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877B1 -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 및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 Google Patents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 및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877B1
KR102352877B1 KR1020207009903A KR20207009903A KR102352877B1 KR 102352877 B1 KR102352877 B1 KR 102352877B1 KR 1020207009903 A KR1020207009903 A KR 1020207009903A KR 20207009903 A KR20207009903 A KR 20207009903A KR 102352877 B1 KR102352877 B1 KR 102352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vent pipe
intermediate support
tub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9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1728A (ko
Inventor
마사키 하라
코다이 마에노
Original Assignee
무쓰비시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쓰비시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쓰비시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5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1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2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 F16L55/124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by introducing into the pipe a member expandable in situ introduced radially into the pipe or h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B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0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2Details
    • F17B1/14Safety devices, e.g. prevention of exces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4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polymeric 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 C08L2205/16Fibres; Fibr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8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11Closur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52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5Propane butane,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5Facilitating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Abstract

본 발명은, 물리적인 강도, 팽창성 및 저온 분위기 하에서 내구성이 뛰어난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 및 해당 벌룬을 구비하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은, 재질이 실리콘 고무인 내막 및 외막과, 내막 및 외막에 의해 끼워져 있는 보강 기재를 구비한다. 외형은, 양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 또는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이고,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팽창한다. 보강 기재는 섬유 다발로 구성되어 있고, 망사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 및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본 발명은 액화 천연 가스 또는 액화 석유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을 일시적으로 폐색(閉塞)하기 위한 벌룬과, 당해 벌룬을 배관 내에 삽입하여 벤트 배관을 폐색하기 위해 사용되는 폐색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가스 배관을 보수 공사할 때에, 가스를 일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가스 백(bag)이 사용되고 있다. 가스 백은 가스 배관 내에 삽입된 후, 공기를 삽입하여 가스 배관의 내경만큼 최대로 팽창시킴으로써 가스 배관을 일시적으로 폐색하는 것이 가능하다(특허문헌 1 ~ 3).
한편, 액화 천연 가스(LNG) 또는 액화 석유 가스(LPG)와 같은 액화 가스를 운송하는 탱커(tanker)는 메탄, 프로판, 부탄, 에틸렌 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가스를 저온에서 액화시킨 액화 가스를 저장하는 탱크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탱커의 저장 탱크는, 그 상부에 벤트용 배관이 수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배관 꼭대기부에 안전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안전 밸브를 정기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지만, 점검 시에는 안전 밸브 하류 측의 벤트용 배관을 폐색하여, 기회된 가스의 외부로의 누설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안전 밸브가 고장나는 등의 비상 시에도, 마찬가지로 안전 밸브 하류 측의 벤트용 배관을 폐색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액화 가스를 운송하는 탱커는, 2016년 7월 1일 이후 건조에 착수된 선박에 대한 국제 액화 가스 운반선 규칙(IGC 코드)가 적용된다. IGC 코드(8.2.9)는 「압력 릴리프 밸브 하류 측의 벤트 관 장치에는, 체크 밸브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라고 규정되어 있고, 일반적인 배관과 달리 안전 밸브(압력 릴리프 밸브)의 점검 또는 수리 시 체크 밸브에 의해 배관을 폐색할 수 없다. 따라서, 안전 밸브의 점검 또는 수리 시에는, 안전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을 벌룬(balloon)이라고 부르는 기구를 이용하여 폐색하는 것이 있다.
액화 가스를 운송하는 탱커의 벤트 배관에는, 안전 밸브의 상류 측에 벌룬 삽입용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 먼저, 삽입용 배관의 뚜껑을 열고, 선단에 벌룬을 장착한 삽입 기구를 삽입용 배관의 입구부에 설치한다. 그 후, 벌룬 장착부를 벤트 배관 내로 삽입하고, 벌룬 내부에 질소 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벌룬을 팽창시켜 벤트 배관을 폐색한다. 벌룬 내에 소정 압력까지 불활성 가스를 주입한 후, 안전 밸브의 점검, 수리 또는 교환을 수행한다.
점검 등의 종료 후, 불활성 가스를 뽑아내 벌룬을 수축시키고, 삽입 기구를 되돌려 벌룬을 벤트 배관에서 빼낸다. 벌룬 삽입용 기구를 삽입용 배관에서 분리하고, 삽입용 배관의 뚜껑을 닫는다.
벤트 배관을 폐색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벌룬은 고강도 천(布)을 바느질하여 주머니 형상으로 성형하고, 벤트 배관 내면과의 밀착성 향상을 위해서, 내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실리콘 고무를 도포한 벌룬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벌룬의 일례(팽창 시)를 도시한다. 도 1(a)는 외관 사진을 보여주고, 도 1(b)는 그 구성도를 도시한다. 종래의 벌룬은 일반적으로 나일론, 아라미드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고강도 천이 기본 재료(기재; 基材)로 되어 있고, 도 1(a)에서는 우측단의 부분(도 1(b)에서는 개구부(206)에 해당)이 불활성 가스 주입용 배관에 기밀(氣密)하게 고정되어 있다. 벌룬 본체는 상부(202), 중간부(203) 및 하부(204)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 봉합부(205a 및 205b)에 의해 봉합되어 있다. 상부(202)에는 돌출부(208)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206)에 벌룬 삽입 기구가 고정된다. 중간부(203)의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207)이 형성되어 있고, 그 마찰 저항에 의한 부착력이 벤트 배관을 폐색한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4101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특개소63-130991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고 평1-2303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특개2006-17036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특개평10-10119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특개소51-560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특개2016-56905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특개평4-18109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특개2017-909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특개2017-57996호 공보
액화 가스 저장 탱크 내에는 극저온의 LNG 또는 LPG가 저장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가스 배관 폐색용의 벌룬과 달리, 저온 분위기 하에서도 팽창할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벌룬은, 기재가 되는 천에 팽창성이 없기 때문에 반복 사용되거나 벤트 배관의 폐색성을 높이기 위해 팽창 시의 내압을 높이거나 하면, 천의 봉합 부분이 파손되거나 천과 실리콘 고무와의 경계면에 응력이 걸려 벌룬에 균열이 생기기도 쉽기 때문에, 물리적인 강도가 충분하지 않았다.
