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639B1 -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639B1
KR102183639B1 KR1020190062223A KR20190062223A KR102183639B1 KR 102183639 B1 KR102183639 B1 KR 102183639B1 KR 1020190062223 A KR1020190062223 A KR 1020190062223A KR 20190062223 A KR20190062223 A KR 20190062223A KR 102183639 B1 KR102183639 B1 KR 102183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egano
weight
oil
parts
avocad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티산업
Priority to KR1020190062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두피를 진정시키고 피부 염증을 완화하며 비듬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여 건강한 두피와 모발을 갖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MPOSITION WHICH CONTAINING OREGANO OIL FOR SCALP SMOOTHING, HEALTH OF SCALP, DANDRUFF IMPROVEMENT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식물 오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두피를 진정시키고 피부 염증을 완화하여 두피 건강을 개선하며 비듬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여 건강한 두피와 모발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학의 발달에 따른 산업화로 지구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초래되어 사람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각종 만성 피부 질환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피로와 스트레스에 지친 현대인의 두피는 각종 화학 샴푸와 컨디셔너, 퍼머(Perm), 염색, 탈색 그리고 드라이의 무분별한 사용과 대기오염, 화학환경에 노출, 황사, 미세먼지의 심각성과 더불어 더욱 더 두피 질환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지루성 피부염 등 마땅한 완치 약재가 없는 질병은 두피 건강의 지속적 약화를 야기하고 이로 인해 탈모 증상까지 심각하게 받아들여 지는 현실이다.
그러나 이런 환경을 인식하여 살아가는 상황에서도 이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이나 보완책도 없이 단순히 과대 광고의 여파로 샴푸나 린스 등의 화학 제품에만 의존하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고, 이로 인해 다양한 두피 질환을 앓고 있는 수많은 현대인들이 그 증세의 경중에 상관없이 특별한 치료없이 바쁨과 귀찮음을 핑계로 방치하고 있다.
한편, 오레가노(oregano)의 정식 학명은 Origanum vulgare L로, 꿀풀과(Lamiaceae) 꽃박하속(Origanum)의 가장 흔한 종이다. 오레가노는 유라시아의 서부 및 남서부, 지중해 지역에 자생한다. 오레가노는 다년생 허브로, 20~80㎝까지 성장하고 1-4㎝ 길이의 맞잎을 갖는다.
이러한 오레가노는 페놀산 및 플라보노이드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갖는다. 보고된 연구에 따르면, 오레가노는 음식유래 병원체인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Listeria monocytogenes)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다고 한다(Faleiro, Leonor; et al (2005)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ssential Oils Isolated from Thymbra capitata L. (Cav.) and Origanum vulgare L". J. Agric. Food Chem. 53 (21): 81628168).
이에 본 발명자는 두피에 대한 여러 외부적 환경에 대응하며 두피의 문제점(trouble) 해결에 쉽게 대응하여 도움이 되며, 예방이 될 수 있는 인체에 안전한 물질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연 식물 오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두피를 진정시키고 피부 염증을 완화하며 비듬 및 피부자극을 완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00678호(2011년 12월 23일 등록) 국내공개특허 제10-2012-0009554호(2012년 02월 02일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31119호(2018년 03월 28일 공개)
본 발명은 오레가노 오일과 천연 식물 오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두피를 진정시키고 피부 염증을 완화하여 두피 건강을 개선하며 비듬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여 건강한 두피와 모발을 갖도록 할 수 있는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오레가노 오일 이외에 아보카도(Avocado) 오일, 암라(Amla) 오일, 브링그라즈(bhringraj) 오일, 녹차(Green Tea) 오일 및 바질(Basil)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식물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레가노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0.01 내지 5.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레가노 오일은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및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에 포함될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를 진정시키고 피부 염증을 완화하여 두피 건강을 개선하며 비듬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여 건강한 두피와 모발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오레가노 오일을 사용균주인 황색포도상구균에 적용한 항균성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b는 오레가노 오일을 사용하지 않은 항균성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a, 도 3a, 도 4a는 피험자(25세, 32세, 46세)의 두피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b, 도 3b, 도 4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샴푸를 이용하여 30일 동안 모발을 세척한 후 피험자의 두피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오레가노 오일 이외에 아보카도(Avocado) 오일, 암라(Amla) 오일, 브링그라즈(bhringraj) 오일, 녹차(Green Tea) 오일 및 바질(Basil)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식물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오레가노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0.01 내지 5.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오레가노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천연 식물 오일이 50 내지 1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천연 식물 오일은 아보카도(Avocado)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암라(Amla)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브링그라즈(bhringraj)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녹차(Green Tea)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및 바질(Basil) 오일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오레가노 오일 및 천연 식물 오일 이외에 호호바씨 오일, 히알루론산, 징크 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및 옥파우더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오레가노 오일 및 천연 식물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해 호호바씨 오일 10 내지 20 중량부, 히알루론산 1 내지 3 중량부, 징크 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2 내지 4 중량부,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3 내지 6 중량부 및 옥파우더 7 내지 1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및 세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연고, 패치, 젤, 크림 및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오레가노 오일은 오레가노(Oregano 또는 Origanum vulgare)에서 추출된 오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오레가노(Oregano 또는 Origanum vulgare)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고대 그리스에서는 약용으로 중요하게 사용되었으며 고대 로마에서는 요리에도 이용하였고 현재에도 육류 보관을 위한 천연 보존제, 이탈리안 요리에서의 향신료 등으로 이용되고 있을 정도로 인체에 무해함을 넘어 유익하기까지 하다.
