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552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552B1
KR101729552B1 KR1020100065919A KR20100065919A KR101729552B1 KR 101729552 B1 KR101729552 B1 KR 101729552B1 KR 1020100065919 A KR1020100065919 A KR 1020100065919A KR 20100065919 A KR20100065919 A KR 20100065919A KR 101729552 B1 KR101729552 B1 KR 101729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housing
upper cover
condensed wat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265A (ko
Inventor
이용주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5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552B1/ko
Priority to US13/177,885 priority patent/US20120005912A1/en
Priority to EP11803819.9A priority patent/EP2591161B1/en
Priority to PCT/KR2011/004989 priority patent/WO2012005533A2/en
Publication of KR2012000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265A/ko
Priority to US14/177,659 priority patent/US975227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3/00Dry-cleaning apparatus or methods using volatile solvents
    • D06F43/08Associated apparatus for handling and recovering the solvents
    • D06F43/086Recovering the solvent from the drying air current
    • D06F43/088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는 열교환 장치, 상기 열교환 장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의 응축수를 상기 열교환 장치로 공급하여 열교환 장치를 세척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에서 누수되는 응축수를 상기 수집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기{dryer}
본 발명은 열교환 장치를 구비한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 장치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이용하여 열교환 장치를 세척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건조실을 이루는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송풍하여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해서 건조시키는 의류 건조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의류 건조기는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면서 발생되는 습공기의 처리방식에 따라 크게 배기식과 응축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배기식은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의류 건조기 외부로 배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 드럼내 증발된 수분을 외부로 배기시키기 위한 배기덕트를 필요로 하며, 특히 연소 생성물인 일산화탄소 등이 함께 배기되기 때문에 배기덕트를 실외까지 길게 연장하여 설치해야 한다.
응축식은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열교환 장치에서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한 다음에 수분이 제거된 건조공기를 다시 드럼으로 보내서 재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 경우, 건조유동이 폐루프를 형성하기 때문에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응축식 의류 건조기에서는, 드럼으로부터 배기된 습공기를 열교환부에서 응축시켜 수분을 제거하게 됨에 따라 상기 습공기를 응축시키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되고, 이 응축수를 펌프로 펌핑하여 의류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배수펌프를 이용하여 응축수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수펌프의 구동으로 인한 소음발생과 전력소모의 증가가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드럼에서 배기되는 습공기에는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lint)이 섞여 있다. 이물질이 포함된 습공기가 열교환 장치, 특히 증발기를 거칠 때 증발기에 이물질이 고착되어 건조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습공기가 증발기로 유입되는 입구에 필터를 구비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필터에 의해 풍량이 저하되고 건조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새로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드럼에서 배기되는 습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새로운 방식의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는 열교환 장치, 상기 열교환 장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의 응축수를 상기 열교환 장치로 공급하여 열교환 장치를 세척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펌프에서 누수되는 응축수를 상기 수집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수집부의 응축수를 워터탱크로 펌핑하는 제1펌프,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열교환 장치를 세척하는 세척부로 펌핑하는 제2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는 분사노즐일 수 있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펌프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펌프를 수용하는 제2펌프 하우징은 상기 상부 커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를 수용하는 밸브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를 수용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제2펌프를 수용하는 제2펌프 하우징 및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교환 장치의 응축수를 이용하여 열교환 장치를 세척함으로써 건조기에 열교환 장치를 세척하기 위한 별도의 급수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밸브 하우징, 펌프 하우징 및 분사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열교환 장치의 하우징의 상부커버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각 구성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에 비해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단가가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펌프의 토출부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응축수가 수집되는 수집부로 유도하는 가이드 유로를 구비하여 누수에 의해 건조기의 다른 구성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2펌프와 수집부를 연결하는 가이드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열교환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상부커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를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응축식 건조기, 특히 열교환 장치(10)를 구비한 건조기는 드럼(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열교환 장치(1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드럼(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건조대상물에서 나온 이물질(린트)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드럼(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열교환 장치(10)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열교환 장치(10)에 달라붙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물질 등이 열교환 장치(10)에 붙어 있을 경우 열교환 장치(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방해받고 이로 인해 순환팬에 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건조기는 세탁기와 달리 별도의 급수부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하기 위해서 건조기에 별도의 급수부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 경우 제조단가의 상승과 구조가 복잡해 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하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별도의 급수부를 구비하지 않고 열교환 장치(10)의 응축수를 이용하여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개략도이며, 도 2는 건조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드럼(1)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는 열교환 장치(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드럼(1)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가 열교환 장치(10)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모이는 수집부(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집부(20)의 응축수를 상기 열교환 장치(10)로 공급하여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하는 펌프(31)(32)를 포함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열교환 장치(10)는 다양한 형태로 개시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히트펌프이다. 순환덕트(미도시)를 통해 드럼(1)으로 유입된 건조 공기는 건조대상물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한 상태로 배출된다. 드럼(1)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 장치(10)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가열된다. 상기 열교환 장치(10)를 통과하면서 습한 상태의 공기는 수분이 응축되면서 건조 공기가 된다. 따라서, 습한 공기의 수분이 응축된 응축수는 열교환 장치(10)의 하부로 흘러내린다. 이 경우, 열교환 장치(1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열교환 장치(10)의 하부에 구비된 수집부(20)에 수집된다. 한편, 상기 열교환 장치(10)는 건조기의 하부에 구비되는데 열교환 장치(10)를 수용하는 하우징(90)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90)은 내부에 열교환 장치(10)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90)은 상부커버(91), 베이스, 측면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90)의 상부커버(91)에는 펌프(32)와 세척부(50)가 구비된다.
