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244Y1 -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4244Y1
KR200224244Y1 KR2019980000667U KR19980000667U KR200224244Y1 KR 200224244 Y1 KR200224244 Y1 KR 200224244Y1 KR 2019980000667 U KR2019980000667 U KR 2019980000667U KR 19980000667 U KR19980000667 U KR 19980000667U KR 200224244 Y1 KR200224244 Y1 KR 200224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coupled
contact
circuit break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356U (ko
Inventor
김근의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80000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244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3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3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244Y1/ko

Links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진공차단기가 투입, 차단시에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에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되는 푸쉬로드가 주회로부에 원활하게 결합되고, 푸쉬로드에 의해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원활하게 접속 및 분리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주회로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설치된 진공 인터럽터(6)와, 상기 가동접점에 고정된 가동단자(11)와, 상기 가동단자에 연결된 하부단자(6)와, 상기 주회로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접점에 적정한 가압력을 주는 푸쉬 로드(13)와, 상기 푸쉬로드 내에 결합된 스터드의 외주연부를 감싸는 레귤레이터(19)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외주연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및 스프링캡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단자(8)에 장공(104)이 있는 벌브 가이드(101)를 고정하고 가동단자(11)에는 체결공(105)이 있는 써포터(102)를 고정하여 상기 장공과 체결공 및 푸쉬 로드의 결합공(103)을 통해 힌지(106)를 결합하며, 상기 레귤레이터의 외주연부와 코일스프링(20)의 내주면이 접촉되도록 결합하여서 된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이다.

Description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structure of push rod in vacuum circuit breaker}
본 고안은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Push Rod)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차단기는 정상부하시의 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에 발생되는 아크(Arc)를 진공 용기 내에서 소호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시키는 회로 및 기기보호용 기기이다.
이와 같은 진공차단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레들(Cradle)(1)과, 상기 크레들(1)의 상단면을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인입, 출되는 대차부(2)와, 상기 대차부(2)의 후방에 결합된 주회로부(3) 및 보조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 부품들은 외곽에 설치된 배전반(4)에 의해 감싸져 있다.
상기 주회로부(3)에는 통전부, 절연부, 소호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통전부는 접점을 구성하는 주변 요소로서, 접점은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동접점은 진공차단기의 기계가동부와 연동되어 진공차단기가 ‘투입’상태인 경우에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접촉되어 있고, 접촉저항에 의해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억제하지 않도록 가동접점면에 충분한 압력이 걸리도록 하고 있으며, 차단시에는 가동접점이 적당한 속도로 적당한 차단거리까지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절연부는 절연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에폭시 몰드 또는 비엠시(BMC) 수지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촉저항(Contact Resistance)은 도체의 접촉부분에는 다른부분보다 큰 저항이 존재하고, 그 때문에 열이 생기는 일이 있다. 상기 접촉저항을 작게 하려면 접점간의 간격을 줄이거나 맞닿도록 하면 접촉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소호장치는 진공차단기의 접점개폐 및 사고전류 차단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게 된다.
상기 대차부(2)는 진공차단기의 접점을 개폐하는 기계적인 메카니즘을 말하는 것으로, 진공차단기의 전면에 구성되어 있는 모든 작동장치가 해당된다.
그리고, 보조장치는 진공차단기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부속장치로서, 제어장치, 인터록 장치, 인입, 출장치가 해당되는 것이다.
상기 주회로부(3)는 도 2에서와 같이, 몰드 하우징(5)과, 상기 몰드 하우징(5) 내에 설치된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6)와, 상기 진공 인터럽터(6)에 결합되는 상부단자(7)와, 상기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설치된 고정접점(9)과 접속 및 분리되도록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설치된 가동접점(10)과, 상기 가동접점(10)에 고정된 가동단자(11)와, 상기 가동단자(11)의 하부에 결합되고, 접점에 적정한 가압력을 주도록 대차부(2) 내에 힌지결합된 체인지 레버(12)의 타단과 하부가 결합된 푸쉬로드(13)와, 상기 가동단자(11)의 하부가 결합되고, 푸쉬로드(13)의 상부가 결합되는 클램프(14)와, 상기 푸쉬 로드(13)의 상부에 위치되어 몰드 하우징(5)에 결합되는 하부단자(8)와, 상기 클램프(14)에 일단은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단자(8)에 결합되는 션트(Shunt)(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설치된 고정접점(9)은 상부단자(7)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설치된 가동접점(10)은 가동단자(11)와 클램프 (14)및 션트(15)를 통해 하부단자(8)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진공차단기는 주회로부(3)의 몰드 하우징(5)에 상, 하부단자(7)(8)를 고정시키고, 상기 상부단자(7)와 진공 인터럽터(6) 및 클램프(14)와 상기 클램프(14)에 일단이 결합된 션트(15) 등 각 부품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몰드 하우징(5) 내에 삽입된다.
