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012B1 -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012B1
KR102351012B1 KR1020210084487A KR20210084487A KR102351012B1 KR 102351012 B1 KR102351012 B1 KR 102351012B1 KR 1020210084487 A KR1020210084487 A KR 1020210084487A KR 20210084487 A KR20210084487 A KR 20210084487A KR 102351012 B1 KR102351012 B1 KR 102351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bolt
piston
valve
room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조은삶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조은삶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조은삶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23L3/015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using sub- or super-atmospheric pressures, or pressure variations transmitted by a liquid or g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쓴맛을 내는 물질들인 진세노사이드들은 캡슐이나 타블렛으로 섭취하고, 인삼본연의 향기성분은 세포수를 이용하여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토경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4~6주간 수경재배하는 단계; (b) 상기 수경재배한 수삼(100)을 상온 진공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진공 상태 및 20~35℃의 상온에서 건조인삼과 세포수(222)를 분리하여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건조인삼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쓴맛물질들인 진세노사이드들은 캡슐이나 타블렛으로 섭취하고, 인삼본연의 향기성분은 세포수로 하여, 인삼의 기능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인삼향을 얻음으로써, 인삼의 쓴맛을 기피하는 사람도 용이하게 인삼본연의 향을 즐기며, 그 성분을 섭취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RIED GINSENG AND CELL WATER}
본 발명은 수삼으로부터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분리하는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특히 상온 진공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따로 분리하여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예로부터 기력을 회복하는데 있어서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하여 현재까지도 널리 복용하는 건강식품이 되고 있다.
인삼의 사포닌 성분과 비사포닌 물질 중에는 여러 종류의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활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고콜레스테롤 저하작용,혈소판 응집 억제작용,항산화활성 및 피부암진전 억제작용이 있다고 한다. 이 외에도 다당체 성분은 항당뇨작용, 면역 증강 작용, 항위궤양 작용, 비만 및 고지혈증 예방작용,지방분해 및 식욕조절작용 등이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인삼의 쓴 맛때문에 인삼 복용을 꺼려하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일반적인 추출, 건조, 가공, 음용방법으로는 인삼의 세포수를 취할 수 없고, 그냥 버려지는 것이 현실이다.
다만 홍삼향들을 추출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나, 인삼 자체의 세포수가 아니고, 인삼을 찌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향기라서, 살아 있는 인삼 세포수와는 전혀 다른 성분이다.
한편으로는 인삼이 토양 한곳에서 오랜기간 재배되는 경우, 토양의 오염물질들이 그대로 인삼에 남아 있을 수 있다. 특히 중국산의 경우, 중금속이나 특정균들로 오염된 산들이 많아서, 거기서 생산되는 약초에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나아가 토경 재배 인삼의 경우, 다양한 농약들을 살포해야하기에, 살서제, 살충제, 살균제, 제초 등을 처리해야 하기에, 특히 인삼이 잎이나 줄기 등의 열매를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4581호의 "산양삼 증류추출물을 포함하는 심신 안정용 조성물"에서는, 산양삼에 대한 2차 대사산물인 휘발성 성분(방향족화합물)을 이용한 기술과 심신안정 및 긴장 완화의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향료 소재로서 향수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증류를 이용할 뿐 상온에서의 인삼 세포수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인삼 세로수가 갖는 인삼향기 성분, 면역 성분 등을 온전히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4581호의 "산양삼 증류추출물을 포함하는 심신 안정용 조성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쓴맛을 내는 물질들인 진세노사이드들은 캡슐이나 타블렛으로 섭취하고, 인삼본연의 향기성분은 세포수를 이용하여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일차적으로 상온 진공 건조기술을 적용하여, 인삼세포수를 생산하고, 가열 가공기능으로 건조인삼의 기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기능이 있는 수경재배시스템에서 인삼을 재배함으로, 중금속, 오염미생물 등의오염물질들을 제거하고, 또 오염미생물들을 살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수삼을 세정, 살균 처리기능이 있는 양액재배시스템에서 4주간 재배 세척 세정함으로써, 필요한 시기에, 인삼이 지상부를 원하는 대로 