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5285B1 - 세탁건조기 - Google Patents

세탁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5285B1
KR101305285B1 KR1020060081338A KR20060081338A KR101305285B1 KR 101305285 B1 KR101305285 B1 KR 101305285B1 KR 1020060081338 A KR1020060081338 A KR 1020060081338A KR 20060081338 A KR20060081338 A KR 20060081338A KR 101305285 B1 KR101305285 B1 KR 101305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ub
drainage
tub
condensation duct
conden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746A (ko
Inventor
이종민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285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아웃터 터브와;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터브와;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부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응축수의 배수를 촉진시키는 배수촉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응축수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어 건조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세탁건조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세탁건조기{WASHING-DRY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세탁건조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팬 영역을 확대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건조기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아웃터 터브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건조기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팬 영역의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케이스 120 : 아웃터 터브
130 : 이너 터브 135 : 터브구동모터
143 : 급수관 145 : 급수밸브
151 : 순환덕트 153 : 팬
155 : 히터 161 : 배수촉진부
본 발명은, 세탁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응축수의 배출을 촉진시켜 건조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건조기는 세탁물을 세탁함과 아울러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일 종이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건조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팬 영역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건조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아웃터 터브(20)와, 상기 아웃터 터브(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너 터브(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12) 및 도어(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스프링(22) 및 댐퍼(24)에 의해 아웃터 터브(20)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20)는 일 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관(2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25)에는 배수펌프(2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20)의 내부에는 상기 이너 터브(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아웃터 터브(20)의 하측에는 상기 이너 터브(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터브구동모터(3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아웃터 터브(20)의 일 측에는 상기 아웃터 터브(20)의 내부의 공기가 인출되어 응축될 수 있도록 응축덕트(41)가 설치되어 있다. 응축덕트(41)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응축덕트(41)의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관(4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43)에는 급수밸브(4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응축덕 트(41)의 상단에는 일 단이 상기 아웃터 터브(20)의 전면부에 연결된 순환덕트(51)의 타 단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응축덕트(41)와 상기 순환덕트(51)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아웃터 터브(20)의 내부의 공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팬(5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순환덕트(51)의 내부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55)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세탁물의 건조시에는 상기 팬(53) 및 히터(55)가 구동됨과 아울러 상기 급수관(43)을 통해서 상기 응축덕트(41)의 내부에 물이 공급된다. 상기 아웃터 터브(20)로부터 인출된 공기는 상기 응축덕트(41)를 따라 상향 유동되고, 이 때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된다.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팬(53)을 지나 순환덕트(51)를 따라 유동하면서 히터(55)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이너 터브(30)의 내부에서 세탁물과 접촉되어 습기를 함유하여 이너 터브(30)의 외부로 유출되고 다시 응축덕트(41)를 따라 유동하면서 수분이 제거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건조기에 있어서는, 이너 터브(30)의 외부로 유출된 공기 중 일부는 아웃터 터브(20)의 내벽과 접촉되어 응결되며, 이 때 아웃터 터브(20)의 내벽에 응결된 물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지 아니할 경우, 상기 아웃터 터브(20)의 내부의 습도를 높이게 되어 건조효율을 저해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응축덕트(41)의 내벽에 응축된 물방울 형태의 응축수(57) 중 일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53)의 흡입력에 의해 이끌리어 순환덕트(51)를 따라 유동되어 이너 터브(30)의 내부로 재유입되어 건조효율을 저해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응축수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어 건조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세탁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수를 신속하게 낙하시켜 응축수가 아웃터 터브의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웃터 터브 및 응축덕트의 내부의 응축수를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아웃터 터브와;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터브와;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응축되는 응축수의 배수를 촉진시키는 배수촉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 양 측 및 하부에 형성되거나 내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부착되는 