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014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0143A
KR20210010143A KR1020190087654A KR20190087654A KR20210010143A KR 20210010143 A KR20210010143 A KR 20210010143A KR 1020190087654 A KR1020190087654 A KR 1020190087654A KR 20190087654 A KR20190087654 A KR 20190087654A KR 20210010143 A KR20210010143 A KR 20210010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residual water
discharge pipe
water discharge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7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0143A/ko
Publication of KR20210010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1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비넷(110)과, 상기 캐비넷(110)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의류를 열처리한 후에 배기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펌프유닛(5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응축수회수부(510)에는 잔수배출관(550)이 연결되는데, 잔수배출관(550)은 상기 캐비넷(110)의 외면을 따라 캐비넷(110)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한쪽 끝은 상기 응축수회수부(510)를 개방시키는 배출홀(520)에 이어지고, 반대쪽 끝은 캐비넷(110)의 전방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 중에서 보관통으로 끌어올려지거나 열교환기의 세척에 사용되고 남은 잔수가 잔수배출관(550)을 통해서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으로 유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나 침구류 등의 건조 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처리장치의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 등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의 의류 건조기는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히트펌프시스템의 운전을 통해 처리공간(드럼 혹은 옷이 걸린 스팀공간) 내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와 같은 피처리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피처리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킴으로써 건조하도록 구성된 기기이다.
또한, 의류건조기는 피처리물을 건조시킨 후 처리공간을 빠져나가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처리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곧장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응축식 건조기는 건조운전시 발생된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순환시키면서 열교환을 통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구성된다.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펌프를 통해 보관통에 보관되어 외부로 배출되거나, 열교환기를 세척하는데 사용되기도 한다. 응축수를 퍼올리기 위해서 먼저 응축수를 의류처리장치의 바닥에 있는 응축수회수부에 모이게 하고, 응축수회수부에 설치된 워터펌프는 모인 응축수를 보관통으로 밀어낸다.
그런데, 응축수를 워터펌프로 밀어올려 보관통에 보관하거나 열교환기 쪽으로 전달하여 열교환기를 세척하더라도, 응축수회수부에 모인 응축수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워터펌프의 임펠러가 응축수회수부의 바닥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응축수회수부의 바닥에 낮은 수위로 고인 응축수까지는 끌어올리기 어려운 것이다.
응축수회수부에 고인 응축수는 악취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잔수율을 낮출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등록특허 10-1155236호는 응축수를 분무 상태로 만들고 노즐부를 빠져나가도록 하여 응축수가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있고, 등록특허 등록특허 10-1305285호는 세탁건조기의 후방에 있는 배수펌프가 구비된 배수관으로 응축수를 버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응축수를 분무형태로 완전히 배출해버리면 필요할 때 응축수를 저장하여 열교환기의 세척에 사용할 수 없어서, 열교환기의 세척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의류처리장치의 후방에 잔수배출관을 두면 필요할 때만 잔수를 배출할 수 있으나, 잔수배출을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벽면에 가깝게 밀착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벽면과 의류처리장치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해서 잔수배출관을 개방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물론 잔수배출관을 항상 열어둘 수도 있으나, 이렇게 되면 배수구가 없는 실내에서는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기 어렵고, 응축수를 모았다가 열교환기의 세척을 위해 사용할 수도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응축수의 배수유로를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으로 연장하는 것을 고려할 수도 있으나, 이렇게 만들기 위해서는 의류처리장치의 하부에 설치된 다양한 부품들과 간섭을 피하면서 유로를 설계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유로의 구조가 복잡하면 응축수가 이를 따라서 원활하게 흘러내리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5523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0528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필요한 때에만 선택적으로 응축수(잔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되, 이러한 작업이 의류처리장치의 앞쪽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처리장치의 아래쪽에 배치된 부품들과의 간섭없이 응축수의 배출유로를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펌핑이나 기울임 없이, 배출유로의 끝부분을 개방하는 것만으로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의류를 열처리한 후에 배기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펌프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응축수회수부에는 잔수배출관이 연결되는데, 잔수배출관은 상기 캐비넷의 외면을 따라 캐비넷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한쪽 끝은 상기 응축수회수부를 개방시키는 배출홀에 이어지고, 반대쪽 끝은 캐비넷의 전방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 중에서 보관통으로 끌어올려지거나 열교환기의 세척에 사용되고 남은 잔수가 잔수배출관을 통해서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으로 유도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출관은 캐비넷의 외면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가이드부에 의해 캐비넷의 외면에 고정되고, 다수개의 가이드부들은 상기 잔수배출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되 중력방향을 따라 점점 높이가 낮아진다. 따라서 잔수배출관도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가 되고, 잔수배출관을 단순히 가이드부에 끼우는 작업만으로도 자연스럽게 잔수배출관에 경사를 만들어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잔수배출관은 상기 배출홀에 이어지고 상기 캐비넷의 후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서 상기 캐비넷의 측면 또는 저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한다. 이처럼 잔수배출관이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가 아니라 외면을 따라 설치되므로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바꿀 필요가 없고,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과의 간섭이 발생할 여지가 없다.
