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448B1 -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448B1
KR101825448B1 KR1020110028389A KR20110028389A KR101825448B1 KR 101825448 B1 KR101825448 B1 KR 101825448B1 KR 1020110028389 A KR1020110028389 A KR 1020110028389A KR 20110028389 A KR20110028389 A KR 20110028389A KR 101825448 B1 KR101825448 B1 KR 10182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evaporator
cover plate
diffuse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0497A (ko
Inventor
정기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10028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448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BR112013024603-0A priority patent/BR112013024603B1/pt
Priority to EP12764467.2A priority patent/EP2691567B1/en
Priority to AU2012237107A priority patent/AU2012237107B2/en
Priority to PCT/KR2012/002226 priority patent/WO2012134149A2/en
Priority to CN201280016569.6A priority patent/CN103547728B/zh
Priority to RU2013147992/12A priority patent/RU2533712C1/ru
Priority to US13/431,390 priority patent/US8857071B2/en
Priority to ES12764467.2T priority patent/ES2617216T3/es
Publication of KR20120110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0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03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2Supports for cleaning appliances, e.g. fram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열교환기 표면으로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세척노즐로서, 분사될 유체가 공급되는 분사관; 및 상기 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된 유체가 일측에 위치하는 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분사되는 출구의 폭이 상기 분사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디퓨져;를 포함하며, 상기 디퓨져는 상기 분사관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척노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CLEANING NOZZLE FOR A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R CLEA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교환기의 표면에 유체를 분사하여 열교환기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회전하는 드럼의 내부에 건조대상물을 투입한 상태에서, 열풍을 드럼 내부로 공급하여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드럼에 공급되는 열풍은 전기 저항열 또는 가스 등의 연료를 연소시켜 얻어지는 열을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에 가하여 생성되는 것이지만, 에너지 소모량을 절감하기 위해서 히트펌프를 열풍 생성에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고온의 공기를 증발기와 열교환시켜 냉각및 응축시키고, 드럼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응축기와 열교환시켜 열풍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히트펌프를 이용하게 되면, 배기 또는 응축과정에서 버려지던 열량을 열풍 생성에 재투입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에너지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는 건조대상물인 의류와 접촉한 후 배기되는 것이어서, 건조과정에서 의류표면으로부터 분리된 린트를 다수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린트를 제거하기 위해 열풍의 배기유로 상에서 증발기로의 유입 이전에 린트제거 필터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린트가 외부로 배기되거나 증발기로 유입되는 것을 어느 정도 차단하고 있다.
그렇지만, 린트제거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린트제거 필터의 메쉬를 작게 하여야 하지만, 반대로 유로의 저항이 높아져 배기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어 메쉬의 크기를 줄이는 데에는 한계가 있게 된다. 이로 인해서, 일부의 린트가 상기 린트제거 필터를 통과하여 증발기로 유입되게 되고, 이렇게 유입된 린트는 증발기의 표면에 부착되어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고 및 흐름저항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부터 증발기 표면에 쌓인 린트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다. 일예로서, 증발기에 의해 응축되어 생성된 응축수를 증발기 표면에 분사하여 이를 통해, 린트를 제거하도록 한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응축수의 양은 항상 충분히 공급되는 것이 아니므로, 가용 응축수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린트제거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고, 응축수의 양이 충분한 경우라도 노즐을 통해 분사된 응축수가 증발기 표면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용량의 펌프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즉, 펌프의 용량이 커질수록 소모하는 전력량이 증가되고, 그 부피도 커지므로, 설치에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응축수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도 열교환기 표면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세척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세척노즐을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열교환기 표면으로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세척노즐로서, 분사될 유체가 공급되는 분사관; 및 상기 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된 유체가 일측에 위치하는 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분사되는 출구의 폭이 상기 분사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디퓨져;를 포함하며, 상기 디퓨져는 상기 분사관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척노즐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관의 외면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가 상기 분사관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관의 토출부가 상기 열교환기의 상측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의 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퓨져의 내부에 분사된 유체의 통로가 되는 채널이 구비되며, 상기 채널의 폭은 상기 입구로부터 출구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채널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출구측에서 채널의 바닥면은 열교환기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퓨져의 출구측과 이격되어, 분사된 유체를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저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열교환기 표면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열교환기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장치로서, 분사될 유체가 공급되는 분사관; 상기 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된 유체가 일측에 위치하는 입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유체가 분사되는 출구의 폭이 상기 분사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디퓨져; 상기 각각의 분사관에 유체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밸브; 및 상기 제어밸브측으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열교환기 세척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디퓨져의 출구측과 이격되어, 분사된 유체를 상기 열교환기 측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플레이트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분사관의 하부에 디퓨져를 구비하고 있어 분사관을 통해 토출된 유체가 디퓨져를 따라 흐르면서 유속이 저하되게 된다. 이를 통해, 토출구측에서 유체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사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를 최대한 세척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의 일 실시예가 적용된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도 3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절개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 중 분사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분사관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부분절개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예가 적용된 세척장치 중 제어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제어밸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실시예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척노즐의 제1 실시예를 갖는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여기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이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건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풍을 공급하여 드럼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능을 갖는 임의의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건조기는 대략 직육면체 형태의 캐비넷(100)을 포함하며, 상기 캐비넷(100)의 상부면에는 탑 플레이트(102)가 구비되고, 전면 상부에는 건조기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고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컨트롤 패널(104)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00)의 전면에는 건조대상물인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06)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106)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08)가 상기 투입구(106)와 인접하여 설치된다.