상기 삽입된 각 부품들을 몰드 하우징(5) 내에 결합하고 나서 상기 몰드 하우징(5)의 하부를 통해 푸쉬로드(13)가 삽입되어 상기 진공 인터럽터(6)의 가동단자(10) 하부에 결합된 클램프(14)에 푸쉬로드(13)의 상부가 결합되며, 상기 션트(15)의 타단은 하부단자(8)에 고정된다.
상기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설치된 가동접점(10)의 하부에 고정된 가동단자(11)의 하부는 벨로우즈(미도시)에 의해 진공상태로 감싸져 있고, 상기 대차부(2) 내에 힌지결합된 체인지 레버(12)의 타단과 푸쉬로드(13)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12)에 의해 푸쉬로드(13)가 상하로 왕복이동되면서 상기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설치된 가동접점(10)과 고정접점(9)이 접속 및 분리되므로 상기 진공차단기로 전원이 공급, 차단되어 상기 진공차단기는 운전 및 정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대차부(2) 내에 힌지결합된 체인지 레버(12)의 회전력에 의해 가동단자(11)에 직선운동으로 전달하여 주고, 진공차단기가 투입시에는 접점간에 적정한 가압력을 주는 푸쉬로드(13)의 구조는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푸쉬 로드(13)의 일단에 가동단자(11)와 연결되게 클램프(14)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나사부(16)와, 상기 푸쉬 로드(13)의 하부에 개방된 공간홈부(17) 내에 결합된 스터드(18)와, 상기 스터드(18)의 외주연부를 감싸는 레귤레이터(Regulator)(19)와, 상기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에 설치된 원통형의 코일스프링(20)과 원형의 스프링캡(21)과, 상기 스프링캡(21)의 표면에 형성되어 코일스프링(2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일스프링(20)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복수개의 엠보싱(22)과, 상기 스프링캡(21)의 하방에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23)와, 상기 스페이서(23)의 하방에 위치되어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에 결합되는 조인트먼트(24)와, 상기 조인트먼트(24)의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체인지 레버(12)의 타단과 결합되는 힌지핀(25)과, 상기 스터드(18)에 결합된 각 부품들이 푸쉬로드(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터드(18)의 하부에 체결되는 와셔(26)와 너트(27)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 구조는 푸쉬 로드(13)의 공간홈부(17) 내에 결합된 스터드(18)의 외주연부를 감싸도록 레귤레이터(19)가 결합되고, 상기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에 스프링캡(21)과 코일스프링(20) 및 스프링캡(21)이 삽입된 다음 상기 하측의 스프링캡(21) 하부에 스페이서(23)를 결합하고 나서 상기 스페이서(23)의 하방에 조인트먼트(24)가 결합되면 상기 스터드(18) 하단에 와셔(26)와 너트(27)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각 부품들이 푸쉬 로드(13)에 결합이 완료되면 푸쉬 로드(13)를 잡고 몰드 하우징(5)의 하부에서 삽입시켜 푸쉬 로드(13)의 상부가 클램프(14)와 접촉되면 클램프(14)를 고정시킨 다음 상기 푸쉬로드(13)를 회전시켜 상기 푸쉬로드(13)의 나사부(16)를 클램프(14)에 결합시킴에 의해 가동단자(11)와 푸쉬로드(13)의 상부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주회로부(3)에 푸쉬 로드(13)의 결합이 완료되면 션트(15)를 하부단자(8)에 고정시키고, 상기 조인트먼트(24)의 외주연부에 형성된 힌지핀(25)과 체인지 레버(12)의 타단을 결합한다.
이때,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설치된 고정접점(9)과 가동접점(10) 사이의 간극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상기 간극이 넓으면 접점이 접속되지 않고, 간극이 작으면 접점이 충분하게 분리되지 못하므로 상기 조인트먼트(24)를 조였다 풀었다 하여 접점간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접점간의 간극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대차부(2)에 힌지결합된 체인지 레버(12)를 회동시켜 투입위치에 놓으면 상기 체인지 레버(12)의 일단은 진공차단기의 하부측으로 회동되고, 푸쉬로드(13)의 조인트 먼트(24)와 힌지결합된 체인지 레버(12)의 타단은 진공차단기의 상부측으로 회동된다.
