 재기동에 따른 정상 운전시까지의 전력 소모 및 시간 증가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압축기(410)는 완전히 정지하지 않고 낮은 부하로나마 동작될 수 있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된 제1일반 세척운전(S210)은 두 번 이상 복수번이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건조 대상물이 많아 건조 시간이 대략 12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두 번 이상 진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제1일반 세척운전(S210)이 진행될 때에는 배수펌프(840)가 지속적으로 동작됨과 더불어 유로밸브(640)는 상기 배수펌프(840)에 의해 펌핑되는 세척수가 각 유입홀(610)로 유동되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로써 상기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는 순환유로(800)로부터 흘러내리면서 응축수 회수부(830)에 회수되는 응축수와 함께 세척을 위한 용도로 재사용되어 세척수의 부족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일반 세척운전(S200)은 상기 제1일반 세척운전(S210)과는 별개로 진행되는 제2일반 세척운전(S2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2일반 세척운전(S220)은 건조운전(S100)의 실시 횟수를 카운팅한 후 이 카운팅된 건조운전(S100)의 실시 횟수가 설정된 횟수에 도달될 경우 수행되도록 제어된다. 이때 상기 건조운전(S100)의 실시 횟수는 제어부(700)의 카운팅프로그램에 의해 카운팅된다.
예컨대, 건조운전(S100)이 30회 실시된 경우 이러한 30회의 건조운전(S100) 도중 제2일반 세척운전(S220)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제2일반 세척운전(S220)의 경우는 건조운전(S100)의 실시 횟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소량 부하로만 건조운전(S100)을 수행함으로써 오랜 기간 동안 제1일반 세척운전(S210)이 실시된 적이 없었다 하더라도 강제적인 세척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한 제2일반 세척운전(S220) 역시 수위 조건과 건조도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때에만 수행되도록 한다면 그 실시 누락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일반 세척운전(S220)의 경우 수위 조건만 만족하면 수행될 수 있도록 제어됨을 제시한다.
즉, 응축수 회수부(830) 내의 세척수 수위가 세척운전이 가능한 수위를 만족한다면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에 관계없이 제2일반 세척운전(S220)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일반 세척운전(S220)은 제1일반 세척운전(S210)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즉, 압축기(410)와 순환팬(500)의 부하를 일시적으로 낮추고, 배수펌프(840)는 동작하면서 응축수 회수부(830) 내의 세척수를 증발기(440)로 흘려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제2일반 세척운전(S220)은 오랜 기간 동안 제1일반 세척운전(S210)이 진행되지 않음을 고려하여 2회 이상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며, 상기 수위 조건 역시 이러한 2회 이상 연속적인 세척운전(S220)이 가능할 수 있을 정도의 수위로 설정된다.
즉, 복수번 연속하여 제2일반 세척운전(S831)을 수행함으로써 증발기(440)에 이물질이 고착된 상태로 제공되더라도 원활한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제2일반 세척운전(S831)시 배수펌프(840)에 의한 세척수의 펌핑량은 상기 제1일반 세척운전(S210)시 배수펌프(840)에 의한 세척수의 펌핑량에 비해 많도록 그 동작이 제어되며, 이를 통해 세척수의 부족 현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강제 세척운전(S300)은 상기 건조운전(S100)이 종료될 경우 증발기(440)를 세척하도록 강제 수행되는 운전이다.
즉, 제1일반 세척운전(S210)의 경우 수위 조건 및 건조도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경우에만 실시되기 때문에 상기 두 조건 중 어느 한 조건이라도 만족되지 않는다면 해당 제1일반 세척운전(S210)이 실시되지 않는다.
예컨대, 건조 대상물의 양이 적을 경우(3kg 미만)일 경우에는 건조운전(S100)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수위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소량의 건조운전(S100)이 반복된다면 오랜 의류 처리장치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증발기(400)의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제2일반 세척운전(S22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상기 제1일반 세척운전(S210)이 진행되지 못하더라도 일정 횟수만큼의 건조운전(S100)시 마다 한 번은 강제적인 제2일반 세척운전(S220)이 실시된다.
그러나, 상기한 제2일반 세척운전(S220)은 건조운전(S100)의 실시 횟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그 횟수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길다면 세척 대상부위에 대한 오염을 피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강제 세척운전(S300)의 제공을 통해 매 건조운전(S100)마다 한 번 이상은 세척 대상부위에 대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 세척운전(S300)은 건조운전(S100)이 종료된 후 실시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한다.