한편, 실리콘 고무와 같은 저온 분위기 하에서도 유연성이 있는 소재로만 벌룬을 제작하려고 하여도 물리적인 강도가 낮기 때문에 팽창 시의 내압을 증가시킬 수 없다. 반면에, 두꺼운 천을 기재로 사용하면 비팽창 상태에서도 벤트 배관 내로의 삽입이 곤란하거나, 팽창성이 낮기 때문에 벤트 배관 내면에의 밀착성이 저하되거나 한다. 또한, 천 기재와 수축성이 높은 실리콘 고무층과의 사이가 박리되기 쉬워서, 벌룬의 내구성이 낮아지고 만다.
본 발명은 물리적인 강도가 충분하고, 팽창성이 풍부하고, 나아가 저온 분위기 하에서 반복 사용되어도 내구성이 뛰어난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 및 해당 벌룬을 구비하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계속하였고, 벌룬의 물리적 강도 및 저온 분위기 하의 팽창성을 양립시키기 위해서는, 천과 같은 유연성이 없는 평면적인 기재가 아니라 저온 분위기 하에서도 유연성을 가지는 섬유를 망사형 구조로 한 기재를 중심으로 그 내외의 양면에 실리콘 고무를 도포하여 실리콘 고무층을 형성하면 좋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을 일시적으로 폐색하기 위한 벌룬으로서, 상기 벌룬은, 내막과 보강 기재와 외막을 구비하고, 양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이며,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팽창하고,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이고, 상기 보강 기재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다발로 구성되어고, 망사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강 기재는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 사이에 끼여 있고, 상기 섬유 다발의 직경은 440 dtex 이상 1760 dtex 이하이며, 상기 섬유 다발을 구성하는 필라멘트 개수는 390개 이상 1560개 이하이고, 상기 망사형 구조는 섬유 사이의 메쉬 크기가 비 팽창시 0 mm 이상 5 mm 이하이며,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의 두께는 각각 2 mm 이상 6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벌룬은 종래의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과 달리 실리콘 고무와 같은 저온 분위기 하에서도 유연성을 가지는 내한(耐寒)성 고무 제의 내막과 외막에 끼워지는 보강 기재가 천과 같은 평면적인 기재가 아니라 저온 분위기 하에서도 유연성 및 전개성을 가지는 초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섬유의 다발에 의해 구성되는 망사형 구조이다. 이와 같이 망사형 구조로 함으로써, 벌룬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벌룬을 팽창시켜도, 외막, 보강 기재 및 내막 모두가 유연성을 가지기 때문에, 종래의 벌룬과 달리 보강 기재와 외막과 내막의 경계면에 응력이 걸리기 어렵고, 내압을 높여도 벌룬에 균열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룬은 저온 분위기 하에서도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 팽창 상태에서는 벤트 배관 내로의 삽입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벌룬은 압력에 의해 팽창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삽입되는 배관의 내경의 크기에 관계없이 배관을 안정적으로 폐색할 수 있으며, 1개의 벌룬에 의해 다양한 내경의 배관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섬유 다발은 저온 분위기 하에서도 물리적 강도가 저하하지 않는 섬유의 다발이며, 섬유의 구체적인 예는 폴리에틸렌, 나일론 또는 아라미드와 같은 유기 고분자 섬유이지만, 폴리에틸렌, 특히 초고분자 폴리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초고분자 폴리에틸렌은 분자량이 100 ~ 700만 정도인 폴리에틸렌을 의미한다.
보강 기재로서의 물리적 강도, 팽창 용이성 및 벤트 배관에의 삽입 용이성의 관점에서, 망사형 구조를 구성하는 섬유 다발의 직경은 440 dtex 이상 1760 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다발을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개수는 390개 이상 156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벌룬의 팽창성 및 보강 기재로의 물리적 강도를 유지하는 관점에서 망사형 구조를 구성하는 섬유 사이의 간격(메쉬 크기)은 비팽창시 0 mm 이상 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mm 이상 3 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보강 기재의 망사형 구조는 고분자 제의 섬유가 천축 뜨개질(jersey stitch)로 짜여진 망사형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망사형 구조의 신축성이 높기 때문이다.
물리적 강도, 벤트 배관의 폐색성 및 벌룬의 팽창성 관점에서,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의 두께는 각각 2 mm 이상 6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의 두께가 달라도 좋지만,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관과, 조작관과, 중간 지지부와, 벌룬 설치부와, 벌룬을 구비하고,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을 일시적으로 폐색하기 위한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로서, 상기 수납관은 그 개구부 측에 폐쇄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지지부를 수납 가능하며, 상기 중간 지지부는 상기 수납관 내를 축 방향으로 가동하고, 선단 측은 아래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관과 상기 중간 지지부와 상기 벌룬 설치부는 동일한 중심 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벌룬 설치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선단 측에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중간 지지부는 그 양단에서 상기 조작관과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벌룬 설치부는, 그 양단에 있는 제1 벌룬 설치 부재 및 제2 벌룬 설치 부재와, 중간 위치에 있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 보다 선단 측이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상기 조작관은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기 벌룬 설치부에 인접하는 측과의 고정부에서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제1 벌룬 설치 부재 및 상기 제2 벌룬 설치 부재는, 상기 벌룬을 기밀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이고, 또한, 상기 제1 벌룬 설치 부재 또는 상기 제2 벌룬 설치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축 방향으로 가동하며, 상기 조작관의 내부에는 상기 벌룬으로 불활성 가스를 외부로부터 공급하고, 상기 벌룬으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벌룬은, 내막과 보강 기재과 외막을 구비하고, 그 양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이며,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팽창하고,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의 재질은 내한성 고무이고, 상기 보강 기재는 섬유 다발로 구성되어 있고, 망사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강 기재는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 사이에 끼워져 있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수납관과, 조작관과, 중간 지지부와, 벌룬 설치부와, 벌룬을 구비하고,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을 일시적으로 폐색하기 위한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로서, 상기 수납관은 그 개구부 측에 폐쇄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지지부 및 상기 벌룬 설치부를 수납 가능하며, 상기 중간 지지부와 상기 벌룬 설치부는, 동일한 중심 축을 따라 상기 수납관 내에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중간 지지부 및 상기 벌룬 설치부는, 상기 수납관 내를 축 방향으로 가동하고, 선단 측은 하방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중간 지지부는, 그 중간 위치 및 개구부 측에서 상기 조작관과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벌룬 설치부는, 그 양단에 있는 제1 벌룬 설치 부재 및 제2 벌룬 설치 부재와, 중간 위치에 있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 보다 선단 측이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상기 조작관은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기 벌룬 설치부에 인접하는 측과의 고정부에서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제1 벌룬 설치 부재 및 상기 제2 벌룬 설치 부재는, 상기 벌룬을 기밀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이고, 또한, 상기 제1 벌룬 설치 부재 또는 상기 제2 벌룬 설치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축 방향으로 가동하며, 상기 조작관의 내부에는 상기 벌룬으로 불활성 가스를 외부로부터 공급하고, 상기 벌룬으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벌룬은, 내막과 보강 기재과 외막을 구비하고, 그 양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이며,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팽창하고,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의 재질은 내한성 고무이고, 상기 보강 기재는 섬유 다발로 구성되어 있고, 망사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강 기재는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 사이에 끼워져 있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벤트 배관을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폐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 종래의 벌룬의 일례이며, (a)는 외관 사진, (b)는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의 외관도를 도시한다.
