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144A -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144A
KR20210010144A KR1020190087655A KR20190087655A KR20210010144A KR 20210010144 A KR20210010144 A KR 20210010144A KR 1020190087655 A KR1020190087655 A KR 1020190087655A KR 20190087655 A KR20190087655 A KR 20190087655A KR 20210010144 A KR20210010144 A KR 20210010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apparatus
lower cover
drainage
cov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현
허선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144A/ko
Publication of KR2021001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운전시 배수펌프를 이루는 임펠러의 회전 속도에 대한 제어 및 배수펌프 어셈블리의 각 부위별 구조적 개선을 통해 잔존수의 수위가 극히 낮다 하더라도 이 잔존수가 요동치면서 상기 임펠러와 항상 맞닿은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 많은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잔존수의 수위를 최소화하여 빠르게 건조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나 침구류 등의 건조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의 펌프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기나, 의류 건조기, 세탁 겸용 건조기 등이 포함되며, 가정이나 세탁소와 같은 업소에 제공되면서 의류나 각종 침구류 등을 세탁, 건조 혹은, 구김 제거 등의 전반적인 처리(treatment)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의류 처리장치의 의류 건조기는 히트펌프 시스템을 가지면서 이러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운전을 통해 드럼(혹은, 터브) 내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와 같은 처리 대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상기 처리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건조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또한, 상기 의류 건조기는 처리 대상물을 건조시킨 후 드럼을 빠져나가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처리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곧장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응축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을 통해 상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는 응축수의 처리를 위한 구조의 존재 유무로 구분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12-0110498호 및 미국 등록특허 US9,134,067B2에 제시되고 있는 의류 처리장치는 건조 열풍의 생성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응축수 혹은,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로써 상기 증발기의 공기 유입측 부위를 세척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즉, 증발기의 공기 유입측 부위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이를 주기적으로 세척하여 상기 증발기에 대한 열교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응축수를 이용하여 스스로 증발기를 세척하는 방식(이하, “셀프 세척식”이라 함)은 수도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의류 건조기를 실내의 어디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른 셀프 세척식 의류 건조기의 경우 응축수 혹은, 처리운전(건조운전)시 발생된 잔수가 배수펌프에 의해 강제 펌핑되면서 제어밸브의 선택적인 동작에 의해 배수통에 저장되거나 혹은, 증발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부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기술의 방식은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 내부에 상기 응축수가 완전히 배수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응축수의 저장 공간 내에 잔존하는 잔존수로 인해 각종 오염 발생이 야기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이로 인한 냄새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배수펌프 어셈블리는 하부커버 내의 압력에 의해 하부커버와 펌프커버와의 결합 부위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이를 통한 과도한 압력 누설로 인해 펌핑 성능이 저하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 내부에는 배수펌프를 포함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가 장착되며, 이러한 배수펌프는 강제적으로 응축수를 펌핑하게 되는데, 이의 과정에서 상기 배수펌프가 위치되는 공간의 진공화로 인한 펌핑 성능의 저하가 야기될 뿐 아니라 동작 소음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제품 신뢰감 저하가 야기된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종래의 배수펌프에는 임펠러가 위치되는 내부 공간의 진공화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캐비테이션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된 캐비테이션홀은 진공화를 방지하는 대신 해당 부위로 강제적인 응축수의 분사가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응축수의 분사로 인해 야기되는 손상이나 펌핑 유동의 방해 현상 등의 부가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006064호 역시 의류 건조기의 배수펌프 어셈블리에 관련한 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 기술의 구조로도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 내의 잔존수를 최소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110498호 미국 등록특허 US9,134,067B2 국내 공개특허 제10-2016-0006064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펌프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응축수가 잔존하는 공간의 배수가 최대한 많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커버 내부 공간의 압력에 의해 하부커버와 펌프커버와의 결합 부위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펌프 어셈블리를 이루는 배수커버 내의 진공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제어부가 배수운전의 완료 전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프로그래밍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응축수 회수부 내의 잔존수를 최대한 배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를 이루는 하부커버의 둘레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비테이션홀이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상기 하부커버 내의 기포가 하부커버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캐비테이션홀이 응축수 회수부 내의 모서리 부위를 향하도록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캐비테이션홀을 통해 배출되는 기포가 응축수 회수부의 둘레벽에 직분사되어 해당 부위를 손상시키거나 압력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하부커버의 둘레벽이 안내하우징의 둘레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서로 간의 사이에 완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하부커버에 안내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한 커버결합턱이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하부커버가 안내하우징을 정확히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펌프커버에 안내하우징 내외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안내하우징 내부의 과도 압력이 해소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안내하우징 내에 생성된 기포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연통홀이 펌프커버의 저면과 안내하우징 간의 모서리에 관통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안내하우징 내외의 공간 및 펌프커버의 상하측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펌프커버에 보강리브가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하부커버의 둘레벽이 펌프커버 내의 압력에 의해 들리거나 벌어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하부커버의 둘레벽이 펌프커버의 하우징결합턱 및 보강리브 사이에 결합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서로 간의 더욱 견고한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보강리브가 하부커버의 둘레벽을 내측에서 받쳐주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로써 하부커버의 둘레벽이 펌프커버 내의 압력에 의해 들리거나 벌어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보강리브가 복수의 부위로 분할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이격 부위 사이로 기포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하부커버의 둘레벽 외면에 배출수 유동가이드가 더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캐비테이션홀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기포가 응축수 회수부 내의 벽면으로 직분사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배출수 유동가이드가 하부커버의 둘레 방향을 향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캐비테이션홀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기포의 유동 방향이 안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에 따르면 배수운전시 배수펌프를 이루는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그 이전의 회전 속도에 비해 더욱 증가되도록 제어하는 부가 펌핑운전이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잔존수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 부가 펌핑운전은 배수운전이 수행되는 도중 해당 배수운전의 종료 직전에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잔존수 배출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은 