천연 항생제라고도 불리는 오레가노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강장, 이뇨, 건위, 식욕 증진, 진정, 살균 효과와 두통, 멀미,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고 전해져 주로 차로 끓여 마시거나 목욕제로도 사용을 하는 허브일 정도로 인체에 유익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오레가노 오일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공지의 오레가노 오일을 사용하거나, 또는,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오레가노 오일이 이용될 수도 있다.
먼저, 오레가노 줄기 및 오레가노 생잎을 분리하여 준비한 후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오레가노 줄기를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는 세척된 오레가노 줄기를 23 내지 27℃의 온도에서 4 내지 6일 동안 건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오레가노 줄기를 일정 길이 단위로 절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건조된 오레가노 줄기를 0.5 내지 2.0cm의 길이 단위로 절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절단된 오레가노 줄기를 유산균과 혼합한 후 숙성시킬 수 있는데, 상기 숙성은 상기 유산균과 혼합된 오레가노 줄기를 28 내지 32℃의 온도 및 습도 50 내지 55%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유지하여 숙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산균으로는 젖산균(Lactobacillale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e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지된 유산균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오레가노 생잎을 수증기로 가열할 수 있는데, 상기 가열은 상기 세척된 오레가노 생잎을 125 내지 135℃ 온도 및 2 내지 3kgf/cm2의 압력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수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수증기로 가열된 오레가노 생잎을 건조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는 햇빛 건조시 상기 오레가노 생잎의 엽록소가 파괴되고 유용 성분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오레가노 생잎을 온도 20 내지 25℃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건조된 오레가노 생잎을 가열하여 덖음할 수 있는데, 상기 덖음은 상기 건조된 오레가노 생잎을 가열 용기(예를 들어, 가마솥)에 투입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5분 동안 1차 덖음하고, 상기 1차 덖음된 오레가노 생잎을 11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0 내지 50초 동안 2차 덖음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덖음된 오레가노 생잎에 고초균 배양액을 분무하여 상기 오레가노 생잎을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고초균 배양액은 상기 건조된 오레가노 생잎의 발효를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덖음된 오레가노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해 고초균 배양액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분무하고 50 내지 60℃의 온도 및 60 내지 65%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 후 2 내지 4일 동안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고초균 배양액은 고초균과 물을 혼합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초균은 고두밥에 흑설탕을 10 내지 12중량% 혼합하고, 준비된 배지 위에 친환경 왕겨를 놓고 헝겊을 덮은 후, 25℃ 온도에서 1일 2회 생육에 수분을 분무하면서 1주일 동안 배양시켜 고초균을 생성시키고, 이를 쌀겨와 흑설탕이 50:50 중량비로 혼합된 배지에 다시 접종하여 25℃에서 1주일 동안 배양하여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고초균 배양액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스피지제피아이(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풀미스(Bacillus pum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숙성된 오레가노 줄기와, 상기 발효된 오레가노 생잎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발효 오레가노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숙성된 오레가노 줄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발효된 오레가노 생잎 300 내지 5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60 내지 65℃의 온도 및 55 내지 60%의 습도에서 3 내지 5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 오레가노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발효 오레가노 혼합물에 용매를 혼합하고 초음파를 가함으로써 오레가노 발효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오레가노 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발효 오레가노 혼합물을 용매와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한 후, 초음파 추출기에 투입하여 상기 혼합액에 초음파를 가함으로써 오레가노 발효액을 제조할 수 있는데, 상기 용매는 상기 발효 오레가노 혼합액 100 중량부에 대해 300 내지 5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용매로는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레가노 발효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혼합액에 가해지는 초음파는 60 내지 80KHz의 진동주파수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100 내지 2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오레가노 발효액에서 오레가노 줄기, 오레가노 생잎과 같은 고형분을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오레가노 줄기, 오레가노 생잎과 같은 고형분의 분리는 체(sieve) 등과 같은 공지의 거름망을 이용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고형분이 제거된 오레가노 발효액을 원심분리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고형분이 제거된 오레가노 발효액을 원심분리함으로써, 오레가노 줄기와 생잎의 미세입자들이 위치하는 하층액과, 상기 하층액 상부에 위치하는 중층액 및 상층액으로 위치적으로 구분하여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중층액 및 상층액에 위치하는 오레가노 발효액을 추출하여 오레가노의 유용성분도 포함된 오레가노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 상기 오레가노 오일은 오레가노 발효액 2000 내지 3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15ℓ로 85 내지 90℃에서 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0%(v/v) 에탄올수용액 4~6ℓ로 85 내지 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500㎖이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에 에탄올을 가하여 2 내지 3배 중량으로 희석하고, 18,000~20,000rpm에서 30 내지 4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상기 오레가노 발효액에 포함될 수 있는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5~2.0배 중량의 아세트산으로 2회 추출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아보카도(Avocado) 오일은 아보카도에서 추출될 수 있는데, 상기 아보카도 오일은 불포화 지방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심장 질환, 암, 당뇨병의 발병율을 크게 낮춰주고, 또한 녹황색 채소와 함께 섭취했을 때 베타카로틴의 흡수율을 15.3배 더 높여줄 수 있다.
