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893Y1 - 퓨즈 체킹장치 - Google Patents

퓨즈 체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893Y1
KR200452893Y1 KR2020080017508U KR20080017508U KR200452893Y1 KR 200452893 Y1 KR200452893 Y1 KR 200452893Y1 KR 2020080017508 U KR2020080017508 U KR 2020080017508U KR 20080017508 U KR20080017508 U KR 20080017508U KR 200452893 Y1 KR200452893 Y1 KR 200452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hecker
cap
bracke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091U (ko
Inventor
배상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7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89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0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8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 H01H1/30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resilient mounting within supporting gu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3Avoiding erroneous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52Controlling, signalling or testing correct functioning of a switch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류의 차단에 사용되는 퓨즈 체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퓨즈 체킹장치는 퓨즈의 양측에서 퓨즈의 캡을 고정하고, 퓨즈의 캡에 전기를 공급하는 홀더, 홀더에 설치되고 퓨즈의 동작을 감지하는 체커가 구비된 퓨즈 체커 브라켓 및 퓨즈 체커 브라켓에 구비되어 체커 측으로 퓨즈의 유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홀더에 대한 퓨즈의 장착과정에서 스토퍼에 의해 체커 측으로 퓨즈의 이동이 제한되어 퓨즈와 체커의 거리가 간단하게 조절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퓨즈, 홀더, 브라켓, 체커, 스토퍼