배수운전이 건조도 변동을 확인하여 진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정확한 시점에서의 배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은 부가 펌핑운전이 배수운전의 종료 전에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더욱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도록 이루어짐을 제시하며, 이로써 잔존수의 요동에 따른 부가적인 펌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은 부가 펌핑운전이 가장 마지막의 배수운전시 수행되도록 제어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건조운전 도중 증발기를 자동 세척하는 세척운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은 임펠러의 회전 속도의 증가가 목표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소요 시간이 최대한 짧게 이루어지도록 제어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잔존수의 요동이 더욱 확연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은 임펠러 회전 속도에 대한 증가는 두 번 이상 복수번 수행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배수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은 임펠러의 회전 속도가 더욱 증가될 때마다 해당 속도로의 유지 시간이 점차 길어지게 제어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배수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은 복수 번의 임펠러 회전 속도에 대한 증가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됨을 제시하며, 이로써 배수량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은 배수운전시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순간적으로 변동시키는 부가 펌핑운전의 추가적인 수행을 통해 응축수 회수부 내에 잔존하는 잔존수를 최소화하여 쉽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잔존수로 인한 오염 발생이나 악취 발생 등의 문제점은 자연히 해소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에 따른 부가 펌핑운전이 시간 및 건조도 변동을 기준으로 속도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시점에 부가 펌핑을 수행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은 배수펌프 어셈블리를 이루는 보강리브의 추가 제공을 통해 하부커버 내의 압력에 의해 하부커버와 펌프커버와의 결합 부위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력 누설로 인한 펌핑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은 펌프커버의 저면과 안내하우징 간의 모서리에 연통홀을 관통 형성함에 따라 안내하우징 내외의 공간 및 펌프커버의 상하측 공간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게 되어 과도 압력의 해소와 기포의 해소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은 캐비테이션홀을 통해 배출되는 기포가 응축수 회수부 내의 벽면을 향하여 직분사됨을 방지하면서 그 유동이 하부커버의 둘레를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응축수 회수부 내의 벽면에 대한 압력 상승이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부커버 저부의 주변에 존재하는 잔존수를 더욱 요동치게 하면서 상기 하부커버측으로 유도함에 따라 최대한의 잔존수 배수를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 및 세척 운전을 위한 구조를 개략화하여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의한 건조운전을 위한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베이스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의 “B”부 확대도
도 9는 도 7의 II-II선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C”부 확대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배수펌프 어셈블리의 펌프커버와 하부커버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상부 및 저부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배수펌프 어셈블리의 펌프커버와 하부커버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배수펌프 어셈블리의 펌프커버와 하부커버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배수펌프 어셈블리의 펌프커버와 하부커버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저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배수펌프 어셈블리의 하부커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배수펌프 어셈블리의 배출수 유동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베이스프레임에 배수펌프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배수펌프 어셈블리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9의 III-III선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열교환부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4의 I-I선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세척부에 대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확대도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순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과정 중 전극값의 변동 및 각 구동요소들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는 건조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의류 건조기임을 그 예로 한다.
또한, 의류 처리장치가 수행하는 처리운전은 건조운전을 의미함과 더불어 이러한 건조운전에 의해 처리되는 처리 대상물은 건조 대상물을 의미하며, 아래에 사용되는 용어 역시 처리운전과 처리 대상물을 건조운전과 건조 대상물로 지칭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각 부위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크게 캐비넷(100)과, 드럼(200)과,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와, 히트펌프 시스템과, 순환팬(500)과, 세척부(600)와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700)가 배수운전 도중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기존은 임펠러(312)의 회전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그 동작 시간의 제어를 통한 배수운전(S300)이 수행되도록 하였으나 이의 경우 임펠러(312)보다 낮은 수위에 존재하는 응축수까지는 배수되지 못하고 일부 잔존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는데, 이러한 잔존수의 수위를 최소화하여 빠르게 건조되어 제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잔존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의 구조적 변경을 통해 배수량의 극대화 및 배수운전시 소음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구조를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캐비넷(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캐비넷(100)은 의류 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이러한 캐비넷(100)은 내부가 빈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넷(100)의 내부에는 건조 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20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은 상기 드럼(200) 내로 건조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0)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10)는 도어(120)에 의해 개폐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캐비넷(100) 내에는 배수통(160)이 구비된다. 상기 배수통(160)은 배수하고자 하는 물(배수용 물)을 일시 저장하는 통이다.
상기 배수통(160)은 상기 드럼(200) 내의 상단 중 어느 한 측에 취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배수통(16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취출하여 배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캐비넷(100)의 하단에는 베이스프레임(150)이 구비되며, 이러한 베이스프레임(150)이 상기 캐비넷(100)의 바닥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특히, 후술될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와, 히트펌프 시스템, 순환팬(500) 및 순환유로(800) 등은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50)의 상면(캐비넷 내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베이스프레임(150)에는 복수의 함몰부위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함몰부위는 압축기(410)의 설치를 위한 함몰부위(152)와, 드럼구동용 모터(220)의 설치를 위한 함몰부위(153) 및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의 설치를 위한 함몰부위가 포함된다. 이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의 설치를 위한 함몰부위는 배수용 물의 저장을 위한 응축수 회수부(151)로 사용된다.
상기 배수용 물은 건조운전시 발생된 물 및 공기의 열교환시 발생되는 응축수가 될 수 있다. 즉, 건조운전시 다습한 공기가 통과되는 히트펌프 시스템의 증발기(440) 표면에는 응축수가 맺히게 되고, 이러한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440)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린 후 상기 베이스프레임(150)에 함몰 형성된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되는 것이다.
더욱이, 순환유로(800) 내의 바닥면은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가 위치된 부위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순환유로(800) 내의 바닥으로 흘러 내린 응축수 및 세척수는 상기 순환유로(800) 내의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가 형성된 부위로 흘러 내리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는 상기 순환유로(800)의 후방측 측부(응축기와 순환팬 사이의 측부)에 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순환유로(800) 내부와는 통과홀(801)을 통해 응축수를 제공받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되는 잔존수는 모든 운전 후 배수통(160) 내로 배수되도록 이루어지며, 세척운전이 진행될 때에는 상기 배수통(160)으로 배수되지 않고 세척운전을 위한 세척수로 사용된다.
