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581B1 -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581B1
KR101729581B1 KR1020150154792A KR20150154792A KR101729581B1 KR 101729581 B1 KR101729581 B1 KR 101729581B1 KR 1020150154792 A KR1020150154792 A KR 1020150154792A KR 20150154792 A KR20150154792 A KR 20150154792A KR 101729581 B1 KR101729581 B1 KR 101729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rying
pipe
evaporator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4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재경
이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벡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벡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벡스코
Priority to KR1020150154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2Velocity of flow; Quantity of flow, e.g. by varying fan speed, by modifying cross flow are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F26B23/002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 F26B23/004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recovered from dryer exhaust gases by compressing and condensing vapour in exhaust gases, i.e. using an open cycle heat pump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조 대상물이 수용되는 건조공간; 상기 건조공간의 공기가 일 측으로 배출되어 타 측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건조공기 배관; 상기 건조공기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공간의 공기의 배출 및 공급을 구동하는 진공 펌프; 상기 건조공기 배관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 펌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배관; 및 상기 진공 펌프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제습하며, 상기 진공 펌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 건조하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를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VACUUM DRYING SYSTEM FOR AGRO-FISHERY PRODUCTS}
본 개시(Disclosure)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 사이클 및 진공펌프를 이용한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산지에서 수확한 벼, 보리 등의 농산물이나 어촌에서 어획된 생선 등의 수산물은 많은 수분 함량을 갖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도달하기까지의 보관 및 운송을 위해서는 건조가 필수적이다.
즉, 각종 농수산물은 미생물의 증식이 용이하고 쉽게 부패되므로, 이러한 농수산물의 보존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농수산물을 일정 온도, 일정 시간으로 건조 가공해야 한다.
보통 소량의 농수산물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는 대부분 일정구역에 망체로 형성된 건조대를 설치한 후, 이렇게 설치한 건조대에 각종 농수산물을 진열하여 햇빛과 바람으로 자연 건조 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자연 건조방법은 많은 점유면적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건조속도가 매우 느리고, 특히 눈이나 비가 내릴 경우에 농수산물을 신속하게 거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른 방식으로, 전기히터 방식이나, 가스버너 방식의 건조기로서, 전기나 기름을 사용하여 내부의 온도를 상승 및 건조물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분이 기화되는 현상을 유도하고, 공기 중에 수증기가 형성이 되면 상부의 환기구를 열어 수분을 외부로 방출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수분을 외부로 방출하는 과정에서 수분뿐만이 아니라 내부의 열원까지도 외부로 방출되어,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방식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071808호는, 응축기의 뜨거운 열원을 사용하여 가열한 공기를 건조실 내부로 공급하고, 증발기를 사용하여 건조실 내부에서 건조를 수행하고 나오는 공기의 수분을 냉각 제습 및 대수평균온도차에 의한 2차 제습을 구현할 수 있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한 공기 순환 방식의 제습 건조기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압축기 정지 운전 시에는 송풍기만을 가동하여 가열된 공기를 건조실 내부로 순환시키는데, 이때 순환하는 공기는 상당히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어 포화 수증기의 양이 크게 증가된 상태여서 제습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축기를 가동 시에는 순환되는 공기는 작동 중인 응축기를 항시 경유하여 건조실 내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건조실 내부의 온도가 상온에서 설정 온도까지의 온도 범위로만 운전되는 한계로 인해 농수산물을 상온보다 낮은 온도로 저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071808호
본 개시는, 진공펌프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건조에 활용할 수 있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설정된 진공도를 가진 건조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건조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개시는, 건조 대상물이 수용되는 건조공간; 상기 건조공간의 공기가 일 측으로 배출되어 타 측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건조공기 배관; 상기 건조공기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공간의 공기의 배출 및 공급을 구동하는 진공 펌프; 상기 건조공기 배관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 펌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배관; 및 상기 진공 펌프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제습하며, 상기 진공 펌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 건조하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를 제1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1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냉각 시스템은, 상기 진공 펌프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제습하도록 배치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 펌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밸브;를 순차로 냉매가 순환하도록 배관 연결되어 구비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을 제2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2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출 배관은,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으로서, 상기 응축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지나는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을 제3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3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조공간의 진공도를 감지하는 압력계; 및 상기 배출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압력계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을 제4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4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으로서, 상기 배출 배관과 상기 건조공간을 연결하는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공기 배관을 개폐하는 제2 밸브;를 가지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을 제5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4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으로서, 상기 건조공간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 제습되도록 공급되는 공기가 지나는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며, 외부로는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유입 배관;을 가지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을 제6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6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입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3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밸브는 상기 압력계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을 제7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6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증발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건조공기 배관을 지나는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 된 후 배출되는 제1 열교환 영역; 및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으로 생성되는 응축수가 상기 제1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응축수 배출부;를 가지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을 제8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는, 상기 제8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응축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건조공기 배관을 지나는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 된 후 배출되는 제2 열교환 영역;을 가지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을 제9 발명으로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건조공기 배관에 구비된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건조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동시에, 배출 배관 및 유입 배관을 이용하여 건조공간의 진공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조공기의 순환을 위해 별도의 송풍기가 구비될 필요성이 없다.
