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723B1 - 몰드된 하우징 및 분류 경로를 갖고 있는 차단기 - Google Patents

몰드된 하우징 및 분류 경로를 갖고 있는 차단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723B1
KR0145723B1 KR1019890016685A KR890016685A KR0145723B1 KR 0145723 B1 KR0145723 B1 KR 0145723B1 KR 1019890016685 A KR1019890016685 A KR 1019890016685A KR 890016685 A KR890016685 A KR 890016685A KR 0145723 B1 KR0145723 B1 KR 0145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conductive
fixed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566A (ko
Inventor
제이. 메이어 피터
브이. 차밸라 레오나르드
제이. 로거스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존 더블유. 에스테이
에스 앤드 씨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더블유. 에스테이, 에스 앤드 씨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존 더블유. 에스테이
Publication of KR90000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76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wherein arc-extinguishing gas is evolved from stationary parts; Selection of material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01H33/121Load break switches
    • H01H33/125Load break switches comprising a separate circuit breaker
    • H01H33/126Load break switches comprising a separate circuit breaker being operated by the distal end of a sectionalising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38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Landscapes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몰드된 하우징 및 분류 경로를 갖고 있는 차단기
제1도는 전체 차단기 스위치 조립체에 관련된 본 발명의 차단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의 커버 부분을 제거하여 도시한 차단기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차단기의 우측 단면도.
제4도는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차단기의 커버 부분의 상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된 커버 부분의 저부도.
제6도는 제5도의 라인 6-6을 따라 절취하여 도시한 부분의 단면도.
제7도는 제1도 내지 제6도의 차단기 커버 부분과 일체로 몰드된 도체의 정면도.
제8도는 제1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차단기의 분류 경로의 구성 부품의 정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도시된 구성 부품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단기 스위치 조립체 12 : 차단기
14 : 제1 단자 패드 16 : 제2 단자 패드
18 : 브래킷 20, 34 : 절연체
24 : 고정 접촉부 33, 35 : 주 접촉부
50 : 하우징 59, 61, 70 : 삽입부
62 : 정착 스터드 64 : 커버 부분
68 : 파스너 71 : 작동 메카니즘
72 : 샤프트 78 : 제2 레버 암 조립체
82 : 이동가능 접촉 플런저 98 : 도체
100 : 도전성 경로 104 : 만곡부
114 : 나사 슬리브 부분
본 발명은 배전반(power destribution)용 차단기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말하면, 몰드된(molded) 하우징 및 분류(shunt current)경로의 조합상태가 개량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 스위치는 분류 경로를 통과하는 부하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차단 접촉부를 제공하는 배전반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형태의 차단기 스위치는 미합중국 특허 제4,103,129호, 제3,909,570호, 제4,126,773호, 및 제4,107,487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가 범용으로 적합하지만, 몰드된 차단기 하우징과 이를 통하는 분류 경로를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전류 전송 분류 경로의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부분간에 제공되는 개량된 분류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몰드된 하우징 및 이를 통하는 분류 경로의 개량된 조합 상태를 포함하는 배전반용 차단기를 제공하는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부품들간에 개량된 전류-전송(current-tranfer) 장치를 포함하는 개량된 분류 경로를 차단하기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또 다른 목적은 몰드된 하우징 및 이를 통하는 분류경로의 효과적인 조합 상태를 포함하는 스위치용 차단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분류 경로는 구성 부품들이 서로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는 전류 경로내의 한 지점에서 용이하게 정(positive)접촉되도록 조립된 구성 부품들을 포함한다. 