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521B1 -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 - Google Patents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521B1
KR101943521B1 KR1020180064083A KR20180064083A KR101943521B1 KR 101943521 B1 KR101943521 B1 KR 101943521B1 KR 1020180064083 A KR1020180064083 A KR 1020180064083A KR 20180064083 A KR20180064083 A KR 20180064083A KR 101943521 B1 KR101943521 B1 KR 10194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cumber
extract
weight
parts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병순
김미소
김숙영
Original Assignee
추병순
김미소
김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병순, 김미소, 김숙영 filed Critical 추병순
Priority to KR102018006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2Material of vegetable origi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은 물티슈에 오이향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상기 물티슈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되,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오이향 추출액, 백년초 추출액, 파인애플 추출액, 트리플 히알루론산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오이향 추출액 100 내지 200 중량부, 백년초 추출액 10 내지 30 중량부, 파인애플 추출액 30 내지 50 중량부, 트리플 히알루론산 5 내지 15 중량부 및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오이향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이 향기가 나는 물티슈를 제조함으로써, 오이 향기의 청량감 및 시원함을 느낄 수 있고 피부를 닦아도 인체 무해하다.

Description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MANUFACTURING METHOD FOR WET TISSUE HAVING CUCUMBER FLAVOR AND WET TISSU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이향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이 향기가 나는 물티슈를 제조함으로써, 오이 향기의 청량감 및 시원함을 느낄 수 있고 피부를 닦아도 인체 무해한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는 수분에 강한 원단에 액상의 원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물휴지라고도 하는데, 최근에는 일반적인 물티슈보다 소독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물티슈가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티슈는 수분을 함유함에도 불구하고 쉽게 분해되지 않는 펄프나 부직포를 그 소재로 하여 제조되는데, 상기의 소재에 소독, 항균 및 살균 성능이 있는 물질이 함입되도록 하고, 이를 이용하여 오염 상태를 제거함과 동시에 인체나 인체와 직접 접촉하는 대상을 제독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물티슈의 소독, 항균 및 살균 성분은 포장되어 유통 및 사용되는 과정에서 세균 및 곰팡이가 번식하지 못하도록 통상적으로는 벤젠계열 또는 카바메이트계열 등의 화학방부제가 주로 사용되며, 장기간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증발방지제인 프로플렌글리콜 등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 물티슈에 사용되는 화학방부제는 사용량이 법적으로 허용된 기준량 이하라고 하더라도, 장기간 사용하거나 자주 또는 한꺼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게 되면, 피부 트러블의 발생, 호르몬 이상 및 알러지 반응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작용을 하게 되며, 특히, 피부가 연약한 소아나 피부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물티슈에 함유된 화학방부제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사용상 매우 주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27691호(2015년 06월 03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7-0014494호(2017년 02월 08일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98117호(2012년 09월 05일 공개)
본 발명은 오이향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이 향기가 나는 물티슈를 제조함으로써, 오이 향기의 청량감 및 시원함을 느낄 수 있고 피부를 닦아도 인체 무해한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티슈 사용의 만족감 및 관능성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은 물티슈에 오이향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상기 물티슈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되,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오이향 추출액, 백년초 추출액, 파인애플 추출액, 트리플 히알루론산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오이향 추출액 100 내지 200 중량부, 백년초 추출액 10 내지 30 중량부, 파인애플 추출액 30 내지 50 중량부, 트리플 히알루론산 5 내지 15 중량부 및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오이향 추출액은, 오이 및 오이 줄기를 채취하고 1 내지 3(w/w)% 농도 범위 및 30 내지 35℃의 온도를 가지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로 3 내지 5분 동안 세척하여 상기 오이 및 오이 줄기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세척된 오이를 건조기에서 건조하되, 상기 오이의 건조는 온도 20 내지 25℃ 및 습도 33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건조된 오이를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오이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오이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오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95 내지 10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오이 추출액을 제조하고, 오이 줄기를 건조하여 상기 오이 줄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되, 상기 오이 줄기의 건조는 35 내지 40℃ 및 습도 35 내지 45%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하며, 