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683B1 -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683B1
KR102350683B1 KR1020200090293A KR20200090293A KR102350683B1 KR 102350683 B1 KR102350683 B1 KR 102350683B1 KR 1020200090293 A KR1020200090293 A KR 1020200090293A KR 20200090293 A KR20200090293 A KR 20200090293A KR 102350683 B1 KR102350683 B1 KR 102350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djustment mechanism
concave portion
tone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원
강성천
Original Assignee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6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3/00Cones, diaphragms, or the like, for emitting or receiving sound in gener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고, 코일이 권취된 보빈; 상기 보빈의 하측에 삽입되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에 결합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명판;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음조정기구; 상기 음조정기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피봇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탠드; 및 상기 스탠드와 결합되어, 상기 스탠드의 피봇 운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음조정기구가 삽입되는 관통공 주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씰링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ELECTRIC HOR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씰링 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장착되는 경음기는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 등에 장착되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큰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전방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위험 상황을 경고할 수 있는 장치이다.
경음기는 전자석이나 공기를 이용하여 진동판을 진동시킴으로써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로, 작동원리에 따라 공기식, 전기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현재는 대부분 전기식과 전자식이 사용된다.
전기식 경음기는 진동판(다이어프램, Diaphragm)과 공명판에 아마추어(Armature)를 축설하고, 아마추어의 하측에 전자석(폴)을 설치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면 진동판이 전자석에 의해 진동하여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전기식 경음시의 하우징에는 코일이 권선된 보빈이 수용되어 있고, 보빈의 축 중심에는 폴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전류가 흐르면 코일이 권선된 보빈의 내부에 결합된 폴이 자화(磁化)되면서 전자석이 되어 아마추어를 당기게 되고,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폴은 자화력을 상실하게 되어 아마추어에 결합된 진동판의 복원력에 의해 아마추어가 원위치로 돌아간다. 이와 같은 아마추어의 왕복 운동에 의하여 진동판이 진동하면서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기식 경음기는 코일에 가해지는 전류 단속에 따른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는데, 음질을 위해서는 조립 완료 후 진동판의 진동폭을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접점을 지지하는 스탠드를 피봇 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스탠드를 피봇 운동 시킬 수 있는 음조정기구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전기식 경음기의 조립 완료 후 음조정기구에 의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변화시켜 경음기의 음질을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음질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외력에 의해 그 조정값이 변화되거나 음조정나사와 하우징의 틈새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음조정기구와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채울 필요가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1)는 음조정기구(20)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음조정기구(20)와 이를 둘러싸는 음조정기구 지지부(22)의 주변부에 빠른 경화가 가능한 UV 본드를 도포하는 씰링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UV 본드는 쉽게 흘러내릴 수 있으므로 씰링 작업을 위해서 상기 음조정기구(20) 주변부에 별도의 틀과 같은 기구가 더 요구되기도 하였으며, UV 본드는 빠른 경화가 가능한 대신 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UV 본드는 경화되더라도 하우징 외부로 돌출된 것이므로 외력에 의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고, 만약 외력에 의해 UV 본드가 벗겨지게 되면 경음기 내부에 수분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초기 세팅한 음색이 변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음조정기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작업성을 향상시켜 씰링 성능을 향상시킨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가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씰링 작업의 편의성과 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고, 코일이 권취된 보빈; 상기 보빈의 하측에 삽입되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에 결합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명판;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음조정기구; 상기 음조정기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피봇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탠드; 및 상기 스탠드와 결합되어, 상기 스탠드의 피봇 운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음조정기구가 삽입되는 관통공 주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씰링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음조정기구가 결합되는 음조정기구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조정기구는 상기 음조정기구 지지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조정기구 지지부는, 상기 보빈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조정기구의 삽입 깊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스탠드가 피봇 운동하여 상기 접점의 위치 또는 각도가 변경되어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값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조정기구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에는 씰링부재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음조정기구의 상면보다 높게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 절곡부; 상기 하우징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오목부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는, 음조정기구가 삽입되는 오목부가 마련됨으로써 씰링부재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그가 불필요하여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고, 음조정기구 및 씰링부재가 하우징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아 씰링 성능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오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의 하우징에서 오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오목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의 하우징에서 오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상측, 하측, 위, 아래와 같이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를 사용할 때에는, 편의상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100)는, 컵 형상의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오목부(112), 상기 오목부(112)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는 음조정기구(120), 상기 음조정기구(120)의 둘레를 감싸는 음조정기구 지지부(130), 상기 음조정기구(120)의 하측과 접촉되는 스탠드(140), 상기 스탠드와 결합하는 접점(150),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수용되고, 코일이 권취되며 중공이 형성되는 보빈(160), 상기 보빈(160)의 중공에 삽입되는 아마추어(170), 상기 아마추어(170)의 하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측을 덮는 진동판(180), 상기 진동판(180)의 하측에 구비되는 공명판(19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경음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에 각종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부피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하측에는 상기 진동판(18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 상면에는 전원공급유닛(미도시)이 연결되는 커넥터가 결합되어 상기 코일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중앙 상부에는 상기 보빈(160)이 수용된다. 상기 보빈(160)에는 중공에 형성되어 상기 아마추어(170)가 삽입되고, 상기 보빈(160)의 외주면에는 코일이 권취된다. 이때 상기 보빈(160)의 중공에는 상기 아마추어(170)의 상측에 폴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폴은 상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화되어 상기 아마추어(170)를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한다.