수확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토경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4~6주간 수경재배하는 단계; (b) 상기 수경재배한 수삼(100)을 상온 진공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진공 상태 및 20~35℃의 상온에서 건조인삼과 세포수(222)를 분리하여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건조인삼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특히 상기 상온 진공건조 장치는, 수삼(100)을 담는 수삼용기(301); 상면이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고 중심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피스톤홀(310)이 형성되며 하면은 상방으로 원기둥 형태로 움푹 들어간 너트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312)가 형성된 피스톤(303); 상기 피스톤(303)이 내부에서 상하운동하도록 수용하는 실린더(305); 일단은 상기 수삼용기(301)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305)의 상면에 연결되며 중간에 열교환기를 구비한 응결관(307); 측면에 톱니기어(322)가 형성된 원판(324)과 원판(324)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원기둥 형태로 돌출하되 외주면에 볼트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326)로 구성되고, 볼트부(326)의 상면은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고 중심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볼트기어홀(328)이 형성된 볼트기어(309); 상기 톱니기어(322)에 기어결합하여 상기 볼트기어(309)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11); 상기 볼트기어홀(328)의 하단에 연결되고 입구쪽에 차례로 개폐밸브(910) 및 진공발생기(930)가 구비되며 바닥모서리에 바닥전극(950)과 내측벽에 측면전극(970)이 구비되며, 바닥모서리의 일측에는 외부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배출밸브(990)가 구비된 전극용기(900); 및, 상기 회전모터(311), 열교환기, 개폐밸브(910) 및 진공발생기(930)를 제어하며 상기 바닥전극(950)과 측면전극(970)이 통전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배출밸브(990)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부(326)가 너트부(31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회전모터(311)에 의하여 볼트기어(309)가 회전하면 피스톤(303)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단계 (b)는, 보다 구체적으로 수삼(100)을 수삼용기(301)에 담고 개폐밸브(910)를 여는 단계; 상기 진공발생기(930)로 수삼용기(301), 응결관(307) 및 실린더(305) 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단계; 상기 개폐밸브(910)를 잠그는 단계; 상기 회전모터(311)를 회전시켜 피스톤(303)을 하방으로 인출하는 단계; 상기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응결관(307)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단계; 상기 개폐밸브(910)를 여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바닥전극(950)과 측면전극(970)이 통전되는지를 감지하면 배출밸브(990)를 열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쓴맛물질들인 진세노사이드들은 캡슐이나 타블렛으로 섭취하고, 인삼본연의 향기성분은 세포수로 하여, 인삼의 기능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인삼향을 얻음으로써, 인삼의 쓴맛을 기피하는 사람도 용이하게 인삼본연의 향을 즐기며, 그 성분을 섭취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인삼 내에 들어있는 세포수와 함께, 상온 진공건조 인삼을 섭취함으로써 용해도 흡수율이 증진되고, 사포닌의 면역기능성이 증진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하지 않고도 상온 진공 건조기술을 적용하여, 인삼세포수를 생산하고, 가열 가공함으로써 건조인삼의 기능성을 유지확보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인삼을 세정기능이 있는 수경재배시스템에서 재배함으로, 오염물질들을 제거하고, 또 오염미생물들을 살균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삼을 세정, 살균 처리기능이 있는 양액재배시스템에서 4주간 재배 세척 세정함으로써, 필요한 시기에, 인삼이 지상부를 원하는 대로 수확할 수 있게 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온진공건조 기술로 만들어진 인삼은 기존 기술인 증류추출에 의해 열이 가해진 인삼과 달리, 조직이 진공에 의해 건조되면서, 작은 구멍들이 생성되어, 추출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열처리나 수증기 또는 물첨가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증기 증류시 물과의 반응이라든지 열에의한 향기성분 손실이 없습니다. 열손상되지 않고, 또는 수증기나 물처리로 변성되지 않은 성분들을 세포수로 획득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종래에 사용되는 증류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의 피스톤을 나타낸 하측 사시도, 상측 사시도 및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의 볼트기어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의 볼트기어, 피스톤 및 실린더의 압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의 볼트기어, 피스톤 및 실린더의 인출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의 전극용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가 작동하는 순서도.