상기 건조된 오이 줄기를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오이 줄기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오이 줄기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오이 줄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상기 오이 줄기가 침지된 정제수를 가열기에 투입하고, 상기 가열기에 투입된 오이 줄기가 침지된 정제수를 95 내지 105℃의 온도 및 압력용기 내부 압력 2.0 내지 3.0kgf/cm2의 범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오이 줄기 추출액을 제조하며, 상기 오이 추출액 및 오이 줄기 추출액을 혼합하여 오이향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오이향 추출액은 오이 추출액 및 오이 줄기 추출액을 8:2 내지 6: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오이향 추출액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보관함으로써 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은 오이향 추출액을 이용하여 오이 향기가 나는 물티슈를 제조함으로써, 오이 향기의 청량감 및 시원함을 느낄 수 있고 피부를 닦아도 인체 무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은 물티슈 사용의 만족감 및 관능성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은 물티슈에 오이향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상기 물티슈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이향 조성물이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물티슈의 오이향 조성물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오이향 조성물의 함량이 너무 많아 소비자의 기호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오이향 추출액, 백년초 추출액, 파인애플 추출액, 트리플 히알루론산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오이향 추출액 100 내지 200 중량부, 백년초 추출액 10 내지 30 중량부, 파인애플 추출액 30 내지 50 중량부, 트리플 히알루론산 5 내지 15 중량부 및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이향 추출액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이향 추출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이향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오이 및 오이 줄기를 채취하고 1 내지 3(w/w)% 농도 범위 및 30 내지 35℃의 온도를 가지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로 3 내지 5분 동안 세척하여 상기 오이 및 오이 줄기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오이를 건조기에서 건조하되, 상기 오이의 건조는 햇빛 건조시 상기 오이의 엽록소가 파괴되고 오이 고유의 향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오이의 건조는 온도 20 내지 25℃ 및 습도 33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오이를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오이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오이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오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95 내지 10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오이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오이 줄기를 건조하여 상기 오이 줄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오이 줄기의 건조는 35 내지 40℃ 및 습도 35 내지 45%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오이 줄기를 건조함으로써, 상기 오이 줄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점진적으로 고르게 증발되도록 함으로써, 오이 줄기의 고유의 향과 유용성분을 보다 용이하게 발휘시킬 수 있고, 오이 줄기의 세포조직의 파괴로 공기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여 발효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오이 줄기의 유용성분이 진하게 우러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오이 줄기를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오이 줄기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오이 줄기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오이 줄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상기 오이 줄기가 침지된 정제수를 가열기에 투입하고, 상기 가열기에 투입된 오이 줄기가 침지된 정제수를 95 내지 105℃의 온도 및 압력용기 내부 압력 2.0 내지 3.0kgf/cm2의 범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오이 줄기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오이 줄기를 정제수에 침지시킨 후 추출함으로써, 오이 줄기의 식물벽을 약화시켜 추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오이 추출액 및 오이 줄기 추출액을 혼합함으로써 오이향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오이향 추출액은 오이 추출액 및 오이 줄기 추출액을 8:2 내지 6: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오이향 추출액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보관함으로써 숙성시킬 수 있는데, 상기 오이향 추출액을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숙성시킴으로써 상기 오이향 추출액이 균일하게 혼합되고 향이 증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백년초 추출액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백년초 추출액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백년초 추출액을 제조하여 준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년초 추출액은 백년초 열매 및 백년초 줄기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백년초 추출액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백년초 추출액의 제조방법은 (1) 백년초 열매 및 줄기 준비 및 세척 단계, (2) 백년초 열매 및 줄기 건조 단계, (3) 백년초 열매 및 줄기 세절 및 분리 단계, (4) 발효 효모 접종 단계, (5) 꿀 혼합 단계, (6) 발효 단계, (7) 발효 추출액 제조 단계, (8) 백년초 줄기 중탕 가열 단계, (9) 가열 추출액 제조 단계 및 (10) 추출액 혼합 단계를 포함한다.