다음은, 상기 드럼(2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드럼(200)은 전후면에 개구를 가지는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는 상기 캐비넷(100)의 투입구(110)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드럼은(200) 캐비넷(100) 내의 롤러(130)를 이용하여 그의 회전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는 고온의 건조 열풍이 통과되도록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건조 열풍은 상기 드럼(200)의 후방측 개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 및 후방측 개구에는 후술될 히트펌프 시스템의 증발기(440)와 응측기(420)를 경유하는 순환유로(800)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순환유로(800)에 의해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드럼(200) 내의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고, 이렇게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다시금 히트펌프 시스템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순환유로(800)의 공기 유출측에는 상기 드럼(200) 내로 건조 공기를 공급하도록 안내하는 인렛덕트(810)가 연결되고, 상기 순환유로(800)의 공기 유입측에는 상기 드럼(200) 내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 유동을 안내하는 아웃렛덕트(820)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드럼(200) 내부에는 건조도 감지부(210)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건조도 감지부(210)는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건조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두 개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전극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면서 드럼(200) 내부를 향해 노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210)는 예컨대, 도어(1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어측의 캐비넷(100)에 설치될 수가 있다.
상기 건조도 감지부(두 전극)(210)는 건조 대상물이 접촉될 경우 이 건조 대상물의 상태(예컨대, 건조 대상물의 젖은 정도)에 따라 가변되는 전류값을 토대로 변환된 전극값으로 해당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를 판단한다. 즉, 상기 건조 대상물은 상기 건조도 감지부(두 전극)(210)에 대하여 저항으로 작용됨을 고려할 때 상기 건조 대상물의 수분 함유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기 때문에 회로에 흐르는 전류 또한 가변되며, 이렇게 가변되는 전류의 변동값을 미리 규정한 전극값으로 변환하여 이 전극값으로 건조도가 판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미리 규정한 전극값이라 함은 의류 처리징치의 제어에 용이한 수치 범위로 변환한 임의의 값이 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는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를 펌핑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위이다.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는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수용되게 설치되며, 배수펌프(310)와 펌프커버(320) 및 하부커버(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배수펌프(310)는 배수모터(311)와 임펠러(312)로 이루어진 펌프이며, 상기 배수모터(311)의 구동에 의한 임펠러(312)의 회전으로 잔존수를 펌핑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다.
특히, 상기 배수모터(311)는 출력 제어가 가능한 비엘디씨(BLDC)모터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임렐러(312)는 축류팬으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펌프커버(320)는 배수펌프(310)의 장착 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펌핑되는 잔존수의 토출 유동을 안내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펌프커버(320)는 응축수 회수부(151)에 설치되며, 상면에는 배수모터(311)가 안착되는 안착단(321)이 제공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상기 임펠러(312)가 수용되면서 잔존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하우징(322)이 하향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펌프커버(320)의 상면 중 어느 한 모서리측 부위에는 내부가 빈 관체로 형성되면서 펌핑되는 잔존수의 토출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토출포트(323)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토출포트(323)의 저부 끝단은 상기 펌프커버(320)의 저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펌프커버(320) 저면의 안내하우징(322)을 따라 유동된 잔존수를 상부로 토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내하우징(322)은 상기 펌프커버(320)의 저면 중 상기 안착단(321)의 저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면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원통형의 하우징몸체(322a) 및 상기 하우징몸체(322a)의 어느 한 둘레로부터 돌출되는 연장단(32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단(322b)은 상기 토출포트(323)와의 연통 부위(개방 부위)를 감싸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몸체(322a)와 연장단(322b)은 서로 연통된 내부 공간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펌프커버(320)의 저면 중 상기 안내하우징(322)의 둘레로는 하우징결합턱(324)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결합턱(324)은 하부커버(330)와의 결합을 위한 부위로 제공되며, 외면에는 후크결합홈(324a)이 요입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펌프커버(320)의 저면 중 상기 하우징결합턱(324a)과 상기 안내하우징(322) 사이에는 보강리브(325)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결합턱(324)은 상기 안내하우징(322)과 대략 동일한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안내하우징(322)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325)는 상기 하우징결합턱(324)으로부터 하부커버(330)의 둘레벽(331)이 이루는 두께만큼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하부커버(330)의 둘레벽(331) 내측을 받쳐주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보강리브(325)와 하우징결합턱(324)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330)의 둘레벽(331)은 그의 내외로 받쳐짐이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보강리브(325)가 상기 하부커버(330)의 둘레벽(331) 내부를 받쳐주기 때문에 상기 하부커버(330)가 상기 하부커버(330) 내의 압력에 의해 들어올려지면서 압력이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압력 누설로 인한 펌핑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보강리브(325)는 복수의 부위로 분할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각 보강리브(325)들 사이의 이격 부위를 통해 기포가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펌프커버(320)에는 수위센서(326)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위센서(326)는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되는 잔존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위센서(326)는 최대 수위(예컨대, 만수위) 및 최소 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구성임을 그 예로 한다. 물론, 상기 수위센서(326)는 다양한 높이별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하부커버(330)는 상기 배수펌프(310)를 보호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하부커버(330)는 둘레벽(331) 및 저부벽(332)을 갖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펌프커버(320)의 안내하우징(322)을 덮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둘레벽(331)은 상기 펌프커버(320)의 저면에 형성된 하우징결합턱(324)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결합턱(324)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330)의 저부벽(332)에는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가 유입되도록 개구된 유입구(332a)가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펌프(310)를 이루는 임펠러(312)는 상기 유입구(322a)에 위치된 상태로 회전되면서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를 펌핑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하부커버(330) 중 저부벽(332)의 상면(둘레벽 내의 바닥면)에는 상기 안내하우징(322)에 결합되는 커버결합턱(333)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하우징(322)과 커버결합턱(333)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하여 서로 간의 결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330)의 둘레벽(331) 외면에는 복수의 걸림후크(334)가 구비되면서 하우징결합턱(324)의 외면에 형성된 후크결합홈(324a)에 후크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330)의 둘레벽(33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비테이션홀(335)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캐비테이션홀(335)은 하부커버(330) 내의 기포를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임펠러(312)의 고속 회전시에는 안내하우징(322)의 내부 압력이 충분히 높게 존재하여야 잔존수가 원활히 펌핑되지만 잔존수의 유동시 발생되는 기포들이 과도하게 쌓일 경우 임펠러(312)의 회전 속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펌핑 성능이 오히려 저하된다.
