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505A -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505A
KR20200137505A KR1020190063990A KR20190063990A KR20200137505A KR 20200137505 A KR20200137505 A KR 20200137505A KR 1020190063990 A KR1020190063990 A KR 1020190063990A KR 20190063990 A KR20190063990 A KR 20190063990A KR 20200137505 A KR20200137505 A KR 20200137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air
lint
drum
lin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광재
김양규
김희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505A/ko
Priority to US17/610,332 priority patent/US20220220660A1/en
Priority to PCT/KR2020/007067 priority patent/WO2020242271A1/ko
Priority to CN202080040042.1A priority patent/CN113891968A/zh
Priority to EP20814707.4A priority patent/EP3978678A1/en
Publication of KR2020013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드럼을 순환하는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와, 공기가 드럼을 통과하여 순환되도록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공기유로와, 공기 유로 상에 구비되며,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포집하는 린트필터와,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여 린트필터로 공급하는 응축수 집수부를 구비하며, 응축수 집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는 린트필터의 상부로 공급되어 린트필터에 포짐된 린트를 린트필터의 하부로 이동시켜 린트필터의 공기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처리장치의 린트필터의 유로를 확보하기 위한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 또는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이 두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발생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 기능 또는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 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의류 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건조기 등은 열원공급부를 구비하여 공기를 가열함에 따라 의류로 열풍을 공급한다. 이러한 열원공급부는 열원에 따라 가스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가스식 히터와, 전기저항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냉매를 순환시키는 히트펌프을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히트펌프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 히트펌프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한편, 히트펌프를 적용하는 의류 처리장치는 캐비닛 내부에 드럼, 구동모터, 압축기, 증발기 및 응축기 등을 구비한다. 드럼은 의류를 수용 및 건조하도록 원통형의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캐비닛 내부의 전체공간 중 드럼이 차지하는 공간이 다른 구성부품에 비해 훨씬 크다. 예를 들어, 드럼의 외주부(반경)가 캐비닛의 좌우 측방향은 물론 캐비닛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내려온다.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는 드럼이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을 활용하여 배치되며, 드럼이 차지하는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캐비닛의 좌우 측면 공간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발기 및 응축기는 캐비닛의 한쪽 측면 공간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부피 및 크기가 큰 압축기는 캐비닛의 다른 쪽 측면 모서리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경우 히트펌프의 작동에 따라 증발기를 통과하는 다습한 공기의 수분이 증발기의 표면에서 응축하게 되며, 증발기의 표면에 응축되는 응축수는 응축수 자중에 의해 집수되어 별도 배수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의류 처리장치에서 건조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 중에는 세탁물에서 발생되는 린트(lint)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린트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설치된 린트 필터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건조 행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공기중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 필터를 세척하여 공기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증발기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린트 필터에서 필터링된 린트를 탈락시켜 공기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드럼을 순환하는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공기가 상기 드럼을 통과하여 순환되도록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공기유로와; 상기 공기 유로 상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포집하는 린트필터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여 상기 린트필터로 공급하는 응축수 집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집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는 상기 린트필터의 상부로 공급되어 상기 린트필터에 포짐된 린트를 린트필터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수 집수부는 상기 응축수를 이동시키도록 응축수 펌프가 구비되는 응축수 배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에서 분지되어 응축수를 응축수 탱크로 안내하는 제 1분지 유로와, 상기 배수유로에 분지되어 응축수를 상기 린트필터로 안내하는 제 2분지 유로와, 상기 배수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 1분지 유로 또는 제 2분지 유로로 선택적으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분지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드럼 전방에 연통되어 상기 드럼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흡입유로에 구비되며, 상기 린트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장착부와, 상기 드럼 후방에 연통되어 상기 힌트펌프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배기하는 배기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린트필터는 상기 린트필터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 1하우징과, 상기 린트필터의 타면을 형성하는 제 2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의 일모서리는 연결하는 경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린트필터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하우징은 상부에 상기 드럼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린트가 포집되어 배출되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분지유로가 연결되는 응축수 연결부와, 상기 유입구 내측에 상기 응축수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응축수가 이동되며, 이동되는 응축수가 상기 필터로 흘러내리도록 안내하는 응축수 이동단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수 연결부는 상기 유입구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 이동단턱은 중앙부사 오목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응축수 이동단턱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응축수 이동단턱을 따라 이동되는 응축수가 필터측으로 고르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응축수 분배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공기중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 필터를 세척하여 공기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증발기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린트 필터에서 필터링된 린트를 탈락시켜 공기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린트필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린트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린트필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린트필터의 분배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 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ㅇ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ㅇ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건조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 스팀 공급장치를 구비하여 리프레쉬 기능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의류 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드럼 타입의 건조기 및 캐비닛 타입의 건조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펌프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는 드럼 타입의 건조기를 예시한 것이며, 캐비닛(110), 드럼(130), 구동부(미도시), 송풍팬(170), 히트펌프(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드럼(130)의 공기는 공기유로(150)에 의해 히트펌프(160)와 연결된다.