친수성부재 또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형성되는 친수성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부착되는 소수성부재 또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형성되는 소수성막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을 플라즈마로 표면처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와 상기 이너 터브 사이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될 수 있도록 상기 아웃터 터브와 상기 이너 터브의 사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아웃터 터브와; 상기 아웃터 터브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부의 공기를 인출할 수 있게 상기 아웃터 터브에 연결되는 응축덕트와; 상기 응축덕트의 내부 적어도 일 부 영역에 형성되어 응축수의 배수를 촉진시키는 제1배수촉진부를 포함하는 세탁건조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 중 적어도 일 부 영역에 형성되어 응축수의 배수를 촉진시키는 제2배수촉진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부착되는 친수성부재 또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형성되는 친수성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배수촉진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면에 부착되는 친수성부재 또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면에 형성되는 친수성막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부착되는 소수성부재 또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형성되는 소수성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배수촉진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면에 부착되는 소수성부재 또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면에 형성되는 소수성막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을 플라즈마로 표면처리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배수촉진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면을 플라즈마로 표면처리하여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건조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아웃터 터브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세탁건조기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아웃터 터브(120)와;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부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응축수의 배수를 촉진시키는 배수촉진부(1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세탁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112) 및 도어(1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스프링(122) 및 댐퍼(124)에 의해 상기 아웃터 터브(120)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120)는 일 측이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하부에는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관(1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125)에는 배수펌프(1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부에는 상기 이너 터브(130)가 회전축(13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이너 터브(130)의 회전축(131)에 연결되어 상기 이너 터브(130)를 회전시키는 터브구동모터(13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너 터브(130)에는 복수의 관통공(132) 및 리프트(134)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후방 상부영역에는 상기 아웃터 터브(120)와 상기 이너 터브(130) 사이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될 수 있도록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4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143)에는 급수밸브(14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상측에는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부의 공기를 인출하여 순환시킬 수 있도록 순환덕트(15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순환덕트(151)의 일단은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상부 후방영역에 상호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 단은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전방영역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순환덕트(151)의 입구측에는 팬(15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팬(153)의 하류 영역에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1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부에는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면에 응축되는 응축수의 배수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배수촉진부(1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촉진부(161)는 물과 친화력을 보이는 소재,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A:Cellulose Acetate), 폴리비닐알코올(PVA:Polyvinylalcohol)등을 시트(sheet) 형태로 하여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면에 부착하거나, 코팅 등의 방법으로 친수성 막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수촉진부(161)는 응축수의 표면장력이 작아지게 되어 응축수가 배수촉진부(161)의 표면에 신속하게 확산되어 배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촉진부(161)는, 물과 친화성이 없는 소재,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P:Polypropylene), 폴리설폰(PSF:Polysulfone) 등을 시트 형태로 하여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면에 부착 하거나, 코팅 등의 방법으로 소수성 막(또는 발수성 막)을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수촉진부(161)는 응축수가 신속하게 결집되어 배수촉진부(161)의 표면으로부터 신속하게 낙하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배수촉진부(161)는,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되는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면을 플라즈마(plasma)로 친수성을 가지도록 표면 처리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촉진부(161)는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면 전체 또는 일부, 즉 양 측 및 하부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킬 때에는, 상기 팬(153) 및 히터(155)에 각각 전원이 인가됨과 아울러 상기 급수밸브(45)가 개방된다. 