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39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0398A KR20210020398A KR1020190099640A KR20190099640A KR20210020398A KR 20210020398 A KR20210020398 A KR 20210020398A KR 1020190099640 A KR1020190099640 A KR 1020190099640A KR 20190099640 A KR20190099640 A KR 20190099640A KR 20210020398 A KR20210020398 A KR 202100203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densed water
- impeller
- unit
- condensate
- recovery unit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가 낙하하는 열교환공간(342)의 바닥부와 응축수회수부(510)가 서로 연결되어 응축수가 모이되 상기 열교환공간(342)의 바닥부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응축수를 배수하는 워터펌프의 임펠러(540) 하단은 응축수회수부(510)의 최고점 보다 낮게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540)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가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에 잠기게 된다. 이처럼 응축수회수부(510)는 응축수가 처음 발생하는 열교환공간(342)의 바닥부 보다 낮기 때문에 응축수가 다시 열교환공간(342)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고 응축수회수부(510)에 집중되어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나 침구류 등의 건조 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의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 등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의 의류 건조기는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히트펌프시스템의 운전을 통해 처리공간(드럼 혹은 옷이 걸린 스팀공간) 내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와 같은 피처리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피처리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건조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또한, 의류건조기는 피처리물을 건조시킨 후 처리공간을 빠져나가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처리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곧장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응축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을 통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펌프를 통해 보관통에 보관되어 외부로 배출되거나, 열교환기를 세척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응축수를 퍼올리기 위해서 먼저 응축수를 의류처리장치의 바닥에 있는 응축수회수부에 모이게 하고, 응축수회수부에 설치된 워터펌프는 모인 응축수를 보관통으로 밀어낸다.
그런데, 응축수를 워터펌프로 밀어올려 보관통에 보관하거나 열교환기 쪽으로 전달하여 열교환기를 세척하더라도, 응축수회수부에 모인 응축수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워터펌프의 임펠러가 응축수회수부의 바닥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응축수회수부의 바닥에 낮은 수위로 고인 응축수까지는 끌어올리기 어려운 것이다. 이렇게 응축수회수부에 고인 응축수는 악취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잔수율을 낮출 필요가 있다
물론 잔수율을 낮추기 위해서, 워터펌프의 임펠러를 응축수회수부의 바닥에 가깝게 더 밀착시킬 수도 있으나, 이렇게 되면 워터펌프와 바닥면 사이가 가까워져 의류처리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이 워터펌프에 더욱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워터펌프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응축수에는 피처리물을 건조할 때 발생한 린트 등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물질은 응축수와 함께 응축수회수부에 모인다. 그런데 이물질이 응축수와 함께 배출되지 못하고 응축수회수부에 넓게 분포되어 남겨지면 고착되어 악취를 유발하거나 기기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응축수회수부로 집중되도록 유도하고, 유도된 응축수(잔수)는 펌프에 의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축수와 응축수에 함유된 린트 등 이물질이 응축수회수부에 모이도록 하되 응축수회수부에는 주변과 단차를 두어 응축수 및 이물질을 가두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가 낙하하는 열교환공간의 바닥부와 응축수회수부가 서로 연결되어 응축수가 모이되 상기 열교환공간의 바닥부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응축수를 배수하는 워터펌프의 임펠러 하단은 응축수회수부의 최고점 보다 낮게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가 응축수회수부에 모인 응축수에 잠기게 된다. 이처럼 응축수회수부는 응축수가 처음 발생하는 열교환공간의 바닥부 보다 낮기 때문에 응축수가 다시 열교환공간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고 응축수회수부에 집중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의 하단에서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최고점 까지의 높이(H2-H1)는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부터 최고점 까지의 높이(H2) 대비 8% 내지 21% 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응축수회수부에 잠기는 펌프의 높이는 적절하게 설계되어, 응축수의 잔수율은 최대한 낮추면서, 동시에 충격에 의한 펌프의 손상률은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회수부에는 중심부의 높이가 주변의 높이보다 낮도록 오목하게 만들어진 저수부가 있고, 상기 배수펌프유닛의 임펠러 하단은 적어도 일부가 오목한 형태의 저수부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응축수회수부의 저수부에 집중된 응축수는 응축수회수부에 일부가 잠기게 설치된 펌프에 의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고, 린트 등 이물질도 응축수와 함께 응축수회수부에 모인 후에 단차진 응축수회수부 구조에 갇힌 상태로 한꺼번에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응축수회수부에는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 높이를 다르게 하는 단차턱이 있되 상기 단차턱은 연결게이트에서 응축수회수부 중심부에 치우친 위치에 만들어진다. 이러한 응축수회수부는 저수용량이 증가한다.