여기서, 캐비닛(110)은 제품의 외형을 형성함과 동시에 전방에 의류를 투입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도어(112) 및 의류 처리장치(100)의 내부 구성이 설치되는 베이스(114)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드럼(130)은 캐비닛 내부에 수평방향 또는 일정각도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드럼(130)은 속이 빈 원통형상을 가지며, 건조 대상물인 의류를 투입하여 건조시키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드럼(130)은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럼(130)은 전방에 드럼(1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 지지부(132)를 구비한다. 또한 드럼(130)은 후방에 드럼(1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133)를 구비한다.
추가적으로, 드럼(130)의 전방과 후방 하부에는 드럼(13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 형태의 전방롤러(142) 및 후방롤러(143)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방 지지부(132)와 후방 지지부(133)는 드럼(130)의 전면과 후면을 막아 건조 대상물의 건조 공간을 형성하며 동시에 드럼(130)의 전단과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전방 지지부(132)에는 드럼(130)을 건조대상물을 투입하기 투입구(132b)가 형성되며, 투입구는 도어(11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전방 지지부(132)의 하부에는 후술할 공기유로(150)가 연결되는 공기 배출구(132a)가 위치한다. 공기 배출구(132a)에는 후술할 공기유로(150)의 흡입유로(151)가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후방 지지부(133)에는 공기가 드럼(130)으로 공급되기 위하여 다수의 관통홀로 형성되는 공기 인입구(133a)가 형성된다. 공기 인입구(133a)에는 후술할 공기유로(150)의 배기유로(152)가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건조대상물인 의류를 효율적으로 건조하기 위해, 드럼(130)의 내주면에는 투입되는 의류를 텀블링(Tumbling)시키기 위한 리프터(13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는 모터(미도시)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제공하고, 모터의 출력축과 드럼(130)이 벨트 등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연결되며, 모터의 회전력이 드럼(130)으로 전달되어, 드럼(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기유로(150)는 드럼(130)과 연결되어, 공기의 순환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유로(150)는 덕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130)의 전방 지지부(132) 하부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흡입유로(151)가 형성되고, 드럼(130)의 후방 지지부(133)에 공기의 공급을 위한 배기유로(152)가 형성된다.
한편, 송풍팬(170)은 흡입유로(151)에서 히트펌프(160)의 증발기(161)로 연장되는 공기유로(150) 또는 히트펌프(160)의 응축기(16)에서 배기유로(152)로 연장되는 공기유로(1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송풍팬(170)은 별도의 팬모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공기에 동력을 가하여 드럼(130) 내부를 통과시키며, 드럼(130)에서 배출된 공기를 다시 드럼(130)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흡입유로(151)에는 순환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필터링하기 위한 린트필터(200)가 설치되는 필터 장착부(151a)가 형성된다. 린트필터(200)는 드럼(130)에서 흡입유로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함에 따라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를 포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린트필터(200)의 경우 히트펌프(160)의 증발기(16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이용하여 포집된 린트를 린트필터(200)의 필터(219)에서 탈락시켜 린트필터(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히트펌프의 설명 이후에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의류('포'라고도 함)는 드럼(130) 내부로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수분을 증발시키고, 드럼(130)에서 통과하는 공기는 의류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포함한 채로 드럼(130)에서부터 배출된다. 드럼(130)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공기유로(150)를 따라 이동하면서 히트펌프(16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된 후 드럼(130)으로 순환된다.