상기 아보카도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며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분해해 각종 성인병과 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단기간 다이어트에도 좋으며 루테인과 제아젠틴 성분이 풍부해 눈 건강에도 좋다.
또한, 상기 아보카도에는 비타민 C나 비타민 E와 같은 중요한 항산화 물질이 ?t유되어 있어서 염증에 대항할 수 있고, 관절염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 아보카도의 불포화 지방산인 올레산은 세포에서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합성을 막아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보카도 오일은 하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아보카도 오일이 이용될 수 있다.
먼저, 아보카도를 준비한 후 물에서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를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에 침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아보카도를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에 침지시킴으로써 제조되는 아보카도 오일이 변색되거나 산패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의 침지는 상기 아보카도를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가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시킬 수 있고, 상기 산패 억제제는 비타민 C 및 소금용액이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포도즙은 혈전 방지 및 고혈압, 동맥경화 및 심장질환 등 성인병 예방에 좋고 기억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상기 산패 억제제로 사용되는 소금용액은 농도가 1 내지 2 중량%인 소금용액일 수 있으며,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 100 중량부에 대해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혼합액 100 내지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침지시킨 후 10 내지 40분 동안 유지시켜 진행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혼합액에 침지된 아보카도를 꺼내어 상기 아보카도 내부로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성분이 침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계에서는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유효 성분이 상기 아보카도의 표면으로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제조되는 아보카도 오일이 변색되거나 산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상기 단계에서는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혼합액에서 분리된 아보카도를 28 내지 32℃의 온도에서 60 내지 100분 동안 보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성분이 침투된 아보카도를 증숙할 수 있다.
상기 아보카도의 증숙은 상기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성분이 침투된 아보카도를 수증기로 50분 내지 100분 동안 찜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아보카도의 증숙이 상기한 하한 범위 미만으로 수행되는 경우에는 충분한 증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한 상한 범위를 초과하여 수행되는 경우에는 증숙 시간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미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증숙된 아보카도를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증숙된 아보카도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아보카도를 45 내지 5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아보카도의 건조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건조기를 이용한 기계식 건조가 이용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건조된 아보카도를 초산 또는 구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산으로 세척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된 아보카도의 세척은 상기 건조된 아보카도의 표면을 초산 또는 구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산으로 세척함으로써, 추후 발효 공정을 거쳐 제조될 아보카도 오일의 향미, 색택 등의 개선 효과가 있다.
이어서,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에 배양액 및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발효액을 분무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으로는 젖산균(Lactobacillale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e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지된 유산균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배양액은 펩톤, 맥아추출물(Malt extract), 시트르산나트륨(Sodium citrate), 제2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dibasic), 글루코스(Glucose) 및 증류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양액은 펩톤 15 내지 25 중량부, 맥아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시트르산나트륨 0.5 내지 1.5 중량부, 제2인산칼륨 0.1 내지 0.3 중량부, 글루코스 1 내지 3 중량부 및 증류수 100 내지 2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양액에서 상기 펩톤은 단백질을 공급해주는 질소원으로서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을 공급해 주며, 상기 맥아추출물은 각종 미네랄, 비타민 B군,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어 미생물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상기 시트르산나트륨은 배양액의 pH를 조절하여 미생물의 성장에 최적화된 상태를 유지해 주는 무기질로, 영양을 공급해 줄 수 있고, 상기 글루코스는 유산균이 당을 대사하여 유기산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성분으로 기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액이 분무된 아보카도를 발효시킬 수 있는데, 상기 아보카도의 발효는 상기 발효액이 분무된 아보카도를 45 내지 50℃의 온도 및 60 내지 65%의 습도를 유지하는 보관용기에서 3 내지 6일 동안 보관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발효된 아보카도를 냉풍 건조할 수 있다.