[도 3] 도 2(a)의 X-X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 종래의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5] 도 4에 도시된 벌룬 삽입용 기구(5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6]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 도 6(a)에서 부호 A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 도 6(a)에서 부호 B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a] 도 6에 도시된 벌룬 삽입용 기구(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9b] 도 6에 도시된 벌룬 삽입용 기구(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9c] 도 6에 도시된 벌룬 삽입용 기구(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9d] 도 6에 도시된 벌룬 삽입용 기구(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10]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다.
[도 11a] 도 10에 도시된 벌룬 삽입용 기구(10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11b] 도 10에 도시된 벌룬 삽입용 기구(10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11c] 도 10에 도시된 벌룬 삽입용 기구(10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11d] 도 10에 도시된 벌룬 삽입용 기구(10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11e] 도 10에 도시된 벌룬 삽입용 기구(10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12] 실시예 1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의 외관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기재 내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의 외관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은 후술하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의 폐색부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이라도 좋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대 형상(중공의 원뿔대 형상)이라도 좋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상단과 하단이 개구부로 되어 있다.
도 3은 도 2(a)의 X-X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은 실리콘 고무 제의 내막(41), 폴리에틸렌과 같은 섬유(43)로 구성된 보강 기재(42) 및 실리콘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외막(4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2(b)에 도시된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에 대해서도 구조는 동일하다. 또한, 섬유(43)는 복수 개의 섬유 가닥으로 구성된 섬유 다발이다.
보강 기재(42)는 섬유(43)에 의한 망사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천과 같은 평면적인 보강 부재가 아니라 망사형 구조를 가지는 보강 기재(42)의 양면에 저온 하에서도 유연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진 내막(41) 및 외막(44)을 구비하는 것이,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의 기술적 특징이다. 이러한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벌룬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벌룬을 팽창시켜도, 내막(41), 보강 기재(42) 및 외막(44)이 동등하게 신장하여, 내막(41)과 보강 기재(42) 사이에도, 또한 외막(44)과 보강 기재(42) 사이에도 응력이 집중하기 어려워서 종래의 벌룬보다 내압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손상되기 어려워서 내구성이 높다.
내막(41) 및 외막(44)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 및 불소 고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지만, 실리콘 고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43)는 폴리에틸렌, 나일론 및 아라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재질이지만, 초고밀도 폴리에틸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분자량이 수만 ~ 수십만이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분자량이 500만 ~ 900만에 달하는 폴리에틸렌이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비교하여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질을 단순히 보강 기재(42)의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섬유 다발로 구성된 망사형 구조의 보강 기재(42)로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벌룬 보다 뛰어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섬유(43)는 직경이 440 dtex 이상 1760 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40 dtex 이상 1320 dtex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보강 기재(42)에서 섬유 사이의 간격(메쉬 크기)은 비팽창시에 0 mm 이상 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mm 이상 3 mm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제 섬유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용제로 희석하여, 분자의 뒤엉킴이 적은 젤 상태의 실로 만들고, 그 젤 상태의 실을 초연신이라고 부르는 수법으로 당겨서 분자 사슬이 신장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제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삽입 기구>
도 4는 공지의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를 도시한다.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51)는 수납관(52)과 조작관(54a)과 플렉시블 튜브(57)와 조작관(54b)과 벌룬(60)과 벌룬 설치부(59)를 구비한다. 벌룬 설치부(59)의 구체적인 예는 쥬빌리 밴드(jubilee band)이다. 조작관(54a)은 센터 유지 부재(55)를 구비하고, 립 패킹(61)과 센터 유지 부재(55)에 의해 조작관(54a)은 수납관(52)의 중심부에 유지된다.
조작관(54a)의 우측단에는 릴리프 밸브(62), 가스 공급 배출부(64) 및 수납관 내부 압력계(65)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관 내부 압력계(65)는 수납관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계이고, 팽창 시에 벌룬(60)으로부터 불활성 가스가 누설되면, 압력계의 수치가 상승한다. 가스 공급 배출부(64)는 외부에 존재하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불활성 가스 공급원 및 불활성 가스 배출 수단에 연결된다. 조작관(54a)에 공급된 불활성 가스는 플렉시블 튜브(57)를 거쳐 조작관(54b)으로 공급되고, 벌룬(60)을 팽창시킨다. 벌룬(60)은 주머니 형상이고, 쥬빌리 밴드와 같은 벌룬 설치부(59)에 의해 조작관(54b)에 기밀하게 설치되어 있다. 수납관(52)에는 불활성 가스 치환용 가스 라인(67)도 설치되어 있다.
폐쇄 플랜지(56)를 벌룬 삽입용 배관 입구에 고정한 후, 조작관(54a)을 도 4에서 좌측 방향으로 밀어 넣어 벌룬 삽입관용 배관을 거쳐 벤트 배관 내로 삽입한다. 조작관(54a)과 조작관(54b)은 플렉시블 튜브(57)에 의해 연결되어는 있지만, 벌룬 삽입관용 배관 및 벤트 배관과의 연결 각도가 90도 근처에서는 벌룬(60)을 벤트 배관 내에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다. 벌룬 삽입 기구(51)는 벌룬 삽입관용 배관과 벤트 배관과의 연결 각도가 45도 이하인 것이 이상적이다.