이를 고려할 때 상기 하부커버(330)에 캐비테이션홀(33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내하우징(322) 내의 기포를 최대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펌프커버(320)에는 상기 안내하우징(322) 내외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홀(327)이 형성되고, 이러한 연통홀(327)을 통해 상기 안내하우징(322) 내의 기포가 하부커버(330) 내로 유입된 후 상기 캐비테이션홀(3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연통홀(327)은 펌프커버(320)의 저면과 안내하우징(322) 간의 모서리에 관통 형성되면서 안내하우징(322) 내외의 공간 및 펌프커버(320)의 상하측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하부커버(330)에 형성되는 캐비테이션홀(335)은 상기 안내하우징(322)을 이루는 연장단(322b)의 연장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측이나, 상기 연장단(322b)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러한 구조는 기포가 상기 하부커버(330)의 캐비테이션홀(335)을 통과할 때에는 하부커버(330) 내의 압력에 의해 고속으로 분사되는 현상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할 때 상기 기포가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각 벽면 중 최대한 먼 측의 벽면을 향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의 벽면에 대한 압력 상승을 최대한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비테이션홀(335)이 응축수 회수부(151)가 형성하는 저장공간 내의 모서리 부위를 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330)의 둘레벽 외면 중 상기 캐비테이션홀(335)의 측부에는 상기 캐비테이션홀(335)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기포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배출수 유동가이드(336)가 더 형성된다. 즉, 캐비테이션홀(335)의 형성 위치에 대한 개선뿐 아니라 상기 배출수 유동가이드(336)의 추가 제공을 통해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벽면에 대한 압력 상승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배출수 유동가이드(336)는 상기 하부커버(330)의 둘레 방향을 향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이로써 상기 캐비테이션홀(335)을 통과하면서 배출되는 기포가 하부커버(330)의 둘레 방향을 향해 분사되도록 유도하여 응축수 회수부(151)의 벽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수 유동가이드(336)는 라운드진 판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기포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배출수 유동가이드(336)의 끝단은 상기 하부커버(330)의 외면에 연결단(337)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배출수 유동가이드(336)의 파손이나 기포의 배출 압력에 의한 휨 변형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배출수 유동가이드(336)의 라운드 곡률은 상기 하부커버(330)의 외면이 이루는 라운드 곡률과 대략 유사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배출수 유동가이드(336)의 라운드 구조는 하부커버(330) 저부의 주변에 존재하는 잔존수를 더욱 요동치게 하면서 상기 하부커버(330)측으로 유도함에 따라 잔존수가 임펠러(312)에 맞닿도록 하여 최대한 임펠러(312)의 영향을 받아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배수펌프 어셈블리(336)를 이루는 배수펌프(310)의 임펠러(312)와 펌프커버(320) 및 하부커버(330)는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수용되게 위치되고, 특히 상기 하부커버(330)의 저부벽(332)에 형성된 유입구(332a)는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바닥에 최대한 인접할 수 있게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임펠러(312)는 상기 유입구(332a) 내에 위치되거나 혹은, 유입구(332a)에 최대한 인접할 수 있게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은, 히트펌프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은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되는 다습한 공기를 제공받아 열교환시켜 고온의 건조 공기로 생성하도록 이루어진 장치이다.
즉, 상기 히트펌프 시스템에 의해 드럼(200) 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항상 고온의 건조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히트펌프 시스템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6과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히트펌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열교환부에 대한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와 같이 히트펌프 시스템은 압축기(410)와 응축기(420), 팽창기(430) 및 증발기(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410)는 열교환을 위한 고온 저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고온 고압의 냉매로 압축하는 기기이고, 상기 응축기(420)는 상기 고온 고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저온 고압의 냉매로 응축하는 기기이며, 상기 팽창기(430)는 상기 응축된 저온 고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저온 저압의 냉매로 팽창하는 기기이고, 상기 증발기(440)는 상기 저온 저압의 냉매를 제공받아 주변을 지나는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기기이다. 이때 상기 증발기(440)를 통과한 냉매는 고온 저압 상태를 이루며, 이러한 고온 저압의 냉매는 상기 압축기(410)로 제공되는 순환을 반복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에서는 상기 압축기(410)와 팽창기(430)는 베이스프레임(150) 상면의 어느 한 측에 위치되고, 상기 응축기(420)와 증발기(440)는 상기 순환유로(800) 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증발기(440)는 상기 순환유로(800) 중 다습한 공기가 유입되는 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공기를 저온 저압의 냉매와 열교환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응축기(420)는 상기 증발기(440)의 공기 유출측에 배치되면서 상기 증발기(44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낮아진 건조 공기를 고온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상기 압축기(410)는 그의 동작시 다량의 열기를 발생시키는 기기임을 고려할 때 해당 압축기(410)의 방열을 위한 배기팬(411)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배기팬(411)에 의해 그의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압축기(410) 및 팽창기(430)는 상기 순환유로(800)와는 별도의 위치에 제공되면서 순환되는 공기에 영향(공기 흐름 및 온도)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 순환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순환팬(500)은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순환팬(500)의 구동에 의해 순환유로(800) 내의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공기가 인렉덕트(810)를 통해 드럼(200) 내로 공급되고, 또한 상기 드럼(200)을 통과한 공기는 아웃렛덕트(820)를 통해 순환유로(800) 내의 증발기(440) 및 응축기(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도록 순환되는 것이다.
상기한 순환팬(500)은 상기 순환유로(800) 중 응축기(420)의 공기 유출측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순환팬(500)은 팬하우징(510) 내에 수용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팬하우징(510)의 흡입구는 순환유로(800)에 연결되고, 상기 팬하우징(510)의 배기구는 인렛덕트(810)와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은, 세척부(6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21 및 도 22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세척부(600)는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로 증발기(440)를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세척부(600)는 상기 순환유로(8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베이스 커버(900)에 구비되며, 상기 잔존수를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으로 흘려내리면서 상기 증발기(440)의 공기 유입측 부위(전면)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베이스 커버(900)는 전방측 부위를 이루는 프론트 베이스 커버(910) 및 후방측 부위를 이루는 리어 베이스 커버(920)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부(600)는 상기 리어 베이스 커버(920)에 형성되는 유입홀(610) 및 노즐부(620)와, 상기 프론트 베이스 커버(910)에 형성되는 안내단(6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610)은 잔존수가 유입되는 부위이고, 상기 노즐부(620)는 상기 유입홀(610)을 통해 유입된 잔존수가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으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노즐부(620)는 상기 유입홀(610)이 연통되는 후방(도면상 우측)측 부위로부터 전방(도면상 좌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또는, 라운드)진 구조를 이룸과 더불어 전방측 끝단은 여타 부위에 비해 더욱 하향 경사(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증발기(440)는 상기 노즐부(620)의 전방측 끝단의 직하방에 전면이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이라 함은 순환유로(800)를 따라 유동되는 다습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440) 내로 유입되는 방향측의 면이다.
