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78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781A
KR20210008781A KR1020190085402A KR20190085402A KR20210008781A KR 20210008781 A KR20210008781 A KR 20210008781A KR 1020190085402 A KR1020190085402 A KR 1020190085402A KR 20190085402 A KR20190085402 A KR 20190085402A KR 20210008781 A KR20210008781 A KR 20210008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guide
washing water
spray
guid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이석
조현상
최철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8781A/ko
Priority to CN202080051839.1A priority patent/CN114127359B/zh
Priority to US16/929,678 priority patent/US11352736B2/en
Priority to PCT/KR2020/009309 priority patent/WO2021010743A1/en
Priority to AU2020312373A priority patent/AU2020312373B2/en
Priority to EP20185878.4A priority patent/EP3767027A1/en
Publication of KR20210008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781A/ko
Priority to US17/739,481 priority patent/US1189830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있는 열교환기의 상부에 해당하는 캐비넷(110)의 설치공간에 세척유닛(C)이 설치되어 배기된 공기가 유입되는 증발기(360)의 전면(362)에 세척수를 분사해준다. 이때, 상기 세척유닛(C)에는 열교환기의 상부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어 세척수를 열교환기 방향으로 안내하는 노즐부(S)와, 상기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의 전면(36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노즐부(S)의 반대편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세척수를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의 전면(362)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420)가 있다. 그리고 노즐부(S)의 끝부분에는 분사가이드가 돌출되는데, 상기 분사가이드는 세척수가 열교환기의 안쪽으로 쏠리는 경향성을 감안하여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의 전면(362) 보다 소정각도 앞쪽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유도해준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나 침구류 등의 건조 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 설치된 열교환기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유닛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의 의류 건조기는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히트펌프시스템의 운전을 통해 처리공간(드럼 혹은 옷이 걸린 스팀공간) 내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와 같은 피처리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피처리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건조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또한, 의류건조기는 피처리물을 건조시킨 후 처리공간을 빠져나가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처리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곧장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응축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을 통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공개특허 제10-2012-0110498호 및 미국 등록특허 US9,134,067B2에 제시되고 있는 의류처리장치는 건조 열풍을 위해 만들어진 고온 다습한 공기가 열교환기인 증발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응축수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축수 또는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증발기의 공기 유입측 부위를 세척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이것은 증발기의 공기 유입측 부위(전방 표면)에는 피처리물에서 발생한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이를 주기적으로 세척하여 증발기에 의한 열교환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생성된 응축수를 이용하여 스스로 증발기를 세척하는 방식(이하, “셀프 세척식”이라 함)은 수도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를 실내의 어디든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른 셀프 세척식 의류처리장치는 증발기의 전방 표면을 충분히 세척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증발기의 전방 표면의 세척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세척수(응축수)가 열교환의 전방 표면을 따라 아래쪽까지 중력방향으로 흐르면서 린트 등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데, 응축수가 증발기의 표면을 따라 흐르지 못하고 내측으로 유입되어 증발기의 전방 표면 중에서 아래쪽 부분은 충분히 세척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가지 이유로 발생할 수 있는데, (i) 히트펌프 동작과정에서 증발기 쪽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력에 의해 증발기의 표면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응축수)가 증발기의 내측으로 유입되거나, (ii) 방수를 위해 증발기의 외면에 처리되는 코팅층으로 인해 표면장력이 감소하여 세척수가 증발기의 안쪽으로 침투할 수 있고, (iii) 물체 표면 가까이에 형성된 유체가 압력의 차이로 인해 물체의 표면에 붙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로 세척수가 증발기의 안쪽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셀프 세척식 의류처리장치의 동작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의 생성량은 피처리물의 양에 비례하므로, 응축수에 의한 세척유량이 일정하지 않다. 응축수가 많은 경우에는 응축수의 적어도 일부가 증발기의 표면 보다 앞쪽으로 토출되기 때문에 앞서 밝히 이유들도 응축수가 증발기 방향으로 당겨지더라도 증발기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유량이 충분히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응축수가 적으면 응축수가 증발기의 표면 보다 앞쪽으로 토출되지 못하고 바로 증발기의 증발기의 안쪽으로 침투하여 세척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국내 공개특허 제10-2012-0110498호 미국 등록특허 US9,134,067B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응축수(세척수)의 토출방향이 열교환기의 표면보다 앞쪽을 향하도록 토출방향을 유도하여 열교환기의 표면 아래쪽까지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축수(세척수)의 발생량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열교환기의 표면이 효과적으로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있는 열교환기의 상부에 해당하는 캐비넷의 설치공간에 세척유닛이 설치되어 배기된 공기가 유입되는 열교환기의 전면에 세척수를 분사해준다. 이때, 상기 세척유닛에는 열교환기의 상부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어 세척수를 열교환기 방향으로 안내하는 노즐부와,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노즐부의 반대편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세척수를 열교환기의 전면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있다. 그리고 노즐부의 끝부분에는 분사가이드가 돌출되는데,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세척수가 열교환기의 안쪽으로 쏠리는 경향성을 감안하여 열교환기의 전면 보다 소정각도 앞쪽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유도해준다.
그리고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돌출된 길이(X)와 상기 분사가이드단과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L) 사이의 상대비(X/L)는 0.04 내지 0.15으로 설정되어, 최적의 세척수 분사각(β°)을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세척률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분사가이드단의 상면에는 상기 노즐부의 끝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경사면 또는 곡면형태의 분사면이 있는데, 상기 분사면은 상기 노즐부에서 연결되어 돌출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에서 연결되어 더 돌출되되 상기 제1경사면 보다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사면이나 곡면인 가이드부는 세척수를 가이드부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수의 유량이나 유속이 줄어들더라도 세척수가 가이드부를 거치지 않고 열교환기의 전면 방향으로 직접 분사되는 것을 막아준다.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는 상기 분사가이드단의 분사면은 상기 노즐부가 상기 열교환기의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각도 보다 완만한 각도로 연장되거나, 가이드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면은 세척수가 자칫 가이드부를 거치지 않고 열교환기의 전면 방향으로 직접 분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해준다.