상기 상부측으로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12)의 타단에 의해 조인트 먼트(24)가 상부측으로 이동되어 코일스프링(20)이 압축되고, 상기 푸쉬로드(13)도 상부측으로 이동되므로 푸쉬로드(13)와 연결된 가동접점(10)도 상부측으로 이동되어 진공 인터럽터(6) 내에 고정된 고정접점(9)에 가동단자(11)의 가동접점(10)이 접속되어 상기 상부단자(7)와 하부단자(8) 사이에 통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코일스프링(20)의 압축된 힘은 가동접점(10)을 고정접점(9)측으로 밀어주는 가압력으로 작용하여 두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접촉저항을 최소화시킨다.
그리고, 체인지 레버(12)가 회동되어 차단위치에 놓으면 상기 체인지 레버(12)의 일단은 진공차단기의 상부측으로 회동되고, 푸쉬로드(13)의 조인트 먼트(24)와 힌지결합된 체인지 레버(12)의 타단은 진공차단기의 하부측으로 회동된다.
상기 체인지 레버(12)의 타단에 의해 조인트먼트(24)가 하부측으로 이동되면 코일스프링(20)이 원위치로 복귀되고, 푸쉬로드(13)도 하부측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푸쉬로드(13)와 연결된 가동접점(10)도 하부측으로 이동되어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설치된 고정접점(9)과 가동접점(10)이 분리되므로 상기 상부단자(7)와 하부단자(8) 사이가 단전되어 상기 진공차단기로 전원이 차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는 진공차단기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접점소모량이 작아지므로 상기 푸쉬 로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재료손실이 많아져 생산단가가 상승되고, 푸쉬 로드를 교체시 작업시간이 많이 걸려 작업성이 떨어지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코일스프링이 스프링캡의 엠보싱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상기 코일스프링이 조인트먼트에 의해 압축 및 인장될 때 비틀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진공차단기가 투입, 차단시에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에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되는 푸쉬로드가 주회로부에 원활하게 결합되고, 푸쉬로드에 의해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원활하게 접속 및 분리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주회로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설치된 진공 인터럽터와, 상기 가동접점에 고정된 가동단자와, 상기 가동단자에 연결된 하부단자와, 상기 주회로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접점에 적정한 가압력을 주는 푸쉬 로드와, 상기 푸쉬로드 내에 결합된 스터드의 외주연부를 감싸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외주연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및 스프링캡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단자에 장공이 있는 벌브 가이드를 고정하고 가동단자에는 체결공이 있는 써포터를 고정하여 상기 장공과 체결공 및 푸쉬 로드의 결합공을 통해 힌지를 결합하며, 상기 레귤레이터의 외주연부와 코일스프링의 내주면이 접촉되도록 결합하여서 된 진공차단기의 푸쉬로드구조가 제공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진공차단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진공차단기의 종래 주회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진공차단기의 종래 푸쉬 로드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진공차단기의 종래 푸쉬 로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진공차단기의 본 고안 푸쉬 로드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진공차단기의 본 고안 푸쉬 로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진공차단기의 본 고안 벌브 가이드와 서포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벌브 가이드 102: 서포터
103: 결합공 104: 장공
105: 체결공 106: 힌지
107: 머리부 108: 클립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공차단기는 종래의 구성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 푸쉬 로드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푸쉬 로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벌브 가이드와 서포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주회로부(3)에 진공 인터럽터(6)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진공 인터럽터(6) 내에 고정접점(9)과 가동접점(1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점에 적정한 가압력을 주도록 주회로부(3)의 하부에 푸쉬로드(13)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푸쉬로드(13)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홈부(17) 내에 스터드(18)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스터드(18)의 외주연부를 감싸는 레귤레이터(19)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에 코일스프링(20)과 스프링캡(2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 하부에는 체인지 레버(12)와의 결합을 위해 힌지핀(25)이 형성된 조인트먼트(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푸쉬로드(13)의 상부는 가동단자(11)와 힌지결합되어 있고, 상기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와 코일스프링(20)의 내주면이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결합된다.