상기 배출홀에 결합된 상기 잔수배출관의 연결단은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 높이로 만들어지되, 잔수배출관의 내경은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에서 워터펌프 임펠러의 저면까지의 높이 보다 크거나 같다. 따라서 워터펌프 임펠러가 미처 제거하지 못한 잔수를 임의로 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잔수제거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가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α°)는 상기 제2연결부가 하형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β°) 보다 크고, 잔수배출관의 총 길이가 0.8m 내지 1.4m 이고, 응축수회수부의 저장용량이 900cc 내지 1700cc일 때, 상기 잔수배출관이 캐비넷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는 0.3°내지 0.6°이다. 이러한 설정을 통해서 잔수배출관은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끝부분의 차폐마개를 여는 것만으로 잔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고, 최적의 경사각을 통해 의류저장장치의 바닥높이를 과도하게 높이지 않으면서도 잔수제거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출관에는 상기 제2연결부에서 캐비넷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되 선택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캐비넷의 저면 또는 캐비넷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제3연결부가 있다. 제3연결부는 평소에 눈에 띄지 않은 캐비넷의 저면이나 측면에 위치하고, 사용할 때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잔수배출관의 한쪽 끝과 가이드부는 각각 상기 배출홀 및 캐비넷의 외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캐비넷의 조립을 위해 만들어지는 체결홀에 대응하는 체결구를 통해 상기 캐비넷의 외면에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계변경이나 가공이 불필요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일부는 탄성변형을 통해 한쪽으로 개방된 정도가 달라지는 고정클립으로, 잔수배출관을 쉽게 탈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열교환기가 설치된 열교환기공간과 상기 응축수회수부 사이에는 연결게이트가 있고, 상기 연결게이트를 기준으로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은 열교환기공간의 바닥면 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서,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의 저면에는 캐비넷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트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에는 위쪽으로 개방된 배출공간이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에서 배출된 잔수를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를 이용하여 실내에서도 의류저장창치의 잔수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의 저면에는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상기 캐비네스의 저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스페이서를 통해 잔수배출관의 경사각을 임의로 변경할 수도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 중에서 보관통으로 끌어올려지거나 열교환기의 세척에 사용되고 남은 잔수가 잔수배출관을 통해서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사용자나 작업자는 워터펌프가 미처 제거하지 못한 잔수를 임의로 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서 잔수제거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잔수배출관은 다수개의 가이드부에 의해 의류처리장치의 외면에 고정되는데, 가이드부들이 중력방향을 따라 점점 낮아지므로 여기에 설치되는 잔수배출관도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잔수배출관을 단순히 가이드부에 끼우는 작업만으로도 자연스럽게 잔수배출관에 경사를 만들어 줄 수 있고, 잔수배출관의 경사를 통해 잔수를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잔수배출관이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가 아니라 외면을 따라 설치되므로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바꿀 필요가 없고,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과의 간섭이 발생할 여지가 없다. 따라서 잔수배출관의 설치구조가 간단하고, 설계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잔수배출관은 분리가능하게 설치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그 끝부분은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게 의류처리장치의 측면이나 저면에 거치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잔수배출관은 이를 전방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보관하거나 전체를 분리해서 따로 보관할 수 있어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잔수배출관은 의류처리장치의 양옆 또는 저면을 따라서 연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설치환경에 따라 다양한 설치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잔수배출관의 설치자유도가 높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잔수배출관은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되므로 끝부분의 차폐마개를 여는 것만으로 잔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최적의 경사각을 통해 의류저장장치의 바닥높이를 과도하게 높이지 않으면서도 잔수제거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저장장치의 바닥높이가 높아짐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이 증가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마찰손실수두를 감안하여 잔수배출관의 구간별로 경사각을 달리함으로써 응축수의 보다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잔수배출관을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부는 의류저장장치의 조립을 위해 기존에 설계되어 있던 체결홀을 이용해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계변경이나 가공이 불필요하므로 잔수배출기능과 관련된 구조설계 및 제조방식 변경 및 그에 따른 비용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례에서 내부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하부구조만 독립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도 2의 IV-IV'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바닥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일실시례에 의한 잔수배출관의 배치를 보인 저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일실시례에서 잔수배출관의 제2연결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일실시례에서 잔수배출관의 제3연결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례에 의한 잔수배출관의 배치를 보인 저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례에서 잔수배출관의 제2연결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례에서 잔수배출관의 제3연결부를 고정하는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도 9에 도시된 다른 실시례에서 잔수배출관의 제1연결부의 경사각 및 제2연결부의 경사각을 각각 보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잔수배출관의 각 부위별로 높이차이를 보인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잔수배출관의 경사각을 달리함에 따른 잔수율의 변화를 보인 표와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히트펌프시스템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피처리물인 의류나 침구류를 열처리한 후에, 피처리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다시 히트펌프시스템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그리고 히트펌프시스템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한 응축수로 열교환기를 세척하거나 보관통에 보관하기 위해 밀어올린 후에 남은 잔수를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아래에서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의류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 이외에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 히트펌프시스템이 포함되는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해서 캐비넷(110) 등 외부구조들은 점선으로 처리되어 있다. 도 2는 히트펌프시스템을 포함하는 도 1의 하부구조를 보이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크게 캐비넷(110), 드럼(200), 히트펌프시스템, 순환팬(390), 배수통(70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히트펌프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들은 의류처리장치의 아래쪽에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고, 별도의 세척유닛(도시되지 않음)이 응축수를 이용해서 히트펌프시스템을 세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구성들을 순서대로 살펴보면, 먼저 캐비넷(11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110)은 내부에 빈 공간이 설치공간이 있는 통체로 구성되는데, 다수개의 부품들이 조립되어 하나의 캐비넷(110)을 구성하는 것일 수 있고, 설치공간은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캐비넷(110)의 재질은 금속이지만, 합성수지를 비롯한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 캐비넷(110)의 외관형상은 대략 육면체 구조이지만 그 형상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넷(110)의 전면에는 도어(112)가 있고, 도어(112) 안쪽에는 피처리물 투입구(113)가 있다. 