상기 이너 터브(130)로부터 인출된 공기는 상기 이너 터브(130)와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후벽 사이를 따라 상향 유동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된다.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팬(153)을 경유하여 히터(155)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이너 터브(1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이너 터브(130)에서 세탁물과 접촉된 공기는 수분을 함유하여 상기 이너 터브(130)의 외부로 유출된 후 응축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아웃터 터브(120)의 내면에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되면, 물방울 형태로 응결되는 수분은 배수촉진부(161)에 의해 표면 장력이 작아지게 되어 신속하게 낙하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방울 형태의 응축수(157)가 신속하게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157)의 배출을 촉진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건조기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팬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세탁건조기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아웃터 터브(220)와; 상기 아웃터 터브(22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터브(220)의 내부의 공기를 인출할 수 있게 상기 아웃터 터브(220)에 연결되는 응축덕트(241)와; 상기 응축덕트(241)의 내부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응축수의 배수를 촉진시키는 제1배수촉진부(26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개구(212) 및 도어(2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스프링(222) 및 댐퍼(224)에 의해 상기 아웃터 터브(220)가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아웃터 터브(220)의 하부에는 배수펌프(227)가 구비된 배수관(225)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220)의 내부에는 상기 이너 터브(230)가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너 터브(230)에는 복수의 관통공(232) 및 리프트(23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220)의 후방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231)에 결합되어 상기 이너 터브(230)를 회전시키는 터브구동모터(23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아웃터 터브(220)의 후방에는 일 단이 상기 아웃터 터브(220)에 연결된 응축덕트(241)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응축덕트(241)의 상부영역에는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관(24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243)에는 급수밸브(24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응축덕트(241)의 상단에는 일 단이 상기 아 웃터 터브(220)의 전면부에 연결된 순환덕트(251)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응축덕트(241)와 상기 순환덕트(251)의 경계영역에는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팬(25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순환덕트(251)의 내부에는 히터(25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응축덕트(241)의 내면에는 내면에 응축되는 응축수가 신속하게 낙하할 수 있도록 제1배수촉진부(2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아웃터 터브(220)의 내부에는 상기 아웃터 터브(220)의 내면에 응축되는 응축수가 신속하게 낙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2배수촉진부(26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배수촉진부(263) 및 제2배수촉진부(262)는, 물과 친화력을 보이는 소재를 시트로 하여 상기 아웃터 터브(220) 및 상기 응축덕트(241)의 내면에 부착하거나, 코팅 등의 방법으로 상기 아웃터 터브(220) 및 상기 응축덕트(241)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친수성막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수촉진부(263) 및 제2배수촉진부(262)는, 물과 친화성이 없는 소재를 시트 형태로 하여 상기 아웃터 터브(220) 및 상기 응축덕트(241)의 내면에 부착하거나, 코팅 등의 방법으로 상기 아웃터 터브(220) 및 상기 응축덕트(241)의 내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소수성막(또는 발수성막)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수촉진부(263) 및 제2배수촉진부(262)는 플라즈마로 상기 아웃터 터브(220) 및 상기 응축덕트(241)의 내면이 친수성을 가지도록 표면 처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킬 때에는, 상기 팬(253) 및 히터(255)에 각각 전원이 인가됨과 아울러 상기 급수밸브(245)가 개방된다. 상기 이 너 터브(230)로부터 인출된 공기는 상기 응축덕트(241)를 따라 상향 유동되면서 응축되어 수분이 제거된다.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팬(253)을 경유하여 히터(255)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상기 이너 터브(230)의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물과 접촉되어 수분을 함유한 후 응축덕트(241)에서 응축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너 터브(230)에서 유출된 고온의 다습한 공기가 상기 아웃터 터브(220)의 내벽에 접촉되면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된다. 이 때, 제2배수촉진부(262)는 응결된 응축수가 신속하게 낙하되어 상기 아웃터 터브(2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효율을 제고하게 된다.
상기 제1배수촉진부(263)는, 상기 응축덕트(241)의 내부에 응결된 응축수의 표면장력이 작아지게 하여 신속하게 낙하되도록 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축덕트(241)를 따라 상향 유동하면서 상기 응축덕트(241)의 내면에 응결되는 응축수(257)가 신속하게 결집되어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257) 중 일부가 팬(253)의 흡입력에 이끌리어 다시 상기 이너 터브(230)의 내부로 유입되어 건조효율을 저해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터 터브의 내부에 응결되는 응축수가 신속하게 낙하되어 상기 아웃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어 건조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는 세탁건조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응축덕트의 내부에 응결되는 응축수가 신속하게 낙 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어 건조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축덕트의 내부의 응축수가 팬의 흡입력에 의해 이끌리어 이너 터브의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아웃터 터브 및 응축덕트의 내부의 응축수가 신속하게 낙하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어 건조효율을 제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응축덕트의 내부의 응축수가 팬의 흡입력에 의해 이끌리어 이너 터브의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건조기가 제공된다.