상기 푸쉬로드(13)의 상부에 결합공(1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푸쉬로드(13)의 상부가 삽입되도록 하부단자(8)에 벌브 가이드(Bulb Guide)(10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벌브 가이드(101)에 장공(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벌브 가이드(101) 내에 삽입되도록 가동단자(11)와 서포터(10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서포터(102)에 체결공(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공(103)과 장공(104) 및 체결공(105)이 일치되면 끼워지는 힌지(10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힌지(106)의 일단에는 벌브 가이드(101)의 장공(104)에 걸려 빠지지않도록 머리부(10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106)의 타단에는 결합공(103)과 장공(104) 및 체결공(105)으로 삽입된 힌지(10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클립(108)이 끼워져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20)의 단면은 종래 원통형의 코일스프링(20) 사이즈보다 줄이면서 종래와 동일한 탄성력을 유지하도록 사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캡(21)의 외주면 형상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에 결합된 조인트 먼트(24)와 와셔(26) 사이 즉,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설치된 고정접점(9)과 가동접점(10) 사이의 간격(와이퍼 량)은 코일스프링(20)에 의해 일정하게 조절되며, 상기 고정접점(9)과 가동접점(10) 사이의 간격(와이퍼 량)은 코일스프링(20) 하중을 접점이 소모된 상태에서도 진공 인터럽터(6)가 요구하는 하중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푸쉬로드(13)의 공간홈부(17) 내에 결합된 스터드(18)의 외주연부를 감싸도록 레귤레이터(19)가 결합되고, 상기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에 스프링캡(21)과 코일스프링(20) 및 스프링캡(21)을 삽입한 다음 상기 하측의 스프링캡(21) 하부에 스페이서(23)를 결합하고 나서 상기 스페이서(23)의 하방에 체인지 레버(12)와 힌지결합되는 힌지핀(25)이 형성된 조인트 먼트(24)를 결합한 후 상기 레귤레이터(19)의 하단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와셔(26)와 너트(27)가 스터드(18)의 하단에 결합된다.
이때, 단면이 사각인 코일스프링(20)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원통형의 코일스프링(20) 사이즈보다 줄이면서 종래와 동일한 탄성력을 유지하므로 전체적인 푸쉬로드(13)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캡(21)의 외주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캡(21)을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에 원활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와 코일스프링(20)의 내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코일스프링(20)이 슬라이딩되면서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0)은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를 따라 원활하게 압축 및 인장되므로 레귤레이터(19)의 외주연부에 결합된 조인트 먼트(24)와 와셔(26) 사이 즉,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설치된 고정접점(9)과 가동접점(1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조절된다.
상기와 같이, 푸쉬로드(13)에 각 부품들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푸쉬로드(13)를 잡고 주회로부(3)의 하부에서 부터 밀어넣어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주회로부(3)의 하부단자(8)에 결합된 벌브 가이드(101)의 상부로 부터 가동단자(11)와 결합된 서포터(102)가 삽입되고, 상기 서포터(102)가 삽입된 벌브 가이드(101) 내에 하부로 부터 푸쉬로드(13)의 상부가 삽입된다.
상기 벌브 가이드(101) 내로 삽입된 푸쉬로드(13)의 상부에 결합홀(10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벌브 가이드(101)에 장공(104)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포터(102)에 체결공(10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홀(103)과 장공(104) 및 체결공(105)이 일치되면 힌지(106)를 끼워 푸쉬로드(13)와 진공 인터럽터(6)의 가동단자(11)와 연결한다.
이때, 힌지(106)의 일단에 형성된 머리부(107)는 벌브 가이드(101)의 장공(104)에 걸리고, 타단에 클립(108)이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힌지(106)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푸쉬로드(13)와 가동단자(11)가 핀결합방식에 의해 주회로부(3)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푸쉬로드(3)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조인트 먼트(24)의 힌지핀(25)과 힌지결합된 체인지 레버(12)를 투입위치에 놓으면 즉, 체인지 레버(12)의 일단이 진공차단기의 하부측으로 회동되고, 타단이 진공차단기의 상부측으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12)의 타단에 결합된 조인트 먼트(24)가 체인지 레버(12)에 의해 진공차단기의 상부측으로 이동되어 단면이 사각인 코일스프링(20)은 압축되고, 상기 푸쉬로드(13)도 상부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상부측으로 이동되는 푸쉬로드(13)의 상부와 결합된 가동단자(11)도 푸쉬로드(13)를 따라 상부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상부단자(7)와 연결고정되어 있는 고정접점(9)에 상부측으로 이동되는 가동단자(11)에 결합된 가동접점(10)이 접속되므로 상기 가동단자(11)의 하부에 결합된 클램프(14)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하부단자(8)에 결합된 션트(15)에 의해 상기 상부단자(7)와 하부단자(8) 사이에 통전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진공차단기는 운전된다.