상기 피처리물 투입구(113)는 도어(112)를 개방하면 외부로 노출되어 의류 등 피처리물을 드럼(20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112)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로 만들어져 내부공간을 볼 수 도 있고, 힌지를 이용해서 개폐되는데, 접이방식이나 슬라이딩방식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캐비넷(110)의 아래쪽에는 하부프레임(120)이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은 대략 사각틀 형상이고, 캐비넷(110)의 설치공간 바닥쪽에 위치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히트펌프시스템을 비롯하여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된다. 하부프레임(120)은 다양한 부품들이 설치되는 설치부를 제공함과 동시에, 하부프레임(120)의 위쪽 공간을 통해서 열처리를 마친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드럼모터설치부(122)가 있다. 상기 드럼모터설치부(122)는 아래에서 설명될 드럼모터(600)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이다. 상기 드럼모터설치부(122)와 인접한 위치에는 압축기설치부(124)가 있는데,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압축기(380)가 설치된다. 이들 드럼모터설치부(122) 및 압축기설치부(124)는 응축수회수부(510)를 기준으로 열교환기와 순환유로의 반대편에 있다. 응축수회수부(510)를 포함한 배수펌프유닛(500)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보면,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또는 상면에는 입출력패널(130)이 설치되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입출력패널(130)은 배수통(700)과 인접하게 설치된다. 상기 입출력패널(130)은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 코스의 선택을 인가받기 위한 입력부(132)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넷(110)의 설치공간에는 드럼(2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드럼(200)은 캐비넷(110) 내의 롤러(21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210)는 드럼(200)의 외면에 맞닿도록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럼(200)은 전후면에 개구를 가지는 원통형의 통체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드럼(200)의 내부로는 고온의 건조 열풍이 통과하면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하는데, 이때 상기 건조 열풍은 상기 드럼(200)의 후방측 개구를 통해 드럼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 개구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을 드럼(200)을 사이에 두고 도어(112)가 있는 전방쪽에는 프론트서포터(230)가 있고, 후방쪽인 배면에는 리어서포터(240)가 있다. 드럼(200)은 프론트서포터(230)와 리어서포터(2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하부프레임(120)에는 응축수회수부(510)가 있다. 응축수회수부(510)는 아래에서 설명될 순환유로와 연결되어 있어서,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회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순환유로의 바닥으로 낙하한 응축수는 응축수회수부(510)로 모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응축수회수부(510)는 바닥쪽으로 움푹 꺼진 형상이다. 응축수회수부(5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수펌프유닛(500)이 설치되는데, 배수펌프유닛(500)은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통(700)으로 전달하거나, 배수통(700)의 응축수를 세척유닛 쪽으로 공급해줄 수 있다. 응축수회수부(510)도 배수펌프유닛(50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열교환모듈(300)을 살펴보면, 열교환모듈(300)은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인 증발기(360)와 응축기(370), 그리고 순환팬(390)을 포함한다. 그리고 열교환모듈(300)은 이들 부품을 감싸 그 내부에 순환유로를 만드는 부품들(330,340,350)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열교환모듈(300)은 앞서 설명한 압축기설치부(124), 드럼모터설치부(12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드럼(200)의 전방측개구에 가까운 상기 열교환모듈(300)의 한쪽에는 프론트덕트커넥터(310)가 있는데, 프론트덕트커넥터(3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드럼(200)의 전방측개구와 아래에서 설명될 열교환가이드(330)를 연결한다. 프론트덕트커넥터(310)는 드럼(200) 내부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한 공기가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아웃렛덕트(310)로 볼 수도 있다.
그리고 드럼(200)의 후방측개구에는 리어덕트커넥터(320)가 있는데, 리어덕트커넥터(320)도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드럼(200)의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리어덕트커넥터(320)는 드럼(200)으로 유입되는 유로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인렛덕트(320)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모듈(300)의 양쪽 끝에는 각각 프론트덕트커넥터(310)와 리어덕트커넥터(320)가 위치하여 열교환 전/후의 공기가 유입/배출될 수 있다.
드럼(200)에서 피처리물을 열처리하고 고온 다습해진 공기는 전방측개구를 통해 배출(도 2의 화살표 ①참조)된 후에 아웃렛덕트(310)인 프론트덕트커넥터(310)를 통해 전달되고(도 2의 화살표 ②참조), 열교환가이드(330)에 의해 열교환기 방향으로 안내된다.(도 2의 화살표 ③참조) 열교환가이드(330)는 프론트덕트커넥터(310)를 통해 전달된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공기가 열교환가이드(330)를 거치면서 하부프레임(120)의 후방을 향하도록 방향이 전환되어 열교환공간(342)으로 유입된다. 도 2의 화살표④는 열교환공간(342)을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나타낸다.
여기서 열교환공간(342)은 열교환기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열교환가이드(330)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360) 및 수분이 제거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370)가 나란히 설치된다. 열교환공간(342)은 하부프레임(120)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열교환공간(342)은 열교환가이드(330)와 아래에서 설명될 순환팬설치부(350) 사이를 연결하는 구획하우징(340)에 의해 측면이 감싸진다. 그리고 열교환공간(342)의 상부는 베이스커버(400)에 의해 차폐되어 열교환공간(342)이 외부와 단절될 수 있다.
히트펌프시스템을 간단히 살펴보면, 냉매를 순차적으로 증발-압축-응축-팽창시키도록 사이클을 구성한다. 히트펌프시스템이 작동되면, 공기는 증발기(360) 및 응축기(370)와 순차적으로 열교환하면서 고온 건조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압축기(380)에서 압축된 냉매가 고온 고압 상태가 되어 응축기(370)로 흐르고, 응축기(370)에서는 냉매가 열을 방출하면서 액화된다. 액화된 고압의 냉매는 팽창기(도시되지 않음)에서 감압되고, 저온 저압의 액상 냉매는 증발기(360)로 들어간다. 증발기(360)에서 냉매는 기화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체가 된다.
그리고 히트펌프시스템을 거치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과정을 보면, 응축기(370)를 통과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순환팬수용부를 거쳐 리어덕트커넥터(320)를 통해 드럼(200)으로 공급된다(도 2의 화살표⑤ 참조). 드럼(200)으로 공급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고온 다습한 공기가 된다. 고온 다습한 공기는 프론트덕트커넥터(310)를 통해 회수되고, 증발기(36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저온의 공기가 된다.
이때, 공기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하게 되고,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응축된다. 이어서 저온 건조한 공기는 응축기(37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고온 건조한 공기가 되어 다시 드럼(200)으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하고, 발생한 응축수는 앞서 설명한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다.
즉, 상기 순환유로에 의해 상기 히트펌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고온의 건조 공기로 드럼(200) 내의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고, 이렇게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습기를 함유하게 된 다습한 공기는 다시금 히트펌프시스템으로 공급되면서 순환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압축기설치부(124)에는 열교환을 위한 압축 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기(380)가 장착된다. 압축기(380)는 히트펌프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이지만, 공기와 직접적인 열교환을 하지는 않으므로, 순환유로 내에 설치될 필요가 없다. 압축기(380)가 순환유로 내부에 설치된다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압축기(380)는 순환유로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385는 기액분리기로, 압축기(380)로 유입되는 냉매를 기상과 액상으로 분리하여, 기상의 냉매만 압축기(380)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고, 도면부호 387은 압축기(380)를 냉각시켜주기 위한 냉각팬이다.