세척장치는 상기 수집부(20)의 응축수를 워터탱크(40)로 펌핑하는 제1펌프(31)와 상기 워터탱크(40)의 응축수를 고압으로 펌핑하는 제2펌프(32)를 포함한다. 더불어, 제2펌프(32)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를 분사하여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하는 세척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펌프(31)는 공급유로(70)를 통해 상기 수집부(20)의 응축수를 워터탱크(40)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펌프(31)는 건조기의 하부, 보다 구체적으로 열교환 장치(10)의 인근에 구비된다.
상기 워터탱크(40)는 건조기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워터탱크(4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응축수가 저장된다. 한편, 상기 제1펌프(31)와 상기 워터탱크(40)는 공급유로(7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펌프(32)는 배출유로(60)를 통해 워터탱크(40)의 응축수를 펌핑하여 상기 세척부(50)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2펌프(32)는 열교환 장치(10)의 상부에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워터탱크(40)와 제2펌프(32)는 배출유로(6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출유로(60)의 중간에는 밸브(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80)는 배출유로(60)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제2펌프(32)의 종류에 따라 워터탱크(40)의 응축수가 세척부(50)로 이동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없을 경우 밸브(8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워터탱크(40)의 응축수가 제2펌프(32)를 통해 세척부(50)로 누수되는 경우 밸브(8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밸브(80)는 워터탱크(40)와 제2펌프(32)를 사이의 배출유로(60)에 구비되는 것은 물론이다. 더불어, 상기 밸브(80)는 열교환 장치(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50)는 상기 열교환 장치(10)로 응축수를 분사하여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한다. 상기 세척부(50)는 다양한 형태로 개시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척부(50)는 분사노즐일 수 있다. 상기 세척부(50)는 상기 제2펌프(32)와 분사유로(6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펌프(32)에 의해 펌핑된 응축수는 고압으로 상기 세척부(50)에 공급된다. 상기 세척부(50)에 공급된 고압의 응축수는 상기 세척부(50)에 의해 상기 열교환 장치(10)로 분사되면서 열교환 장치(10)를 세척한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열교환 장치(10)의 하우징(90)의 상부커버(91)에는 밸브 하우징(93)과 제2펌프 하우징(9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은 하우징(90)의 전면을 제거하여 도시하였다. 상기 밸브 하우징(93)은 상기 밸브(80)를 고정하는 부재로서 상기 상부커버(91)의 상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펌프 하우징(92)은 상기 제2펌프(32)를 고정하는 부재로서 상기 상부커버(91)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펌프 하우징(92)은 상부가 개구된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개구된 상부면을 통해 제2펌프(32)가 삽입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우 상기 밸브 하우징(93)은 상기 상부커버(9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펌프 하우징(92) 또한 상기 상부커버(9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부(50)도 상기 상부커버(9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세척부(50)의 일 실시예인 분사노즐이 상부커버(91)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밸브 하우징(93), 제2펌프 하우징(92) 및 분사노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부커버(91)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커버(91)의 재질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일 수 있다. 상부커버(91)의 재질이 플라스틱인 경우 상기 밸브 하우징(93), 제2펌프 하우징(92) 및 분사노즐은 사출성형에 의해 상부커버(9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밸브 하우징(93), 제2펌프 하우징(92) 및 분사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상부커버(91)와 일체로 형성하게 될 경우 각 구성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에 비해 제조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단가가 감소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펌프(32)가 워터탱크(40)의 응축수를 세척부(50)로 펌핑할 때 제2펌프(32)의 토출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제2펌프(32)의 토출부에서 발생하는 누수는 건조기의 다른 구성에 스며들어 건조기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는 상기 제2펌프(32)의 누수를 상기 수집부(20)로 유도하는 가이드 유로(100)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제2펌프(32)와 수집부(20)를 연결하는 가이드 유로(100)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유로(100)는 제2펌프(32)와 수집부(20)를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유로(100)는 제2펌프(32)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 장치(10)를 통과한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 유로(100)의 끝단은 상기 수집부(20)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2펌프(32)의 토출부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된 응축수는 상기 제2펌프 하우징(92)에 고이게 된다. 이어서, 제2펌프 하우징(92)에 고인 응축수는 제2펌프 하우징(92)과 연통된 가이드 유로(100)로 유도된다. 따라서, 누수된 응축수는 상기 가이드 유로(100)를 따라 수집부(20)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 유로(100)를 구비하여 제2펌프(32)의 토출부에서 발생하는 누수에 의해 건조기의 다른 구성이 고장이 발생하는 것이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드럼
