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1860Y1 -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1860Y1
KR200161860Y1 KR2019970029325U KR19970029325U KR200161860Y1 KR 200161860 Y1 KR200161860 Y1 KR 200161860Y1 KR 2019970029325 U KR2019970029325 U KR 2019970029325U KR 19970029325 U KR19970029325 U KR 19970029325U KR 200161860 Y1 KR200161860 Y1 KR 200161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djusting screw
diaphragm
fixed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3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5955U (ko
Inventor
차항병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29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1860Y1/ko
Publication of KR19990015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1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18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8Details, e.g. bulbs, pumps, pistons, switches or casings
    • G10K9/22Mountings;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21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injecting a settable material after the screwing dow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3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electromagnetic driv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경음기의 개선된 음조정나사 고정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컵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하우징의 선단에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과 동축으로 조립되는 아마츄어와, 이 아마츄어의 선단에 고정되는 진동판과, 일단에 고정접점을 가지고 하우징에 피봇 지지되는 스탠드와, 가동접점을 가지고 아마츄어와 연동하는 판스프링 및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선단이 스탠드의 타측면에 접촉하는 음조정나사를 구비하는 차량용 경음기에 있어서, 하우징에 음조정나사와 나사결합되는 버어를 그 내측으로 적정길이만큼 돌출 형성하고, 음조정나사에 의한 고정 및 가동접점간의 갭 조정 후 음조정나사와 하우징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음조정나사를 하우징에 고정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별도의 고정용 너트 배제에 의한 조립공수 및 원가절감에 기여토록 하였다.

Description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경음기(horn)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음(音) 조정후 이 음조정나사를 하우징(housing)에 고정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경음기는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주행중 주변의 차량이나 또는 보행자등에게 위험상황을 알리거나 경계를 위해 경적(警笛)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경음기는 그 구동방식에 따라 공기식과 전기식으로 분류되는데, 동작성이 우수한 전기식 경음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전기식 경음기는 전자석에 의해 금속재의 다이어프램(diaphragm)을 진동시켜 음원(音原)을 발생하는 것으로, 트럼펫(trumpet)의 형상에 의해 맴돌이형과 평형으로 나뉘는데, 맴돌이형에 비해 소형 경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평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이러한 전기식 평형 경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switch)를 누르면, 한쌍의 접점(contact:10)를 통해 코일(coil:3)에 전류가 인가되어 코어(core:2)가 자화되고, 이에 따라 아마츄어(amateur:5)가 코어(2) 쪽으로 흡인됨으로써 다이어프램(4)에 탄성변형이 발생된다. 이때 아마츄어(5)의 플랜지(flange:6)에 의해 판스프링(plate spring:8)이 눌리면서 접점(10)이 열리게 되어 코일(3)에의 전류를 차단한다. 그러면 아마츄어(5)를 흡인하는 힘이 제거되어 다이어프램(4)의 복원탄성에 의해 아마츄어(5)가 반대방향으로 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판스프링(8)이 그 탄성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접점(10)이 닫히게 되어 코일(3)에의 통전이 재개된다. 