Description

퓨즈 체킹장치{Fuse checking device}
본 고안은 퓨즈 체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조립을 단순화하고, 퓨즈 체커가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는 퓨즈 체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진공 전자 접촉기는 변압기 1차 측의 개폐, 주전원 개폐, 고압 전동기의 운전용 등으로 사용되며, 전류의 개폐를 주요 목적으로 하므로 차단작용을 주목적으로 하는 차단기보다는 개폐수명은 길지만 차단성능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또한,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는 차단 성능이 떨어지는 일반 고압 진공 전자 접촉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파워 퓨즈(Power Fuse)를 내장하며, 전력 계통의 사고 등에 의해 파워 퓨즈가 동작되었을 때, 원방에서 파워 퓨즈의 동작여부를 확인을 할 수 있도록 퓨즈 체커를 내장하여 사용된다.
이와 같은 퓨즈 체커가 조립되는 종래의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는 전력계통에 단락 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파워 퓨즈 내의 부품인 엘리먼트 및 표시선이 열화/용융되어 끊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파워 퓨즈에 내장된 압축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퓨즈 체커 작동용 플런저가 클립 밖으로 돌출되면서 퓨즈 체커를 밀게 되며, 퓨즈 체커에 연결된 작용 케이블은 마이크로 스위치 레버의 일단을 밀게 되고, 마이크로 스위치 레버의 지렛대 작용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에 변화가 일어난다.
그리고, 접점 변화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의 COM-NO(Common-Normal Open)단자가 폐회로를 구성하여 경고 등이 점등되거나 부저를 울림으로써 퓨즈 체커가 동작됨을 원거리에서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계통에 단락 사고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으므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종래의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는 퓨즈 체커의 지지 브라켓을 클립에 체결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체결볼트를 지지 브라켓과 클립 및 터미널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체결볼트에 너트를 가체결하고 클립과 퓨즈 체커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때, 작업자는 작업 중에 번거로움을 겪게 되며 작업시간이 길어져 작업성이 저하된다. 또한, 퓨즈 체커 브라켓이 2.3mm 정도로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브라켓에 대한 퓨즈의 장착과정에서 퓨즈 체커 브라켓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퓨즈 체커 브라켓의 변형은 퓨즈 체커의 오동작을 일으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클립에 대한 퓨즈의 장착이 수월하고, 퓨즈와 퓨즈체커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퓨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퓨즈 체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체킹장치의 구성은 퓨즈의 양측에서 퓨즈의 캡을 고정하고, 퓨즈의 캡에 전기를 공급하는 홀더, 상기 홀더에 설치되고, 퓨즈의 동작을 감지하는 체커가 구비된 퓨즈 체커 브라켓; 및 상기 퓨즈 체커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체커 측으로 상기 퓨즈의 유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는 상기 퓨즈가 삽입가능하게 상부가 개방되고, 퓨즈의 캡을 감싸는 캡 브라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더에는 상기 캡 브라켓이 고정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 브라켓에는 상기 홀에 끼워지는 삽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퓨즈 체커 브라켓은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홀더의 외측 단부에서 퓨즈의 측면으로 절곡되어 퓨즈의 측면에 지지되는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서 퓨즈의 외측으로 절곡되고 퓨즈 체커가 끼어지는 외판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퓨즈 체킹장치는 홀더 측으로 퓨즈의 장착이 스 토퍼에 의해 안내되어 수월하고, 스토퍼에 의해 퓨즈와 체커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퓨즈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퓨즈 체킹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체킹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체킹장치는 홀더(100), 캡 브라켓(110), 퓨즈 체커 브라켓(120), 체커(130) 및 스토퍼(125)를 포함한다.
여기서, 홀더(100)는 퓨즈(10)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되고, 퓨즈(10)가 내부 에 안치되게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물인 애자(105)에 의해 저면이 지지된다. 그리고, 캡 브라켓(110)은 홀더(100)의 내부에 고정되고 퓨즈(10)의 캡(15)에 전기를 공급하는 터미널로서, 퓨즈(10)의 양측에 있는 캡(15)을 감싸서 퓨즈(10)를 홀더(100)에 고정시킨다.
또한, 캡 브라켓(110)에는 홀더(100)에 형성되는 홀(102)로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삽입구(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체커(130) 측에 설치되는 캡 브라켓(110)의 상부에는 퓨즈(10)의 캡(15)이 안치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에 의해 조여질 수 있는 원형판(115)이 구비된다. 원형판(115)에는 볼트가 통과하는 체결공(11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퓨즈 체커 브라켓(120)에는 퓨즈(10)의 작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체커(1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체커(130)는 퓨즈(10)의 내부에 공급되는 과전류에 의해 탄력적으로 돌출되는 플런저(140)에 접촉하는 하는 것으로서, 퓨즈(1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고, 외부에 표시하는 부저나 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체커(130)는 퓨즈(10)의 캡(15)에서 유격되게 퓨즈 체커 브라켓(120)에 설치된다. 이때, 체커(130)에는 퓨즈 체커 브라켓(12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지지판(131)이 양측에 구비된다.
또한, 퓨즈 체커 브라켓(120)은 홀더(100)에 고정되는 고정판(122), 홀더(100)의 외측 단부에서 퓨즈(10)의 측면으로 절곡되어 퓨즈(10)의 측면에 지지되는 스토퍼(125) 및 스토퍼(125)에서 퓨즈(10)의 외측으로 절곡되고 체커(130)가 끼 어지는 외판(127)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토퍼(125)는 캡 브라켓(110) 측에 대한 퓨즈(10)의 삽입과정에서 퓨즈(10)의 캡(15)과 체커(130)의 거리를 0.5mm로 제한한다. 즉, 스토퍼(125)는 퓨즈(10)의 우측이동을 제한하도록 퓨즈 체커 브라켓(120)에 형성되어 있고, 체커(130)는 스토퍼(125)에서 연장되고 스토퍼(125)에서 우측으로 유격된 외판(127)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퓨즈(10)의 캡(15)이 홀더(100)의 캡 브라켓(110)에 장착될 때, 퓨즈(10)의 캡(15)이 스토퍼(125)에 걸리게 되므로 퓨즈(10)의 캡(15)과 퓨즈 체커 브라켓(120)의 외판(127)은 일정한 거리로 유지되고, 외판(127)에 설치되는 체커(130)와 캡(15) 사이의 거리도 일정하게 설정된다. 여기서, 퓨즈(10)의 캡(15)과 체커(130)의 거리는 스토퍼(125)에서 외판(127)을 연결하는 절곡판(128)의 길이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즉, 절곡판(128)은 스토퍼(125)와 외판(127)의 유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퓨즈(10)의 장착과정에서 퓨즈(10)의 캡(15)과 체커(130)의 거리를 미리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체킹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퓨즈 15: 캡
100: 홀더 102: 홀
105: 애자 110: 캡 브라켓
112: 삽입구 115: 원형판
116: 체결공 120: 퓨즈 체커 브라켓
122: 고정판 125: 스토퍼
127: 외판 128: 절곡판
130: 체커 131: 지지판