본 개시에 따르면,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건조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므로 진공펌프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건조에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응축수 배출부에 의해 증발기와 열교환으로 생성되는 응축수가 상기 제1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중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연속적인 응축수 배출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개시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을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개시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실시 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개시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의 일 실시형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100)은, 건조공간(110), 건조공기 배관(120), 진공 펌프(130), 배출 배관(140) 및 냉각 시스템(150)을 가진다.
건조공간(110)은, 건조 대상물인 농수산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한 그 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
건조공간(110)은, 내부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의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해, 건조 공기가 내부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을 순차로 지나도록 유도하는 판 형태의 유동 가이드가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건조공기 배관(120)은, 건조공간(110)의 공기가 일 측으로 배출되어 타 측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건조공간(110)의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 펌프(130)는, 건조공기 배관(120)에 구비되어 건조공간(110)의 공기의 배출 및 공급을 구동한다.
즉, 건조공기 배관(120)으로의 공기 흐름을 유도하게 된다.
배출 배관(140)은, 건조공기 배관(120)에 구비되며, 진공 펌프(13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진공 펌프(130) 및 배출 배관(140)에 의해 건조공간(110)의 내부는 설정된 진공도를 가지도록 조절되게 된다.
한편, 냉각 시스템(150)은, 진공 펌프(130)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제습하며, 진공 펌프(13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 건조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냉각 시스템(150)은, 건조공간(11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는 건조공간(110)에 수용된 건조 대상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 되는 습기를 포함하는데, 이를 냉각 제습하게 되고, 건조공간(110)으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건조하게 된다.
냉각 시스템(150)은, 진공 펌프(130)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제습하도록 배치되는 증발기(151), 증발기(151)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52), 압축기(152)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진공 펌프(13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응축기(153) 및 응축기(153)와 증발기(151)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밸브(154)를 순차로 냉매가 순환하도록 배관 연결되어 구비된다.
여기서, 증발기(151), 압축기(152), 응축기(153), 팽창밸브(154)와 이들을 연결하는 배관 각각은 공지의 제품 중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증발기(151)는 진공 펌프(130)로 유입되는 측의 건조공기 배관(120)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고, 응축기(153)는 진공 펌프(130)에서 배출되는 측의 건조공기 배관(120)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증발기(151)가 내부에 수용되는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건조공기 배관(120)을 지나는 공기가 공급되어 증발기(151)와 열교환 된 후 배출되는 제1 열교환 영역(16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응축기(153)가 내부에 수용되는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건조공기 배관(120)을 지나는 공기가 공급되어 응축기(153)와 열교환 된 후 배출되는 제2 열교환 영역(16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열교환 영역(161)은, 증발기(151)와 열교환으로 생성되는 응축수가 제1 열교환 영역(161)으로부터 외부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응축수 배출부(170)를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축수 배출부(170)는, 제1,2,3 응축수 배관(171,172,173), 제1 응축수 배관(171)에 의해 연통되는 응축수 포집함(174) 및 응축수 포집함(174)에 포집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LS)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3 응축수 배관(171,172,173)에는 각각 제1,2,3 배출제어밸브(171a,172a,173a)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응축수 배관(171)은 제1 열교환 영역(161)과 응축수 포집함(174)을 연통시키며, 제1 배출제어밸브(171a)는 제1 응축수 배관(17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제2 응축수 배관(172)은 제1 응축수 배관(171)의 일 측으로서 제1 배출제어밸브(171a)의 하류에 위치되는 제1 응축수 배관(171)의 일 측에서 분지 되며 말단은 대기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제2 배출제어밸브(172a)는, 제2 응축수 배관(172)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제3 응축수 배관(173)은 일단이 응축수 포집함(174)에 연통 되며, 타 단은 대기에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제3 배출제어밸브(173a)는, 제3 응축수 배관(173)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이에 의한, 응축수 배출부(170)의 응축수 배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 펌프(130)에 의해 진공상태가 되는 제1 열교환 영역(161)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포집함(174)으로 배출되도록 제1 배출제어밸브(171a)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제2,3 배출제어밸브(172a,173a)는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응축수 포집함(174)을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수위감지센서(LS)에 의해 응축수 포집함(174)에 포집된 응축수가 설정된 양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제1 배출제어밸브(171a)가 폐쇄되고, 제2 배출제어밸브(172a)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응축수 포집함(174) 내의 압력이 대기압과 동일한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제3 배출제어밸브(173a)가 개방되면서 응축수 포집함(174)에 포집된 응축수가 배출된다.