상기 발효된 아보카도의 냉풍 건조는 상기 발효된 아보카도를 3 내지 6℃의 온도의 냉풍으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고, 55 내지 60℃의 온도로 1 내지 3일 동안 유지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냉풍 건조된 아보카도를 습도 70 내지 80%, 120 내지 150℃의 온도 및 3 내지 5kgf/cm2으로 압착한 후 오일을 분리함으로써, 아보카도 오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암라 오일은 암라로부터 추출된 공지의 오일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암라는 일반적으로 인디안 구스베리로 알려져 있는 대극과 낙엽교목이다.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대만 등 열대·아열대 기후 국가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비타민 C, 미네랄, 아미노산, 탄닌, 필램블릭산, 루틴, 커큐미노이드, 엠블리콜, 페놀릭 화합물들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Zhang YJ et al., J Nat Prod, 63: 1507-1510, 2000). 암라는 오렌지보다 20배 많은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는데, 열에 대단히 안정적이어서 고온에 장시간 노출되어 있더라도 나무에서 갓 수확했을 때처럼 비타민이 거의 파괴되지 않는다. 암라의 비타민 C 내구성 및 내열성은 함께 들어있는 탄닌 성분에서 비롯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암라 열매 추출물의 항산화, 항종양, 항염증 활성은 고함유 비타민 C와 폴리페놀 성분들의 영향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브링그라즈 오일은 인도에서 수 세기 동안 모발을 풍성하게 하는 약재로 사용되었고, 상기 브링그라즈는 한련초라고도 하는데, 상기 한련초(Eclipta prostrate)는 높이 10~70cm되는 국화과의 한해살이 초본이다. 우리나라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의 콩밭에 많이 발생하는 식물이다. 예로부터 혈류량 촉진, 진통, 면역, 피부염, 모발 성장 촉진 및 피부가 갈라지는 피부염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피부 자극완화에 효과적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녹차 오일은 녹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씨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데, 상기 녹차에서 발견되는 폴리페놀 성분의 30~40%는 플라보놀과 카테킨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녹차 카테킨의 주성분은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pcicatechin-3-gallate),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pigallocatechin-3-gallate;EGCG)이며, 이 중에서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성분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상기 녹차의 폴리페놀 성분은 항산화, 항암, 항염증, 항균 등 다양한 효능 효과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녹차 오일은 (a) 분쇄된 녹차나무의 씨 1.5kg에 75%(v/v) 에탄올수용액 15ℓ로 80 내지 85℃에서 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 8ℓ로 동일한 조건하에서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200 내지 1400㎖가 될 때까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 중량배로 희석시키며, 14,000 내지 15,000rpm에서 30 내지 4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 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5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5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5회 추출하여 녹차 오일을 수득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질 오일은 바질로부터 추출된 오일로, 상기 바질(basil, Ocimum basilicum )은 영능향에 속하는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인 꿀풀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열대에서는 줄기가 목질화되는 여러해살이 반관목이다. 꽃은 여름에 원줄기의 윗부분에서 이삭 형태로 층층이 달리지만 돌려나고 입술처럼 생기며 자줏빛을 띤 흰색이다. 열매는 작은 견과로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뿌리는 가늘고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이식하기 좋고, 4월 내지 5월에 파종하여 6월에 이식한다. 잎이나 줄기는 말려서 요리의 향신료로 쓰이고, 방향유는 음료나 비누의 향기를 내는데 이용한다.
또한, 상기 바질의 열매는 작은 견과로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종자는 매우 작고 검은색이며 물기가 있으면 우무 모양의 물질이 나오기 때문에 눈에 든 티를 씻어내는 데 이용된다. 뿌리는 가늘고 많이 나오기 때문에 이식하기 좋고 4∼5월에 파종하여 6월에 이식한다. 잎이나 줄기는 말려서 요리의 향신료로 쓰이고 방향유(芳香油)는 음료나 비누의 향기를 내는 데 이용한다. 오시멘(ocimene), 알파피넨(α-pinene)의 성분이 있고 진해(鎭咳), 해열, 해독, 설사, 변비, 월경불순 등의 약재로도 사용한다. 특히, 상기 바질의 씨앗은 식이섬유가 풍부하여 변비해소에도 도움을 주고, 토코페롤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피부 세포막을 보호하고 피부재생을 돕고 해독작용이 있어서 위장의 독소들을 몸 밖으로 배출해내는 효과가 있다.
상기 호호바씨 오일은 사막지대에서 자라는 호호바라는 식물의 씨앗을 압착하여 추출한 오일로, 액체 왁스 형태로 추출되는 오일이다. 상기 호호바씨 오일은 피부에 흡수가 잘되고 모공을 막지 않고 피부 속까지 수분을 전달해 주어 피부의 밸런스를 맞추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호호바씨 오일은 건조한 피부나 노화된 피부에 좋고, 피부에 수분막을 형성해 주어 수분이 빼앗기지 않게 도움을 주는 탁월한 보습효과를 보인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주로 동물의 관절액이나 안구유리체액, 제대, 진피표층 등의 결합조직, 라우스육종 등 어떤 종의 종양에서 발견되는 것 외에 A형, C형 용성연쇄구균(Streptococcus)을 비롯하여 몇 가지 종류의 세균에서는 협막성분으로 되어 있다. 동물조직, 예를 들면 소의 비연골 등에서는 대형 콘드로이틴황산프로테오글리칸(aggrecan)이나 결합단백질과 합해져 거대한 분자집합체를 형성한다. 당사슬의 길이는 분자량이 105~106로 매우 긴 것이 많지만 재료에 따라 다르고, 또한 동일재료라도 결코 균일하지 않다. 다량의 물과 결합하여 겔을 만드는 성질이 있어 이것이 관절의 윤활작용, 피부의 유연성 등, 생체 내에서의 기능과 결부되어 있다.