상기 응축수회수부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출홀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홀은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과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갖는데, 상기 배출홀의 내경(H3)은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에서 배수펌프유닛의 임펠러의 저면까지의 높이(H1) 보다 크거나 같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잔수의 배출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응축수회수부에 모이는데, 응축수회수부는 응축수가 처음 발생하는 열교환공간의 바닥부 보다 낮기 때문에 응축수가 다시 열교환공간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고 응축수회수부에 집중된다. 이렇게 응축수회수부에 집중된 응축수는 응축수회수부에 일부가 잠기게 설치된 펌프에 의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고, 잔수율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린트 등 이물질은 응축수와 함께 응축수회수부에 모이는데, 단차진 응축수회수부 구조에 갇힌다. 이처럼 특정 구역에 갇힌 이물질은 응축수와 함께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에 넓게 퍼져 배출되지 못하고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응축수회수부에는 중심부의 높이가 주변의 높이보다 낮도록 오목하게 만들어진 저수부가 있어서, 응축수를 보관할 수 있는 용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자칫 응축수가 응축수회수부를 벗어나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응축수와 이물질들이 저수부에 집중되게 유도한 후에 한꺼번에 배출하면 잔수율을 더욱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응축수회수부에 잠기는 펌프의 높이는 적절하게 설계되어, 응축수의 잔수율은 최대한 낮추면서, 동시에 충격에 의한 펌프의 손상률은 낮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 끝에는 잔수배출관이 연결되고, 잔수배출관을 개방하면 미처 제거되지 못한 낮은 수위의 응축수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잔수배출관은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과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응축수 배출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례에서 내부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하부구조만 독립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부구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건조운전 및 세척을 위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2의 VI-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응축수회수부에 응축수가 모인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일실시례에서 배수펌프유닛을 제거하고 응축수회수부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례에서 내부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례에서 내부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펌프의 임펠러가 응축수회수부에 잠기는 높이를 달리함에 따른 잔수율과 펌프 파손율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하부구조만 독립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부구조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건조운전 및 세척을 위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2의 VI-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응축수회수부에 응축수가 모인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일실시례에서 배수펌프유닛을 제거하고 응축수회수부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례에서 내부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례에서 내부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펌프의 임펠러가 응축수회수부에 잠기는 높이를 달리함에 따른 잔수율과 펌프 파손율의 변화를 보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히트펌프시스템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피처리물인 의류나 침구류를 열처리한 후에, 피처리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다시 히트펌프시스템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히트펌프시스템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로 열교환기를 세척하거나 보관통에 보관하기 위해 밀어올린 후에 남은 잔수를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의류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 이외에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 히트펌프시스템이 포함되는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해서 캐비넷(110) 등 외부구조들은 점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도 2는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 1의 하부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크게 캐비넷(110), 드럼(200), 히트펌프시스템, 순환팬(390), 배수통(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히트펌프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의류처리장치의 아래쪽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고, 별도의 세척유닛(도시되지 않음)이 응축수를 이용해서 히트펌프시스템을 세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구성들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먼저 캐비넷(1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110)은 내부에 빈 공간이 설치공간이 있는 통체로 구성되는데, 다수개의 부품들이 조립되어 하나의 캐비넷(110)을 구성하는 것일 수 있고, 설치공간은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캐비넷(110)의 재질은 금속이지만, 합성수지를 비롯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 캐비넷(110)의 외관형상은 대략 육면체 구조이지만 그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넷(110)의 전면에는 도어(112)가 있고, 도어(112) 안쪽에는 피처리물 투입구(113)가 있다. 상기 피처리물 투입구(113)는 도어(112)를 개방하면 외부로 노출되어 의류 등 피처리물을 드럼(20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12)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져 내부공간을 볼 수 도 있고, 힌지를 이용해서 개폐되는데, 접이방식이나 슬라이딩방식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캐비넷(110)의 아래쪽에는 하부프레임(120)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이고, 캐비넷(110)의 설치공간 바닥쪽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히트펌프시스템을 비롯하여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하부프레임(120)은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부를 제공함과 동시에, 하부프레임(120)의 위쪽 공간을 통해서 열처리를 마친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드럼모터설치부(122)가 있다. 