상기 노즐부는 상기 급수관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커버 사이에 만들어진다. 분사가이드단은 이러한 노즐부에서 더 돌출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기존의 노즐부 형상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급수관의 배출구에서 연장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을 향해 중력방향을 따라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연결채널과, 상기 연결채널에서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더 연장되고 연결채널 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 토출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상기 토출채널의 끝부분에서 돌출된다. 이때 상기 토출채널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토출채널 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 급경사면이 연결될 수 있다. 급경사면은 급한 경사면을 만들어서 세척수의 유속을 빠르게 유도한다. 유속이 증가한 세척수는 분사면을 거치면서 가이드부 방향으로 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상기 세척수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보다 후퇴된 위치에 있고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에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끝부분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 보다 낮은 위치를 갖는다. 이를 통해 노즐부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열교환기와 간섭없이 열교환기의 전면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또한 세척수가 열교환기의 상면으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끝부분 보다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분사가이드단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가이드부의 끝부분에 세척수를 공급하므로 세척수가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서 후퇴된 거리(D2)가 2.0mm 내지 5.0mm이고,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에서 이격된 높이(H2)가 1.5.0mm 내지 4.5.0mm 사이일 때,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가이드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X)는 0.3mm 내지 1.1mm 이다. 이러한 돌출길이에 의해 세척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세척유닛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분사가이드단과 상기 가이드부 사이를 통해 토출되되,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열교환기의 전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분사각(β)의 범위는 5° 내지 15°이고, 상기 분사가이드단의 외면이 토출채널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이루는 내각(α)은 75° 내지 125°이다.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노즐부의 좌우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데, 상기 노즐부의 토출채널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분사가이드단이 토출채널의 좌우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사가이드단 사이에는 중력방향을 따라 개구된 낙하공간이 있다. 이러한 낙하공간은 세척수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 세척수가 모두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멀리 분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가이드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X1) 또는 분사가이드단의 두께(Y1)는 노즐부의 좌우폭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르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베이스커버가 있고, 상기 베이스커버는 프론트커버와 리어커버가 서로 조립되어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론트커버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리어커버의 저면에 설치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히트펌프시스템 작동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열교환기(증발기)의 세척수로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세척유닛은 린트 등 이물질이 주로 쌓이는 열교환기의 전면 방향으로 세척수(응축수)를 분사해주되 세척수가 열교환기의 안쪽으로 쏠리는 경향성을 감안하여 열교환기의 전면 보다 소정각도 앞쪽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유도한다. 이에 따라 세척수는 열교환기의 안쪽으로 유입되지 않고 열교환기의 전면 아래쪽까지 고르게 세척을 수행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세척유닛의 세척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세척수의 세척방향 설정은 응축수를 분사하는 노즐부 및 열교환기의 전면을 사이에 두고 노즐부와 마주보는 가이드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노즐부의 끝부분에는 분사가이드단이 가이드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분사되는 세척수가 자칫 가이드부를 거치지 않고 열교환기의 전면 방향으로 직접 분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해준다. 따라서 분사가이드단에 의해 세척수의 미세한 분사방향설정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열교환기의 미세척발생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가이드단의 돌출길이(X)와, 분사가이드단 및 가이드부 상대 이격거리(L)의 상대비율(X/L)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각(β°)과 그에 따른 세척률이 달리지는데, 본 발명에서는 최적의 상대비율을 설정함으로써 세척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분사가이드단의 외면에는 세척수가 유동하는 가이드부가 경사면 또는 곡면으로 만들어진다. 경사면이나 곡면인 가이드부는 세척수를 가이드부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수의 유량이나 유속이 줄어들더라도 세척수가 가이드부를 거치지 않고 열교환기의 전면 방향으로 직접 분사되는 것을 막아준다. 따라서 세척수(응축수)의 발생량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세척유닛은 열교환기의 전면을 고르게 세척해줄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패턴에 관계없이 항상 높은 세척률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분사가이드단은 노즐부에 더 돌출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기존의 노즐부 형상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유닛을 성형하기 위한 제조설비의 호환성이 높고 제조가 용이한 장점도 있다.
또한, 분사가이드단은 세척유닛이 설치되는 베이스커버에 만들어지는데, 이때 베이스커버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서 이동측다이와 슬라이드코어의 경계부분에 만들 수 있다. 이동측다이와 슬라이드코어의 경계부분은 파팅라인이 만들어져 제조공정상 오차가 발생하기 쉬운 부분인데, 이 부분을 평면이나 곡면으로 두지 않고 돌출된 형상으로 변경함으로써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의 영향을 줄일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분사가이드단은 다수개로 구성되고, 분사가이드단의 사이에는 중력방향을 따라 개구된 낙하공간을 두어 일부 세척수는 중력방향으로 낙하하여 열교환기 전면 방향을 직접 향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낙하공간은 세척수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 세척수가 모두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멀리 분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따라서 세척수의 유량 및 유속이 일정하지 않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열교환기 세척률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척유닛에 있는 노즐부와 가이드부는 베이스커버를 구성하는 2개의 부품(프론트커버 및 리어커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경우 2개의 부품의 제조공차나 조립공차에 의해 노즐부와 가이드부의 상대거리 등이 달라질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분사가이드단이 돌출되어 가이드부 방향으로 유로를 연장하고 있어서 어느 정도의 오차를 보상해줄 수 있다. 따라서 세척유닛을 이용한 세척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례에서 내부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하부구조만 독립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드럼과 드럼 하부의 구조들 중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의 V-V'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건조운전 및 세척을 위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도 6의 A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A부분에 해당하는 구성을 단면 상태로 표현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리어커버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세척유닛 중 일부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분사가이드단의 길이에 따른 분사각과 세척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분사가이드단의 다양한 실시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분사가이드단의 또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히트펌프시스템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피처리물인 의류나 침구류를 열처리한 후에, 피처리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다시 히트펌프시스템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히트펌프시스템을 구성하는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의 전면(362, 도 3참조)에 형성된 공기유입부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이물질은 히트펌프시스템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이용해서 세척하게 된다. 응축수를 이용한 세척구조와 방법은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의류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 이외에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 히트펌프시스템이 포함되는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해서 캐비넷(110) 등 외부구조들은 점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도 2는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 1의 하부구조를 보이고 있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품을 분해하여 보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크게 캐비넷(110), 드럼(200), 히트펌프시스템, 순환팬(390), 세척유닛(C), 배수통(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히트펌프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의류처리장치의 아래쪽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고, 세척유닛(C)은 하부구조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반드시 독립된 구조일 필요는 없다.