도 1은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먼저, (a) 토경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4~6주간 수경재배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 단계는 수경재배를 통해 토경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세척하고 또 지상부와 기능이 증진된 인삼을 이용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b) 상기 수경재배한 수삼(100)을 상온 진공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진공 상태 및 20~35℃의 상온에서 건조인삼과 세포수(222)를 분리하여 획득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로써 종래의 증류방식이 아니라 상온 진공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진공상태에서 원물이 가진 순수한 수분인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킴으로써 세포수(222)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상온 진공건조를 통해 세포 내와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고, 공극간에 연결로 작은 물길이 형성되어 용해도와 흡수율이 증진되는 세포수(222)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세로수(222)란, 상기와 같이 수삼(100)으로부터 증발하여 추출된 휘발성 물질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진공상태 내부에는 수삼(100)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건조인삼을 제외하면 남는 것은 세포수(222)라는 물질일 수밖에 없다.
인삼 세포수에는 50여가지의 활성성분인 세스퀴터펜류 29개, 모노터펜류 6개, 아로마틱카본류 5개, 알데히드류 5개, 알콜류 4개, 피라진류 2개, 케톤류 2개, 에스터류 1개 등과, 6가지의 인삼향기 특성성분으로서 항염증, 항진통, 항우울, 항알콜작용을 하는 베타(β) 카리오필렌(caryophyllene)과, 인삼에 신선한 느낌 부여하고 달콤한 향을 주는 알파(α) 피넨(pinene) 및 베타(β) 미르센(myrcene)과, 솔잎냄새가 나는 베타(β) 피넨, 인삼의 특징적인 향을 내는 2-메톡시(methoxy)-3-이소프로필피라진(isopropylpyrazine)과 메티오날(methional)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인삼 세포수는 수경재배를 통한 어린 싹에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세포수의 향기성분들과 미량성분들이 향기효과로 인삼 성분들의 면역력 효과를 증진시킨다. 나아가 스트레스 해소, 면역력 증진, 강장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수경재배 수삼(100)을 건조한 건조인삼분말과 세포수(222)를 함께 섭취함으로써 인삼의 향과 미량성분들을 함께 섭취함으로써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c) 상기 건조인삼을 분말화하는 단계를 진행하여, 건조인삼 분말과 세포수(222)를 함께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기능이 증진되고 생이용성과 흡수율, 용해도가 증진된 인삼을 인삼 본연의 인삼 세포수(222)와 함께 섭취함으로써, 면역기능증진과 인삼향을 통한 기능증진 효과를 함께 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종래에 사용되는 증류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수삼(100)을 물(W)에 넣고 가열하여 인삼성분이 함유된 수증기(210)를 모아 열교환기(220)를 거쳐 추출물(C)을 얻는다. 이러한 증류법은 인삼 본연의 세포수(222)를 추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100℃의 가공온도 및 추출 매체(물이나 알코올)의 영향을 많이 받는 문제가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300)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온 진공건조장치(300)는, 수삼(100)을 담는 수삼용기(301), 피스톤(303), 실린더(305), 응결관(307), 볼트기어(309) 및 회전모터(311)를 포함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각각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222)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300)의 피스톤(303)을 나타낸 하측 사시도, 상측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에서 보듯이, 피스톤(303)은, 상면이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고 중심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피스톤홀(310)이 형성되며 하면은 상방으로 원기둥 형태로 움푹 들어간 너트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응결관(307)에서 응결된 세포수(222)가 피스톤홀(310)을 통해 피스톤(303)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떨어진다.