한편, 상기 캐비넷(100)의 내부에는 의류가 투입되는 드럼(11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드럼(110)의 전면 하부부근에 드럼(110)으로부터 배기된 공기가 유입되는 린트필터 설치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열풍에 포함된 린트들을 걸러내기 위한 린트필터(미도시)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함과 동시에 열풍이 이동하는 유로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의 하류측에 순환유로(116)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유로(116)의 내부에는 히트펌프(120)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히트펌프(120)는 증발기(121), 팽창기(122), 압축기(123) 및 응축기(124)를 포함하고 있으나, 상기 순환유로(116)에는 증발기(121) 및 응축기(12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팽창기 및 압축기는 순환유로의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로부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순환유로(116)를 지나면서 증발기(121)와 응축기(124)를 순차적으로 지나게 되고, 그에 따라 냉각(응축) 및 재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냉각과정에서 열풍에 포함된 수분은 응축되어 증발기 표면에 맺히거나 증발기의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응축수 포집부에 일차적으로 포집된다. 상기 응축수 포집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순환유로(116)의 하류에는 백덕트(114)가 설치되는데, 상기 백덕트(114)는 순환유로(116)로부터 유입된 열풍이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되도록 연결된다. 아울러, 상기 백덕트(114)의 내부에는 보조히터(118)가 구비되어, 응축기(124)에 의해 1차적으로 가열된 열풍을 재가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보조히터(118)는 상기 히트펌프가 정상상태에 도달하지 못한 초기 시점에 작동하여 열풍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정상상태에 도달한 경우라도 추가적인 열량을 제공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하는 용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열풍이 냉각 및 재가열을 거쳐서 다시 드럼으로 유입되는, 소위 "순환식" 건조기의 구성을 갖는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드시 "순환식" 건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린트필터 설치부(112)로부터 배기된 열풍이 증발기(121)만을 통과하여 냉각 및 응축된 후, 응축기를 통과하지 않고 캐비넷(100)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식" 건조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건조기의 베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베이스를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절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130)는 상기 캐비넷(100)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술한 순환유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히트펌프(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설치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기준으로 왼쪽에는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가 설치되는 순환유로가 배치되고, 오른쪽에는 상기 팽창기(122) 및 압축기(123)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캐비넷(100)의 전면부(도 3에서는 하단부)에는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와 연통되는 순환유로 유도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순환유로 유도부(131)는 상기 린트필터 설치부(112)와 연통되어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열풍을 상기 증발기(121)측으로 유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순환유로 유도부(131)에는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121)측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가이드 베인(1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베인(131a)에 의해 유도된 열풍은 상기 순환유로(116)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순환유로(116)는 상기 베이스(130)의 바닥면 및 상기 베이스(130) 상에 형성된 격벽(미도시)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상부를 덮는 커버 플레이트(140)에 의해 정의된다. 즉,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와 상기 베이스(130)의 격벽에 의해서 순환유로(116)가 형성되고, 이렇게 생성된 순환유로(116)를 통과하는 공기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베이스(130)의 배면에 형성되는 백덕트 연결부(133)를 통해 상기 백덕트(118)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30)의 바닥면 중에서 상기 증발기 및 응축기가 배치되는 부분은 상기 응축수 포집부(132)로서 기능한다. 즉, 상기 증발기(121)에 의해 응축되면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포집부(132)에 일차적으로 포집된다. 이렇게 포집된 응축수는 상기 압축기(123)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응축수 저장부(134)로 우입된다. 상기 응축수 포집부와 응축수 저장부는 도시되지 않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에 형성되는 통공에 의해서 서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응축수 포집부(132)에 포집된 응축수의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통공을 통해서 상기 응축수 저장부(134)로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렇게 응축수 저장부(134)에 저장된 응축수는 펌프(150)에 의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설치된 제어밸브(160)로 공급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펌프(150)의 토출구와 상기 제어밸브(160)의 유입포트(161) 사이에 연결된 급수관(180)을 통해서 공급된 응축수는 상기 제어밸브(160)에 구비된 복수 개의 급수포트(181, 182, 183) 및 배수포트(184)를 통해서 배출된다. 