(1) 백년초 열매 및 줄기 준비 및 세척 단계
상기 백년초 열매 및 줄기 준비 및 세척 단계는 백년초 추출액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백년초 열매와 백년초 줄기를 준비한 후, 상기 백년초 열매와 백년초 줄기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세척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백년초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손바닥 선인장의 열매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백년초(손바닥 선인장) 열매는 무기질, 식이섬유, 노화예방에 좋은 폴라보노이드가 풍부하여 무기질로는 칼슘, 마그네슘 및 나트륨 등의 함량이 알로에와 비슷하나 비타민C의 함량은 알로에 대비 5배나 되고, 특히, 식이섬유의 함량은 모든 식품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손바닥 선인장 열매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식이성 섬유, 칼슘 및 철분 등 무기질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핑크빛이 도는 빨간 열매의 상큼한 맛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널리 애용되고 있다.
한국식품개발연구원이 실시한 제주도 자생식물인 손바닥 선인장에 대한 연구결과에서 페놀성 물질과 플라보노이드 함유율이 5%로서, 생강 1.67%, 칡뿌리 2.21%에 비해 훨씬 많게 나타났으며, 식이섬유 함유율이 30%로 곡류 1.19~10.35%, 신선채소류 0.99~7.42%, 과실류 0.19~2.19%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C 또한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아울러, 손바닥 선인장 열매는 페놀성 물질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여타 식품보다 월등히 많이 들어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예로부터 해열진정, 기관지천식, 소화불량, 위경련 증상, 변비, 가슴통증, 혈액순환 불량, 위장병, 뒷목이 당기는 증상, 비염, 퇴행성 관절염, 두통, 불면증, 고혈압, 암, 노화억제, 당뇨병 및 고지혈증 개선에 민간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2) 백년초 열미 및 줄기 건조 단계
상기 백년초 열매 및 줄기 건조 단계는 상기 백년초 열매와 백년초 줄기를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백년초 열매와 백년초 줄기의 건조는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 등 다양한 공지의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는데, 상기 백년초 열매와 백년초 줄기의 건조는 15 내지 25℃의 온도에서 1 내지 3일 동안 진행함으로써, 상기 백년초 잎과 백년초 줄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함량이 25 내지 35 중량%가 되도록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백년초 열매와 백년초 줄기의 수분 함량이 2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백년초 열매와 백년초 줄기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후 발효 공정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3) 백년초 열매 및 줄기 세절 및 분리 단계
상기 백년초 열매 및 줄기 세절 및 분리 단계는 상기 건조된 백년초 열매와 백년초 줄기를 절단한 후, 백년초 열매와 백년초 줄기를 별도로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백년초 열매 및 줄기 세절 및 분리 단계에서는 상기 건조된 백년초 열매와 백년초 줄기의 길이가 1 내지 3cm가 되도록 절단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백년초 열매와 백년초 줄기를 절단함으로써, 상기 백년초 열매가 추후 공정에서 진행될 꿀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꿀에 의한 발효 공정에서 상기 백년초 열매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고 발효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상기 백년초 줄기가 추후 공정에서 진행될 가열과정에서 상기 백년초 줄기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고 가열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4) 발효 효모 접종 단계
상기 발효 효모 접종 단계는 상기 분리된 백년초 열매에 배양된 효모를 접종하는 단계이다.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Saccharomyces sp.), 시조사카로마이세스 속(Shizosaccharomyces sp.)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accharomycescerevisiae), 시조사카로마이세스 폼베(Schizosaccharomyces pombe), 클루레로마이세스 락티스(Klureromyceslactis) 및 사카로마이세스 보울라디(Saccharomyces boulardi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효모를 백년초 열매에 접종시켜 발효시킴으로써 상기 효모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효모의 분해 작용으로 상기 백년초 잎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성분들이 함께 추출되기 때문에, 발효 추출액을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5) 꿀 혼합 단계
상기 꿀 혼합 단계는 상기 효모가 접종된 백년초 열매에 꿀을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꿀 혼합 단계에서는 상기 효모가 접종된 백년초 열매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부의 꿀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꿀은 자연꿀인 벌꿀과 인공꿀인 당밀로 구분되는데, 벌꿀은 꿀벌들이 꽃의 밀선에서 꽃꿀을 채집하여 벌집에 저장 및 숙성시킨 것으로 정의되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꿀벌이 여러 식물의 밀선에서 수집한 향기롭고 점조성이 있는 단 물질로서 꿀벌 등에 의하여 그들의 식량으로 전화되어 벌집내에 저장된 것으로, 산성 반응을 나타내며 2개의 단당류로 되어있고 때로는 더 복잡한 탄수화물, 무기물, 식물성색소, 효소 및 화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벌꿀은 자양강장, 진정, 해독, 피로회복, 위장장애, 기침, 피부 건조, 습진, 변비, 신경쇠약, 숙취 등에 사용되어 왔는데, 미용과 건강에 좋고, 비타민 B군, 특히 B6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한약의 쓴맛을 완화시켜 줌으로써 한방에서는 교미제로 널리 사용된다.