한편, 베이스커버(400)는 하부프레임(120)의 위쪽에 조립되는 것으로, 순환유로의 상부를 덮어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커버(4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베이스커버(400)는 대략 판상이고 순환유로의 길이방향, 즉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베이스커버(400)는 프론트커버(410)와 리어커버(450)로 구성된다. 프론트커버(410)와 리어커버(450)는 서로 조립되어 하나의 베이스커버(400)를 구성하는데, 프론트커버(410)와 리어커버(450)는 제조의 편의 등의 이유로 별개물로 구성되지만,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프론트커버(410)는 가이드공간(332) 쪽에 위치하고, 리어커버(450)는 상대적으로 순환팬설치부(350) 쪽에 치우져 있다. 도 2를 보면, 프론트커버(410)는 열교환공간(342)의 일부와 가이드공간(332)의 상부 일부를 덮고 있고, 리어커버(450)는 열교환공간(342)의 나머지 일부를 덮고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캐비넷(110)의 설치공간에는 배수펌프유닛(500)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펌프유닛(500)는 응축수회수부(510)에 설치되어 응축수회수부(510)에 유입된 응축수를 배수통(700)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배수펌프유닛(500)에 의해 응축수가 배수통(700)에 저장되면, 저장된 응축수가 열교환기 세척수로 사용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유닛(500)에는 모터와 임펠러(535)로 구성된 워터펌프(530)가 포함된다. 상기 워터펌프(530)는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통(700)으로 밀어 올리거나, 베이스커버(400)로 배출하여 열교환기인 증발기(360)를 세척하는데 사용되게 한다. 상기 워터펌프(530)는 상기 배수펌프유닛(500)의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워터펌프(530)를 구성하는 임펠러(535)의 가장 아래부분이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에서 소정의 높이(H1)만큼 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임펠러(535)의 동작과 응축수 흡입을 위해서 임펠러(535)가 바닥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는 없는 것이고, 이러한 간격으로 인해서 응축수회수부(510)에 있는 응축수가 바닥면에 가까운 수위까지 완전히 끌어올려질 수는 없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잔수배출관(550)을 통해서 남은 잔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회수부(510)는 하부프레임(120)에서 전방보다 후방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아래쪽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에는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응축수가 모이는데, 이를 위해서 열교환기가 설치된 열교환기공간(342)과 응축수회수부(510)가 연결된다. 열교환기공간(342)의 바닥에 떨어진 응축수는 응축수회수부(510)로 이동하여 모이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응축수회수부(510)는 대략 평면인 바닥면을 갖는데, 이와 달리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의 가장자리에는 챔퍼면(도시되지 않음)이 있거나, 바닥면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만들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응축수회수부(510)는 아래에서 설명될 배출홀(520)을 향해서 약간 경사질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와 열교환기공간(342) 사이에는 연결게이트(G)가 있다. 상기 연결게이트(G)는 관통된 일종의 통로인데, 응축수회수부(510)와 열교환기공간(342)은 상기 연결게이트(G)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4는 도 2의 VI-VI'의 단면도로, 이를 보면 연결게이트(G)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뚫려있고, 뒤쪽에 위치한 열교환기공간(342)과 여기에 설치된 응축기(370)의 일부가 연결게이트(G)를 통해서 보인다.
상기 연결게이트(G)의 아래쪽에는 구획턱(522)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구획턱(522)은 상기 열교환기공간(342)과 응축수회수부(510)의 경계 부분에 있는데, 상기 구획턱(522)으로 인해 열교환기공간(342)과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높이가 다르다. 즉, 상기 연결게이트(G)를 기준으로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은 열교환기공간(342)의 바닥면 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는 다시 열교환기공간(342)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한쪽에는 배출홀(520)이 있다. 상기 배출홀(520)은 응축수회수부(510)를 캐비넷(110)의 후방으로 개방시키는 부분으로, 응축수회수부(510)의 배출공간에서 캐비넷(110)을 관통하여 만들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배출홀(520)은 하부프레임(120)을 관통해서 응축수회수부(510)와 외부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보면, 상기 배출홀(520)의 끝에서 상기 배출홀(520)의 가장자리는 바깥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관체결부(525)가 만들어지고, 여기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잔수배출관(550)의 한쪽 끝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배출홀(520) 및 잔수배출관(550)의 한쪽 끝은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높이로 만들어진다. 상기 배출홀(520)이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높이로 만들어짐에 따라 바닥에 가깝게 얕은 수위로 남은 응축수도 배출홀(52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의 연장선이 상기 배출홀(520)을 통과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배출홀(520)의 내면 중 가장 아랫면이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과 보다 낮은 높이인데, 같은 높이에 있을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에서 연장되는 연장선이 상기 배출홀(520)을 통과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잔수배출관(550)의 내경(H2)은 상기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에서 워터펌프(530) 임펠러(535)의 저면까지의 높이(H1) 보다 크거나 같다. 이렇게 되면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에 남겨진 낮은 수위의 잔수도 잔수배출관(550)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이러한 응축수회수부(510)에는 잔수배출관(550)이 연결된다.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배출홀(520)에 연결되어 잔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배출홀(520)에서 시작하여 끝부분이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연장되도록 해주는 일종의 빈 관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기본적으로 캐비넷(11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고, 끝부분 일부만 사용자나 작업자가 임의로 굽혀 캐비넷(110)의 전방으로 연장하거나, 안쪽에 수납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출관(550)의 한쪽 끝은 상기 응축수회수부(510)를 캐비넷(110)의 후방으로 개방시키는 배출홀(520)에 이어지고, 캐비넷(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반대쪽 끝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응축수회수부(510)에 남은 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잔수배출관(550)의 끝부분을 차폐마개(559)로 막은 것은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가 바로 배출되어 배수통(700)으로 모이거나 증발기(360)의 세척을 위해 사용되지 못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여러 경로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에는 잔수배출관(550)이 연장될 수 있는 2가지 경로가 모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표현된 것이다. 