10 열교환 장치 20 수집부
31 제1펌프 32 제2펌프
40 워터탱크 50 세척부
60 배출유로 61 분사유로
70 공급유로 80 밸브
90 하우징 91 상부커버
92 제2펌프 하우징 93 밸브 하우징
100 가이드 유로

Claims (13)

  1.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응축시키는 열교환 장치;
    상기 열교환 장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 장치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수집되는 수집부; 및
    상기 수집부의 응축수를 상기 열교환 장치로 공급하여 열교환 장치를 세척하는 세척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장치는,
    상기 드럼의 상부에 구비되며, 응축수를 저장하는 워터탱크;
    상기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며, 응축수를 상기 열교환 장치로 분사하는 세척부;
    상기 수집부의 응축수를 상기 워터탱크로 펌핑하는 제1펌프;
    상기 워터탱크의 응축수를 상기 세척부로 펌핑하는 제2펌프;
    상기 워터탱크에서 상기 세척부로 응축수가 공급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밸브; 및
    상기 제2펌프에서 누수되는 응축수를 상기 수집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장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분사노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하우징의 베이스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펌프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펌프를 수용하는 제2펌프 하우징은 상기 상부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삭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를 수용하는 밸브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를 수용하는 밸브 하우징, 상기 제2펌프를 수용하는 제2펌프 하우징 및 상기 세척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커버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100065919A 2010-07-08 2010-07-08 건조기 KR101729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919A KR101729552B1 (ko) 2010-07-08 2010-07-08 건조기
US13/177,885 US20120005912A1 (en) 2010-07-08 2011-07-07 Clothes dryer
EP11803819.9A EP2591161B1 (en) 2010-07-08 2011-07-07 Clothes dryer
PCT/KR2011/004989 WO2012005533A2 (en) 2010-07-08 2011-07-07 Clothes dryer
US14/177,659 US9752274B2 (en) 2010-07-08 2014-02-11 Clothes dry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919A KR101729552B1 (ko) 2010-07-08 2010-07-08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65A KR20120005265A (ko) 2012-01-16
KR101729552B1 true KR101729552B1 (ko) 2017-04-24

Family

ID=45611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919A KR101729552B1 (ko) 2010-07-08 2010-07-08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5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8469A1 (de) * 2006-04-19 2007-10-25 Lare Luft- und Kältetechnik Apparate und Regelsysteme GmbH Temperatur- und Druckausgleich von Wärmetauschern in Wäschetrocknern und ähnlichen Wärmepumpensystem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18469A1 (de) * 2006-04-19 2007-10-25 Lare Luft- und Kältetechnik Apparate und Regelsysteme GmbH Temperatur- und Druckausgleich von Wärmetauschern in Wäschetrocknern und ähnlichen Wärmepumpensystem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65A (ko)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5895B2 (en) Clothes dryer
KR101704420B1 (ko) 의류 건조기
EP2037034B1 (en) Ductless type clothes drier
US9752274B2 (en) Clothes dryer
KR101549861B1 (ko) 덕트리스 건조기
KR101806241B1 (ko) 열교환기 세척수단을 갖는 의류처리장치
KR20130127816A (ko) 의류건조기
KR20060065266A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린트 필터 어셈블리
KR101192047B1 (ko) 의류건조기
KR101100217B1 (ko) 건조기
KR20090050620A (ko) 의류처리장치
KR101825448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EP2877075A1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water supply assembly
KR20180124351A (ko)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에서의 공기 순환 방법
KR20120005266A (ko) 건조기
KR101729552B1 (ko) 건조기
KR10143045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25449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KR101208553B1 (ko) 세탁장치
KR101370890B1 (ko) 건조기의 스프레이 채임버를 이용한 린트 프리 및 콘덴싱모듈
KR20210020398A (ko) 의류처리장치
KR100465192B1 (ko) 건조장치를 갖춘 드럼세탁기
CN220034969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KR10156038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661644B1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