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819Y1 -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819Y1
KR0134819Y1 KR2019950028286U KR19950028286U KR0134819Y1 KR 0134819 Y1 KR0134819 Y1 KR 0134819Y1 KR 2019950028286 U KR2019950028286 U KR 2019950028286U KR 19950028286 U KR19950028286 U KR 19950028286U KR 0134819 Y1 KR0134819 Y1 KR 01348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lip
checker
fastening
suppor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643U (ko
Inventor
윤영관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2019950028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819Y1/ko
Publication of KR9700196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6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8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0Means for indicating condition of fus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fuse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력 계통에 설치되는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조립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퓨즈 체커가 정확하게 작동할수 있도록 하여 전력 계통의 원방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 내에 내장된 파워퓨즈(17)의 일측에 상부 클립(1)과 하부클립(11)을 설치하여 상기 클립에 지지브라켓(5)을 결합하고 지지브라켓에는 파워퓨즈의 동작을 체크하는 퓨즈체커(7)를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립(1)에 체결공(2)을 가진 체결편(3)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브라켓(5)에는 통공(4)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과 체결공으로 체결나사를 결합함에 따라 클립의 일측 끝단과 퓨즈체커 사이의 거리(ℓ)가 일정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장착 구조이다.

Description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제1도는 종래의 전자 접촉기에 퓨즈 체커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퓨즈 체커가 터미널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상·하부클립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부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에 퓨즈 체커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퓨즈체커가 상부클립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상·하부클립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8도는 제6도의 B부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부클립 2 : 체결공
3 : 체결편 4 : 통공
5 : 지지브라켓 6 : 체결나사
본 고안은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 동작시 퓨즈 체커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고안의 관련 기술 분야에 적용되는 고압 진공 전자 접촉기는 변압기 1차측의 개폐, 주전원 개폐, 고압 전동기의 운전용 등으로 이용된다.
또한, 이와 같이 이용되는 고압 진공 전자 접촉기는 개폐를 주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차단작용을 주목적으로 하는 차단기보다는 개폐수명은 길지만 차단성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는 차단 성능이 떨어지는 일반 고압 진공 전자 접촉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파워 퓨즈(Power Fuse)(17)를 내장하며, 전력 계통의 사고 등에 의해 파워 퓨즈(17)가 동작되었을 때, 원방에서 파워 퓨즈(17)의 동작여부를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퓨즈 체커(7)를 내장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미널(9)에 형성된 통공(10) 상부에 하부클립(11)의 통공(12)과 퓨즈 체커(7)를 지지하는 지지브라켓(5a)의 장공(4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체결볼트(13)를 상기 지지브라켓(5a)과 하부클립(11) 및 터미널(9)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상기 체결볼트(13)에 너트(14)를 가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브라켓(5a)과 하부클립(11)을 터미널(9)에 가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브라켓(5a)을 장공(4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움직여 상·하부클립(1a),(11)과 퓨즈 체커(7) 사이의 간격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정간격(ℓgap)을 유지하도록 위치 조정을 한 상태에서, 체결볼트(13)에 너트(14)를 견고히 체결한다.
그 다음, 하부클립(11)에 상부클립(1a)을 나사(16)로 체결하므로써 퓨즈 체커(7)의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퓨즈 체커(7)가 조립되는 종래의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는 전력계통에 단락 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파워 퓨즈(17) 내의 부품인 엘리먼트 및 표시선(도시는 생략함)이 열화·용융되어 끊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파워 퓨즈(17)에 내장된 압축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퓨즈 체커(7) 작동용 플런저(18)가 클립 밖으로 돌출되면서 퓨즈 체커(7)를 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퓨즈 체커(7)에 연결된 작용 케이블(19)은 마이크로 스위치 레버(20)의 일단을 밀게 되고, 이에 따른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레버(20)의 지렛대 작용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21)의 접점에 변화가 일어난다.