한편 실린더(305)는 상기 피스톤(303)이 내부에서 상하운동하도록 수용한다. 피스톤(303)이 실린더(305) 내주면을 밀착하여 움직이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응결관(307)이 있어서, 일단은 상기 수삼용기(301)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305)의 상면에 연결되며 중간에 열교환기(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기화된 세포수(222)의 응결온도를 낮추어 용이하게 응결을 유도한다. 한편 열교환기와 수삼용기(301) 사이에 체크밸브(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기화된 세포수(222)가 열교환기 쪽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이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222)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300)의 볼트기어(309)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여기서 볼트기어(309)는, 측면에 톱니기어(322)가 형성된 원판(324)과 원판(324)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원기둥 형태로 돌출하되 외주면에 볼트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326)로 구성되고, 볼트부(326)의 상면은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고 중심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볼트기어홀(32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볼트부(326)의 하측 외주면에는 베어링이 닿아 회전할 수 있도록 볼트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베어링면(329)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베어링면(329)에 베어링(344)이 접촉하여 원활하게 볼트기어(309)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222)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300)의 볼트기어(309), 피스톤(303) 및 실린더(305)의 압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222)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300)의 볼트기어(309), 피스톤(303) 및 실린더(305)의 인출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보듯이, 회전모터(311)에 의해 기어결합하는 톱니기어(322)가 회전함에 따라 볼트기어(309)와 나사결합하고 있는 피스톤(303)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방으로 이동하면 압축, 하방으로 이동하면 인출이 된다. 특히 인출되는 경우 내부 압력이 낮아져 분자간의 결합력을 약화시켜 상온에서도 쉽게 기화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압축하는 경우에는 응결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300)의 전극용기(900)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전극용기(900)는, 상기 볼트기어홀(328)의 하단에 연결되고 입구쪽에 차례로 개폐밸브(910) 및 진공발생기(930)가 구비되며 바닥모서리에 바닥전극(950)과 내측벽에 측면전극(970)이 구비되며, 바닥모서리의 일측에는 외부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배출밸브(99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진공발생기(930)는 고속의 공기 또는 물의 흐름으로 진공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온 진공상태에서의 추출은 고체와 액체를 효율적으로 분리 및 회수가 가능케 하고, 분리 시 단백질, 지방 및 비타민이 변질되지 않아 식품가공 및 기능성 성분 추출 등의 용도에 적합하다. 나아가 건조시간도 잘ㅂ고 비용도 저렴하다. 무엇보다 상온상태에서 고체와 액체의 분리로 원물의 100%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999)가, 상기 회전모터(311), 열교환기, 개폐밸브(910) 및 진공발생기(930)를 제어하며 상기 바닥전극(950)과 측면전극(970)이 통전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배출밸브(990)를 개폐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상기 볼트부(326)가 너트부(31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회전모터(311)에 의하여 볼트기어(309)가 회전하면 피스톤(303)이 상하로 움직이는 작용을 하여, 수삼용기(301), 응결관(307), 실린더(305)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피스톤(303)을 인출함으로써 내부 압력을 낮춤으로써 분자간의 인력을 작게 하여 증발을 용이하게 한다. 또는 피스톤(303)을 압축함으로써 내부 압력을 높여 응결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방식으로 추출이 불가능한 천연 물질을 추출할 수 있다. 즉 저분자 및 휘발성 천연물질 추출이 가능하고 양적, 질적으로 우수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추출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천연물 추출이 가능하다. 나아가 방부제가 필요없는 천연물 제품이 가능하여 보관 및 위생에 유리하고 양이온성이 강해 피부에 흡수가 잘되는 효과가 있다. 또 다양한 천연물질 양산에 성공적이어서 가공시간 단축, 운용비 최소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건조인삼과 세포수(222)를 제조하는 방법에 사용되는 상온 진공건조장치(300)가 작동하는 순서도이다.