이들 구성들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먼저 캐비넷(1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110)은 내부에 빈 공간이 설치공간이 있는 통체로 구성되는데, 다수개의 부품들이 조립되어 하나의 캐비넷(110)을 구성하는 것일 수 있고, 설치공간은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캐비넷(110)의 재질은 금속이지만, 합성수지를 비롯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 캐비넷(110)의 외관형상은 대략 육면체 구조이지만 그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넷(110)의 전면에는 도어(112)가 있고, 도어(112) 안쪽에는 피처리물 투입구(113)가 있다. 상기 피처리물 투입구(113)는 도어(112)를 개방하면 외부로 노출되어 의류 등 피처리물을 드럼(20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12)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져 내부공간을 볼 수 있도 있고, 힌지를 이용해서 개폐되는데, 접이방식이나 슬라이딩방식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캐비넷(110)의 아래쪽에는 하부프레임(120)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이고, 캐비넷(110)의 설치공간 바닥쪽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히트펌프시스템을 비롯하여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하부프레임(120)은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부를 제공함과 동시에, 하부프레임(120)의 위쪽 공간을 통해서 열처리를 마친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드럼모터설치부(122)가 있다. 상기 드럼모터설치부(122)는 아래에서 설명될 드럼모터(60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이다. 상기 드럼모터설치부(122)와 인접한 위치에는 압축기설치부(124)가 있는데,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기(380)가 설치된다. 이들 드럼모터설치부(122) 및 압축기설치부(124)는 응축수회수부(127)를 기준으로 열교환기와 순환유로(H)의 반대편에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응축수회수부(127)가 있다. 응축수회수부(127)는 아래에서 설명될 순환유로(H)와 연결되어 있어서,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회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순환유로(H)의 바닥으로 낙하한 응축수는 응축수회수부(127)로 모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응축수회수부(127)는 바닥쪽으로 움푹 꺼진 형상이다. 응축수회수부(12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워터펌프(500)가 설치되는데, 워터펌프(500)는 응축수회수부(127)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통(700)으로 전달하거나, 배수통(700)의 응축수를 세척유닛(C) 쪽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 도 3을 보면 열교환공간(342)의 바닥에 설치되는 워터커버(129)가 도시되어 있는데, 워터커버(129)는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와 응축기(370)를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을 보면,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입출력패널(130)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입출력패널(130)은 배수통(700)과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입출력패널(130)은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 코스의 선택을 인가받기 위한 입력부(132)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10)의 설치공간에는 드럼(2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드럼(200)은 캐비넷(110) 내의 롤러(2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210)는 드럼(200)의 외면에 맞닿도록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전후면에 개구를 가지는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되며, 도 4를 보면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203)는 상기 캐비넷(110)의 투입구(113)에 연통되고, 그 반대편에는 후방측 개구(205)가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는 고온의 건조 열풍이 통과하면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하는데, 이때 상기 건조 열풍은 상기 드럼(200)의 후방측 개구(205)를 통해 드럼(2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203)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4에서 화살표 ①은 피처리물을 열처리(건조)한 후에 고온 다습해진 공기가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203)를 통해 배출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도 4를 보면 드럼(200)을 사이에 두고 도어(112)가 있는 전방쪽에는 프론트서포터(230)가 있고, 후방쪽인 배면에는 리어서포터(240)가 있다. 드럼(200)은 프론트서포터(230)와 리어서포터(2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음으로 열교환모듈(300)을 살펴보면, 열교환모듈(300)은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와 응축기(370), 그리고 순환팬(390)을 포함한다. 그리고 열교환모듈(300)은 이들 부품을 감싸 그 내부에 순환유로(H)를 만드는 부품들(330,340,35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열교환모듈(300)은 앞서 설명한 압축기설치부(124), 드럼모터설치부(12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개구(302)에 가까운 상기 열교환모듈(300)의 한쪽에는 프론트덕트커넥터(310)가 있는데, 프론트덕트커넥터(3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드럼(200)의 전방측개구(302)와 아래에서 설명될 열교환가이드(330)를 연결한다. 프론트덕트커넥터(310)는 드럼(200) 내부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한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아웃렛덕트(310)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드럼(200)의 후방측개구(205)에는 리어덕트커넥터(320)가 있는데, 리어덕트커넥터(320)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드럼(200)의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어덕트커넥터(320)는 드럼(200)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인렛덕트(320)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모듈(300)의 양쪽 끝에는 각각 프론트덕트커넥터(310)와 리어덕트커넥터(320)가 위치하여 열교환 전/후의 공기가 유입/배출될 수 있다.
드럼(200)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하고 고온 다습해진 공기는 전방측개구(302)를 통해 배출(도 4의 화살표 ①참조)된 후에 아웃렛덕트(310)인 프론트덕트커넥터(310)를 통해 전달되고(도 4의 화살표 ②참조), 열교환가이드(330)에 의해 열교환기 방향으로 안내된다.(도 4의 화살표 ③참조) 열교환가이드(330)는 프론트덕트커넥터(310)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공기가 열교환가이드(330)를 거치면서 하부프레임(120)의 후방을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되어 열교환공간(342)으로 유입된다. 도 4 및 도 5의 화살표④는 열교환공간(342)을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서 열교환공간(342)은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열교환가이드(33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360) 및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370)가 나란히 설치된다. 열교환공간(342)은 하부프레임(12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공간(342)은 열교환가이드(330)와 아래에서 설명될 순환팬설치부(350) 사이를 연결하는 구획하우징(340)에 의해 측면이 감싸진다. 그리고 열교환공간(342)의 상부는 베이스커버(400)에 의해 차폐되어 열교환공간(342)이 외부와 단절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히트펌프시스템을 간단히 살펴보면, 냉매를 순차적으로 증발-압축-응축-팽창시키도록 사이클을 구성한다. 히트펌프시스템이 작동되면, 공기는 증발기(360) 및 응축기(370)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하면서 고온 건조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압축기(380)에서 압축된 냉매가 고온 고압 상태가 되어 응축기(370)로 흐르고, 응축기(370)에서는 냉매가 열을 방출하면서 액화된다. 액화된 고압의 냉매는 팽창기(E)에서 감압되고,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는 증발기(360)로 들어간다. 증발기(360)에서 냉매는 기화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가 된다.
그리고 히트펌프시스템을 거치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과정을 보면(도 6의 공기흐름 참조), 응축기(370)를 통과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순환팬수용부(352)를 거쳐 리어덕트커넥터(320)를 통해 드럼(200)으로 공급된다(도 4 및 도 5의 화살표⑤ 참조). 드럼(200)으로 공급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고온 다습한 공기가 된다. 고온 다습한 공기는 프론트덕트커넥터(310)를 통해 회수되고, 증발기(36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저온의 공기가 된다.
이때, 공기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하게 되고,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응축된다. 이어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37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고온 건조한 공기가 되어 다시 드럼(200)으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하고, 발생한 응축수는 앞서 설명한 응축수회수부(127)에 모인다.
즉, 상기 순환유로(H)에 의해 상기 히트펌프시스템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드럼(200) 내의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고, 이렇게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다시금 히트펌프시스템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3을 보면, 순환유로(H)가 표현되어 있다. 순환유로(H)는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를 표시한 것인데, 열교환가이드(330) 안쪽의 가이드공간(332)과, 상기 가이드공간(332)에 연결되고 구획하우징(340)의 안쪽에 마련된 열교환공간(342)과, 상기 열교환공간(342)에 연결되고 순환팬(390)이 위치하는 순환팬수용부(352)를 포함한다. 물론 앞서 설명한 아웃렛덕트(310)와 인렛턱트(320), 그리고 배기구(355, 도 2 및 도 5 참조)도 순환유로(H)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상기 순환팬수용부(352)의 한쪽에는 후방커버(353)가 결합되는데, 후방커버(353)를 사이에 두고 순환팬수용부(352)에는 순환팬(390)이 위치하고, 반대쪽에는 팬모터(392)가 설치된다. 상기 팬모터(392)의 구동력에 의해 순환팬(390)이 회전하면서 열교환공간(342)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구(355)로 배출한다. 순환팬(390)은 응축기(370)를 향하도록 설치되어서 열교환공간(342)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즉, 순환팬(390)의 구동에 의해 순환유로(H) 내의 증발기(360) 및 응축기(37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공기가 인렛덕트(320)를 통해 드럼(200) 내로 공급되고, 상기 드럼(200) 안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한 공기는 아웃렛덕트(310)를 통해 순환유로(H) 내의 증발기(360) 및 응축기(37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사이클을 돌면서 순환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압축기설치부(124)에는 열교환을 위한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380)가 장착된다. 압축기(380)는 히트펌프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이지만, 공기와 직접적인 열교환을 하지는 않으므로, 순환유로(H) 내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압축기(380)가 순환유로(H) 내부에 설치된다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압축기(380)는 순환유로(H)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385는 기액분리기로, 압축기(380)로 유입되는 냉매를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하여, 기상의 냉매만 압축기(38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387은 압축기(380)를 냉각시켜주기 위한 냉각팬이다.