벌룬(6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을 바느질하여 기재가 형성되어 있고, 기재 표면에 실리콘 고무층이 형성되어 있다. 벌룬(60)에 의해 벤트 배관을 확실하게 폐색하기 위해서는, 폐색 시에 벌룬(60)을 최대한 팽창시킬 필요가 있지만, 벌룬(60)의 둘레 길이는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폐색하려는 벤트 배관의 내경마다 사이즈가 맞는 벌룬(60)을 사용할 필요가 있어, 벌룬의 범용성이 없다. 또한, 벌룬(60)을 팽창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반경 방향 부착력(경착력)으로부터, 탱크 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압력에 대해 벌룬(60)이 이동하지 않는 경착력을 얻기 때문에, 벌룬과 벤트 배관의 마찰 계수에 경착력이 의존하고, 차단 성능이 안정되지 않는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벌룬 삽입용 기구(5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5에서는, 주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5에서 벤트 배관(71)과 삽입용 배관(72)의 연결각(θ)은 45° 이하이다. 벤트 배관(71)의 하방에는 액화 천연 가스에 의한 액화 가스의 저장 탱크가 존재하고 있다. 삽입용 배관의 플랜지(73)와 벌룬 삽입용 기구(51)의 폐쇄 플랜지(56)를 고정한다(도 5(a)). 불활성 가스 치환용 가스 라인(67)으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고, 가스 공급 배출부(64)로부터 배기하여, 벌룬 삽입용 기구(51) 내부를 불활성 가스에 의해 치환한다. 치환 종료 후, 불활성 가스 치환용 가스 라인(67) 및 가스 공급 배출부(64)의 밸브(68) 및 밸브(69)를 닫는다.
삽입용 배관(72)의 밸브(미도시)를 개방한 후, 조작관(54a)을 수납관(52) 내로 밀어 조작관(54b) 보다 선단이 되는 부분을 벤트 배관(71) 내로 삽입한다(도 5(b)). 조작관(54a)과 조작관(54b)은 플렉시블 튜브(57)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만, 조작관(54b)을 벤트 배관 내에서 수직으로 하는 것은 어렵고, 조작관(54b)은 약간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경우가 많다.
도 5(b)에 도시된 상태에서 벌룬(60)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면 벌룬(60)도 기울어진 상태에서 팽창하고, 벌룬(60)과 벤트 배관 내면의 밀착성이 낮아진다(도 5(c)). 또한, 탱크 측(벤트 배관(71) 하방 측)으로부터 걸리는 압력(가스 압력)을 받기 위한 반력 받이 부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벌룬(60)이 상방으로 이동하기가 쉬워서, 벤트 배관(71)의 폐색이 불충분하게 되기 쉽다(도 5(d)). 즉, 벌룬(60)에 하방으로부터 압력이 걸리면, 플렉시블 튜브(57)는 그 압력을 막지 못하고 변형되어 버리기 때문에, 벌룬(60)의 위치를 유지할 수 없다. 그 결과, 벌룬(60)에 의한 벤트 배관의 폐색이 불완전하게 되기 쉽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 기구 1>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6(a)는 장축 방향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6(b)는 장축 방향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는, 수납관(2)과 중간 지지부(3)와 벌룬(4)과 벌룬 설치부(5)를 구비한다. 수납관(2)은 개구부(10)에 폐쇄 플랜지(6)를 구비한다. 도 6(a)에서, 중간 지지부(3)는 단순한 원통 형상이 아니고, 하면이 상면 보다 짧고, 개구부(10)가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수납관(2)은 원통형이고, 중간 지지부(3)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중간 지지부(3)는 조작관(8)을 움직이는 것에 의해 수납관(2)의 축 방향(조작관(8)을 따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벌룬 설치부(5)는 수납관(2)의 반대 측이 되는 위치(중간 지지부(3)의 선단 측)에서 중간 지지부(3)에 인접해 있다. 수납관(2)과 중간 지지부(3)와 벌룬 설치부(5)는 각각의 내부를 관통하는 조작관(8)에 의해 차례로 연결되어 있고, 조작관(8)을 움직이는 것에 의해 중간 지지부(3) 및 벌룬 설치부(5)도 이동한다.
도 6에서는, 조작관(8)이 밀어 넣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조작관(8)을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빼내는 것에 의해서, 중간 지지부(3) 및 벌룬 설치부(5)는 수납관(2) 내부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중간 지지부(3)는 고정 부재(11) 및 고정 부재(12)에 의해 조작관(8)과 고정되어 있다. 고정 부재(12)와 조작관(8)은 핀(13)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고, 조작관(8)의 핀(13) 보다 우측이 되는 부분은 도 6(a)에서는 아래쪽으로 구부릴 수 있다.
벌룬 설치부(5)는 제1 단부(14) 및 제2 단부(19)에서 조작관(8)과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16)과 조작관(8)의 연결부인 힌지부(15)는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벌룬 설치부(5)에는, 조작관(8)을 둘러싸도록 벌룬(4)이 기밀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7은, 도 6(a)에서 부호 A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 배관 폐색용 벌룬은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이고, 양단이 개구하여 있다. 즉, 도 6에서는 벌룬(4)의 우측단 및 좌측단 부분은 개구부로 되어 있다.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에서는, 벌룬(4)은 원뿔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벌룬(4)은 조작관(8)이 중심축이 되도록 벌룬 설치부(5)의 제1 벌룬 설치 부재(7a) 및 제2 벌룬 설치 부재(7b)에 설치된다. 도 7에서, 벌룬(4)의 일방의 개구부는 o-링(23)을 통해 고정 링(22) 및 제1 단부(14) 사이에 기밀하게 고정되어 있다.
도 8은, 도 6(a)에서 부호 B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벌룬(4)의 좌측단은 제2 단부(19)에 접하고, 벌룬(4)의 타방의 개구부와 브래킷(16)은 o-링(33)을 통해 고정 링(32)에 의해 기밀하게 고정되어 있다. 고정 링(32)과 브래킷(16)의 중간에 슬라이드 링(17)이 존재한다. 벌룬(4)의 팽창에 의해 슬라이드 링(17)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2 단부(19)에는 벌룬(4) 및 벤트 배관 내면을 보호하기 위해 수지 커버(2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에서는, 벌룬(4)이 원뿔대 형상이고, 이 경우, 벌룬(4)은 선단 측(도 6(a) 및 (b)에서는 도면의 좌측)이 끝이 가늘어지도록 벌룬 설치부(5)에 설치된다. 즉, 제1 벌룬 설치 부재(7a)의 직경은 제2 벌룬 설치 부재(7b)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벌룬(4)이 원통 형상인 경우에는 제1 벌룬 설치 부재(7a)의 직경과 제2 벌룬 설치 부재(7b)의 직경은 동일하다.