먼저, 수삼(100)을 수삼용기(301)에 담고 개폐밸브(910)를 여는 단계(S81)를 진행한다. 개폐밸브(910)를 열어 추후 진공발생기(930)로 진공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진공발생기(930)로 수삼용기(301), 응결관(307) 및 실린더(305) 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단계(S82)를 진행한다. 진공에 의하여 수삼(100)의 세포수(222)가 용이하게 기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밸브(910)를 잠그는 단계(S83)를 진행한다. 추후 피스톤(303)을 하방으로 인출하여 압력을 낮추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모터(311)를 회전시켜 피스톤(303)을 하방으로 인출하는 단계(S84)를 진행함으로써 내압을 낮춘다.
다음으로, 상기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응결관(307)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단계(S85)를 진행하여 응결을 유도한다. 세포수(222)가 응결되면 피스톤홀(310)과 볼트기어홀(328)을 통해 하방으로 흘러내려간다.
다음으로, 어느 정도 세포수(222)가 모이면 상기 개폐밸브(910)를 여는 단계(S86)를 진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가 바닥전극(950)과 측면전극(970)이 통전되는지를 감지하면 배출밸브(990)를 열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87)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양의 세포수(222)를 얻을 수 있다.
100: 수삼
222: 세포수
300: 상온 진공건조장치
301: 수삼용기
303: 피스톤
305: 실린더
307: 응결관
309: 볼트기어
310: 피스톤홀
311: 회전모터
312: 너트부
322: 톱니기어
324: 원판
326: 볼트부
328: 볼트기어홀
329: 베어링면
344: 베어링
900: 전극용기
910: 개폐밸브
930: 진공발생기
950: 바닥전극
970: 측면전극
990: 배출밸브

Claims (2)

  1. (a) 토경인삼 또는 산양산삼을 4~6주간 수경재배하는 단계(S10);
    (b) 상기 수경재배한 수삼(100)을 상온 진공건조 장치를 이용하여 진공 상태 및 20~35℃의 상온에서 건조인삼과 세포수(222)를 분리하여 획득하는 단계(S20);
    (c) 상기 건조인삼을 분말화하는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상온 진공건조 장치는,
    수삼(100)을 담는 수삼용기(301);
    상면이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고 중심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피스톤홀(310)이 형성되며 하면은 상방으로 원기둥 형태로 움푹 들어간 너트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312)가 형성된 피스톤(303);
    상기 피스톤(303)이 내부에서 상하운동하도록 수용하는 실린더(305);
    일단은 상기 수삼용기(301)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305)의 상면에 연결되며 중간에 열교환기를 구비한 응결관(307);
    측면에 톱니기어(322)가 형성된 원판(324)과 원판(324)의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원기둥 형태로 돌출하되 외주면에 볼트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326)로 구성되고, 볼트부(326)의 상면은 중심부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고 중심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볼트기어홀(328)이 형성된 볼트기어(309);
    상기 톱니기어(322)에 기어결합하여 상기 볼트기어(309)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11);
    상기 볼트기어홀(328)의 하단에 연결되고 입구쪽에 차례로 개폐밸브(910) 및 진공발생기(930)가 구비되며 바닥모서리에 바닥전극(950)과 내측벽에 측면전극(970)이 구비되며, 바닥모서리의 일측에는 외부로 내용물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배출밸브(990)가 구비된 전극용기(900); 및,
    상기 회전모터(311), 열교환기, 개폐밸브(910) 및 진공발생기(930)를 제어하며 상기 바닥전극(950)과 측면전극(970)이 통전되는지를 감지하여 상기 배출밸브(990)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볼트부(326)가 너트부(312)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회전모터(311)에 의하여 볼트기어(309)가 회전하면 피스톤(303)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b)는,
    수삼(100)을 수삼용기(301)에 담고 개폐밸브(910)를 여는 단계(S81);
    상기 진공발생기(930)로 수삼용기(301), 응결관(307) 및 실린더(305) 내부를 진공으로 만드는 단계(S82);
    상기 개폐밸브(910)를 잠그는 단계(S83);
    상기 회전모터(311)를 회전시켜 피스톤(303)을 하방으로 인출하는 단계(S84);
    상기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응결관(307)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단계(S85);