다음으로 세척유닛(C, 도 4의 지시부분 참조)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세척유닛(C)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해당하는 설치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세척수를 배기된 공기가 유입되는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의 전면(362)에 분사해서 세척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세척수는 히트펌프시스템에 의한 열교환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이거나, 외부에서 유입된 물일 수 있다. 응축수를 세척수로 사용하기 부족할 경우에는 외부에서 유입된 물을 세척수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응축수회수부(127)를 거쳐 배수통(700)에 보관된 응축수인 세척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세척유닛(C)이 세척하는 대상을 보면, 세척유닛(C)은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의 전면(362)을 세척한다. 여기서 증발기(360)의 전면(362)이란 가이드공간(332)을 향한 증발기(360)의 표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 5에서 보듯이 대략 평면으로 구성된다. 증발기(360)의 전면(362)에는 린트(Lint) 등 이물질이 축적되기 쉬운데, 이것은 피처리물을 열처리한 공기에 피처리물에서 분비된 이물질이 섞여 있기 때문이다. 물론, 순환유로(H) 상에서 증발기(360) 보다 앞선 위치에 필터모듈을 두어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거를 수도 있지만, 필터모듈이 없거나 필터모듈에 의해 걸러지지 못한 이물질은 증발기(360)의 전면(362)에 쌓일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세척수로 씻겨져 내려갈 수 있는데, 세척수의 유량이나 유속에 따라 세척률이 달라질 수 있고, 특히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에 따라 세척률이 떨어질 수도 있다. 도 7에서 세척수의 배출경로를 표시한 화살표 ⓒ를 참조하면, 세척수는 노즐부(S)와 가이드부(420)의 사이로 분사되는데, 증발기(360)의 전면(362)으로 쏠리는 경향성을 갖는다. 세척수가 증발기(360)의 전면(362)으로 쏠리면 증발기(360)의 전면(362)을 다 세척하지 못하고 안쪽으로 유입되어 버릴 수 있다. 즉, 증발기(360)의 전면(362) 중에서 위쪽 일부만 세척이 이루어지고 아래쪽을 갈수록 세척률이 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쏠림현상은 (i) 히트펌프 동작과정에서 증발기(360) 쪽으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력에 의해 증발기(360)의 표면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응축수)가 증발기(360)의 내측으로 유입되거나, (ii) 방수를 위해 증발기(360)의 외면에 처리되는 코팅층으로 인해 표면장력이 감소하여 세척수가 증발기(360)의 안쪽으로 침투할 수 있고, (iii) 물체 표면 가까이에 형성된 유체가 압력의 차이로 인해 물체의 표면에 붙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기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척유닛(C)은 이러한 부분을 해소하고 있다.
상기 세척유닛(C)은 노즐부(S)와 가이드부(420)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증발기(360)의 세척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유기적으로 구성된 부품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세척유닛(C)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반드시 세척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례에서 노즐부(S)와 가이드부(420)는 베이스커버(400)에 일체로 만들어지는데, 베이스커버(400)는 순환유로(H)의 상부를 덮어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노즐부(S)와 가이드부(420)도 베이스커버(400)의 기능을 함께 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세척유닛(C)은 베이스커버(400)에 설치되지 않고 별도의 구조물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척유닛(C)을 구성하는 노즐부(S)와 가이드부(420)는 베이스커버(400)와 무관하게, 세척유닛(C)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베이스커버(400)는 하부프레임(120)의 위쪽에 조립되는 것으로, 순환유로(H)의 상부를 덮어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커버(4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베이스커버(400)는 대략 판상이고 순환유로(H)의 길이방향, 즉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이스커버(400)는 프론트커버(410)와 리어커버(450)로 구성된다. 프론트커버(410)와 리어커버(450)는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베이스커버(400)를 구성하는데, 프론트커버(410)와 리어커버(450)는 제조의 편의 등의 이유로 별개물로 구성되지만,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프론트커버(410)는 가이드공간(332) 쪽에 위치하고, 리어커버(450)는 상대적으로 순환팬설치부(350) 쪽에 치우져 있다. 도 2를 보면, 프론트커버(410)는 열교환공간(342)의 일부와 가이드공간(332)의 상부 일부를 덮고 있고, 리어커버(450)는 열교환공간(342)의 나머지 일부를 덮고 있다.
도 5를 보면, 상기 프론트커버(410)는 증발기(360) 보다 가이드공간(332) 쪽으로 치우쳐 위치하는데, 증발기(360)의 상부를 덮거나, 또는 증발기(360)의 상부를 덮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커버(410)에는 리어커버(450)와의 조립을 위한 걸림구조가 있는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다. 물론, 프론트커버(410)와 리어커버(450)는 걸림구조 이외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립되거나 힌지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커버(410)의 저면에는 가이드부(420)가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부(420)는 상기 프론트커버(410)의 저면에서 증발기(360)의 전면(362)을 향해서 하향경사지게 연장된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부(420)는 상기 프론트커버(410)의 저면에서 돌출되는 얇은 판상인데, 상기 가이드부(420)는 그 상면이 실질적으로 기능을 하는 부분이므로, 이와 달리 두께가 더 두껍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4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노즐부(S)를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가이드부(420)는 증발기(360)의 전면(36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노즐부(S)의 반대편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돌출된 끝부분(425)이 증발기(360)의 전면(362)을 향해 연장된다. 이에 따라 노즐부(S)에서 배출된 세척수는 증발기(360)의 전면(362) 방향으로 분사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420)는 증발기(360)의 전면(362) 상부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도 7과 도 8,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420)의 돌출된 끝부분(425)은 상기 증발기(360)의 전면(362)에서 이격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증발기(360)의 상면(361) 보다 낮은 위치를 갖는다. 이것은 가이드부(420)의 돌출된 끝부분(425)이 증발기(360)의 전면(362)에서 후퇴된 위치로 이격되어야 노즐부(S)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의 전면(362)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또한 가이드부(420)의 돌출된 끝부분(425)이 증발기(360)의 상면(361) 보다 높다면 자칫 세척수가 증발기(360)의 상면(361)으로 분사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이드부(420)의 상면은 평면이지만, 곡면이나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리어커버(450)를 보면, 상기 리어커버(450)는 프론트커버(410)와 대략 같은 폭을 갖는 판상 구조로, 프론트커버(410)에서 연장되어 증발기(360)와 응축기(370)의 상부를 덮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리어커버(450)는 프론트커버(410) 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만들어지는데, 반대쪽 끝이 순환팬설치부(350)까지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커버(410)의 상면을 따라서 세척수의 공급유로가 설치된다.