또한, 결합조직이 손상을 받으면 급속한 회복을 위해 히알루론산의 합성이 일시적으로 활발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조직재구축에서 세포 활동의 일환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세포표면의 히알루론산결합단백질로서 CD44가 발견되었다. 정소, 피부, 간 등의 동물조직이나 뱀독, 거머리, 세균, 방선균으로부터 각각 히알루론산의 글루코사미니드 또는 글루쿠로니드 결합을 가수분해 또는 탈리절단하는 효소가 발견되고 있다. 또한, 결합조직이 손상을 받으면 급속한 회복을 위해 히알루론산의 합성이 일시적으로 활발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조직재구축에서 세포활동의 일환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상기 징크 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는 피부 컨디셔닝제로 사용되며, 항바이러스 성질로 인해 염증성 여드름 등에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징크 글루코네이트는 자극 받은 두피를 진정시키고 피부 가려움증 등을 해소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는 글루코닉애씨드(Gluconic Acid)의 마그네슘염 성분으로, 화학식은 C12H22MgO14 또는 C12H22MgO14·2H2O이며, 분자량은 414.61이고, 피부 상태를 건강하고 좋은 상태로 가꾸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옥파우더는 피부결을 부드럽고 곱게 하며, 피부에 영양 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보습효과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옥은 경옥과 연옥으로 대별되며, 경옥은 휘석족에 속하는 납 휘석조 광물로 규산, 산화알루미늄, 소다로 된 단사정계 물질이다. 경도는 수정과 같이 치밀한 덩어리이고 빛은 흑색, 청록, 녹색,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것으로 보통 옥이라 함은 이 경옥을 일컫는다. 연옥은 이노규산염(Inosilicate)의 단사정계 휘섬석 광물체로 고토질 대리암중 연옥과 사문석화 초 염기성 연옥으로 나누어지고 이들의 품질은 그의 미세한 구조, 즉 투각섬멋-양기석정자가 속조와 섬유로 되는 조세한 정도로 결정되며, 섬유가 극히 가늘수록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이 포함되도록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오레가노 오일 3 1 5 -
천연 식물 오일 4 3 3 2
코코베테인 10 10 10 15
폴리쿼터 1 1 1 2
LES(디소디움 라우레트 술포석시네이트) 45 50 45 50
글리세린 3 2 5 4
올리브썬케어왁스 8 5 7 10
이멀시파잉왁스 3 4 5 5
향료 0.1 0.1 0.1 0.1
증류수 잔량 전부 잔량 전부 잔량 전부 잔량 전부
여기서, 천연 식물 오일은 아보카도(Avocado) 오일, 암라(Amla) 오일, 브링그라즈(bhringraj) 오일, 녹차(Green Tea) 오일 및 바질(Basil) 오일이 1:1:1:1:1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1.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샴푸의 안정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관찰 기간은 1주일 동일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온도에서 안정성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온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0℃ 양호 양호 양호
40℃ 양호 양호 양호
-20℃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샴푸는 제형 안정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모발 컨디셔닝 효과 시험(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삼푸를 이용하여 20~40세 20명으로 구성되는 품평단에게 1주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설문 항목에 5점(매우나쁨, 나쁨, 보통, 좋음, 매우좋음) 설문을 통하여 품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설문 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거품이 풍부하고 부드럽다 4.4 4.4 4.3 2.8
헹굼이 깔끔하다 4.5 4.2 4.2 2.2
반 건조시 빗질이 쉽다 4.6 4.2 4.5 2.3
건조 후 모발이 부드럽다 4.4 4.2 4.1 2.5
건조 후 모발이 촉촉하다 4.5 4.7 4.3 2.1
건조 후 모발에 광택이 느껴진다 4.7 4.3 4.0 2.5
3. 두피 자극 시험
상기 실시예 1과 같이 제조된 샴푸에 대한 자극 임상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임상실험은 10세에서 50세 사이의 건강한 20명(남자 8명, 여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실험시작 2주 전부터 종료시까지 스테로이드나 항생제 등 다른 제품은 사용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모든 실험 대상자에게는 샴푸 후 24시간 후에 두피 상태를 관찰하여 하기 [표 4]과 같은 평가표를 통한 정성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 항목 주관적 점수 평가 결과


자극 정도
a: 피부가 많이 붉게 되고 가려움도 강하다 -
b: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가려움이 있다 -
c: 피부가 약간 붉게 되고 자극도 있다 -
d: 피부 상태는 변화 없으나 약간 자극이 있다 1 명
e: 자극이나 피부상태 변화 없다 19 명
상기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샴푸는 두피 자극이나 피부 상태의 변화가 없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4. 비듬 감소율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녀를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에 따른 샴푸를 10명의 사람으로 하여금 1개월 동안 실험하였다. 시험 개시 전에 동일한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상기 실시예 1과 비교예의 샴푸로 매일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 종료 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비듬 감소율(%) = [(시험개시전 비듬의 중량(㎎) - 시험개시 1개월 후 비듬의 중량(㎎)) / 시험개시전 비듬의 중량(㎎)]×100
사용에 따른 모발의 변화 비듬 감소율(%) 모발 굵기 변화량(mm) 모발 밀도(hairs/cm2) 두피가려움증 제거효과
실시예 1 22.1 0.018 110 8.5
비교예 42.3 0.001 189 4