벌룬(4)을 설치한 상태의 벌룬 설치부(5)는, 그 내부가 기밀로 유지되고 있을 필요가 있지만, 벌룬(4)의 벌룬 설치부(5)에의 설치 방법은 도 6 ~ 도 8에 도시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인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벌룬 설치부(5)의 구조는 벌룬(4)를 설치한 상태에서 그 내부를 기밀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좋고, 도 6 ~ 도 8에 도시된 구조 이외의 구조라도 좋다.
조작관(8)의 내부는 벌룬(4)으로 불활성 가스를 외부에서 공급하는 가스 배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 배관은 연결부(24), 플렉시블 배관(25) 및 연결부(26)를 거쳐 벌룬 설치부(5)로 이어져 있고, 벌룬(4)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팽창/벌룬(4)으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배출하여 수축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조작관(8)의 외부 측 선단(도 6(a) 및 도 6(b)의 우측단 부분)에는 압력 릴리프 밸브(28), 가스 공급 배출부(29), 밸브(30) 및 수납관 내부 압력계(31)가 설치되어 있다. 수납관 내부 압력계(31)의 기능은 수납관 내부 압력계(65)와 같다. 가스 공급 배출부(29)는 외부에 존재하는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불활성 가스 공급원(구체적인 예: 불활성 가스 봄베) 및 불활성 가스 배출 수단(구체적인 예: 배기 장치)에 연결된다. 수납관(2)에는 불활성 가스 치환용 가스 라인(34)도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도 9에서는 벤트 배관(71)과 삽입용 배관(72)의 연결 각도는 90도이다. 먼저, 조작관(8)을 도면 중 우측으로 최대한 빼낸 상태에서 폐쇄 플랜지(6)를 삽입용 배관(72)의 플랜지(73)에 고정한다(도 9(a)).
가스 공급 배출부(29)의 밸브(30)와, 불활성 가스 치환용 가스 라인(34)의 밸브(35)를 개방한다. 불활성 가스 치환용 가스 라인(34)으로부터 질소 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고, 가스 공급 배출부(29)에서 배기하는 것에 의해,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 내부를 불활성 가스로 치환한다. 치환 종료 후, 밸브(30) 및 밸브(35)를 폐쇄한다. 그 후, 삽입용 배관(72)의 밸브(미도시)를 개방한다.
다음으로, 조작관(8)을 도면 중 좌측으로 밀어서, 수납관(2) 내로 조작관(8)을 밀어 넣는다. 벌룬 설치부(5)의 전방측 반쪽 부분이 벤트 배관(71) 내에 도달하면, 힌지부(15) 보다 선단 측은 자중에 의해 하방을 향해 접어져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다(도 9(b)).
나아가, 핀(13)이 벤트 배관(71)의 중심 위치가 될 때까지, 조작관(8)을 수납관(2) 내로 밀어 넣는다. 핀(13) 보다 선단 측은 벤트 배관(71) 내에서 하방으로 90도 접어져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다(도 9(c)). 이 때, 힌지(15)는 똑바로 돌아간다.
가스 공급 배출부(29)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벌룬(4)을 팽창시킨다(도 9(d)). 이 때, 벌룬(4)의 종 방향 길이가 작아지기 때문에 슬라이드 링(17)이 상방으로 슬라이드한다. 핀(13) 보다 선단 측이 벤트 배관(71)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벌룬(4)은 안정된 상태에서 팽창하여, 벤트 배관(71)을 폐색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팽창한 벌룬(4)에는 벤트 배관 하방으로부터 가스 압력이 걸린다. 그러나,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는, 고정 부재(12)가 반력 받이로서 기능을 하기 때문에, 벌룬(4)이 상방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벌룬(4)과 벤트 배관(71) 내면의 밀착성이 유지될 수 있다.
폐색 종료 후, 벌룬(4) 내의 불활성 가스를 가스 공급 배출부(29)를 통해 배출하여, 벌룬(4)을 수축시킨 후, 삽입 시와 반대로 조작을 수행하여,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를 삽입용 배관(72)으로부터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 기구 2>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다. 도 10(a)는 장축 방향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10(b)는 장축 방향의 상면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01)의 기본 구조 및 기능은 도 6에 도시된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과 공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0에서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01)는 벌룬(4)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01)는 수납관(102) 및 중간 지지부(103)가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의 수납관(2) 및 중간 지지부(3) 보다 길다. 중간 지지부(103)와 벌룬(4)과 벌룬 설치부(5)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는, 수납관(102)의 내경은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의 수납관(2) 보다 크다. 또한, 조작관(8)을 수납관(102)으로부터 빼낸 상태에서는 벌룬(4), 벌룬 설치부(5) 및 중간 지지부(103)는 모두 수납관(102)의 내부에 수납된다.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01)는 조작관(8)에 평행한 삽입관(104)을 구비하고 있다. 삽입관(104)의 좌측단은 중간 지지부(103)의 우측단에 있는 고정 부재(11)와 연결되어 있다.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01)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와 비교하여 중간 지지부(103)가 길기 때문에 수납관(102) 내면과 중간 지지부(103) 외면 사이의 마찰이 크다. 따라서, 조작관(8) 이외에 물리적 강도가 높은 전용 부재인 삽입관(104)을 구비하고, 삽입관(104)에 의해 조작관(8)을 간접적으로 수납관(102) 내로 삽입 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삽입관(104)은 임의의 구성이며, 조작관(8)을 직접적으로 수납관(102) 내로 삽입 등을 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01)는 삽입용 배관(72) 내에 벌룬(4)을 삽입 및 추출할 때 벌룬(4)과 삽입용 배관(72) 내면이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벌룬(4)의 삽입성 및 수납성이 우수하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01)의 사용 순서를 도시한다. 기본적인 사용 순서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와 공통된다.
먼저, 조작관(8) 및 삽입관(104)을 도면 중 우측으로 최대한 빼낸 상태에서, 폐쇄 플랜지(6)를 삽입용 배관(72)의 플랜지(73)에 고정한다(도 11(a)).
다음으로, 삽입관(104)을 도면 중 좌측으로 밀어, 수납관(102)의 선단부가 배출 배관(71)의 내면으로 돌출하여 닿을 때까지 수납관(102) 내로 조작관(8)을 밀어 넣는다(도 11(b)). 벌룬 설치부(5)는 중간 지지부(103)에 수납된 상태에서 수납관(102) 내를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힌지부(15) 보다 선단 측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향해 접어져 구부러진다(도 11(c)).