이때 아마츄어(5)는 다이어프램(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를 초월하여 운동하게 되지만, 그때의 다이어프램(4)은 자신의 운동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복원력과 전자 흡인력 등에 따라 그것에 저항할 때 운동방향이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은 아마츄어(5)의 연속운동에 의해 다이어프램(4)에 자려진동이 발생되고, 이 음이 진동판(vibrator:7)에 의해 지향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원거리까지 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경음기는 코일(3)에의 전류 단속에 따른 다이어프램(4)의 진동에 의해 음을 발생시키는 것인 바, 그 음질을 위해서는 조립완료 후 다이어프램(4)의 진동폭을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고정접점(10a)을 지지하는 스탠드(stand:9)를 서포트(support:11)에 대해서 피봇(pivot)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음조정나사(12)가 하우징(1)을 관통하여 스탠드(9)의 일측 하면에 접촉하도록 나사결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음기의 조립완료 후 음조정나사(12)에 의해 스탠드(9)를 피봇운동시켜 고정 및 가동접점(10a)(10b)의 갭(gap)을 조정함으로써 코일(3)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변화시켜 경음기의 음질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경음기의 음질 조정이 완료되면 외력 등에 의해 그 조정값이 변화되지 않도록 음조정나사(12)를 하우징(1)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해주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음조정나사(12)로 그 음질을 조정한 뒤 음조정나사(12)에 기결합된 너트(nut:13)로 음조정나사(12)를 위치고정함과 함께 방수 및 너트(13)의 풀림방지를 위해 음조정나사(12)와 너트(13)간에 접착제(14)를 도포함으로써 음조정나사(12)를 고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는 하우징(1)에 대한 음조정나사(12)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너트(13)를 사용함으로써 작업공수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원가상승을 부추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별도의 너트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하우징에 대한 음조정나사의 높은 결합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는, 컵형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하우징의 선단에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다이어프램과, 이 다이어프램과 동축으로 조립되는 아마츄어와, 이 아마츄어의 선단에 고정되는 진동판과, 일단에 고정접점을 가지고 하우징에 피봇 지지되는 스탠드와, 가동접점을 가지고 아마츄어와 연동하는 판스프링 및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선단이 스탠드의 타측면에 접촉하는 음조정나사를 구비하는 차량용 경음기에 있어서, 하우징에 음조정나사와 나사결합되는 버어(burr)를 그 내측으로 적정길이만큼 돌출 형성하고, 음조정나사에 의한 고정 및 가동접점간의 갭 조정 후 음조정나사와 하우징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음조정나사를 하우징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별도의 너트 없이도 음조정나사를 하우징에 대해 매우 높은 결합력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차량용 경음기의 조립공수 및 원가절감 등에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를 보인 경음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조정나사 고정구조를 보인 경음기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 ; 하우징(housing) 22 ; 코어(core)
23 ; 코일(coil) 24 ; 다이어프램(diaphragm)
25 ; 아마츄어(amateur) 27 ; 진동판(vibrator)
28 ; 판스프링(plate spring) 29 ; 스탠드(stand)
30a ; 고정접점 30b ; 가동접점
32 ; 음조정나사 33 ; (하우징의) 버어(burr)
34 ; 접착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경음기는 대략 컵형의 하우징(21) 중앙에 코어(22)가 설치되고, 이 코어(22)의 둘레에 전원이 선택적으로 인가되는 코일(23)이 설치되어 전자석을 구성하게 된다. 하우징(21)의 선단에는 다이어프램(24)의 가장자리부가 채널(chnnel)형태의 클램핑링(clamping ring:35)에 의해 고정되어 그 개구를 차폐하게 된다.
다이어프램(24)의 중앙에는 전자석에 의해 승강함으로써 다이어프램(24)에 진동을 유발하는 아마츄어(25)가 동축을 이루도록 일체로 조립되는데, 이 아마츄어(25)의 선단에는 다이어프램(24)에서 발생된 음에 지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판(27)이 함께 고정된다. 이때 아마츄어(25)는 전자석의 코어(23)와 그 승강에 필요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하우징(21)의 일측에는 대략 U자형태의 판스프링(28)이 그 한쪽 림(limb:28a)을 통해고정되고, 다른쪽 림(28b)에는 가동접점(30b)이 설치된다. 이때 가동접점(30b)이 설치된 림(28b)의 선단부는 아마츄어(25)의 플랜지(26) 하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된다. 그리고 판스프링(28)의 상측으로는 가동접점(30b)과 접촉하여 코일(23)에의 전원을 인가하는 고정접점(30a)이 일단에 구비된 스탠드(29)가 위치된다.
이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가 온되면, 접점(30)을 통해 코일(23)에 전원이 인가되어 코어(22)가 자화됨으로써 아마츄어(25)가 코어(22) 쪽으로 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아마츄어(25)의 플랜지(26)에 판스프링(28)의 한쪽 림(28b)이 눌려 가동접점(30b)이 고정접점(30a)과 떨어짐으로써 아마츄어(25)가 다이어프램(24)의 복원탄성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아마츄어(25)의 반복운동에 의해 다이어프램(24)에 자려진동이 발생됨으로써 경음기가 동작하게 된다.