한편, 히트펌프(160)는 증발기(161), 압축기(163), 응축기(16) 및 팽창밸브(1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히트펌프(160)는 작동유체로 냉매를 사용할 수 있다. 냉매는 냉매배관(165)을 따라 이동하고, 냉매배관(165)은 냉매의 순환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한다. 증발기(161), 압축기(163), 응축기(16) 및 팽창밸브(164)는 냉매배관(165)에 의해 연결되어, 냉매가 증발기(161), 압축기(163), 응축기(16) 및 팽창밸브(164)를 순서대로 통과한다.
여기서, 증발기(161)는 드럼 출구와 연통되도록 공기유로(150)에 설치되고, 드럼 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드럼(13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열량을 건조기 외부로 버리지 않고 회수한다.
그리고, 응축기(16)는 드럼 입구와 연통되도록 공기유로(150)에 설치되고, 증발기(161)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증발기(161)에서 흡열된 냉매의 열량을 드럼(130)으로 유입될 공기로 방열시킨다.
한편, 증발기(161) 및 응축기(16)는 공기유로(15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증발기(161)는 드럼 출구와 연결되고, 응축기(16)는 드럼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드럼(130)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161)의 냉매보다 온도가 더 높으므로, 증발기(161)를 통과 하면서 공기의 열량을 증발기(161)의 냉매로 빼앗김에 따라, 응축되어 응축수를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161)에 의해 습기가 제거되고, 응축된 응축수는 증발기(161)의 하부에 구비되는 응축수 집수부(154)를 통해 집수되며,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 탱크(158)로 집수되어 버려지거나, 린트필터(200)로 공급되어 린트필터(200)의 포집된 린트를 탈락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증발기(161)에서 흡열된 공기의 열원은 냉매를 매개로 하여 응축기(16)로 이동되고, 증발기(161)(저열원부)에 서 응축기(16)(고열원부)로 열원을 이동시키기 위해 증발기(161)와 응축기(16) 사이에 압축기(163)가 위치한다.
한편, 증발기(161) 및 응축기(16)는 핀 앤 튜브 타입(fin & tube type)의 열교환기일 수 있다. 핀 앤 튜브 타입은 속이 빈 튜브에 평판 형태의 다수의 핀이 부착되는 형태이며, 냉매가 튜브 내부를 따라 흐르고, 공기가 튜브에 부착된 다수의 핀 사이를 통과하면서, 냉매와 공기가 서로 열교환할 수 있다. 여기서, 핀은 공기와 냉매 간의 열교환 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압축기(163)는 증발기(161)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ㅇ고압의 냉매를 만들며, 고온, 고압의 냉매를 냉매배관(165)을 따라 응축기(16)로 이동시킨다. 압축기(163)는 냉매의 토출량을 제어하기 위해 주파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인버터형 압축기(163)일 수 있다.
팽창밸브(164)는 응축기(16)에서 증발기(161)로 연장되는 냉매배관(165)에 설치되고, 응축기(16)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 저온ㅇ저압의 냉매로 만들어 증발기(161)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구성에 따른 냉매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냉매는 기체 상태로 압축기(163)에 유입되어 압축기(163)의 압축에 의해 고온ㅇ고압으로 되고, 고온ㅇ고압의 냉매는 응축기(16)로 유입되어 응축기(16)에서 열을 공기로 방출함에 따라 기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변한다.