나아가, 삽입관(104)을 수납관(102) 내로 밀어 넣는다. 핀(13) 보다 선단 측은, 벤트 배관(71) 내에서 하방으로 접어져 구부러지고, 힌지부(15)도 구부러진 상태에서 비스듬한 상태에서 벌룬 설치부(5)는 나아가 벤트 배관 하방으로 이동한다.
나아가, 삽입관(104)을 수납관(102) 내로 밀어 넣으면 핀(13)에서 벌룬 설치부(5)는 직각으로 구부러지고, 힌지부(15)는 똑바로 되돌아간다(도 11(d)).
가스 공급 배출부(29)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여 벌룬(4)을 팽창시킨다(도 11(e)). 벌룬(4)의 종 방향 길이가 작아지기 때문에 슬라이드 링(17)이 상방으로 슬라이드한다. 핀(13) 보다 선단 측이 벤트 배관(71)의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벌룬(4)은 안정된 상태에서 팽창하여, 벤트 배관(71)을 폐색할 수 있다.
팽창한 벌룬(4)에는, 벤트 배관 하방으로부터 가스 압력이 걸린다. 그러나,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와 마찬가지로, 고정 부재(12)가 반력 받이로서 기능을 하기 때문에, 벌룬(4)이 상방으로 이동하기 어렵고, 벌룬(4)과 벤트 배관(71) 내면의 밀착성이 유지될 수 있다.
폐색 종료 후, 벌룬(4) 내의 불활성 가스를 배출하여 벌룬(4)을 수축시킨 후, 삽입 시와 반대의 조작을 수행하여,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101)를 삽입용 배관(72)으로부터 제거한다.
[실시예]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로서 도요보 주식회사 제의 이자나스(izanas)(440 dtex)를 사용하여, 기계 뜨개질(machinery knitting)에 의해 천축 뜨개질(섬유 간격 3 mm)로 짠 보강 기재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보강 기재는 높이 81 cm, 상면과 하면의 직경 12 cm인 원통 형상이고, 전체가 균일하게 천축 뜨개질되어 있다. 실리콘 고무로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의 KE136YU를 사용하여 보강 기재의 내측 및 외측에 두께 2 mm의 실리콘 고무층(내막과 외막)을 형성시켜, 실시예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을 제작하였다. 도 12는 실시예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의 외관 사진(팽창 상태)이다.
[비교예]
아라미드 섬유(아킬레스사 제 SCK-45W) 제의 고강도 천(두께 0.45 mm)을 사용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룬 형상(중간부의 직경 32 cm, 축 방향의 길이 34 cm)을 바느질하여 제작하였다. 사용된 천은 내측 전체가 실리콘 고무로 도포되고, 또한 외부에 실리콘 고무층을 형성하였다. 내막 및 외막인 실리콘 고무는 각각 두께 2 mm이다. 이러한 종래의 벌룬을 비교예의 벌룬으로 하였다.
(성능 시험 1)
배관경 350A의 스테인리스 배관(길이 130 cm)의 내측에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벌룬을 수납하였다. 실시예의 벌룬은, 일단에 고무를 설치하고, 밴드의 조임에 의해 기밀하게 폐색되고, 타단에 질소 가스 공급용 배관(스테인리스 제, 25A)을 기밀하게 설치하였다. 비교예의 벌룬은 개구부에 동일한 질소 가스 배관을 기밀하게 설치하였다.
우선, 실온 하에서, 벌룬 내압이 0.01 MPa가 되도록 질소 가스를 공급하고, 원활하게 팽창할 수 있는지와, 스테인레스 배관 내면에 밀착할 수 있는지와,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지와, 가스 누출이 없는지를 확인했다.
(성능 시험 2)
다음으로,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벌룬을 수납한 배관경 350A 스테인리스 배관을 저온 탱크에 수납하였다. 질소 가스 공급용 배관은 저온조 외부의 질소 가스통에 연결되어 있고, 저온조에서 벌룬으로 질소 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저온조 내를 -40 ℃로 유지하면서 벌룬 내압이 0.01 MPa가 되도록 질소 가스를 공급하고, 원활하게 팽창할 수 있는지와, 스테인레스 배관 내면에 밀착할 수 있는지와,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지와, 가스 누출이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성능 시험 3)
실온 하에서 벌룬 내압이 0.6 MPa가 되도록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벌룬에 물을 공급하고, 팽창시켰다. 그 때, 2개의 벌룬 모두 원활하게 팽창할 수 있는지와,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지와, 누수가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성능 시험 4)
배관경 250A 스테인리스 배관에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벌룬을 수납하고, 벌룬 내압 0.6 MPa이 되도록 실시예 또는 비교예의 벌룬에 물을 공급하고, 팽창시켰다. 그 때, 2개의 벌룬 모두 원활하게 팽창할 수 있는지와, 스테인레스 배관 내면에 밀착할 수 있는지와,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지와, 누수는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 및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는 액화 가스 저장 탱크 용의 폐색용 기구로, 선박 및 고압 가스 기술 분야에서 유용하다.
1, 101: 본 발명에 따른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2, 102: 수납관
3, 103: 중간 지지부
4: 벌룬(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
5: 벌룬 설치부
6: 폐쇄 플랜지
7a: 제1 벌룬 설치 부재
7b: 제2 벌룬 설치 부재
8: 조작관
9: 접지
10: 중간 지지부의 개구부
11: 고정 부재
12: 고정 부재
13: 핀
14: 제1 단부(벌룬 설치부의 앞쪽 단부)
15: 힌지부
16: 브라켓
17: 슬라이드 링
18: o-링
19: 제2 단부(벌룬 설치부의 선단측 단부)
20: 수지 커버
21: 보호 시트
22: 고정 링
23: o-링
24: 연결부
25: 플렉시블 호스
26: 연결부
27: 나사
28: 압력 릴리프 밸브
29: 가스 공급 배출부
30: 밸브
31: 수납관 내부 압력계
32: 고정 링
33: o-링
34: 불활성 가스 치환용 가스 라인
35: 밸브
41: 내막
42: 보강 기재
43: 섬유
44: 외막
51: 종래의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52: 수납관
53 : 수납관의 개구부
54a: 조작관(앞쪽)
54b: 조작관(선단 측)
55: 센터 유지 부재
56: 폐쇄 플랜지
57: 플렉시블 튜브
58: 단부 고무
59: 벌룬 설치부
60: 벌룬
61: 립 패킹
62: 압력 릴리프 밸브
63: 접지
64: 밸브
65: 수납관 내부 압력계
67: 불활성 가스 치환용 가스 라인
68: 밸브
69: 밸브
71: 벤트 배관
72: 삽입용 배관
73: 플랜지
104: 조작관
201: 종래의 폐색용 벌룬
202: 상부
203: 중간부
204: 하부
205a, 205b: 봉합부
206: 개구부
207: 실리콘 고무층
208: 돌출부

Claims (6)

  1.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을 일시적으로 폐색하기 위한 벌룬으로서,
    상기 벌룬은, 내막과 보강 기재와 외막을 구비하고, 양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이며, 개구부를 밀봉한 상태에서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팽창하고,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이고,
    상기 보강 기재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다발로 구성되어고, 망사형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강 기재는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섬유 다발의 직경은 440 dtex 이상 1760 dtex 이하이며,
    상기 섬유 다발을 구성하는 필라멘트 개수는 390개 이상 1560개 이하이고,
    상기 망사형 구조는 섬유 사이의 메쉬 크기가 비 팽창시 0 mm 이상 5 mm 이하이며,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의 두께는 각각 2 mm 이상 6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형 구조는 상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다발이 천축 뜨개질로 짜여진 망사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룬.