차단기는 분로(shunt) 차단 접촉부를 작동시키는 이동가능 결합 (linkage)부품을 갖고 있는 작동 메카니즘(operationg mechanism)을 포함한다. 또한, 결합 부품은 분류 경로의 일부분이다. 또한, 분류 경로는 몰드된 하우징 외부로 연정하여, 전체 차단 스위치의 이동 보조 분로 접촉부와 결합할 수 있는 고정 보조 접촉부를 포함한다. 몰드된 하우징은 일체로 몰드된 주 하우징 부분을 지나도록 연장하는 부분을 갖고 있는 커버(cover) 부분을 포함한다. 고정 보조 접촉부는 커버 부분의 연장부로 부터 배치된 돌출 부재 또는 스터드(stud)이다. 몰드된 하우징의 커버부분은 외부에 배치된 고정 보조 접촉부를 몰드된 하우징 내부의 작동 메카니즘의 이동가능 결합부에 접속시키도록 일체로 몰드된 도전성 설비를 갖고 있다. 외부에 배치된 고정 보조 접촉부와 작동 메카니즘의 이동가능 결합부를 접속시키는 분류경로 설비는 적합한 접촉 결합 상태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가능 와이퍼(wiper) 접촉면 또는 이동가능 결합 허브(hub)와 결합시키는 종속(depending) 탄성 접촉부 또는 와이퍼 암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단기(12)를 이용하는 스위치 형태인 차단기 스위치 조립체(10)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차단기(12)는 여러가지 구성 및 배행 상태로 정착된 다수의 스위치 조립체가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위치 조립체(10)은 제1도의 좌측 상부에 도시된 제1 단자 패드(terminal pad : 14) 및 제1도의 우측에 도시된 제2단자 패드(16)을 통해 다수의 배전 회로들중 몇몇 회로가 접속된다. 제2 단자 패드(16)은 차단기(12)를 지지하기도 하는 브래킷(bracket :18)에 의해 보유된다. 브래킷(18)은 스위치 조립체(10)의 기부(22)에 의해 차례로 지지되는 절연체(20)에 부착된다. 또한, 제2단자 패드(16)은 일반적으로 혀 모양인 고정 주 접촉부(24)를 포함하도록 제작된다. 제1 단자 패드(14)는 힌지(hinge) 접촉 설비(26)을 통해 이동가능 접촉 조립체(2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동 가능 접촉 조립체(28)은 힌지 접촉 설비(26)에 대해 말단인 블래드(30, 32)의 단부에 각각 이동 주 접촉부(33, 35)가 있는 2개 부분으로 격설된 블래드(30, 32)를 포함한다. 이동 주 접촉부(33, 35)는 고정 주접촉부(24)와 함께 작동하고, 스위치 조립체(10)에 조(jaw) 접촉부를 제공하기에 적합해야 하는데, 접촉부(33, 35)는 접속된 전기 회로내에 부하 전류용 주 전류-전송 경로를 설정한다.
이동가능 접촉 조립체(28)은 힌지 접촉 설비(26)을 통해 절연체(34)에 의해 지지된다. 절연체(34)는 접촉 설비(26)을 통해 기부(22)에 관련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절연체(34)에 레버(lever :38)이 고정되어, 적합한 결합 접속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절연체(34) 및 보유된 이동가능한 접촉 조립체(28)을 회전시킬 수 있지만, 단자 패드(14)는 전기 회로 접속부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이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아크 효과를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이동가능 접촉 조립체(28)은 이동 주 접촉부(33, 35)가 고정 접촉부(24)와 결합되는 위치로, 제1도에 도시된 개방 위치로 부터 신속하게 이동된다. 물론,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이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이동 주 접촉부(33, 35) 및 고정 접촉부(24)는 아크로 인한 접촉 부식(erosion) 및 열화(deterioration)를 최소화시키도록 제조된다. 따라서, 주 전류 경로는 제1 단자 패드(14), 힌지 접촉 설비(26), 이동가능 접촉 조립체(28) 및 이동 주 접촉부(33, 35), 고정 접촉부(24), 및 제2 단자 패드(16)을 포함한다.
주 전류 경로를 개방시키고, 고정 접촉부(24)로부터 이동 주 접촉부(34, 36)(이하, 조 접촉부라 함)을 분리시킬 필요가 있을때, 절연체(34) 및 이동가능 접촉 조립체(28)은 고정 접촉부(24)로 부터 조 접촉부(33, 35)의 연결 상태를 차단하기 위해 회전된다. 그러나,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이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주 전류 경로내로 전류가 흐를때 접촉부가 개방되면, 스위치 조립체(10)에 대한 아크 및 해로운 효과가 스위치 조립체(10)내의 부하 차단 설치가 없어도 발생한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차단기(12)는 주 접촉부가 분리되기 전에 고정 접촉부(24) 및 조 접촉부(33, 35)와 병렬로 분류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차단 접촉부 및 설비, 및 조 접촉부(33, 35) 및 고정 접촉부(24)가 제1도의 개방 위치를 향해 적절하게 분리된 후에만 차단기(12) 내부의 회로를 차단하는 차단 접촉부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이동가능 접촉 조립체(28)과 고정 접촉부(24) 사이에서는 소정의 플래시오버(flash-over) 또는 외부 아크가 방지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미합중국 특허 제4,103,129호, 제3,909,570호, 제4,126,773호 및 제4,107,487호를 참고 문헌으로 사용하였다.