상기 유입홀(610)은 도시되지 않은 호스 혹은, 별도의 유로를 통해 유로밸브(640)로부터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를 공급받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유입홀(610)은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이의 경우 상기 유로밸브(640)는 상기 각 유입홀(610)로 선택적인 응축수의 공급 혹은, 동시적인 응축수의 공급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유로밸브는 후술될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로부터 펌핑된 잔존수가 상기 유입홀(610)로 유동되도록 안내하거나 혹은, 배수통(160)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동작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입홀(610)은 수도관을 통해 수돗물을 직접 공급받거나 혹은, 여타의 물이나 세척제가 저장된 저장통으로부터 상기 물이나 세척제를 별도로 공급받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내단(630)은 상기 프론트 베이스 커버(910) 중 상기 노즐부(620)와 마주하는 부위에는 형성되면서 상기 노즐부(620)를 타고 흘러내리는 잔존수가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을 향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안내단(630)은 후방(도면상 우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안내단(630)의 후방측 끝단은 여타 부위에 비해 더욱 경사(수직에 가까운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 제어부(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700)는 의류 처리장치의 동작 제어를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700)는 캐비넷(100)의 입력부(140)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조작에 근거하여 의류 처리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며, 각종 회로소자가 실장된 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순환팬(500)과 압축기(410)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처리 대상물에 대한 건조운전(처리운전)을 실시하고, 수위센서(326)에 의해 확인된 수위를 기준으로 배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응축수 회수부 내에 저장된 잔존수를 펌핑하여 배수하는 배수운전을 실시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배수운전의 종료 전 상기 배수펌프(310)를 이루는 임펠러(312)의 회전 속도가 그 이전의 회전 속도에 비해 더욱 증가될 수 있게 제어하도록 프로그래밍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을 위한 제어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각 운전에 대한 각 동작요소들이나 센서 및 밸브들에 대한 제어는 제어부(700)가 미리 프로그래밍된 정보를 토대로 수행되며, 아래의 설명에서는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각 제어가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임을 그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은 크게 건조운전(S100)과 세척운전 및 배수운전(S300)이 포함되어 진행되며, 특히 상기 배수운전(S300)의 종료 전에는 해당 배수운전(S300)이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될 경우 부가 펌핑운전(S400)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된 도 23의 순서도 및 도 24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각 운전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건조운전(처리운전)(S100)은 건조 대상물을 건조(처리)하는 운전이다.
이러한 건조운전(S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며,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될 경우 제어부(700)는 압축기(410)가 동작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배기팬(411) 및 순환팬(500)이 각각 동작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어부(700)에 의한 압축기(410)와 순환팬(500)의 구동에 의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동작 및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면서 드럼(200) 내부로 고온의 건조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즉, 압축기(410)의 동작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을 순환하는 냉매의 흐름과 순환팬(500)의 동작으로 증발기(440)와 응축기(42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공기의 순환 흐름에 의해 상기 공기에 함유된 수분이 제거됨과 더불어 고온화된 상태로 드럼(200) 내에 공급되어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된 다습한 공기는 아웃렛덕트(820)를 통해 순환유로(800) 내로 유입된 후 이 순환유로(800) 내에 위치된 증발기(440)를 통과하면서 수분이 제거됨과 더불어 응축기(420)를 통과하면서 고온화되고, 계속해서 순환팬(500)이 구비된 팬하우징(510)을 통과하여 인렛덕트(810)로 유동되면서 드럼(200) 내로 공급되는 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다습한 공기가 증발기(440)를 통과하는 도중에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증발기(440)의 표면(각 열교환핀의 표면)에 응축됨과 더불어 이 표면을 타고 흘러 내리면서 순환유로(800) 내의 바닥으로 낙하된 후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에 제공되고 있는 수위센서(326)는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에 저장된 잔존수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고, 이를 토대로 제어부(700)는 상기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를 배수통(160)으로 배수할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배수통(160)으로의 배수가 결정되면 배수펌프(310)의 동작 및 유로밸브(640)의 유동 안내에 의해 상기 배수통(160)으로 펌핑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 건조운전(S100)은 건조 하고자 하는 건조 대상물의 량(무게)에 따라 운전시간이나 조건이 달라질 수 있다.
즉, 건조 대상물의 량이 많을 수록 건조운전(S100)을 위한 운전시간은 더욱 길어질 수밖에 없다. 이때 상기 건조 대상물의 량은 예컨대, 드럼(200)의 회전을 위해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무게 센서나 여타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건조운전(S100)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배기팬(411)이 동작된다.
즉, 상기 배기팬(411)의 동작에 의해 압축기(410)를 방열시킴으로써 상기 압축기(410)의 압축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건조운전(S100)이 설정된 시간동안 수행되었거나 혹은, 건조 대상물이 완전히 건조되었음이 확인되면 압축기(410) 및 순환팬(500)으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건조운전(S100)이 종료된다.
다음으로, 세척운전은 상기 건조운전(S100)이 수행되는 도중 증발기(440)를 세척하도록 수행되는 운전이다. 이에 관련하여는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세척운전은 수위 조건 및 건조도 조건이 동시에 만족할 때 수행된다.
즉, 상기 제어부(700)는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된 잔존수의 수위가 만수위이면서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가 적어도 70% 이상 진행되었음으로 확인될 경우 유로밸브(640)를 제어하여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를 리어 베이스 커버(920)에 형성된 각 유입홀(610)로 공급하는 세척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위는 응축수 회수부(151)에 구비된 수위센서(326)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고, 상기 건조도는 건조도 감지부(두 전극)(210)에 건조 대상물이 접촉될 때 얻게 되는 전극값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운전이 실시될 경우 각 유입홀(610)로 공급된 잔존수는 상기 리어 베이스 커버(920)에 형성된 노즐부(620)를 따라 전방으로 유동된 후 낙하하면서 그 직하방에 위치된 증발기(440)의 전면(혹은, 세척 대상부위)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노즐부(620)를 따라 유동되는 잔존수의 일부는 프론트 베이스 커버(910)에 형성된 안내단(630)의 안내를 받아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으로 낙하하면서 상기 증발기(440)의 전면을 세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440)를 세척한 잔존수 및 다습한 공기가 상기 증발기(44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될 때 발생된 응축수는 순환유로(800) 내의 바닥으로 낙하된 후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저장되며, 이후 배수펌프(310)의 동작 및 유로밸브(640)의 동작에 의해 각 유입홀(610)로 공급하는 동작이 반복된다.