공급유로란 배수통(700)에서 노즐부(S)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경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중 일부는 리어커버(450)의 상면에 설치된다. 도 3을 보면, 상기 프론리어커버(450)의 상면에는 연결홀(466)이 관통되고, 상기 연결홀(466)에는 급수관(496)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496)은 후방에 위치한 제어밸브(490)와 별도의 연결튜브(495)로 연결되는데, 도 3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도 7, 도 8에서 연결튜브(495)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496)에는 고정플랜지(497)가 있고, 고정플랜지(498)에 관통된 체결홀(498')을 이용해서 급수관(496)을 리어커버(45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496)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어커버(450)의 연결홀(466) 안쪽으로 삽입되어 노즐부(S)와 연결된다. 따라서 급수관(496)을 배수통(700)-제어밸브(490)-연결튜브-연결홀(466)-노즐부(S) 순으로 세척수가 전달된다. 물론 이러한 급수관(496) 자체가 생략되고 배수통(700) 또는 외부의 공급수간이 연결홀(466)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밸브(490)는 다수개의 노즐부(S) 중 적어도 하나의 노즐부(S)에만 선택적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밸브(490)도 생략될 수 있다. 도 3에서 제어밸브(490)에 표현된 도면부호 491,492는 각각 입력포트 및 출력포트이고, 도면부호 493는 급수관(496)으로 연결되는 급수포트를 나타낸다. 본 실시례에서 노즐부(S)와 급수관(496)은 각각 3개로 구성되므로, 급수포트(493)도 3개가 있다.
도 7, 도 8을 참조해서 노즐부(S)를 살펴보면, 상기 노즐부(S)는 일종의 빈 공간으로 노즐부(S)를 통해서 세척수가 분사된다. 노즐부(S)는 한쪽이 급수관(496)에 연결되고 반대쪽이 증발기(360)의 전면(362) 쪽으로 개방되어 세척수를 분사시킨다. 이때 노즐부(S)는 전체적으로 증발기(36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기 때문에 세척수는 공급되는 유속과 함께 중력에 의해 토출채널(473)로 분사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S)는 일종의 빈 공간으로 유동공간을 형성하는데, 상기 노즐부(S)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바닥면인 베이스(470)와, 상기 베이스(470)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천장면인 커버(372) 사이에 만들어진다. 그리고 베이스(470)와 커버 사이는 구획베인(467)이 연결하여 밀폐된 노즐부(S)를 만든다. 도 9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노즐부(S)는 총 3개로 구성되고, 구획베인(467)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있다. 3개의 노즐부(S)는 증발기(360)의 좌우폭 방향으로 서로 다른 구간에 배치되어 증발기(360)를 고르게 세척할 수 있다. 노즐부(S)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으며, 서로 연통되어 한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451은 리어커버(450)의 조립을 위한 후크이고, 도면부호 453은 하네스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나타낸다.
상기 노즐부(S)의 상기 베이스(470)는 연결채널(471)과 토출채널(473)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채널(471)은 상기 급수관(496)의 배출구(497)에서 연장되고 상기 증발기(360)의 전면(362)을 향해 중력방향을 따라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부분으로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한 부분이다. 그리고 토출채널(473)은 상기 연결채널(471)에서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더 연장되는 부분인데, 상기 연결채널(471) 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다. 즉 상기 토출채널(473)은 연결채널(471) 보다 급한 경사를 갖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토출채널(473)을 통과하는 세척수는 보다 빠른 유속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토출채널(473)의 끝에는 분사가이드단(480)이 있다.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은 상기 노즐부(S)의 끝부분에서 상기 가이드부(420)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세척수의 배출방향을 상기 가이드부(420) 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은 도 7과 같이 측단면도에서 보면 돌기와 같이 보이나, 도 8에서 보듯이 노즐부(S)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때,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는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의 상면은 상기 노즐부(S)가 상기 열교환기의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각도 보다 완만한 각도로 연장되거나, 가이드부(420)를 향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가이드단(80)의 상면 각도가 만들어짐에 따라 세척수가 중력방향으로 급격하게 분사되지 않고 분사가이드단(80)의 상면을 따라 가이드부(420)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의 상면이 토출채널(473)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이루는 내각(α, 도 12 참조)은 75°내지 125°이다. 내각(α)이 75° 보다 작으면 세척수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고, 125°보다 크면 가이드부(420)를 향해 세척수를 충분히 전달할 수 없게 된다.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은 토출채널(473)의 끝에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베이스커버(400)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부분이다. 이때 분사가이드단(480)은 베이스커버(400)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서 이동측다이와 슬라이드코어의 경계부분에 만들어진다. 즉, 분사가이드단(480)은 정교한 가공이 어려운 이동측다이와 슬라이드코어의 경계부분인 파팅라인 상에 만들어져 단순히 연속된 외면을 성형하는 것에 비해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의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은 상기 세척수가 이동하는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좌측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증발기(360)의 전면(362) 보다 후퇴된 위치에 있고, 동시에 상기 증발기(360)의 상면(361)에서 위쪽으로 이격되어 있다. 분사가이드단(480)이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의 전면(362) 보다 전진한 위치에 있으면 증발기(360)의 전면(362)으로 세척수가 충분히 분사되지 못하게 되고, 증발기(360)의 상면(361)에서 위쪽으로 떨어져 있어야 증발기(360)와 간섭없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은 상기 가이드부(420)의 돌출된 끝부분(425) 보다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가이드단(48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가이드부(420)에 의해 분사방향이 안내되어야 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분사가이드단(480)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가이드부(420)의 돌출된 끝부분(425)에 세척수를 공급하므로 세척수가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420)의 돌출된 끝부분(425)과 분사가이드단(480) 사이의 거리(D1)와, 가이드부(420)의 돌출된 끝부분(425)과 분사가이드단(480) 사이의 높이차(H1), 분사가이드단(480)과 증발기(360)의 전면(362) 사이의 거리(D2)와 분사가이드단(480)과 증발기(360)의 상면(361) 사이의 높이차(H2)는 일정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본 실시례에서 (i) 가이드부(420)의 돌출된 끝부분(425)과 분사가이드단(480) 사이의 거리(D1)는 4mm 내지 10mm 이고, (ii) 가이드부(420)의 돌출된 끝부분(425)과 분사가이드단(480) 사이의 높이차(H1)는 3mm 내지 9mm 이며, (iii) 분사가이드단(480)과 증발기(360)의 전면(362) 사이의 거리(D2)는 2.0mm 내지 5.0mm 이고, (iv) 분사가이드단(480)과 증발기(360)의 상면(361) 사이의 높이차(H2)는 1.5.0mm 내지 4.5.0mm 사이이다. 물론, 세척수의 유량과 세척량에 따라 위의 범위는 다소 변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이 상기 증발기(360)의 전면(362)에서 후퇴된 거리(D2)가 2.0mm 내지 5.0mm 이고,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이 상기 증발기(360)의 상면(361)에서 위쪽으로 이격된 높이(H2)가 1.5.0mm 내지 4.5.0mm 사이인 조건에서,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이 가이드부(420)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X)는 0.3mm 내지 1.1mm 이다. 분사가이드단(480)이 돌출되는 정도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각(β, 도 7참조)에 영향을 미친다. 여기서 분사각(β)은 분사되는 세척수와 증발기(360)의 전면(362)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다. 상기 분사각(β)이 작으면 세척수는 증발기(360)의 안쪽으로 쏠려 세척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반대로 분사각(β)이 너무 크면 증발기(360)의 전면(36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사되어 증발기(360)를 세척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세척유닛(C)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분사가이드단(480)과 상기 가이드부(420) 사이(P, 도 8참조)를 통해 토출되되,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증발기(360)의 전면(36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의 분사각(β)을 가지면서 낙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분사가이드단(480)과 가이드부(420)의 사이 이격거리(L, 도 10참조)와 분사가이드단(480)의 돌출길이(X)를 달리하였을 때 분사각(β)의 값은 다음과 같다. 아래 표 1에서 1행은 분사가이드단(480)의 돌출길이(X)를 분사가이드단(480)과 가이드부(420)의 사이 이격거리(L)로 나눈 비율값인 X/L을 나타내고, 총 3회에 걸쳐 시험을 수행하였다. 참고로 분사가이드단(480)과 가이드부(420)의 사이 이격거리(L)는 4mm 내지 9mm 사이의 값을 시험하였고, 분사가이드단(480)의 돌출길이(X)는 0.1mm 내지 1.8mm 사이의 값을 시험하였다.