참고도 도 5에서 두 가지 경로를 갖는 잔수배출관들(550A, 550B) 중에서 하나는 점선으로 표현하여 구별하였다. 이러한 잔수배출관(550)은 제1경로로 연장되거나(도면부호 550A, 553A, 555A, 557A), 제2경로로 연장될 수 있다(도면부호 550B, 553B, 555B, 557B). 여기서 제1경로는 캐비넷(110)의 측면(116)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로이고, 제2경로는 하부프레임(120)의 저면(129)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경로를 말한다. 제1경로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데, 이와 달리 우측 측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가 아니라 외면을 따라 설치되므로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바꿀 필요가 없고,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과의 간섭이 발생할 여지가 없다.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상기 배출홀(520)에 연결되는 연결단(551)에서 시작하여, 캐비넷(110)의 배면(117)을 따라 연장되는 제1연결부(553)와, 상기 제1연결부(553)에서 연장되고 캐비넷(110)의 측면(116, 제1경로의 경우)이나 하부프레임(120)의 저면(129, 제2경로의 경우)을 따라 이동하는 제2연결부(555)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연결부(555)에는 제3연결부(557)가 더 연결될 수 있는데, 제3연결부(557)는 상기 제2연결부(555)에서 캐비넷(110)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되 선택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캐비넷(110)의 저면 또는 캐비넷(110)의 측면(116)에 고정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이들 제1연결부(553), 제2연결부(555) 및 제3연결부(557)는 사실 일체로 구성된 것이고,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해서 제1경로로 연장되는 일실시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경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잔수배출관(550)이 캐비넷(110)의 측면(116) 또는 하부프레임(120)의 측면(127)으로 연장되는 경로다. 열교환기공간(342)에서 연결게이트(G)를 통해 응축수회수부(510) 방향(도 6의 화살표 A참조)으로 이동하여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는 배출홀(520)로 빠져나온다. 배출홀(520)로 빠져나온 응축수는 잔수배출관(550)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도 6의 화살표 B, C참조) 물론, 잔수배출관(550)의 차폐마개(559)가 개방되었을 때만 응축수가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캐비넷(110)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지만 아래쪽, 보다 정확하게는 하부프레임(120)의 측면(127)을 따라서 연장되고, 하부프레임(120)은 캐비넷(110)의 안쪽으로 단차진 형태이므로 어느 정도 가려질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잔수배출관(550)의 제3연결부(557)는 캐비넷(110)의 측면(116) 또는 전면에 거치될 수 있어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최대한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는 제3연결부(557)가 하부프레임(120)의 전면에 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캐비넷(110)의 측면(116)에 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잔수배출관(550)의 제3연결부(557)의 거치방법으로 두가지 모두 가능하다. 도 6과 같이 제3연결부(557)가 하부프레임(120)의 전면에 거치되면 사용할 때 제3연결부(557)의 거치를 해제한 후에 전방(화살표 I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고, 도 8처럼 캐비넷(110)의 측면(116)에 거치된 경우라면 거치를 해제한 후에 아래쪽(화살표 I'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캐비넷(110)의 배면(117)-측면(116)-전면(115, 또는 하부프레임(120)의 전면(126)로 이어지기 때문에 다른 설치부품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해서 캐비넷(110)의 우측 측면(116)에 잔수배출관(550)의 제2연결부(555)가 연장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설치환경이나 편의에 따라 잔수배출관(550)의 연장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가이드부(560)에 의해 캐비넷(110)의 외면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560)는 잔수배출관(550)이 캐비넷(110)의 외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데,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560)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한데, 잔수배출관(550)을 끼워 고정하는 클립이나, 잔수배출관(550)이 통과하는 고리, 또는 안착될 수 있는 후크 방식도 가능하고, 한쪽으로 완전히 개방된 포크구조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가이드부(560)는 캐비넷(110)의 외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잔수배출관(550)의 설치나 유지보수가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60)는 상기 잔수배출관(550)의 이동경로를 따라 중력방향으로 점점 높이가 낮아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잔수배출관(550)에 유입된 잔수는 자연스럽게 제3연결부(557) 쪽으로 흘러 내려갈 수 있다. 이때, 잔수배출관(550)의 경사각이 클수록 잔수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지만, 경사각이 커질 수록 초기 높이, 즉 배출홀(520)의 높이가 높아져야 한다. 배출홀(520)의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하부프레임(120)의 높이가 올라가야 하고, 이는 설치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된 거리를 증가시켜 진동과 소음을 커지게 하는 문제가 있다. 잔수배출관(550)의 경사각 설정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연결부(553)가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α°, 도 12(a) 참조)는 상기 제2연결부(555)가 하형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β°, 도 12(b) 참조) 보다 크다. 즉, 잔수배출관(550)은 전체적으로 점차 낮아지지만 그 경사각이 동일한 것은 아니고, 구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 제1연결부(553)의 경사각은 제2연결부(555)의 경사각 보다 큰데, 이것은 배출홀(520)을 지나 바로 과도하게 꺾이게 되는 제1연결부(553)에서의 흐름을 보다 좋게 해서, 제3연결부(557)까지 응축수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1연결부(553)가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α°)와 상기 제2연결부(555)가 하형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β°) 의 차이(α-β)는 0.05 에서 0.3 사이다.