상기 드럼모터설치부(122)는 아래에서 설명될 드럼모터(60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이다. 상기 드럼모터설치부(122)와 인접한 위치에는 압축기설치부(124)가 있는데,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기(380)가 설치된다. 이들 드럼모터설치부(122) 및 압축기설치부(124)는 응축수회수부(510)를 기준으로 열교환기와 순환유로의 반대편에 있다. 응축수회수부(510)를 포함한 배수펌프유닛(500)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보면,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입출력패널(130)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입출력패널(130)은 배수통(700)과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입출력패널(130)은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 코스의 선택을 인가받기 위한 입력부(132)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10)의 설치공간에는 드럼(2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드럼(200)은 캐비넷(110) 내의 롤러(2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210)는 드럼(200)의 외면에 맞닿도록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전후면에 개구를 가지는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는 고온의 건조 열풍이 통과하면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하는데, 이때 상기 건조 열풍은 상기 드럼(200)의 후방측 개구를 통해 드럼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을 드럼(200)을 사이에 두고 도어(112)가 있는 전방쪽에는 프론트서포터(230)가 있고, 후방쪽인 배면에는 리어서포터(240)가 있다. 드럼(200)은 프론트서포터(230)와 리어서포터(2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응축수회수부(510)가 있다. 응축수회수부(510)는 아래에서 설명될 순환유로와 연결되어 있어서,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회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순환유로 중 열교환공간(342)의 바닥으로 낙하한 응축수는 응축수회수부(510)로 모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응축수회수부(510)는 바닥쪽으로 움푹 꺼진 형상이다. 응축수회수부(5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수펌프유닛(500)이 설치되는데, 배수펌프유닛(500)은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통(700)으로 전달하거나, 배수통(700)의 응축수를 세척유닛 쪽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 응축수회수부(510)도 배수펌프유닛(50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열교환모듈(300)을 살펴보면, 열교환모듈(300)은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와 응축기(370), 그리고 순환팬(390)을 포함한다. 그리고 열교환모듈(300)은 이들 부품을 감싸 그 내부에 순환유로를 만드는 부품들(330,340,35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열교환모듈(300)은 앞서 설명한 압축기설치부(124), 드럼모터설치부(12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개구에 가까운 상기 열교환모듈(300)의 한쪽에는 프론트덕트커넥터(310)가 있는데, 프론트덕트커넥터(3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드럼(200)의 전방측개구와 아래에서 설명될 열교환가이드(330)를 연결한다. 프론트덕트커넥터(310)는 드럼(200) 내부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한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아웃렛덕트(310)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드럼(200)의 후방측개구에는 리어덕트커넥터(320)가 있는데, 리어덕트커넥터(320)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드럼(200)의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어덕트커넥터(320)는 드럼(200)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인렛덕트(320)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모듈(300)의 양쪽 끝에는 각각 프론트덕트커넥터(310)와 리어덕트커넥터(320)가 위치하여 열교환 전/후의 공기가 유입/배출될 수 있다.
드럼(200)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하고 고온 다습해진 공기는 전방측개구를 통해 배출(도 2의 화살표 ①참조)된 후에 아웃렛덕트(310)인 프론트덕트커넥터(310)를 통해 전달되고(도 2의 화살표 ②참조), 열교환가이드(330)에 의해 열교환기 방향으로 안내된다.(도 2의 화살표 ③참조) 열교환가이드(330)는 프론트덕트커넥터(310)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공기가 열교환가이드(330)를 거치면서 하부프레임(120)의 후방을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되어 열교환공간(342)으로 유입된다. 도 2의 화살표④는 열교환공간(342)을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서 열교환공간(342)은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열교환가이드(33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360) 및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370)가 나란히 설치된다. 열교환공간(342)은 하부프레임(12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공간(342)은 열교환가이드(330)와 아래에서 설명될 순환팬설치부(350) 사이를 연결하는 구획하우징(340)에 의해 측면이 감싸진다. 그리고 열교환공간(342)의 상부는 베이스커버(400)에 의해 차폐되어 열교환공간(342)이 외부와 단절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히트펌프시스템을 간단히 살펴보면, 냉매를 순차적으로 증발-압축-응축-팽창시키도록 사이클을 구성한다. 히트펌프시스템이 작동되면, 공기는 증발기(360) 및 응축기(370)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하면서 고온 건조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압축기(380)에서 압축된 냉매가 고온 고압 상태가 되어 응축기(370)로 흐르고, 응축기(370)에서는 냉매가 열을 방출하면서 액화된다. 액화된 고압의 냉매는 팽창기(E)에서 감압되고,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는 증발기(360)로 들어간다. 증발기(360)에서 냉매는 기화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가 된다.
그리고 히트펌프시스템을 거치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과정을 보면(도 4의 공기흐름 참조), 응축기(370)를 통과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순환팬(390)를 거쳐 리어덕트커넥터(320)를 통해 드럼(200)으로 공급된다. 드럼(200)으로 공급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고온 다습한 공기가 된다. 고온 다습한 공기는 프론트덕트커넥터(310)를 통해 회수되고, 증발기(36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저온의 공기가 된다.
이때, 공기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하게 되고,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응축된다. 이어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37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고온 건조한 공기가 되어 다시 드럼(200)으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하고, 발생한 응축수는 앞서 설명한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다.