특히 꿀은 강력한 살균력 때문에 높은 온도(30~40℃)에서 변하지 않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꿀의 살균력 때문에 꿀과 함께 발효되는 백년초 열매의 숙성 온도가 높더라도 쉽게 변질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여 발효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6) 발효 단계
상기 발효 단계는 상기 꿀이 혼합된 백년초 열매를 숙성하여 발효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발효 단계에서는 상기 백년초 열매에 꿀과 효모가 혼합됨으로써 상기 백년초 열매가 변질하지 않으면서 효모의 분해 작용으로 상기 백년초 열매의 유용성분들이 작은 크기로 미립자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 단계는 20 내지 25℃의 온도에서 10 내지 15일 동안 진행될 수 있는데, 상기 발효 단계가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백년초 열매가 충분히 발효되지 않아 상기 백년초 열매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시간 경과에 따른 더 이상의 현저한 효과 상승이 수반되지 않고 공정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7) 발효 추출액 제조 단계
상기 발효 추출액 제조 단계는 상기 발효된 백년초 열매를 추출하여 백년초 열매 발효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발효 추출액 제조 단계에서는 추출 용매로 물, 탄소수 C1 또는 C2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 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추출 용매는 상기 발효된 백년초 열매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0 내지 1000 중량부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효 추출액 제조 단계에서 추출 방법으로는 열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다수 회 반복하여 추출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추출 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공지의 기술인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8) 백년초 줄기 중탕 가열 단계
상기 백년초 줄기 중탕 가열 단계는 상기 분리된 백년초 줄기를 준비한 후 중탕 가열하여 침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백년초 줄기 중탕 가열 단계에서는 상기 백년초 줄기가 수용된 용기가 직접 화기에 닿지 않도록 중탕기에 물을 넣은 후, 상기 물을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백년초 줄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5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130 내지 140℃의 온도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백년초 줄기 중탕 가열 단계에서 상기 가열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백년초 줄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용 성분이 충분히 침출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시간 경과에 따른 더 이상의 현저한 효과 상승이 수반되지 않고 공정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9) 가열 추출액 제조 단계
상기 가열 추출액 제조 단계는 상기 중탕 가열된 침출액에서 고형물인 백년초 줄기를 제거한 후 상기 침출액을 가열하여 백년초 줄기 가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열 추출액 제조 단계에서는 상기 중탕 가열된 침출액을 추출기에 투입한 후 115 내지 120℃의 온도 및 3 내지 4kgf/cm2의 압력에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처음의 침출액의 1/5 내지 2/5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백년초 줄기 가열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추출액 제조 단계의 가열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침출액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여 추출액의 점도가 너무 낮을 수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추출액의 점도가 너무 높고, 과도한 가열에 의해 추출액의 물성이 변성될 수 있다.