배출이 완료된 후, 제2,3 배출제어밸브(172a,173a)가 폐쇄되고, 제1 배출제어밸브(171a)가 개방되면서 응축수의 포집이 다시 수행되며, 위에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응축수 배출부(170)에 의해 응축수의 배출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배출 배관(140)은, 건조공기 배관(120)의 일 측으로서, 응축기(153)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지나는 건조공기 배관(120)의 일 측과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배출 배관(140)은, 응축기(153)와 열교환 후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하류에서 건조공기 배관(120)으로부터 분지 되어 구비된다.
배출 배관(140)은, 건조공간(110)의 진공도에 따라 건조공기 배관(120)을 흐르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건조공간(110)의 진공도를 감지하는 압력계(VG)와, 배출 배관(14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밸브(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밸브(141)는 압력계(VG)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어 건조공간(110)의 진공도를 설정된 수준으로 유지하게 된다.
더하여, 건조공기 배관(120)의 일 측으로서, 배출 배관(140)과 건조공간(110)을 연결하는 건조공기 배관(120)의 일 측에 구비되어 건조공기 배관(120)을 개폐하는 제2 밸브(12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100)에 따르면, 건조공기 배관(120)에 구비된 진공 펌프(130)를 이용하여 건조공간(110)의 공기를 배출 및 공급하여 순환시킴과 동시에, 배출 배관(140)을 이용하여 건조공간(110)의 진공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결국, 건조공간(110)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진공펌프와 건조공간(110)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기를 각각 구비할 필요성이 사라진다.
또한, 진공 펌프(130)에 의해 건조공간(110)의 공기를 배출 및 공급하여 순환시키므로 진공 펌프(13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를 건조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응축수 배출부(170)에 의해 증발기(151)와 열교환으로 생성되는 응축수가 제1 열교환 영역(161)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변형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100)은, 도 1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추가하여 건조공기 배관(120)의 일 측으로서, 건조공간(110)으로부터 배출되어 증발기(151)에 의해 냉각 제습되도록 공급되는 공기가 지나는 건조공기 배관(120)의 일 측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며, 외부로는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유입 배관(180)을 가진다.
