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613Y1 -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 - Google Patents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613Y1
KR0128613Y1 KR2019940032412U KR19940032412U KR0128613Y1 KR 0128613 Y1 KR0128613 Y1 KR 0128613Y1 KR 2019940032412 U KR2019940032412 U KR 2019940032412U KR 19940032412 U KR19940032412 U KR 19940032412U KR 0128613 Y1 KR0128613 Y1 KR 0128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horn
air gap
diaphragm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699U (ko
Inventor
이동수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2019940032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613Y1/ko
Publication of KR9600186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6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6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8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magnetostrictive driv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폴의 자화에 따라 전기자가 왕복이동되면서 진동판이 진동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혼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9)의 수나사부(9a)가 통과되어 너트(20)를 체결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7a)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7a)과 인접되어 적어도 하나이상의 안내구멍(7b)이 형성되는 진동판(7)과; 상기 전기자(9)의 수나사부(9a)가 체결되는 암나사부(22)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진동판(7)의 하측면에 위치되도록 지지부(23)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23)의 상측방향으로 너트(26)가 체결되는 수나사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구멍(7b)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안내핀(25)이 형성되는 스페이서(21)를 포함한다.
따라서, 폴과 전기자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이 단순한 구조의 스페이서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되어 혼의 음압 및 음질이 향상되며, 제품의 불량요인이 제거되어 생산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혼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갭 조절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폴 7 : 진동판
7b : 안내구멍 9 : 전기자
9a,24 : 수나사부 20,26 : 너트
21 : 스페이서 22 : 암나사부
25 : 안내핀 G : 에어갭
본 고안은 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의 승, 하강이동에 따라 에어갭의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한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차량에는 혼(horn)이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중 위험한 상황을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것으로, 혼은 공기식과 전기식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전기식 혼의 직경은 80mm, 100mm의 2종류가 제작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혼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의 중앙에 풀(pole : 2)이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장착되고, 이 폴(2)의 외측에 코일(coil : 3)이 장착된다. 이 케이스(1)의 한쪽측면에는 고정 및 가동판(4, 5)이 각각 설치되며, 이 고정 및 가동판(4, 5) 사이에는 접점부(6)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의 상부에는 진동판(diaphragm : 7)의 테두리가 가스켓(gasket : 8)위에 지지되어 장착되고, 진동판(7)의 하측면 중앙에는 전기자(armature : 9)가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설치되며, 진동판(7)과 전기자(9) 사이에는 다수의 와셔(10)들 설치되고, 이 와셔(10)들은 두께가 서로 다른 여러종류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한 전기자(9)는 와셔(10)들의 설치에 의해 폴(2)과 일정한 에어갭(air gap : G)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며, 이 에어갭(G)은 음압을 상승시키는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혼은, 코일(3)에 전원이 인가되어 폴(2)이 자화되면, 전기자(9)는 폴(2)측으로 인력을 부여받아 당겨지면서 폴(2)과 부딪치게 된다. 이때, 폴(2)과 전기자(9)가 서로 부딪치면서 진동판(7)이 진동하여 소리가 발생되는데, 에어갭(G)은 충격력(impact power)을 크게 하여 음압을 상승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고정 및 가동판(4, 5)의 작동에 의해 접점부(6)가 반복적으로 단속되며, 이에 따라 전원이 코일(3)에 차단 또는 인가되면서 전기자(9)가 왕복이동됨으로써, 진동판(7)이 진동되어 경보음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에어갭(G)의 조절에 따라 음압이 변화되어 경보음이 발생되므로 혼의 정상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혼마다 최적의 에어갭(G)을 조절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혼은 완전히 조립된 후에는, 폴(2)과 전기자(9)가 나사체결방식에 의해 케이스(1)와 진동판(7)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폴(2)과 전기자(9) 사이의 에어갭(G)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즉, 혼의 조립단계에서 에어갭(G)을 설계에 알맞도록 적정하게 설정하지 못한 경우에는, 음압이 다르게 발생되어 제품의 주요 불량요인으로 작용되며, 경보음의 음질에 차이가 심하게 발생되어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에어갭(G)이 와셔(10)들의 설치방법에 따라 조절되므로 작업이 곤란해지는 등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폴과 전기자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을 용이하게 조절하여 혼의 음압 및 음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품의 불량요인을 제거하여 생산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폴의 자화에 따라 전기자가 왕복이동되면서 진동판이 진동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혼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의 수나사부가 통과되어 너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과 인접되어 적어도 하나이상의 안내구멍이 형성되는 진동판과; 상기 전기자의 수나사부가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진동판의 하측면에 위치되도록 지지부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의 상측방향으로 너트가 체결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구멍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안내핀이 형성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게하게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제1도에서 이미 설명한 일반적인 혼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전기자(9)의 상측면 중앙에는 수나사부(9a)가 형성되고, 이 전기자(9)의 수나사부(9a)는 진동판(7)의 중앙에 관통구멍(7a)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전기자(9)의 수나사부(9a)에는 너트(20)가 체결되며, 진동판(7)의 관통구멍(7a)과 인접되는 위치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안내구멍(7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진동판(7)과 전기자(9)사이에는 스페이서(spacer : 21)가 개재되는 것으로, 스페이서(21)의 중앙에는 전기자(9)의 수나사부(9a)가 체결되는 암나사부(22)가 형성되고, 이 스페이서(21)에는 진동판(7)의 하측면에 위치되는 지지부(23)가 형성된다.