즉, 건조운전(S100)이 종료된 후 해당 건조운전(S100)시 일반 세척운전(S200)이 실시되지 않았다면 제어부(700)에 의한 강제적인 강제 세척운전(S300)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1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강제 세척운전(S300)은 건조운전(S100)이 종료되어 압축기(410)와 순환팬(500)의 동작이 모두 정지된 상태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순환팬(500)의 동작에 의한 공기 흐름에 영향을 받지 않아 정확한 증발기(440) 전면의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강제 세척운전(S300)은 수위 조건이나 건조도 조건 모두에 상관없이 강제적으로 실시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강제 세척운전(S300)을 실시하기 위한 조건을 없앰으로써 건조운전(S100) 종료시마다 일반 세척운전(S200)이 수행되지 않더라도 반드시 세척운전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건조운전(S100)이 종료된 후에는 일정량 이상의 응축수가 발생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다면 비록 부족할 수는 있겠으나 기대하는 효율의 세척은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강제 세척운전(S300)이 수행될 때에는 배수펌프(840)를 동작시키면서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강제 세척운전(S300)이 수위 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실시되기 때문에 세척수의 부족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음을 감안한 제어이며, 이를 통해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도 빠르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강제 세척운전(S300)시 배수펌프(840)에 의한 세척수의 펌핑량은 상기 일반 세척운전(S200)시 배수펌프(840)에 의한 세척수의 펌핑량에 비해 많도록 그 동작이 제어되며, 이를 통해 세척수의 부족 현상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강제 세척운전(S300)은 순환팬(500) 및 압축기(410)가 정지된 상태에서 실시되기 때문에 순환팬(500)에 의한 공기 흐름이 세척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방지되고, 또한 압축기(410)의 동작에 의한 냉매 순환으로 증발기(440)의 온도가 낮음에 따라 야기되는 세척 효율의 변화도 방지된다. 이를 고려할 때 배수펌프(840)를 동작시키지 않고 강제 세척운전(S300)을 수행하더라도 비록 적은 양의 세척수만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건조운전(S100) 도중 수행하는 일반 세척운전(S200)과 거의 동일한 세척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제 세척운전(S300)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강제 세척운전(S300)을 위한 세척부(600)의 동작만 중단할 뿐 배수펌프(840)는 계속적으로 동작되도록 제어하는 강제 배수운전을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즉, 강제 세척운전(S300)이 수행된 이후에는 이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가 바닥에 잔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강제 배수운전으로써 최대한 배수해 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펌프(840)에 의해 펌핑되는 응축수 회수부(830) 내의 세척수는 유로밸브(640)의 제어에 의해 배수통(300)으로 배출된다.
특히, 상기 강제 배수운전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순환팬(500)을 동작시켜 증발기(440)를 향해 공기가 송풍되도록 하는 강제 송풍운전이 더 수행된다.
즉, 히트펌프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않고 오로지 순환팬(500)만 추가로 동작시킴으로써 증발기(440)의 표면에 잔존하는 응축수나 세척수를 완전히 증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잔존수가 야기하는 오염이나 냄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강제 송풍운전은 순환팬(500)의 동작에 따른 공기의 송풍 및 송풍 중단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반복적인 송풍으로써 건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전술된 강제 세척운전(S300)의 경우 건조운전(S100)이 종료된 후 실시되기 때문에 소음 발생으로 인한 사용자의 불만이 야기될 우려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강제 세척운전(S300)시 발생되는 소음이 일반적인 건조운전(S100)시 발생되는 소음 및 상기 건조운전(S100) 중 일반 세척운전(S200)시 발생되는 소음에 비해 오히려 작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만이 야기될 우려는 극히 낮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2의 소음 영향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13의 순서도는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건조운전(S100)과 일반 세척운전(S200) 및 보조 세척운전(S500)을 포함하여 진행됨이 제시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운전(S100) 및 일반 세척운전(S200)은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건조운전(S100) 및 일반 세척운전(S200)과 동일하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척운전(S500)은 일반 세척운전(S200)이 실시되지 않음이 확인될 경우 증발기(440)를 세척하도록 강제 수행되는 운전임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일반 세척운전(S200)의 경우 수위 조건 및 건조도 조건을 동시에 만족할 경우에만 실시된다는 제한으로 인해 매 번의 건조운전(S100)시 마다 반드시 실행되는 것이 아님을 고려할 때, 이러한 일반 세척운전(S200)이 수행되지 않았을 때에만 해당 건조운전(S100)의 종료 후 상기 보조 세척운전(S500)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 세척운전(S500)은 전술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 세척운전(S300)과는 달리 매 건조운전(S100) 마다 실시되는 것이 아니면서도 매 건조운전(S100)시 반드시 어느 한 세척운전(일반 세척운전이나 보조 세척운전)은 수행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보조 세척운전(S500)은 건조운전(S100)시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일반 세척운전(S200)이 수행됨에도 불구하고 강제 세척운전(S300)이 수행될 경우 야기되는 처리시간(건조시간)의 증가 및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방식의 운전이다.