(10) 추출액 혼합 단계
상기 추출액 혼합 단계는 상기 백년초 열매 발효 추출액과 백년초 줄기 가열 추출액을 혼합하여 백년초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추출액 혼합 단계에서는 상기 백년초 열매 발효 추출액과 백년초 줄기 가열 추출액을 혼합하여 백년초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백년초 추출액은 백년초 열매 발효 추출액 50 내지 100 중량부 및 백년초 줄기 가열 추출액 20 내지 4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 추출액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파인애플 추출액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파인애플을 준비한 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의 세척은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이 용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상기 파인애플의 표면을 세척함으로써, 상기 파인애플의 표면에 잔류되어 있는 농약 성분이나 중금속, 곰팡이 제거의 세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은 식품첨가물로도 이용되는 것으로, 독성이 없으며 침투, 확산, 팽창 등의 기능을 가져 파인애플의 표면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수소나트륨은 3 내지 5(w/w)% 농도 범위를 가지고,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파인애플을 분쇄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의 분쇄는 짧은 시간 내에 파인애플으로부터 유효 성분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분쇄기 또는 믹서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파인애플을 0.5 내지 2cm의 직경으로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파인애플을 증숙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의 증숙은 상기 분쇄된 파인애플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찌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인애플을 효과적으로 증숙하기 위하여 제1 증숙 단계 및 제2 증숙 단계, 즉 두 단계의 증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파인애플의 증숙 과정에서 상기 제1 증숙 단계는 상기 분쇄된 파인애플을 60 내지 70℃ 온도의 수증기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2 증숙 단계는 상기 가열된 파인애플을 80 내지 90℃ 온도의 수증기로 1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증숙 단계가 60℃ 미만의 온도 또는 10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인애플의 표면과 외부가 수증기에 의해 균일하게 증숙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0℃ 초과의 온도 또는 30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파인애플의 표면 및 내부의 온도가 균일하게 예열되어 더 이상의 효과 증가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증숙 단계가 80℃ 미만의 온도 또는 1 시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인애플이 충분히 증숙되지 못하여 추후 공정에서 짧은 시간 내에 추출액을 제조하기 어렵고, 90℃ 초과의 온도 또는 3시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파인애플의 유효성분이 휘발되거나 파인애플의 물성이 약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파인애플을 건조할 수 있다.
상기 파인애플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파인애플을 60 내지 70℃의 온도에서 30 내지 15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파인애플의 건조가 60℃ 미만의 온도 또는 30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증숙된 파인애플에 잔류하는 수분이 충분히 제거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70℃ 초과의 온도 또는 150분을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잔류 수분이 제거되지 않거나 파인애플의 물성이 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파인애플을 추출하여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된 파인애플의 추출은 용매 추출법, 열수 추출법 또는 초임계 추출법과 같은 공지된 추출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파인애플 추출액의 제조는 (a) 건조된 파인애플 1000~12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12ℓ로 85 내지 90℃에서 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0%(v/v) 에탄올수용액 4~6ℓ로 85 내지 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200㎖이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추출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배로 희석하고, 14,000~15,000rpm에서 20 내지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2~1.5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2~1.5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여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에 의해 파인애플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 1,2-헥산디올(1,2-Hexanediol) 및 정제수(Water)를 일정한 중량 비율로 계량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은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 내지 2 중량부,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0.005 내지 0.02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 0.05 내지 0.2 중량부, 1,2-헥산디올 1 내지 3 중량부 및 정제수 90 내지 9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은 3종류의 히알루론산, 즉,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를 포함하여 제조되는데, 본 발명에서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는 피부에 침투 및 흡수되어 피부 속의 보습력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는 피부 표면에서 막을 형성하여 수분증발을 낮추며, 상기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는 보유하고 있는 아세틸기가 소수성(Hydrophobic)의 성질을 보유하고 있어서 피부에 잘 부착되는 닻(Anchor) 역할을 함으로써 피부 부착력을 높여줌과 더불어 각각의 히알루론산과 함께 보습 시너지(Synergy)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을 제조하기 위하여, 원재료를 준비한 후 계량할 수 있다.