즉, 상기 순환유로에 의해 상기 히트펌프시스템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드럼(200) 내의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고, 이렇게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다시금 히트펌프시스템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압축기설치부(124)에는 열교환을 위한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380)가 장착된다. 압축기(380)는 히트펌프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이지만, 공기와 직접적인 열교환을 하지는 않으므로, 순환유로 내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압축기(380)가 순환유로 내부에 설치된다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압축기(380)는 순환유로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385는 기액분리기로, 압축기(380)로 유입되는 냉매를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하여, 기상의 냉매만 압축기(38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387은 압축기(380)를 냉각시켜주기 위한 냉각팬이다.
한편, 베이스커버(400)는 하부프레임(120)의 위쪽에 조립되는 것으로, 순환유로의 상부를 덮어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커버(4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베이스커버(400)는 대략 판상이고 순환유로의 길이방향, 즉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이스커버(400)는 프론트커버(410)와 리어커버(450)로 구성된다. 프론트커버(410)와 리어커버(450)는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베이스커버(400)를 구성하는데, 프론트커버(410)와 리어커버(450)는 제조의 편의 등의 이유로 별개물로 구성되지만,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프론트커버(410)는 가이드공간(332) 쪽에 위치하고, 리어커버(450)는 상대적으로 순환팬설치부(350) 쪽에 치우져 있다. 도 2를 보면, 프론트커버(410)는 열교환공간(342)의 일부와 가이드공간(332)의 상부 일부를 덮고 있고, 리어커버(450)는 열교환공간(342)의 나머지 일부를 덮고 있다.
상기 리어커버(450)를 보면, 상기 리어커버(450)는 프론트커버(410)와 대략 같은 폭을 갖는 판상 구조로, 프론트커버(410)에서 연장되어 증발기(360)와 응축기(370)의 상부를 덮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리어커버(450)는 프론트커버(410) 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만들어지는데, 반대쪽 끝이 순환팬설치부(350)까지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커버(410)의 상면을 따라서 세척수의 공급유로가 설치된다.
여기서 공급유로란 배수통(700)에서 응축기(37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경로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중 일부는 리어커버(450)의 상면에 설치된다. 도 3을 보면, 상기 프론리어커버(450)의 상면에는 연결홀(466)이 관통되고, 상기 연결홀(466)에는 급수관(490)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490)은 후방에 위치한 제어밸브(480)와 별도의 연결튜브(485)로 연결되는데, 도 3에는 연결튜브(485)가 끊어진 형태로 일부만 표현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49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어커버(450)의 연결홀(466) 안쪽으로 삽입되어 응축기(370)의 위쪽에 있는 노즐부(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다. 따라서 급수관(490)을 배수통(700)-제어밸브(480)-연결튜브-연결홀(466)-노즐부 순으로 세척수가 전달된다. 물론 이러한 급수관(490) 자체가 생략되고 배수통(700) 또는 외부의 공급수간이 연결홀(466)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제어밸브(480)에 표현된 도면부호 481,482는 각각 입력포트 및 출력포트인데, 입력포트(481)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수펌프유닛(500)에 연결되어, 배수펌프유닛(500)으로부터 응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캐비넷(110)의 설치공간에는 배수펌프유닛(500)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펌프유닛(500)는 응축수회수부(510)에 설치되어 응축수회수부(510)에 유입된 응축수 중 일부는 배수통(700)으로 이동시키고, 일부는 상기 제어밸브(480)로 이동되어 열교환기의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회수부(510)는 하부프레임(120)에서 전방보다 후방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에는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모이는데, 이를 위해서 열교환기가 설치된 열교환공간(342)과 응축수회수부(510)가 연결된다. 열교환공간(342)의 바닥에 떨어진 응축수는 응축수회수부(510)로 이동하여 모이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응축수회수부(510)는 대략 평면인 바닥면을 갖는데, 이와 달리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의 가장자리에는 챔퍼면(도시되지 않음)이 있거나, 바닥면이 어느 한쪽 또는 중심으로 치우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응축수회수부(510)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출홀(520)을 향해서 약간 경사질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와 열교환공간(342) 사이에는 연결게이트(G)가 있다. 상기 연결게이트(G)는 관통된 일종의 통로인데, 응축수회수부(510)와 열교환공간(342)은 상기 연결게이트(G)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6을 보면 연결게이트(G)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뚫려있고, 뒤쪽에 위치한 열교환공간(342)과 여기에 설치된 응축기(370)의 일부가 연결게이트(G)를 통해서 보인다.