그리고, 체인지 레버(12)를 차단위치에 놓으면 진공차단기의 하부측으로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12)의 타단에 결합된 조인트 먼트(24)가 진공차단기의 하부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코일스프링(20)이 원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푸쉬로드(13)도 하부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하부측으로 이동되는 푸쉬로드(13)의 상부와 결합된 가동단자(11)도 푸쉬로드(13)를 따라 하부측으로 이동되므로 진공 인터럽터(6) 내에 설치된 고정접점(9)에서 가동접점(10)이 분리되어 상기 상부단자(7)와 하부단자(8) 사이가 단전되므로 상기 진공차단기는 정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푸쉬 로드의 스터드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된 레귤레이터의 외주연부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의 단면형상을 원통에서 사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의 효과 즉, 탄성력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코일스프링의 사이즈(size)를 줄이므로 전체적인 푸쉬 로드의 사이즈(size)가 줄어들어 제품의 외형크기가 대폭 축소되어 콤팩트(compact)화되며, 점유공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귤레이터의 외주연부에 코일스프링의 내주면이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므로 진공차단기의 투입 및 차단시 회동되는 체인지 레버에 의해 압축과 인장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코일스프링이 비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진공 인터럽터의 가동단자와 푸쉬 로드의 상부가 핀결합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상기 푸쉬로드와 가동단자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진공차단기가 투입 및 차단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가동단자와 푸쉬로드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진공차단기의 투입 및 차단속도가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주회로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설치된 진공 인터럽터(6)와, 상기 가동접점에 고정된 가동단자(11)와, 상기 가동단자에 연결된 하부단자(6)와, 상기 주회로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접점에 적정한 가압력을 주는 푸쉬 로드(13)와, 상기 푸쉬로드 내에 결합된 스터드의 외주연부를 감싸는 레귤레이터(19)와, 상기 레귤레이터의 외주연부에 설치된 코일스프링및 스프링캡을 구비한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단자(8)에 장공(104)이 있는 벌브 가이드(101)를 고정하고 가동단자(11)에는 체결공(105)이 있는 써포터(102)를 고정하여 상기 장공과 체결공 및 푸쉬 로드의 결합공(103)을 통해 힌지(106)를 결합하며, 상기 레귤레이터의 외주연부와 코일스프링(20)의 내주면이 접촉되도록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푸쉬로드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면은 사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차단기의 푸쉬로드구조.
KR2019980000667U 1998-01-21 1998-01-21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 KR200224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667U KR200224244Y1 (ko) 1998-01-21 1998-01-21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667U KR200224244Y1 (ko) 1998-01-21 1998-01-21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356U KR19990034356U (ko) 1999-08-25
KR200224244Y1 true KR200224244Y1 (ko) 2001-06-01

Family

ID=6971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667U KR200224244Y1 (ko) 1998-01-21 1998-01-21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2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419B1 (ko) 2008-09-05 2011-10-1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진공 회로 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742B1 (ko) * 1999-11-26 2002-02-19 이종수 진공 차단기의 지지기구부 구조
KR20200118576A (ko) 2019-04-08 2020-10-16 엘에스일렉트릭(주) 진공차단기의 동작 감지 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차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419B1 (ko) 2008-09-05 2011-10-11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진공 회로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356U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1109A (en) Circuit-interrupter
ITMI20012325A1 (it) Interruttore di bassa tensione
US5351024A (en) Electrical contactor and interrupter employing a rotary disc
EP0100367B1 (en) Circuit breaker
US5880658A (en) Electromagnetic switch
KR200224244Y1 (ko) 진공차단기의 푸쉬 로드구조
JPH09147709A (ja) スイッチ装置
KR0145723B1 (ko) 몰드된 하우징 및 분류 경로를 갖고 있는 차단기
US6400242B1 (en) High current auxiliary switch for a circuit breaker
US8158898B2 (en) Elastic pressing unit and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US3614353A (en) Switching device having electro-magnetic means for increasing effective contact pressure
US5837950A (en) Drawer type circuit breaker with drawer contacts biased against contact arcuate portions an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KR100224916B1 (ko) 회로차단기
US4442330A (en) Puffer type current interrupter
JPH06103856A (ja) ガス遮断器
KR100266088B1 (ko) 차단기의 접점 가압기구 및 이중 가압 개방기구
KR100262658B1 (ko) 진공차단기용 주회로부의 통전장치
CN220106401U (zh) 一种框架断路器的导电系统
KR200212854Y1 (ko) 진공차단기용 주회로부의 절연장치
KR20040102303A (ko) 한류형 차단기
KR200152573Y1 (ko) 진공차단기의 회로부 구조
WO2022158155A1 (ja) 回路遮断器、分電盤、及び、アーク走行板
CA1088982A (en) Electromagnetic puffer type gas circuit breaker
US2824936A (en) Combined dual motion disconnect switch and interrupter attachment
KR960005875Y1 (ko) 판스프링을 이용한 회로차단기의 접점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