제2도 내지 제9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능 접촉 조립체(28)에 의해 보유된 이동 보조 접촉부(44) 및 차단기(12)가 갖고 있는 고정 보조 접촉부(46)은 고정 접촉부(24)가 조 접촉부(33, 35)에서 분리되기 전에 부하 전류가 분로로 전달되도록 분류 경로내의 분로를 접촉시키도록 작용한다. 이동 가능 접촉조립체(28)이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되지만, 조 접촉부(33, 35)는 고정 접촉부(24)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동 보조 접촉부(44)는 차단기(12)에 의해 보유된 외부에 배치된 고정 보조 접촉부(46)과 접합한 도전성 결합 상태로 배치되므로, 분류 경로가 설정된다.
적합한 분류 경로를 설정하고 차단기(12)의 내부에 있는 차단 접촉부의 적합한 순차적 동작을 제공하기 위해서, 이동가능 접촉 조립체(28)은 작동 캠(40)을 갖고 있다. 작동 캠(40)은 차단기(12)의 이동가능 트리거(trigger) 조립체(42)와 함께 작동하는 설비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분류 경로가 설정되면, 이 동가능 접촉 조립체(28)이 조 접촉부(33, 35)가 고정 접촉부(24)에서 적당히 떨어지게 분리되도록 폐쇄 위치로 부터 이동하므로, 작동 캠(40)의 개방 캠 부분은 차단기(12)의 내부 차단 접촉부를 개방시키기 위해 트리거 조립체(42)를 동작시킨다. 작동 캠(40)의 폐쇄 캠 부분은 주 접촉부(33, 35 및 12)의 폐쇄중에 차단기(12)의 내부 차단 접촉부를 폐쇄시키기 위해 트리거 조립체(42)를 작동시킨다.
제2도 및 제4도에 관련된 본 발명의 주요 형태에 따르면, 차단기(12)는 제2단자 패드(16)와 전기 접속을 이루는 도전성 브래킷(18)에 차단기(12)를 고정시키기는 고정 보조 접촉부(46)으로 부터 도전성 장착 스터드(62)까지의 내부 분류 경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조 접촉부(33, 35)에서 고정 접촉부(24)를 분리시키기 전에 설정되는 분류 경로는 제1 단자 패드(14), 이동가능 접촉 조립체(28), 이동 보조 접촉부(44), 고정 보조 접촉부(46)를 통하는 경로, 및 작동 메카니즘 및 내부차단 접촉부를 포함하는 차단기(12), 장착 스터드(62), 브래킷(18), 제2단자 패드(16)내에 정해진 내부 경로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고정 보조 접촉부(46)에서 브래킷(18)까지 제공된 분류경로는 차단기(12)내에 보유된 작동 메카니즘(71)(제2도 및 제3도)의 이동가능 결합 부품, 및 내부 차단 접촉부(90, 96)(제2도)를 통하는 분류 경로를 설정하는 작동 메카니즘(71)의 이동가능 결합 부품을 통하여 일체로 몰드된 도전성 부분 및 접속부를 포함한다.
차단기(12)는 유리-강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절연 물질로 몰드된 하우징(50)을 포함한다. 일체로 몰드된 하우징(50)은 작동 메카니즘 봉입 부분(52), 및 절연체 부분(54) 및 머플러(muffler) 또는 배기-조절(exhaust-control) 부분(56)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 부분(52, 54, 56)은 몰드-인(mold-in) 삽입부(59, 61)을 갖고 있는 장착 플랜지(flange) 부(58)과 일체로 몰드된다.(제2도). 삽입부 (59, 61)은 제1도에 도시된 브래킷(18)에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각각의 정착 스터드(60, 62)를 수용하도록 정렬된다. 몰드된 커버 부분(64)는 하우징(50)의 작동 메카니즘의 봉입부(52)내의 개구(66)상에 고정되는데, 커버 부분(64)는 이를 통해 연장하는 적합한 파스너(fastner, 68)에 고정되어, 하우징(50)과 일체로 몰드-인된 삽입부(70)과 함께 작동한다. 차단기(12)의 커버 부분(64)는 제2도에서는 명확하게 하기 위해 제거하였지만,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다.