상기 유입포트(161)는 제어 디스크(167)가 내장되는 밸브케이스(165)에 형성되고, 상기 급수포트 및 배수포트는 상기 밸브케이스(165)와 결합되는 포트부(166)에 형성된다. 상기 제어 디스크(167)는 상기 밸브케이스(165)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모터(16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절개부(16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수포트 및 배수포트는 상기 포트부(168)에 90°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167a)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유입포트(161)를 통해 공급된 응축수의 경로가 정해지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급수포트(162)로 응축수가 배출되게 되며, 상기 절개부(167a)의 위치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렇게 제어밸브(160)를 통과한 응축수는 3 개의 급수관(181, 182, 183)을 거쳐서 분사관(170)으로 공급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관(170)은 중앙부가 휘어진 파이프 형태를 가지며,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체결부(171)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17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태를 가지며, 그 양단부 부근에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와 볼트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결공(17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사관(170)의 토출구(172)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를 관통하여, 커버 플레이트(140)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의 저면에는 상기 분사관(170)의 토출구(172)로부터 토출된 응축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디퓨져(142)가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디퓨져(1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의 저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디퓨져(142)의 내부에는 분사된 응축수가 흐르는 유로로서의 채널(143)이 형성되는데, 상기 채널(143)의 폭은 출구(144)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채널(143)의 출구(144)는 상기 증발기(121)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향으로 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관(170)을 통해 배출된 응축수는 상기 디퓨져(142)의 채널(143)을 따라 흐르면서 흐름이 안정화되고, 출구(144)의 형태를 따라서 상기 증발기의 전면부로 낙하하게 된다. 즉, 응축수가 분사관으로부터 토출된 직후에는 펌프의 압력으로 인해 속도가 빠르므로 벽면과의 충돌로 인해 비산되는 양이 많게 된다.
이렇게 비산된 양이 많아지면 증발기 표면으로 유도되는 응축수의 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디퓨저를 따라 흐르면서 유속이 저하되어 안정화된 후에 증발기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공급된 응축수를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디퓨져의 채널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채널의 길이가 불충분할 수 있다. 이를 대비하여, 상기 출구(144)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45)를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의 저면에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45)는 상기 증발기(121)의 전면을 향하도록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출구(144)를 통해 토출된 응축수 중 일부가 비산되더라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145)에 의해서, 증발기의 전면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디퓨져에 의해 토출되는 응축수가 도달하는 범위는 상기 증발기의 전체 면적에 비해서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디퓨져에 의해 분사되는 응축수는 상기 증발기 전체가 아닌 일부에만 도달하게 된다. 그렇지만, 3개의 디퓨져에 의해 분사되는 응축수가 도달하는 영역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르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디퓨져에 의해서는 증발기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없지만, 각각의 디퓨져에 의해 분사되는 범위를 합하면 증발기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증발기의 전 영역이란 반드시 증발기 전면의 모든 영역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열풍에 포함된 린트가 쌓일 가능성이 있는 영역도 포함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한편, 상기 응축수 저장부에 적정량 이상의 응축수가 저장된 경우에는 이를 배수하여 적정 수준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응축수 저장부의 응축수량이 적정 이상인 것을 수위감지센서(미도시) 등의 감지장치를 통해 감지하게 되면, 펌프(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밸브(160) 중 배수포트(165)를 통해 응축수가 배수되도록 한다. 이렇게 배수된 응축수는 상기 배수관(184)을 통해 캐비넷 외부로 배수되면서, 응축수 저장부의 응축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건조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하수구와 같은 배수시설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캐비넷 외부로 배수가 불가능하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의 상부에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응축수 저장조(109)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관(184)을 상기 응축수 저장조(109)와 연통시켜서 응축수가 상기 저장조(109)의 내부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응축수 저장조(109)에 저장된 응축수는 사용자에 의해 버려지거나, 필터 등을 통해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응축수가 부족한 경우에 활용할 수도 있다.