상기 연결게이트(G)의 아래쪽에는 단차턱(522)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단차턱(522)은 상기 열교환공간(342)과 응축수회수부(510)의 경계 부분에 있는데, 상기 단차턱(522)으로 인해 열교환공간(342)과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높이가 다르다. 즉, 상기 연결게이트(G)를 기준으로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은 열교환공간(342)의 바닥면 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는 다시 열교환공간(342)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열교환공간(342)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연결게이트(G)를 통해 응축수회수부(510) 방향(화살표 A참조)으로 이동하고,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다. 도 5에서 빗금친 부분은 응축수가 모이는 응축수회수부(510) 부분을 구분해서 보인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될 바와 같이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는 배출홀(520)로 배출될 수도 있는데, 배출홀(520)에 마개(도시되지 않음)가 제거되면 배출홀(520)이 개방되어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520)은 응축수회수부(510)를 캐비넷(110)의 후방으로 개방시키는 부분으로, 응축수회수부(510)의 배출공간에서 캐비넷(110)을 관통하여 만들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배출홀(520)은 하부프레임(120)을 관통해서 응축수회수부(510)와 외부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에는 응축수회수부(510)와 배수펌프유닛(500)의 구조가 단면도로 표현되어 있다. 먼저 배수펌프유닛(500)의 구조를 보면, 상기 배수펌프유닛(500)에는 모터(535)와 임펠러(540)로 구성된 워터펌프(530)가 포함된다.
응축수회수부(510)는 열교환공간(342)과 연결되는데, 연결게이트(G)가 응축수회수부(510)와 열교환공간(342)을 연결한다. 도 6에서 보듯이, 연결게이트(G) 뒤쪽에 있는 응축기(370)의 일부가 응축수회수부(510) 쪽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게이트(G)의 아래쪽에는 단차턱(522)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단차턱(522)은 상기 열교환기공간(342)과 응축수회수부(510)의 경계 부분에 있는데, 상기 단차턱(522)으로 인해 열교환공간(342)과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높이가 다르다. 즉, 상기 연결게이트(G)를 기준으로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은 열교환기공간(342)의 바닥면 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가 다시 열교환기공간(342)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응축수회수부(510)는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가 낙하하는 열교환공간(342)의 바닥부와 연결되어, 연결게이트(G)를 통해 응축수회수부(510)에 응축수가 모이는데, 상기 응축수회수부(510)는 상기 열교환공간(342)의 바닥부 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 것이다.
한편, 아래에서 설명될 워터펌프(530)는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에 설치되어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하는데, 임펠러(540)의 하단은 응축수회수부(510)의 최고점 보다 낮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임펠러(540)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가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에 잠길 수 있다.
도 6의 확대된 부분을 참고하면, 임펠러(540)의 하단에서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까지의 높이(H1)는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부터 최고점 까지의 높이(H2) 보다 작다. 결과적으로 두 높이의 차이(H2-H1) 만큼 임펠러(540)의 하단이 응축수에 잠기는 것이다. 임펠러(540)의 하단 일부가 응축수에 잠긴 모습은 도 7에 표현되어 있다. 도 7에서 도면부호 W는 응축수회수부(510)의 최고점이자, 응축수가 응축수회수부(510)에 가득 채워졌을 때 최고수위를 나타낸다.
워터펌프(530)의 구조를 보면, 메인커버(531'), 하부커버(532) 및 상부커버(531)로 구성되는 세 개의 커버가 외관을 만든다. 메인커버(531')는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가장자리에 있는 안착단에 거치되는데, 그 중심에는 모터(535) 및 임펠러(540) 조립체가 설치된다. 도 6에서 보듯이 메인커버(531')는 응축수회수부(510)의 가장자리까지 연장되는 구조다. 이때, 상기 메인커버(531')는 임펠러(540)의 하단이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단에서부터 중심을 향해 경사지거나 단차지게 연장될 수 있다. 도면부호 533은 트랩부(570)에 결합되는 결합보스를 나타낸다.
그리고, 하부커버(532)는 상기 메인커버(531')의 아래쪽에 결합되어 임펠러(540)를 감싸고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을 향해서는 흡입홀(도시되지 않음)이 개방된다. 흡입홀은 임펠러(540)를 노출시키고,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하여 응축수가 임펠러(540)에 의해 끌어올려지게 한다. 상기 하부커버(532)의 저면은 임펠러(540)의 하단 보다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에 가깝게 위치하여 임펠러(540)를 보호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배수펌프유닛(500)의 하부커버(532)의 저면에서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까지의 높이는 3.0mm 내지 7.0mm이고, 이러한 이격된 부분을 통해서 의류처리장치에 가해지는 외력이나 충격이 배수펌프유닛(500)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상부커버(531)는 상기 하부커버(53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메인커버(531')의 위쪽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535) 및 임펠러(540) 조립체를 차폐한다.