트리거 조립체(42)는 하우징(50)에 관련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72)에 의해 보유된다. 차단기(12)의 내부 작동 메카니즘(71)은 샤프트(72)에 고정되는 제1 레버 암 조립체(74)를 포함한다. 제1 레버 암 조립체(74)의 단부(75)는 핀(76)에 의해 작동 메카니즘(71)의 제2 레버 암 조립체(78)에 선회가능하게 접속된다. 제2 레버 암 조립체(78)의 한 단부에는 핀(80)에 의해 이동가능 접촉 플런저(plunger :82)에 적합하게 접속된다. 제2 레버 암 조리체(78)의 다른 단부에는 하우징(50)내에 일체로 몰드된 슬로트 부분(86) 및 커버 부분(64)내에 일체로 몰드된 슬로트 부분(87)(제5도) 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핀(84)에 의해 선희가능하게 접속된다. 스프링(88)은 샤프트(72)와 안내핀(84)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88)은 샤프트(72)를 향해서 안내핀(84)를 바이어스 시킨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72)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작동 메카니즘(71)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 접촉 플런저(82)를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으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가능 접촉 플런저(82)는 아크-소멸 물질로 제조된 차단 접촉부(90) 및 트레일러(trailer) 조립체(92)를 갖고 있다. 하우징(50)의 절연체 부분(54)는 아크-소멸 물질로 양호하게 제조된 라이너(liner : 94)를 갖고 있다. 하우징(50)의 절연체 부분(54)에는 고정 차단 접촉부(96)을 정하는 고정 접촉링이 고정된다.
폐쇄 위치에 있어서, 이동가능 접촉 플런저(82)에 의해 보유된 이동가능 차단 접촉부(90)은 제2도의 개방 위치로부터 고정된 차단 접촉부(96)과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정렬된 위치까지 이동되므로, 접촉부(90, 96)은 차단기(12)의 이동가능 차단 접촉부를 포함한다. 접촉부(90, 96)이 스위치 조립체(10)의 개방중에 분리되면, 라이너(94)와의 밀접한 관계에 있는 트레일러(92)가 접촉부(90, 96)과 분리될 때 연속 아크가 소멸된다. 따라서, 적합한 아크-소멸 개스량이 발생하는 소정의 아크에 응답하여 구성 부품(92, 94)의 물질에 의해 발생된다. 고정 차단 접촉부(96)은 도체(98)을 통해 도전성 삽입부(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분류 경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합한 작동 메카니즘(71) 및 이동 가능 접촉플런저 부분이 도전성이므로, 분류 경로가 제1 레버 암 조립체(74)와 이동가능 차단 접촉부(90) 사이에 설정될 수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제5도 내지 제9도에 참조하면 하우징(12)의 외부에 배치되는 고정 보조 접촉부(46)(제3도)는 도전성 경로(100) (제2도 및 제4도)를 통해 제1 레버 암 조립체(7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고정 보조 접촉부(46)과 레버 암 조립체(74)를 상호 접속시키는] 도전성 경로(100)은 커버 부분(64)와 일체로 몰드되는 제1 도전성 부분(102)(제3도, 제4도, 제6도 및 제7도)를 포함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 전성부분(102)는 커버 부분(64)내에서 커버 부분(64)의 평면 전장에 걸쳐 몰드된다. 또한, 도전성 경로(100)은 제1 도전성 부분(10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도전성 부분(104) (제3도, 제4도, 제8도 및 제9도)를 포함한다. 제2도전성 부분(104)는 제1 레버 암 조립체(74)의 넓은 접촉면 또는 허브 부분(106)과 전기적으로 접촉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제1도체 부분(102)는 평면인 얇은 부재 또는 스트립이다. 또한, 제1도체 부분(102)는 부재(102) (제6도)의 대향 단부에 2개의 나사 스터드(108, 110)을 포함한다. 제3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스터드(108, 110)은 커버 부분(64)로 부터 연장 또는 돌출한다. 스터드(108)에 인접한 커버 부분(64)는 리세스 부분(112)를 포함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보조 접촉부(46)이 보조 고정 접촉부(46)을 고정시키기 위해 스터드(108)의 나사 돌출부상에 나사가 진 나사 슬리브 부분(114)를 통해 커버 부분(64)에 고정된다.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분(64)는 하우징(50)의 인접 부분(52)을 지나도록 연정시키기 위해서 고정 보조 접촉부(46)을 갖고 연장부(116)을 포함한다. 이 설비는 하우징(50)에 관련하여 이동 보조 접촉부(44)와 고정 보조 접촉부(46)사이에서 함께 작동하기 위한 유격(clearance)을 제공하면서 고정 보조 접촉부(46)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도전성 패드(100)의 제2 도전성 부분(104)는 평면형 얇은 부재 또는 스트립이다. 