또한, 스페이서(21)는 지지부(23)의 상측방향에 수나사부(24)가 형성되며, 지지부(23)에는 진동판(7)의 안내구멍(7b)에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지는 안내핀(25)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스페이서(21)의 암나사부(22)와 수나사부(24)는 동축선상에 형성되고, 수나사부(24)는 진동판(7)의 관통구멍(7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이 수나사부(24)에는 너트(26)가 체결되고, 상기한 스페이서(21)의 수나사부(24)상에는 전기자(9)의 수나사부(9a)에 체결된 너트(20)가 위치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에 대한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혼의 조립단계에서 폴(2)과 전기자(9) 사이에 에어갭(G)을 설계에 알맞도록 적정하게 설정하여 조립한다. 이때, 전기자(9)의 수나사부(9a)는 스페이서(21)의 암나사부(22)에 체결되며 그 끝부분에는 너트(20)가 체결되고, 스페이서(21)의 수나사수(24)에는 너트(26)가 체결되어 전기자(9)가 진동판(7)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한 에어갭(G)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자(9)의 수나사부(9a)에 체결된 너트(20)를 풀어 준 상태에서, 이 수나사부(9a)를 스페이서(21)의 암나사부(22)를 통해 풀어주거나 혹은 체결시키면, 전기자(9)는 수나사부(9a)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 하강 이동된다.
여기에서, 전기자(9)의 수나사부(9a)를 회전시킬 경우에 스페이서(21)는 그 안내핀(25)이 진동판(7)의 안내구멍(7b)에 끼워져 회전이 방지되므로, 수나사부(9a)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나사부(9a)의 회전을 완료시킨 후에 너트(20)을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고, 스페이서(20)는 너트(26)의 체결에 의해 진동판(7)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자(9)와 폴(2) 사이의 에어갭(G)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에어갭(G)은 수나사부(9a)의 피치(pitch)에 따라 미세하게 조절됨으로써, 혼의 조립후에도 에어갭(G)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혼의 음압 및 음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에어갭(G)에 의해 발생되었던 제품의 불량요인이 간단하게 제거되어 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에어갭(G)의 조절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는, 폴과 전기자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이 단순한 구조의 스페이서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되어 혼의 음압 및 음질이 향상되며, 제품의 불량요인이 제거되어 생산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폴의 자화에 따라 전기자가 왕복이동되면서 진동판이 진동하여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혼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9)의 수나사부(9a)가 통과되어 너트(20)를 체결할 수 있도록 관통구멍(7a)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7a)과 인접되어 적어도 하나이상의 안내구멍(7b)이 형성되는 진동판(7)과; 상기 전기자(9)의 수나사부(9a)가 체결되는 암나사부(22)가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진동판(7)의 하측면에 위치되도록 지지부(23)가 형성되고, 이 지지부(23)의 상측방향으로 너트(26)가 체결되는 수나사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안내구멍(7b)에 대응되어 끼워지는 안내핀(25)이 형성되는 스페이서(21)을 포함하는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
KR2019940032412U 1994-11-30 1994-11-30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 KR01286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412U KR0128613Y1 (ko) 1994-11-30 1994-11-30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412U KR0128613Y1 (ko) 1994-11-30 1994-11-30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699U KR960018699U (ko) 1996-06-19
KR0128613Y1 true KR0128613Y1 (ko) 1999-03-20

Family

ID=19400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412U KR0128613Y1 (ko) 1994-11-30 1994-11-30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6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277B1 (ko) * 2017-02-13 2018-06-12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경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277B1 (ko) * 2017-02-13 2018-06-12 주식회사 인팩 차량용 경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699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22971B1 (en) Loudspeaker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ing loudspeaker
US6907969B2 (en) Active type dynamic damper
KR0128613Y1 (ko)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
JP2007177849A (ja) ブラケットの固定構造
KR102350683B1 (ko)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US6206333B1 (en) Motor mount for vehicular seat apparatus
KR200161860Y1 (ko)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US20050184128A1 (en) Wire bonding apparatus
US7324658B2 (en) Speaker
US4692043A (en) Wire dot-printing head
JPH0513032Y2 (ko)
KR0134819Y1 (ko)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KR20000004626U (ko) 경음기의 에어갭 조절장치 및 방법
CN216980436U (zh) 断路器
KR200290513Y1 (ko) 엔진 브라켓용 스터드 너트
KR19990037317U (ko) 재활용이 용이한 스피커
JPH0885403A (ja) バンパ取付構造
KR200143046Y1 (ko) 자동차용 경음기의 고정구조
JPS61166597A (ja) 電気式ホ−ン
JPH1124653A (ja) ピアノ用響板のむくり調節装置およびピアノ
KR19990032408U (ko)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
KR101201819B1 (ko) 그로멧 플레어링공구
KR200249757Y1 (ko) 자동차차체의조립단차저감구조
KR200344094Y1 (ko) 페달 조립체
JPH11116027A (ja) 楕円振動パーツフィ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