상기 트리플 히알루론산을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로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 1,2-헥산디올 및 정제수가 준비될 수 있고, 상기 원재료는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1 내지 2 중량부,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0.005 내지 0.02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 0.05 내지 0.2 중량부, 1,2-헥산디올 1 내지 3 중량부 및 정제수 90 내지 9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계량되어 준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계량된 정제수를 교반기에 투입한 후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를 투입하고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500 내지 1000RPM의 교반속도로 교반하여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 파우더를 용해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소듐 아세틸레이티드 히알루로네이트 및 하이드롤라이즈드 히알루로닉 애씨드가 용해된 정제수에 1,2-헥산디올을 투입한 후 30 내지 40℃의 온도에서 500 내지 1000RPM의 교반속도로 교반하고 여과 탈포 등의 공지된 공정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플 히알루론산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물티슈에 오이향 조성물을 분무하여 오이향이 나는 물티슈를 제조하되,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상기 물티슈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오이향 추출액 150 중량부, 백년초 추출액 20 중량부, 파인애플 추출액 40 중량부, 트리플 히알루론산 10 중량부 및 정제수 15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 실시예 2 >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오이향이 나는 물티슈를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오이향 조성물이 물티슈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 실시예 3 >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오이향이 나는 물티슈를 제조하였는데, 실시예 3에서는 상기 오이향 조성물이 물티슈 100 중량부에 대해 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 비교예 1 >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물티슈를 구입하여 비교예 1에 따른 물티슈로 사용하였는데, 비교예 1에 따른 물티슈는 화학적으로 제조된 인공 오이 향이 가미되었다.
< 비교예 2 >
실시예와 동일하게 오이향 나는 물티슈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2에서는 상기 오이향 조성물이 물티슈 100 중량부에 대해 3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 비교예 3 >
실시예와 동일하게 오이향 나는 물티슈를 제조하였는데, 비교예 3에서는 상기 오이향 조성물 중에서 오이향 추출액이 포함되지 않도록 하였다.
1. 기호도 평가
상기와 같이 실시예들과,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물티슈의 향, 끈적임, 청량감 등 기호도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관능시험은 일반 소비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점수 및 평가기준은 9점 채점법을 이용하였으며,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점수 평가 기준
9 매우 좋음
7 좋음
5 보통
3 나쁨
1 매우 나쁨
구분 끈적임 청량감 종합적 기호도
실시예 1 8.5 8.4 8.5 8.5
실시예 2 8.4 8.3 8.4 8.4
실시예 3 8.4 8.4 8.3 8.4
비교예 1 5.5 7.4 5.6 6.1
비교예 2 7.5 7.9 7.5 7.6
비교예 3 6.6 7.8 5.8 6.7
전술한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물티슈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물티슈에 비해 향, 끈적임, 청량감 등에 대한 기호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가려움 평가
관능 검사 요원으로 20~30대 여성 및 남성 30명을 선발하여 양쪽 팔에 물티슈를 사용하게 한 후, 1시간 경과 후 홍반, 가려움 등의 피부 부작용 여부를 조사하여, 피부자극이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기재하였다
구분 피부 부작용 여부
실시예 1 X
실시예 2 X
실시예 3 X
비교예 1 X
비교예 2 X
비교예 3 X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에 따라 제조된 물티슈는 홍반, 가려움 등의 피부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인체 무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

  1. 물티슈에 오이향 조성물을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상기 물티슈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되,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오이향 추출액, 백년초 추출액, 파인애플 추출액, 트리플 히알루론산 및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오이향 조성물은 오이향 추출액 100 내지 200 중량부, 백년초 추출액 10 내지 30 중량부, 파인애플 추출액 30 내지 50 중량부, 트리플 히알루론산 5 내지 15 중량부 및 정제수 1000 내지 20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오이향 추출액은,