  3. 수납관과,
    조작관과,
    중간 지지부와,
    벌룬 설치부와,
    벌룬을 구비하고,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을 일시적으로 폐색하기 위한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로서,
    상기 수납관은 그 개구부 측에 폐쇄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지지부를 수납 가능하며,
    상기 중간 지지부는 상기 수납관 내를 축 방향으로 가동하고, 선단 측은 아래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수납관과 상기 중간 지지부와 상기 벌룬 설치부는 동일한 중심 축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벌룬 설치부는 상기 중간 지지부의 선단 측에 인접하고 있으며,
    상기 중간 지지부는 그 양단에서 상기 조작관과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벌룬 설치부는, 그 양단에 있는 제1 벌룬 설치 부재 및 제2 벌룬 설치 부재와, 중간 위치에 있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 보다 선단 측이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상기 조작관은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기 벌룬 설치부에 인접하는 측과의 고정부에서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제1 벌룬 설치 부재 및 상기 제2 벌룬 설치 부재는, 상기 벌룬을 기밀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이고, 또한, 상기 제1 벌룬 설치 부재 또는 상기 제2 벌룬 설치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축 방향으로 가동하며,
    상기 조작관의 내부에는 상기 벌룬으로 불활성 가스를 외부로부터 공급하고, 상기 벌룬으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벌룬은,
    내막과 보강 기재과 외막을 구비하고, 그 양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이며,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팽창하고,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의 재질은 내한성 고무이고,
    상기 보강 기재는 섬유 다발로 구성되어 있고, 망사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강 기재는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4. 수납관과,
    조작관과,
    중간 지지부와,
    벌룬 설치부와,
    벌룬을 구비하고,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을 일시적으로 폐색하기 위한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로서,
    상기 수납관은 그 개구부 측에 폐쇄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지지부 및 상기 벌룬 설치부를 수납 가능하며,
    상기 중간 지지부와 상기 벌룬 설치부는, 동일한 중심 축을 따라 상기 수납관 내에서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중간 지지부 및 상기 벌룬 설치부는, 상기 수납관 내를 축 방향으로 가동하고, 선단 측은 아래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으며,
    상기 중간 지지부는, 그 중간 위치 및 개구부 측에서 상기 조작관과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벌룬 설치부는, 그 양단에 있는 제1 벌룬 설치 부재 및 제2 벌룬 설치 부재와, 중간 위치에 있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 보다 선단 측이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상기 조작관은 상기 중간 지지부의 상기 벌룬 설치부에 인접하는 측과의 고정부에서 구부러질 수 있고,
    상기 제1 벌룬 설치 부재 및 상기 제2 벌룬 설치 부재는, 상기 벌룬을 기밀하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이고, 또한, 상기 제1 벌룬 설치 부재 또는 상기 제2 벌룬 설치 부재 중 적어도 한쪽은 축 방향으로 가동하며,
    상기 조작관의 내부에는 상기 벌룬으로 불활성 가스를 외부로부터 공급하고, 상기 벌룬으로부터 불활성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관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벌룬은,
    내막과 보강 기재과 외막을 구비하고, 그 양단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원통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이며, 개구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내부에 불활성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팽창하고,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의 재질은 내한성 고무이고,
    상기 보강 기재는 섬유 다발로 구성되어 있고, 망사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보강 기재는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막과 상기 외막의 재질이 실리콘 고무이며,
    상기 보강 기재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다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망사형 구조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다발이 천축 뜨개질로 짜여진 망사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KR1020207009903A 2018-08-23 2019-03-26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 및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KR102352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56135A JP6450495B1 (ja) 2018-08-23 2018-08-23 ベント配管閉塞用器具
JPJP-P-2018-156135 2018-08-23
PCT/JP2019/012920 WO2020039637A1 (ja) 2018-08-23 2019-03-26 液化ガス貯留タンクのベント配管閉塞用バルーン及びベント配管閉塞用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1728A KR20200051728A (ko) 2020-05-13
KR102352877B1 true KR102352877B1 (ko) 2022-01-19

Family

ID=64960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9903A KR102352877B1 (ko) 2018-08-23 2019-03-26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 및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72970B2 (ko)
EP (1) EP3696460B1 (ko)
JP (1) JP6450495B1 (ko)
KR (1) KR102352877B1 (ko)
CN (1) CN111902667B (ko)
WO (1) WO20200396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831B1 (ko) * 2020-04-07 2022-03-30 현대건설(주) 이물질 유입 방지용 배관 차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절단 방법
IL276310A (en) * 2020-07-27 2022-02-01 Eldar Hen Apparatus for diagnosing sewage pipe leak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7825A1 (en) 2000-05-23 2001-12-06 Williams Joe L. Pressure flow stop
JP2006170366A (ja) 2004-12-17 2006-06-29 Osaka Gas Co Ltd 管内閉塞用バッグ
JP2017009099A (ja) 2015-06-26 2017-01-12 株式会社水研 流路閉塞用のバッグ
JP2017057996A (ja) 2015-09-18 2017-03-23 クロダイト工業株式会社 遮断装置用エアバッグ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3307A (en) * 1933-08-07 1935-03-05 Mentor D Nicholson Test plug
US3211574A (en) * 1962-08-16 1965-10-12 Bonded Products Inc Remote plastic lining of pipe angle
US3607361A (en) * 1968-11-15 1971-09-21 Bonded Products Inc Balloon backing for pipe lining
US3842864A (en) * 1971-10-29 1974-10-22 American Gas Ass Stopping apparatus for pipe lines
JPS515607A (ko) * 1974-07-05 1976-01-17 Koichi Sasaki
US4079755A (en) * 1976-05-04 1978-03-21 Lans Gerald J V D Inflatable pipe plug
US4291727A (en) * 1979-02-28 1981-09-29 Institute Of Gas Technology Pipeline flow restrictor and process
JPS5945394U (ja) 1982-09-20 1984-03-26 東京瓦斯株式会社 ガス遮断用ガスバツグ
JPS63130991A (ja) 1986-11-19 1988-06-03 大阪瓦斯株式会社 流体導管遮断用バツグ
JPS6423031U (ko) 1987-07-29 1989-02-07
GB2257766B (en) * 1988-12-23 1993-08-04 British Gas Plc Obturating device
JP2771896B2 (ja) * 1990-11-15 1998-07-02 東京瓦斯株式会社 管路をその内面から部分補修する装置
BE1008360A3 (fr) * 1994-04-22 1996-04-02 Polva Pipelife Bv Dispositif pour l'obturation d'une tuyauterie.