X/L 0.02 0.04 0.07 0.10 0.12 0.15 0.19 0.21 0.25 0.30
1 1 5 7 10.5 7 11 21 25 23 26
2 1.4 8 5 9 9.5 12 25 21 27 22
3 1.2 6 9 11 7 8 22 24 21 24
그리고, 각각의 경우에 세척률을 계산한 결과를 그래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는 분사가이드단(480)이 돌출된 길이(X)에 따른 분사각(β) 및 세척률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분사가이드단(480)의 돌출길이(X)를 분사가이드단(480)과 가이드부(420)의 사이 이격거리(L)로 나눈 비율값인 X/L을 달리함에 따라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각(β)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와, 그에 따른 세척률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서 보듯이, 분사가이드단(480)의 돌출길이(X)를 분사가이드단(480)과 가이드부(420)의 사이 이격거리(L)로 나눈 비율값인 X/L이 증가함에 따라서 분사각(β)도 점차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분사가이드단(480)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면 노즐부(S)를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분사가이드단(480)을 따라 전방으로 유도되므로 분사각(β)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비율값인 X/L이 0.19이상이 되면 분사각(β)의 증가폭이 줄어들고 약 30°에 수렴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분사가이드단(480)과 마주보는 가이드부(420)의 존재로 인해서 분사각(β)이 일정 수치 이상으로는 증가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분사가이드단(480)의 돌출길이(X)를 분사가이드단(480)과 가이드부(420)의 사이 이격거리(L)로 나눈 비율값인 X/L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세척률은 증가 후 다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세척률은 증발기(360)의 전면(362)에 이물질을 넓게 분포시킨 후에, 세척수를 약 30초 동안 분사한 후에 남은 이물질의 양을 측정한 것이다. 따라서 세척률이 높을 수록 세척후 잔존하는 이물질의 양이 적은 것을 의미한다. 그래프를 보면, 비율값인 X/L이 0.02일 때 세척률이 약 70%를 나타내고, 0.04이면 약 80%를 상회한다. 비율값인 X/L을 따라 계속 증가하는 세척률은 0.12를 기점으로 감소하여 0.19 일때는 약 75%를 기록한 것을 볼 수 있다. 히트펌프시스템의 효율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서는 세척률이 높아야 하는데, 세척률을 약90%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비율값인 X/L은 0.04 내지 0.15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분사각(β)의 범위는 5°내지 15°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의 외면에는 중력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 또는 곡면형태의 분사면(482)이 있다. 상기 분사면(482)은 세척수가 최종적으로 안내되는 분사가이드단(480)의 상면에 해당하는 것으로, 세척수가 가이드부(420)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도 12에는 분사가이드단(480)의 서로 다른 실시례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2(a)의 분사가이드단(480)을 보면, 분사면(482)이 노즐부(S)의 토출채널(473) 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된다. 즉,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의 분사면(482)이 토출채널(473)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이루는 내각(α)은 125°보다 작은 각을 이루면서 토출채널(473)을 보다 완만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분사면(482)의 두께(Y2)는 분사가이드단(480)의 두께(Y1) 보다 작은데, 본 실시례에서는 분사면(482)의 두께(Y2)가 분사가이드단(480)의 전체두께(Y1)의 1/2과 같거나 크다. 이를 통해 분사면(482)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b)의 분사가이드단(480)을 보면, 분사면(482)이 노즐부(S)의 토출채널(473) 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면서 연장된다. 이때, 상기 분사면(482)은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제1경사면(483)과 제2경사면(483')이다. 제1경사면(483)은 상기 노즐부(S)의 토출채널(473)에서 연결되어 돌출되는 부분이고, 제2경사면(483')은 제1경사면(483)에서 연결되어 더 돌출되되 상기 제1경사면(483) 보다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서, 경사각이 다시 급해지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483)은 토출채널(473)을 지난 세척수를 가이드부(420) 방향으로 원활하게 유도해주고, 제2경사면(483')도 같은 역할을 함과 동시에 분사가이드단(480)의 전면 면적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분사가이드단(480)의 끝부분은 평면이 아니라 날카로운 직선형상 또는 매우 낮은 높이를 갖는 평면이므로, 세척수가 분사가이드단(480)의 전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흐르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분사가이드단(480)이 돌출된 길이(X)는 0.5.0mm 내지 0.9mm이고, 제1경사면(483)과 제2경사면(483')으로 이루어지는 분사면(482)의 높이(Y2)는 분사가이드단(480)의 전체두께(Y1)의 1/2과 같거나 크다.