이제, 상기 실시예가 적용된 세척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포집된 린트를 제거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제어부는 응축수 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양을 감지한다. 감지된 응축수의 양이 증발기 세척에 필요한 최소량(여기서, 최소량은 하나의 디퓨져에 할당된 증발기 영역에 대해서 의미있는 수준의 세척이 가능한 양에 해당되며, 이는 당업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양이다) 이상인 경우에, 상기 펌프 및 제어밸브를 작동시켜 증발기의 표면으로 응축수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제어밸브는 제어 디스크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된 응축수가 각각의 디퓨져를 통해서 순차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절개부와 대향되는 급수포트 또는 배수포트가 상기 유입포트와 연통되고, 해당되는 포트를 통해서 응축수가 제어밸브로부터 토출되게 된다. 이렇게 토출된 응축수는 상기 분사관 및 디퓨져를 통해서 증발기의 표면으로 분사되고, 상기 응축수의 분사범위 내에 위치하는 증발기의 일부분은 분사된 응축수에 의해 세척되게 된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응축수가 각각의 디퓨져를 통해 분사되면, 열교환기의 표면도 그에 따라 순차적으로, 즉 시차를 두고 세척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디스크에 형성된 절개부의 개수에 따라서, 동시에 분사되는 분사관의 수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절개부가 3개인 경우에는 동시에 2개의 디퓨져를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절개부의 개수는 펌프의 용량 및 건조기의 용도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만일, 응축수의 양이 전체 증발기를 세척하기에 부족한 경우에는, 세척이 되지 않는, 즉 응축수의 잔량이 부족하여 다른 디퓨져에 비해서 분사횟수가 적은 디퓨져의 위치를 제어부 내부에 구비되는 메모리 등에 저장해 둔 후, 충분한 양의 응축수가 저장된 경우에, 해당 디퓨져부터 우선적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응축수의 양이 전체 증발기를 세척하기에 부족한 경우에 증발기의 일부 영역에만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분사량을 조절하여 전체 영역에 대해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응축수만으로 증발기를 세척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상수도원과 같은 외부의 급수원을 이용하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밸브의 유입포트를 추가하여 추가된 유입포트에 외부 급수원을 연결하거나, 유입포트와 연결되는 급수관으로부터 분지되는 추가 급수관을 외부 급수원과 연결하면,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증발기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부 급수원으로부터의 물 공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온오프 밸브를 외부 급수원과 연결되는 급수관에 설치하여, 응축수량이 충분한 경우에는 응축수만으로 세척을 수행하고, 응축수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온오프 밸브를 개방하여 외부의 물을 응축수와 함께 이용하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세척노즐도 다양한 형태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세척노즐을 갖는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실시예에서 세척노즐(200)은 3개의 급수포트(212)를 구비하고 상기 각각의 급수포트(212)와 연통되는 3개의 분사챔버(20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노즐(200)은 상기 3개의 급수포트(212)가 형성되는 상부 부재(210) 및 상기 상부 부재(210)와 결합되어 내부에 3개의 분사챔버(202)를 형성하는 하부 부재(220)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부재(210)와 하부 부재(220)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두 개의 체결부(214, 222)를 통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부재(22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형성되는 격벽(228)에 의해 상기 공간부는 3개의 분사챔버(202)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에는 후술할 상부 부재의 돌기부와 맞물리는 오목부(226)가 형성되어, 분사챔버의 내부를 외부에 대해서 밀봉하고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 부재(220)의 바닥면에는 공급된 응축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슬릿(224)이 상기 하부 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분사슬릿(224)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14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 부재(210)의 내부에는 상기 격벽(228)과 결합되는 홈(218)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26)와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부(216)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와 돌기부(216)가 서로 맞물려서 상기 분사챔버(202)로부터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슬릿(224)은 상기 증발기의 전면 상측에 위치하여 분사슬릿(224)을 통해 분사된 응축수가 증발기의 전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하나의 분사슬릿(224)이 상기 하부부재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지만, 복수 개의 분사슬릿이 각 분사챔버마다 형성되도록 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분사챔버에 복수 개의 유입포트가 형성되는 예도 고려할 수 있고, 하나의 유입포트를 복수 개의 분사챔버가 공유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Claims (10)

  1.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증발기, 응축기, 압축기 및 팽창기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열풍을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는 히트펌프;
    상기 드럼에서 배기된 열풍을 다시 상기 드럼으로 순환시키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의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열풍이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를 통과하도록 내부에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를 수용하는 베이스;
    상기 증발기와 응축기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열풍이 상기 증발기를 통과 시 상기 증발기의 표면에 쌓이게 되는 린트를 상기 증발기에서 생성된 응축수의 분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장치는,
    응축수 저장부;
    상기 응축수 저장부에서 상기 증발기의 전단부 상면으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로부터 상기 응축수를 공급받아 상기 증발기의 전단부 표면으로 상기 응축수를 분사하는 세척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노즐은,
    일측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로 노출되고 타측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저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응축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관;