물론, 상기한 보조 세척운전(S500)의 운전 제어는 상기 강제 세척운전(S300)과 동일한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운전되도록 제어된다.
즉, 보조 세척운전(S500) 역시 건조운전(S100)이 종료된 후 압축기(410)와 순환팬(500)의 구동을 정지한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보조 세척운전(S500)이 수행될 때에는 강제 배수운전 및 강제 송풍운전 역시 함께 진행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듯,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소량 부하시와 같이 처리 대상물(건조 대상물)의 양이 적어 충분한 세척수를 얻지 못할 경우라 하더라도 증발기(440) 세척을 위한 운전이 강제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운전 미수행으로 야기되는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세척운전시 순환팬(500) 및 압축기(831)의 동작을 최소 부하로 강제함에 따라 건조운전(S100) 재개시 우려되는 건조 효율의 저하와 건조운전 시간의 증가 및 세척 불충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건조운전(S100)이 완료된 이후에 강제 세척운전(S300) 혹은, 보조 세척운전(S500)이 수행되기 때문에 세척운전의 미수행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강제 세척운전(S300) 혹은, 보조 세척운전(S500)이 순환팬(500)과 압축기(410)의 동작을 정지한 상태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세척을 방해하는 요인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세척 효율의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강제 세척운전(S300)의 수행 후 배수펌프(840)를 동작시키도록 운전됨에 따라 잔존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은 강제 세척운전(S300)의 수행 후 배수펌프(840)를 동작시킬 때 순환팬(500)도 함께 동작시키기 때문에 잔존하는 응축수나 세척수를 빠르게 건조할 수 있게 되어 그의 오염이나 냄새 성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캐비넷
110. 투입구
120. 도어 130. 롤러
140. 입력부 200. 드럼
210. 건조도 감지부 300. 배수통
831. 수위센서 410. 압축기
411. 배기팬 420. 응축기
430. 팽창기 440. 증발기
500. 순환팬 510. 팬하우징
600. 세척부 610. 유입홀
620. 노즐부 630. 안내단
640. 유로밸브 700. 제어부
800. 순환유로 810. 인렛덕트
820. 아웃렛덕트 830. 응축수 회수부
840. 배수펌프 910. 프론트 베이스 커버
920. 리어 베이스 커버
120. 도어 130. 롤러
140. 입력부 200. 드럼
210. 건조도 감지부 300. 배수통
831. 수위센서 410. 압축기
411. 배기팬 420. 응축기
430. 팽창기 440. 증발기
500. 순환팬 510. 팬하우징
600. 세척부 610. 유입홀
620. 노즐부 630. 안내단
640. 유로밸브 700. 제어부
800. 순환유로 810. 인렛덕트
820. 아웃렛덕트 830. 응축수 회수부
840. 배수펌프 910. 프론트 베이스 커버
920. 리어 베이스 커버
Claims (20)
- 처리 대상물이 투입된 드럼 내를 공기가 통과하도록 순환시키는 순환팬;
상기 드럼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를 제공받아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건조 공기를 열교환시켜 고온화하는 응축기;
응축수 및 세척시 발생된 세척수가 저장되는 응축수 회수부;
상기 응축수 회수부 내의 세척수를 공급하여 상기 증발기의 세척 대상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순환팬과 압축기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처리 대상물에 대한 처리운전을 실시하고, 상기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처리운전 도중 일반 세척운전을 실시하며, 상기 처리운전의 종료 후 상기 세척부를 이용한 강제 세척운전이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처리운전의 수행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프로그램이 더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한 일반 세척운전은
상기 처리운전의 수행 횟수와 상관없이 수행되는 제1일반 세척운전과,
상기 카운팅프로그램에 의해 카운팅된 처리운전의 수행 횟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 횟수에 도달될 경우 수행되는 제2일반 세척운전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회수부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일반 세척운전은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확인된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일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회수부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일반 세척운전은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확인된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일 경우에만 수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대상물의 건조도를 확인하기 위한 건조도 감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도 감지부에 의해 확인된 건조도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만 상기 세척부가 동작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 드럼 내로 투입된 처리 대상물을 처리하도록 운전되는 처리운전;
상기 처리운전의 수행 도중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응축수 회수부 내의 세척수를 세척 대상부위로 공급하여 세척하는 일반 세척운전;
상기 처리운전이 종료된 후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응축수 회수부 내의 세척수를 세척 대상부위로 공급하면서 세척하는 강제 세척운전;을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세척운전은
처리운전의 수행 횟수와 상관없이 수행되는 제1일반 세척운전을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반 세척운전은
처리 대상물의 건조도가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만 수행됨을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일반 세척운전은
상기 응축수 회수부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일 경우에만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세척운전은
상기 처리운전의 횟수를 카운팅한 후 상기 카운팅된 처리운전의 횟수가 설정 횟수에 도달될 경우 수행되는 제2일반 세척운전을 포함하여 진행되도록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일반 세척운전은