이어서, 액체 상태의 냉매는 팽창밸브(164)로 유입되어 팽창밸브(164)(또는 모세관 등 포함)의 교축작용에 의해 저온ㅇ저압으로 변하고, 저온ㅇ저압의 액상냉매는 증발기(161)로 유입되어 증발기(161)에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함에 따라 액체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냉매를 증발시킨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160)는 압축기(163)→응축기(16)→팽창밸브(164)→증발기(161)로 냉매를 반복해서 순환시키며, 드럼(130)으로 순환되는 공기에 열원을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과정에서 증발기(161)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증발기(161)의 하부에 위치하는 응축수 집수부(154)로 집수된다. 응축수 집수부(154)는 증발기(161) 및 응축기(16) 하부에 위치하며 증발기(161)에서 낙하되는 응축수가 집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응축수 집수부(154)에 집수된 응축수는 응축수 배수유로(155)를 통하여 응축수 탱크(158) 또는 린트필터(200)로 공급될 수 있다. 응축수 배수유로(155)에는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응축수 펌프(15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펌프(156)의 토출 측에는 응축수 펌프(156)에 의해 이동되는 응축수를 응축수 탱크(158) 또는 린트필터(200)로 안내하기 위한 제 1분지 유로(157a) 및 제 2분지 유로(157b)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분지 유로(157a)와 제 2분지 유로(157b) 사이에는 응축수 펌프(156)의 토출구에서 이동되는 응축수를 제 1분지 유로(157a) 또는 제 2분지 유로(157b)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분지 밸브(159)가 구비된다.
한편, 의류 처리장치(100)는 의류의 건조시 발생하는 린트를 여과하기 위한 린트필터(200)를 구비하며, 린트필터(200)는 드럼의 전방 지지부(132)의 하부에 위치하는 필터 장착부(151a)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건조 행정이 계속되면 린트필터(200)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적층된다. 오랜 시간 린트필터(200)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포집된 린트에 의해 린트필터(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량이 감소하여 건조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루 처리장치의 사용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린트필터(200)로 응축수를 공급하여 응축수에 의해 린트필터(200)에 포집된 린트를 필터에서 탈락시켜 린트필터(200)의 하부로 모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공기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는 린트필터(200)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린트필터의 설치 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린트필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린트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린트필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린트필터의 분배부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린트필터(200)는 전방 지지부(132)의 공기 배출구(132a)에 연통되는 흡입유로(151)의 필터 장착부(151a)에 삽입되어 장착되도록 구비되며, 하단에 접철 가능하는 경첩부(230)에 의해 연결되는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을 구비한다.
이러한 린트필터(200)는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의 결합에 의해 린트필터(20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가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포집된다.
이러한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은 경첩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린트필터(200)가 설치되는 필터 장착부(151a)의 형상 및 공기의 유입방향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필터 장착부(151a)에서 린트필터(200)를 이탈시키기 위한 손잡이부(2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은 상부에 드럼(130)의 내부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1)가 형성되며, 유입구(211)의 하부에는 필터(219)가 고정되는 필터 프레임(218)이 형성된다.
여기서, 필터 프레임(218)은 제 1하우징(210) 및 제 2하우징(220)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측에 메쉬 형태의 필터(219)가 위치하도록 제 1하우징(210) 및 제 2하우징(220)의 하부 외곽형상 및 격자형태의 내부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 유입구(211)는 다수의 관통공(212)과 다수의 유입 가이드(213)가 형성되며, 관통공(212) 및 유입 가이드(213)에 의해 공기가 린트필터(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관통공(212) 및 유입 가이드(213)는 드럼(130) 내부의 건조 대상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교적 작은 크기의 격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린트필터(200)는 제 1하우징(210) 및 제 2하우징(220)의 상부에 형성된 유입구(211)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며, 린트필터(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 1하우징(210) 및 제 2하우징(220)의 하부에 형성된 필터(219)를 통화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가 포집된다.