상기 아마추어(17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아마추어(170)에 결합된 상기 진동판(180)에 탄성 변형이 일어난다. 이때 상기 아마추어(170)의 플랜지에 의해 판스프링이 눌리게 되면서 접점이 열려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된다. 그러면 상기 아마추어(170)를 당기는 힘이 사라지게 되어 상기 진동판(18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아마추어(170)가 다시 하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다시 접점이 닫혀 통전이 재개된다. 이와 같은 상기 아마추어(170)의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진동판(180)에 자려 진동이 발생하고, 이 소리가 상기 공명판(190)에 의해 지향성을 갖게 됨으로써 원거리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오목부(112)는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 가장자리 근처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112)의 중심은 관통공이 개구되어 있다. 상기 음조정기구(120)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음조정기구 지지부(130)가 상기 음조정기구(120)를 둘러싸고 있다.
상기 음조정기구(120)는 상기 음조정기구 지지부(130)에 나사 결합된다. 즉, 상기 음조정기구(120)의 외주면과 상기 음조정기구 지지부(130)의 내주면에는 서로 치합되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음조정기구(120)의 상면에는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음조정기구(120)의 하측에는 상기 스탠드(140)가 위치한다. 다만 상기 스탠드(140)는 반드시 상기 음조정기구(120)에 접촉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음조정기구(120)의 깊이 조절에 따라 피봇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면 충분하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스탠드(140)는 상기 음조정기구(120)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며, 중간부에는 상기 접점(150)과 결합된다. 상기 접점(150)의 아래 부분이 상기 스탠드(140)와 결합하고, 상기 접점(150)의 윗부분은 판스프링과 결합된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접점(150)을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음조정기구(120)의 깊이를 조절하면 상기 스탠드(140)가 피봇 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점(150)의 위치 또는 각도가 변화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값이 변화되어 경음기의 음색이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즉, 경음기가 적절한 음색을 갖도록 상기 음조정기구(120)를 체결시킴으로써 조정함으로써 경음기의 튜닝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조정기구(120)가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상기 음조정기구(120) 및 상기 음조정기구 지지부(130)와 상기 오목부(112) 사이의 틈새를 씰링부재(S)로 씰링한다. 상기 씰링부재(S)는 상기 오목부(112)로 인해 형성된 공간을 채우고 있을 뿐,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보다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튜닝 작업이 끝난 후에 상기 씰링부재(S)를 상기 오목부(112)에 채워넣고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음조정기구(120) 주변의 씰링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씰링부재(S)는 상기 음조정기구(120)의 상면보다는 높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보다는 낮은 높이만큼 채워진다.
상기 씰링부재(S)는 경화될 때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지만, 경화되기 전까지 상기 오목부(112)에 고여 있을 뿐, 상기 오목부(112)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씰링부재(S)는 신속하게 경화되는 고가의 소재가 요구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핫멜트 접착제와 같은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S)가 완전히 경화되고 나면, 상기 음조정기구(120)가 상기 오목부(112)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음색이 변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음조정기구가 하우징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있었으므로 씰링부재를 음조정기구의 주변에 도포하되 흘러내리지 않도록 별도의 지그와 같은 도구가 필요했고 UV 본드와 같은 비교적 고가의 소재가 요구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는 이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면서 씰링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오목부(112)는 제1 절곡부(112a), 연결부(112b) 및 제2 절곡부(112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절곡부(112a)는 상기 오목부(112)의 외측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112b)는 상기 하우징(110)의 하측으로 곧게 연장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는 원통 형상이다. 상기 제2 절곡부(112c)는 상기 오목부(112)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2 절곡부(112c)의 중심측은 개구되어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절곡부(112c)의 내측 단부는 상기 음조정기구 지지부(130)와 접촉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조정기구 지지부(130)의 상측 단부에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음조정기구 지지부(130)를 상기 관통공의 하측에서부터 밀어올림으로써 상기 관통공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다만, 이러한 결합 구조는 예시적인 것일 뿐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100)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씰링부재(S)를 상기 오목부(112)에 채워넣기만 하면 되므로 씰링 작업에 있어 별도의 지그 등이 불필요하여 작업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상기 음조정기구(120)가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력에 의한 씰링 손상이 방지된다. 이에 의하여, 의도치 않은 경음기의 음색 변화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씰링부재(S)는 상기 오목부(112)에 채워넣어짐으로써 흘러내리지 않고 경화되므로, 단시간에 경화되는 고가의 소재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이에 의하여, 제작 비용이 절약된다.