JPH10101191A (ja) * 1996-09-26 1998-04-2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低温タンク
JP3041014U (ja) 1997-02-28 1997-09-05 西部瓦斯株式会社 ガスバッグ
US6263896B1 (en) * 2000-05-23 2001-07-24 Joe L. Williams Pressure flow stop
JP4785291B2 (ja) * 2001-07-31 2011-10-05 東京瓦斯株式会社 管路の閉鎖具
EP1365182A1 (en) * 2002-05-21 2003-11-26 Keld Saxenfelt An inflatable, flexible device
JP2006207656A (ja) * 2005-01-26 2006-08-10 Osaka Gas Co Ltd 流体導管遮断具
JP5316302B2 (ja) * 2008-08-13 2013-10-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クロロシラン液の収納容器及びこの収納容器用閉止蓋
JP5241873B2 (ja) * 2011-03-23 2013-07-17 東京瓦斯株式会社 管路の閉鎖具及び閉鎖方法
WO2013085866A1 (en) * 2011-12-06 2013-06-13 Saudi Arabian Oil Company Block valve isolation inflatable tool
JP2013130244A (ja) * 2011-12-21 2013-07-04 Taisei Kiko Co Ltd 流路閉塞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た流路閉塞システム及び流路閉塞方法
JP2014079772A (ja) * 2012-10-15 2014-05-08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ックシール装置
US20150073064A1 (en) 2013-09-12 2015-03-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Highly crystalline and frothed polyolefin foam
JP2016056905A (ja) * 2014-09-11 2016-04-21 株式会社Ihi 既設配管の二重閉止方法と装置
CN106032866B (zh) * 2015-03-18 2019-08-30 株式会社水道技术开发机构 不断流式的流路闭塞装置
KR101953174B1 (ko) 2015-07-15 2019-0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색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1845228B1 (ko) 2015-11-18 2018-04-04 정경균 버티컬식 수경재배장치
US20170368807A1 (en) * 2016-06-28 2017-12-28 Toray Plastics (America), Inc. Formable polyester films
CN206246919U (zh) * 2016-12-06 2017-06-13 中水电四局南方(珠海)工程有限公司 管道用充气封堵装置
CN107906298A (zh) * 2017-12-06 2018-04-13 苏州市燃气设备阀门制造有限公司 管道封堵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7825A1 (en) 2000-05-23 2001-12-06 Williams Joe L. Pressure flow stop
JP2006170366A (ja) 2004-12-17 2006-06-29 Osaka Gas Co Ltd 管内閉塞用バッグ
JP2017009099A (ja) 2015-06-26 2017-01-12 株式会社水研 流路閉塞用のバッグ
JP2017057996A (ja) 2015-09-18 2017-03-23 クロダイト工業株式会社 遮断装置用エア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6460B1 (en) 2023-09-13
CN111902667A (zh) 2020-11-06
KR20200051728A (ko) 2020-05-13
EP3696460A1 (en) 2020-08-19
JP2020029918A (ja) 2020-02-27
EP3696460A4 (en) 2021-04-28
WO2020039637A1 (ja) 2020-02-27
CN111902667B (zh) 2023-07-07
US20200332939A1 (en) 2020-10-22
US11572970B2 (en) 2023-02-07
JP6450495B1 (ja) 201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2877B1 (ko) 액화 가스 저장 탱크의 벤트 배관 폐색용 벌룬 및 벤트 배관 폐색용 기구
US9846109B2 (en) Fluid sampling
US6899138B2 (en) Flexible emergency gas pipeline plug
KR102478330B1 (ko) 압력 용기 돔 배기구
CN106536381A (zh) 气体储存结构及制造方法
US10989349B2 (en) Length-adjustable device for curing a tubular liner
KR20130076340A (ko) 화물창용 단열박스의 강도시험장치 및 방법
JP6457694B1 (ja) 液化ガス貯留タンクのベント配管閉塞用バルーン
KR20200039723A (ko) 가스 돔 구조체를 포함하는 밀봉되고 단열된 탱크
CN106764235A (zh) 快速柔性管道在线防漏装置及使用方法
WO2011121330A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ipeline repair
JP3573660B2 (ja) 管内ライニング工法
KR102363340B1 (ko) 삼중 극저온 유체이송관
US20230202125A1 (en) Device for stabilizing localized dome reinforcement
US20100101152A1 (en) Fascines
KR101931527B1 (ko) 향상된 내구성과 복원력을 가지는 복합호스
KR102665931B1 (ko) 유체 샘플링
KR20080061159A (ko) Lng선 재액화장치의 압력테스트 방법
KR101749360B1 (ko) Lng선의 액화가스 배출구조
JP4662857B2 (ja) ガス遮断装置及びガス遮断方法
RU22176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аза под давлением
WO2023121880A2 (en) Device for stabilizing localized dome reinforcement
WO2004055425A1 (en) A method of sealing a pipeline
CN117189989A (zh) 一种安全气囊及管道封堵装置
KR20080091585A (ko) 저압용 배관 차단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