상기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른 샴푸로 세발한 경우가 비교예에 따른 샴푸로 세발한 경우보다 비듬 감소율이 약 2배 가량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5. 항균 효과 - 1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국화장품공업협회(The Cosmetic, Toilit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이하 CTFA)의 미생물 가이드라인(microbiology Guidelines)의 시험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박테리아로는 그람양성균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 그람음성균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9027), 효모로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ATCC 10231), 아스퍼질러스나이거(Aspergillus niger ATCC22343)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이 10g씩 담겨져 있는 바이알에 세균 3종(Ecoli, P aeruginosa, S aureus)과 진균 2종(C albicans, A niger)을 혼합한 현탁액을 각각 1 × 106 cfu/g, 1 × 105 cfu/g이 되도록 접종한 다음, 25℃에서 보관 후 4시간, 1일, 2일, 3일, 7일 간격으로 무균 조작 하에서 1g의 샘플을 채취하여 희석액으로 적절히 희석하고 세균은 뉴트리언트 아가(Nutrient agar, Difco), 진균은 포테이토 덱스트로스 아가(potatodextrose agar, Difoc) 배지에 깔아 각각 35℃, 25℃에서 24 ~ 72시간 동안 배양 후 측정된 균수를 통해 D-value를 구하였다.
성분 균종 D-value(Hr)
실시예 1 세균 5.2
진균 5.1
실시예 2 세균 5.3
진균 5.4
실시예 3 세균 5.1
진균 5.3
비교예 세균 8.9
진균 9.2
* D-value : 미생물이 90% 사멸되는데 필요한 시간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 2, 3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6. 항균 효과 - 2
상기 실시예 1, 2, 3에 포함되는 오레가노 오일의 항균성을 시험하였다.
항균성에 대한 실험은 황색포도상구균을 대상으로 하였다.
도 1a는 오레가노 오일을 사용균주인 황색포도상구균에 적용한 항균성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1b는 오레가노 오일을 사용하지 않은 항균성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오레가노 오일을 사용한 실험에서 사용균주인 황색포도상구균이 99.9%의 항균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두피 건강 시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샴푸로 피험자의 모발을 세척한 후 피험자의 두피 상태를 관찰하였다.
도 2a, 도 3a, 도 4a는 피험자(25세, 32세, 46세)의 두피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b, 도 3b, 도 4b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샴푸를 이용하여 30일 동안 모발을 세척한 후 피험자의 두피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b, 도 3b, 도 4b를 참조하면,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샴푸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모발을 세척한 경우 시험자의 두피가 진정되었고 피험자의 두피 건강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오레가노 오일과, 상기 오레가노 오일 이외에 아보카도(Avocado) 오일, 암라(Amla) 오일, 브링그라즈(bhringraj) 오일, 녹차(Green Tea) 오일 및 바질(Basil)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식물 오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레가노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함량 중에서 0.01 내지 5.0 중량%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오레가노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천연 식물 오일이 50 내지 15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천연 식물 오일은 아보카도(Avocado)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암라(Amla)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브링그라즈(bhringraj)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녹차(Green Tea) 오일 5 내지 10 중량부 및 바질(Basil) 오일 5 내지 1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며,
    상기 오레가노 오일 및 천연 식물 오일 이외에 호호바씨 오일, 히알루론산, 징크 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및 옥파우더를 더 포함하되, 상기 오레가노 오일 및 천연 식물 오일 100 중량부에 대해 호호바씨 오일 10 내지 20 중량부, 히알루론산 1 내지 3 중량부, 징크 글루코네이트(Zinc Gluconate) 2 내지 4 중량부,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3 내지 6 중량부 및 옥파우더 7 내지 13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더 포함되며,
    상기 오레가노 오일은, 오레가노 줄기 및 오레가노 생잎을 분리하여 준비한 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오레가노 줄기를 건조하되, 상기 건조는 세척된 오레가노 줄기를 23 내지 27℃의 온도에서 4 내지 6일 동안 건조하고, 상기 건조된 오레가노 줄기를 0.5 내지 2.0cm의 길이 단위로 절단하며, 상기 절단된 오레가노 줄기를 유산균과 혼합한 후 숙성시키되, 상기 숙성은 상기 유산균과 혼합된 오레가노 줄기를 28 내지 32℃의 온도 및 습도 50 내지 55%에서 20 내지 30시간 동안 유지하여 숙성시키고, 상기 유산균으로는 젖산균(Lactobacillale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e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산균이 이용되며, 상기 세척된 오레가노 생잎을 수증기로 가열하되, 상기 가열은 상기 세척된 오레가노 생잎을 125 내지 135℃ 온도 및 2 내지 3kgf/cm2의 압력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수증기로 가열함으로써 수행되고, 상기 수증기로 가열된 오레가노 생잎을 온도 20 내지 25℃에서 20 내지 40시간 동안 건조하며, 상기 건조된 오레가노 생잎을 가열하여 덖음하되, 상기 덖음은 상기 건조된 오레가노 생잎을 가열 용기에 투입한 후 70 내지 80℃의 온도에서 3 내지 5분 동안 1차 덖음하고, 상기 1차 덖음된 오레가노 생잎을 110 내지 120℃의 온도에서 