한편, 모터(535)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하여,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회전축을 회전시키고, 회전축에 연결된 임펠러(540)가 돌아가면서 응축수를 끌어올린다. 상기 임펠러(540)는 모터(535)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임펠러축과, 상기 임펠러축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임펠러(540)는 흡입홀을 통해 노출되고, 흡입홀로 유입된 응축수에 잠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펠러(540)의 하단에서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까지의 높이(H1)는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부터 최고점 까지의 높이(H2) 보다 작다. 따라서 임펠러(540)의 하단이 응축수에 잠길 수 있다.
이때, 임펠러(540)의 하단에서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최고점 까지의 높이(H2-H1), 즉 임펠러(540)가 응축수에 잠기는 깊이는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부터 최고점 까지의 높이(H2) 대비 11% 내지 25%이다. (i) 임펠러(540)의 하단에서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최고점 까지의 높이(H2-H1)가 너무 크면 결과적으로 임펠러(540)의 하단이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에 가까운 것이어서 배수펌프유닛(500)의 파손 위험이 있고, (ii) 임펠러(540)의 하단에서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최고점 까지의 높이(H2-H1)가 너무 작으면 임펠러(540)가 응축수에 충분히 잠기지 못해서 배수효율이 떨어진다.
높이 비율 | 1 | 3 | 5 | 7 | 9 | 13 | 15 | 18 | 21 | 23 | 25 | 28 | 30 | 35 |
파손율 | 15 | 17 | 20 | 21 | 24 | 25 | 24 | 24 | 25 | 27 | 28 | 30 | 30 | 31 |
잔수율 | 30 | 27 | 22 | 21 | 20 | 20 | 19 | 17 | 17 | 18 | 16 | 17 | 16 | 16 |
위 표1과 도 11을 참고하면, 표 1과 도 11에는 배수펌프유닛(500)의 임펠러(540)가 응축수회수부(510)에 잠기는 높이를 달리함에 따른 잔수율과 펌프 파손율의 변화를 보인 결과가 표현되어 있다. 도 11에서 가로축은 응축수에 잠기는 깊이(H2-H1)와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부터 최고점 까지의 높이(H2)의 비율((H2-H1)/H2*100)을 나타낸 것이고, 세로축은 잔수율과 파손율을 나타낸다. 여기서 잔수율은 응축수회수부(510)의 총 용랴에 대해, 배수펌프유닛(500)으로 펌핑을 한 후에 응축수회수부(510)에 잔존하는 응축수의 양(cc)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파손율은 의류처리장치를 낙하시켰을 때, 배수펌프유닛(500)이 파손될 확율을 나타낸다. 잔수율과 파손율은 비율조건을 달리하며 총 20회 시험을 한 결과로, 잔수율은 평균값의 비율이고 파손율은 파손이 발생한 회수의 비율을 의미한다. 도 11의 결과를 보면, 응축수에 잠기는 깊이(H2-H1)가 클수록(가로축의 우측으로 갈수록) 잔수율은 감소하지만 파손율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잔수율과 파손율은 모두 2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가로축은 임펠러(540)가 응축수에 잠기는 깊이(H2-H1)와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부터 최고점 까지의 높이(H2)의 비율((H2-H1)/H2*100)은 8% 내지 21% 이다. 본 실시례에서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부터 최고점 까지의 높이(H2)는 6.0mm 내지 10.0mm 이고, 임펠러(540)가 응축수에 잠기는 깊이(H2-H1)는 0.8mm 내지 1.3mm 이다.
다시 도 6을 보면, 상기 응축수회수부(510)는 단차턱(522)을 기준으로 바닥면이 열교환공간(342) 보다 더 낮기 때문에, 일종의 오목한 저수부를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응축수회수부(510)는 응축수가 처음 발생하는 열교환공간(342)의 바닥부 보다 낮기 때문에 응축수가 다시 열교환공간(342)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되고 응축수회수부(510)에 집중된다. 이렇게 응축수회수부(510)에 집중된 응축수는 응축수회수부(510)에 일부가 잠기게 설치된 배수펌프유닛(500)의 임펠러(540)에 의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린트 등 이물질은 응축수와 함께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이는데, 단차진 응축수회수부(510) 구조에 갇힌다. 이처럼 특정 구역에 갇힌 이물질은 응축수와 함께 배출될 수 있고,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에 넓게 퍼져 배출되지 못하고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응축수가 연결게이트(G)를 통해 응축수회수부(510) 방향(화살표 A참조)으로 이동하고,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다.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는 배수펌프유닛(500)에 의해 위쪽(화살표 B방향)으로 끌어올려지는데, 만약 잔수가 남는다면 배출홀(520)로 배출될 수도 있다. 상기 배출홀(520)의 가장자리는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관체결부(525)가 만들어지고, 여기에는 튜브형태의 잔수배출관(도시되지 않음)의 한쪽 끝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응축수는 트랩부(570)에 모일 수도 있다. 도면부호 580은 수위센서로,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의 높이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800)에 전달하고, 결과적으로 배수펌프유닛(500)이 동작되도록 한다.