100: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110: 하우징
112: 오목부
112a: 제1 절곡부
112b: 연결부
112c: 제2 절곡부
120: 음조정기구
130: 음조정기구 지지부
140: 스탠드
150: 접점
160: 보빈
170: 아마추어
180: 진동판
190: 공명판
S: 씰링부재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안착되고, 코일이 권취된 보빈;
    상기 보빈의 하측에 삽입되는 아마추어;
    상기 아마추어에 결합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명판;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음조정기구;
    상기 음조정기구의 하측에 배치되고, 피봇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탠드; 및
    상기 스탠드와 결합되어, 상기 스탠드의 피봇 운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음조정기구가 삽입되는 관통공 주변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음조정기구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오목부에는 씰링부재가 채워지고,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음조정기구의 상면보다 높게 채워지고,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오목부에 채워진 후 경화됨으로써 상기 음조정기구를 상기 오목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조정기구가 결합되는 음조정기구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조정기구는 상기 음조정기구 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조정기구 지지부는, 상기 보빈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조정기구의 삽입 깊이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스탠드가 피봇 운동하여 상기 접점의 위치 또는 각도가 변경되어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값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측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1 절곡부;
    상기 하우징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상기 오목부의 중심을 향하여 절곡되는 제2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KR1020200090293A 2020-07-21 2020-07-21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KR102350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93A KR102350683B1 (ko) 2020-07-21 2020-07-21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293A KR102350683B1 (ko) 2020-07-21 2020-07-21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683B1 true KR102350683B1 (ko) 2022-01-14

Family

ID=79342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293A KR102350683B1 (ko) 2020-07-21 2020-07-21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6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8578A (zh) * 2023-12-11 2024-01-12 东风亚普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油箱油泵阻值检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1687A (ja) * 1996-05-22 1997-12-02 Maruko Keihouki Kk 電気式ホーン
KR19990015955U (ko) * 1997-10-22 1999-05-15 오상수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JP2003198155A (ja) * 2001-12-21 2003-07-11 Nec Saitama Ltd キャップ実装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1687A (ja) * 1996-05-22 1997-12-02 Maruko Keihouki Kk 電気式ホーン
KR19990015955U (ko) * 1997-10-22 1999-05-15 오상수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JP2003198155A (ja) * 2001-12-21 2003-07-11 Nec Saitama Ltd キャップ実装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8578A (zh) * 2023-12-11 2024-01-12 东风亚普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油箱油泵阻值检测装置
CN117388578B (zh) * 2023-12-11 2024-03-01 东风亚普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油箱油泵阻值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0648A1 (en) Speaker device and speaker unit
KR102350683B1 (ko)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US11569704B2 (en) In-wheel motor
KR101134612B1 (ko) 장방형 스피커 모듈
JP5082401B2 (ja) スピーカの製造方法、スピーカおよびスピーカ製造用治具
JP4578202B2 (ja) 車両用の内装板を振動板としたスピーカ装置及び車両用の内装板
WO2022113819A1 (ja) アクチュエータ
JP4465202B2 (ja) モータの制振取付構造
JP2020078125A (ja) 制御装置及びモータ装置
JP5013902B2 (ja) ヘッドホン
JP7003303B2 (ja) 電子機器
KR200161860Y1 (ko)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JP4704188B2 (ja) エキサイタの磁気回路構造
KR20140110126A (ko) 차량용 가상 엔진 사운드 발생 장치
KR0128613Y1 (ko)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
JP4343761B2 (ja) スピーカ装置及びホルダ
KR102371816B1 (ko) 차량용 경음기 커넥터
JP3207751B2 (ja) 電気式ホーン
KR101980295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JP2001195073A (ja) 車両用ホーンのエアギャップ調整方法
JP2009220802A (ja) 液圧制御装置
JP3956488B2 (ja) 小型スピーカの固定構造
KR20190136475A (ko) 리니어 진동모터 및 리니어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장착방법
JPH062324Y2 (ja) 空洞共振器
KR101888833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