또한, 상기 제3연결부(557)가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γ°)가 상기 제3연결부(557)가 하형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β°) 보다 클 수도 있다. 마지막 구간인 제3연결부(557)가 더 급하게 연장되면, 제3연결부(557)에 있는 잔수를 보다 쉽게 배출할 수 있어서 잔수배출관(550) 내부에 잔존하는 잔수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잔수배출관(550)의 길이와 유체의 점성 등에 따른 마찰손실수두를 감안하면 제3연결부(557)의 경사각이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높이 변화는 도 13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캐비넷(110)의 저면에는 트레이가 있다. 상기 트레이는 캐비넷(110)의 저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될 수 있는 것으로, 잔수배출관(550)에서 배출되는 잔수를 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트레이에는 위쪽으로 개방된 배출공간이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550)에서 배출된 잔수를 보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는 가장자리를 따라 모서리가 위쪽으로 돌출된 그릇 형태일 수 있는데, 제3연결부(557)의 높이를 높이지 않도록 트레이의 가장자리는 최대한 높이가 낮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트레이는 보관용량은 크면서도 가장자리 높이가 낮은 넓은 쟁반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트레이는 하부프레임(120)의 저면(129)에 있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딩되거나 하부프레임(120)과 무관하게 이동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면 상기 트레이는 잔수를 배출할 때만 캐비넷(110)의 전방으로 꺼내어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수납할 수 있다. 물론, 의류처리장치의 설치환경에 따라 트레이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잔수배출관(550)의 제3연결부(557)를 바로 배수구에 연결할 수 있다면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560)는 상기 캐비넷(110)의 조립을 위해 만들어지는 체결홀(565)을 이용해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60)는 잔수배출관(55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인데, 가이드부(560) 역시 캐비넷(110)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때, 기존에 캐비넷(110)의 조립을 위한 체결홀(565)을 이용해서 가이드부(560)가 고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7을 보면, 기존의 캐비넷(110) 조립을 위한 체결구(B)가 있고, 클립형태의 가이드부(560)가 제2연결부(555)를 감싸고 있다. 캐비넷(110)의 배면(117)에 있는 체결구(B)를 제거하고, 가이드부(560)에 있는 조립홀(565)를 이미 존재하는 체결홀(565)과 일치시킨 후에 체결구(B)로 가이드부(560)를 조립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가이드부(560)에 있는 조립홀(565)은 체결구(B)의 직경에 대응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렇게 되면, 가이드부(560)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설계변경이나 가공이 불필요하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보면, 잔수배출관(550)이 캐비넷(110)의 저면, 보다 정확하게는 하부프레임(120)의 저면(129)을 따라 이동한다. 도 9에서 보듯이 잔수배출관(550)은 캐비넷(110)의 정중앙을 따라 연장되는 것은 아니고, 응축수회수부(510)와 인접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연장된다. 잔수배출관(550)의 연장 방향은 하부프레임(120)의 저면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잔수배출관(550)이 캐비넷(110)의 외면을 따라 설치되므로 기존의 의류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바꿀 필요가 없고,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부품들과의 간섭도 발생할 여지가 없다.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앞설 실시례와 마찬가지로, 상기 배출홀(520)에 연결되는 연결단(551)에서 시작하여, 제1연결부(553), 제2연결부(555) 및 제3연결관(557)으로 구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캐비넷(110)의 배면(117)을 따라 연장되는 제1연결부(553)와, 상기 제1연결부(553)에서 연장되고 캐비넷(110)의 저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2연결부(555)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연결부(555)에는 제3연결부(557)가 더 연결될 수 있는데, 제3연결부(557)는 상기 제2연결부(555)에서 캐비넷(110)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되 선택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캐비넷(110)의 저면에 고정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잔수배출관(550)의 제2연결부(555)는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저면(129)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형태의 가이드채널(129')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채널(129')은 부품이 설치되는 설치부들 사이에 만들어진 것으로, 저면쪽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움푹 들어간 형태로 연장된다. 이러한 가이드채널(129')은 의도적으로 설계한 것일 수도 있지만, 기존의 부품들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에 의해 이미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잔수배출관(550)은 가이드부(570)에 의해 캐비넷(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70)는 앞선 실시례의 가이드부(560)와 마찬가지로 다수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부(570)는 다양한 방식이 가능한데, 잔수배출관(550)을 끼워 고정하는 클립이나, 잔수배출관(550)이 통과하는 고리, 또는 안착될 수 있는 후크 방식도 가능하다. 본 실시례에서 가이드부(570)는 캐비넷(110)의 외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데,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잔수배출관(550)의 설치나 유지보수가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을 보면, 상기 가이드부(570)는 탄성변형가능한 클립구조이다. 상기 가이드부(570)는 입구(574)를 갖는 집게(573) 부분이 잔수배출관(550)의 직경보다 작지만 탄성변형을 통해서 한쪽으로 개방된 정도가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잔수배출관(550)이 걸린 후에는 다시 복원되어 잔수배출관(55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가이드부(570)는 하부프레임(120)의 저면(129)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지만,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체결구로 고정되거나, 하부프레임(120)에 이미 존재하는 구멍이나 걸림턱 구조를 이용해서 조립될 수도 있다.
도 11을 보면, 상기 하부프레임(120)의 저면(129)에는 거치가이드(580)가 있다. 상기 거치가이드(580)는 가이드부(560)와 마찬가지로 잔수배출관(550)을 고정해주는 것으로, 잔수배출관(550)의 제3연결부(557)를 고정한다. 거치가이드(580) 역시 입구(584) 부분이 잔수배출관(550)의 직경보다 작지만 탄성변형을 통해서 한쪽으로 개방된 정도가 커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거치가이드(580)는 가이드부(560)와 마찬가지로 클립구조로 되어 있고, 고정플랜지(581)가 캐비넷(110)의 저면에 고정된다. 고정플랜지(581)는 체결구에 의해 조립되거나 압입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거치가이드(580)는 전방을 향해 입구가 개방되는데, 이것은 잔수배출관(550)의 제3연결부(557)를 전방, 즉 의류처리장치의 앞쪽으로 분리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거치가이드(580)는 다수개가 상기 캐비넷(110)의 저면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3연결부(557)를 여러 위치에서 고정시켜줄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가이드부(560)는 전방, 즉 의류처리장치의 앞쪽으로 갈수록 중력방향을 따라 점점 높이가 낮아진다. 도 12를 보면,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는데, 도 12(a)에는 제1연결부(553)의 경사각(α°)이 표현되어 있고, 도 12(b)에는 제2연결부(555)의 경사각(β°)이 표현되어 있다. 제1연결부(553)는 연결단(551)에서 시작해서 하부프레임(120)의 배면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점점 높이가 낮아져 소정의 경사각(α°)을 갖게 된다.