즉, 임펠러(540)의 동작과 응축수 흡입을 위해서 임펠러(540)가 바닥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는 없는 것이고, 이러한 간격으로 인해서 응축수회수부(510)에 있는 응축수가 바닥면에 가까운 수위까지 완전히 끌어올려질 수는 없기 때문에 배출홀(520)이 만들어진다. 그리고 배출홀(520)의 가장자리는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관체결부(525)가 만들어진다.
상기 배출홀(520) 및 여기에 연결되는 상기 잔수배출관은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과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갖는다. 상기 배출홀(520)이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높이로 만들어짐에 따라 바닥에 가깝게 얕은 수위로 남은 응축수도 배출홀(52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의 연장선이 상기 배출홀(520) 및 관체결부(525)를 통과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배출홀(520)의 내면 중 가장 아랫면이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과 보다 낮은 높이인데, 같은 높이에 있을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에서 연장되는 연장선이 상기 배출홀(520)을 통과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체결부(525)의 내경(H3)은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에서 워터펌프(530) 임펠러(540)의 저면까지의 높이(H1) 보다 크거나 같다. 이렇게 되면 바닥면(512)에 남겨진 낮은 수위의 잔수가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응축수회수부(510)에는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높이를 다르게 하는 단차턱(522)이 있는데, 상기 단차턱(522)은 연결게이트(G)에서 응축수회수부(510) 중심부에 치우친 위치에 있다. 상기 단차턱(5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구조 형태로 만들어져, 상기 응축수회수부(510)는 임펠러(540)의 하단이 위치한 중심부를 향해 점차 높이가 낮아진다.
이와 달리, 단차턱(522)은 연결게이트(G) 부분에도 만들어져, 2개의 단차턱(522)이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이 2중 구조로 되고, 응축수를 보관할 수 있는 용량이 늘어난다.
한편,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면, 먼저 응축수회수부(510)에는 중심부의 높이가 주변의 높이보다 낮도록 오목하게 만들어진 저수부가 있고, 상기 배수펌프유닛(500)의 임펠러(540) 하단은 적어도 일부가 오목한 형태의 저수부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이때,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공간(342)과 상기 응축수회수부(510) 사이에는 연결게이트(G)가 있고, 상기 연결게이트(G)의 바닥과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은 같은 높이를 갖는다. 즉, 열교환공간(342)과 응축수회수부(510)의 연결부분에는 단차가 없고, 같은 높이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에는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높이를 다르게 하는 단차턱(513)이 있는데, 상기 단차턱(513)은 연결게이트(G)에서 응축수회수부(510) 중심부에 치우친 위치에 있다. 상기 단차턱(5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구조 형태로 만들어져, 상기 응축수회수부(510)는 임펠러(540)의 하단이 위치한 중심부를 향해 점차 높이가 낮아진다.
이처럼 응축수회수부(510)에는 중심부의 높이가 주변의 높이보다 낮도록 오목하게 만들어진 저수부가 있어서, 응축수를 보관할 수 있는 용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자칫 응축수가 응축수회수부(510)를 벗어나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응축수와 이물질들이 저수부에 집중되게 유도한 후에 한꺼번에 배출하면 잔수율을 더욱 낮출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수부는 약 6mm 내지 10mm 사이의 깊이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캐비넷
112: 도어
120: 하부프레임 200: 드럼
300: 열교환모듈 310: 프론트덕트커넥터(아웃렉덕트)
320: 리어덕트커넥터(인렛덕트) 330: 열교환가이드
332: 가이드공간 340: 구획하우징
342: 열교환공간 350: 순환팬설치부
352: 순환팬수용부 356: 배기구
400: 베이스커버 500: 배수펌프유닛
510: 응축수회수부 530: 워터펌프
600: 드럼모터 700: 배수통
800: 제어부
120: 하부프레임 200: 드럼
300: 열교환모듈 310: 프론트덕트커넥터(아웃렉덕트)
320: 리어덕트커넥터(인렛덕트) 330: 열교환가이드
332: 가이드공간 340: 구획하우징
342: 열교환공간 350: 순환팬설치부
352: 순환팬수용부 356: 배기구
400: 베이스커버 500: 배수펌프유닛
510: 응축수회수부 530: 워터펌프
600: 드럼모터 700: 배수통
800: 제어부
Claims (13)
- 내부에 설치공간이 있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의류를 열처리한 후에 배기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가 낙하하는 열교환공간의 바닥부와 연결되어 응축수가 모이되 상기 열교환공간 보다 바닥면의 높이가 낮은 응축수회수부와,
상기 응축수회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회수부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하되 임펠러의 하단은 응축수회수부의 최고점 보다 낮게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의 하단의 적어도 일부가 응축수회수부에 모인 응축수에 잠길 수 있는 배수펌프유닛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하단에서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최고점 까지의 높이(H2-H1)는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부터 최고점 까지의 높이(H2) 대비 8% 내지 21% 인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회수부에는 중심부의 높이가 주변의 높이보다 낮도록 오목하게 만들어진 저수부가 있고, 상기 배수펌프유닛의 임펠러 하단은 적어도 일부가 오목한 형태의 저수부에 잠기도록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회수부와 상기 열교환공간의 바닥부 사이에는 단차턱이 있고, 상기 단차턱을 기준으로 응축수회수부의 높이가 더 낮은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공간과 상기 응축수회수부 사이에는 연결게이트가 있고, 상기 연결게이트를 기준으로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은 열교환공간의 바닥면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공간과 상기 응축수회수부 사이에는 연결게이트가 있고, 상기 연결게이트의 바닥과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은 