또한, 린트필터(200)는 내부에 린트가 포집되었을 경우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의 상부를 개방하여 경첩부(23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린트필터(200) 내부에 포집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의 외측 상부 양측에는 응축수 집수부(154)의 제 2분지 유로(157a)가 연결되는 응축수 연결부(215)가 형성되며,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의 내측 상부에는 응축수 연결부(215)로 유입되어 이동되도록 응축수 이동단턱(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응축수 이동단턱(16)은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의 양측에서 유입되는 응축수가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의 내측을 따라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 내부 중앙측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중앙부가 오목한 만곡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의 응축수 이동단턱(16)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응축수 이동단턱(16)을 따라 이동되는 응축수가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의 내면에서 필터(219)측으로 고르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응축수 분배돌기(217)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의 응축수 이동단턱(16)을 따라 유입되는 응축수는 응축수 이동단턱(16)의 만곡형상에 따라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의 중앙부측으로 이동되면서, 제 1하우징(210)과 제 2하우징(220)에 형성되는 응축수 분배돌기(217)의 사이 공간으로 흘러내려 필터(219) 전면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린트필터(200)는 린트필터(200)의 제 1하우징(210) 및 제 2하우징(220)에 각각 구비되는 응축수 연결부(215)를 통하여 응축수가 공급되면, 공급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이동단턱(16)을 따라 이동된다.
한편, 응축수 이동단턱(16)을 따라 이동되는 응축수는 응축수 이동단턱(16)에 형성되는 다수의 응축수 분배돌기(217) 사이로 배출되어 필터(219)측으로 고르게 흘러내릴 수 있으며, 필터(219)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필터(219)에 포집된 린트를 적시면서 린트와 함께 필터(219) 면을 따라 린트필터(200)의 하부로 흘러내린다.
여기서, 린트필터(200)의 하부로 린트와 같이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린트필터(200)의 하부에서 필터(219)를 통과하여 배수되며, 응축수와 같이 이동된 린트는 린트필터(200)의 하부에 잔류하게 된다.
따라서, 린트필터(200)의 필터(219)의 린트가 탈락되어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필터(219)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를 필터링하는 린트필터(200)에 응축수를 공급하여 필터(219)에 포집된 린트를 탈락시며 린트필터(200)의 하부에 모이게 함으로써 린트필터(200)의 공기 유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의류 처리장치 110: 캐비닛
112: 도어 114: 베이스
130: 드럼 131a: 리프터
132: 전방 지지부 132a: 공기 배출구
132b: 투입구 133a: 공기 유입구
133: 후방 지지부 140: 구동부
142: 전방 롤러 143: 후방 롤러
150: 공기 유로 151: 흡입 유로
153: 열교환기 수용부 154: 응축수 집수부
155: 응축수 배수유로 156: 응축수 펌프
157a: 제 1분지 유로 157b: 제 2분지 유로
158: 응축수 탱크 159: 분지 밸브
160: 히트펌프 161: 증발기
162: 응축기 163: 압축기
164: 팽창밸브 165: 냉매배관
170: 송풍팬 200: 린트필터
210: 제 1하우징 215: 응축수 연결부
216: 응축수 이동단턱 217: 응축수 분배돌기
218: 필터 프레임 219: 필터
220: 제 2하우징 230: 경첩부

Claims (10)

  1.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드럼을 순환하는 공기에 열을 가하는 히트펌프와;
    상기 공기가 상기 드럼을 통과하여 순환되도록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공기유로와;
    상기 공기 유로 상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포집하는 린트필터와;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여 상기 린트필터로 공급하는 응축수 집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응축수 집수부로부터 공급되는 응축수는 상기 린트필터의 상부로 공급되어 상기 린트필터에 포짐된 린트를 린트필터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집수부는
    상기 응축수를 이동시키도록 응축수 펌프가 구비되는 응축수 배수유로와,
    상기 배수유로에서 분지되어 응축수를 응축수 탱크로 안내하는 제 1분지 유로와
    상기 배수유로에 분지되어 응축수를 상기 린트필터로 안내하는 제 2분지 유로와,
    상기 배수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제 1분지 유로 또는 제 2분지 유로로 선택적으로 응축수를 공급하는 분지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로는
    상기 드럼 전방에 연통되어 상기 드럼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유로와,
    상기 흡입유로에 구비되며, 상기 린트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장착부와,
    상기 드럼 후방에 연통되어 상기 힌트펌프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배기하는 배기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필터는
    상기 린트필터의 일면을 형성하는 제 1하우징과,
    상기 린트필터의 타면을 형성하는 제 2하우징과,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의 일모서리는 연결하는 경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과 상기 제 2하우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린트필터를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하우징은
    상부에 상기 드럼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린트가 포집되어 배출되는 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2분지유로가 연결되는 응축수 연결부와,