한편, 전술된 세척운전은 두 번 이상 복수번이 진행될 수 있다. 예컨대, 건조 대상물이 많아 건조 시간이 대략 120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두 번 이상 진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세척운전이 진행될 때에는 배수펌프(310)가 지속적으로 동작됨과 더불어 유로밸브(640)는 상기 배수펌프(310)에 의해 펌핑되는 잔존수가 각 유입홀(610)로 유동되도록 하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로써 상기 세척에 사용된 잔존수는 순환유로(800)로부터 흘러내리면서 응축수 회수부(151)에 회수되는 응축수와 함께 세척을 위한 용도로 재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수운전(S300)은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를 배수통(160)으로 펌핑하여 배수되도록 하는 운전이다.
이와 같은 배수운전(S300)은 건조 대상물의 량이나 젖음 정도 등에 따라 한 번 혹은, 두 번 이상 복수번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건조 대상물이 많고 또한, 건조도가 낮을 수록 해당 건조 대상물로부터 흘러 내리는 수분이 많기 때문에 배수운전 역시 더욱 많이 수행되어야 하고, 건조 대상물이 적거나 건조도가 높을 수록 배수운전(S300)은 최소한의 횟수만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건조 대상물의 량은 예컨대, 드럼(200)의 회전을 위해 공급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으며, 별도의 무게 센서나 여타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건조도는 건조도 감지부(두 전극)(210)에 건조 대상물이 접촉될 때 얻게 되는 전극값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배수운전(S300)은 배수펌프 어셈블리(300)에 제공되는 수위센서(326)를 통해 확인된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 수위가 설정된 수위(만수위)를 초과할 경우 수행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배수운전(S300)의 수행 조건에 해당된다면 제어부(700)는 배수모터(311)의 동작 제어를 통해 배수운전(S300)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운전(S300)의 수행 조건이라 함은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수위가 만수위를 이루는 수위조건과, 건조운전(S100)이 종료되기 전의 운전조건이 포함된다.
물론, 상기 배수운전(S300)은 건조운전(S100)이 완전히 종료된 후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건조운전(S100)의 종료 후 배수운전(S300)을 수행한다면 이 배수운전(S300)의 수행 시간만큼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이 지속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운전 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이를 고려한다면 건조운전(S100)의 종료 전에 배수운전(S300)을 수행함으로써 건조운전(S100)의 종료 시간이 전체적인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시간과 동일할 수 있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수운전(S300)이 수행되는 조건 중 건조운전(S100)이 종료되기 전의 운전조건은 건조도를 기준으로 정해진다.
이때, 상기 건조도는 건조도 감지부(두 전극)(210)에 건조 대상물이 접촉될 때 얻게 되는 전극값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건조도 감지부(210)를 통해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 변동을 확인하는 건조도 확인과정이 수행되고, 이러한 건조도 확인과정을 통해 확인된 건조도가 미리 설정된 건조도를 초과할 경우 배수펌프(310)의 동작 제어에 의한 배수가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배수 제어과정이 수행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건조도는 예컨대, 건조 대상물이 70% 이상 건조된 상태의 건조도가 될 수 있다. 즉, 건조 대상물이 어느 정도 건조된 상태이어서 잔존수의 증가가 급격히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에서 배수운전(S300)을 수행하는 것이다. 물론, 다습한 고온의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 역시 건조 대상물의 건조도가 높을 수록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되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건조가 진행되었을 때 배수운전(S300)을 수행함으로써 전체 운전 시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특정값의 건조도가 아니라 건조도 변동율을 이용하여 배수 제어과정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예컨대, 건조도의 변동율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면서 이러한 건조도 변동율이 평균값을 초과한 급격한 변동이 발생되는 시점부터 상기 배수 제어과정이 수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수 제어과정에 의한 잔존수의 배수가 진행되는 도중 설정된 시점에 도달되면 임펠러(312)의 회전 속도를 더욱 증가시키도록 제어하는 부가 펌핑운전(S400)이 추가로 수행된다.
즉, 배수운전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동일한 속도로 일정 시간동안 임펠러(312)를 회전시키면서 펌핑할 경우에는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잔존수 수위가 하부커버(330)의 유입구(332a)에 비해 낮아지는 순간 더 이상 펌핑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해당 수위 아래의 잔존수는 제거할 수가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가 펌핑운전(S400)을 통해 배수운전(S300)이 종료되기 전에 임펠러(312)의 회전 속도를 더욱 증가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잔존수의 수위가 상기 유입구(332a)에 비해 낮아지기 직전 급격한 임펠러(312)의 회전 속도 증가에 따른 펌핑력의 변동으로 상기 잔존수가 요동치게 하면서 임펠러(312)에 잔존수가 맞닿아 붙어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이로써 계속적인 펌핑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임펠러(312)의 급격한 회전 속도 증가가 이루어질 때에는 순간적인 압력 증가가 발생되면서 응축수 회수부(151)의 바닥에 잔존하는 잔존수를 최대한 강제적으로 흡입하게 되어 상기 잔존수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한 임펠러(312)의 순간적인 회전 속도에 대한 증가는 적절한 시점에 수행되도록 함이 가장 우수한 잔존수의 흡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적정 시점에 비해 일찍 임펠러(312)의 회전 속도에 대한 증가 제어가 이루어지거나 혹은, 적정 시점에 비해 늦게 임펠러(312)의 회전 속도에 대한 증가 제어가 이루어진다면 잔존수의 요동 현상을 기대하기가 어려워 해당 잔존수를 최대한 배출시키기에 한계가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312)의 회전 속도에 대한 증가 제어를 위한 부가 펌핑운전(S400)은 해당 배수운전(S300)의 총 수행 시간 또는, 건조도를 기준으로 종료 전에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종료 전이라 함은 대략 90% 이상의 배수운전(S300)이 진행된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한 부가 펌핑운전(S400)은 적어도 100RPM 이상 속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속도 증가가 100RPM 미만이라면 사실상 잔존수의 요동 효과가 극히 미미하여 잔존수 추가 배출을 이루기가 어렵다.