20 내지 50초 동안 2차 덖음하는 단계로 진행되며, 상기 덖음된 오레가노 생잎에 고초균 배양액을 분무하여 상기 오레가노 생잎을 발효시키되, 상기 덖음된 오레가노 생잎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고초균 배양액 10 내지 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분무하고 50 내지 60℃의 온도 및 60 내지 65%의 습도가 유지되도록 한 후 2 내지 4일 동안 발효시키며, 상기 고초균 배양액은 고두밥에 흑설탕을 10 내지 12중량% 혼합하고, 준비된 배지 위에 친환경 왕겨를 놓고 헝겊을 덮은 후, 25℃ 온도에서 1일 2회 생육에 수분을 분무하면서 1주일 동안 배양시켜 고초균을 생성시키고, 이를 쌀겨와 흑설탕이 50:50 중량비로 혼합된 배지에 다시 접종하여 25℃에서 1주일 동안 배양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며, 상기 고초균은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스피지제피아이(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메가테리움(Bacillus megaterium), 바실러스 리체니포르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및 바실러스 풀미스(Bacillus pumilu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되고, 상기 숙성된 오레가노 줄기와, 상기 발효된 오레가노 생잎을 혼합한 후 발효시켜 발효 오레가노 혼합물을 제조하되, 상기 발효 오레가노 혼합물은 상기 숙성된 오레가노 줄기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발효된 오레가노 생잎 300 내지 5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후, 60 내지 65℃의 온도 및 55 내지 60%의 습도에서 3 내지 5일 동안 발효시켜 제조되며, 상기 발효 오레가노 혼합물에 용매를 혼합하고 초음파를 가함으로써 오레가노 발효액을 제조하되, 상기 용매는 상기 발효 오레가노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300 내지 5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고, 상기 용매로는 에탄올이 사용되며, 상기 초음파는 60 내지 80KHz의 진동주파수에서 50 내지 100분 동안 100 내지 200와트(watt)의 출력을 이용하며, 상기 오레가노 발효액에서 고형분을 제거하고, 상기 고형분이 제거된 오레가노 발효액을 원심분리하여 오레가노 줄기와 생잎의 미세입자들이 위치하는 하층액과, 상기 하층액 상부에 위치하는 중층액 및 상층액으로 위치적으로 구분하여 분리하며, 상기 중층액 및 상층액에 위치하는 오레가노 발효액을 추출하는 과정을 거쳐 오레가노 오일을 제조하되, 상기 오레가노 오일은 오레가노 발효액 2000 내지 3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15ℓ로 85 내지 90℃에서 3~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70%(v/v) 에탄올수용액 4~6ℓ로 85 내지 90℃에서 2~3시간 동안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000 내지 1500㎖이 될 때까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에 에탄올을 가하여 2 내지 3배 중량으로 희석하고, 18,000~20,000rpm에서 30 내지 4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고분자 섬유소 및 고형분을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5~2.0배 중량의 아세트산으로 2회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아보카도 오일은, 아보카도를 준비한 후 세척하고,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를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에 침지시키되,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의 침지는 상기 아보카도를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가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혼합액에 침지시키고, 상기 산패 억제제는 비타민 C 및 소금용액이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소금용액은 농도가 1 내지 2 중량%인 소금용액이고,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 100 중량부에 대해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혼합액 100 내지 12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침지시킨 후 10 내지 40분 동안 유지시켜 진행되며, 상기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혼합액에 침지된 아보카도를 꺼내어 28 내지 32℃의 온도에서 60 내지 100분 동안 보관함으로써 상기 아보카도 내부로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성분이 침투되도록 하고, 상기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성분이 침투된 아보카도를 증숙하되, 상기 아보카도의 증숙은 상기 포도즙 및 산패 억제제의 성분이 침투된 아보카도를 수증기로 50분 내지 100분 동안 찜으로써 수행되며, 상기 증숙된 아보카도를 건조하되, 상기 증숙된 아보카도의 건조는 상기 증숙된 아보카도를 45 내지 5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건조된 아보카도를 초산 또는 구연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산으로 세척하며, 상기 세척된 아보카도에 배양액 및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발효액을 분무하되, 상기 유산균으로는 젖산균(Lactobacillales),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es) 및 비피도박테리움 롱굼(Bifidobacterium longu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유산균이 이용되고, 상기 배양액은 펩톤 15 내지 25 중량부, 맥아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시트르산나트륨 0.5 내지 1.5 중량부, 제2인산칼륨 0.1 내지 0.3 중량부, 글루코스 1 내지 3 중량부 및 증류수 100 내지 200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발효액이 분무된 아보카도를 45 내지 50℃의 온도 및 60 내지 65%의 습도를 유지하는 보관용기에서 3 내지 6일 동안 보관하여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된 아보카도를 냉풍 건조하되, 상기 발효된 아보카도의 냉풍 건조는 상기 발효된 아보카도를 3 내지 6℃의 온도의 냉풍으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고, 55 내지 60℃의 온도로 1 내지 3일 동안 유지함으로써 진행되며, 상기 냉풍 건조된 아보카도를 습도 70 내지 80%, 120 내지 150℃의 온도 및 3 내지 5kgf/cm2으로 압착한 후 오일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 제조되고,