    상기 개폐밸브(910)를 여는 단계(S86); 및,
    상기 제어부가 바닥전극(950)과 측면전극(970)이 통전되는지를 감지하면 배출밸브(990)를 열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87);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10084487A 2021-06-29 2021-06-29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 KR102351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87A KR102351012B1 (ko) 2021-06-29 2021-06-29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4487A KR102351012B1 (ko) 2021-06-29 2021-06-29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012B1 true KR102351012B1 (ko) 2022-02-09

Family

ID=8026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4487A KR102351012B1 (ko) 2021-06-29 2021-06-29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01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461B1 (ko) * 2006-02-28 2007-05-30 한국해양연구원 유용물질추출용 복합진공동결건조기
KR101729581B1 (ko) * 2015-11-04 2017-04-26 주식회사 벡스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KR20190024203A (ko) * 2017-08-31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상온 진공건조공법으로 얻은 인삼 응축수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103561A (ko) * 2018-02-27 2019-09-05 한국식품연구원 저온진공 건조 방식의 전처리를 통해 수삼 고유성분의 추출이 대폭 증진된 수삼주의 제조 방법
KR102124581B1 (ko) 2018-11-21 2020-06-18 주식회사 자연애 바이오랩 농업회사법인 산양삼 증류추출물을 포함하는 심신 안정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461B1 (ko) * 2006-02-28 2007-05-30 한국해양연구원 유용물질추출용 복합진공동결건조기
KR101729581B1 (ko) * 2015-11-04 2017-04-26 주식회사 벡스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KR20190024203A (ko) * 2017-08-31 2019-03-08 (주)아모레퍼시픽 상온 진공건조공법으로 얻은 인삼 응축수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90103561A (ko) * 2018-02-27 2019-09-05 한국식품연구원 저온진공 건조 방식의 전처리를 통해 수삼 고유성분의 추출이 대폭 증진된 수삼주의 제조 방법
KR102124581B1 (ko) 2018-11-21 2020-06-18 주식회사 자연애 바이오랩 농업회사법인 산양삼 증류추출물을 포함하는 심신 안정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2353B1 (ko) 홍삼 추출물 및 약초 발효물을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및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
CN101536968A (zh) 玫瑰鲜花细胞液及其制备方法
CN205925061U (zh) 植物精华提取机
CN109105481A (zh) 一种柑橘的保鲜方法
CN105994412A (zh) 一种防治黑加仑透羽蛾虫害的杀虫剂
KR102351012B1 (ko)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
KR101723517B1 (ko) 한방국화차 제조방법
CN104336207A (zh) 一种艾叶甜茶及其制备方法
CN110100875A (zh) 一种猪肉保鲜剂及猪肉的保鲜方法
CN115736052A (zh) 一种陈皮蛹虫草普洱茶及其制备方法
CN109169868A (zh) 一种芒果的保鲜方法
KR101735164B1 (ko) 파우치를 이용한 동결건조된 건해삼과 소스 혼합방법
CN107987968A (zh) 一种用于提取香精加工使用的芳香油加工工艺
KR100568090B1 (ko) 어성초 발효 음료 조성물
CN107669775B (zh) 一种炮制枳壳的新方法
CN106365969A (zh) 一种葛缕酮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5462789A (zh) 一种牛大力保健酒
CN113693085A (zh) 一种马齿苋细胞水的提取方法及得到的马齿苋细胞水的应用
CN106038655A (zh) 一种芜菁挥发油的制备方法及其抗菌应用
CN107951777A (zh) 一种地肤子祛屑剂的制备
KR101943521B1 (ko)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
CN115590898A (zh) 一种用于填充液体香囊的抑菌醇露
Morro Pérez Distillation and extraction of herbs from Lamiaceae family
Dhiman et al. Marjoram (Origanum majorana): An essential oil with potential pharmacological properties and health benefits
JP5509495B2 (ja) 植物抽出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