한편 양호한 음질을 위해서는 다이어프램(24)의 진동폭, 즉 코일(23)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는 바, 스탠드(29)는 서포트(31)를 통해 하우징(21)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우징(21)의 일측에는 그 선단이 스탠드(29)의 타단에 접촉하여 이를 피봇운동시키는 음조정나사(32)가 나사결합된다. 이러한 음조정나사(32)는 음조정, 즉 고정접점(30a)과 가동접점(30b)간의 갭을 조정한 뒤 그 조정값이 변하지 않도록 하우징(21)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하는 바, 하우징(21)의 소정위치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음조정나사(32)와 나사결합되는 버어(33)가 하우징(21)의 내측으로 적정길이만큼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우징(21)에 대한 음조정나사(32)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버어(33)는 하우징(21)의 성형시 함께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경음기의 조립후 음조정나사(32)를 정 또는 역으로 회전시켜 고정접점(30a)과 가동접점(30b)의 갭을 조정한 뒤, 음조정나사(32)와 하우징(21)의 외면간에 방수 및 음조정나사(32) 풀림방지를 위해 접착제(34)를 도포함으로써 음조정나사(32)를 하우징(21)에 고정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음조정나사(32)와 결합되는 하우징(21)의 소정부위에 버어(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은 별도의 너트(도 1의 13) 없이도 음조정나사(32)를 높은 결합력으로 하우징(21)에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별도의 고정용 너트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음조정나사를 하우징에 대해 매우 높은 결합력으로 간단히 조립 고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차량용 경음기의 조립작업 공수와 원가절감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전자석과,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가장자리가 고정되는 다이어프램과, 상기 다이어프램과 동축으로 조립되는 아마츄어와, 상기 아마츄어의 선단에 고정되는 진동판과, 일단에 고정접점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에 피봇 지지되는 스탠드와, 가동접점을 가지고 상기 아마츄어와 연동하는 판스프링 및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선단이 상기 스탠드의 타측면에 접촉하는 음조정나사를 구비하는 차량용 경음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1)에 상기 음조정나사(32)와 나사결합되는 버어(33)를 그 내측으로 적정길이만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음조정나사(32)에 의한 상기 고정 및 가동접점(30a)(30b)간의 갭 조정 후 상기 음조정나사(32)와 하우징(21)간에 접착제(34)를 도포하여 상기 음조정나사(32)를 하우징(21)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KR2019970029325U 1997-10-22 1997-10-22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KR200161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325U KR200161860Y1 (ko) 1997-10-22 1997-10-22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325U KR200161860Y1 (ko) 1997-10-22 1997-10-22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955U KR19990015955U (ko) 1999-05-15
KR200161860Y1 true KR200161860Y1 (ko) 1999-12-01

Family

ID=1951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325U KR200161860Y1 (ko) 1997-10-22 1997-10-22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18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249B1 (ko) 2006-07-18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혼 접점의 조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683B1 (ko) * 2020-07-21 2022-01-14 인팩혼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249B1 (ko) 2006-07-18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혼 접점의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955U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0658B2 (ja) 電磁リレー
EP1017129A3 (en) Stud electrical connection
KR200161860Y1 (ko) 차량용 경음기의 음조정나사 고정구조
US4135473A (en) Vehicular sound generator
KR102350683B1 (ko) 차량용 전기식 경음기
US2299671A (en) Electromagnetic motor switch
KR19990032407U (ko) 차량용 경음기의 터미널 결합구조
US4717906A (en) Electric horn with improved pole piece and adjusting cap
KR19990032405U (ko)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컬링구조
KR19990032408U (ko) 차량용 경음기의 바디 보강구조
CN209964293U (zh) 一种骨传导振子扬声器
KR19990032410U (ko) 차량용 경음기의 접점 조립체
WO2020161892A1 (ja) 電子機器
WO2003043375A1 (fr) Haut-parleur
CN114302829B (zh) 车辆用报警器
JP3207751B2 (ja) 電気式ホーン
KR0128613Y1 (ko) 혼의 에어갭 조절구조
US1696625A (en) Sound signal
JP4343761B2 (ja) スピーカ装置及びホルダ
KR19980045275U (ko) 차량의 이중 경음장치
US1233651A (en) Electrical signaling-horn.
JP3942870B2 (ja) スピーカ
US1866231A (en) Sound emitting device
KR0134819Y1 (ko) 조합형 진공 전자 접촉기의 퓨즈 체커 장착 구조
US1235710A (en) Horn for automibiles, motor-cycle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