한편, 상기 토출채널(473)에는 급경사면(474)이 연결된다. 상기 급경사면(474)은 토출채널(473)과 분사가이드단(480)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인데, 토출채널(473) 보다 큰 경사각을 가지면서 연장된다. 상기 급경사면(474)은 급한 경사면을 만들어서 세척수의 유속을 빠르게 유도한다. 유속이 증가한 세척수는 분사면(482)을 거치면서 가이드부(420) 방향으로 빠르게 전달되므로, 세척수의 유량이 적고 유속이 낮은 경우에도 세척수가 증발기(360) 방향으로 직접 흐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급경사면(474)과 제1경사면(483) 사이의 내각(α)은 약 88°내지 95°사이를 이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 12(c)의 분사가이드단(480)을 보면, 분사면(482)은 곡면형상이다. 상기 분사면(482)의 측단면 형상을 보면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이 대략 반원형상이고, 그에 따라 분사면(482)은 전체적으로 곡면을 갖는다. 물론, 분사가이드단(480)의 아래쪽면(485)은 비곡면으로 두고, 위쪽 일부만 곡면형태의 분사면(482)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도 분사면(482)의 두께(Y2)가 분사가이드단(480)의 전체두께(Y1)의 1/2과 같거나 크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는 분사면(482)의 구별이 명확하기 않지만 가이드부(420) 방향으로 가장 돌출된 부분을 중심으로 위쪽을 분사면(482)으로 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분사가이드단(480)이 돌출된 길이(X)는 0.5.0mm 내지 0.9mm이다.
한편 도 13에는 분사가이드단(48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부(S)의 토출채널(473)에는 급경사면(474)이 연결되고, 급경사면(474)의 끝에는 분사가이드단(480)이 있다. 이때 분사가이드단(480)은 연속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된 형태로 배치된다. 즉,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분사가이드단(480)이 토출채널(473)의 좌우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사이에는 중력방향을 따라 개구된 낙하공간(487)이 있다.
상기 낙하공간(487)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세척수가 낙하할 수 있는 경로를 만든다. 도 13에서 보듯이 노즐부(S)를 통해 분사가이드단(480)으로 전달되는 세척수의 일부는 분사면(482)을 따라 가이드부(420) 쪽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일부는 낙하공간(487)을 통해 아래쪽으로 낙하할 수 있다. 즉, 중력방향을 따라 개구된 낙하공간(487)을 두어 일부 세척수는 중력방향으로 낙하하여 열교환기 전면 방향을 직접 향하게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낙하공간(487)은 세척수의 유속이 빠른 경우에 세척수가 모두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멀리 분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해준다. 따라서 세척수의 유량 및 유속이 크거나 혹은 작더라도 일정 수준 이상의 세척수를 안정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분사가이드단(480)이 가이드부(420)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X1) 또는 분사가이드단(480)의 두께(Y1)는 노즐부(S)의 좌우폭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르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넓은 범위의 유속과 유량의 세척수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가이드부(420)에 공급해줄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캐비넷(110)의 설치공간에는 워터펌프(500)가 설치된다. 상기 워터펌프(500)는 응축수회수부(127)에 설치되어 응축수회수부(127)에 유입된 응축수를 배수통(700)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워터펌프(500)에 의해 응축수가 배수통(700)에 저장되면, 저장된 응축수가 세척수로 사용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드럼모터설치부(122)에는 드럼(20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모터(600)가 설치된다. 드럼모터(600)에는 드럼모터(600)의 구동력을 드럼(200)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는데, 벨트는 드럼(20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벨트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풀리(610)와 스프링(미도시)이 이용될 수 있다.
드럼모터(600)의 샤프트에는 송풍팬(62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드럼모터(600)의 한쪽에는 벨트가 연결되고, 반대쪽에는 송풍팬(620)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드럼모터(6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샤프트는 동일 방향, 동일 속도로 회전하면서 드럼(200)과 송풍팬(6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을 보면, 캐비넷(110)의 위쪽에 배수통(700)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통(700)은 드럼(200)의 좌측 상부 또는 우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배수통(700)이 드럼(20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배수커버(710)는 배수통(7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의류처리장치의 전면부에서 좌측 상단 또는 우측 상단에 배치된다. 배수커버(710)는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며,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배수통(700)에 집수된 응축수를 비우기 위해서 배수커버(710)를 당기면, 배수통(700)이 배수커버(710)와 함께 물통지지프레임(720)으로부터 인출된다.
한편, 의류처리장치에는 제어부(800)가 설치된다. 제어부(800)는 입력부(132)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800)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32)를 통해 의류 처리 코스를 선택하면, 제어부(800)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세척유닛(C)을 이용해서 증발기(360)를 세척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세척수가 생성되는 과정을 보면, 히트펌프시스템의 응축기(370)를 통과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순환팬수용부(352)를 거쳐 리어덕트커넥터(320)를 통해 드럼(200)으로 공급되고, 드럼(200)으로 공급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고온 다습한 공기가 된다. 고온 다습한 공기는 프론트덕트커넥터(310)를 통해 회수되고, 증발기(36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저온의 공기가 되고, 공기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하여,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응축된다. 이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하고, 발생한 응축수는 앞서 설명한 응축수회수부(127)에 모인다. 그리고 워터펌프(500)는 응축수회수부(127)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통(700)으로 전달하여 세척수를 저장한다.
이러한 세척수는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중이거나 또는 작동을 멈추었을 때 세척유닛(C)에 공급되어 세척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공정을 보면, 배수통(700)에 저장된 세척수가 워터펌프(500)에 의해 제어밸브(490)에 전달되고, 제어밸브(490)는 연결튜브(495)를 통해 급수관(496)으로 세척수를 보낸다.
급수관(496)의 배출구(497)를 통해서 세척수가 노즐부(S) 안쪽으로 유입되고(도 7 및 도 8의 화살표 A참조), 노즐부(S)의 바닥에 해당하는 베이스(470)를 따라서 유동한다. 이때, 베이스(470)는 연결채널(471)과 토출채널(473)이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데, 연결채널(471)은 증발기(360)의 전면(362)을 향해 중력방향을 따라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부분으로 상대적으로 경사가 완만한 부분으로, 세척수를 흐르게 하고, 토출채널(473)은 연결채널(471) 보다 급한 경사를 갖기 때문에 토출채널(473)을 통과하는 세척수는 보다 빠른 유속을 얻을 수 있다.(도 7 및 도 8의 화살표 B참조)
토출채널(473)을 지난 세척수는 분사가이드단(480)을 통해 가이드부(420) 쪽으로 분사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분사가이드단(480)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낮은 위치에 있는 가이드부(420)의 돌출된 끝부분(425)에 세척수를 공급하므로 세척수가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사가이드단(480)의 길이는 0.3mm 내지 1.1mm 이고, 이를 통해 발생하는 분사각(β)의 범위는 5° 내지 15°이다. 이러한 분사각(β)으로 인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척수는 증발기(360)의 전면(36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되었다가, 아래쪽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증발기(360)의 전면(362) 쪽으로 전달된다.(도 7 및 도 8의 화살표 C참조) 따라서 세척수는 증발기(360)의 안쪽으로 바로 유도되지 않고 증발기(360)의 전면(362)을 따라 고르게 흐르면서 세척기능을 충분히 할 수 있다.