Claims (10)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아웃터 터브와;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터브와;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응축되는 응축수의 배수를 촉진시키는 배수촉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 양 측 및 하부에 형성되거나 내면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부착되는 친수성부재 또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형성되는 친수성막을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부착되는 소수성부재 또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형성되는 소수성막을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을 플라즈마로 표면처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5.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아웃터 터브와;
    상기 아웃터 터브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부의 공기를 인출할 수 있게 상기 아웃터 터브에 연결되는 응축덕트와;
    상기 응축덕트의 내부 적어도 일 부 영역에 형성되어 응축수의 배수를 촉진시키는 제1배수촉진부를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 중 적어도 일 부 영역에 형성되어 응축수의 배수를 촉진시키는 제2배수촉진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부착되는 친수성부재 또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형성되는 친수성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배수촉진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면에 부착되는 친수성부재 또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면에 형성되는 친수성막을 구비하는 세탁건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부착되는 소수성부재 또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에 형성되는 소수성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배수촉진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면에 부착되는 소수성부재 또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면에 형성되는 소수성막을 구비하는 세탁건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촉진부는 상기 아웃터 터브의 내면을 플라즈마로 표면처리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2배수촉진부는 상기 응축덕트의 내면을 플라즈마로 표면처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건조기.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터 터브와 상기 이너 터브 사이에서 고온 다습한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될 수 있도록 상기 아웃터 터브와 상기 이너 터브의 사이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KR1020060081338A 2006-08-25 2006-08-25 세탁건조기 KR101305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338A KR101305285B1 (ko) 2006-08-25 2006-08-25 세탁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1338A KR101305285B1 (ko) 2006-08-25 2006-08-25 세탁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746A KR20080018746A (ko) 2008-02-28
KR101305285B1 true KR101305285B1 (ko) 2013-09-06

Family

ID=3938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338A KR101305285B1 (ko) 2006-08-25 2006-08-25 세탁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52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143A (ko) 2019-07-19 202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20398A (ko)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5597A (ko) 2014-07-07 2016-01-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응축수 제어형 건조기
CN105155197B (zh) * 2015-07-06 2018-03-30 Tcl智能科技(合肥)有限公司 洗干一体机的风道和洗干一体机
KR102285235B1 (ko) 2018-08-13 2021-08-03 (주)숨과쉼 사회공익을 위한 마켓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093A (ja) * 1993-08-31 1995-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JP2005065907A (ja) * 2003-08-22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093A (ja) * 1993-08-31 1995-03-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JP2005065907A (ja) * 2003-08-22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0143A (ko) 2019-07-19 202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020398A (ko)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746A (ko)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7521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RU2604447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барабанного типа
KR100687376B1 (ko) 세탁건조기
KR101305285B1 (ko) 세탁건조기
KR20140109119A (ko) 세탁물 처리장치
JP2012000313A (ja) 洗濯乾燥機
KR101128810B1 (ko) 세탁장치
ES2339803T3 (es) Lavadora/secadora con circuito de condensacion adicional.
KR20050099251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JP5068295B2 (ja) 乾燥機
JP6640699B2 (ja) 洗濯乾燥機
JP4243336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0511966B1 (ko) 건조기
JP5868292B2 (ja) 洗濯機
KR100465192B1 (ko) 건조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KR100664284B1 (ko) 에너지 절감형 의류 건조기
JP2011045488A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KR101111511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역수압방지 구조
KR100648169B1 (ko) 드럼세탁기의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KR101246374B1 (ko) 세탁기
JP7422049B2 (ja) 洗濯乾燥機
JP2015192760A (ja) 衣類乾燥機
JP6670737B2 (ja) 洗濯乾燥機
KR100855001B1 (ko) 세탁 및 건조 장치
KR100631576B1 (ko) 기포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