이와 같은, 접점 변화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21)의 COM-NO(Common-Normal Open)단자가 폐회로를 구성하여 경고 등이 점등되거나 경고음을 울리므로써 퓨즈 체거(7)가 동작됨을 원방에서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계통에 단락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으므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는 퓨즈 체커(7)의 지지브라켓(5a)을 하부클립(11)에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체결볼트(13)를 상기 지지브라켓(5a)과 하부클립(11) 및 터미널(9)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상기 체결볼트(13)에 너트(14)를 가체결하고 상·하부클립(1a),(11)과 퓨즈 체커(7) 사이의 간격 조정을 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작업시 번거러움을 겪게되며 작업시간이 길어져 작업성이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파워 퓨즈(17)에 흐르는 전류가 대전류일 경우에는 상·하부클립(1a),(11)의 폭이 커져야 하고, 이에 따라 지지브라켓(5a)도 장공(4a)의 길이가 다른 것으로 교체되어야 하므로 인해 여러 종류의 퓨즈 체커 지지브라켓(5a)이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 등 관리상의 불편함이 수반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동작시 작용하는 강한 개폐력에 기인한 진동에 의해 체결볼트(13)와 너트(14)의 체결상태가 풀려 느슨해지면, 지지브라켓(5a)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하부클립(1),(11)과 퓨즈 체커(7)와의 간격 크기에 변화가 일어난다.
이로 인해, 상기 퓨즈 체커(7)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원방에서 이를 인지할 수 없어 전력 계통의 단락 사고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력 계통에 설치되는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푸즈 체커 조립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퓨즈 체커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 계통의 원방 제어가 신속·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상부 클립에 클립의 폭치수에 관계없이 일측 선단으로부터 체결공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체결편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에 지지브라켓을 체결나사로 체결하여서 된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첨부 도면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퓨즈 체커가 터미널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제7도는 제6도의 상·하부클립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8도는 제6도의 B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상부클립(1)에 클립의 폭치수에 관계없이 일측 선단으로부터 체결공(2)의 중심까지의 거리(ℓc)가 일정하도록 절곡 형성된 체결편(3)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편(3)의 체결공(2)에 통공(4)이 형성된 지지브라켓(5)을 체결나사(6)로 체결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5도 내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7)를 조립시, 먼저 프레임(8)에 결합된 터미널(9)의 통공(10)과 하부클립(11)의 통공(12)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클립(11) 및 터미널(9)의 통공(10),(12)을 관통하도록 체결볼트(13)를 삽입한 후, 상기 체결볼트(13)에 너트(14)를 체결하여 하부클립(11)을 터미널(9)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상기 하부클립(11)의 나사 체결공(15)과 상부클립(1)의 나사 체결공(15)을 맞춘 상태에서 나사(16)를 상기 나사 체결공(15)을 관통하도록 체결하여 하부클립(11)에 상부클립(1)을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하부클립(1),(11)의 조립이 끝난 후에는 퓨즈 체커(7)를 파지하여 퓨즈 체커(7)에 결합된 지지브라켓(5)의 통공(4)과 상부클립(1)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편(3)의 체결공(2)을 일치시킨 후, 상기 지지브라켓(5)의 통공(4)과 상부클립(1)의 체결공(2)을 관통하도록 체결나사(6)를 체결하여 지지브라켓(5)을 상부클립(1)의 체결편(3)에 고정시키므로써 퓨즈 체커(7)의 장착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전력 계통에 단락 사고가 발생하여 파워 퓨즈(17) 내의 부품인 엘리먼트 및 표시선이 열화·용융되어 끊어지면 파워 퓨즈(17)에 내장된 압축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퓨즈 체커(7) 작동용 플런저(18)가 클립 밖으로 돌출되면서 퓨즈 체커(7)를 밀게 된다.
이때, 상기 퓨즈 체커(7)와 상·하부클립(1),(11) 사이의 간격(ℓ)은 상·하부클립(1)(11)의 폭치수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데, 이는 상기 상부클립(1)에 체결편(3)을 형성시 상면의 체결공(2) 중심으로부터 상부클립(1) 선단까지의 거리(ℓc)가 일정하게 되도록 체결편(3)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퓨즈 체커(7) 작동용 플런저(18)가 클립 밖으로 돌출되면서 퓨즈 체커(7)를 밀게 되면, 상기 퓨즈 체커(7)에 연결된 작동용 플런저(18)가 클립 밖으로 작용 케이블(19)이 마이크로 스위치 레버(20)를 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레버(20) 지렛대 작용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21)의 접점에 변화가 일어난다.