제2 도전성 부분(104)는 이를 통하여 통로(118)를 포함하고, 제1도전성 부분(102)의 스터드(110)상에 고정되는데, 제1 및 제2 도전성 부분(102, 104)는 통로(118)을 통하는 스터드(110)의 나사 돌출부 상에 서로 고정된다. 제2 도전성 부분(104)의 원격(remote) 단부(122)는 일반적으로 평면형 부재(104) 외부에 배치되고, 제1 레버 암 조립체(74)의 접촉면(106)과 양호하게 접촉시키기 위해 만곡 또는 구부러진 부분(124)로 제조된다. 도전성 부분(102, 104)는 인-청동(phosphor-bronze)으로 양호하게 제조된다. 제2 도전성 부분(104)는 표면(106)과 만곡부(104)의 만곡부(102) 사이의 접촉부를 바람직하게 압압하기 위한 스프링 템퍼(temper) 특성을 갖고 있는데, 만곡부(124)는 와이퍼 암으로서 작동하고, 접촉면(106)은 만곡부(124)에 관련된 와이퍼 접촉면으로써 작동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104)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부분(64)로 부터 하향 배치되고, 작동 메카니즘의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개방 위치내에 있을때 지시 위치(125)에서 접촉면(106)과 접촉한다. 더욱이, 제1 레버 암(74)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완전 개방 위치로 회전되면, 접촉면(106과 124) 사이의 접촉부는 접촉면(106)의 접촉 위치(126)에서 접촉한다. 완전 개방 위치로 완전 폐쇄 위치 간에, 차단 접촉부(90, 96)이 개방된 후에는 이러한 접촉이 불필요하지만, 위치(125와 126) 사이의 접촉면(106)을 따라 접촉면(106과 124) 사이의 접촉이 계속 유지된다. 그러므로, 차단기(12)를 통하는 완전한 분류 경로는 고정 보조 접촉부(46), 스터드(108), 제1 도전성 부분(102), 스터드(110), 제2 도전성 부분(104), 작동 메카니즘(71)의 도전성 부분, 이동가능 접촉 플런저(82), 접촉부(90 및 96), 도체(98), 삽입부(61) 및 하우징(50) 외부의 스터드(62)를 포함한다. 기술한 바와 같이, 스퍼드(62)는 제2 단자 패드(16)을 차례로 보유하는 도전성 브래킷(18)에 고정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라면 본 발명을 여러가지로 변화 및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화 및 변형은 본 발명의 의의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첨부된 청구 범위내에서만 제한된다.

Claims (5)

  1. 절연성 하우징과, 도전성 경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상기 절연성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선정된 작동 경로를 통하여 작동가능한 제1 이동가능 부재를 포함하는 작동 메카니즘, 상기 절연성 하우징내에 배치되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들을 정하며, 고정 접촉부, 및 작동 메카니즘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 기능 접촉부를 포함하는 접촉 수단,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교통하고, 상기 절연성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전기적인 접속을 상기 고정 접촉부에 제공하는 제1 도전성 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와 교통하고,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가 상기 선정된 작동 경로를 통하여 이동할때 상기 제1 이동 가능 부재에 전기적인 접속을 제공하며,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에 대해 접촉부를 바이어싱시키기 위한 탄성 특성을 갖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몰드되는 도전성 소자를 더 포함하는 고정 도전성-경로-지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 메카니즘 및 상기 접촉 수단이 상기 제1 이동가능 부재를 상기 이동가능 접촉부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제2 도전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성 하우징이 선정된 방식으로 서로 끼워지도록 정렬되는 제1 평면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로 구성되고, 상기 절연성 하우징의 제2 하우징부가 상기 작동 메카니즘 및 상기 접촉 수단을 보유하고 있고, 상기 제1 평면 하우징부가 고정 도전성-경로-지정 수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기 제1 평면 하우징부가 상기 제2 하우징부를 지나도록 연정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도전성-경로-지정 수단이 상기 돌출부내의 상기 제1 평면 하우징부의 외부와 교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스위치용 차단기.