    상기 녹차 오일은, (a) 분쇄된 녹차나무의 씨 1.5kg에 75%(v/v) 에탄올수용액 15ℓ로 80 내지 85℃에서 4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 8ℓ로 동일한 조건하에서 2차 추출을 완료하고, 진공회전증발기에서 1200 내지 1400㎖가 될 때까지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 중량배로 희석시키며, 14,000 내지 15,000rpm에서 30 내지 4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 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5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5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5회 추출하여 녹차 오일을 수득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62223A 2019-05-28 2019-05-28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3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223A KR102183639B1 (ko) 2019-05-28 2019-05-28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223A KR102183639B1 (ko) 2019-05-28 2019-05-28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639B1 true KR102183639B1 (ko) 2020-11-26

Family

ID=7367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223A KR102183639B1 (ko) 2019-05-28 2019-05-28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858A (ko) * 2021-09-14 2023-03-22 (주)와이제이비앤 손상 모발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782B1 (ko) * 2002-07-23 2005-10-14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듬균 조성물
KR101100678B1 (ko) 2009-06-04 2012-01-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554A (ko) 2010-07-19 2012-02-0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9263A (ko) * 2014-11-18 2016-05-26 정석훈 거품식 워터리스 샴푸 조성물
KR20180031119A (ko) 2016-09-19 2018-03-28 (주)모아캠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782B1 (ko) * 2002-07-23 2005-10-14 주식회사 내츄로바이오텍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듬균 조성물
KR101100678B1 (ko) 2009-06-04 2012-01-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554A (ko) 2010-07-19 2012-02-0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9263A (ko) * 2014-11-18 2016-05-26 정석훈 거품식 워터리스 샴푸 조성물
KR20180031119A (ko) 2016-09-19 2018-03-28 (주)모아캠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XTRACTED OIL FROM OREGANO (OREGANUM VULGARE) AS MAIN COMPONENT FOR ANTI-DANDRUFF SHAMPOO , 2017, pp. 1-32*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858A (ko) * 2021-09-14 2023-03-22 (주)와이제이비앤 손상 모발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75973B1 (ko) * 2021-09-14 2023-09-08 (주) 와이제이비앤 손상 모발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KR102006708B1 (ko)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2032298B1 (ko) 셀레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315986B2 (ja) ドクダミ成分を含む頭皮健康改善用スプレー組成物
KR20140030442A (ko) 새싹 발효액과 인삼열매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조성물
KR102353613B1 (ko) 천연 모발 염모제 조성물
KR102296688B1 (ko) 천연물 유래의 질 건강 유지용 조성물
KR102183639B1 (ko)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36304A (ko) 화산송이를 이용한 식물 추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4199B1 (ko) 산양삼 성분이 포함된 어성초 발효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어성초 발효 오일
KR101978698B1 (ko) 양파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관리 화장료 조성물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94240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
KR101598083B1 (ko)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10020633A (ko)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8166B1 (ko) 두피 건강 개선용 헤어 샴푸 조성물
KR102266968B1 (ko) 염색전용 트리트먼트 조성물
KR102169081B1 (ko)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모 및 발모 촉진과 탈모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2228735B1 (ko) 미세캡슐화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7752B1 (ko) 순지트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KR20130005005A (ko) 항염 및 항알러지 효과가 있는 바오밥나무, 자근, 참마, 연근 혼합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6655B1 (ko) 미세침 분말 및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0419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그 청국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