유입 배관(180)의 제어를 위해, 유입 배관(18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3 밸브(181)가 구비될 수 있고, 제3 밸브(181)는 압력계(VG)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즉, 유입 배관(180)을 통해 공기의 유입을 제어함으로써, 배출 배관(140)과 함께 건조공간(110)의 진공도가 설정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배출 배관(140)을 통해 공기의 배출을 제어함으로써 건조공간(110)의 진공도가 설정된 압력 범위의 상한을 넘어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입 배관(180)을 통해 공기의 유입을 제어함으로써, 건조공간(110)의 진공도가 설정된 압력 범위의 하한을 넘어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건조 대상물이 수용되는 건조공간;
    상기 건조공간의 공기가 일 측으로 배출되어 타 측으로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건조공기 배관;
    상기 건조공기 배관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공간의 공기의 배출 및 공급을 구동하는 진공 펌프;
    상기 건조공기 배관에 구비되며, 상기 진공 펌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 배관; 및
    상기 진공 펌프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제습하며, 상기 진공 펌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 건조하는 냉각 시스템;을 포함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 시스템은,
    상기 진공 펌프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제습하도록 배치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배출되는 냉매를 이용하여 상기 진공 펌프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배치되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는 팽창밸브;를 순차로 냉매가 순환하도록 배관 연결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배관은,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으로서, 상기 응축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지나는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의 진공도를 감지하는 압력계; 및
    상기 배출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압력계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으로서, 상기 배출 배관과 상기 건조공간을 연결하는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에 구비되어 상기 건조공기 배관을 개폐하는 제2 밸브;를 가지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으로서, 상기 건조공간으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증발기에 의해 냉각 제습되도록 공급되는 공기가 지나는 상기 건조공기 배관의 일 측과 연통하도록 배치되며, 외부로는 공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유입 배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유입 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제3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밸브는 상기 압력계에 의해 감지된 압력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건조공기 배관을 지나는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 된 후 배출되는 제1 열교환 영역; 및
    상기 증발기와 열교환으로 생성되는 응축수가 상기 제1 열교환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응축수 배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가 내부에 수용되는 구획된 공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건조공기 배관을 지나는 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 된 후 배출되는 제2 열교환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KR1020150154792A 2015-11-04 2015-11-04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KR10172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792A KR101729581B1 (ko) 2015-11-04 2015-11-04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792A KR101729581B1 (ko) 2015-11-04 2015-11-04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581B1 true KR101729581B1 (ko) 2017-04-26

Family

ID=5870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4792A KR101729581B1 (ko) 2015-11-04 2015-11-04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5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727B1 (ko) * 2017-09-18 2018-08-24 대한민국 산불 진화용 동력펌프
KR102351012B1 (ko) * 2021-06-29 2022-02-09 농업회사법인 조은삶 주식회사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
KR102389852B1 (ko) * 2021-02-04 2022-04-21 한동석 진동타입 진공 건조 시스템
KR20220167908A (ko)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녹색에너지기술 농수산물 진공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96B1 (ko) 2010-10-18 2011-04-15 (주)덕산코트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101506844B1 (ko) 2014-09-15 2015-03-30 이민우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596B1 (ko) 2010-10-18 2011-04-15 (주)덕산코트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101506844B1 (ko) 2014-09-15 2015-03-30 이민우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0727B1 (ko) * 2017-09-18 2018-08-24 대한민국 산불 진화용 동력펌프
KR102389852B1 (ko) * 2021-02-04 2022-04-21 한동석 진동타입 진공 건조 시스템
KR20220167908A (ko) 2021-06-15 2022-12-22 주식회사 녹색에너지기술 농수산물 진공건조장치
KR102351012B1 (ko) * 2021-06-29 2022-02-09 농업회사법인 조은삶 주식회사 건조인삼과 세포수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3995B2 (en) Condensing type clothes dryer having a heat pump cy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ndensing type clothes dryer having a heat pump cycle
KR10161396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24157B1 (ko) 히트 펌프형 건조기
KR101729581B1 (ko) 농수산물 진공 건조 시스템
KR101095897B1 (ko)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US8978269B2 (en) Hybrid dry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hybrid drying system
CN110331566B (zh) 烘干系统及其使用方法
CN101796242A (zh) 用于干衣机的除湿装置
JP2007143720A (ja) 衣類乾燥装置
JP6516566B2 (ja) 除湿乾燥装置
JP4317195B2 (ja) 乾燥機
KR20110068616A (ko) 건조 장치
KR20070018545A (ko) 전기 건조기
KR101106658B1 (ko) 효율이 향상된 응축 제습기
JP2012101167A (ja) 圧縮空気除湿システムおよび圧縮空気除湿方法
KR101452466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온풍 건조시스템
KR101882216B1 (ko) 농수산물 상온 유지 제습 건조기
CN204811761U (zh) 一种开闭式循环多级热泵干燥设备
KR101750911B1 (ko) 다단 증발식 히트펌프 건조장치
KR101638604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간접가열식 건조장치
KR20120096916A (ko) 히트 펌프형 건조 시스템
KR101536978B1 (ko) 식품건조장치
CN106172735A (zh) 一种开闭式循环多级热泵干燥设备
KR101029596B1 (ko)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JP6159579B2 (ja) 水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