  2. 하우징을 제공하도록 조립되는 2개의 상호 고정 절연성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하우징들중 제1 하우징 부재가, 제1 및 제2 부재가 조립되면 제2 하우징 부재를 지나도록 돌출 및 연장하도록 정렬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가 평면형이고, 상기 제1 하우징 부재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사이에서 연신되어 교통하는 일체로 몰드된 도체를 포함하며, 제1 도전성 파스너 장치는 일체로 몰드된 도체의 한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도전성 파스너 장치는 상기 제2 부재와 마주보도록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제1 부분내에 위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파스너 장치에 고정된 연신 돌출 도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로 몰드된 도체의 다른 단부에 고정된 제2 도전성 파스너 장치, 및 상기 제2 도전성 파스너 장치에 고정되고, 연신되며 탄성 특성을 갖는 도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부재가 수용 캐비티를 정하고; 차단기가 상기 제의 상기 수용 캐비티내에 배치되고, 선정된 동작 경로를 갖고 있으며, 이 선정된 작동 경로를 통하는 이동중에 연신되도록 도전성 부재에 관련하여 배치되는 이동가능 도전성 소자를 포함하는 작동 메카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
KR1019890016685A 1988-11-18 1989-11-17 몰드된 하우징 및 분류 경로를 갖고 있는 차단기 KR0145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73,399 1988-11-18
US273399 1988-11-18
US07/273,399 US5057654A (en) 1988-11-18 1988-11-18 Interrupting unit with molded housing and shunt current path therethroug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566A KR900008566A (ko) 1990-06-04
KR0145723B1 true KR0145723B1 (ko) 1998-09-15

Family

ID=2304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685A KR0145723B1 (ko) 1988-11-18 1989-11-17 몰드된 하우징 및 분류 경로를 갖고 있는 차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57654A (ko)
KR (1) KR0145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7919B1 (en) * 1999-12-07 2001-03-27 Hubbell Incorporated Load break interrupter having shunt circuit break actuating mechanism
US6215082B1 (en) * 1999-12-07 2001-04-10 Hubbell Incorporated Load break interrupter having vented muffler assembly on arc-suppressing tube
US20070144879A1 (en) * 2005-12-27 2007-06-28 Brown Frederick J Current interrupter for a power network
US20070144878A1 (en) * 2005-12-27 2007-06-28 Brown Frederick J Driving bracket for an electrical switch
EP2337052B1 (en) 2009-12-17 2017-02-22 ABB Schweiz AG A switching device and a switchgear
NZ603078A (en) 2010-04-18 2014-10-31 S & C Electric Co Terminal connection for a switch assembly
US8476546B2 (en) * 2010-10-08 2013-07-02 Schneider Electric USA, Inc. Dual breaking point electrical joint
WO2012171569A1 (en) 2011-06-16 2012-12-20 Abb Technology Ag A switching device and a switchgear
EP2721625A1 (en) 2011-06-16 2014-04-23 ABB Technology AG A switching device and a switchgear
CA2942658C (en) 2014-03-27 2021-06-01 Schneider Electric USA, Inc. Knife blade switch contact with high resistance por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3129A (en) * 1977-03-09 1978-07-25 S & C Electric Company High voltage circuit interrupter switch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57654A (en) 1991-10-15
KR900008566A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5812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detachable optional accessories
AU681175B2 (en) Switching devices
FI97429B (fi) Suojattu kontaktorikatkaisinlaite
KR100339752B1 (ko) 스위칭가능회로차단기
KR0145723B1 (ko) 몰드된 하우징 및 분류 경로를 갖고 있는 차단기
CN1175456C (zh) 用于装有保险丝的开关的壳体
JPS59191224A (ja) 電流しや断器
EP2561535B1 (en) Electric power switch
FI82787B (fi) Elektrisk omkopplingsanordning.
US4845459A (en) Contact arrangement of a low-voltage circuit breaker with electro-dynamic breaking
EP0255955B1 (en) Circuit interrupter
US7238910B1 (en) Crossbar assist mechanism and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4945326A (en) Circuit breaker
KR870001622A (ko) 트립-자유 연결시스템을 가지는 배선용 회로 차단기
GB2120013A (en) Current-limiting circuit breaker apparatus
KR101463043B1 (ko) 회로차단기의 슬라이드형 가동접촉자 어셈블리
US3284731A (en) Auxiliary switch responsive to the movement of the circuit breaker linkage
US5053590A (en) Mount for attachment of a switch operating mechanism to a switch
US5797483A (en) Operating mechanism linkage assembly for high ampere-rated circuit breakers
US4849589A (en) Contact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CN212625368U (zh) 一种断路器
JPS6136047Y2 (ko)
JP2506388Y2 (ja) 開閉器
JPH0142281Y2 (ko)
KR810000856Y1 (ko) 회로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