그리고, 건조운전(S100)이 진행되는 도중 배수운전(S300)이 두 번 이상 복수번 수행될 경우 전술된 부가 펌핑운전(S400)은 가장 마지막 배수운전(S300)에만 수행되도록 제어된다.
즉, 최종 배수운전 이전의 배수운전들은 사실상 응축수 회수부(151)의 수위 조절을 위한 용도이며, 계속적인 건조운전(S100)에 의해 응축수 등의 잔수가 계속해서 발생되기 때문에 전술된 속도 제어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특히, 건조운전(S100)이 수행되는 도중에는 세척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이러한 세척운전을 위해서는 잔존수가 일정 수위가 존재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배수운전(S300)에는 잔존수를 완전히 배수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세척운전은 사실상 가장 마지막에 진행되는 배수운전(S300)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부가 펌핑운전(S400)은 상기 세척운전시(혹은, 가장 마지막의 세척운전시)에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부가 펌핑운전(S400)은 목표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소요 시간이 목표 속도에 도달한 후부터 배수운전(S300)이 종료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에 비해 짧게 이루어지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최대한 속도 증가 시간이 짧을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순간적인 잔존수의 요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더욱 우수한 배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가 펌핑운전(S400)에서의 임펠러(312) 회전 속도에 대한 증가는 두 번 이상 복수번 수행될 수 있다. 즉, 일차적인 속도 증가 후 추가적인 속도 증가를 통해 더욱 많은 양의 잔존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돌고 한 것이다.
특히, 이러한 순차적인 속도 증가시에는 해당 임펠러(312)의 회전 속도가 증가될 때마다 해당 속도로의 유지 시간이 점차 길어지게 제어되며, 이와 함께, 상기 복수 번의 임펠러(312) 회전 속도에 대한 증가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된다.
이는, 임펠러(312) 저면(혹은, 펌프코버의 유입구)과 잔존수 간의 맞닿음이 최대한 끊어지지 않고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방법이며, 이를 통해 최대한의 잔존수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전술된 배수운전(S300)시의 부가 펌핑운전(S400)이 수행될 때에는 사실상 다량의 공기도 함께 배수펌프(310)로 흡입되어 펌프커버(320)의 안내하우징(322) 내로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안내하우징(322) 내에는 다량의 기포가 발생된다.
이러한 다량의 기포는 임펠러(312)의 회전에 저항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펌핑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펌프커버(320)의 안내하우징(322)에는 연통홀(327)이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하부커버(330)에는 캐비테이션홀(33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연통홀(327)을 통해 상기 안내하우징(322) 내의 기포가 하부커버(330) 내로 유입된 후 상기 캐비테이션홀(33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안내하우징(322) 내부는 항상 적정 압력을 유지하면서 잔존수를 흡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캐비테이션홀(335)을 통해 배출되는 기포는 강제적인 배출로 인해 높은 압력의 배출력을 갖지만, 상기 하부커버(330)의 둘레벽(331) 외면에는 상기 캐비테이션홀(335)로부터 배출되는 기포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배출수 유동가이드(336)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기포는 응축수 회수부(151)의 벽면으로 곧장 분사되지 않고 하부커버(330)의 둘레를 선회하게 되어 응축수 회수부(151)의 내벽면에 대한 압력 상승은 방지된다.
그리고, 전술된 과정에 의한 배수운전(S300)이 완전히 종료되면 배수펌프(310)의 동작 제어가 중단된다.
물론, 상기 배수운전(S300)이 종료되더라도 건조운전(S100)은 계속해서 수행되며, 이러한 건조운전(S100)이 종료되면 순환팬(500) 및 압축기(410)(히트펌프 시스템)의 동작이 정지되면서 모든 작업이 완료된다.
이렇듯,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은 배수운전 도중 임펠러(312)의 회전 속도를 순간적으로 변동시키는 부가 펌핑운전(S400)의 추가적인 수행을 통해 응축수 회수부(151) 내에 잔존하는 잔존수를 최소화하여 쉽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잔존수로 인한 오염 발생이나 악취 발생 등의 문제점은 자연히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에 따른 부가 펌핑운전(S400)이 시간 또는, 건조도 변동을 기준으로 속도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시점에 부가 펌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은 배수펌프 어셈블리(300)를 이루는 보강리브(325)의 추가 제공을 통해 하부커버(330) 내의 압력에 의해 하부커버(330)와 펌프커버(320)와의 결합 부위가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압력 누설로 인한 펌핑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은 펌프커버(320)의 저면과 안내하우징(322) 간의 모서리에 연통홀(327)을 관통 형성함에 따라 안내하우징(322) 내외의 공간 및 펌프커버(320)의 상하측 공간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게 되어 과도 압력의 해소와 기포의 해소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은 캐비테이션홀(335)을 통해 배출되는 기포가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벽면을 향하여 직분사됨을 방지하면서 그 유동이 하부커버(330)의 둘레를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응축수 회수부(151) 내의 벽면에 대한 압력 상승이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부커버(330) 저부의 주변에 존재하는 잔존수를 더욱 요동치게 하면서 상기 하부커버(330)측으로 유도함에 따라 최대한의 잔존수 배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100. 캐비넷
110. 투입구 120. 도어
130. 롤러 140. 입력부
150. 베이스프레임 151. 응축수 회수부
160. 배수통
200. 드럼
210. 건조도 감지부 220. 드럼구동용 모터
300. 배수펌프 어셈블리
310. 배수펌프 311. 배수모터
312. 임펠러 320. 펌프커버
321. 안착단 322. 안내하우징
322a. 하우징몸체 322b. 연장단
323. 토출포트 324. 하우징결합턱
324a. 후크결합홈 325. 보강리브
326. 수위센서 327. 연통홀
330. 하부커버 331. 둘레벽
332. 저부벽 332a. 유입구
333. 커버결합턱 334. 걸림후크
335. 캐비테이션홀 336. 배출수 유로가이드
337. 연결단
410. 압축기 411. 배기팬
420. 응축기 430. 팽창기
440. 증발기
500. 순환팬
510. 팬하우징
600. 세척부 610. 유입홀
620. 노즐부 630. 안내단
640. 유로밸브
700. 제어부
800. 순환유로 801. 통과홀
810. 인렛덕트 820. 아웃렛덕트
900. 베이스 커버
910. 프론트 베이스 커버 920. 리어 베이스 커버

Claims (20)

  1. 세척시 발생된 세척수 및 응축수를 포함하는 잔존수가 저장되도록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응축수 회수부;
    상기 응축수 회수부 내에 수용되게 설치되면서 응축수 회수부 내의 잔존수를 펌핑하여 제공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펌프 어셈블리는
    배수모터 및 임펠러를 가지는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펌프의 장착 공간을 제공함과 더불어 펌핑되는 잔존수의 토출 유동을 안내하는 펌프커버 및 상기 펌프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배수펌프를 보호하는 하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배수운전의 완료 전 상기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커버는 상면에 상기 배수모터의 안착을 위한 안착단이 형성됨과 더불어 저면에는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면서 펌핑되는 잔존수의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하우징이 하향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커버는 둘레벽과 저부벽을 가지며, 저부벽에는 응축수 회수부 내의 잔존수가 유입되도록 개구된 유입구가 형성됨과 더불어 둘레벽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캐비테이션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커버의 어느 한 모서리측 부위에는 내부가 빈 배출포트가 상향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이 배출포트의 저부 끝단은 상기 펌프커버의 저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하우징은