특히, 의류처리기가 작동중에는 드럼(200)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하고 고온 다습해진 공기가 도 7의 화살표 ③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그 과정에서 세척수를 증발기(360)의 전면(362) 쪽으로 밀어낼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분사각(β)의 범위가 5° 내지 15°으로 설정되어 이러한 힘을 어느 정도 극복하면서 아래쪽으로 낙하하게 되고, 따라서 증발기(360)의 전면(362) 아래쪽까지 세척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캐비넷 112: 도어
120: 하부프레임 200: 드럼
300: 열교환모듈 310: 프론트덕트커넥터(아웃렉덕트)
320: 리어덕트커넥터(인렛덕트) 330: 열교환가이드
332: 가이드공간 340: 구획하우징
342: 열교환공간 350: 순환팬설치부
352: 순환팬수용부 356: 배기구
400: 베이스커버 410: 프론트커버
420: 가이드부 450: 리어커버
470: 베이스 471: 연결채널
473: 토출채널 480: 분사가이드단
500: 워터펌프 600: 드럼모터
700: 배수통 800: 제어부
H: 순환유로 S: 노즐부

Claims (25)

  1. 내부에 설치공간이 있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의류를 열처리한 후에 배기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넷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배기된 공기가 유입되는 열교환기의 전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어 세척수를 열교환기 방향으로 안내하되 한쪽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열교환기의 전면과 인접하게 연장되는 노즐부와,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노즐부의 반대편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돌출된 끝부분이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어 노즐부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열교환기의 전면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노즐부의 끝부분에서 상기 가이드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세척수의 배출방향을 상기 가이드부 쪽으로 유도하는 분사가이드단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돌출된 길이(X)와 상기 분사가이드단과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L) 사이의 상대비(X/L)는 0.04 내지 0.15인 의류처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의 상면에는 상기 노즐부의 끝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경사면 또는 곡면형태의 분사면이 있는 의류처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의 외면에 있는 분사면은
    상기 노즐부에서 연결되어 돌출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에서 연결되어 더 돌출되되 상기 제1경사면 보다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가 유동하는 상기 분사가이드단의 분사면은 상기 노즐부가 상기 열교환기의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각도 보다 완만한 각도로 연장되거나, 가이드부를 향해 상향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급수관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커버 사이에 만들어지는 의류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급수관의 배출구에서 연장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을 향해 중력방향을 따라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연결채널과, 상기 연결채널에서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더 연장되고 연결채널 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 토출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상기 토출채널의 끝부분에서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토출채널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토출채널 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 급경사면이 연결되고,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상기 급경사면의 끝부분에서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상기 세척수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보다 후퇴된 위치에 있고,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이격되어 있는 의류처리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끝부분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 보다 낮은 위치를 갖고,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끝부분 보다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의류처리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서 후퇴된 거리(D2)가 2.0mm 내지 5.0mm이고,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이격된 높이(H2)가 1.5.0mm 내지 4.5.0mm 사이일 때,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가이드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X)는 0.3mm 내지 1.1mm 인 의류처리장치.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의 외면이 토출채널의 외면과의 사이에서 이루는 내각(α)은 75° 내지 125°인 의류처리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상기 분사가이드단과 상기 가이드부 사이를 통해 토출되되,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열교환기의 전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분사각(β)의 범위는 5° 내지 15°인 의류처리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노즐부의 좌우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의 토출채널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분사가이드단이 토출채널의 좌우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분사가이드단 사이에는 중력방향을 따라 개구된 낙하공간이 있는 의류처리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가이드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X1) 또는 분사가이드단의 두께(Y1)는 노즐부의 좌우폭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르게 만들어질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베이스커버가 있고,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베이스커버에서 열교환기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의류처리장치.
  18. 내부에 설치공간이 있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의류를 열처리한 후에 배기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를 덮어 열교환공간을 만드는 베이스커버와,
    상기 베이스커버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어 세척수를 열교환기 방향으로 안내하되 한쪽은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관에 연결되고 반대쪽은 열교환기의 전면과 인접하게 연장되는 노즐부와,
    상기 베이스커버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노즐부의 반대편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돌출된 끝부분이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어 노즐부에서 배출된 세척수를 열교환기의 전면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노즐부의 끝부분에서 상기 가이드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세척수의 배출방향을 상기 가이드부 쪽으로 유도하는 분사가이드단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돌출된 길이(X)와 상기 분사가이드단과 가이드부 사이의 거리(L) 사이의 상대비(X/L)는 0.04 내지 0.15인 의류처리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급수관의 배출구에서 연장되고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을 향해 중력방향을 따라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연결채널과, 상기 연결채널에서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더 연장되고 연결채널 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 토출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상기 토출채널의 끝부분에서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토출채널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토출채널 보다 큰 경사각을 갖는 급경사면이 연결되고,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상기 급경사면의 끝부분에서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상기 세척수가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 보다 후퇴된 위치에 있고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끝부분은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 보다 낮은 위치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의 상면에는 상기 노즐부의 끝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경사면 또는 곡면형태의 분사면이 있고, 상기 분사가이드단은 상기 가이드부의 끝부분 보다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의류처리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전면에서 후퇴된 거리(D2)가 2.0mm 내지 5.0mm이고,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상기 열교환기의 상면에서 이격된 높이(H2)가 1.5.0mm 내지 4.5.0mm 사이일 때, 상기 분사가이드단이 가이드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X)는 0.3mm 내지 1.1mm 이고, 상기 노즐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기 분사가이드단과 상기 가이드부 사이를 통해 토출되되,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열교환기의 전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분사각(β)의 범위는 5° 내지 15°인 의류처리장치.
  25.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에는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베이스커버가 있고, 상기 베이스커버는 프론트커버와 리어커버가 서로 조립되어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프론트커버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리어커버의 저면에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85402A 2019-07-15 2019-07-15 의류처리장치 KR20210008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402A KR20210008781A (ko) 2019-07-15 2019-07-15 의류처리장치
CN202080051839.1A CN114127359B (zh) 2019-07-15 2020-07-15 衣物处理设备
US16/929,678 US11352736B2 (en) 2019-07-15 2020-07-15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PCT/KR2020/009309 WO2021010743A1 (en) 2019-07-15 2020-07-15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U2020312373A AU2020312373B2 (en) 2019-07-15 2020-07-15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P20185878.4A EP3767027A1 (en) 2019-07-15 2020-07-15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US17/739,481 US11898300B2 (en) 2019-07-15 2022-05-09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402A KR20210008781A (ko) 2019-07-15 2019-07-1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781A true KR20210008781A (ko) 2021-01-25

Family

ID=7423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402A KR20210008781A (ko) 2019-07-15 2019-07-1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878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0498A (ko) 2011-03-29 2012-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US9134067B2 (en) 2007-09-04 2015-09-15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4067B2 (en) 2007-09-04 2015-09-15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KR20120110498A (ko) 2011-03-29 2012-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5032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US11898300B2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102150442B1 (ko) 의류 처리장치
KR101806241B1 (ko)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US20100005681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EP2057314B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212738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30127816A (ko) 의류건조기
EP3101169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3124682B1 (en) Heat pump dryer
KR101100217B1 (ko) 건조기
CN101522979B (zh) 复合衣物处理机及其控制方法
KR20190128487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825448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KR20190128484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61141B1 (ko) 히트펌프를 구비한 건조기
KR101825449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KR20210008781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78139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8904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29537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6820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09010512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2039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