같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응축수회수부에는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 높이를 다르게 하는 단차턱이 있되 상기 단차턱은 연결게이트에서 응축수회수부 중심부에 치우친 위치에 만들어지는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를 감싸는 상기 배수펌프유닛의 하부커버는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되, 하부커버의 저면은 상기 임펠러의 하단 보다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에 가깝게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회수부는 임펠러의 하단이 위치한 중심부를 향해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유닛의 하부커버의 저면에서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 까지의 높이는 3.0mm 내지 7.0mm 인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유닛에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가 있고, 상기 임펠러는 하부커버 내부에 설치되되 하부커버에 있는 흡입홀을 통해 응축수가 임펠러 방향으로 유입되는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유닛을 구성하는 워터펌프는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가장자리에 있는 안착단에 거치되고 중심에는 모터 및 임펠러 조립체가 설치되는 메인커버와,
상기 메인커버의 아래쪽에 결합되어 상기 임펠러를 감싸고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을 향해 흡입홀이 개방되어 임펠러를 노출시키는 하부커버와,
상기 하부커버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메인커버의 위쪽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 및 임펠러 조립체를 차폐하는 상부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커버는 상기 임펠러의 하단이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상기 안착단에서부터 중심을 향해 경사지거나 단차지게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회수부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출홀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홀은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과 같거나 낮은 높이를 갖는 의류처리장치.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의 내경(H3)은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에서 배수펌프유닛의 임펠러의 저면까지의 높이(H1) 보다 크거나 같은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9640A KR20210020398A (ko) | 2019-08-14 | 2019-08-14 | 의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9640A KR20210020398A (ko) | 2019-08-14 | 2019-08-14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0398A true KR20210020398A (ko) | 2021-02-24 |
Family
ID=7468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9640A KR20210020398A (ko) | 2019-08-14 | 2019-08-14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2039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19242A1 (en) * | 2022-07-18 | 2024-01-25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5236B1 (ko) | 2004-12-14 | 2012-06-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건조기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
KR101305285B1 (ko) | 2006-08-25 | 2013-09-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건조기 |
-
2019
- 2019-08-14 KR KR1020190099640A patent/KR202100203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5236B1 (ko) | 2004-12-14 | 2012-06-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 건조기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
KR101305285B1 (ko) | 2006-08-25 | 2013-09-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건조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019242A1 (en) * | 2022-07-18 | 2024-01-25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03067B2 (en) | Laundry machine | |
EP2037034B1 (en) | Ductless type clothes drier | |
KR10230034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542389B1 (ko) |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 |
RU2626952C2 (ru) |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 |
KR102043197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8230613B2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20130127816A (ko) | 의류건조기 | |
US20090241606A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 |
KR102201868B1 (ko) | 의류건조기 | |
EP3124682B1 (en) | Heat pump dryer | |
EP3112527B1 (en) | Dryer | |
US20090151188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20190128487A (ko) | 의류 처리 장치 | |
KR20190128484A (ko) | 의류 처리 장치 | |
EP2799612A1 (en) | Heat pump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EP2213781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US10774463B2 (en) | Dryer appliance | |
KR20210020398A (ko) | 의류처리장치 | |
EP3450615B1 (en) | Dryer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dryer | |
KR20200137505A (ko) | 의류 처리장치 | |
KR10146194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568205B1 (ko) | 의류 처리 장치 | |
JP2005046415A (ja) | 洗濯乾燥機 | |
KR20210010143A (ko) | 의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