    펌프커버의 중앙측 부위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원통형의 하우징몸체와,
    상기 하우징몸체의 어느 한 둘레로부터 돌출되면서 상기 배출포트가 개방된 부위를 감싸도록 연장된 연장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둘레벽은 상기 안내하우징의 둘레벽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의 저부벽 상면에는 상기 안내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결합턱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되는 캐비테이션홀은 상기 연장단의 연장 방향과는 수직한 방향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되는 캐비테이션홀은 상기 연장단의 연장 방향과는 반대 방향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에 형성되는 캐비테이션홀은 상기 응축수 회수부가 형성하는 응축수 회수부 내의 어느 한 모서리 부위를 향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커버에는 상기 안내하우징 내외측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펌프커버의 저면과 안내하우징 간의 모서리에 관통 형성되면서 안내하우징 내외의 공간 및 펌프커버의 상하측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커버의 저면에는 상기 하부커버의 둘레벽이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커버의 둘레벽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하우징결합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결합턱과 상기 안내하우징 사이에는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하부커버의 둘레벽을 내측에서 받쳐주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리브는 복수의 부위로 분할되면서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커버의 둘레벽 외면 중 상기 캐비테이션홀의 측부에는 상기 캐비테이션홀을 통과하여 배출되는 기포의 유동 방향을 안내하는 배출수 유동가이드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 유동가이드는 상기 배출되는 기포가 상기 하부커버의 둘레 방향을 향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드럼 내로 투입된 처리 대상물을 처리하도록 운전되는 처리운전;
    배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응축수 회수부 내의 잔존수를 배수하는 배수운전;을 포함하여 진행되며,
    상기 배수운전의 종료 전에는 배수펌프를 이루는 임펠러의 회전 속도를 그 이전의 회전 속도에 비해 더욱 증가되도록 제어되는 부가 펌핑운전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운전은
    건조도 감지부를 통해 처리 대상물의 건조도 변동을 확인하는 건조도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된 건조도가 미리 설정된 건조도를 초과할 경우 배수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잔존수를 배수하는 배수 제어과정을 포함하여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운전이 두 번 이상 복수번 수행될 경우 상기 부가 펌핑단계는 가장 마지막의 배수운전시 수행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펌핑운전에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 속도의 증가는
    목표 속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소요 시간이 목표 속도에 도달한 후부터 배수운전이 종료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에 비해 짧게 이루어지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펌핑운전에서의 임펠러 회전 속도에 대한 증가는 두 번 이상 복수번 수행되고,
    상기 임펠러의 회전 속도가 더욱 증가될 때마다 해당 속도로의 유지 시간이 점차 길어지게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번의 임펠러 회전 속도에 대한 증가는 미리 정해진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되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운전 제어방법.
KR1020190087655A 2019-07-19 2019-07-19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KR20210010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55A KR20210010144A (ko) 2019-07-19 2019-07-19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55A KR20210010144A (ko) 2019-07-19 2019-07-19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144A true KR20210010144A (ko) 2021-01-27

Family

ID=7423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655A KR20210010144A (ko) 2019-07-19 2019-07-19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14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498A (ko) 2011-03-29 2012-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US9134067B2 (en) 2007-09-04 2015-09-15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KR20160006064A (ko) 2014-07-08 2016-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4067B2 (en) 2007-09-04 2015-09-15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KR20120110498A (ko) 2011-03-29 2012-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KR20160006064A (ko) 2014-07-08 2016-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376B1 (ko) 세탁건조기
KR102300343B1 (ko) 의류처리장치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KR100955484B1 (ko) 세탁기 및 그 건조 제어방법
KR102057859B1 (ko) 의류처리장치
EP2185766B1 (en) Controlling method of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7520145B2 (en) Washing machine combined with dry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7663760B (zh) 具有热泵的洗衣干燥机及其干燥操作控制方法
JP4692178B2 (ja) 衣類乾燥装置
JP4687555B2 (ja) 衣類乾燥装置
KR20210020403A (ko) 의류 처리장치
US20090071031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condensed water discharge device for use in laundry treatment machine
JP4779731B2 (ja) 衣類乾燥装置
KR20210099913A (ko) 세탁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10144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운전 제어방법
KR20210009889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이의 자동 세척운전 제어방법
JP4352803B2 (ja) 洗濯乾燥機
JP4525463B2 (ja) 洗濯乾燥機
KR100715997B1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12442824B (zh) 洗涤干燥机
KR101054397B1 (ko) 건조 겸용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JP4779723B2 (ja) 衣類乾燥装置
KR20210111556A (ko) 의류 처리장치
JP4839748B2 (ja) 衣類乾燥装置
JP2008183307A (ja) 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