    오이 및 오이 줄기를 채취하고 1 내지 3(w/w)% 농도 범위 및 30 내지 35℃의 온도를 가지는 탄산수소나트륨(NaHCO3)이 용해된 정제수로 3 내지 5분 동안 세척하여 상기 오이 및 오이 줄기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며, 상기 세척된 오이를 건조기에서 건조하되, 상기 오이의 건조는 온도 20 내지 25℃ 및 습도 33 내지 40%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건조된 오이를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오이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오이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오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200 내지 3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95 내지 105℃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오이 추출액을 제조하고, 오이 줄기를 건조하여 상기 오이 줄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되, 상기 오이 줄기의 건조는 35 내지 40℃ 및 습도 35 내지 45%로 유지되는 건조기에서 10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하며, 상기 건조된 오이 줄기를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상기 오이 줄기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오이 줄기 추출액은 상기 건조된 오이 줄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00 내지 150 중량부를 혼합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상기 오이 줄기가 침지된 정제수를 가열기에 투입하고, 상기 가열기에 투입된 오이 줄기가 침지된 정제수를 95 내지 105℃의 온도 및 압력용기 내부 압력 2.0 내지 3.0kgf/cm2의 범위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오이 줄기 추출액을 제조하며, 상기 오이 추출액 및 오이 줄기 추출액을 혼합하여 오이향 추출액을 제조하되, 상기 오이향 추출액은 오이 추출액 및 오이 줄기 추출액을 8:2 내지 6: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고, 상기 오이향 추출액을 5 내지 1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보관함으로써 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KR1020180064083A 2018-06-04 2018-06-04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 KR10194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083A KR101943521B1 (ko) 2018-06-04 2018-06-04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083A KR101943521B1 (ko) 2018-06-04 2018-06-04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521B1 true KR101943521B1 (ko) 2019-01-29

Family

ID=6532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083A KR101943521B1 (ko) 2018-06-04 2018-06-04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5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6818A (ja) * 1999-11-12 2001-07-31 Pigeon Corp ウエットティッシュ用薬液および包装ウエットティッシュ
KR20120098117A (ko) 2011-02-28 2012-09-05 우인창 피톤치드 정유액을 포함하는 물티슈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7691B1 (ko) 2014-10-29 2015-06-09 곽경량 황토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KR20170014494A (ko) 2015-07-30 2017-02-08 이진환 그라비올라 추출액을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6818A (ja) * 1999-11-12 2001-07-31 Pigeon Corp ウエットティッシュ用薬液および包装ウエットティッシュ
KR20120098117A (ko) 2011-02-28 2012-09-05 우인창 피톤치드 정유액을 포함하는 물티슈 및 그 제조 방법
KR101527691B1 (ko) 2014-10-29 2015-06-09 곽경량 황토 및 광물분말을 이용한 물티슈의 제조방법
KR20170014494A (ko) 2015-07-30 2017-02-08 이진환 그라비올라 추출액을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522B1 (ko) 항균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항균 물티슈
JP7315985B2 (ja) 山養参を用いた石鹸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石鹸
KR100695900B1 (ko) 발효·팽화 처리에 의해 풍미와 사포닌 함량이 우수한홍삼액의 제조방법
KR102407756B1 (ko) 양념 소갈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 소갈비
US10595552B2 (en)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KR20090002677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7315986B2 (ja) ドクダミ成分を含む頭皮健康改善用スプレー組成物
KR20170141497A (ko) 황칠나무와 한약재료의 효소 추출물을 이용하는 탈모개선 샴푸의 제조 방법
CN107094945A (zh) 一种霜桑红茶的制备方法
KR102032298B1 (ko) 셀레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CN107156263A (zh) 一种海水虾的保鲜剂及其使用方法
KR101226459B1 (ko) 진피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진피차
KR101978698B1 (ko)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KR101943521B1 (ko) 오이향 나는 물티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물티슈
KR101920859B1 (ko) 엉겅퀴 꽃 발효식초를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7946B1 (ko) 유자, 석류가 함유된 바디워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58166B1 (ko) 두피 건강 개선용 헤어 샴푸 조성물
KR102228735B1 (ko) 미세캡슐화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2923B1 (ko) 파인애플 농축액을 이용한 치킨무 조미액
KR102183639B1 (ko)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07052867A1 (en) Liquor produced by adding yeast and clove without using aspergillus oryzae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7509838A (zh) 一种发酵型黑米茶的制备方法
KR20120103910A (ko) 헛개(줄기 및 열매)의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음료수 제조방법
CN106119063A (zh) 山楂醋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