Claims (4)

  1. 퓨즈의 양측에서 퓨즈의 캡을 고정하고, 퓨즈의 캡에 전기를 공급하는 홀더;
    상기 홀더에 설치되고, 퓨즈의 동작을 감지하는 체커가 구비된 퓨즈 체커 브라켓; 및
    상기 퓨즈 체커 브라켓에 구비되어 상기 체커 측으로 상기 퓨즈의 유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퓨즈가 삽입가능하게 상부가 개방되고, 퓨즈의 캡을 감싸는 캡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홀더에는 상기 캡 브라켓이 고정되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캡 브라켓에는 상기 홀에 끼워지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체킹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체커 브라켓은 상기 홀더에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홀더의 외측 단부에서 퓨즈의 측면으로 절곡되어 퓨즈의 측면에 지지되는 상기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에서 퓨즈의 외측으로 절곡되고 퓨즈 체커가 끼어지는 외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 체킹장치.
KR2020080017508U 2008-12-31 2008-12-31 퓨즈 체킹장치 KR200452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508U KR200452893Y1 (ko) 2008-12-31 2008-12-31 퓨즈 체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508U KR200452893Y1 (ko) 2008-12-31 2008-12-31 퓨즈 체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91U KR20100007091U (ko) 2010-07-08
KR200452893Y1 true KR200452893Y1 (ko) 2011-03-31

Family

ID=4424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508U KR200452893Y1 (ko) 2008-12-31 2008-12-31 퓨즈 체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8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012B1 (ko) 2017-06-08 2018-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퓨즈 작동 감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819Y1 (ko) * 1995-10-10 1999-01-15 이희종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US6474197B1 (en) 2001-08-31 2002-11-05 Hastings Fiber Glass Products, Inc. Cutout fuse tube installation tool
KR100370818B1 (ko) 1993-12-27 2003-03-29 쿠퍼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개량된전류제한퓨즈및드롭아웃퓨즈홀더
KR100500737B1 (ko) * 2003-09-26 2005-07-11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퓨즈 홀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818B1 (ko) 1993-12-27 2003-03-29 쿠퍼 인더스트리스, 인코포레이티드 개량된전류제한퓨즈및드롭아웃퓨즈홀더
KR0134819Y1 (ko) * 1995-10-10 1999-01-15 이희종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US6474197B1 (en) 2001-08-31 2002-11-05 Hastings Fiber Glass Products, Inc. Cutout fuse tube installation tool
KR100500737B1 (ko) * 2003-09-26 2005-07-11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퓨즈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012B1 (ko) 2017-06-08 2018-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퓨즈 작동 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91U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265B1 (ko) 고압배전반 변압기실 도어 인터록 장치
US10566160B2 (en) Passive triggering mechanisms for use with switching devices incorporating pyrotechnic features
US7187258B2 (en) Circuit breaker
US9293910B2 (en) Power battery assembly and electric vehicle comprising the same
US20110221563A1 (en) Fused disconnect switch with terminal opening cover
US20080230358A1 (en) Command Switch, in Particular an Emergency Stop Switch
CA2626983C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accessory assembly therefor
CA2502808C (en) Terminal support for a circuit breaker trip unit
US7943872B2 (en) Command device with switching element monitoring
KR200452893Y1 (ko) 퓨즈 체킹장치
US20080289938A1 (en) Reduced material plug-on jaw with symmetrical spring for a circuit breaker
US7645953B2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accessory module and electrical conductor mount therefor
US8134092B2 (en) Circuit breaker cover attachment
RU2351033C2 (ru) Вакуумный контактор
US8717127B2 (en) Circuit breaker
KR101922156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JP5152899B2 (ja) 電力ヒューズの溶断表示装置
KR20140002763U (ko) 배선용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 및 가동접촉자 어셈블리
JP2011023298A (ja) ヒューズの溶断表示装置
JP2013008613A (ja) 開閉器のさし込み接続装置
US9761400B2 (en)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circuit breaker
KR0134819Y1 (ko)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KR101576790B1 (ko) 명령 및 경고 장치
EP3127130B1 (e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dampening assembly therefor
JP5170657B2 (ja) 過電流引外し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