상기 응축수 회수부 내의 수위가 설정수위 이상일 경우에만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11 항에 잇어서,
상기 설정수위는
상기 제2일반 세척운전이 적어도 2회 이상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을 정도의 수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일반 세척운전은
적어도 2회 이상 연속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세척운전은
순환팬과 압축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세척운전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배수하는 강제 배수운전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배수운전시에는
증발기로 공기를 송풍하는 강제 송풍운전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송풍운전은 상기 순환팬의 동작에 따른 공기의 송풍 및 송풍 중단이 반복적으로 수행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세척운전 및 강제 세척운전시에는 배수펌프를 동작시켜 응축수 회수부 내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공급하는 운전을 수행하고,
상기 강제 세척운전시 배수펌프에 의한 세척수의 펌핑량은 상기 일반 세척운전시 배수펌프에 의한 세척수의 펌핑량에 비해 많도록 그 동작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드럼 내로 투입된 처리 대상물을 처리하도록 운전되는 처리운전;
상기 처리운전의 수행 도중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응축수 회수부 내의 세척수를 세척 대상부위로 공급하여 세척하는 일반 세척운전;
상기 처리운전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일반 세척운전이 실시되지 않음이 확인될 경우 상기 처리운전의 종료 후 상기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응축수 회수부 내의 세척수를 세척 대상부위로 공급하면서 세척하는 보조 세척운전;을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세척운전은
순환팬과 압축기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7029A KR20210009889A (ko) | 2019-07-18 | 2019-07-18 |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7029A KR20210009889A (ko) | 2019-07-18 | 2019-07-18 |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9889A true KR20210009889A (ko) | 2021-01-27 |
Family
ID=7423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7029A KR20210009889A (ko) | 2019-07-18 | 2019-07-18 |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988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70831A1 (ko) * | 2021-06-24 | 2022-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20110498A (ko) | 2011-03-29 | 2012-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
US9134067B2 (en) | 2007-09-04 | 2015-09-15 | Lg Electronics Inc. |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
-
2019
- 2019-07-18 KR KR1020190087029A patent/KR2021000988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34067B2 (en) | 2007-09-04 | 2015-09-15 | Lg Electronics Inc. |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
KR20120110498A (ko) | 2011-03-29 | 2012-10-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270831A1 (ko) * | 2021-06-24 | 2022-12-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처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66989B2 (en) | Controlling method of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US8418509B2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 |
KR102300343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20110005279A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JP4687555B2 (ja) | 衣類乾燥装置 | |
KR20150054104A (ko) | 의류 처리장치 | |
JP4692178B2 (ja) | 衣類乾燥装置 | |
US20230175194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10047160A (ko) | 일체형 세탁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090105119A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210020403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20210009889A (ko) |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 |
JP4779731B2 (ja) | 衣類乾燥装置 | |
WO2015118585A1 (ja) | 洗濯乾燥機 | |
TR201802915A2 (tr) | Bi̇r hav fi̇ltresi̇ne sahi̇p bi̇r çamaşir kurutucunun çaliştirilmasi i̇çi̇n bi̇r yöntem | |
KR20210099913A (ko) | 세탁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20110497A (ko) |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 |
EP2392717B1 (en) | Was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715997B1 (ko) |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
JP4525463B2 (ja) | 洗濯乾燥機 | |
JP4779723B2 (ja) | 衣類乾燥装置 | |
KR20210010144A (ko) |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 |
RU2789471C1 (ru) | Интегрированная стирально-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ее управления | |
JP2008220448A (ja) | 衣類乾燥機 | |
KR20210020406A (ko) | 의류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