    상기 유입구 내측에 상기 응축수 연결부를 통해 공급되는 응축수가 이동되며, 이동되는 응축수가 상기 필터로 흘러내리도록 안내하는 응축수 이동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연결부는 상기 유입구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 이동단턱은 중앙부사 오목한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이동단턱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상기 응축수 이동단턱을 따라 이동되는 응축수가 필터측으로 고르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응축수 분배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190063990A 2019-05-30 2019-05-30 의류 처리장치 KR20200137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90A KR20200137505A (ko) 2019-05-30 2019-05-30 의류 처리장치
US17/610,332 US20220220660A1 (en) 2019-05-30 2020-06-01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PCT/KR2020/007067 WO2020242271A1 (ko) 2019-05-30 2020-06-01 의류 처리장치
CN202080040042.1A CN113891968A (zh) 2019-05-30 2020-06-01 衣物处理装置
EP20814707.4A EP3978678A1 (en) 2019-05-30 2020-06-01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990A KR20200137505A (ko) 2019-05-30 2019-05-30 의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505A true KR20200137505A (ko) 2020-12-09

Family

ID=73552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990A KR20200137505A (ko) 2019-05-30 2019-05-30 의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20660A1 (ko)
EP (1) EP3978678A1 (ko)
KR (1) KR20200137505A (ko)
CN (1) CN113891968A (ko)
WO (1) WO202024227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9873A1 (en) * 2021-02-08 2022-08-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039874A1 (en) * 2021-02-08 2022-08-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6159B1 (ko) * 2006-01-20 2012-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0989734B1 (ko) * 2008-06-03 201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ATE547554T1 (de) * 2009-10-20 2012-03-15 Candy Spa Wäschetrocknungsmaschine mit einem system zur waschung des trockenluftfilters dieser maschine
DE102010002661A1 (de) * 2010-03-08 2011-09-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Spülwasser, Hausgerät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Zuführen von Spülwasser
KR20120019209A (ko) * 2010-08-25 2012-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EP2386679B1 (en) * 2010-05-13 202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KR20120005266A (ko) * 2010-07-08 2012-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N104420144A (zh) * 2013-09-04 2015-03-18 海尔集团公司 一种热泵模块及干衣机
US9593441B2 (en) * 2014-02-28 2017-03-14 ADR Products, LLC Lint catching system and exhaust assembly
CN105506939B (zh) * 2014-09-23 2019-12-27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干衣机自清理过滤装置及冷凝式干衣机
DE102015223192A1 (de) * 2015-11-24 2017-05-24 BSH Hausgeräte GmbH Betreiben eines Wäschetrocknungsgeräts mit einem Flusensieb und einer Flusenfal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39873A1 (en) * 2021-02-08 2022-08-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039874A1 (en) * 2021-02-08 2022-08-10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4310243A3 (en) * 2021-02-08 2024-04-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42271A1 (ko) 2020-12-03
CN113891968A (zh) 2022-01-04
EP3978678A1 (en) 2022-04-06
US20220220660A1 (en)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3067B2 (en) Laundry machine
EP3770316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343262B1 (ko) 의류처리장치
US8418509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10883220B2 (en) Laundry machine
KR20080078367A (ko) 건조기
CN113279226B (zh) 衣物处理装置的控制方法
US20220220660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20230078985A (ko) 의류처리장치
US20180094379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20134369A (ko) 의류처리장치
KR10131462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5297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826204B1 (ko) 건조기
KR10243410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4009574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14723A (ko) 의류처리장치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5870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8116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1855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7813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137504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47712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