이와 같은, 접점변화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21)의 COM-NO(Common-Normal Open)단자가 폐회로를 구성하여 경고 등이 점등되거나 경고음을 울려 원방에서 작업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됨은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클립(1)의 상부에, 지지브라켓(5)의 장착시 상·하부클립(1),(11)과 퓨즈 체커(7)의 간격(ℓ)이 상·하부클립(1),(11)의 폭치수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되도록 체결편(3)을 형성하므로 인해 지지브라켓(5)의 규격을 단일화하여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와 같이 가체결한 상태에서 지지브라켓(5a)의 위치 조정을 위해 형성했던 장공(4a)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퓨즈 체커(7)의 조립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한 체결 작업에 따라 퓨즈 체커(7)와 상·하부클립(1),(11) 사이의 간격(ℓ)이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설정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에 따라, 전력 계통의 단락 사고시, 퓨즈 체커(7)의 정확한 작동에 의한 접점의 변경이 확실하게 수행되어 경고 등이 점등되거나 경고음을 울림에 따라 원방의 작업자가 이를 인식하여 신속히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인해 전력 계통의 제어 및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력 계통에 설치되는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7) 조립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퓨즈 체커(7)가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 계통의 원방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전자접촉기 내에 내장된 파워퓨즈(17)의 일측에 상부 클립(1)과 하부클립(11)을 설치하여 상기 클립에 지지브라켓(5)을 결합하고 지지브라켓에는 파워퓨즈의 동작을 체크하는 퓨즈체커(7)를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립(1)에 체결공(2)을 가진 체결편(3)을 설치하고 상기 지지브라켓(5)에는 통공(4)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과 체결공으로 체결나사를 결합함에 따라 클립의 일측 끝단과 퓨즈체커 사이의 거리(ℓ)가 일정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KR2019950028286U 1995-10-10 1995-10-10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KR0134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286U KR0134819Y1 (ko) 1995-10-10 1995-10-10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286U KR0134819Y1 (ko) 1995-10-10 1995-10-10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643U KR970019643U (ko) 1997-05-26
KR0134819Y1 true KR0134819Y1 (ko) 1999-01-15

Family

ID=19425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286U KR0134819Y1 (ko) 1995-10-10 1995-10-10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8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893Y1 (ko) * 2008-12-31 2011-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퓨즈 체킹장치
KR101048250B1 (ko) * 2009-06-08 2011-07-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개폐기의 퓨즈 설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893Y1 (ko) * 2008-12-31 2011-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퓨즈 체킹장치
KR101048250B1 (ko) * 2009-06-08 2011-07-0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진공 개폐기의 퓨즈 설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643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635B1 (ko) 선풍기
CA2593284C (en) Maglatch mechanism for use in lighting control pod
KR0134819Y1 (ko)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KR100253490B1 (ko) 차량용 레버스위치의 구조
BR0201108B1 (pt) montagem de espelho, e, processo para executar serviÇo em uma montagem de espelho de veÍculo.
KR200483252Y1 (ko) 회로 차단기의 과전류 계전기용 정격 설정 장치
KR200304676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고정구조
KR200224244Y1 (ko)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
KR200235382Y1 (ko) 인쇄회로기판유동방지기구
KR200452893Y1 (ko) 퓨즈 체킹장치
KR200161860Y1 (ko)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JPH019091Y2 (ko)
KR200494733Y1 (ko) 전자접촉기 및 이의 단자구조
KR820001314Y1 (ko) 회로차단기에서의 보조스위치의 부가구조
KR950004598Y1 (ko) 퓨우즈 단락신호 전달장치
KR200270824Y1 (ko) 배전함내 변류기의 고정 장치
KR200437401Y1 (ko) 기중차단기용 개폐기구의 버튼 지지 핀 고정장치
KR0140560Y1 (ko) 모니터의 다용도 버튼 프레임
JP3228997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回路遮断器
KR100262658B1 (ko) 진공차단기용 주회로부의 통전장치
KR20030026631A (ko) 차량용 스위치 장착구조
KR200162002Y1 (ko) 프린터의 전원차단 장치
JPS64687Y2 (ko)
CN117877931A (zh) 带强制导向接点的继电器
KR200196965Y1 (ko) 전자 개폐기용 여자코일 어셈블리의 단자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