그리고, 도 12(b)를 보면 제2연결부(555)는 제1연결부(553)의 끝에서 시작해서 점점 높이가 더 낮아지면서 소정의 경사각(β°)을 갖게 된다. 이때, 제1연결부(553)의 경사각(α°)이 제2연결부(555)의 경사각(β°) 보다 큰데, 그차이(α-β)는 0.05 에서 0.3 사이다. 이러한 경사각은 가이드부(560)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사용자나 작업자가 잔수배출관(550)의 경사각을 임의로 만들어주지 않아도 가이드부(560)에 잔수배출관(550)을 고정시키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의한 잔수배출관(550)의 경사각을 설명한다. 도 13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잔수배출관(550)의 각 부분을 위치에 따라 구분한 것이고, 세로축은 잔수배출관(550)의 높이를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이들 잔수배출관(550)의 높이는 앞선 두 실시례에서 각각 잔수배출관(550)의 총 길이를 변경하면서 측정한 값의 평균값이다. 이에 보듯이, 잔수배출관(550)의 높이는 제1연결부(553)에 제3연결부(557)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고, 제2연결부(555)의 경사각이 제1연결부(553) 및 제3연결부(557) 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본 실시례에서 제2연결부(555)의 경사각이 제1연결부(553) 및 제3연결부(557)의 경사각 보다 0.05° 내지 0.3°작다. 이러한 각도차이는 가이드부(560)의 높이를 달리하여 만들어낼 수도 있지만, 캐비넷(110)의 저면에 스페이서(900)를 설치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900)는 캐비넷(110)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캐비네스의 저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페이어는 다수개를 적층하거나 회전을 통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잔수배출관(550)의 경사각을 달리함에 따른 잔수율의 변화를 보인 표와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표를 보면, 잔수배출관(550)의 경사각 변화에 따른 잔수량을 나타낸 것이다. 참고로, 경사각은 잔수배출관(550)의 전체 경사를 의미하고, 잔수량의 단위는 cc이다. 그리고 잔수배출관(550)의 총 배관길이를 서로 달리 하면서 시험을 하였는데, 잔수량은 각각 10회의 시험에 걸쳐 나온 잔수량의 합이다. 예를 들어, 첫번째 시험결과인 369cc를 보면, 0.8m의 잔수배출관(550)을 설치하고, 0.1°만큼 경사각을 준 후에 10회에 걸쳐 잔수를 배출하고 나서 남은 잔수량들의 합이 369cc인 것이다. 이때 10회의 시험은 40초 동안 펌프를 연속동작시켜 이루어졌으며, 서로 다른 10대의 의류건조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험대상인 의류건조기들의 응축수회수부(510)의 용량도 서로 다른데, 900cc 부터 1700cc인 것들을 섞어서 시험을 진행하였다.
도 14(a)의 표에서 보듯이 잔수량은 경사각이 커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은 급한 경사를 따라 잔수가 잘 배수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총배관길이의 변화에 따라 저수량의 차이는 크지 않아서, 시험대상이 된 총배관길이범위인 0.8m 내지 1.4m에서는 총배관길이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경사각이 커지려면 캐비넷(110) 저면의 높이도 함께 높아져야 하고, 증가하는 높이도 경사각과 함께 표에 표시되어 있다. 캐비넷(110)의 저면 높이가 높아지려면, (i) 캐비넷(110) 자체의 크기를 늘리거나, (ii) 캐비넷(110)의 저면에 스페이서(900) 등을 두어 높이를 조절해야 한다. 그런데 캐비넷(110) 자체의 크기를 늘리면 의류처리장치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고, 저면에 스페이서(900) 등을 두면 설치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높아져 진동 및 소음을 커지게 하는 문제가 있다.
잔수배출관(550)의 경사각을 높이는데 필요한 저면높이는 표 14(a)에 표시되어 있고, 이 높이를 시험대상인 의류건조기에 적용하여 소음을 측정하는 시험을 함께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14(b)에서 볼 수 있는데, 소음은 저면높이가 증가할수록 함께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소음측정은 앞서 잔수율 조사를 위해서 워터펌프(530)가 가동될 때 의류건조기의 전방에서 측정한 값들의 평균값이다. 그래프에서 보듯이 소음은 경사각에 비례해서 점점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경사각이 커지면 캐비넷(110)의 저면높이가 높아짐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다.
잔수율과 소음은 모두 작을수록 바람직한 것이므로, 잔수율의 감소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0.3°이후와 소음의 크기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0.6°의 사이가 가장 바람직한 잔수배출관(550)의 경사각이라고 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잔수배출관(550)의 총 길이가 0.8m 내지 1.4m 이고, 응축수회수부(510)의 저장용량이 900cc 내지 1700cc일 때, 상기 잔수배출관(550)이 캐비넷(110)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는 0.3°내지 0.6°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잔수배출관(550)의 경사각이 0.8°이상이 되면, 잔수배출관(550)의 제2연결부(555) 끝에서 제3연결부(557) 부분이 저면에 닿아 손상될 우려가 있다. 물론, 잔수배출관(550)의 직경을 작게할 수도 있으나, 잔수배출관(550)의 직경을 5mm 보다 작게하면 잔수의 흐름이 약해져 잔수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의류처리장치의 나머지 구성들을 보면, 도 2에서 보듯이, 드럼모터설치부(122)에는 드럼(200)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드럼모터(600)가 설치된다. 드럼모터(600)에는 드럼모터(600)의 구동력을 드럼(200)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될 수 있는데, 벨트는 드럼(200)의 외주를 감싸도록 배치된다. 벨트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풀리(610)와 스프링(미도시)이 이용될 수 있다.
드럼모터(600)의 샤프트에는 송풍팬(620)이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드럼모터(600)의 한쪽에는 벨트가 연결되고, 반대쪽에는 송풍팬(620)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드럼모터(6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샤프트는 동일 방향, 동일 속도로 회전하면서 드럼(200)과 송풍팬(6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을 보면, 캐비넷(110)의 위쪽에 배수통(700)이 설치된다. 상기 배수통(700)은 드럼(200)의 좌측 상부 또는 우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배수통(700)이 드럼(200)의 좌측 상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배수커버(710)는 배수통(70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의류처리장치의 전면부에서 좌측 상단 또는 우측 상단에 배치된다. 배수커버(710)는 손으로 파지 가능하게 형성되며,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으로 노출된다. 배수통(700)에 집수된 응축수를 비우기 위해서 배수커버(710)를 당기면, 배수통(700)이 배수커버(710)와 함께 물통지지프레임(720)으로부터 인출된다.
한편, 의류처리장치에는 제어부(800)가 설치된다. 제어부(800)는 입력부(132)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근거하여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다. 제어부(800)는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력부(132)를 통해 의류 처리 코스를 선택하면, 제어부(800)는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잔수배출관(550)을 이용해서 잔수를 배출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응축수가 생성되는 과정을 보면, 히트펌프시스템의 응축기(370)를 통과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순환팬수용부(352)를 거쳐 리어덕트커넥터(320)를 통해 드럼(200)으로 공급되고, 드럼(200)으로 공급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고온 다습한 공기가 된다. 고온 다습한 공기는 프론트덕트커넥터(310)를 통해 회수되고, 증발기(360)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저온의 공기가 되고, 공기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공기의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하여,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은 응축된다. 이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하고, 발생한 응축수는 앞서 설명한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다. 그리고 배수펌프유닛(500)는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통(700)으로 전달하여 응축수를 저장한다.