    상기 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된 응축수의 유로를 형성하는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채널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의 전면부 상단으로 상기 응축수를 토출하는 복수의 디퓨져; 및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저면에서 상기 증발기의 전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디퓨져의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디퓨져의 출구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출구를 통해 토출된 응축수를 상기 증발기의 전면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의 외면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부가 상기 분사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의 토출구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의 입구는 상기 분사관의 타측을 수용하고, 상기 디퓨져의 출구는 상기 증발기의 전면을 향하여 하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상기 증발기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채널의 바닥면은 상기 증발기의 상부면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의 유동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분사관으로 상기 응축수를 공급하는 제어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응축수 저장부로부터 응축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상기 응축수를 상기 분사관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급수포트 및 상기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수포트를 구비하는 밸브케이스;
    상기 밸브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절개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응축수의 경로를 설정하는 제어 디스크;
    상기 밸브케이스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 디스크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및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으로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 디스크를 제어하여 상기 배수포트를 통해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10028389A 2011-03-29 2011-03-29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KR10182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89A KR101825448B1 (ko) 2011-03-29 2011-03-29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EP12764467.2A EP2691567B1 (en) 2011-03-29 2012-03-27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AU2012237107A AU2012237107B2 (en) 2011-03-29 2012-03-27 Laundry Machine
PCT/KR2012/002226 WO2012134149A2 (en) 2011-03-29 2012-03-27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BR112013024603-0A BR112013024603B1 (pt) 2011-03-29 2012-03-27 máquina de lavar
CN201280016569.6A CN103547728B (zh) 2011-03-29 2012-03-27 具有热交换器清洗装置的衣物处理装置
RU2013147992/12A RU2533712C1 (ru) 2011-03-29 2012-03-27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содержащее устройство очистки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US13/431,390 US8857071B2 (en) 2011-03-29 2012-03-27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ES12764467.2T ES2617216T3 (es) 2011-03-29 2012-03-27 Aparato de tratamiento de ropa que incorpora un dispositivo de limpieza con intercambiador de cal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389A KR101825448B1 (ko) 2011-03-29 2011-03-29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497A KR20120110497A (ko) 2012-10-10
KR101825448B1 true KR101825448B1 (ko) 2018-02-05

Family

ID=47281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389A KR101825448B1 (ko) 2011-03-29 2011-03-29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040B1 (ko) * 2015-06-18 201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능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US10662574B2 (en) * 2017-02-27 2020-05-26 Whirlpool Corporation Self cleaning heater exchanger plate
AU2019267033B2 (en) 2018-05-08 2023-03-3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1206405B (zh) * 2018-11-16 2022-07-01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烘干控制方法及衣物处理设备
CN116200925A (zh) * 2021-12-01 2023-06-02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3967A (ja) * 2004-03-23 2005-10-0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熱交換器フィンの洗浄装置及びそのノズ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3967A (ja) * 2004-03-23 2005-10-06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熱交換器フィンの洗浄装置及びそのノズ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0497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241B1 (ko)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EP2691567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EP2386679B1 (en) Clothes dryer
EP2664705B1 (en) Clothes dryer with heat pump
KR102231079B1 (ko) 배수 펌프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EP2203585B1 (en)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US20110277513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water filter thereof
KR101825448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KR20100031929A (ko) 덕트리스 건조기
KR102063765B1 (ko) 폐열 회수수단을 갖는 건조기
KR20170096795A (ko)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1825449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KR102493164B1 (ko) 식기세척기
KR20210099913A (ko) 세탁물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02564B1 (ko) 건조기의 온습도 조절 장치
KR10256820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474457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662567B1 (ko) 세탁기
CN219385706U (zh) 衣物处理装置
KR101729552B1 (ko) 건조기
KR2021000878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89049A (ko) 의류처리장치
KR20040052299A (ko) 건조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20050099184A (ko) 드럼 세탁기의 응축 덕트 구조
KR20050050314A (ko) 드럼 세탁기용 응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