이때, 응축수는 연결게이트(G)를 통해서 열교환기공간(342)에서 응축수회수부(510)로 전달되는데, 응축수회수부(510)와 열교환기공간(342) 사이에는 구획턱(522)이 있어서 열교환기공간(342)과 응축수회수부(510)의 바닥면(512) 높이가 다르고, 따라서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는 다시 열교환기공간(342)으로 역류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응축수회수부(510)에 모인 응축수는 워터펌프(530)에 의해 배수통(700)으로 끌어올려지고, 임펠러(535)가 영향을 주지 못하는 바닥면에 가까운 수위의 응축수들은 응축수회수부(510)에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응축수는 잔수가 되더라도 그 자체로 악취를 발생할 염려가 적지만, 사용자가 잔수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잔수배출관(550)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부(557)가 하부프레임(120)의 전면(126)에 거치되면 사용할 때 제3연결부(557)의 거치를 해제한 후에 전방(화살표 I방향, II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고, 도 8처럼 캐비넷(110)의 측면(116)에 거치된 경우라면 거치를 해제한 후에 아래쪽(화살표 I'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서 제3연결부(557)는 가이드부(560) 또는 거치가이드(580)에 의해 분리가능한 상태로 거치되므로, 사용자나 작업자가 당기는 동작만으로 캐비넷(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출준비를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차폐마개(559)를 제거하면 제3연결부(557)의 끝부분에서 잔수가 배출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캐비넷 112: 도어
120: 하부프레임 200: 드럼
300: 열교환모듈 310: 프론트덕트커넥터(아웃렉덕트)
320: 리어덕트커넥터(인렛덕트) 330: 열교환가이드
332: 가이드공간 340: 구획하우징
342: 열교환공간 350: 순환팬설치부
352: 순환팬수용부 356: 배기구
400: 베이스커버 500: 배수펌프유닛
510: 응축수회수부 530: 워터펌프
550: 잔수배출관 553: 제1연결부
555: 제2연결부 557: 제3연결부
560, 570: 가이드부 580: 거치가이드
600: 드럼모터 700: 배수통
800: 제어부

Claims (14)

  1. 내부에 설치공간이 있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의류를 열처리한 후에 배기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발생한 응축수가 낙하하는 바닥부와 연결된 응축수회수부에 설치되어 응축수회수부에 모인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펌프유닛과,
    상기 캐비넷의 외면을 따라 캐비넷의 전방으로 연장되되 한쪽 끝은 상기 응축수회수부를 캐비넷의 후방으로 개방시키는 배출홀에 이어지고, 캐비넷의 전방을 향하는 반대쪽 끝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응축수회수부에 남은 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잔수배출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은 캐비넷의 외면을 따라 배치된 다수개의 가이드부에 의해 캐비넷의 외면에 고정되고, 다수개의 가이드부들은 상기 잔수배출관의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되 중력방향을 따라 점점 높이가 낮아지는 의류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은
    상기 배출홀에 이어지고 상기 캐비넷의 후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서 상기 캐비넷의 측면 또는 저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캐비넷의 저면에서 안쪽으로 들어간 형태의 가이드채널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채널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에 결합된 상기 잔수배출관의 연결단은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 높이로 만들어지되, 잔수배출관의 내경은 상기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에서 워터펌프 임펠러의 저면까지의 높이 보다 크거나 같은 의류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가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α°)는 상기 제2연결부가 하형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β°) 보다 큰 의류처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의 총 길이가 0.8m 내지 1.4m 이고, 응축수회수부의 저장용량이 900cc 내지 1700cc일 때, 상기 잔수배출관이 캐비넷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각도는 0.3°내지 0.6°인 의류처리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에는 상기 제2연결부에서 캐비넷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되 선택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캐비넷의 저면 또는 캐비넷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제3연결부가 있는 의류처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의 한쪽 끝과 가이드부는 각각 상기 배출홀 및 캐비넷의 외면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캐비넷의 조립을 위해 만들어지는 체결홀에 대응하는 체결구를 통해 상기 캐비넷의 외면에 조립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중 적어도 일부는 탄성변형을 통해 한쪽으로 개방된 정도가 달라지는 고정클립인 의류처리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가 설치된 열교환기공간과 상기 응축수회수부 사이에는 연결게이트가 있고, 상기 연결게이트를 기준으로 응축수회수부의 바닥면은 열교환기공간의 바닥면 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의류처리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저면에는 캐비넷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트레이가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에는 위쪽으로 개방된 배출공간이 있어서 상기 잔수배출관에서 배출된 잔수를 보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저면에는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상기 캐비네스의 저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쪽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87654A 2019-07-19 2019-07-19 의류처리장치 KR20210010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54A KR20210010143A (ko) 2019-07-19 2019-07-19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654A KR20210010143A (ko) 2019-07-19 2019-07-19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143A true KR20210010143A (ko) 2021-01-27

Family

ID=74238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654A KR20210010143A (ko) 2019-07-19 2019-07-1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101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8539A (zh) * 2021-02-08 2022-08-16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4908539B (zh) * 2021-02-08 2024-06-0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36B1 (ko) 2004-12-14 201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KR101305285B1 (ko) 2006-08-25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236B1 (ko) 2004-12-14 2012-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KR101305285B1 (ko) 2006-08-25 2013-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08539A (zh) * 2021-02-08 2022-08-16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4908539B (zh) * 2021-02-08 2024-06-0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3203B1 (en) Clothes dryer
AU2019265183B2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KR101542389B1 (ko) 히트펌프모듈 및 히트펌프모듈을 이용한 건조장치
EP3647481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drying function
US11898300B2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20130127816A (ko) 의류건조기
KR102127383B1 (ko) 의류처리장치
EP3112529B1 (en) Dryer
EP2573253B1 (en) Heat pump dryer
US20060272173A1 (en) Laundry dryer
EP3112527B1 (en) Dryer
KR101809130B1 (ko) 의류건조기
US11060236B2 (en) Dryer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based on the relative humidity of drum exit air
US20180112348A1 (en) Clothes dryer
US2007011899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dryness of clothes in an appliance
EP2123823B1 (en) Home laundry drier
US11142863B2 (en) Controlling refrigerant and air mass flow rate based on moisture extraction rate in a dryer appliance
KR2021001014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20445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28529A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1002039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054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089049A (ko) 의류처리장치
EP4219822A1 (en) Dryer with high air tigthness of a process air circuit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dryer
EP4219823A1 (en) Dryer with improved air tigthness of a process air circuit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